KR0150170B1 -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170B1
KR0150170B1 KR1019950062834A KR19950062834A KR0150170B1 KR 0150170 B1 KR0150170 B1 KR 0150170B1 KR 1019950062834 A KR1019950062834 A KR 1019950062834A KR 19950062834 A KR19950062834 A KR 19950062834A KR 0150170 B1 KR0150170 B1 KR 0150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protrusion
dash panel
bracket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2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0878A (ko
Inventor
현석종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170B1/ko
Publication of KR97004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0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부를 지닌 보강용 브라켓을 사용하여 스티어링 컬럼을 장착하여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돌출부(12)를 지니며 용접부(16),(18)를 통해 상부 대시 패널(2)에 고정되는 장착용 브라켓(10)과, 돌출부(12)에 접합되는 하부 용접부(26) 및 상부 대시 패널(2)에 접합되는 상부 용접부(28)를 통해 장착용 브라켓(10)상에 부착되며, 스티어링 컬럼(7)이 배치되는 돌출부(22)를 구비한 보강용 브라켓(20)을 이용하여 스티어링 컬럼을 장착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대시패널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상부 대시 패널 4 : 하부 대시 패널
10 : 장착용 브라켓 20 : 보강용 브라켓
22 : 돌출부 26,28 : 용접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돌출부를 지닌 보강용 브라켓을 사용하여 스티어링 컬럼을 장착하여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차선을 변경하거나 선회시에 사용하는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스티어링 휘일의 조작력을 스티어링 샤프트를 통해 스티어링 기어로 전달하여 조향륜을 회전시킨다.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티어링 컬럼에는 충돌 사고시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에 대하여 제1도와 제2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제1도는 스티어링 컬럼이 장착되는 대시 패널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이며, 제2도는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앞부분에는 탑승공간인 차실내와 기관실을 구분하는 상부 대시 패널(2) 및 하부 대시 패널(4)이 설치되어 있다. 통상, 하부 대시 패널(4)에 장착되는 스티어링 기어(5)는 스티어링 조인트(6)에 의해 스티어링 컬럼(7)에 내장되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연결된 후, 스티어링 휘일(8)의 회전력을 조향륜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에서 스티어링 컬럼(7)은 제2도에 단면하여 도시한 바와같은 장착구조에 의해 상부 대시 패널(2)에 설치된다.
즉, 용접주(16),(18)를 통해 상부 대시 패널(2)에 부착되는 장착용 브라켓(10)에는 4개의 보울트(14)가 설치되는 관통공(16)이 형성되어 있어, 돌출부(12)상에 스티어링 컬럼(7)을 배치한 다음, 통상의 너트를 보울트(14)에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스티어링 컬럼(7)을 장착하는 구조를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에서는 엔진의 공회전시 또는 주행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스티어링 컬럼에 떨림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곧바로 상부 대시 패널(2)을 거쳐 차실내의 탑승자에게 전달되므로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한편, 심한 경우에는 결합 부위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에서 전달되는 떨림현상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형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돌출부를 지니며 용접부를 통해 상부 대시 패널에 고정되는 장착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스티어링 컬럼을 고정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에 있어서, 돌출부에 접합되는 하부 용접부 및 상부 대시 패널에 접합되는 상부 용접부를 통해 장착용 브라켓 상에 부착되며, 스티어링 컬럼이 배치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보강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로, 상부 대시 패널(2)상에 부착되는 장착용 브라켓(1)의 전체적인 구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에서는 상부 대시 패널(2)에 부착되는 장착용 브라켓(10)상에 스티어링 컬럼의 떨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용 브라켓(20)을 추가로 설치하였다.
즉, 돌출부(12)를 지니며, 용접부(16),(18)를 통해 상부 대시 패널(2)상에 부착된 장착용 브라켓(1)에는 스티어링 컬럼(7)이 배치되는 돌출부(22)를 지닌 보강용 브라켓(20)이 부착된다.
여기에서, 보강용 브라켓(20)은 장착용 브라켓의 돌출부(12)에 접합되는 하부 용접부(26) 및 상부 대시 패널(2)에 접합되는 상부 용접부(28)를 통해 상기 장착용 브라켓(10)에 부착되며, 돌출부(22)에는 스티어링 컬럼(7)이 배치된다. 이와같이, 하부 용접부(28)를 장착용 브라켓(10)의 돌출부(12)상에 부착함으로써, 이들 브라켓(10),(20)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스티어링 컬럼(7)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충분히 흡수하게 된다.
또한, 보강용 브라켓(20)에 있어서, 장착용 브라켓(10)에 형성된 관통공(16)과 동일선상에는 4개의 보울트(14)가 삽입되는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의 조립순서를 보면, 먼저, 용접부(16),(18)를 통해 상부 대시 패널(2)상에 장착용 브라켓(10)을 부착한 다음, 본 발명의 보강용 브라켓(20)을 장착용 브라켓(10)상에 용접한다. 다음에, 스티어링 컬럼(7)을 배치한 후, 장착공(24)에 보울트(14)를 삽입하여 너트로 고정한다. 이때, 스티어링 컬럼(7)은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별도의 고정용 브라켓에 의해 장착되어지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는 스티어링 컬럼에서 발생되는 떨림에 의한 진동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돌출부(12)를 지니며 용접부(16),(18)를 통해 상부 대시 패널(2)에 고정되는 장착용 브라켓(10)을 이용하여 스티어링 컬럼(7)을 고정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에 접합되는 하부 용접부(26) 및 상부 대시 패널(2)에 접합되는 상부 용접부(28)를 통해 상기 장착용 브라켓(10)상에 부착되며, 상기 스티어링 컬럼(7)이 배치되는 돌출부(22)를 구비한 보강용 브라켓(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
KR1019950062834A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 KR0150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834A KR0150170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834A KR0150170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878A KR970040878A (ko) 1997-07-24
KR0150170B1 true KR0150170B1 (ko) 1998-09-15

Family

ID=1944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2834A KR0150170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1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878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953B1 (ko) 자동차의 차체전부구조
KR0150170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
JPH09221067A (ja) 車両のカウル構造
KR0127958Y1 (ko) 스티어링 컬럼 고정구조
JP3246988B2 (ja) 自動車の衝撃吸収構造
KR0162556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기어 장착구조
KR100193669B1 (ko) 자동차용 센터링 웰드 너트
JPS61282143A (ja) 自動車のシ−トベルトアンカ部の補強構造
KR100194714B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19990010486U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어셈블리
KR100412516B1 (ko) 자동차용 카울 언더커버 패널 조립체
KR0139606Y1 (ko) 자동차용 핸들 떨림 방지구조
KR19980025673U (ko) 자동차용 핸들 떨림 방지구조
KR100488999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지지장치의 보강구조
KR200216711Y1 (ko) 자동차의 언더 바디 구조
KR0132480Y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장착 브라켓
KR19990024583U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결합구조
KR200147442Y1 (ko) 자동차 스티어링칼럼용 실린더 체결장치
JPH0597066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0143642B1 (ko) 자동차의 상부대쉬판넬과 측부카울판넬의 연결부위 보강브라켓
KR0130149Y1 (ko) 자동차의 시이트벨트취부용 보강재구조
KR200171192Y1 (ko) 진동감소용 볼트가 체결된 타이바 브라켓
KR0135440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지지구조
KR0129054Y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스티어링 꺽임방지대
KR19980025672U (ko) 자동차용 핸들 떨림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