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306B1 - 전자사진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306B1
KR0159306B1 KR1019940000277A KR19940000277A KR0159306B1 KR 0159306 B1 KR0159306 B1 KR 0159306B1 KR 1019940000277 A KR1019940000277 A KR 1019940000277A KR 19940000277 A KR19940000277 A KR 19940000277A KR 0159306 B1 KR0159306 B1 KR 0159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image retainer
developer
electrode roller
electrostatic la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0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707A (ko
Inventor
히로시 코마키네
히로시 테라다
하지메 야마모토
카즈마사 하야시
마사히로 아이자와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003779A external-priority patent/JP30188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5016110A external-priority patent/JP3027892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940018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5Removing excess solid developer, e.g. fog pre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21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02Developer
    • G03G2215/0604Developer solid type
    • G03G2215/0614Developer solid type one-component
    • G03G2215/0621Developer solid type one-component powder clou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36Specific type of dry developer device
    • G03G2215/0639Without donor member (i.e. developing housing slides on latent image-carrying member)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터나 팩시밀리등에 응용할 수 있는 전자사진장치에 관한것으로서, 고온고습도환경의 조건 및 고속의 프로세스에서도, 화질의 농도가 높고, 농도의 불균일이나 바탕흐림이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화질을 가진 전자사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구성에 있어서, 고정된 자석(15)을 내부에 가진 정전잠상유지체를 사용해서 정전잠상을 형성한 후 현상제저장통(19)내에서 자성현상제(20)와 접촉시키고 현상제를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에 자력에 의해서 흡착시킨다. 또, 교류전압을 인가한 전극롤러(21)를 통과시키면, 화상부에만 토너가 남아서 현상되고 현상화한다. 정전잠상유지체의 내부에 이극성의 2자극을 가지고, 전극롤러(21)의 내부에 이극성의 2자극을 가지고, 정전잠상유지체와 전극롤러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극성의 자극이 대향하는 구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사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도의 현상부 근처의 확대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 제5 및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정전잠상유지체표면의 수직방향의 자속밀도분포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자석의 자극배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및 제9실시예에 사용하는 교류전압의 파형을 표시한 개략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7실시예에 있어서의 정전잠상유지체표면의 수직방향의 자속밀도분포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자석의 자극배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9도를 현상부근처의 확대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 제5 및 제7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극롤러표면의 수직방향의 자속밀도분포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자석의 자극배치를 설명하는 확대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4 및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극롤러표면의 수직방향의 자속밀도분포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자석의 자극배치를 설명하는 확대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제5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자극배치를 설명하는 확대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제6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자극배치를 설명하는 확대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제7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자극배치를 설명하는 확대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제8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제23도는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제9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극롤러표면의 단면의 확대도.
제25도는 종래예의 전자사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정전잠상유지체 15 : 자석(자계발생수단)
16 : 코로나대전기 17 : 그리드전극
18 : 신호광 19 : 현상제저장통
20 : 현상제(토너) 20a, 20b : 자기브러시
21 : 전극롤러 22 : 자석
23 : 교류전압전원 24 : 스크레이퍼
25 : 전사코로나대전기 26 : 클리너
27, 28 : 자성판
본 발명의 프린터나 팩시밀리 등에 응용할 수 있는 전자사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자사진방법으로는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진 현상제를 사용하는 2성분현상법에 널리 사용되고 있었으나, 최근 화상형성부의 소형화, 저코스트화를 위하여 1성분현상법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1성분현상법을 사용한 전자사진장치로서, 본 발명자들이 일본특허출원 「평성 3-345990」에 제안한 제25에 표시한 장치가 있다.
제25도에 있어서, (1)은 프탈로시아닌을 폴리에스테르계바인더수지로 분산한 유기감광체 즉, 정전잠상유지체이다. (2)는 감광체(1)와 동축으로 고정된 자석이다. (3)은 감광체(1)를 대전하는 코로나대전기이다. (4)는 감광체(1)의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그리드전극이다. (5)는 신호광이다. (6)은 현상제저장통이다. (7)은 자성 1성분토너이고, 현상제의 역할을 가진다. (8)은 현상제저장통(6)내에서 토너(7)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또 토너(7)가 자중에 의해서 눌려서 감광체(1)와 전극롤러(9)사이에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댐퍼이다.
자석(2)은 현상제저장통(6)에 대향하는 θ=10°부분에서 자극이 형성되어 있다. (9)는 내부에 자석(10)을 가진 알루미늄제 전극롤러이다. (11)은 전극롤러(9)에 전압을 인가하는 교류고압전원이다. (12)는 전극롤러(9)상의 토너를 긁어내는 폴리에스테르필름제의 스크레이퍼이다. (13)은 감광체(1)상의 토너상을 종이에 전사하는 전사코로나대전기이다.
이 전자사진현상장치에 대해서 이하 제25도를 사용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감광체(1)를 코로나대전기(3) 및 그리드전극(4)에 의해서 -500V로 대전시킨다. 이 감광체(1)에 레이저광(5)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했다. 현상제저장통(6)내에서 자력에 의해 상기 감광체(1)의 표면상에 토너(7)를 부착시켰다. 다음에, 감광체(1)를 전극롤러(9)의 앞을 통과시켰다. 이때, 전극롤러(9)에는 교류고압전원(11)에 의해 -350V의 직류전압을 중첩한 750Vo-p의 교류전압(주파수 1㎑)을 인가했다. 다음에, 감광체(1)로부터 전극롤러(9)를 향해서 토너(7)가 회수되고, 감광체(1)상에는 화상부에만 양음극반전한 토너상이 남았다.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는 전극롤러(9)에 부착한 토너(7)는 스크레이퍼(12)에 의해서 긁어내고, 다시 현상제저장통(6)내에 복귀시켜 다음의 상의 형성에 사용했다. 이렇게 해서 감광체(1)상에 얻어진 토너상을 전사대전기(13)에 의해서 종이(도시생략)에 전사한 후, 정착기(도시생략)에 의해 열정착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사진현상장치를 사용해서 프린트하면, 고온고습환경(33℃ 85%RH)조건하에서, 솔리드화상의 화상농도가 낮고, 또한 점차적으로 화상에 바탕흐림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발생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습도환경의 조건하에서 또한 고속프로세스시에도, 화질의 농도가 높고, 농도의 불균일이나 바탕흐림이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화질을 가진 전자사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측면에 의하면, 자성현상제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진 위치에 설치되고, 현상부에서의 진행방향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전극롤러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상기 자성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저장통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상의 비화상부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해 교류전압을 상기 전극롤러에 인가하는 수단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내부에 고정해서 설치되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전극롤러사이에 대향하는 부분인 상기 현상부의 근처에 있는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위치에 극성이 서로 다른 2자극을 발생시키는 제1자계발생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상에 부착한 현상제 즉 토너를, 정전잠상유지체와 전극롤러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부분인 현상부까지 충분히 반송함으로써, 토너의 공급부족에 의한 저화상농도를 개선하고, 고온고습조건하에서, 고해상도이며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안정하게 얻을 수 있고, 또한 고속프로세스의 장치에서도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제공하는 전자사진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의하면, 자성현상제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진 위치에서 설치되고, 현상부에서의 진행방향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전극롤러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상기 자성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저장통;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상의 비화상부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해 교류전압을 상기 전극롤러에 인가하는 수단과; 상기 전극롤러의 내부에 고정해서 설치되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전극롤러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부분인 상기 현상부의 근처에 있는 상기 전극롤러의 표면위치에 극성이 서로 다른 2자극을 발생시키는 제2자계발생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전극롤러상에 회수한 토너를 신속하게 현상부로부터 제거하고, 토너의 회수불량에 의한 바탕흐림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고온고습 조건하에서, 고해상도이며 고화질의 화상을 안정하게 얻을 수 있고, 또한 고속프로세스의 장치에서도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제공하는 전자사진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의하면, 자성현상제와; 표면에 상기 현상제에 대한 마찰력을 크게하는 수단을 가지고 또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진 위치에 설치되고, 현상부에서의 진행방향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전극롤러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상기 자성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저장통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상의 비화상부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교류전압을 상기 전극롤러에 인가하는 수단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내부에 고정해서 설치되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전극롤러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부분인 상기 현상부의 근처에 있는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위치에 서로 극성이 다른 2자극을 발생시키는 제1자계발생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고온고습조건하에서 고해상도이며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안정하게 얻을 수 있고, 고속프로세스의 장치에서도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제공하는 전자사진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측면에 의하면, 자성현상제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진 위치에 설치되고, 현상부에서의 진행방향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표면에 상기 현상제에 대한 마찰력을 크게하는 수단을 가진 전극롤러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상기 자성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저장통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상의 비화상부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교류전압을 상기 전극롤러에 인가하는 수단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내부에 고정해서 설치되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전극롤러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부분인 현상부의 근처에 있는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위치에 주성이 서로 다른 2자극을 발생시키는 자계발생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전극롤러상에서 회수한 토너를 신속하게 현상부로부터 제거하고, 토너의 회수불량에 의한 바탕흐름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고온고습조건하에서, 고해상도이며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안정하게 얻을 수 있고, 고속프로세스의 장치에 있어서도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제공하는 전자사진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5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제1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14)는 프탈로시아닌을 폴리에스테르계바인더수지에 분산한 유기감광체를 표면에 구성한 원통형상의 정전잠상유지체(직경 30㎜)로서, 회전속도 30㎜/s로 회전한다. (15)는 상기 정전잠상유지체(14)와 동축으로 고정되고, 회전하지 않는 2극으로 이루어진 자석 즉, 자계발생수단이다. (16)은 정전잠상유지체(14)를 마이너스로 대전하는 코로나대전기이다. (17)은 정전잠상유지체(14)의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그리드전극이다. (18)은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신호광이다. (19)는 현상제저장통이다. (20)은 현상제, 즉 평균입자직경 약 12㎛의 마이너스대전성자성 1성분토너이다.
(21)은 알루미늄제의 원통형상의 전극기능을 가진 전극롤러(직경 16㎜)이고, 정전잠상유지체(1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정전잠상유지체(14)와 역방향으로 회전속도 30㎜/s로 회전한다. (22)는 전극롤러(21)와 동축으로 고정되고, 회전하지 않는 자석이다. (23)은 전극롤러(21)에 전압을 인가하는 교류고압전원이다. (24)는 전극롤러(21)상의 토너를 긁어내는 폴리에스테르필름제의 스크레이퍼이다. (25)는 정전자상유지체(14)상에 토너가 부착해서 형성된 상을 종이에 전사하는 전사코로나대전기이다. (26)은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토너를 전사한 잔존 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너이다.
정전잠상유지체(14)표면에서의 자석(15)근처에 있는 수직방향의 자속밀도분포를 제3도에 표시한다. 자속밀도의 피이크는 -700GS(S극) 및 500GS(N극)이다. 또, 자석(22)의 전극롤러(21)표면에서의 자속밀도의 피이크는 600GS(N극)이다.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과, 전극롤러(21)내부의 자석(22)의 위치 관계를 제4도에 표시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의 S극의 각도는, 전극롤러(21)와의 대향위치로부터 회전방향상류쪽에 θ1=40°를 설정했고, N극의 각도는 θ2=10°로 설정했다. 전극롤러(21)내부의 자석(22)의 각도는, 정전잠상유지체(14)와의 대향위치로부터 회전방향상류쪽에 θ3=-15°로 설정했다.
이 θ1의 범위는 15°θ50°가 바람직하고, 특히 20°θ145°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2는 0°θ23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5°θ22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3은 -30°θ3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20°θ3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사용한 현상제인 자성 1성분토너의 구성은, 폴리에스테르수지 70%, 페라이트 25%, 카본블랙 3%, 옥시카르복시산 금속착체 2%로 이루어지고, 또 콜리이드성실리카를 0.4%첨가해서 사용했다(모두중량%).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장치에 대해서 이하 제1도를 사용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는, 코로나대전기(16) 및 그리드전극(17)(인가전압은 -4㎸, 그리드전극의 전압은 -500V)에 의해서 -500V로 대전되었다. 이 정전잠상유지체 (14)에 레이저신호광(18)이 조사되고, 정전잠상이 형성되었다. 이때 정전잠상유지체(14)의 노광전위(Vr)는 -100V였다. 다음에 현상제저장통(19)내에 있는 자성 1성분토너가 자석(15)의 자력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상에 부착된다. 이때에 토너는 약 -3μc/g으로 대전하고 있었다.
다음에,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부착한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둘레방향에 배치되고 자석(15)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를 따라서 브러시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브러시형상으로 부착한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반송되었다. 여기서, 자기브러시란, 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선을 따라서 정렬한 브러시형상의 자성토너이다. 또한, 토너층이 부착한 정전잠상유지체(14)는 전극롤러(21)의 앞을 통과했다. 이 전극롤러(21)는 정전잠상유지체(14)와 300㎛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고압전원(23)에 의해, 제5도에 표시한 파형의 -300V의 직류전압을 중첩한 750Vo-p의 교류전압(주파수 1㎑)이 전극롤러(21)에 인가되었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토너층은, 정전잠상유지체(14)와 전극롤러(21)사이를 운동하고; 점차적으로 정전잠상유지체(14)위의 비화상부의 토너는 전극롤러(21)쪽으로 이동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화상부에만 양음극반전한 토너상이 남았다.
전극롤러(21)상에 부착한 토너는, 제1도에 표시되는 화살표방향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고, 스크레이퍼(24)에 의해서 긁어내고, 현상제저장통(19)내에 복귀한다. 또한, 정전잠상유지체(14)표면의 S극의 상부에서는, 토너가 상당히 교란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전사코로나대전기(25)에 의해서, 종이(도시생략)에 전사되었다. 그후, 정착기(도시생략)에 의해 열정착되고, 프린트된 화상이 얻어졌다. 한편, 전사후,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남은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고, 클리너(26)에 의해 회수되었다.
이상의 결과, 고화상농도이고 농도의 불균일등이 없는 샤프한 화상이 얻어졌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는, 회전하는 정전잠상유지체의 안쪽에 설치되고, 정전잠상유지체와 전극롤러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부분인 현상부의 근처에 있는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위치에, 자성이 서로 다른 2자극을 발생시키고, 회전하지 않는 고정자석 즉, 자계발생수단을 가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작용과 효과를 제2도를 사용해서 한층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전자사진장치의 현상부의 근처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확대도이다.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정전잠상유지체(14)의 둘레방향으로, 자석(15)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선을 따라서, 토너가 브러시형상으로 정렬한 자기브러시(20a)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14)에 의한 토너(20)의 반송력이,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1층째의 개개의 토너에 대해서가 아니고, 자력에 의해 연결된 자성토너의 집단인 자기브러시전체에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토너의 공급반송능력은 상당히 향상된다.
또, 토너개개의 마찰력의 불균일에 의한 반송불균일도 해소된다. 따라서, 정전잠상유지체(14)에 공급된 토너를 현상부에 충분하게 또한 안정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고습도조건하나 고속프로세스에서도, 고농도이며, 농도의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제6, 7, 8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이며, 그 구성을 제6도에 표시한다.
제6도의 구성은 제1도의 구성과 자계발생수단이 다르다. 즉, 자석(15)의 자극이 1개이고, 그 자석(15)의 회전방향상류쪽에 자성판(27)이 추가된 점이 다르다. 자성판(27)으로서는, 외부로부터의 자계에 의해서 자화하는 물질이 있다. 예를 들면 철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6도의 기타의 구성은 제1도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6도의 부호의 설명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제1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표면에서의 자석(15) 및 자성판(27)의 수직방향의 자속밀도분포를 제7도에 표시한다. 자석밀도의 피이크는 -300GS(자성판) 및 500GS(N극)이다. 자성판(27)은 자석(15)에 의해서 자화되고, 자성판(27)의 표면에 자석(15)의 표면과 반대의 자극이 발생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내의 자석(15) 및 자성판(27)과 전극롤러(21)내부의 자석(22)의 위치관계를 제8도에 표시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성판(27)의 각도는, 전극롤러(21)와의 대향위치로부터 회전방향의 상류쪽에 θ1=40°,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의 N극의 각도는 θ2=10°로 설정했다. 전극롤러(21)내부의 자석(22)의 N극의 각도는 정전잠상유지체(14)와의 대향위치로부터 회전 방향의 상류쪽에 θ3=15°로 설정했다.
이 θ1의 범위는 15°θ150°가 바람직하고, 특히 20°θ145°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2는 0°θ23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5°θ22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3은 -30°θ3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20°θ3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장치에 대해서, 이하 제6도를 사용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는, 코로나대전기(16) 및 그리드전극(17)(인가전압은 -4㎸그리드전극의 전압은 -500V)에 의해서 -500V로 대전되었다. 이 정전잠상유지체(14)에 레이저신호광(18)이 조사되고, 정전잠상이 형성되었다. 이때, 정전잠상유지체(14)의 노광전위(Vr)는 -100V였다. 다음에 현상제저장통(19)내에 있는 자성 1성분토너가 자석(15) 및 자성판(27)의 자력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상에 부착된다.
다음에,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부착한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둘레 방향에 배치되고, 자석(15) 및 자성판(27)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를 따라서 브러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브러시형상으로 부착된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반송되었다. 그리고 토너층이 부착한 정전잠상유지체(14)는 전극롤러(21)의 앞을 통과했다. 이 전극롤러(21)는 정전잠상유지체(14)와 300㎛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고압전원(23)에 의해,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300V의 직류전압을 중첩한 750Vo-p의 교류전압(주파수 1㎑)의 파형이 전극롤러(21)에 인가되었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토너층은, 정전잠상유지체(14)와 전극롤러(21)사이를 운동하고, 점차적으로 정전잠상유지체(14)의 비화상부의 토너는 전극롤러(21)쪽으로 이동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화상부에만 양음극반전한 토너상이 남았다. 전극롤러(21)상에 부착한 토너는, 자석(22)에 의한 전극롤러의 둘레방향의 자계를 따라서 자기브러시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러시형상으로 부착한 토너는, 전극롤러(21)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반송되고, 스크레이퍼(24)에 의해서 긁어내고, 현상제저장통(19)내에 복귀된다. 또한, 정전잠상유지체(14)표면의 자성판(27)의 상부에는, 토너가 상당히 교란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전사코로나대전기(25)에 의해서, 종이(도시생략)에 전사되었다. 그후, 장착기(도시생략)에 의해 열장착되고, 프린트된 화상이 얻어졌다. 한편, 전사후,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남은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고, 클리너(26)에 의해 회수되었다.
이상의 결과, 고화상의 농도이고, 농도의 불균일등이 없는 샤프한 화상이 얻어졌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작용효과는, 상기 실시예 1의 작용효과와 동일하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제9도 내지 제12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구성도이다. 제9도에 있어서, (14)는 프탈로시아닌을 폴리에스테르계바인더수지에 분산한 유기감광체드럼(직경 30㎜)에 의해 구성되는 정전잠상유지체로서, 회전속도 30㎜/s로 회전한다. (15)는 정전잠상유지체(14)와 동축으로 고정되고 회전하지 않는 자석이다. 정전잠상유지체(14)표면에서의 자속밀도의 피이크는 -800GS(S극)이다. (16)은 정전잠상유지체(14)를 마이너스로 대전하는 코로나대전기이다. (17)은 정전잠상유지체(14)의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그리드전극이다. (18)은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신호광이다. (19)는 현상제저장통이다. (20)은 현상제로서의 평균입자직경 약 12㎛의 마이너스대전성자성 1성분토너이다.
(21)은 알루미늄제의 원통형상전극롤러(직경 16㎜)이고, 전극기능을 가지고, 정전잠상유지체(14)와 역방향으로 회전속도 30㎜/s로 회전한다. (22)는 전극롤러(21)와 동축으로 고정되고, 2극의 자극으로 이루어지고 회전하지 않는 자석이다. (23)은 전극롤러(21)에 전압을 인가하는 교류고압전원이다. (24)는 전극롤러(21)상의 토너를 긁어내는 폴리에스테르필름제의 스크레이퍼이다. (25)는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토너상을 종이에 전사하는 전사코로나대전기이다. (26)은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토너를 전사한 잔존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너이다.
전극롤러(21)표면에 있는 자석(22)의 수직방향의 자속밀도분포를 제11도에 표시한다. 자속밀도의 피이크는 600GS(N극) 및 -350GS(S극)이다. 전극롤러(21) 내부의 자석(22)과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사이의 위치관계를 제12도에 표시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의 각도는, 전극롤러(21)와의 대향위치로부터 회전방향의 상류쪽에 θ1=35°로 설정했다. 전극롤러(21)내부의 자석(22)의 N극의 각도는 θ2=-15°로 설정했고, S극의 각도는 θ3=+20°로 설정했다.
이 θ1의 범위는 0°θ145°가 바람직하고, 특히 10°θ14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2는 -20°θ2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15°θ21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3은 0°θ39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10°θ35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사용한 자성 1성분토너의 구성은, 폴리에스테르수지 70%, 페라이트 25%, 카본블랙 3%, 옥시카르복시산 금속착세 2%로 이루어지고, 또 콜리이드성실리카를 0.4%첨가해서 사용했다(모두중량%).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장치에 대해서, 이하 제9도를 사용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는, 코로나대전기(16) 및 그리드전극(17)(인가전압은 -4㎸, 그리드전극의 전압은 -500V)에 의해서 -500V로 대전되었다. 이 정전잠상유지체(14)에 레이저신호광(18)이 조사되고, 정전잠상이 형성되었다. 이때, 정전잠상유지체(14)의 노광전위(Vr)는 -100V였다. 다음에 현상제저장통(19)내에 있는 자성 1성분토너가 자석(15)의 자력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상에 부착된다. 이때에, 토너는 약 -3μc/g으로 대전하고 있었다.
다음에 토너층이 부착한 정전잠상유지체(14)는 전극롤러(21)의 앞을 통과했다. 이 전극롤러(21)는 정전잠상유지체(14)와 300㎛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고압전원(23)에 의해,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300V의 직류전압을 중첩한 750Vo-p의 교류전압(주파수 1㎑)의 파형이 전극롤러(21)에 인가되었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토너층은, 정전잠상유지체(14)와 전극롤러(21)사이를 운동한다. 점차적으로 정전잠상유지체(14)위의 비화상부의 토너는 전극롤러(21)쪽으로 이동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화상부에만 양음극반전한 토너상이 남았다.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전극롤러(21)상에 부착한 토너는, 전극롤러(21)의 둘레방향에 배치되고 자석(22)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를 따라서 정렬한 브러시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브러시형상으로 부착한 토너는, 전극롤러(21)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반송되고, 스크레이퍼(24)에 의해서 긁어내고, 현상제저장통(19)내에 복귀한다. 또한, 전극롤러(21)표면의 S극의 상부에서는, 토너가 상당히 교란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전사코로나대전기(25)에 의해서, 종이(도시생략)에 전사되었다. 그후, 정착기(도시생략)에 의해 열정착되고, 프린트된 화상이 얻어졌다. 한편, 전사후,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남은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고, 클리너(26)에 의해 회수되었다.
이상의 결과, 바탕흐림이나 농도의 불균일등이 없는 샤프한 화상이 얻어졌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회전하는 전극롤러의 안쪽에 설치되고, 정전잠상유지체와 전극롤러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현상부의 근처에 있는 전극롤러의 표면위치에 극성이 서로 다른 2자극의 자계를 발생시키고 회전하지 않는 고정자석 즉, 자계발생수단을 가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서 제10도를 사용해서, 한층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0도는 제9도에 표시한 전자사진장치의 현상부의 근처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확대도이다.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극롤러(21)의 둘레방향으로, 자석(22)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따라서, 현상제인 토너가 브러시형상으로 정렬한 자기브러시(20b)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전극롤러(21)에 의한 토너(20)의 반송력이, 전극롤러(21)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1층째의 개개의 토너에 대해서가 아니고, 자력에 의해 연결된 토너의 집단인 자기브러시전체에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토너의 공급반송능력은 상당히 향상된다.
또, 토너개개의 마찰력의 불균일에 의한 반송불균일도 해소된다. 따라서, 전극롤러(21)에 회수된 저대전토너를 교류바이어스에 의한 진동영역으로부터 강력하게 또한 일정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고습도조건하에서 또는 고속프로세스에서도, 바탕흐림이나 농도의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에,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제4실시예에 대하여 제13, 14, 15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3의 변형예이며, 그 구성을 제13도에 표시한다.
제13도의 구성은 제9도의 구성과 자석(22)의 구성이 다르다. 즉, 자석(22)을 1자극으로 하고, 그 자석(22)의 상부에 고정된 자성판(28)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자성판(28)으로서는, 외부로부터의 자계에 의해서 자화하는 물질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철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타의 구성은 제9도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3도의 부호의 설명은, 제9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극롤러(21)표면에서의 자석(22) 및 자성판(28)의 수직방향의 자속밀도분포를 제14도에 표시한다. 자성판(28)은 자석(22)에 의해서 자화되고, 자성판(28)의 표면에 자석(22)의 표면과 반대의 자극이 발생한다. 자속밀도의 피이크는 600GS(N극) 및 -200GS(자성판)이다.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과 전극롤러(21)내부의 자석(22)사이의 위치관계를 제15도에 표시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의 각도는, 전극롤러(21)와의 대향위치로부터 회전방향의 상류쪽에 θ1=35°로 설정했다. 전극롤러(21)내부의 자석(22)의 N극의 각도는 θ2=-15°로 설정했고, 자성판의 각도는 θ3=+15°로 설정했다.
이 θ1의 범위는 0°θ145°가 바람직하고, 특히 10°θ14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2는 -20°θ2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15°θ21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3은 0°θ39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10°θ35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장치에 대해서, 이하 제13도를 사용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는, 코로나대전기(16) 및 그리드전극(17)(인가전압은 -4㎸, 그리드전극의 전압은 -500V)에 의해서 -500V로 대전되었다. 이 정전잠상유지체(14)에 레이저신호광(18)이 조사되고, 정전잠상이 형성되었다. 이때 정전잠상유지체(14)의 노광전위는 -100V였다. 현상제저장통(19)내에 있는 1자성 1성분토너가 자석(15)의 자력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상에 부착된다.
다음에, 이 토너층이 부착한 정전잠상유지체(14)는, 전극롤러(21)의 앞을 통과한다. 고압전원(23)에 의해,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300V의 직류전압을 중첩한 750Vo-p의 교류전압(주파수 1㎑)의 파형이 전극롤러(21)에 인가되었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토너층은, 정전잠상유지체(14)와 전극롤러(21)사이를 운동한다. 점차적으로 정전잠상유지체(14)위의 비화상부의 토너는, 전극롤러(21)쪽으로 이동하고,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화상부에만 양음극반전한 토너상이 남았다.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전극롤러(21)상에 부착한 토너는, 전극롤러(21)내부의 고정자석(22) 및 자성판(27)에 의한 전극롤러(21)의 둘레방향의 자계를 따라서 브러시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러시형상으로 부착한 토너는, 전극롤러(21)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반송되고, 스크레이퍼(24)에 의해서 긁어내고, 다시 현상제저장통(19)내에 복귀한다. 또한 전극롤러(21)표면의 자성판(27)상부에서는, 토너가 상당히 교란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전사코로나대전기(25)에 의해서, 종이(도시생략)에 전사되었다. 그후, 장착기(도시생략)에 의해 열정착되고, 프린트된 화상이 얻어졌다. 한편, 전사후,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남은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이동에 의해 반송되고, 클리너(26)에 의해 회수되었다.
그 결과, 바탕흐림이나 농도의 불균일등이 없는 샤프한 화상이 얻어졌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작용효과는 상기 실시예 3의 작용효과와 동일하다.
[실시예 5]
다음에, 본 발명의 전사사진장치의 제5실시예에 대하여 제16, 17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제16도에 표시한다.
제16도의 구성은 제1도의 구성과 전극롤러표면에서의 자계발생수단이 다르다. 즉, 전극롤러(21)내부에 설치되고, 전극롤러(21)와 동축으로 고정되고 회전하지 않는 자석(22)이 2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정전잠상유지체(14)표면에서의 자석(15)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자속밀도분포를 제4도에 표시한다. 전극롤러(21)표면에서의 자석(22)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자속밀도분포를 제11도에 표시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과, 전극롤러(21)내부의 자석(22)의 위치 관계를 제17도에 표시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의 S극의 각도는, 전극롤러(21)와의 대향위치로부터 회전방향의 상류쪽에 θ1=40°로 설정했고, N극의 각도는 θ2=10°로 설정했다. 전극롤러(21)내부의 자석(22)의 N극의 각도는, 정전잠상유지체(14)와의 대향위치로부터 회전방향의 상류쪽에 θ3=-15°로 설정했고, S극의 각도는 θ4=20°로 설정했다.
이 θ1의 범위는 15°θ150°가 바람직하고, 특히 20°θ145°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2는 0°θ23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5°θ22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3은 30°θ3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20°θ3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4는 0°θ43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5°θ425°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장치에 대해서, 제16도를 사용해서 그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는, 코로나대전기(16) 및 그리드전극(17)(인가전압은 -4㎸, 그리드전극의 전압은 -500V)에 의해서 -500V로 대전되었다. 이 정전잠상유지체(14)에 레이저신호광(18)이 조사되고, 정전잠상이 형성되었다. 이때 정전잠상유지체(14)의 노광전위(Vr)는 -100V였다. 현상제저장통(19)에 있는 자성 1성분토너가 정전잠상유지체(14)내의 자석(15)의 자력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상에 부착된다.
다음에,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부착한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둘레 방향에 배치되고 자석(15)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따라서 정렬하여 자기브러시형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브러시형상의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반송된다. 그리고, 토너층이 부착한 정전잠상유지체(14)는, 전극롤러(21)의 앞을 통과한다. 고압전원(23)에 의해,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300V의 직류전압을 중첩한 750Vo-p의 교류전압(주파수 1㎑)의 파형이 전극롤러(21)에 인가되었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토너층은, 정전잠상유지체(14)와 전극롤러(21)사이를 운동하고, 점차적으로 비화상부의 토너는 전극롤러(21)쪽으로 이동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화상부에만 양음극반전한 토너상이 남았다. 한편, 전극롤러(21)상에 부착한 토너는, 전극롤러둘레방향의 자계를 따라서 브러시 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러시형상으로 부착된 토너는, 전극롤러(21)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반송되고, 스크레이퍼(24)에 의해 긁어내고, 현상제저장통(19)내에 복귀된다. 또한, 정전잠상유지체(14)내의 S극의 상부 및 전극롤러(21)내의 S극의 상부에서는, 토너가 상당히 교란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얻어진 토너상은 전사코로나대전기(25)에 의해서 종이(도시생략)에 전사된다. 그후, 장착기(도시생략)에 의해 열정착되고, 프린트된 화상이 얻어졌다.
한편, 전사후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남은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이동에 의해 반송되고 클리너(26)에 의해 회수되었다.
그 결과, 고화상의 농도이고 농도의 불균일등이 없고, 흐림이나 화상이력이 없는 샤프한 화상이 얻어졌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정전잠상유지체의 안쪽에 설치되고, 정전잠상유지체와 전극롤러사이에 대향하는 현상부의 근처의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위치에 자성이 서로 다른 2자극을 발생시키는 자계발생수단과, 전극롤러의 안쪽에 설치되고, 정전잠상유지체와 전극롤러와의 대향하는 현상부의 근처의 전극롤러의 표면위치에 자성이 서로 다른 2자극을 발생시키는 자계발생수단을 가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14)에 공급된 토너를 현상부에 충분하게 또한 안정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또한 전극롤러(21)에 회수된 토너를 교류바이어스에 의한 진동영역으로부터 충분하게 또한 안정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고습도조건 및 고속프로세스에서도 고농도이며 바탕흐림이나 농도의 불균일이 없는 뛰어난 화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6]
다음에, 본 발명의 전자사진장치의 제6실시예에 대하여 제18, 19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5의 변형예이며, 그 구성을 제18도에 표시한다. 제18도의 구성은 전극롤러(21)표면의 자계발생수단이 제1도의 구성과 다르다. 즉, 전극롤러(21)내부의 전극롤러(21)와 동축으로 고정되고 회전하지 않는 자석(22)의 상부에 자성판(28)을 설치한 점이 다르다.
정전잠상유지체(14)표면에서의 자석(15)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자속밀도분포를 제4도에 표시한다. 전극롤러(21)표면에서의 자석(22)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자속밀도분포를 제14도에 표시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과, 전극롤러(21)내부의 자석(22)의 위치 관계를 제19도에 표시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의 S극의 각도는, 전극롤러(21)와의 대향위치로부터 회전방향의 상류쪽에 θ1=40°로 설정했고, N극의 각도는 θ2=10°로 설정했다. 전극롤러(21)내부의 자석(22)의 N극의 각도는, 정전잠상유지체(14)와의 대향위치로부터 회전방향의 상류쪽에 θ3=-15°로 설정했고, 자성판의 각도는 θ4=15°로 설정했다.
이 θ1의 범위는 15°θ150°가 바람직하고, 특히 20°θ145°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2는 0°θ23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5°θ22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3은 -30°θ3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20°θ3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4는 0°θ43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5°θ425°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장치에 대해서, 이하 제18도를 사용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는, 코로나대전기(16) 및 그리드전극(17)(인가전압은 -4㎸, 그리드전극의 전압은 -500V)에 의해서 -500V로 대전되었다. 이 정전잠상유지체(14)에 레이저신호광(18)이 조사되고, 정전잠상이 형성되었다. 이때 정전잠상유지체(14)의 노광전위는 -100V였다. 현상제저장통(19)내에 있는 자성 1성분토너가 정전잠상유지체(14)내의 자석(15)의 자력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상에 부착된다.
다음에,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부착한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에 의한 정전잠상유지체(14)둘레방향의 자계를 따라서 브러시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러시형상의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반송되었다. 그리고, 토너층이 부착한 정전잠상유지체(14)는 전극롤러(21)의 앞을 통과했다. 고압전원(23)에 의해,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300V의 직류전압을 중첩한 750Vo-p의 교류전압(주파수 1㎑)의 파형이 전극롤러(21)에는 인가되었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토너층은, 정전잠상유지체(14)와 전극롤러(21)사이를 운동하고, 점차적으로 정전잠상유지체(14)위의 비화상부의 토너는 전극롤러(21)쪽으로 이동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화상부에만 양음극반전한 토너상이 남았다. 전극롤러(21)상에 부착한 토너는, 전극롤러내부의 자석(22)에 의한 전극롤러의 둘레방향의 자계를 따라서 브러시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러시형상으로 부착된 토너는, 전극롤러(21)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한 반송되고, 스크레이퍼(24)에 의해서 긁어내고, 현상제저장통(19)내에 복귀한다. 또한, 정전잠상유지체(14)내의 S극의 상부 및 전극롤러(21)내의 자성판의 상부에서는, 토너가 상당히 교란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얻어진 토너상은, 전사코로나대전기(25)에 의해서 종이(도시생략)에 전사되고, 그후, 정착기(도시생략)에 의해 열정착되고, 프린트된 화상이 얻어졌다. 한편, 전사후,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남은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고, 클리너(26)에 의해 회수되었다.
그 결과, 고화상농도이고 농도의 불균일등이 없고 흐림이나 화상이력이 없는 샤프한 화상이 얻어졌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작용효과는 상기 실시예 5의 작용효과와 동일하다.
[실시예 7]
다음에,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대하여 제20, 21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5의 변형예이고, 그 구성을 제20도에 표시한다.
제20도의 구성은 제6도의 구성과, 전극롤러(21)의 표면에 발생하는 자계발생수단이 다르다. 즉, 자석(22)을 2자극으로 한 점이 다르다.
정전잠상유지체(14)표면에서의 자석(15)과 자성판(27)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자속밀도분포를 제7도에 표시한다. 전극롤러(21)표면에서의 자석(22)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자속밀도분포를 제11도에 표시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과, 전극롤러(21)내부의 자석(22)의 위치관계를 제21도에 표시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성판(27)의 각도는, 전극롤러(21)와의 대향위치로부터 회전방향의 상류쪽에 θ1=40°로 설정했고,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의 N극의 각도는 θ2=10°로 설정했다. 전극롤러(21)내부의 자석(22)의 N극의 각도는 정전잠상유지체(14)와의 대향위치로부터 회전방향쪽에 θ3=-15°로 설정했고, S극의 각도는 θ4=+20°로 설정했다.
이 θ1의 범위는 15°θ150°가 바람직하고, 특히 20°θ145°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2는 0°θ23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5°θ22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3은 -30°θ3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20°θ3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θ4는 0°θ43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5°θ425°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장치에 대해서, 이하 제20도를 사용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는, 코로나대전기(16) 및 그리드전극(17)(인가전압은 -4㎸, 그리드전극의 전압은 -500V)에 의해서 -500V로 대전되었다. 이 정전잠상유지체(14)에 레이저신호광(18)이 조사되고, 정전잠상이 형성되었다. 이때에, 정전잠상유지체(14)의 노광전위는 -100V였다. 현상제저장통(19)내에 있는 자성 1성분토너가 정전잠상유지체(14)내의 자석(15)의 자력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상에 부착된다.
다음에,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부착한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내부의 자석(15)에 의해 발생하는 둘레방향의 자계를 따라서 정렬하여, 자기 브러시형상이 형성된다. 브러시형상의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반송되었다.
그리고, 토너층이 부착한 정전잠상유지체(14)는 전극롤러(21)의 앞을 통과했다. 고압전원(23)에 의해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300V의 직류전압을 중첩한 750Vo-p의 교류전압(주파수 1㎑)의 파형이 전극롤러(21)에 인가되었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토너층은, 정전잠상유지체(14)와 전극롤러(21)사이를 운동하고, 점차적으로 정전잠상유지체(14)위의 비화상부의 토너는 전극롤러(21)쪽으로 이동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는 화상부에만 양음극반전한 토너상이 남았다. 전극롤러(21)상에 부착한 토너는, 전극롤러내부의 자석(22)에 의해 발생하는 전극롤러의 둘레방향의 자계를 따라서 정렬하여, 브러시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러시형상으로 부착된 토너는, 전극롤러(21)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반송되고, 스크레이퍼(24)에 의해서 긁어내고, 현상제저장통(19)내에 복귀된다. 또한, 정전잠상유지체(14)내의 S극의 상부 및 전극롤러(21)내의 자성판의 상부에서는, 토너가 상당히 교란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같이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전사코로나대전기(25)에 의해서 종이(도시생략)에 전사되고, 그후, 정착기(도시생략)에 의해 열정착되고, 프린트된 화상이 얻어졌다. 그 결과, 고화상농도이고 농도의 균일등이 없고, 흐림이나 화상이력이 없는 샤프한 화상이 얻어졌다. 한편, 전사후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남은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고 클리너(26)에 의해 회수되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작용효과는 상기 실시예 5의 작용효과와 동일하다.
[실시예 8]
다음에, 한층 더 고속의 프린트속도에 있어서도, 고농도이며, 농도의 불균일이 없는 우수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전자사진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22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22도는 프로세스속도가 180㎜/s인 전자사진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구성도이다. 제22도의 구성은 정전잠상유지체(14)의 내부에 설치된 자석(15)의 자극의 수 및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에 거칠기가 제1도의 구성과 다르다. 즉, 자석(15)의 자극의 수가 1개이고, 또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이 블라스트처리되어서, 거칠기가 0.8로 되어있다. 블라스트처리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과 현상제 즉, 토너와의 마찰력이 증대하는 작용이 있다. 제22도의 기타의 구성은, 제1도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22도의 부호의 설명은 실시예 1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장치에 대해서, 제22도를 사용해서 그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는 코로나대전기(16) 및 그리드전극(17)(인가전압은 -6㎸, 그리드전극의 전압은 -500V)에 의해서 -500V로 대전되었다. 이 정전잠상유지체(14)에 레이저신호광(18)이 조사되고, 정전잠상이 형성되었다. 이때에, 정전잠상유지체(14)의 노광전위는 -100V였다. 현상제저장통(19)내에 있는 자성1성분토너가 자석(15)의 자력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상에, 부착된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부착한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표면과의 사이의 강력한 마찰력을 받고, 미끄러지는 일없이 반송된다. 다음에, 이 토너층이 부착한 정전잠상유지체(14)가 전극롤러(21)의 앞을 통과했다. 고압전원(23)에 의해,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300V의 직류전압을 중첩한 750Vo-p의 교류전압(주파수 3㎑)의 파형이 전극롤러(21)에 인가되었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토너층은, 정전잠상유지체(14)와 전극롤러(21)사이를 운동한다. 점차적으로 정전잠상유지체(14)위의 비화상부의 토너는 전극롤러(21)쪽으로 이동하고,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는 화상부에만 양음극반전한 토너상이 남았다.
전극롤러(21)상에 부착한 토너는, 화살표방향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고, 스크레이퍼(24)에 의해서 긁어내고, 다시 현상제저장통(19)내에 복귀한다. 이와 같이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전사코로나대전기(25)에 의해서 종이(도시생략)에 전사되고, 그후, 정착기(도시생략)에 의해 열정착되고, 프린트된 화상이 얻어졌다.
한편, 전사후,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남은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고, 클리너(26)에 의해 회수되었다. 그 결과, 고농도이고 농도의 불균일등이 없는 샤프한 화상이 얻어졌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은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이 현상제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수단을 가진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와 토너의 마찰력이 커지고, 토너는 미끄러지는 일없이 정전잠상유지체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기 때문에, 토너의 공급반송력은 상당히 향상되고, 또 미끄럼에 의한 반송의 불균일도 해소된다. 따라서,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공급된 토너의 현상부에 충분하게 또한 안정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고습조건이나 고속프로세스에서도, 고농도이며, 농도의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화질이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을 블라스트가공했으나,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에 미세한 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홈을 형성함으로써,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과 토너사이의 마찰력은 상당히 향상되고, 그 결과 공급된 토너는 미끄러지는 일없이 반송되기 때문에, 고농도이며, 농도의 균일이 없는 샤프한 화상이 얻어진다.
[실시예 9]
다음에, 한층 더 고속인 프린트속도에 있어서도, 고농도이며, 농도의 불균일이 없는 우수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전자사진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제23도, 제24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23도는 프로세스속도가 180㎜/s인 전자사진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구성도이다. 제24도는, 제23도에 표시한 전자사진장치를 구성하는 전극롤러(21)의 표면의 오목볼록형상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제23도의 구성은, 전극롤러(21)내에 설치된 자석(22)의 자석의 수 및 전극롤러(21)의 표면의 거칠기가 제9도의 구성과 다르다. 즉, 자석(22)의 자극의 수가 1개이고, 또 전극롤러(21)의 표면에 제2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미세한 홈을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장치에 대해서, 제23도를 사용해서 그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정전잠상유지체(14)는 코로나대전기(16) 및 그리드전극(17)(인가전압은 -6㎸, 그리드전극의 전압은 -500V)에 의해서 -500V로 대전되었다. 이 정전잠상유지체(14)에 레이저신호광(18)이 조사되고, 정전잠상이 형성되었다. 이때 정전잠상유지체(14)의 노광전위는 -100V였다. 현상제저장통(19)내에 있는 자성 1성분토너가 정전잠상유지체(14)내의 자석(15)의 자력에 의해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상에 부착된다. 다음에, 이 토너층이 부착한 정전잠상유지체(14)가, 전극롤러(21)의 앞을 통과했다. 고압전원(23)에 의해,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300V의 직류전압을 중첩한 750Vo-p의 교류전압(주파수 3㎑)의 파형이 전극롤러(21)에 인가되었다. 정전잠상유지체(14)상의 토너층은 정전잠상유지체(14)와 전극롤러(21)사이를 운동한다. 점차적으로, 정전잠상유지체(14)위의 비화상부의 토너는 전극롤러(21)쪽으로 이동하고,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는 화상부에만 양음극반전한 토너상이 남았다.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전극롤러(21)상에 부착한 토너는, 전극롤러(21)의 표면의 홈에 의해 강력한 마찰력을 받아, 미끄러지는 일없이 반송되고, 스크레이퍼(24)에 의해서 긁어내고, 현상제저장통(19)내에 복귀된다.
이와 같이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얻어진 토너상은, 전사코로나대전기(25)에 의해서 종이(도시생략)에 전사되었다. 그후, 정착기(도시생략)에 의해 열정착되고, 프린트된 화상이 얻어졌다.
한편, 전사후, 정전잠상유지체(14)상에 남은 토너는, 정전잠상유지체(14)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고, 클리너(26)에 의해 회수되었다. 그 결과, 바탕흐림이나 화상의 불균일등이 없는 샤프한 화상이 얻어졌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은 전극롤러의 표면이 토너 즉 현상제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수단을 가진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전극롤러와 토너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고, 토너는 미끄러지는 일없이 전극롤러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기 때문에, 토너의 회수능력은 상당히 향상되고, 또 미끄럼에 의한 반송의 불균일도 해소된다. 따라서, 전극롤러에 의해 회수된 저대전토너를 교류바이어스에 의한 진동영역으로부터 충분하게 또한 안정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고습조건이나 고속프로세스에서도, 바탕흐림이나 농도의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화질이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롤러(21)의 표면을 거칠기 Ra, 0.5이상이 되도록 블라스트가공하거나 또는 전극롤러(21)의 표면에 카본을 혼련한 우레탄도전성수지층을 형성하여도 되고, 전극롤러(21)표면의 토너에 대한 마찰력을 상당히 향상하고, 회수된 토너는 미끄러지는 일없이 반송되기 때문에, 바탕흐림이나 화상의 불균일이 없는 샤프한 화상이 얻어진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이때문에, 상기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예를 들면,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서로 자성이 다른 2자극의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수단을 가진 전자사진장치도 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전극롤러의 표면에 자성이 서로 다른 2자극의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전극롤러의 표면에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수단을 가진 전자사진장치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에 존재하는 변형예는, 모두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26)

  1. 자성현상제(20);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전잠상유지체(14);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진 위치에 설치되고, 현상부에서의 진행방향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전극롤러(21)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상기 자성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저장통(19)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상의 비화상부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해 교류전압을 상기 전극롤러에 인가하는 수단(23)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내부에 고정해서 설치되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전극롤러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부분인 상기 현상부의 근처에 있는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위치에 극성이 서로 다른 2자극을 발생시키는 제1자계발생수단(15)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정전잠상유지체 내부의 2자극중에서 1자극은 자석으로 구성되고, 다른 1자극은 자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3. 자성현상제(20)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전잠상유지체(14)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진 위치에 설치되고, 현상부에서의 진행방향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전극롤러(21)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상기 자성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저장통(19)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상의 비화상부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해 교류전압을 상기 전극롤러에 인가하는 수단(23)과; 상기 전극롤러의 내부에 고정해서 설치되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전극롤러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부분인 상기 현상부의 근처에 있는 상기 전극롤러의 표면위치에 극성이 서로 다른 2자극을 발생시키는 제2자계발생수단(22)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전극롤러내부의 2자극중에서 1자극은 자석으로 구성되고, 다른 1자극은 자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5. 자성현상제(20)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전잠상유지체(14)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진 위치에 설치되고, 현상부에서의 진행방향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전극롤러(21)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상기 자성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저장통(19)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상의 비화상부의 현상체를 제거하기 위해, 교류전압을 상기 전극롤러에 인가하는 수단(23)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내부에 고정해서 설치되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전극롤러사이에 대향하는 부분인 상기 현상부의 근처에 있는 상기 정전잠상유지체표면의 위치에 극성이 서로 다른 2자극을 발생시키는 제1자계발생수단(15)과; 상기 전극롤러의 내부에 고정해서 설치되고, 상기 전극롤러의 표면위치에 극성이 서로 다른 2자극을 발생시키는 제2자계발생수단(22)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정전잠상유지체내부의 2자극중에서 정전잠상유지체의 회전방향의 하류쪽에 있는 자극과, 전극롤러내부의 2자극중에서 전극롤러의 회전방향의 상류쪽에 있는 자극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전극롤러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대향하고, 또한 상기 두 자극이 서로 동일한 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정전잠상유지체내부의 2자극중에서 1자극은 자석으로 구성되고, 다른 1자극은 자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전극롤러내부의 2자극중에서 1자극은 자석으로 구성되고, 다른 1자극은 자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9. 자성현상제(20)와; 표면에 상기 현상제에 대한 마찰력을 크게 하는 수단을 가지고 또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전잠상유지체(14)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진 위치에 설치되고, 현상부에서의 진행방향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전극롤러(21)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상기 자성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저장통(19)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상의 비화상부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해 교류전압을 상기 전극롤러에 인가하는 수단(23)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내부에 고정해서 설치되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전극롤러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부분인 상기 현상부의 근처에 있는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위치에 극성이 서로 다른 2자극을 발생시키는 제1자계발생수단(15)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미세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이 0.5㎛이상의 조도를 가진 조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12. 자성현상제(20)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전잠상유지체(14)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진 위치에 설치되고, 현상부에서의 진행방향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표면에 상기 현상제에 대한 마찰력을 크게 하는 수단을 가진 전극롤러(21)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상기 자성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저장통(19)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상의 비화상부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해 교류전압을 상기 전극롤러에 인가하는 수단(23)과;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내부에 고정해서 설치되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전극롤러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부분인 상기 현상부의 근처에 있는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위치에 극성이 서로 다른 2자극을 발생시키는 제1자계발생수단(15)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전극롤러의 표면에 미세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전극롤러의 표면이 0.5㎛이상의 조도를 가진 조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이, 현상제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수단을 부가하여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전극롤러의 표면이 현상제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수단을 부가하여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17. 제5항에 있어서,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이, 현상제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수단을 부가하여 가지고, 또한 전극롤러의 표면이, 현상제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수단을 부가하여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계발생수단(15)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에, 상기 자성현상제(20)가 소정의 농도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1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자성현상제(20)중에서 비화상부의 현상제가, 상기 제2자계발생수단(22)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전극롤러(21)의 표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계발생수단(15)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에, 상기 자성현상제(20)가 소정의 농도로 부착되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자성현상제(20)중에서 비화상부의 현상제가, 상기 현상부에서, 상기 제2자계발생수단(22)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전극롤러(21)의 표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을 크게 하는 수단과 상기 제1자계발생수단(15)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에 부착되는 상기 현상제(20)의 상기 농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계발생수단(15)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에 부착되는 상기 현상제(20)의 상기 농도가 제어되고; 상기 마찰력을 크게 하는 수단에 의해, 상기 전극롤러(21)의 표면에 부착되는 상기 현상제(20)의 상기 농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23. (a) 자성현상제(20)와; (b)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전잠상유지체(14)와; (c)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에 대향하는 현상부에서,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현상부에서의 진행방향이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전극롤러(21)와; (d)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상기 자성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저장통(19)과; (e)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상의 비화상부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해 교류전압을 상기 전극롤러에 인가하는 수단(23)과; (f) 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내부에 고정하여 설치되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전극롤러사이에 대향하는 부분인 상기 현상부의 근방에 있는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제1자극을 발생시키는 제1자계발생수단(15)과, ② 상기 전극롤러의 내부에 고정하여 설치되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와 상기 전극롤러사이에 대향하는 부분인 상기 현상부의 근방에 있는 상기 전극롤러의 표면에 제2자극을 발생시키는 제2자극발생수단중에서 적어도 1개의 자극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에, 상기 자성현상제(20)가 소정의 농도로 부착되고; 상기 정전잠상유지체(14)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자성현상제(20)중에서 비화상부의 현상제가, 상기 현상부에서, 상기 전극롤러(21)의 표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계발생수단은, 상기 정전잠상유지체의 표면에 극성이 서로 상이한 2자극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사진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계발생수단은, 상기 전극롤러의 표면에 극성이 서로 상이한 2자극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잠상유지체 및 상기 전극롤러중에서 적어도 한쪽의 표면은, 상기 현상제에 대한 마찰력을 크게 하는 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장치.
KR1019940000277A 1993-01-13 1994-01-10 전자사진장치 KR0159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779 1993-01-13
JP5003779A JP3018805B2 (ja) 1993-01-13 1993-01-13 電子写真装置
JP93-16110 1993-02-03
JP05016110A JP3027892B2 (ja) 1993-02-03 1993-02-03 電子写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707A KR940018707A (ko) 1994-08-18
KR0159306B1 true KR0159306B1 (ko) 1999-03-20

Family

ID=2633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0277A KR0159306B1 (ko) 1993-01-13 1994-01-10 전자사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50619A (ko)
EP (1) EP0606901B1 (ko)
KR (1) KR0159306B1 (ko)
DE (1) DE6941372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5631A (ja) * 1998-08-31 2000-03-14 Canon Inc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89881B1 (en) * 2001-12-20 200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electrophotography and method for forming image using the same
KR20090075902A (ko) * 2008-01-07 2009-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8204413B2 (en) 2010-06-30 2012-06-19 Eastman Kodak Company Printing job with developer removal
US8315532B2 (en) 2010-06-30 2012-11-20 Eastman Kodak Company Reducing background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0929A (en) * 1973-02-15 1975-06-24 Xerox Corp Xerographic developing apparatus
US4018187A (en) * 1976-06-30 1977-04-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ooved magnetic brush roll
JPS5518657A (en) * 1978-07-28 1980-02-08 Canon Inc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JPS55105267A (en) * 1979-02-06 1980-08-12 Canon Inc Method and device for developing
JPS56104359A (en) * 1980-01-11 1981-08-20 Xerox Corp Electronic photography copier developing device
JPS59136737A (ja) * 1983-01-25 1984-08-06 Fuji Electric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JPS59193474A (ja) * 1983-04-18 1984-11-02 Hitachi Metals Ltd 現像装置
FR2555329B1 (fr) * 1983-11-17 1986-02-14 Cii Honeywell Bull Appareil de developpement d'images magnetiques latentes
JPS613153A (ja) * 1984-06-18 1986-01-09 Hitachi Ltd 現像方法
US4769676A (en) * 1986-03-04 1988-09-06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removing residual toner
US4829338A (en) * 1988-01-29 1989-05-09 Xerox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device with improved bead pickoff arrangement
JPH01239570A (ja) * 1988-03-20 1989-09-25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H0219877A (ja) * 1988-07-07 1990-01-23 Toshiba Corp 現像装置
JPH02187784A (ja) * 1989-01-17 1990-07-23 Casio Electron Mfg Co Ltd 感光体の表面処理方法と画像形成方法及びその感光体
US5138387A (en) * 1990-10-12 1992-08-11 Sanyo Electric Co., Ltd. Charge injectio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conductive and insulative tone
JP2627231B2 (ja) * 1990-11-16 1997-07-02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感光体用基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0509441B1 (en) * 1991-04-16 1996-09-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apparatus
DE69218689T2 (de) * 1991-07-26 1997-07-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ktrophotographisches Verfahren und Gerät hierfür
US5229825A (en) * 1991-12-02 1993-07-20 Eastman Kodak Company Magnetic brush laydown/pickup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13721T2 (de) 1999-02-25
DE69413721D1 (de) 1998-11-12
EP0606901A2 (en) 1994-07-20
KR940018707A (ko) 1994-08-18
US5550619A (en) 1996-08-27
EP0606901A3 (en) 1996-07-17
EP0606901B1 (en)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22390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and developing method thereof
EP0575068B1 (en) Developing device having a control electrode
KR0159306B1 (ko) 전자사진장치
US7184676B2 (en) Charg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4657374A (en) Development system for photoreceptor having surface potential and a large amount of charge
JP3018805B2 (ja) 電子写真装置
JP3027892B2 (ja) 電子写真装置
JP2001109230A (ja) 画像形成装置
JP2722973B2 (ja) 現像方法及びその装置
JP2528650B2 (ja) 現像装置
JPH05289594A (ja) 磁気ブラシクリーニング装置
JP2500915B2 (ja) 電子写真方法
JP2500887B2 (ja) 電子写真装置
JPH08240991A (ja) 電子写真方法および装置
JP2500908B2 (ja) 画像形成装置
JP2500912B2 (ja) 電子写真装置
JP2500910B2 (ja) 電子写真装置
JP2500911B2 (ja) 電子写真装置
JPH01101572A (ja) 電子写真方法
JP2000081821A (ja) 画像形成装置
JPH06175502A (ja) 電子写真装置
JPH0915936A (ja) 画像形成装置
JPH05241449A (ja) 電子写真装置
JPH0575113B2 (ko)
JPH07306568A (ja) 帯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