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082B1 - 자동거래 시스템과 그 거래방법 - Google Patents

자동거래 시스템과 그 거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082B1
KR0159082B1 KR1019870003523A KR870003523A KR0159082B1 KR 0159082 B1 KR0159082 B1 KR 0159082B1 KR 1019870003523 A KR1019870003523 A KR 1019870003523A KR 870003523 A KR870003523 A KR 870003523A KR 0159082 B1 KR0159082 B1 KR 0159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information
automatic
handling
automatic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452A (ko
Inventor
노리유끼 노무라
다까아끼 우찌노
Original Assignee
하시모도 나미오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8421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422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8421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42293A/ja
Application filed by 하시모도 나미오,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하시모도 나미오
Publication of KR87001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2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echanical identifiers
    • B60R25/2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echanical identifiers key in lock presence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거래 시스템과 그 거래방법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의한 자동거래 시스템의 상세를 표시한 블록도.
제2도는 자동거래장치의 외관구성을 표시한 사시도.
제3도는 터치패널의 상세를 표시한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시스템의 개략을 표시한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 시스템의 동작순서를 표시한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거래 시스템의 실시예를 표시한 기능 블록도.
제7도는 제6도에 있어서 각 자동거래장치의 외관을 표시한 사시도.
제8도는 자동거래장치에 조입된 터치패널의 초기화면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거리종류표시부 3 : 취급표시부
4 : 터치패널 5 : 총합제어장치
6 : 터미널 컨트롤러 7 : 공통제어부
8 : 취급표시회로 9 : 거래종류표시회로
10 : 조작안내표시회로 11 : 키제어회로
12 : 금고내 감시회로 16 : 거래제어회로
17 : 메모리 1',2',3' : 자동거래장치
4' : 총합제어장치 13',20',29' : 공통제어부
15',22',31' : 전원온/오프회로 33' : 장해제어회로
34' : 메모리
본 발명은 복수의 거래를 취급하는 자동거래장치를 복수로 비치한 자동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시스템으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이 실시되었지만, 예를 들면 다음에서와 같은 것이 있다.
이 시스템은 자동거래장치마다 금고를 장비하고, 이 금고가 지폐에 의하여 거의 충만된 경우(이하, 지폐 니어풀이라고 칭함) 또는 지폐가 거의 없게 된 경우(이하 지폐 니어앤드라고 칭함)에는, 그 자동거래장치의 입금 또는 출금거래가 취급정지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었다. 이 취급정지상태의 입금 또는 출금거래의 재개는 담당자가 금고 내의 지폐수납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실시된다. 그 때문에 거래가 정지할 때마다 금고 내의 지폐수납량을 조정하여야만 하므로 인력 효율면에서 결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 결정을 대처하기 위하여 입금된 지폐를 출금용 지폐로 재이용할 수 있는 소위 순환식 자동거래장치를 복수로 배치한 시스템에 제안되고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지폐 니어풀 또는 지폐 니어앤드에 의하여 입금 또는 출금거래의 한쪽이 정지되었을 때, 다른쪽을 그대로 계속시키는 것에 의하여 금고내의 지폐를 감소 또는 증가시켜서 상기 정지된 거래를 자동적으로 재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순환식 자동거래장치를 비치한 시스템에 있어서도 고객의 자연적 흐름에 의하여 금고 내의 상황을 완화하고 있으므로 금고 내 상황에 따라 정지된 거래의 재개에 다대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운용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금고 내의 상황에 따라 정지된 거래를 최소의 시간으로 재개시켜서 운용효율을 향상시킨 자동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자동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각 자동거래장치에 설치되며 입출금거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이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정보를 수납하는 기억수단과, 자동거래장치의 입출금거래정보에 기인하여 다른 자동거래장치의 입출금거래의 변경을 제어하는 거래제어수단을 보유하는 총합제어장치를 구비함을 요지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금고 내의 지폐의 니어풀 또는 니어앤드에 의하여 하나의 자동거래장치의 입금 또는 출금거래가 정지된 경우, 우선 출력수단은 정지된 입금 또는 출금거래의 정보를 종합제어장치의 거래제어수단에 출력한다. 이 거래제어수단은 출력수단에서 출력된 거래정지의 정보 및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각 자동거래장치의 입출금거래에 관한 정보에 기인하여 계속되고 있는 거래와 동일 종류의 거래를 정지할 수 있는 다른 자동거래장치를 선정하고, 선정한 자동거래장치의 상기 동일 종류의 거래를 정지시킨다. 그 결과, 상기 하나의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는 금고 내의 지폐의 감소 또는 증가가 촉진되고, 정지된 입금 또는 출금거래가 최소의 시간으로 재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융기관 등에 설치되는 복수대의 자동거래장치를 총합관리하여 운용하는 자동거래 시스템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거래장치에 장해가 발생하여 그 장해의 부위에 대응하는 거래의 취급이 정지된 경우의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 자동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공소 56-53787호 공보에 공시된 기술과 같이 1대의 자동거래장치 내에 있어 어느 부위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 그 부위에 의하여 진행되던 거래의 취급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이 취급정지를 이용객에 대하여 표시하는 것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런데, 근자에 있어서는 자동거래 시스템의 휴일운용 또는 야간운용 등 금융기관 등이 무인상태에서 자동거래 시스템을 운용하는 것이 실시되고 이와 같은 무인운용하는 경우는 금후도 증가될 것으로 고려되지만, 이 경우 자동거래장치의 효율적인 운용 및 이용율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자동거래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든 자동거래장치를 가동하지 않고, 몇 대의 자동거래장치를 선택하여 가동한다는 운용형태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거래 시스템에서는 가동중의 자동거래장치의 어느 부위에 장해가 발생하여 그 부위에 의하여 진행되고 있던 거래의 취급이 정지된 경우, 이것과 동종의 거래를 다른 가동되고 있지 않은 자동거래장치에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렇지 않은지의 판단 및 그 가동되지 않은 자동거래장치의 가동개시는 전부 금융기관 등의 시스템을 운용하는 측의 담당자에 위임되어 있고, 따라서, 무인운용시에는 상기의 정지된 거래를 다른 가동되고 있지 않은 자동거래장치에서 취급할 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의 이용객은 그 거래를 할 수가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무인운용시의 거래의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가동중의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장해발생에 의하여 어느 거래의 취급이 정지된 경우에도 다른 가동되고 있지 않은 자동거래장치를 가동시켜서 취급이 정지된 거래와 동종의 거래의 취급을 자동적으로 개시할 수가 있고 무인운용시의 거래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는 자동거래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든 자동거래장치에 거래의 종류마다 그 취급에 관한 정보를 해당 장치가 가동정지인지 아닌지의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수단 및 부여된 지시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온/오프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각 정보를 비축하는 기억수단과, 각 자동거래장치의 장해발생에 대한 판단을 하고, 또한 그 장해발생에 대한 지시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을 보유하는 총합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서는 가동중의 자동거래장치의 상기 수단에 의하여 장해발생으로 어느 거래의 취급을 정지하였다는 정보가 출력되고 그 정보가 총합제어장치에 송치되면 이 총합제어장치의 상기 수단이 상기 기억수단에 비축된 정보에서 상기 취급정지로 된 거래와 동종의 거래가 가동되고 있지 않은 다른 자동거래장치에 의하여 취급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고 취급가능한 자동취급장치에 대하여 전원 온의 지시 및 상기 거래의 취급개시의 정보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자동거래장치가 가동하고, 상기한 거래의 취급이 개시된다. 따라서, 이것에 의하면 종래의 문제가 해소되며 무인운용시에 자동거래장치에 장해가 발생하여도 거래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게 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거래 시스템의 거래방법은, 적어도 한 종류의 거래를 하는 기능을 보유하는 동시에 장해가 발생된 부위에 의해 실행되었던 거래의 취급만을 개별적으로 정지시키는 기능을 가진 복수개의 자동거래장치를 구비한 자동거래 시스템의 거래방법에 있어서, 송수신수단, 기억수단 및 장해제어수단을 가지는 총합제어장치를 자동거래장치에 접속하고, 가동중의 자동거래장치에서 장해발생에 의해 거래의 취급이 정지된다는 정보를 총합제어장치로 보내는 스템과, 총합제어장치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해서 취급정지로 된 거래와 동종류의 거래가 가동되어 있지 않은 다른 자동거래장치에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는 스텝과, 총합제어장치에서 취급가능한 자동거래장치에 대해 전원 온을 지시하는 정보 및 거래의 취급개시의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른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의 자동거래장치의 외관구성을 표시한 사시도이다. 자동거래장치는 소위 순환식 장치이고 조작패널(1) 상부에 거래종류표시부(2)와 취급표시부(3)가 설치되고 조작패널(1)의 하부에 터치패널(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거래종류표시부(2)는 취급가능한 거래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이고, 취급표시부(3)는 거래가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고 모든 거래가 취급정지된 때에만 취급중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터치패널(4)은 최초,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초기화면이 표시되고 거래종류나 거래금액 등의 거래내용을 입력하는 키부(4a)와, 고객에 대한 조작안내를 표시하는 표시부(4b)를 겸비하고 있다.
제4도는 상기 자동거래장치를 복수로 비치한 이 시스템의 개략을 표시한 블록도이다. 이 시스템은 상기 자동거래장치 A,B---를 복수로 비치하고 이들 장치 A,B---는 각각 총합제어장치(5)와 터미널 컨트롤러(6)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총합제어장치(5)는 금고의 상황에 따라 출금 또는 입금거래가 정지되었다는 자동거래장치 A,B로부터의 정보에 기인하여 다른 자동거래장치 A,B---에 거래종류의 변경명령을 출력하는 것이다. 터미널 컨트롤러(6)는 각 자동거래장치 A,B---와 센터의 호스트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거래 데이터를 접수하기 위하여 통신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1도는 상기 시스템의 요부를 상세하게 표시한 블록도이다.
각 자동거래장치 A,B---는 공통제어부(7)를 구비하고 이 공통제어부(7)에는 취급표시회로(8), 거래종류표시회로(9), 조작안내표시회로(10), 키제어회로(11), 금고내 감시회로(12) 및 기다른 구성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취급표시회로(8)는 제2도의 취급표시부(3)에 취급중 또는 취급중지를 표시하는 것이고, 거래종류표시회로(9)는 제2도의 거래종류표시부(2)에 거래종류를 표시하는 것이고, 조작안내표시회로(10)는 제3도의 터치패널(4)의 표시부(4b)에 고객에 대한 조작안내 등을 표시하는 것이고, 키제어회로(11)는 제3도의 터치패널(4)의 키부(4a)의 제어를 하는 것이고, 금고 내 감시회로(12)는 지폐 니어풀 또는 지폐 니어앤드를 검출하여 금고 내의 상황을 감시하는 것이다. 또, 공통제어부(7)는 상기 각 회로(8,9,10,11,12)의 제어를 하는 동시에 금고 내의 상황에 의하여 출금 또는 입금거래가 정지된 경우에 정지된 입금거래를 표시한 정보를 총합제어장치(5)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 공통제어부(7)에 송수신회로(13)가 접속되고, 이 송수신회로(13)는 공통제어부(7)에서의 데이터를 총합제어장치(5)로 송신하는 동시에 당해장치(5)에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 장치(5)는 송수신회로(15), 거래제어회로(16) 및 메모리(17)로 구성된다. 송수신회로(15)는 거래제어회로(16) 및 메모리(17)에서의 데이터를 자동거래장치 A,B---에 송신하는 동시에 이 장치 A,B---에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 거래제어회로(16)는 개개의 자동거래장치 A,B---에서 송신되어 오는 상기 정보에 기인하여 다른 자동거래장치 A,B에 대하여 거래종류의 변경명령을 출력하는 것이다.
메모리(17)는 예를 들면 표 1과 같이 개개의 자동거래장치 A,B---의 각 거래 종류가 취급중인가, 정지중인가, 또, 정지되어 있을 경우, 다시 개시할 수 있는가에 대한 데이터를 수납하는 것이다.
Figure kpo00002
다음에, 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개개의 자동거래장치 A,B---의 공통제어부(7)는 취급중의 입금거래가 정지될 때, 그 정지가 금고 내의 상황에 따라 지폐 니어풀인가, 지폐 니어앤드인가, 또는 운용자에 의한 것인가 등의 정보를 부가하여 거래정지 정보를 송수신회로(13)를 통하여 총합제어장치(5)로 출력한다. 총합제어장치(5)에서는 지폐 니어풀인가, 지폐 니어앤드인가 또는 운용자에 의한 것인가 등을 부가한 이 정보를 메모리(17)에 표 1와 같은 테이블로 수납한다. 금고 내 상황이 완화될 때, 그 정보도 동일하게 메모리(17)에 수납한다. 여기에서 자동거래장치(A)가 지폐 니오풀이 되었을 경우, 자동거래장치(A)의 공통제어부(7)는 거래종류표시회로(9)에 대하여 거래종류표시부(2)의 표시의 변경을 하도록 지시를 출력한다. 또, 자동거래장치(A)의 공통제어부(7)는 조작안내표시회로(10)에 대하여 터치패널(4)의 초기화면 표시를 변경하도록 지시를 출력함과 동시에 키제어회로(11)에 대하여 터치패널(4)의 표시화면의 변경에 맞춰 접수하는 키의 변경을 하도록 지시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거래변경의 처리를 한 후에 상기 공통제어부(7)는 총합제어장치(5)에 대하여 지폐 니어풀에 의하여 입금거래가 정지되었음이라는 정보를 출력한다.
총합제어장치(5)에서는 거래제어회로(16)는 제5도에 표시한 흐름도에 따라서 처리를 한다. 제5도는 지폐 니어풀에 의하여 입금거래가 정지되었음이라는 정보를 입력할 때의 총합제어장치의 동작을 표시한 흐름도이다. 정지된 입금거래를 표시한 정보가 자동거래장치에서 총합제어장치(5)에 출력되면 총합제어장치(5)는 출금거래를 그대로 계속시킴과 동시에 입금거래가 가능한 자동거래장치가 있는가 어떠한가를 판단한다. 입금거래가 가능한 자동거래장치가 있는 경우, 해당 장치중 1대의 출금거래를 정지하고 입금거래를 그대로 계속한다. 이것에 의하여 고객의 흐름이 변경되어 입금거래가 정지된 자동거래장치의 출금거래의 회수가 증대하고 금고 내의 상황이 신속하게 완화된다. 입금 거래가 가능한 자동거래장치가 없을 경우, 출금거래만을 계속한다. 이어서 설정시간마다 입금거래의 개시가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가능했을 때, 정지된 입금거래를 개시한다. 가능하지 않을 때, 상기 스텝을 반복한다. 지폐 니어앤드의 경우도 상기와 동일한 동작순서에 따라 처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로 변경이 물론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총합제어장치를 어느 것인가의 자동거래장치의 내부 또는 터미널 컨트롤러의 내부에 조입하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총합제어장치 내의 메모리에 자동거래장치의 거래상황을 표시한 데이터를 수납하고 있었지만, 이 데이터를 개개의 자동거래장치 내의 메모리에 수납하고, 필요에 따라 총합제어장치로 전달한다는 수단도 가능하다. 상기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자동거래장치의 입금 또는 출금의 거래가 금고 내의 상황에 따라 정지하면 다른 자동거래장치의 입출금거래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고객의 흐름이 빨라지고 지폐의 수납량의 증대와 감소가 촉진된다. 그 결과, 금고내의 상황이 신속하게 완화되어 정지되었던 입금 또는 출금거래가 최소 시간으로 재개되어 운용효율이 향상된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거래 시스템의 실시예를 표시한 기능 블록도이고, 제7도는 제6도에 있어 각 자동거래장치의 외관을 표시한 사시도이다.
제6도에 있어서, 1', 2' 및 3'은 각각 자동거래장치이고 구체적으로 말하면 1'은 입금, 지불, 기장, 불입, 및 조회 등의 각 거래를 취급할 수 있는 소위 ATM이라고 호칭되는 범용기, 2'는 기장거래만을 취급하는 기장기, 3'은 지불 및 조회거래를 취급하는 지불기이다. 또한, 4'는 이들 각 자동거래장치 1'∼3'을 총합적으로 제어하는 총합제어장치, 5'는 각 자동거래장치 1'∼3'과 도시하지 않은 센터의 호스트 컴퓨터와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터미널 컨트롤러이다. 여기에서 각 자동거래장치 1'∼3' 즉, 범용기(1'), 기장기(2') 및 지불기(3')와, 총합제어장치(4')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범용기(1')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정면부에 현재 취급중인 거래의 종류를 램프의 점멸에 의하여 표시하는 거래종류표시부(6')와, 모든 거래의 취급의 정지되었을 때에 취급중지를 표시하는 취급표시부(7') 및 이용객이 거래종류나 거래금액 등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부와 이용객에 대하여 조작안내 등의 표시를 하기 위한 표시부를 겸한 터치패널(81)이 설치되어 있는 외에 입금구, 지불구, 통상삽입구 및 카드삽입구 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범용기(1') 내부에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래종류표시부(6')의 각 램프의 점등, 소등 등을 하는 거래종류표시회로(9'), 상기 취급표시부(7')에 취급중 또는 취급중지의 표시를 하게 하는 취급표시회로(10'), 상기 터치패널(8')의 표시부에 이용객에 대한 조작안내 등을 표시하는 조작안내표시회로(11'), 동일하게 터치패널(8')의 키부를 제어하는 키제어부(12'), 이들 10', 11'과 기내의 타구성부위를 제어하는 기능이 있는 동시에 장해발생시에 그 정보를 총합제어장치(4')에 출력하는 수단을 가진 공통제어부(13'), 상기 총합제어장치(4') 및 터미널 컨트롤러(5') 사이의 통신을 하기 위한 송수신회로(14') 및 총합제어장치(4')에서의 지령신호에 따라 범용기(1')의 전원을 자기가 온/오프하는 전원 온/오프 회로(15')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기장기(2')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정면부에 취급표시부(16'), 조작안내를 하기 위한 조작안내판(17')이 설치되어 있는 외에 통장삽입구 등이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범용기(1')에 있어 10'과 동일한 취급표시회로(18'), 상기 조작 안내판(17')을 조작안내를 표시시키는 조작안내표시회로(19') 및 상기 범용기에 있어 13', 14' 및 15'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공통제어부(20'), 송수신회로(21') 및 전원 온/오프회로(22')등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지불기(3')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정면부에 취급표시부(23'), 조작안내판(24') 및 이용객이 거래종류나 거래금액 등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25') 외에 카드 삽입구, 통상 삽입구 등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범용기(1') 또는 기장기(2')에 있어서 10'∼15' 또는 18'∼22'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취급표시회로(26'), 조작안내표시회로(27'), 키제어부(28'), 공통제어부(29'), 송수신회로(30') 및 전원 온/오프 회로(31')가 구비되어 있다.
더우기, 총합제어장치(4')에는 상기 범용기(1'), 기장기(2') 및 지불기(3')와 이들 사이의 통신을 하는 송수신회로(32')와 이들 범용기(1'), 기장기(2') 또는 지불기(3')에서 송신되는 장해정보를 해독하고 그 장해를 판단하여 필요한 지시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을 보유함과 동시에 하기 메모리에 정보를 해독하고 그 장해를 판단하여 필요한 지시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을 보유함과 동시에 하기 메모리에 정보를 기입하는 기능을 가진 장해제어회로(33')와 상기 각기 1'∼3'에 있어 거래의 종류마다 그 취급에 관한 정보를 가동중인가 아닌가의 정보와 함께 비축하는 메모리(341)가 설치되어 있다.
제8도는 상기 범용기(1')에 있어 터치패널(8')의 초기화면 표시도로서 도면중 8'a는 이용객에 대하여 조작안내를 표시한 표시부, 8'b는 거래의 종류를 입력하기 위한 키부이고 다음에 이 제3도와 함께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제6도 및 제7도에 있어서, 범용기(1')만이 그 전원 온/오프 회로(15')가 온으로 되어 있어 가동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기장기(2') 및 지불기(3')는 각각 전원 온/오프회로(22',31')가 오프로 되어 가동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또한, 이때, 범용기(1')에서 진행되는 거래는 전부 취급가능으로 하고, 기장기(2') 및 지불기(3')에서 진행되는 거래도 전부 취급가능으로 한 경우, 총합제어장치(4')의 메모리(34')에는 범용기(1'), 기장기(2'), 지불기(3')의 각 거래의 취급에 관한 정보가 예를 들면, 하기의 1'에 표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비축된다.
Figure kpo00003
이들 정보는 범용기(1'), 기장기(2') 및 지불기(3')의 각각의 공통제어부(13',20',29')에서 미리 송수신회로(14',21',30')를 통하여 총합제어장치(4')의 송수신회로(32')에 출력되고 장해제어회로(33')에 의하여 메모리(34')에 기입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기장기(2') 및 지불기(3')의 거래의 가동정지는 이들을 운용하는 측의 담당자에 의하여 실행되지만 상기 공통제어부(13',20',29')는 그 정보는 부가하여 출력한다. 즉, 자동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무인운용의 경우, 시스템 내에 포함되는 자동거래장치(범용기, 기장기, 지불기 등)중 가동하는 것과 가동하지 않는 것이 있고, 가동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운용하는 측의 담당자에 의하여 가동이 정지되므로서 거래의 종류마다 취급중인가 아닌가의 정보와 함께 취급정지의 경우, 그것이 장해에 의한 것인가 가동정지에 의한 것인가라는 정보가 상기 공통제어부(13',20',29')에 의하여 출력되고, 각 송수신회로(14',21',30')에서 총합제어장치(4')의 송수신회로(32')에 송신돈다. 이것에 의하여 총합제어장치(4')에서는 장해제어회로(331)에 의하여 장해에 의한 정지의 경우는 취급개시불가능, 또한 가동정지의 경우는 취급불가능이라고 판단하고 이 정보를 상기 취급중인가 아닌가의 정보와 함께 메모리(34')에 상기 제1'의 형태로 비축한다. 상술한 상태에서 시스템이 무인운용되어 운용중에 가동되고 있는 범용기(1')의 예를 들어 기장거래가 장해발생에 의하여 거래불가능으로 되었다고 하면, 범용기(1')의 공통제어부(13')는 기장거래를 하는 부위의 동작을 정지시켜 동시에 거래종류표시회로(9)에 대하여 거래종류표시부(6')의 표시변경을 하도록 지시신호를 출력하고, 또 조작안내표시회로(11')에 대하여 제3도에 도시한 터치패널(8')의 초기화면의 내용을 변경하도록 지시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키제어부(12')에 대하여서는 상기 터치패널(8')의 표시내용의 변경에 맞춰 접수하는 키의 변경을 하도록 지시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거래종류표시회로(9')는 거래종류표시부(6')의 기장거래라는 표시에 대응하는 램프를 소등하고 또한 조작안내표시회로(11')는 터치패널(8')의 키부(8'b)에 있어 통장기입의 내용을 소거하는 동시에 키제어부(12')는 통장기입의 키를 무효로 한다. 이와같이 하여 장해에 대한 처리가 실시되면 상기 공통제어부(13')는 장해발생에 의하여 기장거래가 정지되었다는 정보를 출력하고, 이 정보가 송수신회로(14')를 통하여 총합제어장치(4')의 송수신회로(32')로 송신되면 총합제어장치(4')에서는 다음처리가 진행한다. 즉, 송수신회로(32')에 송치된 정보는 장해제어회로(33')에 전송되고, 이것에 의하여 장해제어회로(33')는 상기 정보를 해독하며 메모리(34')에 비축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고 이것에 기인하여 기장기(2')가 가동되고 있는가 아닌가 및 기장거래가 취급가능한가를 판단하여 가동이 정지되고는 있지만 취급이 가능하면 기장기(2')에 기장거래를 개시시키는 지시 정보를 송수신회로(32')를 통하여 기장기(2')의 송수신회로(21')에 출력함과 동시에 기장기(2')의 전원 온/오프회로(22')에 전원을 온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지시를 보낸다.
그리고, 장해제어회로(33')는 범용기(1')의 기장거래가 정지되며 이 취급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메모리(34')에 비축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기장기(2')의 가동이 개시됨과 동시에 공통제어부(20')가 취급표시회로(18')에 대하여 취급표시부(16')의 표시를 취급중지에서 취급중으로 변경하도록 지시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조작안내표시회로(19)에 대하여 조작안내판(17')에서 초기표시를 하도록 지시신호를 출력하고, 이것에 기인하여 취급표시부(16')의 표시변경 및 조작안내판(17')의 초기표시를 수행함으로써 이용객에 대하여 기장기(2')에 의하여 기장거래가 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린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상기 공통제어부(20')에서 기장거래개시의 정보가 송수신회로(21')를 통하여 총합제어장치(4')의 송수신회로(32')에 출력되고 메모리(34')에 비축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외에도 동일한 처리를 여러가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범용기(1')에 있어서는 지불거래 또는 조회거래가 장해발생에 의하여 취급정지로 된 경우에는 상기와 동일한 순서로 지불기(3')를 자동적으로 가동하여 지불거래 또는 조회거래의 취급을 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자동거래장치로서 범용기(1), 기장기(2') 및 지불기(3')가 각각 1대씩 사용되는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이들 대수는 임의로 조합하면 되고 또 입금기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범용기(1')가 2대 이상이라면 가동중의 범용기(1')로 장해발생에 의하여 입금거래, 불입거래 또는 이체거래 등이 취급정지로 된 경우에도 다른 범용기(1')를 자동적으로 가동시켜서 이들의 거래의 취급을 개시할 수 있음을 당연한 것이다.
더우기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총합제어장치(4')를 1개의 독립된 장치로 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 총합제어장치(4')를 시스템 내의 범용기(1), 기장기(2'), 지불기(3') 또는 터미널 컨트롤러(5')의 어느 것인가의 내부에 조립하여 구성하여도 동일한 처리를 할 수 있고, 더욱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총합제어장치(4') 내의 메모리(34')에 범용기(1), 기장기(2'), 지불기(3') 즉, 시스템에 포함되는 자동거래장치의 모든 거래의 취급에 관한 정보를 비축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들의 정보를 개개의 자동거래장치측에 보유시켜서 필요한 때에 총합제어장치(4')로 이송하도록 하여도 동일한 처리를 할 수 있게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중인 자동거래장치에서 장해발생에 의해 어느 거래의 취급이 정지되었다는 정보가 총합제어장치에 이송되면, 이 총합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취급정지로 된 거래와 동종의 거래를 다른 가동되고 있지 않은 자동거래장치에서 취급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함과 동시에 취급가능한 자동거래장치에 대하여 전원 온의 지시 및 상기 거래의 취급개시의 정보를 출력하여 가동되고 있지 않은 자동거래장치의 가동 및 거래의 취급을 자동적으로 개시할 수 있도록 되어서 장해발생으로 어느 거래가 정지되더라도 종래와 같이 거래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고 휴일운용이나 야간운용 등 무인운용을 할 경우에 대단히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입금된 지폐 및 출금용의 지폐를 수납하는 금고를 보유하고; 이 금고 내의 지폐의 니어풀 또는 니어엔드를 검출했을 때, 입금 또는 출금의 한쪽의 거래를 정지시켜 다른쪽의 거래를 그대로 계속시키는 복수개의 자동거래장치를 구비한 자동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입출금 거래에 관한 정보를 송신함과 동시에, 입출금 거래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수단(13)을 각 자동거래장치에 구비하고; 상기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15)과, 상기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17)과, 자동거래장치의 입출금 거래정보에 의거해서 다른 자동거래장치의 입출력 거래의 변경을 제어하는 거래제어수단(16)을 가지는 총합제어장치(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처리 시스템.
  2. 적어도 한 종류의 거래를 하는 기능을 보유하는 동시에 장해가 발생된 부위에 의해 실행되었던 거래의 취급만을 개별적으로 정지시키는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자동거래장치를 구비한 자동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거래 종류마다 그 거래에 관한 정보 및 해당장치가 가동정지인지 아닌지에 대한 정보를 송신함과 동시에 전원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수단(14',21',30')과, 이 전원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정보에 따라서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온/오프 수단(15',22',31')을 각 자동거래장치에 구비하고; 상기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32')과, 상기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34')과, 각 자동거래장치의 장해발생에 대한 판단을 행하고, 그 장해발생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장해발생기수단(33')을 가지는 총합제어장치(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 시스템.
  3. 적어도 한 종류의 거래를 하는 기능을 보유하는 동시에 장해가 발생된 부위에 의해 실행되었던 거래의 취급만을 개별적으로 정지시키는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자동거래장치를 구비한 자동거래 시스템의 거래방법에 있어서, 송수신수단, 기억수단 및 장해제어수단을 가지는 총합제어장치를 자동거래장치에 접속하고; 가동중의 자동거래장치에서 장해발생에 의해 거래의 취급이 정지된다는 정보를 총합제어장치로 보내는 스텝과; 총합제어장치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해서 취급정지로 된 거래와 동종류의 거래가 가동되어 있지 않은 다른 자동거래장치에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는 스텝과; 총합제어장치에서 취급가능한 자동거래장치에 대해 전원 온을 지시하는 정보 및 거래의 취급개시의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 시스템의 거래방법.
KR1019870003523A 1986-04-14 1987-04-13 자동거래 시스템과 그 거래방법 KR0159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217 1986-04-14
JP61-84217 1986-04-14
JP84215 1986-04-14
JP61084217A JPS62242294A (ja) 1986-04-14 1986-04-14 自動取引システム
JP61-84215 1986-04-14
JP61084215A JPS62242293A (ja) 1986-04-14 1986-04-14 自動取引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452A KR870010452A (ko) 1987-11-30
KR0159082B1 true KR0159082B1 (ko) 1999-02-18

Family

ID=6846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523A KR0159082B1 (ko) 1986-04-14 1987-04-13 자동거래 시스템과 그 거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90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452A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7827B2 (ko)
KR0159082B1 (ko) 자동거래 시스템과 그 거래방법
JP2868843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
JP5100404B2 (ja) 取引処理装置
JPH034949B2 (ko)
JP2901287B2 (ja) 自動振込処理システム
JPH04362777A (ja) 自動取引システム
JPS62232069A (ja) 自動取引制御システム
JPH0896057A (ja) 取引処理装置
JPH10261167A (ja) 自動取引装置の運用管理システムと自動取引装置の運用管理方法
CN112035073A (zh) 一种银行业务处理方法及系统
JPS63101990A (ja) 自動取引システム
JPH0916823A (ja) 作業管理装置
JPS61241869A (ja) オンライン端末装置における取引制御方式
JP2000339516A (ja) 顧客誘導システム
JPS63149762A (ja) デ−タ伝送装置
JPS63204369A (ja) 取引処理装置
JPS61169964A (ja) 自動取引装置
JPH1069564A (ja) 自動取引装置
JPS58222372A (ja) 金銭出納装置
JP2004054351A (ja) 係員操作装置
JPH0737009A (ja) 取引システム
JPH08249400A (ja) 操作端末装置
JPH0463426B2 (ko)
JP2000163633A (ja) 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