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724B1 - 흡입관층을 갖는 제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입관층을 갖는 제품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724B1
KR0153724B1 KR1019960012887A KR19960012887A KR0153724B1 KR 0153724 B1 KR0153724 B1 KR 0153724B1 KR 1019960012887 A KR1019960012887 A KR 1019960012887A KR 19960012887 A KR19960012887 A KR 19960012887A KR 0153724 B1 KR0153724 B1 KR 015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tube
suction
sheet
layer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2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281A (ko
Inventor
가와이 히데아키
가와이 히데파루
Original Assignee
타헤이 사우노보리
데이코쿠 잉크 세이조우 가부시키카이샤
가와이 히데아키
유겐가이샤 쥬시인사쯔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1371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9429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503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7820B2/ja
Application filed by 타헤이 사우노보리, 데이코쿠 잉크 세이조우 가부시키카이샤, 가와이 히데아키, 유겐가이샤 쥬시인사쯔샤 filed Critical 타헤이 사우노보리
Publication of KR960037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45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film forming compositions cured by mechanical wave energy, e.g. ultrasonics, cured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or cur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e.g. electric discharge, plasm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쉬트형 또는 비쉬트형 제품은 인쇄된 흡입관층을 포함한다. 흡입관층은 다수의 흡입관을 포함하는 소정의 흡입관 패턴을 갖는다. 각 흡입관은 흡입관으로서 흡착작용을 하도록 한 형상을 갖는다. 제품은 접착제등 사용함이 없이 흡입관층에 의하여 게시판, 창유리등의 소정의 부재에 부착할 수가 있다. 흡입관층은 주성분으로서 소정의 합성수지와 반응성 경화제, 가소제, 첨가제, 용매등을 혼합하여 제조된 자외선 반응성 경화형 잉크 또는 2개의 액체 반응성 경화형 잉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흡입관층을 갖는 제품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쉬트형(sheet-like)제품을 인쇄된 흡입관층(sucker layer)을 갖는 그 부착면의 측면에서 보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쉬트형 제품의 측단면도.
제3도는 굽은면(curved-surface) 인쇄방법을 사용하여 쉬트형 부재상에 흡입관층을 인쇄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제4도는 제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자외선 조사를 사용하여 인쇄된 자외선 반응 경화형 잉크를 경화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제5도는 제1 또는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경에 따라, 인쇄된 흡입관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폐막이 부착된 쉬트형 제품의 측단면도.
제7도는 인쇄된 흡입관층을 금형에 적용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쉬트형 제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비쉬트형 제품의 측단면도.
제9도는 제7도에 도시한 비쉬트형 제품을 인쇄된 흡입관층을 갖는 그 부착면의 측면에서 도시한 평면도.
제10도는 제3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금형상에 흡입관층을 인쇄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제11도는 일본특허 제 90930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인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제12도는 인쇄될 흡입관층의 흡입한 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
제13도는 인쇄될 흡입관층의 흡입관 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
본 발명은 접착제등을 사용함이 없이 게시판, 창유리 또는 테이블등의 소정의 부재에 제품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인쇄된 흡입관층을 갖는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게시판 또는 창유리등의 소정의 부재에 포스터, 라벨, 차양막 또는 유리분산방지막등의 쉬트형 부재를 점착시키는 경우에, 쉬트형 부재가 첨착될 수 있는 소정의 부재의 부분에 접착제를 미리 바르거나, 쉬트형 부재 자체에 접착제를 미리 바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어느 경우에도, 사용후에 쉬트형 부재를 소정의 부재에서 떼어놓는 경우에는, 접착제의 흔적이 소정의 부재에 남을 수도 있고, 또는 이들 사이의 분리시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소정의 부재가 손상될 수도 있다. 더우기, 분리후에 쉬트형 부재를 재사용하는 것이 실용상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결점은 용기, 병, 케비넷, 실험부품, 표시판 또는 기타 일상용품등의 비쉬트형 부재를 테이블등의 소정의 부재에 점착된 것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알고있는 바와같이, 이 경우에는 분리의 어려움도 제기되므로, 접착제의 흔적이 소정의 부재에 남거나 비쉬트형 부재와 소정의 부재 모두 손상될 수도 있다.
소정의 부재에 대하여 비쉬트형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비쉬트형 부재상에 플레이트(plate) 자석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소정의 부재를 유리, 알루미늄등의 비철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 때, 그 사이의 인력이 불가능하다. 더우기, 그 근처에 정밀기 또는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석의 자화로 인해 고장이 발생될 수가 있다.
일본특허공보 제 7-4909호(일본 특허공개 제 6-238845호)에는 흡입관층을 갖는 쉬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서는, 염화폴리비닐수지를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에틸케톤의 혼합용매로 용해하여 재료를 얻고나서, 유연성과 브드러움감을 조절하기 위해 가소제를 첨가하여 흡입관층의 재료로서 잉크재료를 얻는다. 이어서, 얻어진 잉크재료를 사용하여 스크린 인쇄등을 달성함으로써, 흡입관 패턴을 베이스 쉬트상에 인쇄한다. 그 다음에, 건조처리에 의하여, 흡입관층을 베이스 쉬트에 소정하여 흡입관층을 갖는 쉬트를 얻는다.
그러나, 이 공보에서는, 흡입관재료가 해로운 각종 유기용매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악취를 포함하는 환경오염이 제조과정에서 문제로 되고 있다.
더우기, 흡입관층이 두꺼운 벽의 패드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관층의 인쇄시에, 다량의 잉크재료, 즉 통상의 인쇄와 비교하여 약 20~50배가 요구된다. 그래서, 흡입관층을 고정하는 건조처리에 장시간이 요구된다. 더우기, 이 공보에는 비쉬트형 부재상에 흡입관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교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흡입관층을 갖는 쉬트형 또는 비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의하면, 쉬트형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흡입관으로서 흡착작용을 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 적어도 1개의 흡착관을 포함하는 소정의 흡입관패턴을 갖는 부드럽고 유연한 흡입관층을 자외선 반응 경화형 잉크를 사용하여 쉬트형 부재상에 인쇄하는 단계,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해 흡입관층을 반응경화를 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제조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의하면, 쉬트형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흡입관으로서 흡착작용을 하도록 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관을 포함하는 소정의 흡입관 패턴을 갖는 부드럽고 유연한 흡입관층을 2개의 액체 반응 경화형 잉크를 사용하여 쉬트형 부재상에 인쇄하는 단계, 및 2개의 액체반응 경화처리에 의해 흡입관층을 반응경화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제조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의하면, 비쉬트형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흡입관으로서 흡착작용을 하도록 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관을 포함하는 소정의 흡입관 패턴을 갖는 부드럽고 유연한 흡입관층을 신속건조형 잉크, 자외선 반응경화형 잉크 및 2개의 액체 반응경화형 잉크중 하나를 사용하여 비쉬트형 부재상에 인쇄하는 단계, 및 흡입관층에 고착처리를 행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제조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흡입관층은 스크린인쇄에 의해 인쇄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흡입관은 캐버티(cavity)와 이를 둘러싸는 두꺼운 벽으로 된 외부뱅크(bank)를 갖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자외선 반응 경화형 잉크는 주성분으로서 적어도 합성수지와 자외선 반응경화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2개의 액체 반응 경화형 잉크는 주성분으로서 적어도 합성수지와 반응 경화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비쉬트형 부재는 합성수지, 금속 및 유리중 하나로 된 금형인 것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보다 충분히 이해될 수가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먼저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1도-제5도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면 중, 도면부호 1은 약 0.1mm~0.5mm의 두께를 갖는 투명한 불투명한형 부재를 표시한 것이다. 쉬트형 부재 1은 인쇄적성처리되어, 폴리올레핀 합성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염화비닐수지, 기타 합성수지 또는 합성용지로 된 쉬트 또는 막의 형태를 갖는다. 도면부호 6은 스크린 인쇄등을 사용하여 쉬트형 부재 1의 부착측면 2에 인쇄된 흡입관층을 표시한 것이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흡입관층 6은 사슬 또는 망상 방식으로 배열된 다수의 흡입관을 포함하는 흡입관 패턴 4를 갖는다. 각각의 흡입관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박스형, 다이아몬드형, 육변형, 그물망형, 꽃형, 또는 벌집형 등으로서, 흡입관으로서 흡착작용을 확실케할 수 있다. 이 흡입관의 크기와 형태는 사용되는 최종쉬트제품 5의 목적에 따라 결정된다. 더우기, 흡입관의 수는 목적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부드럽고 유연한 흡입관층 6의 재료 3으로서는, 주성분으로서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또는 염화비닐수지등의 합성수지를 자외선 반응경화제, 가소제, 첨가제, 용매등과 혼합함으로써 인쇄하는 흡입관층을 위해 자외선 반응경화형 잉크를 새롭게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한편, 흡입관층 재료 3은 예를 들어, 데이코쿠 잉크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UV-FIL, UV-EXA, UV-PAL형 잉크등, 주조 화학산업 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UV가열 잉크 또는 도요 잉크제조 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UV형 잉크등과 같이 주성분으로서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등을 포함하는 자외선 반응경화형 잉크를 첨가제로서 가소제, 용매 및 기타 합성수지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게시판에 압착될때의 흡입관층 6의 각각의 흡입관의 진공도 또는 흡착도는 각각의 흡입관에 형성된 캐버티의 체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그래서, 흡입관내 캐버티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 림(rim)뱅크를 제공하는 흡입관층 6의 패딩부(padcling)가 가능한 두껍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인쇄판 8이 약 70~150개의 메쉬(mesh)의 여분이 두꺼운 플리에트 제조 스크린 천을 이용하고, 더우기 플리에트 제작시에 통상 약 10μm로 설정되는 플레이트 제작 감광성 졸(sol)막 12의 두께가 약 50~200μm로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관층 6을 인쇄하는 스크린 인쇄방법으로서는, 공지의 평탄면 스크린 인쇄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방법은 인쇄판과 인쇄될 쉬트를 고정한 상태로 인쇄탁본을 이동시켜 평탄막 또는 쉬트에 인쇄를 행하는 것이다. 한편, 흡입관층의 두께가 크고 인쇄잉크가 양이 많고 점성을 갖기 때문에, 쉬트를 인쇄판에 부착하고나서 쉽게 떼어놓을 수 없게 되어 평탄면 스크린 인쇄방법으로는 양질의 인쇄를 성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면 스크린 인쇄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쉬트형 부재 1상에 흡입관층 6을 인쇄한 후에, 자외선 조사장치 14에 의해 자외선조사 15를 행하여, 흡입관층 6을 고착시킨다. 이 흡입관층 6을 고착하기 위하여는 자외선 조사를 몇초동안만 행하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고착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가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쉬트형 부재 1상에 인쇄된 흡입관층 6을 갖는 쉬트제품 5가 흡입관층 6을 제공하는 측면과 반대쪽의 정면에 적당한 표시인쇄물 13이 붙여지는 상태의 포스터등으로서 사용된다.
한편, 표시 인쇄물 13을 먼저 정면에 붙이고 나서, 표시 인쇄물 13에 투명한 흡입관층 6을 인쇄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에 의하면, 건물 또는 차의 내측 창유리에 라벨, 차광막등을 부착할때, 외부에서 표시 인쇄물 13을 볼 수가 있다. 투명한 막 또는 쉬트의 정면에 표시 인쇄물 13과 그 반대측면(배면)에 흡입관층 6을 제공하여 반대측면에서 이를 봄으로서 마찬가지의 효과를 성취할 수가 있다.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쉬트제품 5는 창유리등에서 쉽게 떼어낼 수가 있고 떼어낸 후에 반복적으로 재사용될 수가 있다. 더우기, 수용성 또는 재용매 자외선 반응성 경화형 잉크를 흡입관층 6에 사용하므로, 상술한 환경오염의 문제를 개선시킬 수가 있다. 또한, 자외선 반응 경화형 잉크의 흡입관층 6이 유기용액 또는 세제에 의해 용해되지 않으므로, 흡입관층의 시간변역 또는 질저하를 상당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제,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 설명한다.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2개의 액체 반응성 경화형 잉크를 자외선 반응성 경화형 잉크대신에 사용하고 흡입관층 6을 고착하기 위하여 자외선 조사 대신에, 전자기 조사를 이용하는 라디칼 경화처리 또는 열기(hot-air)처리등의 2개의 액체 반응성 경화처리를 행한다는 점에서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다르다. 기타의 구성은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주성분으로서 에폭시수지, 우레탄수지 또는 실리콘수지등의 합성수지와 반응성 경화제, 가소제, 첨가제, 용매등을 혼합하여 2개의 액체 반응성 경화형 잉크를 제조한다.
흡입관층 6에 이 2개의 액체 반응성 경화형 잉크를 사용하므로,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도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성취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성취된다.
제 1 및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쉬트제품 5가 이를 작은 조각으로 절단한 후에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흡입관형 체결구로서 사용될 수가 있다.
일한 구성에 의하면, 자외선등의 노출로 인한 흡입관층의 시간 변역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제, 제 3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7도나 제10도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 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용기, 케비넷, 기기부품 또는 아크릴수지 또는 염화비닐수지등의 합성수지, 금속 또는 유리로 된 기타 일상용품 등의 비슈트형 부재로서 금형 22의 부착면 23에 흡입된층 24를 인쇄한다. 제 1 또는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처럼, 부드럽고 유연한 흡입관층 24의 재료 28로서는, 주성분으로서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염화비닐수지, 에폭시수지 또는 실리콘수지등의 합성수지와 반응성경화제, 가소재, 첨가제, 용매등을 혼합하여 자외선 반응성 경화형 잉크, 2개의 액체 반응성 경화형 잉크 또는 신속견조형 잉크를 새롭게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예를들어 주성분으로서 데이코쿠 잉크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UV-FIL, UV-EXA, UV-PAL형 잉크등, 또는 에폭시 수지와 2개의 액체 반응성 경화형의 PS 또는 POS 계열 잉크, 또는 도요 잉크 제조 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FDSS계열의 UV형 잉크 또는 SSFX 계열의 2개의 액체 반응성 경화형 잉크등과 같이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등을 포함하는 자외선 반응성 가소제, 용매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흡입관층재료 28을 제조할 수도 있다.
제10도에 있어서, 흡입관층 24는 금형 22의 부착면에 인쇄되어 최종 비쉬트형 제품 21이 성취된다. 인쇄판 26과 금형 22를 고정한 상태에서 인쇄탁본 27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흡입관층 24의 인쇄를 행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감광성막의 두께를 약 100~300μm로 증가시킨다.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흡입관층 24의 흡입관 패턴은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제11도는 일본 특허 제 909300호에 의해 제시된 바와 같이 금형 22의 부착면 23에 흡입관층을 붙이는 스크린 인쇄방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인쇄방법에 있어서는, 위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하여 잉크재료 28을 압착하므로 흡입관의 두꺼운 벽으로 된 외부뱅크를 제공함으로써 패딩인쇄를 확실히 성취할 수가 있다. 제11도에서, 도면부호 29는 액체등으로 충진된 백(bag)을 표시한 것이다.
제 1 또는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처럼, 제6도에 도시한 자외선 차폐코딩 16이 동일한 목적을 위해 흡입관층 24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 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비쉬트형 제품 21이 흡입관층 24에 의하여 테이블 25등의 소정의 부재에 대하여 고착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가 있다. 더우기, 테이블 25등에서 그 제품 21을 쉽게 떼어낼 수가 있고 떼어낸 후에 반복적으로 재사용될 수가 있고 떼어낸 후에 반복적으로 재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흡입관층 24에 사용된 재료 28로 인하여, 제 1 또는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성취될 수가 있다.
제 12도는 흡입관층의 흡입관 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이고, 제 13도는 흡입관층의 흡입관 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규정한 바와 같은 발명의 원리에서 벗어남이 없이 각종의 방식으로 실현될 수가 있다.

Claims (15)

  1. 쉬트형 부재를 형성하고, 흡입관으로서 흡착작용을 하도록 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관을 포함하는 소정의 흡입관 패턴을 갖는 부드럽고 유연한 흡입관층을 자외선 반응성 경화형 잉크를 사용하여 상기 쉬트형 부재상에 인쇄하며, 상기 흡입관층을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반응성 경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층이 스크린 인쇄에 의해 인쇄되는 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관이 캐버티와 이 캐버티를 둘러싸는 두꺼운 벽의 외부 뱅크(bank)를 갖는 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반응성 경화형 잉크가 주성분으로서 적어도 합성수지와 자외선 반응성 경화제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 패턴이 망상방식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흡입관을 포함하는 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6. 쉬트형 부재를 형성하고, 흡입관으로서 흡착작용을 하도록 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관을 포함하는 소정의 흡입관 패턴을 갖는 부드럽고 유연한 흡입관층을 2개의 액체 반응성 경화형 잉크를 사용하여 상기 쉬트형 부재상에 인쇄하며, 상기 흡입관층을 2개의 액체 반응성 경화처리를 하여 반응성 경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층이 스크린 인쇄에 의해 인쇄되는 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관이 캐버티와 이 캐버티를 둘러싸는 두꺼운 벽의 외부 뱅크(bank)를 갖는 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액체 반응성 경화형 잉크가 주성분으로서 적어도 합성수지와 반응성 경화제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 패턴이 망상방식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흡입관을 포함하는 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11. 비쉬트형 부재를 형성하고, 흡입관으로서 흡착작용을 하도록 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관을 포함하는 소정의 흡입관 패턴을 갖는 부드럽고 유연한 흡입관층을 신속건조형 잉크, 자외선 반응성 경화형 잉크 및 2개의 액체 반응성 경화형 잉크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비쉬트형 부재상에 인쇄하며, 상기 흡입관층에 고착처리를 행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비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층이 스크린 인쇄에 의해 인쇄되는 비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관이 캐버티와 이 캐버티를 둘러싸는 두꺼운 벽의 외부 뱅크(bank)를 갖는 비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쉬트형 부재가 합성수지, 금속 및 유리중 하나로 된 금형인 비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 패턴이 망상방식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흡입관을 포함하는 비쉬트형 제품의 제조방법.
KR1019960012887A 1995-04-26 1996-04-25 흡입관층을 갖는 제품의 제조방법 KR0153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37107A JP2942945B2 (ja) 1995-04-26 1995-04-26 キューバンシートの製造方法
JP95-137107 1995-04-26
JP24503995A JP3177820B2 (ja) 1995-08-18 1995-08-18 吸盤層を印刷した成型品の製造方法
JP95-245039 1995-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281A KR960037281A (ko) 1996-11-19
KR0153724B1 true KR0153724B1 (ko) 1998-11-16

Family

ID=2647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2887A KR0153724B1 (ko) 1995-04-26 1996-04-25 흡입관층을 갖는 제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739746B1 (ko)
KR (1) KR0153724B1 (ko)
CN (1) CN1044101C (ko)
DE (1) DE69601438T2 (ko)
MY (1) MY133618A (ko)
SG (1) SG49934A1 (ko)
TW (1) TW3321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5585B1 (en) * 1997-10-21 2002-11-05 Teikoku Printing Inks Mfg. Co., Ltd Releasable adhesive element having image reception lay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ITVE20060021U1 (it) 2006-06-23 2007-12-24 Hydor Srl Supporto magnetico per accessori per acquari
CN101518973B (zh) * 2008-02-29 2011-07-20 全杰橡胶股份有限公司 同步进行橡胶体加工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09B2 (ja) * 1993-02-18 1995-01-25 有限会社樹脂印刷社 吸盤付シ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281A (ko) 1996-11-19
DE69601438D1 (de) 1999-03-11
EP0739746B1 (en) 1999-01-27
EP0739746A1 (en) 1996-10-30
MY133618A (en) 2007-11-30
CN1149110A (zh) 1997-05-07
TW332176B (en) 1998-05-21
SG49934A1 (en) 1998-06-15
DE69601438T2 (de) 1999-08-05
CN1044101C (zh) 199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724B1 (ko) 흡입관층을 갖는 제품의 제조방법
JP6450916B2 (ja) スクリーン印刷版の製造方法
JPS63500965A (ja) 硬質基板の平滑面に浮き彫り図形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おいて使用される装置
JP2942945B2 (ja) キューバンシートの製造方法
WO1983003800A1 (en) Laminated body
JP3141466B2 (ja) 透視性を有する装飾材の製造方法
JPH07308976A (ja) 装飾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得られた製品
JP3017456U (ja) キューバンシート
JPH06238845A (ja) 吸盤付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10039533A (ko) 장식용 첩착시트와 그 제조방법 및 장식용 첩착시트의첩착 대상물에의 접착방법
GB2081470A (en) Preparing original for silk screen printing
JPH0958110A (ja) 吸盤層を印刷した成型品の製造方法
JP3021739U (ja) 吸盤層を印刷した成型製品
JPS6161168A (ja) 光硬化性樹脂版材の製造法
CA2409577A1 (en) Multi-frame screen printing
GB2320911A (en) Making a mat such as a mouse mat
TH11818B (th) ระเบียบวิธีสำหรับการจัดให้มีผลิตภัณฑ์ที่ชั้นตัวดูด
TH23146A (th) ระเบียบวิธีสำหรับการจัดให้มีผลิตภัณฑ์ที่ชั้นตัวดูด
JPH0627889A (ja) 人工大理石製看板
JP2000112117A (ja) 感光性孔版原版及びこれを用いた押印具
JP2002327153A (ja) 粘着性成型品の製造方法
JP2652604B2 (ja) 印刷用樹脂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39072U (ja) 吸盤付シート
JPH0592695A (ja) 透視性を有する装飾材の製造方法
JP2004174804A (ja) スタンプ作成キット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