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070B1 - 정속 고정 조인트 - Google Patents

정속 고정 조인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070B1
KR0153070B1 KR1019950043216A KR19950043216A KR0153070B1 KR 0153070 B1 KR0153070 B1 KR 0153070B1 KR 1019950043216 A KR1019950043216 A KR 1019950043216A KR 19950043216 A KR19950043216 A KR 19950043216A KR 0153070 B1 KR0153070 B1 KR 0153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joint
constant speed
support element
joint according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288A (ko
Inventor
야콥 베르너
Original Assignee
베른트 피어그르크
뢰어 앤드 브롬캄프 게엠베하
미하엘 베젤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른트 피어그르크, 뢰어 앤드 브롬캄프 게엠베하, 미하엘 베젤러 filed Critical 베른트 피어그르크
Publication of KR960018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4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the groove centre-lines in each coupling part lying on a 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2003/22313Details of the inner part of the core or means for attachment of the core on th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2003/2232Elements arranged in the hollow space between the end of the inner shaft and the outer joint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64/00Rotary shafts, gudgeons, housings, and flexible couplings for rotary shafts
    • Y10S464/904Homokinetic coupling
    • Y10S464/906Torque transmitted via radially spaced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Prosthes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외측부(1)와, 내측부(7)와, 케이지(15)를 갖는 정속 고정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품들은 케이지(15)에 의해 지지된 볼(19)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서로 중심이 잡힌다. 또한 구형 층 형태의 안내 요소(22)가 제공되고 이는 외측부의 종축(2)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 요소(28), 즉 그 설정면(31)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요소(32)는 외측부(1)에 대해 고정된다. 안내요소(22)의 배열 및 설계는 그 접촉면(24)이 관절 운동 중심(27)을 포함하는 평면을 형성하여, 그 결과 외측부(1)에 대한 내측부(7)의 설정이 반경 방향으로 유리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방식으로 저저항 조인트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정속 고정 조인트
제1도는 작은 관절 운동 각도를 갖는 정속 고정 조인트의 종단면도.
제2도는 휘일 베어링 유니트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큰 관절 운동 각도를 갖는 고정 조인트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측부 2 : 외측부의 종축
3 : 외부 주행 4 : 내면
5 : 제1개구 6 : 제2 개구
7 : 내측면 8 : 외부 구면
9 : 오목 안내면 10 : 내측부의 종축
11 : 홈 12 : 만입부
13 : 연결 저어널 14 : 내부 주행 홈
15 : 케이지 16 : 외면
17 : 중공 구형 부분면 18 : 창
19 : 볼 20 : 볼 중심
21 : 창 면 22 : 안내 요소
23 : 볼록 안내면 24 : 접촉면
25 : 평행면 26 : 구멍
27 : 관절 운동 중심 28 : 지지 요소
29 : 정지면 30 : 리세스
31 : 설정면 32 : 반경부
33 : 칼라 34 : 지지 부시
35 : 만입부 36 : 섕크
37 : 저어널 38 : 판
39 : 보유 요소 40 : 구멍
41 : 정지면 42 : 베어링
43 : 휘일 캐리어
본 발명은 양 단부에 개구를 갖는 중공 외측부를 갖는 정속 고정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외측부의 내면에는 외측부의 동축에 대해 정점 평면으로 연장되는 외부 주행 홈이 제공된다. 내측부가 외측부의 공동에 배치된다. 내측부의 외면은 내측부의 종축에 대해 정점 평면으로 연장되는 내부 주행 홈을 포함한다. 외부 및 내부 주행 홈의 각각은 토크 전달 목적으로 볼을 연결식으로 수용하도록 서로 대향인 쌍으로 배열된다. 모든 볼들은 외측부의 내면 및 내측부의 외면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케이지의 창내에서 안내된다. 외측부의 제1 개구로부터 시작되는 외부 주행 홈 및 내부 주행 홈은 언더컷이 없도록 설계된다. 케이지는 중공 구형 부분면에 의해, 외측부의 제2 개구를 향해 배치된 내측부의 외부 구면상에서 안내된다. 또한 케이지는 외측부의 내면에 대해 여유를 갖도록 배열된다. 또한 내측부상의 제1 오목 구형 안내면과 외측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 지지 요소의 설정면상에서 접촉면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안내되는 안내 요소의 제2 볼록 구형 안내면으로 구성된 안내 수단이 제공된다. 외측부의 종축은 상기 설정면에 수직으로 위치된다. 내측부와, 외측부와, 케이지는 관절 운동 중심 주위로 서로 관절 운동가능하도록 배열된다. 그 결과 볼들은 외측부 및 내측부 사이의 각도를 양분하는 평면으로 안내된다. 케이지는 관절 운동 각도의 절반을 통과한다.
이같은 정속 고정 조인트는 독일 특허 제DE 42 08 786 C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접촉면 및 설정면은 조인트의 관절 운동 중심에 대해 옵셋되도록 배열된다. 그 결과 관절 운동중 외측부에 대해 설정된 내측부의 과정은 외측부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조절가능한 내측부 덕분에 유리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부에 대한 내측부의 설정 이동을 그 사이의 마찰이 더욱 감소되도록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안내 요소가 구형 부분 또는 구형 층으로 형성되고, 구형 부분의 평탄면 또는 구형 층의 평탄면들중 하나가 관절 운동 중심을 포함하는 평면을 구성하는 접촉면의 역할을 하고, 지지 요소는 그 설정면에 의해 접촉면만큼 연장되게 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외측부에 대한 내측부의 조정 이동이, 내측부에 대한 외측부의 관절 운동 중심 주위의 관절 운동이 일어나는 장소에서 바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관절 운동중의 케이지의, 따라서 그에 의해 지지되는 볼의 위치 변화는 관절 운동 중심 주위로 양쪽으로 일어나므로, 조정 과정의 유리한 조건이 존재한다. 외부 주행 홈 및 내부 주행 홈에서 조정되는 볼에 기인해 관절 운동중 일어나는 위치의 반경 방향 변화가 재밍 또는 마찰에 불리한 영향의 위험없이 허용된다. 반경 방향 이동은 매우 근소하나 관절 운동 중심에서 허용된다는 점에서 조인트의 전체 마찰 조건 따라서 마찰 손실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친다.
현재의 기술에 비해 마찰 감소가 얻어지고, 이는 반경 방향 조정력이 안내 요소의 설정 및 접촉면상의 레버 아암을 통해 더이상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조인트가 연장된 위치이면, 즉 외측부의 종축 및 내측부의 종축이 서로 정렬되면, 설정면은 볼 중심을 포함하는 평면이다. 이는 정속 고정 조인트가 연장 위치로부터 관절 운동될 때 캐칭(catching) 효과가 처음에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정속 고정 조인트에서는 내측부에 대한 외측부의 반경 방향으로 허용되는 조정 이동에 의해 캐칭은 일어날 수 없다.
지지 요소를 외측부에 직접 고정하거나 외측부에 고정된 보유 요소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큰 관절 운동각도를 위한 정속 고정 조인트에 관해서, 그리고 예를 들어 자동차의 조향 및 구동 휘일에의 응용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지지 요소는 설정면을 포함하는 부분과 인접한 영역에서 테이퍼부를 갖고, 이는 각도의 변화를 일으키는 지지 요소에 대한 케이지 및 내측부의 필요한 크기의 운동을 얻기 위함이다.
지지 요소가 보유 요소에 직접 고정되면 이는 예를 들어 판 금속 부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큰 관절 운동 각을 갖는 정속 고정 조인트용의 지지 요소의 경우에, 지지요소가 설정면과 이와 만나기 위해 단이진 단면을 갖는 저어널을 갖는 테이퍼 섕크를 포함하는 판을 포함하고, 지지 요소는 저어널을 수용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 요소는 외측부에 정지면에 대해 안착된다. 2개로 분할된 실시예의 경우에, 즉 지지 요소가 외측부에 직접 지지되지 않을 때, 보유 요소가 외측부의 정지면에 대해 안착되는 것이 제안된다.
유리한 여유 설정을 얻고, 관절 운동 및 조정에 관계된 모든 부품들이 관절 운동 중심에 대해 아주 정확히 중심 설정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외부 주행 홈을 캘리브레이팅 또는 스탬핑시 성형 공구의 정지면 역할을 하는 면에 의해 정지면(29)이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필요한 정밀도를 얻기위해, 외측부가 예를 들어 고온(warm)조건에서의 성형과 같이 칩을 형성하지 않는 작업에 의해 만들어진후, 이어서 외부 주행 홈이 다시 스탬핑 또는 캘리브레이팅된다. 이 작업은 공구에서 일어나고, 스탬프가 공구에 수용된 외측부내로 도입된다. 공구에는 런-온(run-on)면이 제공되고 공구는 그 런-온 면이 외측부의 대응 런-온 면에 대해 안착될 때까지 외측부로 도입된다. 상기 런-온 면은 정지면을 구성한다. 트랙 및 따라서 외부 주행 홈에 의해 형성된 이론 관절 운동 중심은 정지면에 대해 최대의 정밀도로 제조된다. 그 결과 설정면은 가능한 최대의 정밀도로 정지면에 대해 정렬될 수 있다.
마찰 조건에 유리한 영향을 주기 위해, 특히 연장 위치로부터 시작되는 초기 마찰을 위해, 안내 요소의 접촉면에는 그 중심에 만입부가 제공된다. 안내 요소가 구형 층의 형태로 제공되면, 그 양 평면에는 그 중심에 만입부가 제공된다. 상기 만입부들을 제공하는 간단한 방법이 있으며, 이는 안내요소를 관통 천공하는 것이다. 2개의 평행면의 구멍의 출구 구역이 만입부를 형성한다.
또한, 내측부의 오목 구형 안내면에도 내측부의 종축 구역에 만입부가 제공되는 것과, 지지 요소의 설정면도 외측부의 종축 구역에 만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는 전체적으로 자기 방해(self-inhibition)가 일어나지 않도록 보장한다. 또한 만입부들은 윤활제를 수용하는 포켓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2개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1도에 도시된 정속 고정 조인트에서 외측부(1)는 판형 금속 부품으로 제공된다. 이는 중공이고, 외측 연장 플랜지 구역에서 제1 개구(5)를 포함하고, 그 대향 단부에서 제2 개구(6)를 포함한다. 외측부(1)의 내면(4)에는 외측부의 종축(2)에 대해 정점(meridian) 평면으로 연장되는 주연 분포 외부 주행 홈(3)이 제공된다. 외부 주행홈(3)은 제1 개구(5)로부터 시작되어 제2 개구(6)를 향해 언더컷이 없도록 연장된다. 이는 외부 주행 홈의 트랙 기부가 제1 개구(5)로부터 제2 개구(6)까지의 거리에서 외측부의 종축(2)에 접근함을 의미한다. 또한 정속 고정 조인트는 중실 부품이며 예를 들어 칩을 형성하지 않는 고온 성형(warm forming) 작업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그 기능들의 일부분은 캘리브레이팅(calibrating) 또는 스탬핑(stamping)에 의해 마무리 가공되는 내측부(7)를 포함된다.
내측qn(7)의 외면은 내측부의 종축(10)에 대해 정점 평면으로 연장되는 내부 주행 홈(14)을 포함한다. 정속 고정 조인트의 조립 상태에서 내부 주행홈(14)도 또한 언더컷이 없도록 외측부(1)의 제1 개구(5)로부터 연장된다. 이는 트랙 기부가 내부 주행 홈(14)의 시초에서는 내측부의 종축(10)으로부터 짧은 거리이고, 이 거리는 제2 개구(6)를 향해 증가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연결 저어널(13)이 내측부(7)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개구(5)를 향하는 오목 안내면(9)이 내측부의 종축(10)에 대해 주연 분포된다. 안내면(9)은 개구(5)를 향한 내측부(7)에 가공된다. 안내면(9)은 중공 구형 부분면의 형태를 갖고 내측부의 종축(10)을 중심으로 한다. 내측부의 종축(10) 구역에서 안내면(9)에는 만입구(12)가 제공된다. 또한 홈(11)이 상기 만입부(12)로부터 개구(5)를 향한 단부로 연장된다. 다수의 홈(11)의 내측부(7)의 단부로부터 시작되어 또한 언더컷이 없도록 연장된다. 안내면(9)과 내부 주행 홈(14)은 공구에서 연결식으로 제조되고, 이후의 단계에서, 즉 칩을 형성하지 않는 고온 성형 작업 후, 최종 형상 및 치수를 얻기 위해 캘리브레이팅 및 스탬핑 작업이 수행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개구(5)로부터 멀리 향한 그 외면의 일부분에서 내측부(7)는 외부 구면(8)을 포함한다. 외측부의 내면(4)과 내측부(7)의 외면 사이의 반경방향 공간에 케이지(15)가 배열된다. 케이지(15)는 그 내부에 중공 구형 부분면(17)을 포함한다. 상기 면(17)에 의해 케이지(15)는 내측부(7)의 외부 구면(8)상에서 안내된다. 케이지의 외면(16)은 외측부(1)의 내면(4)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즉 조인트의 조립 상태에서 상기 2개의 조립 상태에서 상기 2개면 사이에는 접촉이 없다.
케이지(15)는 주연 분포 창(18)을 포함한다. 상기 창(18)의 주연 배열은 내부 주행 홈(14) 및 외부 주행 홈(3)의 배열에 대응한다. 상기 창은 각각 케이지(15)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외부 주행 홈(3)과 접촉하며 내부 주행 홈(14)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이에 수용되는 볼을 수납한다. 볼(19)은 토크 전달 역할을 한다. 내부 주행 홈(14) 및 외부 주행 홈(3)은 토크 전달중 볼(19)으로부터 창 면(21)으로, 이어서 케이지(15)로 전달되는 힘을 일으키는 제어각이 발생되는 방식으로 연장된다. 힘은 개구(5)로 지향되고, 그러므로 케이지(15)를 내측부(7)의 외부 구면(8)과 접촉하는 그 중공 구면(17)에 의해 지지한다. 볼(19)은 서로에 대한 외부 주행 홈(3) 및 내부 주행 홈(14)에서의 접촉 결과 내측부(7) 및 외측부(1)를 반경 방향으로 중심을 잡히게 된다. 모든 볼(19)의 중심(20)은 그에 대해 볼(19)이 가압되는 창 면(21)의 위치에 의해 또한, 이론적 조인트 중심, 즉 관절 운동 중심에 대해 정렬 유지되는 한 평면내에 유지된다.
또한 그 볼록 구형 안내면(23)에 의해 내측부(7)의 오목 안내면(9)상에 안내되는 구형 층 형태의 안내 요소(22)가 제공된다. 안내 요소(22)는 2개의 평행면(24,25)을 포함하고, 면(24)은 접촉면을 형성한다. 또한 안내 요소(22)에는 2개의 면(24,25) 사이로 연장되는 구멍(26)이 제공된다. 조인트 부품들은, 예를 들어 부품들을 서로에 대해 조립되도록 선택함으로써 중심 설정된다. 즉 외측부(1)와, 케이지(15)와, 내측부(7)와, 안내 요소(22)가 접촉면(24)이 조인트의 관절 운동 중심(27)을 포함하는 것이 항성 보장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내측부(7)는 안내 요소(22)에 의해 설정면(31)을 포함하는 지지 요소(28)에 대해 지지된다. 접촉면(24)은 설정면(31)에 대해 안착된다. 지지 요소(28)는 판형 금속 부품이며 외측부의 종축(2)에 대해 사실상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32)과, 외측부의 종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컵형 리세스(30)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28)는 반경방향 연장부분에 의해 외측부(1)의 정지면(29)에 대해 안착된다. 지지 요소는 주연 분포 구멍에 삽입되는 칼라(33)를 갖는 지지 부시(34)에 의해 외측부(1)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설정면(31)에는 또한 외측부의 종축(2) 구역에 배치된 만입부가 제공된다.
도면은 조인트를 그 연장 위치로 도시한다. 즉 외측부의 종축(2) 및 내측부의 종축(10)이 동일하다. 예를 들어 내측부(7)가 외측부(1)에 대해 관절 운동될때, 내측부의 종축(10)은 외측부의 종축(2)에 대해 각도 위치를 취한다. 외부 주행 홈(14) 내의 볼(19)들은 동시에 이동한다. 내측부(7)는 외측부(1)에 대해 관절 운동 중심(27) 주위로 피벗된다. 케이지(15)도 외측부(1) 및 내측부(7)에 대해 관절 운동 중심(27) 주위로 피벗된다. 외측부의 종축(2) 및 내측부의 종축(10) 사이의 관절 운동 각도를 반분하도록 조정된다. 볼 중심(2)을 포함하는 평면은 관절 운동 중심(27)을 통해 연장된다. 내측부(7)가 외측부(1)에 대해 볼(19)들에 의해서만 중심 설정되고, 상기 볼(19)들은 관절 운동 2개의 조인트 부품(7,1)의 설계 및 제조 공차의 결과 다른 반경 방향 위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내측부(7)는 안내요소(22)에 의해 외측부(1)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스스로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안내 요소(22)가 그 접촉면(24)에 의해 설정면(31)상에서 반경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만입부(12), 구멍(26) 및 만입부(35)는 또한 재밍(jamming)의 위험없는 원할한 관절 운동 과정에 기여한다.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비해 더 큰 관절 운동 각도를 허용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외측부(1)가 중실 부품으로 도시되어 있다. 외부 주형 홈(3)이 또한 외측부(1)에 형성되고 개구(5)로 부터 시작된다. 외부 주형 홈(3)은 제1도에 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장되어, 외측부의 제1 개구(5)로부터 제2 개구(6)로 연장되는 외부 주형 홈(3)의 트랙 기부는 외측부의 종축(2)에 접근하고, 이는 외부 주행 홈(3)이 언더컷이 없음을 의미한다. 내측부(7)가 또한 중실 부품으로 제공되고, 그 외부 구면(8)은 그 중공 구형 부분면(17)에 의해 케이지(15)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내측부(7)는 또한 오목 구형 안내면(9)을 포함하고, 이는 내측부의 종축(10)을 중심으로 하고 홈(11)과 중심 만입부(12)를 포함한다. 내측부(7)에는 연결 저어널(13)이 제공된다. 내측부(7)의 외면에는 내부 주행 홈(14)이 제공된다. 다시 내측부(7)는 외측부(1)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케이지(15)의 창(18)에 지지된 볼(19)에 의해 전적으로 중심 설정되고, 케이지(15)의 외부면(16)은 외측부(1)의 내면(4)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토크 전달 상태에서 볼(19)은 창 면(21)과 접촉 유지된다. 볼은 또한 케이지(15)를 그 중공 구형 부분면(17)에 의해 내측부(7)의 외부 구면(8)과 접촉하도록 지지한다. 안내면(9)을 포함하는 내측부(7)의 리세스는 구형 층 형태의 안내 요소(22)에 그 볼록 안내면(23)에 의해 접촉된다. 안내 요소922)는 접촉면(24)과 이에 평형한 면(25)에 의해 접촉된다. 안내 요소(22)는 접촉면(24)과 이에 평행한 면(25)을 포함하고, 구멍(25)이 상기 2개 면(24,25) 사이로 연장된다. 접촉면(24)은 조인트의 관절 운동 중심(27)을 포함하는 평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축방향에서 내측부(7)는 안내 요소(22)에 의해 이론적 관절 운동 중심에서 외측부에 대해 지지되고, 안내 요소는 이 목적을 위해 설정면(31)을 포함하는 지지 요소(28)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설정면(31)은 판(38)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개구(5)를 향해, 판(38)에는 그 직경이 판에 비해 감소된 생크(36)가 이어진다. 생크(36)는 그에대해 단이진 직경을 갖는 저어널(37)을 포함한다. 저어널(37)에 의해 지지 요소(28)는 보유 요소(39)내의 구멍(40)과 결합한다. 보유 요소(39)는 외측부(1)의 리세스내에 삽입되며, 그 정지면(41)에 의해 외측부(1)의 대응 정지면(29)에 대해 안착된다. 외측부(1)의 외주연에는 테이퍼 시트 볼 베어링 형태의 베어링(42)이 부착되고,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는 예를 들어 승용차의 조향 및 구동 전방 휘일의 휘일 캐리어(43)의 구멍과 결합한다. 외측부의 종축(2) 구역에서 지지 요소(28)의 판(38)은 만입부(35)를 포함한다. 안내 요소(22)는 또한 조인트가 연장된 상태일때, 만입부(35)에 대향 배치된 관통 구멍(26)을 포함한다. 내측부(7)는 그 종축(10)을 중심으로 한 안내면(9)의 대응 만입부(12)를 포함한다.

Claims (14)

  1. 양 단부에 개구(5,6)를 갖고 그 종축(2)에 대해 정점 평면으로 연장되는 외부 주행 홈(3)들이 그 내부면(4)에 제공되는 중공 외측부(1)와, 외측부(1)의 공동에 배치되고 그 종축(10)에 대해 정점 평면으로 연장되고 외부 주행 홈(3)들에 대향 위치된 내부 주행 홈(14)들이 그 외부면(8)에 제공되는 내측부(7)를 포함하고, 대향하는 내부 주행 홈(14)들 및 외부 주행 홈(3)들은 토크 전달을 위한 볼(19)을 연결식으로 수용하고, 볼들은 외측부(1)의 내면(4) 및 내측부(7)의 외면 사이의 공간에서 안내되는 케이지(15)의 창(18)내에서 각각 안내되고, 내부 주행 홈(14)들 및 외부 주행 홈(3)들은 제1 개구(5)로부터 시작하고 언더컷이 없게 되어있고, 케이지(15)는 중공 구형 부분면(17)에 의해 내측부(7)의 외부 구면(8)상에 안내되고, 상기 구면(8)은 제2 개구(6)를 행해 배열되고 외측부(1)의 내면(4)에 대해 여유가 있게 배열되며, 안내 요소(22)의 제1 볼록 구형 안내면(23)으로 구성되는 안내 수단을 갖고, 안내면(23)은 접촉면(24)에 의해 외측부(1)에 대해 고정된 지지요소(28)의 설정면(31)상에서 반경 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안내되고, 외측부의 종축(2)은 상기 설정면(31)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내측부(7)와 외측부(1)와 케이지(15)는 관절 운동 중심(27) 주위로 서로 관절 운동 가능한 정속 고정 조인트에 있어서, 안내 요소(22)는 구형부 또는 구형 층으로 형성되고, 구형부의 평면 또는 구형 층의 평면들중 하나는 관절 운동 중심(27)을 포함하는 평면을 구성하는 접촉면(24) 역할을 하고, 지지 요소(28)는 그 설정면(31)에 의해 접촉면(24)까지 연장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28)는 외측부(1)에 직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28)는 외측부(1)에 고정된 보유 요소(39)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28)는 설정면(31)을 포함하는 부분(38)에 인접한 구역에서 테이퍼부(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28)는 판형 금속 부품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
  6. 제3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28)는 설정면(31)을 포함하는 판(38)과, 판에 인접하는 테이퍼형 섕크(36)을 포함하고, 섕크는 그 단면이 섕크에 대해 단이 진 저어널(37)을 갖고, 보유 요소(39)는 저어널(37)을 수용하는 구멍(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
  7. 제1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28)는 외측부(1)의 정지면(29)에 대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
  8. 제3항에 있어서, 보유 요소(39)는 외측부(1)의 정지면(29)에 대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정지면(29)은 외부 주행 홈(3)의 캘리브레이팅 또는 스탬핑시 성형 공구의 정지면 역할을 하는 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
  10. 제1항에 있어서, 안내 요소(22)의 접촉면(24)은 그 중심에 만입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
  11. 제1항에 있어서, 구형 층 형태의 안내 요소(22)의 경우에 2개의 평면(24,25) 각각은 그 중심에 만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
  12. 제11항에 있어서, 만입부들은 관통 구멍(26)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
  13. 제1항에 있어서, 오목 구형 안내면(9)에는 내측부(7)의 종축(10) 구역내의 만입부(1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28)의 설정면(31)에는 외측부의 종축(2) 구역내의 만입부(3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고정 조인트.
KR1019950043216A 1994-11-23 1995-11-23 정속 고정 조인트 KR0153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41629A DE4441629C1 (de) 1994-11-23 1994-11-23 Gleichlauffestgelenk
DEP4441629.6 1994-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288A KR960018288A (ko) 1996-06-17
KR0153070B1 true KR0153070B1 (ko) 1998-10-15

Family

ID=653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3216A KR0153070B1 (ko) 1994-11-23 1995-11-23 정속 고정 조인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797801A (ko)
JP (1) JP2822316B2 (ko)
KR (1) KR0153070B1 (ko)
CN (1) CN1056674C (ko)
BR (1) BR9505271A (ko)
DE (1) DE4441629C1 (ko)
ES (1) ES2128210B1 (ko)
FR (1) FR2727177B1 (ko)
GB (1) GB2295440B (ko)
IT (1) IT1276032B1 (ko)
TW (1) TW3069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1493C1 (de) * 1997-11-20 1999-07-22 Gkn Loebro Gmbh Gleichlauffestgelenk mit Steuerelement
DE19831014C2 (de) * 1998-07-10 2000-06-29 Gkn Loebro Gmbh Gleichlauffestgelenk mit zwei Sätzen von gegenläufigen Laufrillen
DE19831012C2 (de) * 1998-07-10 2000-05-04 Gkn Loebro Gmbh Gleichlaufgelenk mit gegenläufigen Laufrillen
DE19911113C1 (de) * 1999-03-12 2001-01-11 Gkn Loebro Gmbh Anordnung mit einem Gleichlaufgelenk und einem Aufnahmeteil
JP2002542435A (ja) * 1999-04-16 2002-12-10 ジー・ケー・エヌ・オートモーティヴ・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非切断方法において形成された外方継ぎ手部分の仕上げ方法および装置
US6685571B1 (en) 2002-08-30 2004-02-03 Fred Edmund Smith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and method of producing
DE10337918B4 (de) * 2003-08-18 2010-01-07 Gkn Driveline Deutschland Gmbh Twin-Ball-Gelenk mit verbessertem Kugelkäfig
DE102004031154A1 (de) * 2003-09-30 2005-05-04 Volkswagen Ag Gleichlauffestgelenk mit gekreuzten Kugellaufbahnen, Gelenkwel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leichlauffestgelenks mit gekreuzten Kugellaufbahnen
DE202004021771U1 (de) * 2004-11-02 2010-11-04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Gegenbahngelenk mit optimiertem Bauraum
RU2399804C2 (ru) * 2005-02-17 2010-09-20 Шафт-Форм-Энджиниринг Гмбх Приводной вал и шарнир равных угловых скоростей для него
WO2006097194A1 (de) 2005-03-15 2006-09-21 Shaft-Form-Engineering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lenkanbindung und gelenkanbindung
JP5079270B2 (ja) * 2006-06-28 2012-11-21 Ntn株式会社 車輪用軸受ユニット
DE102008060329A1 (de) * 2007-12-10 2009-06-25 Ifa-Technologies Gmbh Aufnahmegehäuse für Gleichlaufgelenke
US8715732B2 (en) * 2009-01-05 2014-05-06 Cornell University Nucleic acid hydrogel via rolling circle amplification
CN102150511A (zh) * 2011-03-25 2011-08-17 柴秀洪 多功能高空果品采摘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54472A (en) * 1970-02-28 1974-06-05 Gkn Transmissions Ltd Constant velocity ratio universal joints
DE2717936C3 (de) * 1977-04-22 1979-12-20 Uni-Cardan Ag, 5200 Siegen Gelenkwelle
US4459122A (en) * 1982-03-24 1984-07-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Two ball universal joint
DE3721775C2 (de) * 1987-07-01 1995-06-29 Girguis Sobhy Labib Gleichlauffestgelenk
DE3739867A1 (de) * 1987-11-25 1989-06-08 Uni Cardan Ag Gleichlaufdrehgelenk
DE3904655C1 (ko) * 1989-02-16 1990-02-08 Uni-Cardan Ag, 5200 Siegburg, De
DE3939531C1 (ko) * 1989-11-30 1991-06-06 Loehr & Bromkamp Gmbh, 6050 Offenbach, De
DE4228482C2 (de) * 1992-02-13 1996-11-07 Gkn Automotive Ag Gleichlauffestgelenk
DE4208786C1 (en) * 1992-03-19 1993-07-08 Loehr & Bromkamp Gmbh, 6050 Offenbach, De Synchronised fixed joint assembly - has guide surfaces on inner joint section and guide element, with centres on joint movement centre
DE4317606C1 (de) * 1993-05-27 1995-01-26 Loehr & Bromkamp Gmbh Gleichlauffestgelenk
DE4410298C2 (de) * 1994-03-25 1998-07-02 Loehr & Bromkamp Gmbh Gleichlauffestgele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288A (ko) 1996-06-17
GB9524016D0 (en) 1996-01-24
JP2822316B2 (ja) 1998-11-11
US5797801A (en) 1998-08-25
ES2128210B1 (es) 2000-01-16
ITMI952245A0 (ko) 1995-10-31
GB2295440A (en) 1996-05-29
TW306962B (ko) 1997-06-01
BR9505271A (pt) 1997-10-21
CN1127854A (zh) 1996-07-31
FR2727177A1 (fr) 1996-05-24
GB2295440B (en) 1996-11-06
DE4441629C1 (de) 1996-03-28
IT1276032B1 (it) 1997-10-24
FR2727177B1 (fr) 1998-05-07
ITMI952245A1 (it) 1997-05-01
JPH08210375A (ja) 1996-08-20
ES2128210A1 (es) 1999-05-01
CN1056674C (zh) 200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070B1 (ko) 정속 고정 조인트
US5221233A (en) Constant velocity fixed joint with alternate sequential running grooves
JP3281879B2 (ja) 等速ジョイント
JPH0772566B2 (ja) 同期回転継手
USRE35995E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ball joint
JP2640221B2 (ja) 等速継手
JPH02240412A (ja) 等速自在継手
US5580313A (en) Fixed constant velocity joint having a partial spherical guiding element
US6299544B1 (en) Double offset joint with centering means for cage
JP2002181065A (ja) 対向軌道ジョイントとしての等速固定ボールジョイント
US5376052A (en) Fixed constant velocity joint
KR100336592B1 (ko) 양 방향으로 연장된 2 세트의 연장 홈을 구비한 등속 고정 조인트
JPH0384220A (ja) 同期回転継ぎ手
JP2990513B2 (ja) 調節要素を有する等速固定継手
JP3000148B2 (ja) 調節要素を有する等速固定継手
JP3821937B2 (ja) 固定型等速自在継手
US20010044341A1 (en) Arrangement of a running roller on a coupling journal of a moveable shaft coupling
US5704840A (en) Universal joint
JP2000074085A (ja) 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
KR100209537B1 (ko) 케이지 고정 요소를 갖는 정속 유니버셜 볼 조인트
JPS646414Y2 (ko)
JPH0610957A (ja) 同期回転継手
JPH0610954A (ja) 同期固定式継手
JP2001295854A (ja) 等速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