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044B1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044B1
KR0150044B1 KR1019940020293A KR19940020293A KR0150044B1 KR 0150044 B1 KR0150044 B1 KR 0150044B1 KR 1019940020293 A KR1019940020293 A KR 1019940020293A KR 19940020293 A KR19940020293 A KR 19940020293A KR 0150044 B1 KR0150044 B1 KR 0150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elevator
door
signal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967A (ko
Inventor
마사히데 오꾸무라
히로유키 이케지마
시게미 이와타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50013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카도어가 완전히 닫혀 있는 것을 인식한 후에 엘리베이터를 기동시킬 수 있고, 또, 엘리베이터의 주행중에서도 카도어의 상태를 항시 확인해서, 이에 따른 운전제어를 함으로써 승객을 안전하게 목적층까지 서비스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얻는다.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접근한 것을 검출하는 제1스위치로부터의 상태신호와 상기 카도어가 완전히 닫혀지는 끝부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제2스위치로부터의 상태신호에 의해, 카도어가 완전히 닫혀 있는 것을 검지했을때에 기동가능신호를 제어회로(16)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1), 제1스위치의 온신호의 출력후 제2스위치로부터 온신호가 한순간이라도 출력되었을 때에, 그 신호상태를 보존해서 그후의 제2스위치의 신호상태를 무시하도록 함으로써 주행을 계속 유지시키는 주행가능신호를 제어회로(16)에 출력하는 주행계속 유지수단(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종래예에 관한 카도어부근의 측면도.
제4도는 종래예 및 이 발명에 관한 카도어부근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 2 : 주행계속 유지수단
3 : 도어폐쇄불량검출수단 4 : 도어폐쇄불량검출계수수단
5 :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검출수단 6 : 제2스위치의 온이상검출수단
7 : 재개폐지령수단 8 : 강제기동지령수단
9 :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계수수단 10 : 제2스위치의 온이상계수수단
11 : 이상신호통지수단 12 : 스위치분리수단
13 : 메모리기억설정수단 14 : 메모리
15 : 설치운전모드설정수단 16 : 최인근정지지령수단
21 : 카도어 22 : 제1스위치
28 : 제2스위치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해 특히, 카도어가 완전히 폐로(閉路)되었을 때 엘리베이터를 기동시키도록 하는 보다 개선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카도어가 폐쇄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그 스위치가 폐로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도와 제4도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3-288786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종래의 카도어의 구성도를 표시하는 것이다.
제3도에서, 21은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22는 카도어(21)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접근했을때에 폐로해서 온신호를 출력하는 제1스위치, 23은 상기 제1스위치(22)를 동작시키는 작동편, 24는 전주(前柱), 25는 카도어(21)를 안내하는 홈을 갖는 실, 26은 위틀, 27은 카도어(21)를 현수하는 레일이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의 카도어(21)는, 도면 상좌방향의 개방상태위치로부터 우방향으로 이동해서 폐쇄상태가 되는 가로열기도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스위치(22)는, 카도어(21)가 전주(24)에 대해 일정한 거리, 예를 들면, 10mm에 달했다고 하면 폐로하도록 부착되고, 그 후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기구의 동작에 의해 전주(24)에 접촉한다.
따라서, 카는 이 제1스위치(22)가 폐로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제어회로에 의해 기동가능해지고, 또 주행중에, 이 제1스위치(22)가 개로되었을때는 엘리베이터를 즉시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카도어(21)와 전주(24) 사이에, 예를 들면 개목걸이줄이나, 긴 끈같은 것이 끼워져 카도어(21)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22)가 폐로함으로써, 엘리베이터가 기동해 주행하게 되면 위험한 상태가 되므로, 이 위험한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공보에서 표시되는 기술에서는 제4도의 확대도를 표시한 바와 같이 제1스위치(22)외에, 기동시의 안전체크수단으로서 제2스위치를 설치하고 있다.
즉, 제4도에서 제3도와 동일부호는 동일부분을 표시하고, 새로운 부호로 28은 카도어(21)가 완전히 닫혀지는 끝부분에 도달했을 때에 온 신호를 출력하는 제2스위치, 29는 상기 제2스위치(28)을 동작시키는 작동편으로, 상기 작동편(23)과, 작동편(29)은 카(21)와 같은 속도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스위치(28)를 기동시의 안전체크수단으로서 사용하고, 제1스위치(22)가 폐로했을 때 카도어(21)를 폐쇄해서 카의 기동을 개시시키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동작시켜, 이 제1스위치(22)가 폐로해서부터 상기 타이머의 설정시간이내에 제2스위치(28)가 폐로했을때는 기동상태를 유지하면서 카를 안전하게 주행시키고, 상기 타이머의 설정시간이내에 제2스위치(28)가 폐로하지 않을 때는 기동을 중단시켜서 카를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제2스위치(28)에 관계없이 제1스위치(22)의 동작만으로 카를 기동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카도어(21)와 전주(24) 사이에 작은 돌이나, 이물질이 끼어 카도어(21)가 완전해 폐로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스위치(22)가 폐로되어 엘리베이터가 기동하게 되면 상기 타이머의 고장 또는 설정시간에 따라서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21)가 완전하게 닫혀 있지 않은 상태일지라도, 기동을 정지시킬 수가 없고, 제1스위치(22)의 동작에 따른 기동상태가 유지되고, 카를 기동, 주행시키게 되어 위험한 상태로 되는 것을 저지할 수가 없었다.
또 카도어(21)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22)가 폐로되고, 엘리베이터가 기동했을 때, 제2스위치(28)의 접촉불량이나 승객에 의한 카도어에의 기대는등에 의한 미소한 카도어의 이동에 의해, 제2스위치(28)가 타이머의 설정시간이상 개로한 경우에는 제어회로가 무효가 되고, 카는 급정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의 기동후 엘리베이터의 주행중의 진동등에 의해 카도어(21)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해 제1스위치(22)가 이로인해 개로한 경우 엘리베이터는 급정지하고, 상기 제1스위치(22)가 계속 개로하면, 엘리베이터는 주행할 수가 없게 되어 승객을 카속에 가두어 둔대로의 상태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하게 된 것으로 카도어가 완전히 닫혀 있는 것을 인식한 후에 엘리베이터를 기동시킬 수가 있고, 또 엘리베이터의 주행중에서도 카도어의 상태를 상시 확인해서, 이에 따른 운전제어를 함으로써 승객을 안전하게 목적층까지 서비스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으로 접근했을때에 폐로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카도어의 닫혀지는 끝부분에 도달했을 때 폐로하는 제2스위치와, 이들 제1과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기동 및 운전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한 상태일 때 엘리베이터의 기동 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상기 제1과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한 상태일 때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과, 엘리베이터의 기동후, 상기 제2스위치가 개로하여도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계속 유지시키는 주행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주행계속 유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상기 제1과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한 상태일 때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과, 엘리베이터의 주행중에, 상기 제2스위치만이 개로하는 상태일때에 도어폐쇄불량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도어폐쇄불량검출수단과, 그 도어폐쇄불량검출신호를 계수해서 그 계수치가 소정치에 달했을때에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4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상기 제1과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한 상태일 때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과, 스위치분리설정의 입력시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의 실제의 상태신호를 무효로 해서 상기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만을 유효로 하고, 그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를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로서 출력하는 스위치분리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5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상기 제1과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된 상태일때에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과, 엘리베이터의 기동후, 상기 제2스위치가 소정시간이상 개로했을때에,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중단하고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최인근층정지지령을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최인근층정지지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6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는 상태신호와 상반되는 상태가 되었을 때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이상검출수단과, 그 이상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에 카도어의 재개폐지령을 출력하는 재개폐지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7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청구항 6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은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한 후, 소정시간내에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하지 않을때에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8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청구항 6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은,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할때에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9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한 후 소정시간내에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하지 않을 때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수단과, 그 이상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에 카도어의 재개폐지령을 출력하는 재개폐지령수단과, 상기 이상검출신호의 입력에 따라 재개폐지령을 계수해서 그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했을때에 엘리베이터의 강제기동지령을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강제기동지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0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와 상반하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이상검출수단과, 그 이상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에 카도어의 재개폐지령을 출력하는 재개폐지령수단과, 상기 이상검출신호를 계수해서 그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했을때에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청구항 10 기재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은,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한 후 소정시간내에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하지 않을 때 제1의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제1의 이상검출신호의 입력에 따른 제1의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청구항 10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은,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스위치가 폐로할때에 제2의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제2의 이상검출신호의 입력에 따른 제2의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접근했을때에 폐로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도달했을때에 폐로하는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된 상태일때에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가 제어수단에 출력되어서, 엘리베이터가 기동함으로써 승객을 목적층에 안전하게 운전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
또, 청구항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주행계속 유지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기동후는 상기 제2스위치가 개로해도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계속 유지시키는 주행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함으로써, 주행중에 어떤 원인에 의해 제2스위치만이 오프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급정지시키는 일 없이 서비스를 계속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도어폐쇄불량검출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주행중에, 상기 제2스위치만이 개로되는 상태일때에 도어폐쇄불량검출신호가 출력되고, 그 도어폐쇄불량검출신호의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했을때에, 통지수단에 의해,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로 통지함으로써, 감시소에서 제2스위치만이 개로하는 상태의 도어폐쇄불량을 검출가능케 한다.
또, 청구항 4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스위치분리제어수단에 의해, 제2스위치로부터의 실제의 상태신호를 무효로 해서 상기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만을 유효로 하고, 그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를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로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설치운전모드나 군관리제어운전모드 및 통상운전모드와의 분리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 청구항 5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기동후, 최인근층정지지령수단에 의해, 상기 제2스위치가 소정시간이상 개로하였을때는,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중단하고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최인근층정지지령을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함으로써, 제2스위치만이 오프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급정지시키는 일 없이, 승객을 안전하게 가장 가까운 층으로 서비스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또, 청구항 6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이상검출수단에 의해,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와 상반하는 상태가 되었을때에 이상검출신호가 출력되고, 재개폐지령수단에 의해, 그 이상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에 카도어의 재개폐지령을 출력함으로써, 카도어의 재개폐동작에 따른 진동에 의해 상기 이상검출신호의 원인이 되는 이물을 제거해서, 엘리베이터의 기동을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7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청구항 6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사기 이상검출수단은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된 후 소정시간내에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하지 않을 때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카도어와 전주사이에 작은 돌이나 이물질등이 끼여 있는 상태일 때 카도어의 재개폐동작에 따른 진동에 의해 상기 이상검출신호의 원인이 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엘리베이터의 기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 청구항 8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청구항 6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은, 상기 카도어의 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할때에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2스위치 주위에 이물질이 부착한 상태일 때, 카도어의 재개폐동작에 따른 진동에 의해 상기 이상검출신호의 원인이 되는 이물질을 제거해서, 엘리베이터의 기동을 가능케 한다.
또, 청구항 9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이상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된 후 소정시간내에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하지 않을때에 이상검출신호가 출력되고, 그 이상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에 카도어의 재개폐지령을 출력하는 재개폐지령수단의 재개폐지령의 계수치가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함으로써, 제1스위치의 개로상태만으로, 카도어의 폐로를 확인해서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향상을 우선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청구항 10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와 상반하는 상태가 되었을 때, 이상검출수단에 의한 이상검출신호에 따라 재개폐지령수단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에 카도어의 재개폐지령을 출력시켜서 카도어를 재개폐동작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상검출신호의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는, 통지수단에 의해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함으로써, 제2스위치의 오프 이상 또는 온 이상에 따른 도어폐쇄이상인 것을 통보한다.
또, 청구항 1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청구항 10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된 후, 소정시간내에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하지 않을 때 제1의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통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1의 이상검출신호의 입력에 따른 제1의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함으로써 제2스위치의 오프 이상에 따른 식별된 도어폐쇄이상인 것을 통보한다.
또, 청구항 1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청구항 10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할 때에 제2의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통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의 이상검출신호의 입력에 따른 제2의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함으로써, 제2스위치의 온이상에 따른 식별된 도어폐쇄이상인 것을 통보한다.
[실시예 1]
이하, 이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제1도와 제4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기구구성은 제4도에 표시하는 종래구성과 같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제4도에 표시하는 카도어(21)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접근한 것을 검출하는 제1스위치(22)로부터의 상태신호와 상기 카도어(21)가 완전히 닫혀지는 끝부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제2스위치(28)로부터의 상태신호에 의해 카도어(21)가 완전히 닫혀 있는 것을 검지했을때에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후술하는 제어회로에 출력한후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이고, 상기 기동가능신호가 출력됨으로써, 제어회로는 카도어(21)가 완전히 닫혀 있다고 인식하고 엘리베이터는 기동을 개시한다.
2는 상기 제1스위치(22)의 온 신호의 출력후, 상기 제2스위치(28)로부터 온 신호가 한순간이라도 출력되었을때에, 그 신호상태를 보존해서 그후의 제2스위치(28)의 신호상태를 무시하도록 함으로써, 제2스위치(28)의 접촉불량등에 의한 신호의 온/오프 상태의 반복에 의한 도어폐쇄인식불량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계속 유지시키는 주행가능신호를 제어회로에 출력하는 주행계속 유지수단이고, 예를 들면 카도어(21)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어떤 원인에 의해 상기 제2스위치(28)만이 오프했을 때, 엘리베이터를 급정지하는 일 없이 서비스를 계속한다.
3은 엘리베이터 주행중에 상기 제2스위치(28)만이 오프되는 상태일때에 도어폐쇄불량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도어폐쇄불량검출수단, 4는 그 도어폐쇄불량검출신호를 계수해서 그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도어폐쇄이상신호를 출력하는 도어폐쇄불량검출계수수단으로, 상기 도어폐쇄이상신호는 후술하는 이상신호통지수단(11)에 출력되어서 이상신호통지수단(11)에 의해, 도어폐쇄이상이 발생한 것을 도시하지 않는 공중회선을 통해서 예를 들면, 관리인실이나 관리회사등의 감시소에 통지하게 된다.
또, 5와 6은 카도어(21)의 도어폐쇄시에, 제2스위치(28)의 상태신호가 제1스위치(22)의 상태신호와 상반하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 이상검출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이상검출수단으로, 예를 들면 제1스위치(22)가 온이 된 후, 소정시간후에 제2스위치(28)가 온되지 않을 때,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검출수단(5)으로부터 예를 들면 제2스위치(28)의 오프고장 또는 카도어(21)와 전주(24) 사이에 돌이나, 이물질등이 끼워진 상태로 인한 오프이상인 것을 표시하는 이상검출신호가 출력되고, 다른 한편, 제1스위치(22)가 오프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제2스위치(28)가 온되어 있는 경우에 제2스위치(28)의 온 이상검출수단(6)으로부터 제2스위치(28)의 온 고장 또는 제2스위치(28)의 스위치 주위에 먼지등의 이물질의 부착으로 인한 온 상태이상인 것을 표시하는 이상검출신호가 출력된다.
7은 상기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검출수단(5) 또는 제2스위치의 온이상검출수단(6)으로부터의 이상검출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카도어(21)를 일단 열도록 지령하고, 그후 소정시간 경과한 후에 다시 카도어(21)를 닫도록 지령하는 재개폐지령수단으로, 예를 들면 카도어(21)과 전주(24) 사이에 작은 돌이나 이물질이 끼거나 또는 제2스위치(28)의 스위치 주위의 먼지등의 이물질이 부착한 상태라도 다시 카도어(21)를 개폐함으로써 개폐에 따른 진동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가 있고, 이물질이 제거된 시점에서 엘리베이터의 기동을 가능케 한다.
8은, 상기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검출수단(5)으로부터의 이상검출신호와 상기 재개폐지령수단(7)로부터의 재개폐지령에 따라 재개폐지령을 계수해서 그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한 것을 인식했을때에 엘리베이터를 강제적으로 기동시키는 강제기동신호를 후술하는 제어회로(16)에 출력하는 강제기동지령수단으로, 예를 들면, 카도어(21)와 전주(24) 사이에 작은 돌이나 이물질이 끼워진 상태일 때 카도어(21)를 다시 개폐해도 제거할 수 없는 이물질이 낀 경우나, 상기 제2스위치(28)가 오프고장이 났을 때에, 제1스위치(22)가 온되어 있으면 카도어(21)는 거의 닫혀 있기 때문에 위험동작이 되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서비스향상을 우선시키는 경우에 효과적인 것이 된다.
9와 10은, 상기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검출수단(5)으로부터의 이상검출신호를 각각 계수해서 계수치가 소정치이상이 되었을 때 도어폐쇄이상신호를 후술하는 이상신호통지수단(11)에 출력하는 계수수단으로 상기 도어개폐지령수단(7)의 도어폐쇄지령에 따른 카도어(21)의 도어개폐동작에 의해서도,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검출수단(5)로부터의 이상검출신호가 소정치이상이 되었을 때는 제2스위치(28)가 오프고장이 발생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계수수단(9)으로부터 도어폐쇄이상신호를 이상신호통지수단(11)에 출력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를 요구한다.
또, 마찬가지로, 제2스위치의 온이상검출수단(6)으로부터의 이상검출신호가 소정치이상이 되었을 때는, 제2스위치(28)가 온고장이 발생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2스위치의 온이상계수수단(10)으로부터의 도어폐쇄이상신호를 이상신호통지수단(11)에 출력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를 요구한다.
11은, 상기 도어폐쇄불량검출수단(4)로부터의 도어폐쇄이상신호와 상기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계수수단(9)으로부터의 도어폐쇄이상신호 및 상기 제2스위치의 온이상계수수단(10)으로부터의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각각 입력해서 이들 도어폐쇄이상신호를 식별해서 도시하지 않은 공중회선을 통해서 예를 들면 관리인실이나 관리회사등의 감시소에 통지하는 이상신호 통지수단이다.
또, 12는 엘리베이터의 통상운전시이외에, 예를 들면 복수대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운전시나 설치운전시에 상기 제1스위치(22)만을 유효로 해서 상기 제2스위치(28)를 무효로 하도록 제2스위치(28)를 떼내어, 제1스위치(22)의 상태신호를 제2스위치(28)의 상태신호로 보고 출력하는 스위치분리수단이며, 예를 들면, 어떤 고장발생시에 엘리베이터의 카가 층간에 정지하고 그 후 가장 가까운 층까지 구출운전하는 경우에, 제2스위치(28)가 온하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가 가동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13은 상기 제2스위치(28)를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프래그를 메모리(14)에 기억설정하는 메모리기억설정수단이고, 예를 들면, 메모리(14)에 전기적으로 소거, 기록 가능한 판독전용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able Read only Memory, 이하 EEP ROM라 칭한다)를 사용하고, 예를 들면 메모리기억설정수단(13)으로 핸드헬드 컴퓨터등을 사용해서, 메모리(14)에 어드레스버스와 데이터버스를 핸드헬드컴퓨터와 직결함으로써, 메모리(14)를 재기록하는 방법등이 고려된다.
후술하는 메모리 또는 설치운전모드 설정수단으로부터의 프래그등에 의한 제2스위치의 무효설정입력에 따라 제2스위치(28)를 쉽게 분리가능케 함으로써, 예를 들면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군관리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1스위치(22)가 온되고 상기 제2스위치(28)가 온 될 때까지는 약간의 시간지연에 의해 군관리성능의 저하를 초래하나, 상기 제2스위치(28)의 신호를 무시함으로써, 군관리성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엘리베이터를 서비스할 수가 있다.
또, 엘리베이터의 혼잡상황을 군관리제어장치가 감시하고, 혼잡상황에 따라서 제2스위치(28)를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플래그를 상기 메모리(14)에 설정기억하도록 구성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5는 설치시에 설치운전모드를 설정하는 설치모드설정수단으로, 이 설치모드설정(15)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2스위치(28)를 유효 또는 무효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설치시는 빌딩내에 먼지나 쓰레기가 비교적 발생하기 쉬운 까닭에, 이 먼지나 쓰레기에 의해 상기 제2스위치(28)가 접촉불량을 일으켜 엘리베이터가 기동할 수 없게 가능성이 커진다.
그래서, 상기 설치모드설정(15)에 의해, 설치시킬 때는, 일시적으로 제2스위치(28)를 무효로 하는 것으로, 갑자기 엘리베이터가 기동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16은 이들 구성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기동 및 운전제어를 하는 제어회로로, 상기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1)으로부터의 기동가능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기동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주행계속수단(2)으로부터의 주행가능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계속 유지시키고, 상기 재개폐지령수단(7)으로부터의 재개폐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기동시에, 카도어(21)를 재개폐제어하고, 다시 상기 강제 기동지령수단(8)으로부터의 강제 기동 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강제 기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관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지금 스위치분리수단(12)에는, 메모리(14) 또는 설치운전모드설정수단(15)으로부터의 설정에 의해, 제2스위치(28)의 상태신호의 유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다고 본다.
이때, 제1스위치(22)의 상태신호와 상기 스위치분리수단(12)을 통한 제2스위치(28)의 상태신호가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1)에 입력되어서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1)에 의해 카도어(21)가 완전히 닫혀 있는 것을 검지하였을때는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가 제어회로(16)에 출력되어서 상기 기동가능신호가 출력됨으로써, 제어회로(16)는 카도어(21)가 완전히 닫혀 있다고 인식해서 엘리베이터의 기동을 개시시킨다.
따라서, 카도어(21)가 완전히 닫혀 있는 것을 인식한 후 엘리베이터를 기동시킬 수가 있고, 그 후는 통상의 제어에 의해 승객을 목적 층까지 안전하게 운전서비스할 수가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기동 후는 주행계속수단(2)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계속 유지시키는 주행가능신호를 제어신호(16)에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그후의 제2스위치(28)의 신호상태를 무시하도록 함으로써 제2스위치(28)의 접촉불량에 의한 신호의 온/오프상태의 반복에 의한 도어폐쇄인식불량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계속 유지시킬 수가 있으며, 카도어(21)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어떤 원인에 의해 상기 제2스위치(28)만이 오프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급정지하는 일없이 서비스를 계속할 수가 있다.
또, 엘리베이터 주행 중에 상기 제2스위치(28)만이 오프되는 상태에서는, 도어폐쇄불량검출수단(3)으로부터 도어폐쇄불량검출신호가 출력되고, 도어폐쇄불량검출수단(4)에 의해 도어폐쇄불량검출신호의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는 도어폐쇄이상신호가 이상신호통지수단(11)에 출력되어서, 이 이상신호통지수단(11)에 의해 도어폐쇄이상이 발생한 것을 도시하지 않은 공중 회선을 통해서 예를 들면 관리인 실이나 관리 회사 등의 감시소에 통지된다.
또, 제1도에 표시한 실시예 1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카도어(21)의 도어폐쇄시에, 제2스위치(28)의 상태 신호가 제1스위치(22)의 상태 신호와 상반되는 상태가 되었을 때는, 예를 들면, 제1스위치(22)가 온 된후, 소정시간후에, 제2스위치(28)가 온되지 않을 때에,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검출수단(5)로부터 제2스위치의 오프고장 또는 카도어(21)와 전주(24)사이에 작은 돌이나, 이물질등이 끼여 있는 상태로 인한 오프이상인 것을 표시하는 이상검출신호가 출력되고, 다른 한편, 제1스위치(22)가 호프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제2스위치(28)가 온되어 있을때에, 제2스위치의 온이상검출수단(6)으로부터 제2스위치(28)의 온고장 또는 제2스위치(28)의 스위치 주위의 먼지 등의 이물질의 부착으로 인한 온이상인 것을 표시하는 이상검출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검출수단(5) 또는 제2스위치의 온이상검출수단(6)으로부터의 이상검출신호가 출력되었을 때는, 재개폐지령수단(7)에 의해, 카도어(21)를 일단 열도록 지령하고, 그후, 소정시간 경과한 후에 다시 카도어(21)를 닫도록 지령하여 예를 들면, 카도어(21)와 전주(24)사이에 작은 돌이나 이물질이 끼거나 또는 제2스위치(28)의 스위치 주위에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한 상태라도 다시 카도어(21)를 개폐함으로써 개폐에 따른 진동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되며, 이물질이 제거된 시점에서 엘리베이터의 기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때 강제기동지령수단(8)에 의해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검출수단(6)으로부터의 이상검출신호와, 상기 재개폐지령수단(7)으로부터의 재개폐지령에 따라 재개폐지령을 계수해서 그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한 것을 인식했을 때는, 엘리베이터를 강제적으로 기동시키는 강제기동신호를 제어신호(16)에 출력하도록 되어 예를 들면 카도어(21)와 전주(24)사이에 작은 돌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였을 때에 카도어(21)를 재차 개폐하여도 제거할 수 없는 이물질이 끼었을 때나, 상기 제2스위치(28)가 오프고장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 제1스위치(22)가 온되어 있으면 카도어(21)는 거의 닫혀 있어 위험 동작이 되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향상을 우선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또, 상기 도어개폐지령수단(7)의 도어폐쇄지령에 따른 카도어(21)의 도어폐쇄 동작에 의해서도,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검출수단(5)로부터의 이상검출신호가 소정치이상이 되었을 때는, 제2스위치(28)가 오프고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계수수단(9)로부터 도어폐쇄이상신호를 이상신호통지수단(11)에 출력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를 요구하고, 마찬가지고, 제2스위치의 온이상검출수단(6)으로부터의 이상검출신호가 소정치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제2스위치(28)가 온 고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2스위치의 온이 계수수단(10)으로부터의 도어폐쇄이상신호를 이상신호통지수단(11)에 출력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를 요구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상신호통지수단(11)은, 상기 도어폐쇄불량검출수단(4)로부터의 도어폐쇄이상신호와 상기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계수수단(9)으로부터의 도어폐쇄이상신호 및 상기 제2스위치의 온이상계수수단(10)으로부터의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각각 입력해서, 이들 도어폐쇄이상신호를 식별해서 도시하지 않은 공중회선을 통해서 예를 들면 관리인 실이나 관리 회사 등의 감시소에 통지하도록 된다.
또, 제1도에 표시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시 이외, 예를 들면 복수대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운전시나 설치 운전시에는, 스위치분리수단(12)에 의해 상기 제1스위치(22)만을 유효로 해서, 상기 제2스위치(28)를 무효로 하게끔 제2스위치(28)를 분리시켜, 제1스위치(22)의 상태신호를 제2스위치(28)의 상태신호로 보고 출력함으로써, 예를 들면 어떤 고장발생시에 엘리베이터의 카가 층간에 정지하고, 그후 가장 가까운 층까지 구출운전할때에 제2스위치(28)가 온하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가 기동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군관리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1스위치(22)가 온해서, 상기 제2스위치(28)가 온 할 때까지에는 약간의 시간 지연에 의해 군관리성능의 저하를 초래하나, 상기 제2스위치(28)의 신호를 무시함으로써, 군관리성능을 손상하는 일없이 엘리베이터를 서비스 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설치시는, 빌딩 내에 먼지나 쓰레기가 비교적 발생하기 쉬움으로 해서, 이 먼지나 쓰레기에 의해 상기 제2스위치(28)가 접촉불량을 일으켜 엘리베이터가 기동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상기 설치모드설정(15)에 의해, 설치시에는, 일시적으로 제2스위치(28)를 무효함으로써, 준비성 없이 갑자기 엘리베이터가 기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제2도에서, 2를 제외한 1 내지 16은 제1도에 표시한 실시예 1과 같은 부분을 표시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새로운 구성으로서 17은, 엘리베이터의 기동후, 제2스위치(28)가 소정시간 이상 개로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중단하고 최인근층에 정지시키는 최인근층정지지령을 제어신호(16)에 출력하는 최인근층정지지령수단이다.
즉 종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주행 중에 상기 제2스위치(28)만이 개로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를 급정지시키고 있었으나, 이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상기 최인근층정지지령수단(17)을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주행 중에 상기 제2스위치(28)만이 개로되었을때도 엘리베이터를 급정지시키는 일없이 승객을 안전하게 최인근층으로 운전할 수가 있다.
기타는, 실시예 1과 같이 동작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으로 접근했을 때에 폐로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도달했을 때 폐로하는 제2스위치와, 이들 제1 및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기동 및 운전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한 상태일 때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된 상태일 때,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가 제어수단에 출력되어, 엘리베이터가 기동함으로써, 승객을 목적 층에 안전하게 운전 서비스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청구항 2에 의하면, 상기 제1과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한 상태일 때에,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과, 엘리베이터의 기동후, 상기 제2스위치가 개로해도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계속 유지시키는 주행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주행계속유지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주행계속유지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기동후는, 상기 제2스위치가 개로하여도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계속 유지시키는 주행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함으로써, 주행중에 어떤 원인에 의해, 제2스위치만이 오프되었을때도 엘리베이터를 급정지시키는 일 없이 서비스를 계속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청구항 3에 의하면, 상기 제1과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한 상태일 때에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과, 엘리베이터의 주행중에 상기 제2스위치만이 개로하는 상태일 때 도어폐쇄불량검출수단신호를 출력하는 도어폐쇄불량검출수단과, 그 도어폐쇄불량검출신호를 계수해서 그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도어폐쇄불량검출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주행중에, 상기 제2스위치만이 개로하는 상태일때에 도어폐쇄불량검출신호가 출력되고, 그 도어폐쇄불량검출신호의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했을때에, 통지수단에 의해서,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함으로써, 감시소에서 제2스위치만이 개로하는 상태의 도어폐쇄불량을 검출가능하게 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청구항 4에 의하면, 상기 제1과 재개폐지령2스위치가 함께 폐로된 상태일 때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과, 스위치분리설정의 입력시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의 실제의 상태신호를 무효로 하고, 상기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만을 유효로 하며, 그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를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로서 출력하는 스위치분리제어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통상 서비스 운전이외의 엘리베이터의 설치시나 군관리제어운전모드시에는, 상기 제2스위치를 무효로 함으로써 제2스위치의 접촉불량에 의해 일어나는 엘리베이터의 기동불량상태나, 제2스위치가 온할때까지 시간지연에 의한 군관리 성능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또, 청구항 5에 의하면, 상기 제1과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된 상태일 때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과, 엘리베이터의 기동후, 상기 제2스위치가 소정시간 이상 개로했을때에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중단하고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최인근층정지지령을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최인근층정지지령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제2스위치만이 오프했을때도 엘리베이터를 급정지시키는 일 없이, 승객을 안전하게 가장 가까운 층에 운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청구항 6에 의하면,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와, 상반하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이상검출수단과, 그 이상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에 카도어의 재개폐지령을 출력하는 재개폐지령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카도어의 재개폐동작에 따른 진동에 의해 상기 이상검출신호의 원인이 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엘리베이터의 기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청구항 7에 의하면, 청구항 6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을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된 후, 소정시간내에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하지 않을 때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카도어와 전주사이에 작은 돌이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끼었을 때에, 카도어의 재개폐동작에 따른 진동에 의해 상기 이상검출신호의 원인이 되는 이물질을 제거해서, 엘리베이터의 기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청구항 8에 의하면, 청구항 6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을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 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할 때에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제2스위치 주위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한 상태시에, 카도어의 재개폐동작에 따른 진동에 의해 상기 이상검출신호의 원인이 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엘리베이터의 기동을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청구항 9에 의하면,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된 후, 소정시간내에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하지 않을 때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수단과, 그 이상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에 카도어의 재개폐지령을 출력하는 재개폐지령수단과, 상기 이상검출신호의 입력에 따라 재개폐지령을 계수해서 그 계수치가 소정치에 달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강제기동지령을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강제기동지령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제1스위치의 개로상태에만 의해, 카도어의 폐로를 확인해서 엘리베이터의 서비스의 향상을 우선시키는 것을 가능케 한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 10에 의하면,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와 상반되는 상태가 되었을 때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이상검출수단과, 그 이상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에 카도어의 재개폐지령을 출력하는 재개폐지령수단과, 상기 이상검출신호를 계수해서 그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이상검출수단에 의한 이상검출신호에 따라서 재개폐지령수단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에 카도어의 재개폐지령을 출력시켜 카도어을 재개폐동작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상검출신호의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했을때는, 통지수단에 의해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함으로써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 또는 온이상에 따른 도어폐쇄이상인 것을 통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청구항 11에 의하면, 청구항 10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을,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한 후, 소정시간내에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되지 않을 때 제1의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통지수단을, 상기 제1의 이상검출신호의 입력에 따른 제1의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하도록 함으로써, 제2스위치의 오프이상에 따른 식별된 도어폐쇄이상인 것을 통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청구항 12에 의하면, 청구항 10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을,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할 때에 제2의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통지수단을, 상기 제2의 이상검출신호의 입력에 따른 제2의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로 통지하도록 함으로써 제2스위치의 온이상에 따른 식별된 도어폐쇄이상인 것을 통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2)

  1. 엘리베이터의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접근했을 때에 폐로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도달했을 때에 폐로하는 제2스위치와, 이들 제1과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기동 및 운전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한 상태일 때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인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 엘리베이터의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접근했을 때에 폐로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도달했을 때에 폐로하는 제2스위치와, 이들 제1과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기동 및 운전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한 상태일 때에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과, 엘리베이터의 기동후, 상기 제2스위치가 개로하여도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계속 유지시키는 주행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주행계속유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 엘리베이터의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접근했을 때에 폐로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도달했을 때 폐로하는 제2스위치와, 이들 제1과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기동 및 운전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한 상태일 때에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과, 엘리베이터의 주행중에, 상기 제2스위치만이 개로되는 상태일 때에, 도어폐쇄불량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도어폐쇄불량검출수단과, 그 도어폐쇄불량검출신호를 계수해서, 그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4. 엘리베이터의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접근했을 때에 폐로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도달했을 때에 폐로하는 제2스위치와, 이들 제1과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기동 및 운전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한 상태일 때에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과, 스위치분리설정의 입력시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의 실제의 상태신호를 무효로 해서 상기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만을 유효로 하고 그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를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로서 출력하는 스위치분리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5. 엘리베이터의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접근했을 때에 폐로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도달했을 때에 폐로되는 제2스위치와, 이들 제1 및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기동 및 운전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스위치가 함께 폐로한 상태일 때 엘리베이터의 기동가능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도어폐쇄완료인식수단과, 엘리베이터의 기동후, 상기 제2스위치가 소정시간 이상 개로했을때에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중단하고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최인근층정지지령을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최인근층정지지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6. 엘리베이터의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접근했을 때에 폐로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도달했을 때에 폐로하는 제2스위치와, 이들 제1과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기동 및 운전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와 상반되는 상태가 되었을 때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수단과, 그 이상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에 카도어의 재개폐지령을 출력하는 재개폐지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은,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한 후, 소정시간내에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하지 않을 때,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단은,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할때에 상기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9. 엘리베이터의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접근했을 때에 폐로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도달했을 때에 폐로하는 제2스위치와, 이들 제1 및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기동 및 운전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된 후에 소정시간내에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되지 않을 때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수단과, 그 이상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에 카도어의 재개폐지령을 출력하는 재개폐지령수단과, 상기 이상검출신호의 입력에 따라 재개폐지령을 계수해서 그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강제기동지령을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가제기동지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0. 엘리베이터의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접근했을 때에 폐로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카도어가 닫혀지는 끝부분에 도달했을 때에 폐로하는 제2스위치와, 이들 제1 및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기동 및 운전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2스위치의 상태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의 상태신호와 상반되는 상태가 되었을 때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수단과, 그 이상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에 카도어의 재개폐지령을 출력하는 재개폐지령수단과, 상기 이상검출신호을 계수해서 그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은,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한 후, 소정시간내에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하지 않을 때에 제1의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제1의 이상검출신호의 입력에 따른 제1의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단은, 상기 카도어의 도어폐쇄시에, 상기 제1스위치가 폐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가 폐로할때에 제2의 이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제2의 이상검출신호의 입력에 따른 제2의 도어폐쇄이상신호를 감시소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1019940020293A 1993-11-22 1994-08-17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0150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178693A JP3331029B2 (ja) 1993-11-22 1993-11-22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93-291786 1993-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67A KR950013967A (ko) 1995-06-15
KR0150044B1 true KR0150044B1 (ko) 1998-10-15

Family

ID=1777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293A KR0150044B1 (ko) 1993-11-22 1994-08-17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31029B2 (ko)
KR (1) KR0150044B1 (ko)
CN (1) CN109411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0936B1 (en) * 2000-05-09 2001-12-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ehavior reported in occurrence-related groups
EP2567926B1 (de) * 2011-09-06 2013-10-09 Cedes AG Schaltungseinrichtung, Sicherungsvorrichtung sowie Aufzugvorrichtung
JP5419938B2 (ja) * 2011-09-08 2014-02-19 リンナイ株式会社 衣類乾燥機
CN104583107B (zh) * 2012-10-08 2016-08-31 富士达株式会社 电梯关闭确认装置
CN105246810A (zh) 2013-03-22 2016-01-13 奥的斯电梯公司 通过探测组件的使用寿命进行的预防性维护
CN103332551B (zh) * 2013-07-10 2015-10-21 嘉兴市华东建设机械有限公司 配重内置式施工升降机
CN103332546A (zh) * 2013-07-10 2013-10-02 嘉兴市华东建设机械有限公司 吊笼天窗及吊笼
EP3333110B1 (en) * 2016-12-09 2022-05-1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system,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CN106743333B (zh) * 2016-12-21 2020-01-14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胶带机打滑保护系统的自检方法和装置
CN107473044B (zh) * 2017-09-30 2019-05-14 广东铃木电梯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解困功能的电梯系统及方法
CN108382944A (zh) * 2017-12-31 2018-08-10 杭州句力科技有限公司 一种门机防撞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482A (ja) * 1985-04-01 1986-0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かご扉の閉扉確認装置
JPH03288786A (ja) * 1990-04-02 1991-12-1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110C (zh) 2002-11-13
JP3331029B2 (ja) 2002-10-07
JPH07144859A (ja) 1995-06-06
CN1111594A (zh) 1995-11-15
KR950013967A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044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EP1518814B1 (en) Door control device of elevator
RU2136573C1 (ru) Система лифта
JP2001080836A (ja) 昇降路の出入りにおける安全性確保の方法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08156092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2方向ドア型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非常用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US5107975A (en) Control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KR920010419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
JPH1023108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WO2004070186A1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1021536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JPH0731571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9240951A (ja) エレベータの呼び装置
JPH1135240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508892B2 (ja) 自動車用エレベ―タの呼登録装置
KR100802981B1 (ko) 엘리베이터의 개문발차 방지를 위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JPH0125648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3118944A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制御装置
JPH04153168A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3243535B2 (ja) 建築用電動シヤツターにおけるリミツト位置の判断装置
KR850001705Y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H08259138A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内の運転盤いたずら防止装置
JPH0224988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7277654A (ja) マンコンベアの制御方法
JPH01121489A (ja) シヤッターにおける安全制御装置
JPH0124738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