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902B1 - 비이온성 탄화 플루오르 계면 활성제를 갖는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 - Google Patents

비이온성 탄화 플루오르 계면 활성제를 갖는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902B1
KR0149902B1 KR1019940030567A KR19940030567A KR0149902B1 KR 0149902 B1 KR0149902 B1 KR 0149902B1 KR 1019940030567 A KR1019940030567 A KR 1019940030567A KR 19940030567 A KR19940030567 A KR 19940030567A KR 0149902 B1 KR0149902 B1 KR 0149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water
coating
photoinit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020A (ko
Inventor
케이. 바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제럴드 켄트 화이트
모르톤 인터내쇼날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럴드 켄트 화이트, 모르톤 인터내쇼날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럴드 켄트 화이트
Publication of KR950024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03F7/033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the binders being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8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or agents facilitating spreading, e.g. tensio-active ag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75Silicon-containing compou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73Mas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5K3/02 - H05K3/46, e.g.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patterned surfaces
    • H05K3/0076Mas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5K3/02 - H05K3/46, e.g.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patterned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s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0Radiation imagery chemistry: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thereof
    • Y10S430/1053Imaging affecting physical property or radiation sensitive material, or producing nonplanar or printing surface -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binder containing
    • Y10S430/1055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 Y10S430/106Binder containing
    • Y10S430/107Polyamide or polyureth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0Radiation imagery chemistry: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thereof
    • Y10S430/1053Imaging affecting physical property or radiation sensitive material, or producing nonplanar or printing surface -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binder containing
    • Y10S430/1055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 Y10S430/106Binder containing
    • Y10S430/111Polymer of unsaturated acid or es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Pap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성 수용액 중에서 현상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카르복실산 작용성을 갖는 라텍스 결합제 중합체, 광중합성 단량체 단편, 광개시제 화학시스템 및 플루오로 지방족 옥시에틸렌 부가물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인성 광 상 형성 조성물 또는 감광성 내식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비이온성 탄화 플루오르 계면 활성제를 갖는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예를들어 인쇄 회로 판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감광성 내식막, 및 더욱 구체적으로 액체 도포된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에 관한 것이다.
인쇄 회로, 인쇄판, 납땜 마스크 등의 형성을 위한 내식막으로서 유용한 광결상성 조성물은 지금까지 잠시동안 사용되어 왔다. 초기의 감광성 내식막은 용매 부유성이고 용매-현상 가능하였다. 수성-현상 가능한 내식막의 개발은 인접한 작업장 및 일반 환경에서 용매의 방출을 감소시키는 정도를 향상시켰다. 작업장과 일반 환경 둘다로부터 유기 용매를 감소시키려는 계속된 강조는 수성 액체로서 조성 및 도포되는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에 대한 연구를 야기시켜 왔다.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인용한 미합중국 특허 제5,045,435호에는 알칼리성 수용액중에서 현상할 수 있는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다작용성 단량체, 광개시제 및 수-불용성 카르복실화된 아크릴 공중합체의 라텍스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을 안정화시키고 점도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특허는 암모니아, 기타 아민 또는 수산화 나트륨과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라텍스 중합체를 25% 이상으로 중화시킴을 교시하고 있다.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 액체와 같은 액체는, 상기 액체와 기재간의 인력이 상기 액체내의 응집력보다 강한 경우 표면을 단지 습화시키며 또한 표면상에 퍼질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액체의 표면 에너지는 기재의 표면 에너지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하가 되어야만 한다. 이로써, 표면 에너지가 35dynes/cm인 구리 기재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표면 에너지가 72dynes/cm인 물의 표면 에너지를 감소시켜야만 한다. 이것은 적절한 계면 활성제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친수성과 소수성 모두를 지닌 물질이다. 계면 활성제는 탄화수소류, 실리콘류 및 플루오로케미칼류의 3개의 주요 화학 부류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 명칭은 상기 분자의소수성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다. 상시 소수성 부분은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는 친수성기에 결합된다.
출원인들은 탄화수소 계면 활성제 및 실리콘 계면 활성제 어느 것도 수부유성 광결상성 조성물중의 계면 활성제로서 적합치 않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모든 우유형의 계면 활성제가 충분히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하더라도, 탄화수소 및 실리콘 계면 활성제는 상기 구리 기재를 탈액체화시키는데 있어서 문제점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탈액체화는 부적합한 코팅으로 귀결되는 공동을 산출한다. 더욱이, 상기 광결상성 조성물을 도금 내식막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위 중탕 불량을 유발하는 상기 도금 용액에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로 부터의 실리콘을 용해시킬 수 있다. 상기 주요 게면 활성제류중에, 탄화수소계 계면 활성제는 액체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가장 적어서 이형 코팅을 제조하지 못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화수소계 계면 활성제는 수부유성 코팅을 산출하고자 하는 목적에 상반되는, 코팅중의 전체 휘발성 유기 성분(VOC)에 기여한다.
상기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 제 5,045,435호는 탄화 플루오르계 계면 활성제(상표명 FLUORAD FC-431 및 FC-120으로 시판됨)를 수부유성 광결상성 조성물에 사용하는 실시예을 제공한다. 출원인들은 이들 모두가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음이온성인 FC-120은 충분히 습화시키지만 포움화(foaming)를 증가시키는 반면, 비이온성인 FC-431 은 코팅의 모든 결점들을 제거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덜 적절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구리 기재와 같은 기재상의 코팅에 대한 표면 장력을 충분히 감소시키고, 수분을 제거하지 못하며, 또한 포움화를 일으키지 않는 수부유성 광결상성 조성물에 대한 계면활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부유성 광결상성 조성물은
A) 약 50 내지 약 250 의 산가를 제공하는 산작용성, 예를들어, 카르복실산 작용성 또는 술폰산 작용성을 갖는 라텍스 결합제 중합체 약 30 내지 약 80 중량%.
B) 알파, 베타-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들) 약 15 내지 약 50 중량%,
C)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는 광개시제 또는 광개시제 화학 시스템 약 0.1 중량5 내지 및 약 25 중량%
D) 상기 광결상성 조성물을 수성에멀젼으로 안정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중화염기 및/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결합된 증점제 약 1 내지 약 40 중량% ; 및
E) 플루오로 지방족 옥시에틸렌 부가물인 계면 활성제 약 0.3 내지 약 10중량%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중량% 는 성분 A 내지 E 의 총 중량을 기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결상성 조성물에 유용한 라텍스 결합제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비닐, 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 단량체 같은 알파, 베타-불포화 단량체의 에멀젼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충분한 산 작용성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 약 50 내지 약 250, 바람직하게는 약 100 이상의 산가를 제공할 수 있다. 전형적인 에멀젼 중합 과정 및 적합한 유화제의 몇가지 예는 미합중국 특허 제 3,929,74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인용하였다. 또한 적합한 유화제는 시판품, 예를들어, 미합중국 ICI 레진스에서 시판되는 네오크릴R(NeocrylR) CL-340 (40% 고체)과 롬 앤드 하스에서 시판되는 아크리솔R(AcrysolR) I-2074 (46% 고체)로서 수득할 수 있다.
산 작용성 결합제 중합체를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적합한 산 작용성 단량체는 하기 일반식을 갖는다 :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n이 1 내지 6의 정수인 (CH2)n 이며,
R3는 C1-6알킬렌기 또는 페닐렌기이고,
R4들은 동일 또는 상이한 것으로 CH2및 CHOH에서 선택된다.
적합한 산 작용성 단량체의 몇가지 특정 예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올릴 포스페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올 포스페이트, 2-히드록시-알파-아크릴오일 포스페이트 등이 있다. 상기 산 작용성 단량체중 하나 이상은 결합제 중합체를 형성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산 작용성 단량체는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옥틸 아클리레이트, 2-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3-프로판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데카메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데카메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2,2-디메틸올 프로판 디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2,2-디(P-히드록시페닐)-프로판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옥시에틸-2,2-디(p-히드록시페닐)-프로판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옥시 프로필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3-프로판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2,4-부탄트리올 트리메타크릴레이트,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1-페닐 에틸렌-1,2-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1,4-벤젠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비-산 작용성 단량체 ; 2-메틸 스티렌과 같은 스티렌 및 치환된 스티렌, 및 비닐 아크릴레이트 및 비닐 메타크릴레이트 같은 비닐 톨루엔 및 비닐 에스테르와 공중합 할 수 있어 목적하는 산가를 제공한다.
광결상성 조성물이 접촉 상형성가능하게 하기 위해, 즉, 점착성이 없는 상태로 건조시키기 위해, 라텍스 결합제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20℃/min으로 측정할 경우 약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스티렌 스탠다드를 사용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S)로 측정한 경우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약 500 내지 약 200,000 이다.
상을 형성하기 위해, 이 음성-작용 광결상성 조성물은 광중합성 단량체, 특히 다작용성 단량체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는 알파, 베타-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한다. 유용한 단량체는 결합제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상기 것을 포함한 것들이다. 특히 적합한 단량체는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EGDA),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라아크릴레이트(TMPTA), 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BDDMA)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TA)와 같은 다작용성 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한다. 단량체 부분은 수용성 및 수-불용성 단량체 둘다를 포함할 수 있지만 ; 단량체 부분은 전체 단량체 부분이 수-불용성이 되기에 충분하도록 높은 비율, 예를들어, 약 20몰% 이상의 (20℃ 에서의 수 용해도가 약 0.3g/100ml 이하인) 수-불용성 단량체를 포함해야 한다.
화학방사선에 노출시 단량체의 중합을 개시하기 위해, 광결상성 조성물은 적합한 광개시제(들) 또는 광개시제 화학 시스템을 포함한다. 적합한 광개시제는 벤조인 에테르, 벤질 케탈,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및 아민 관련 화합물을 포함한다. 개시제는, 2-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같은 티오크산톤, 특히 아민-결합된 티오크산톤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수부유성 광결상성 조성물은 플루오로 지방족 옥시에틸렌 부가물인 계면 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일반식 CF3(CF2)n-Y-Xm-Z (상기에서, n은 0 내지 20 이고, y는 SO2-N(C1-C10알킬)이며, X는 CH2-CH2-O 또는 CH(CH3)-CH2-O 이며, m은 0 내지 20 이고, Z는 CH2-CH2-OH 또는 CH(CH3)-CH2-OH 임)을 가진다.
결합제 수지체를 포함하며 에멀젼의 안정화가 필요하다. 에멀젼의 안정화는 상기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 제 5,045,4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염기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멀젼의 안정화 및 점도 조절은 상기 출원서의 연장부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 08/199,03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결합된 증점제를 사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증점제는 소수성 이소시아네이트의 잔기인 2 개 이상의 소수성 단편을 갖는 중합체이며, 통상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 작용성이 2 이상이고, 우레탄 결합기에 의해 소수성 단편을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친수성 폴리에테르 단편을 갖는다. 결합된 증점제로서 작용하는 블록 중합체는 ABA, (AB)n, 스타 중합체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 단편는 폴리(알킬렌 산화물) 단편으로부터 형성되며, 프로필렌 산화물 및 에틸렌 산화물과 같은 단량체로부터 형성된다. 충분히 친수성이 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약 3 몰% 이상의 폴리(알킬렌 산화물) 단편(들)이 에틸렌 산화물 잔기임이 필요하다. 이소시아네이트 잔기의 소수성 부분은 전형적으로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방향족 부분이다.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결합된 증점제 및 그의 기능은, 예를들어 문헌 [참조 : A.J.M. knoef 및 H. Slingerland, Urethane-Based Polymeric Thickeners for Aqueous Coating Systems JOCCA, sept. 1992. pp. 335-338 ; J.H. Bieleman 등, Polymers paint Colur Journal 1986, V. 176(4169) pp. 450-460 ; 및 A.J. whitton 및 R,E. Van Doren Polymers Paint Colur Journal 1991, V. 181(4286) pp. 374-377]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적합한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결합된 증점제와 그의 합성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 4,079,028호(Emmons 등)에 개시되어 있고, 이를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인용하였다. 또한, 적합한 폴레에테르 폴리우레탄 결합된 증점제는 미합증국 특허 4,426,485호 (Hoy 등) 및 제4,743,698호(Ruffner 등)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을 각기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인용하였다. 시판되는 적합한 결합된 증점제의 예는 DSX 1514(헨겔)와 QR 708(롬 앤드 하스)이다.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결합된 증점제를 사용함으로써, 결합제 중합체 라텍스의 중화가 덜 필요해진다. 몇몇 경우에서는 중화가 필요 없다. 기타 경우에서는, 결합제를 결합제 중합체의 균등한 산 작용성의 약 20% 이하로 중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는 결합제 중합체의 산 작용성의 약 2% 이상을 중화하기 위해 염기가 부가될 것이다. 중화는 암모니아; 1차-, 2차-, 또는 3차-아민 ; 또는 수산화물과 함게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중화 염기는 히드록시 작용성 3차 아민이다. 적어도 다소의 중화제를 대신한 겨합된 증점제의 첨가에 의해 더 매끄럽고 더 균일한 코팅이 허용된다. 개선된 코팅의 품질에 의해 코팅내의 얇은 반점 또는 바늘 구멍에 의해 야기되는 회로판내 잠재적인 결점이 최소화된다. 부가로, 결합된 증점제를 갖는 광결상성 조성물을 로울러 코팅을 사용하여 도포하는 경우 이는 보다 낮은 로울러 압축하에서 더 매끄러운 코팅을 생성하게 된다. 낮은 로울러 압축으로 인하여 고무 로울러의 수명은 연장된다.
중화제를 감소시킴으로써, 도포되어 건조된 광결상성 조성물층의 내약품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암모니아 또는 아민 사용이 감소될 경우, 냄새도 감소된다. 결합된 증점제는 수성 광결상성 조성물의 점도유동을 감소시킨다. 고 전단 응력하에서도 점도는 안정하려는 경향이 있다.
상기한 성분 A 내지 E 에 부가하여, 소포제, 산화 방지제, 염료, 접착 촉진제, 활제 및 표면 장력 조절제를 포함하는 종래의 첨가제를 소량(통상적으로 A 내지 E 의 중량을 기준하여 약 1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부유성 광결상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에서 있어서는, 소수성 상과 상용성인 개시제, 산화 방지제 및 염료와 같은 성분들을 단량체 단편과 혼합하여 단량체 베이스를 생성하고, 소포제, 중화제, 계면 활성제 및 결합된 증점제 같은, 라텍스 중합체를 갖는 수성상과 가장 상용성인 성분들을 혼합하여 증합체 혼합물을 형성시킨다. 소수성 상과 중합체 혼합물을 혼합하여 물 유화제 중 소수성 상을 형성시킨다. 이어서, 고 비등 용매와, 활제, 표면 장력 조절제, 및 접착 촉진제를 비롯하여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다.
최종의 수부유성 조성물의 고체 함량은 통상적으로 약 20 내지 약 40 중량% 이다. 상기 수부유성 조성물은 결합제 약 10 내지 약 30 중량%, 단량체 약 3 내지 20 중량%, 개시제 약 0.3 내지 약 10 중량%, 중화 염기 및/또는 증점제 약 1.5 내지 약 20 중량%, 및 플루오로 지방족 옥시에틸렌 부가물 계면 활성제 약 0.06 내지 약 2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용매부유성 광결상성 조성물을 코팅 업계에 공지된, 로울 코팅, 침지 코팅, 분무 코팅 또는 커튼 코팅과 같은 임의의 코팅 체계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액체 조성물로서 금속 클래드 블랭크 적층물에 또는 중합성 지지체 시이트에 직접 도포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도포하여 건조 필름을 형성시킨다.. 코팅후, 조성물을 건조시켜 물은 물론 암모니아 또는 아민, 물 등과 같은 휘발성 물질도 제거하고, 이로써 용액 중합체가 산성 또는 중성 수성 매질내에서 불용성이 되도록 한다. 광결상성 조성물이 건조될 때, 그 시스템은 연속 필름으로 합체된다. 건조에 의해 수분 제거가 촉진되고, 암모니아 또는 휘발성 아민을 완전히 방출시키기 위해서는 다소의 승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는 약 9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필름을 형성시키는데 있어서는, 수부유성 조성물을 가요성 지지체 시이트,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도포한 다음, 건조시켜 수분과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다. 이어서, 보호성 시이트, 예를들어, 폴리에틸렌 광결상성 조성물층에 도포하고 건조필름을 릴로 감는다. 광결상성 조성물층을 건조함에 있어서, 몇몇 경우에서 잔존 수분 함량을(광결상성 조성물 층의 고체에 대해)약 1 내지 약 2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함이 밝혀졌다. 기질, 예를들어 구리-클래드판에 적층되는 경우, 이 잔존 수분은 광결상성 조성물 층이 기질의 표면 결함에 순응하도록 한다.
공정은 종래 방법으로 수행한다. 전형적인 과정에서 액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거나 건조 필름으로 부터 층으로서 이전된 광결상성 조성물층은 구리-클래드 판의 구리표면에 도포된다. 광결상성 조성물층은 적당한 제품을 통해 화학방사선에 노출시킨다. 화학선에의 노출은 광-노출된 부위내에서 단량체를 중합시키고, 그 결과 현상제에 대하여 내성을 갖는 가교 결합된 구조가 수득된다. 이어서, 1% 탄산나트륨 용액과 같은 묽은 알칼리성 수용액내에서 조성물을 현상시킨다. 알칼리 용액은 결합제 중합체의 카르복실기와 염 형성을 야기시켜서, 상기 카르복실기가 용해 가능하고 제거 가능하게 되도록 한다. 현상후, 내식막이 제거된 부위로부터 구리를 제거하기 위해 부식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인쇄 회로가 형성된다. 이어서, 잔존하는 내식은 적합한 스트립퍼(stripper)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수부유성 광상 형성 감광성 내식막 뿐아니라 납땜 마스크-형성 조성물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납땜 마스크란, 자격/적합성에 대한 기준 요약, 표 12, IPC-SM-84 OB (상호 연결 회로 협회)에 정의된 내마모성 시험의 적어도 최소 요구를 충족시키는 경질의 영구한 층을 의미한다. 경질이고 영구적이게 제조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예를들어 열 및/또는 자외선 경화를 이용하여 판을 노출, 현상 및 가공한 후에도 광결상성 조성물을 경화 가능하게할 필요가 있다. 후-경화를 제공하는 한 방법은, 예를들어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 같은 아미노플라스트 수지와 가교 결합시킴으로써 경화될 수 있는, 골격내에 유리-OH 기를 갖는 결합제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는, 광결상성 조성물은 상용성 에폭시 수지 및 에폭시 수지에 대한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부유성 광결상성 조성물은 구리 기질에 도포한 후 뛰어난 저장 수명을 나타내며 며칠 이상동안 구리-클래드판상에 잔존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다음에, 하기의 특정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일층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실시예1 내지 4]
수부유성 광결상성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따라 제제화하였다. 양은 g이다.
중화제 2, 3g은 약 15%의 중화율을 나타내고; 중화제 4.5g 은 약 30%의 중화율을 나타낸다. 성능자료는 하기 표 2에 따른 것이다. 표 1에서 단량체 베이스는 표 3에 의한 것이며 ; 모든 재료를 함께 혼합하고 여과한 다음 수성 부분에 첨가한다.
[처리 조건]
·코팅 - 버클(단면) 로울러 코팅기, 1 인치 당 22 개의 쓰레드.
·기질 - 구리 클래드.
·노출 - HMW ORC, 모델 301B, 디아조 제품.
·현상 -1% 탄산나트륨일수화물, 85℉, 2×파괴점.
·부식 - 3N 염화 제이 구리, 140℉, 1.3×최소부식.
·스트리핑 - 3% 수산화나트륨, 130℉
[성능설명]
·점도 - 70·F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초기 및 1주후에 측정된 값.
·냄새 - 냄새는 코팅후 건조전에 발생한다.
·유화제 안정성 - 안정성은 래커 혼합물의 총 균일성을 기준하여 평가한다.
·내알칼리성 - 내성은 pH 9.2에서 알칼리성 부식후 측정한다.
·코팅 결함 - 로울러 코팅후 코팅 공극(얇은 얼룩)의 수를 계수한다.
·코팅 균일성 - 균일성은 코팅직후 관찰한다.
·현상시간 - 비노출된 내식막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두배.
·광속 - 스토우퍼 21 단계를 이용하여 마지막 잔존 단계를 측정한다.
(각각의 단계는씩 변화한다).
(주 : 더 높은 단계는 더 큰 중합 정도를 나타낸다).
· 회로 패턴 결합 - 회로의 개폐 총횟수를 측정한다.
(주 : 4밀 라인과 4 밀 스페이스를 포함한 제품 패턴).
[실시예 5]
본 발명에 의한 다수의 계면 활성제(FC170C) 및 본 발명에 의하지 않는 기타 계면 활성제를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제제를 사용하였다. 포움화 및 코팅결함 데이터를 하기 표에 요약하였다.
*포움화 높이는 500rpm 으로 교반한지 15분후에 측정하였음.
[실시예 6]
FC170C 의 양을 달리한 것외에는, 실시예 1의 제제를 코팅시켰으며, 포움화 및 코팅 결함 데이터를 하기 표에 요약하였다.
*포움화 높이는 500 rpm 으로 교반한지 15분후에 측정함
** 퍼센트(%)는 고체 100%를 기준으로 한 것임.

Claims (3)

  1. A) 50 내지 250의 산가를 제공하는 카르복실산 작용성을 갖는 라텍스 결합제 중합체 약 30 내지 80 중량%, B) 알파, 베타-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부분 15 내지 50 중량%, C) 자유 라디칼을 형성시키는 광개시제 또는 광개시제 화학 시스템 0.1 내지 25 중량%, D) 상기 라텍스 결합제 중합체의 에멀젼을 안정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중화염기 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또는 중화염기와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결합된 증점제 약 1 내지 40중량% ; 및, E) 일반식 CF3-(CF2)n-Y-Xm-Z (상기에서, n은 0 내지 20 이고, y는 SO2-N(C1-C10알킬)이며, X는 CH2-CH2-O 또는 CH(CH3)-CH2-O 이며, m은 0 내지 20이며, Z는 CH2-CH2-OH 또는 CH(CH3)-CH2-OH 임)을 갖는 플루오로 지방족 옥시에틸렌 부가물인 계면 활성제 0.5 내지 3.0 중량%(상기에서, 중량%는 성분 A) 내지 E)의 총 중량에 대한 것임)를 포함하는 수부유성 광결상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매질내에 분산된 광결상성 조성물.
  3. 중합성 지지체 사이트와 그 위에 존재하는 제1항의 광결상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하는 건조 필름.
KR1019940030567A 1994-01-25 1994-11-21 비이온성 탄화 플루오르 계면 활성제를 갖는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 KR0149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687594A 1994-01-25 1994-01-25
US8/186,875 1994-01-25
US08/186,875 1994-01-25
US08/199,037 US5364737A (en) 1994-01-25 1994-02-18 Waterbone photoresists having associate thickeners
US8/199,037 1994-02-18
US8/223,615 1994-04-06
US08/223,615 US5389495A (en) 1994-01-25 1994-04-06 Waterborne photoresists having non-ionic fluorocarbon surfactants
US08/223,615 1994-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020A KR950024020A (ko) 1995-08-21
KR0149902B1 true KR0149902B1 (ko) 1999-03-30

Family

ID=26882508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629A KR0142022B1 (ko) 1994-01-25 1994-10-07 연합된 증점제를 갖는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
KR1019940030568A KR950024021A (ko) 1994-01-25 1994-11-21 설폰산 작용가를 갖는 결합제를 포함하는 수인성 감광성 내식막
KR1019940030566A KR0144639B1 (ko) 1994-01-25 1994-11-21 아미노 아크릴레이트로 중화된 결합제를 지닌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
KR1019940030567A KR0149902B1 (ko) 1994-01-25 1994-11-21 비이온성 탄화 플루오르 계면 활성제를 갖는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
KR1019940030569A KR0149903B1 (ko) 1994-01-25 1994-11-21 폴리실록산을 갖는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629A KR0142022B1 (ko) 1994-01-25 1994-10-07 연합된 증점제를 갖는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
KR1019940030568A KR950024021A (ko) 1994-01-25 1994-11-21 설폰산 작용가를 갖는 결합제를 포함하는 수인성 감광성 내식막
KR1019940030566A KR0144639B1 (ko) 1994-01-25 1994-11-21 아미노 아크릴레이트로 중화된 결합제를 지닌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569A KR0149903B1 (ko) 1994-01-25 1994-11-21 폴리실록산을 갖는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5) US5364737A (ko)
EP (1) EP0664490B1 (ko)
JP (1) JP2705907B2 (ko)
KR (5) KR0142022B1 (ko)
CN (1) CN1078357C (ko)
AT (1) ATE164013T1 (ko)
AU (1) AU660392B1 (ko)
BR (1) BR9404738A (ko)
CA (1) CA2131044C (ko)
DE (1) DE69408970T2 (ko)
ES (1) ES2115165T3 (ko)
HK (1) HK1005070A1 (ko)
IL (1) IL112006A (ko)
SG (1) SG43077A1 (ko)
TW (4) TW2690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1621A (en) * 1994-01-10 1998-04-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using photoimageable films prepared for aqueous photoimageable liquid emulsions
TW353158B (en) * 1994-03-09 1999-02-21 Nat Starch Chem Invest Aqueous photoresist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circuit board comprising thereof
JPH08328251A (ja) * 1995-03-31 1996-12-13 W R Grace & Co 水性感光性樹脂組成物
JPH08328252A (ja) * 1995-03-31 1996-12-13 W R Grace & Co 水性感光性樹脂組成物
US5565302A (en) * 1995-04-21 1996-10-15 W. R. Grace & Co.-Conn. Process for preparing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US5512607A (en) * 1995-06-06 1996-04-30 W. R. Grace & Co.-Conn. Unsaturated epoxy ester with quaternary ammonium and phosphate groups
WO1996041240A1 (en) * 1995-06-07 1996-12-19 W.R. Grace & Co.-Conn. Water photoresist emuls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AU709577B2 (en) * 1995-06-07 1999-09-0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using photoimageable films prepared from aqueous photoimageable liquid emulsions
US5925499A (en) * 1995-08-01 1999-07-20 Morton International, Inc. Epoxy-containing waterborne photoimageable composition
US5846699A (en) * 1996-09-11 1998-12-08 Eastman Kodak Company Coating composition including polyurethane for imaging elements
US6063550A (en) * 1998-04-29 2000-05-16 Morton International, Inc. Aqueous developing solutions for reduced developer residue
US5922522A (en) * 1998-04-29 1999-07-13 Morton International, Inc. Aqueous developing solutions for reduced developer residue
US6248506B1 (en) 1998-12-04 2001-06-19 Nichigo-Morton Aqueous developing solutions for reduced developer residue
JP2000267270A (ja) * 1999-03-19 2000-09-29 Clariant (Japan) Kk ロールコート用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ロールコート方法
NL1013300C2 (nl) * 1999-10-15 2001-04-18 Stahl Int Bv Werkwijze voor de bereiding van een dispersie van een anionische polymeer in water waarin geen vluchtige tertiaire-amines voorkomen, de verkregen dispersies en coatings welke met de genoemde dispersies verkregen worden.
TW461988B (en) 1999-12-17 2001-11-01 Ind Tech Res Inst Water soluble polymer and photoresis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6436540B1 (en) * 2000-02-18 2002-08-20 Omnova Solutions Inc. Co-mingled polyurethane-polyvinyl ester polymer compositions and laminates
US6306557B1 (en) * 2000-04-20 2001-10-2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Foundation Process for preparing water dispersible negative-type photosensitive compositions
US6797146B2 (en) 2000-11-02 2004-09-28 Shipley Company, L.L.C. Seed layer repair
US7063895B2 (en) * 2001-08-01 2006-06-20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Hydrophobically modified solution polymers and their use in surface protecting formulations
AU2003210425A1 (en) * 2002-03-06 2003-09-16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Water borne coating composition for film transfer and casting process
US20040058276A1 (en) * 2002-09-23 2004-03-25 Dueber Thomas E. Halo resistent, photoimagable coverlay compositions, having, advantageous application and removal properti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7226959B2 (en) * 2003-11-06 2007-06-05 Sun Chemical Corporation Water soluble energy curable stereo-crosslinkable ionomer compositions
JP5955526B2 (ja) * 2011-10-08 2016-07-20 株式会社日本触媒 塗料用水性樹脂組成物
US8703385B2 (en) * 2012-02-10 2014-04-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hotoresist composition
CN103700432A (zh) * 2013-12-20 2014-04-02 南昌大学 一种含流平剂涂层的漆包线
KR102536039B1 (ko) * 2016-12-22 2023-05-23 일루미나, 인코포레이티드 임프린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9743A (en) * 1972-10-10 1975-12-30 Johnson & Son Inc S C Polyampholytes
US3912516A (en) * 1973-07-27 1975-10-14 Upjohn Co Photopolyer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urethane binding agent
DE2443785A1 (de) * 1974-09-13 1976-04-01 Basf Ag Fluessige, photovernetzbare 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reliefdruckplatten
US4079028A (en) * 1975-10-03 1978-03-14 Rohm And Haas Company Polyurethane thickeners in latex compositions
US4248958A (en) * 1979-05-23 1981-02-03 Hoechst Aktiengesellschaft Photopolymerizable mixture containing polyurethanes
US4426485A (en) * 1982-06-14 1984-01-17 Union Carbide Corporation Polymers with hydrophobe bunches
US4952481A (en) * 1985-02-12 1990-08-28 Napp Systems (Usa), Inc.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US4767826A (en) * 1985-07-18 1988-08-30 Polytechnic Institute Of New York Radiation-sensitive polymers
US4743698A (en) * 1985-10-01 1988-05-10 Alco Chemical Corp. Acrylic emulsion copolymers for thickening aqueous systems and copolymerizable surfactant monomers for use therein
US4762747A (en) * 1986-07-29 1988-08-0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ingle component aqueous acrylic adhesive composi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and laminates made therefrom
JPH0246460A (ja) * 1988-08-08 1990-02-15 Toyobo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
US4904772A (en) * 1988-10-03 1990-02-27 Aqualon Company Mixed hydrophobe polymers
US5045435A (en) * 1988-11-25 1991-09-03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Water-borne, alkali-developable, photoresist coating compositions and their preparation
US5268256A (en) * 1990-08-02 1993-12-07 Ppg Industries, Inc. Photoimageable electrodepositable photoresist composition for producing non-tacky films
JP3040202B2 (ja) * 1991-07-12 2000-05-15 ダブリュー・アール・グレース・アンド・カンパニー−コーン 水系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回路板の製造方法
CA2084369A1 (en) * 1991-12-11 1993-06-12 Brent T. Speelman Water-borne photoimageable compositions
JP3240769B2 (ja) * 1992-10-02 2001-12-25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
JPH06258832A (ja) * 1992-11-17 1994-09-16 W R Grace & Co 感光性樹脂組成物
JPH06230573A (ja) * 1993-01-29 1994-08-19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レジスト組成物
EP0666504B1 (en) * 1994-01-10 1998-06-0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queous photoimageable liquid emulsion, photoimageable film and process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021A (ko) 1995-08-21
JP2705907B2 (ja) 1998-01-28
IL112006A (en) 1999-11-30
IL112006A0 (en) 1995-03-15
KR0149903B1 (ko) 1999-03-30
US5364737A (en) 1994-11-15
DE69408970D1 (de) 1998-04-16
TW263569B (ko) 1995-11-21
US5393643A (en) 1995-02-28
KR0142022B1 (ko) 1998-06-15
BR9404738A (pt) 1995-10-17
EP0664490B1 (en) 1998-03-11
ES2115165T3 (es) 1998-06-16
KR950024018A (ko) 1995-08-21
US5387494A (en) 1995-02-07
EP0664490A1 (en) 1995-07-26
US5389495A (en) 1995-02-14
US5411837A (en) 1995-05-02
KR0144639B1 (ko) 1998-07-01
CA2131044C (en) 1999-05-11
CN1118886A (zh) 1996-03-20
CA2131044A1 (en) 1995-07-26
TW269018B (ko) 1996-01-21
TW301720B (ko) 1997-04-01
KR950024020A (ko) 1995-08-21
KR950024022A (ko) 1995-08-21
ATE164013T1 (de) 1998-03-15
CN1078357C (zh) 2002-01-23
AU660392B1 (en) 1995-06-22
JPH07271033A (ja) 1995-10-20
HK1005070A1 (en) 1998-12-18
SG43077A1 (en) 1997-10-17
DE69408970T2 (de) 1998-08-13
KR950024019A (ko) 1995-08-21
TW300289B (ko) 1997-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902B1 (ko) 비이온성 탄화 플루오르 계면 활성제를 갖는 수부유성 감광성 내식막
KR0169207B1 (ko) 신규의 중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광영상용 조성물
KR100211200B1 (ko) 에폭시-함유 수계 광영상화 조성물
EP0664486B1 (en) Waterborne photoresists having non-ionic fluorocarbon surfactants
EP0664491B1 (en) Waterborne photoresists having polysiloxanes
KR100298374B1 (ko) 가요성, 접착력 및 박리 특성이 개선된 광영상화 조성물
EP0664488B1 (en) Waterborne photoresists having binders neutralized with amino acrylates
EP0935171A1 (en) Photoimageable compositions having hydrophilic binder polymers and hydrophilic monomers
AU660402B1 (en) Waterborne photoresists having binders with sulfonic acid functionality
KR19990062602A (ko) 접착력 및 가공 시간을 개선시키기 위한 광영상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