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736B1 -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736B1
KR0149736B1 KR1019940004439A KR19940004439A KR0149736B1 KR 0149736 B1 KR0149736 B1 KR 0149736B1 KR 1019940004439 A KR1019940004439 A KR 1019940004439A KR 19940004439 A KR19940004439 A KR 19940004439A KR 0149736 B1 KR0149736 B1 KR 0149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information
hardening
passage
packag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부 고바야시
마사노리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오노에 히사오
글로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노에 히사오, 글로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노에 히사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6Devices for stacking or otherwise arranging coins on a support, e.g. apertured plate for use in counting coins
    • G07D9/065Devices for wrapping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경화정보의 변경설정이나 정화정보가동정보의 일괄관리를 행하기 위한 작업을 생력화할 수 있는 경화포장기는, 메모리카드를 장전하여 경화정보의 독출기입과 가동정보의 기입을 행하는 메모리카드 드라이버(146)와, 이 메모리카드 드라이버(146)로부터 독출된 경화정보를 이용하여 경화통로의 통록폭 및 통로높이와 상기 경화집적부의 내경을 산출하는 제어부(132), 피처리경화의 금종을 지정하는 금종지정부(134), 통록폭을 무단계로 조절하는 경화통로폭 조절부(141), 통로높이를 무단계로 조절하는 경화통로높이 조절부(142) 및, 경화집적부의 내경을 무단계로 조절하는 경화집적부내경 조절부(143)를 구비하고 있다.
또, 경화포장기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상술한 경화포장기와, 외부데이터매체 구동부(171)와 제어부(172)를 갖춘 정보집록부(17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화포장기의 개요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경화통로부의 대직경경화처리시의 평면도.
제3도는 경화통로부의 소직경경화처리시의 평면도.
제4도는 통로높이조절기구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두께가 두꺼운 경화처리시의 단면도.
제6도는 두께가 얇은 경화처리시의 단면도.
제7도는 경화집적부의 사시도.
제8도는 소직경경화처리시의 평면도.
제9도는 대직경경화처리시의 평면도.
제10도는 소직경경화처리시의 구동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11도는 대직경경화처리시의 구동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12도는 조작패널의 설명도.
제13도는 제어블럭도.
제14도는 메모리카드 드라이버(146)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제15도(a) 및 제15도(b)는 메모리카드로의 정보기억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제16도는 기억부의 기억내용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제17도는 정보집록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화포장기 2 : 기체(機體)
3 : 경화투입용 호퍼 4,5 : 회전원반
6 : 경화통로 7 : 집적부
8 : 포장지 9 : 포장롤러
10 : 포장부 11 : 투출구
12 : 포장지이송롤러 13 : 커터
14 : 갈고랑이 15 : 입구밑판
16,17 : 통로부재 18 : 출구밑판
19 : 소직경경화 배제구멍 22 : 가이드롤러
23 : 캠종동부(cam follower) 24,31 : 축
25 : 무단계 캠 26,30 : 스프링
27,35 : 보조통로부재 28.32 : 핀
29 : 가이드 36 : 스톱퍼
37 : 아암 38,40 : 롤러
39 : 평판 41 : 두께규제부재
42 : 유도판 43 : 반송벨트
44 : 고정판 45,49,51 : 베어링부
46 : 블럭 47,50,54,58,64 : 축
48 : 가동틀 52 : 링크
53,55,56 : 풀리(pulley) 57 : 요동판
60,62 : 인장스프링 61 : 스톱퍼
63 : 검지판 65 : 당접부
66 : 정위치검지판 67 : 무단계 캠
68 : 슬릿판 69 : 캠종동부
70,73,74,75,76 : 풀리 71,72 : 블럭
77,78 : 벨트 79,80 : 경화지지부
81 : 인장스프링 82 : 기대(基臺)
83,86,88,89,90 : 링크 84,85 : 축
87 : 핀 91 : 캠종동부
92 : 무단계 캠 93 : 폐색부재
94 : 레버 95 : 링크
97 : 핀 98 : 인장스프링
99,100 : 가이드부재 101,102,109.110 : 축
103,104,107,108 : 기어 105,106 : 아암
111 : 가이드로드 113 : 구동기어
114 : 패널부 115 : 키부
116 : 지정버튼 117 : 절환버튼
118 : 표시부 119 : 위치표시부
120 : 내용표시부 121 : 모드표시부
122 : 개수·매수표시부 123 : 기억금종표시부
124 ; 금종표시부 125 : 포장매수표시부
126 : 개수·매수절환버튼 127 : 클리어버튼
128 : 시작버튼 129 : 정지버튼
130 : 다운버튼 131 : 업버튼
132 : 제어부 133 : 조작부
134 : 금종지정부 135 : 경화정보입출력부
136 : 표시부 137 : 기억부
138 : 경화계수부 139 : 경화정지부
140 : 경화공급부 141 : 경화통로폭 조절부
142 : 경화통로높이 조절부 143 : 집적부내경 조절부
144 : 경화집적부 145 ; 경화포장부
146 : 메모리카드 드라이버 147,173 : 장전기구
148 : 정보독축기입부 150 : RAM
170 : 정보집록기 171 : 메모리카드 드라이버
172 : 제어부 174 : 정보독출기입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경화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화의 선별, 계수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경화통로의 폭, 높이 및 경화집적부의 내경을 자동조절하는 경화포장기 및 이러한 경화포장기의 처리에 관계되는 정보를 일괄하여 기억.관리하는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경화를 소정매수 집적하고, 그 집적경화를 포장지로 싸서 포장하는 경화포장기로서, 예컨대 일본 특개소 59-12149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경화포장기는, 경화를 회전원반으로부터 1매씩 송출(送出)하여 경화통로상을 반송하고, 이 통로에 있어서 소직경경화의 선별, 포장해야 할 경화의 계수, 정지 등의 처리를 행함과 덜부어, 경화통로의 말단에 설치된 경화집적부로 경화를 송입(送入)하여 순차 집적시키고, 소정매수의 경화가 집적된 시점에서 그 집적경화를 포장부로 이동시켜 포장지로 포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화통로 및 경화집적부는, 직경 및 두께가 다른 경화를 처리하기 위해 통로폭, 높이 및 집적부의 내경이 금종(金種)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경화통로폭의 조절은, 경화통로를 구성하는 부재중 경화통로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가동통로부재를 다각형상(多角型狀)의 캠에 당접(當摺)시키고, 이 캠을 금종설정핸드를 수동으로 회동(回動)조작함으로써 하나의 캠면이 선택되며, 이 캠면에 의해 가동통로부재를 피처리경화의 직경에 대응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또 경화통로높이의 조절은, 회전원반으로부터 송출되는 경화를 1층 상태로 규제하기 위한 두께규제부재와 경화의 윗면에 압접(壓接)하여 경화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벨트를 상하이동가능하게 가동틀에 지지하고, 높이조절용 손잡이를 수동으로 회동조작하여 가동틀마다 상하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더욱이 경화집적부는, 주행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벨트의 벨트면에 경화의 주변부아랫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돌설(突設)하여 구성되고, 이 한쌍의 벨트가 각각 평행링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평행링을 상기 금종설정핸들에 연동(蓮動)하는 하나의 다각형상의 캠에 의해 이동시킴으로써 피처리경화의 직경에 따라 한쌍의 벨트면간 거리를 조절하여 집적부의 내경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 경화포장기에 대해서는, 3개의 포장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서서히 접근시켜 집적경화를 사이에 넣고, 그 롤러와 집적경화의 사이에 포장지를 송치하여 집적경화의 주위에 감음과 더불어 말려 들어가게 하는 갈고랑이(이하, 갈고랑이라 약칭한다)에 의해 포장지의 상하단을 말아 넣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경화포장기는, 일반적으로 그 날 하루에 계수처리를 행한 경화의 매수, 포장을 행한 경화[봉금(捧金)]의 개수 등의 정보를 금종별 및 모드(계수모드, 포장모드 등)별로 기억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 경화포장기의 가동중(폐수처리나 포장처리중)의 경화통로에서의 경화막힘, 포장지의 이송불량, 포장지절단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 이상의 내용을 기억하는 기능도 일반적으로 갖추고 있다. 이러한 가동정보는 그 날의 업무종료후에 경화포장기내에 탑재된 프린터로 출력되고, 이것을 유저가 퍼스컴 등에 수입력(手入力)함으로써 일괄 관리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경화포장기에서, 피처리경화의 금종에 따라 금종설정핸들을 수동으로 회전조작하여 경화통로의 폭과 집적부의 내경을 조절하는 한편, 높이조절용 손잡이를 수동으로 회전조작하여 경화통로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피처리경화의 금종변경시의 조작이 다기(多岐)에 걸치므로 대단히 번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경화통로의 폭과 집적부의 내경을 조절하기 위한 캠이 무슨 종류인가의 피처리대상경화에 대응한 것으로서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경화포장기를 다른 나라로 수출하는 경우에는 그 수출처의 나라의 유통경화에 적응하는 캠을 별도로 경화포장기에 짜 넣지 않으면 안되고, 그 때문에 경화포장기를 양산하여 비축할 수 없었다.
더욱이, 단위나 유통경화의 종류가 증가 혹은 경화의 직경의 변경 등이 있는 경우에는, 경화포장기내의 캠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교환작업에 다대한 시간 및 경비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덧붙여서,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한 경화.봉금의 수나 이상발생상황 등의 가동정보를 퍼스컴 등에 수입력하여 일괄관리하는 경우, 사용하는 경화포장기의 대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입력작업의 수고가 증대해 버린다는 문제도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피처리경화의 금종변경조작을 용이하게 행함과 더불어여하한 종류의 경화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고, 또 경화정보의 변경설정이나 가동정보의 일괄관리를 행하기 위한 작업을 생력화(省力化)할 수 있는 경화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가동정보의 일괄관리를 위한 작업이 적어지는 경화포장기의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제1의 발명에 따른 경화포장기에서는, 경화정보를 이용하여 연산수단이 산출한 경화통로폭, 통로높이, 경화집적부의 내경과 금종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금종에 기초해서, 제어수단이 경화통로폭 조절수단, 경화통로높이 조절수단 및 경화집적부내경 조절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여하한 종류의 경화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다.
또, 외부기억매체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외부기억매체에대한 가동정보의 기입을 행함으로써, 가동정보의 일괄관리를 위한 작업의 생력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이 경화정보를 외부기억매체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외부기억매체로부터 읽어들이거나 혹은 기입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경화정보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피처리경화의 금종변경조작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제2의 발명에 따른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에서는, 경화포장기의 외부기억매체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외부기억매체에 가동정보를 기입함과 더불어 이 가동정보를 정보집록(精報集錄)수단의 외부기억매체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독출하고, 독출한 정보를 이 정보집록수단의 제어수단으로 관리함으로써, 수입력작업을 불필요하게 하여 가동정보의 일괄관리를 행하기 위한 작업의 생력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이 시스템에 따른 경화포장기도 상게 제1의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갖추고 있으므로, 여하한 종류의 경화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 경화정보를 경화포장기의 외부기억매체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외부기억매체로부터 읽어들이거나 혹은 기입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피처리경화의 금종변경조작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점도 동일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경화포장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화포장기(1)는, 제1도에 그 개략을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機體 ; 2)의 상부에 개구된 경화투입용 호퍼(hopper; 3)의 내부에 경화를 수입하여 공급하는 공급용 회전원반(4)과, 이 회전원반(4)으로부터 경화의 보급을 받는 회전원반(5)이 각각 회전구동자재(回專驅動自在)로 설치되고, 이 회전원반(5)에 대해 거의 접선방향으로 경화의 선별, 계수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경화통로(6)가 배설되며, 그 말단에 경화를 일정매수 집적시키는 경화집적부(7)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집적부(7)에 의해 집적된 집적경화를 수입하여 포장지(8)로 포장하는 3개의 롤러(9, 9, 9)를 갖춘 포장부(10)가 설치되며, 여기서 포장된 경화[봉금(捧金)]는 기체(2)의 하방부의 투출구(11)로부터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동도면중 참조부호 12는 포장지이송롤러, 13은 포장지(8)를 소요의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커터(cutter), 14, 14는 집적경하에 감긴 포장지의 상하단을 말아넣기 위한 갈고랑이이다. 이들 포장지이송롤러(12), 커터(13), 갈고랑이(14,14)도 포장부(10)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경화통로(6)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입구부분에 있어서 상기 원반(5)과 거의 동일면내에 놓여진 통로입구밑판(15)과, 이 입구밑판(15)에 이어서 설치되며 경화직경에 대응하여 선별홈폭(L; 제1도)이 결정되는 고정통로부재(16) 및 가동통로부재(17), 이 각 통로부재(16,17)의 하류측에 설최되는 통로출구밑판(18)을 갖추고 있고, 상기 입구밑판(15)과 출구밑판(18)의 사이가 소직경경화 배제구멍(19)으로 되어 있다.
또, 이 경화포장기(1)의 앞면에는 후술할 경화정보입출력부(135; 제13도참조)내에 메모리카드를 장전하기 위한 장전기구(147)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경화통로폭 조절수단으로서의 통로폭조절부(141)를 포함하는 경화통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는 최대통로폭상태의 경화통로를, 제3도는 최소통로폭상태의 경화통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가동통로부재(17)는, 경화통로(6)를 구성하기 위한 단차(17a)를 갖는 직선 모양의 에지부(17b)의 배후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0)를 갖추고, 이 연장부(20)에 상기 에지부(17b)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뚫린 긴 구멍(21,21)에 기체(2)측에 축착(軸着)된 가이드롤러(22,22)가 감합(嵌合)되어 가동통로부재(17)를 고정통로부재(16)에 대해 이접(離接)하는 방향으로 직진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며, 이 연장부(20)에 축착된 캠종동부(cam follower; 23)가 기체(2)측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가능하게 장치된 무단계 캠(25)의 주위면에 스프링(26)의 밀어 붙임을 받아 항시 당접되어 있다.
이 무단계 캠(25)은, 그 최소반경부분(25b)으로부터 최대반경부분(25b)에 걸쳐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와권(渦卷)향상을 가지며, 이 최소반경부분(25b)에는 凹부(25c)가 형성되어 있어 이 凹부(25c)에 캠종동부(23)가 감합한 상태에 있을 때 가동통로부재(17)가 최대개공위치에 놓이게 되는데, 이것이 정위치로 된다. S1은 최대개공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정우이치검출센서이다. 상기 무단계 캠(25)은 펄스모터(M1)에 의해 소정각도에 걸쳐 회전이동된다.
상기 가동통로부재(17)의 하류측에는 평면에서 보아 L형상을 이루는 보조통로부재(27)의 일단이 핀(28)에 의해 연결되고, 이 보조통로부재(27)의 타단은 기체(2)측에 고정된 가이드(29)에 스프링(30)의 밀어 붙임에 의해 당접되되어 가동통로부재(17)의 이동시에 보조통로부재(27)의 통로면(27a)의 위치가 변화하는 바, 통로폭이 확장되는 때는 제2도와 같이 가동통로부재(17)의 에지부(17b)에 대해 약간 구부러진 위치에 놓이고, 통로폭이 좁아짐에 따라 가동통로부재(17)의 에지부(17b)에 대해 직선모양으로 변위하며, 통로폭의 변경이 있어서 경하통로(6)의 막단이 경화집적부(7)의 중심을 향하게 됨과 더불어 보조통로부재(27)의 통로면(27a)의 말단이 소직경용으로 됨에 따라 경화집적부(7)로 접근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통로출구밑판(18)은 가동통로부재(17)측의 단부가 축(31)에 의해 기체(2)측에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고, 이 출구밑판(18)의 아랫면에 돌출설치된핀(32)이 가동통로부재(17)의 경화통로(6)측으로 연장되는 부분(33)의 긴 구멍(34)에 감합되며, 가동통로부재(17)의 통로폭을 좁히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긴 구멍(34), 핀(32)을 매개해서 출구밑판(18)이 축(31)을 중심으로 차제에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출구밑판(18)의 자유단측에는 고정통로부재(16)의 단차(16a)가 부가된 에지부(16b)의 연장상에 놓여지는 보조통로부재(35)와, 그 하류측에 경화의 통로매수를 계수하는 카운트센서(S2), 경화가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점검하는 점검센서(S3)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센서(S2,S3)간에는 소정매수의 경화통과후, 후속경화를 정지시키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하는 스톱퍼(36)가 경화의 통과궤도상에 진출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또 출구밑판(18)의 자유단측에는 아암(37)을 매개해서 밑판지지용 롤러(38)가 지지되어 있고, 이 롤러(38)는 기체(2)측의 평판(39)상에 놓여 출구밑판(18)의 자유단측을 떠받치고 있다. 더욱이 출구밑판(18)의 출구단에는 경화의 아랫면을 가이드하는 롤러(40,40,40)가 축가(軸架)되어 있다. 이들 보조통로부재(35), 센서 (S2,S3)는 이들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가동통로부재(17)측의 보조통로부재(27)의 통로면(27a)에 대해 향상 평행 내지 그것에 가까운 상태로 놓이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S4는 회전원반(5)상의 경화의 존재 및 레벨을 검지하는 레벨센서를 나타내고, 41은 경화통로(6)로 경화가 2매 겹쳐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상기 원반(5)의 윗면과의 사이에 취급중인 경화 1매의 두께보다 두껍고 2매중첩의 두께보다 얇은 간격을 두고 면(臨)하는 두께규제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또 42는 가동통로부재(17)에 장치되어 회전원반(5)상에 놓여, 원반(5)상에서 이동하는 경화를 원반(5)의 회전방향후류측으로 유도하여 경화의 체류를 없애는 유도판을 나타내고, C는 경화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는 경화통로높이 조절수단으로서의 경화통로높이 조절부(142)에 대해 설명한다. 이 조절는, 상기 두께규제부재(41)와, 경화통로(6)상에 송치된 경화의 윗면에 접촉하여 그 경화를 하류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벨트(43)와의 높이조절에 의해 실현된다.
이 반송벨트(43)의 지지기구는, 제4도에 분해사시도로 나타내고, 제5도 및 제6도에 반송벨트(43)의 높이를 최고위치 및 최저위치로 한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기체(2)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판(44)의 전후의 베어링부(45,45)에 전후 2개의 블럭(46,46)의 각 한쪽단이 축(47,47)에 의해 추지(椎支)되고, 이들 블럭(46,46)의 반대단에는 가동틀(48)의 상부의 베어링부(49,49)가 축(50,50)에 의해 추지되며, 더욱이 블럭(46,46)의 하단의 베어링부(51,51)간은 링크(52)에 의해 연결되어 팽행사절(平行四節)링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 가동틀(48)의 측면에는 반송벨트(43)의 입구측의 풀리(pulley;53)가 축(54)에 의해 장치되고, 동 하류측의 풀리(55,56)는 요동판(57)에 축착되어있으며, 이 요동판(57)의 중간부는 상기 가동틀(48)의 측면에 축(58)에 의해 추지되고, 타단이 가동틀(48)에 장치된 스톱퍼(61)에 당접하여 풀리(55,56)의 하강을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축(58)에 추지되며 선단에 억제롤러(43a)를 갖춘 부재(59)와 요동판(57)과의 사이에는 인장스프링(60)이 가설되고, 가동틀(48)이 놓여지는 높이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힘이상의 압상력(押上力)이 작용한 때, 즉 두꺼운 경화가 진입한 경우 요동판(57)이 윗쪽으로 도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가동틀(48)과 고정판(44)과의 사시에는 인장스프링(62)이 길게 장치되어 가동틀(48)을 항상 윗쪽으로 밀어 붙이고 있다.
상기 가동틀(48)의 하류측에는 검지판(63)의 기판부가 축(64)에 의해 추지되고, 축(64)의 근방에는 경화집적부(7)의 상부에 면하여 경화의 집적높이를 검지하는 당접부(65)가 설치되어 있다. 그 선단의 검지부(64)가 가동틀(48)에 설치된 센서(S5; 포토센서)에 관계하고, 이 검지부(64)가 센서(S5)를 작동시킨때 경화집적부(7)의 상부공간이 없어진 것을 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판(44)의 아랫면에는 모터(M2; DC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이 모터(M2)에 의해 회전하는 축상에 정위치검지판(66), 무단계 캠(67), 회전각도검출용 슬릿판(68)이 각각 고착되며 이 정위치검지판(66)의 주변에는 정위치검지센서(S6)가, 또 슬릿판(68)의 주변에는 회전각도검지센서(S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단계 캠(67)에는 가동틀(48)의 중앙위치에 축이 가설된 캠종동부(69)가 당접되고, 이 캠(67)의 회전에 의해 캠종동부(69)를 매개해서 가동틀(48)이 상하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캠(67)의 최소반경위치에 캠종동부(69)가 당접하는 위치가 정위치로 되어 있다. 또 가동틀(48)의 입구단에는 상기의 두께규제부재(41)가 고착되어 있고, 가동틀(48)의 승강에 따라 두께규제부재(41)도 취급하는 경화의 두께에 적합한 높이로 조정된다. 도면중 70은 반송벨트(43)의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받는 풀리를 나타낸다.
다음에는 경화집적부를 그 내경조절수단으로서의 집적부내경 조절부(143)를 포함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7도에 사시도를, 제8도 및 제9도에 평면도를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블럭(71,72)의 상하부에 쌍을 이루어 축착(軸着)된 풀리(73,74) 및 풀리(75,76)에 좌우의 벨트(77,78)가 감기고, 이들 벨트(77,78)의 대향면 사이에서 경화를 겹쳐 쌓은 상태로 하는 것으로, 이들 벨트(77,78)의 외표면에 돌기모양의 경화지지부(79,79,80,80)이 좌우의 벨트(77,78)의 대칭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도시된 예에서는 벨트(77,78)의 1주회에서 2회 겹쳐 쌓도록 등간격을 두고 2개완설(完詵)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불럭(71,72)은 인장스프링(81)에 의해 서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밀어 붙여지고 있다.
상기 블럭(71,72)은 평행링크기구에 의해 무단계적으로 이접(離接)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이 링크기구는, 중간부가 기대(82)에 축(83a)에 의해 수평면내에서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선단에 한쪽의 블럭(71)이 축(71a)에 의해 연결된 제1링크(83)와, 중간부가 기대(82)에 축(84)에 의해 수평면내에서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일단에 다른측의 블럭(72)이 축(85)에 의해 연결된 제2링크(86), 일단이 상기 블럭(71)에 상기 축(71a)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링크(86)의 타단에 핀(87)에 의해 연결된 제3링크(88) 및, 블럭(71,72)의 반대면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기대(82)측에 추지된 제4,제5링크(89,90)로 구성되고, 상기 제1링크(83)의 타단에 축착된 캠종동부(91)가 기대(82)에 설치된 펄스모터(M3)에 의해 회전되는 무단계 캠(92)의 주위면에 당접되어 벨트(77,78)간의 최소간격위치, 즉 무단계 캠(92)의 최소반경위치를 정위치로 하여 그 위치가 정위치검지센서(S8)에 의해 검지되도록 되어 있다
벨트(77,78)간의 경화진입측의 개방면을 폐쇄하는 폐색부재(93)를 선단에 갖춘 레버(94)의 중간부가 기대(82)에 상기 축(84)에 의해 추지되고, 상기 제1링크(83)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 링크(95)의 타단의 긴 구멍(96)에 상기 레버(94)의 타단의 핀(97)이 감합하여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이 레버(94)는 항시 인장스프링(98)에 의해 경화집적부(7)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밀어 붙여지고 있다. 상기 블럭(71,72)에는 경화를 집적할 때에 경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99,100)가 고착되어 있다.
경화집적부(7)의 벨트(77,78)의 구동수단은, 제10도에 소직경경화집적시, 제11도에 대직경경화집적시의 각 상태를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77,78) 하부의 풀리(74,76)의 축(101,102)에 고착된 기어(103,104)와, 이 축(101.,102)에 회전자재로 감합지지된 아암(105,106), 이 아암(105,106)의 선단에 축착된 기어(107,108), 이 기어(107,108)의 축(109,110)이 지지되고 종방향의 가이드로드(111)에 치우쳐 자유로이 승강하는 부재(112)로 구성되고, 한쪽 풀리(74)의 축상의 기어(103)에 펄스모터(M4)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113)가 서로 맞물리는데, 상기 각 기어(103,107,108,104)는 항시 서로 맞물리는 상태에 놓여 있다. 따라서, 벨트(77,78)간의 간격이 변화해도 구동기어(113)의 회전이 좌우의 풀리(74,76)에 항상 전달된다.
한편, 경화포장부(10)는 조래의 구성에 의해 여하한 종류의 경화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좋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는 경화포장기(1)의 윗면전방의 경사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표시용의 패널부(114)에 대해 설명한다. 이 패널부(114)는, 제12도에 그 레이아우트의 일예를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방에 10-키를 갖춘 키부(115)가 배치되고, 그 안에 계수모드시의 배치(batch)매수, 포장모드시의 배치개수의 지정버튼(116), 포장, 계수의 모드절환버튼(117)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 키부(115)의 조작에 의해 피처리경화의 금종, 직경, 두께, 포장단위매수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패널(114)의 타측ㄱ방은 표시부(118)로 되고, 이 표시부(118)에는 장해발생위치를 나타내는 위치표시부(119)와 그 내용을 나타내는 내용표시부(120), 계수매수, 배치 등의 모드표시부(121), 개수.매수표시부(122), 어떤 금종의 경화정보가 기억되어 있는가를 기록해 두는 기억금종표시부(기입식; 123), 현재의 지정금종을 나타내는 금종표시부(124), 현재의 포장단위매수를 나타내는 포장매수표시부(125)가 배열되어 있다. 또 이것들과는 별도로, 개수.매수절환버튼(126), 클리어버튼(127), 시작버튼(128), 정지버튼(129), 금종표시부(124) 및 포장단위매수표시부(125)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내용을 기억내용순서로, 즉 기억금종표시부(123)에 기록되어 있는 순서로 순차표시시켜 가며 피처리경화의 금종을 지정하는 다운(jdown)버튼(130), 업(up)버튼(131)이 배설(配設)되어 있다.
제13도는 제어계의 일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어부(132)는, 포장기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청구의 범위중의 연산수단과 제어수단을 이 제어부는 갖추고 있다.)로, 이하에 나타낸 각 부에 대해서 신호의 수수(授受)가 행해진다. 조작부(133)는, 시작버튼(128), 정지버튼(129), 클리어버튼(127), 개수.매수절환버튼(126), 모드절환버튼(117), 지정버튼(116) 등으로 이루어진다. 금종지정부(134)는 금종표시부(124), 포장단위매수표시부(125), 다운버튼(130). 업버튼(131)으로 이루어지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금종지정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경화정보입출력부(135)는, 패널부(114)의 키부(115) 및 메모리카드 드라이버(청구의 범위중의 「외부기억매체」구동수단에 상당한다; 14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메모리카드 드라이버(14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4도 참조), ROM카드나 IC카드 등의 메모리카드(청구의 범위중의 「외부기억매체」에 상당한다)에 미리 기억된 경화정보를 독출하거나, 혹은 이러한 메모리카드에 가동정보를 기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한 경화정보의 입력은, 키부(115)를 이용하여 수입력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메모리카드로부터 독출한 경화정보를 키부(115)로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키부(115)로 입력하거나 수정한 경화정보를 카드에 입력하기 위해서도 메모리카드 드라이버(146)는 사용된다.
표시부(136)는 위치표시부(119), 내용표시부(120), 모드표시부(121), 개수.매수표시부(122), 기억금종표시부(123)등으로 이루어진다.
기억부(137)는 경화정보입출력부(135)에 의해 입력된 경화정보를 금종과 대응하여 기억하는 것이다. 여기서, 기억부는 전원을 끊어도 기억내용이 소거되지 않도록 예컨대 EEPROM을 사용하고 있다.
이하, 경화계수부(138)는 카운트센서(S2), 점검센서(S3)로 이루어지고, 경화정지부(139)는 스톱퍼(36) 및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며, 경화공급부(140) 회전원반(4,5) 및 그것들을 구동하는 모터로 이루어지고, 경화통로폭 조절부(141)는 펄스모터(M1), 정위치검지센서(S1) 및 무단계 캠(25)을 갖춘 기구로 되어 있다. 또 경화통로높이 조절부(142)는 DC모터(M2), 정위치검지센서(S6)와 회전각도검지센서(S7)로 이루어지는 회전위치검지센서, 무단계 캠(67)을 갖춘 기구로 되어 있고, 집적부내경 조절부(143)는 펄스모터(M3), 정위치검지센서(S8) 및 무단계 캠(92)을 갖춘 기구로 되어 있다.
경화집적부(144)는 한쌍의 벨트(77,78) 및 그 벨트를 회전시키는 펄스모터(M4) 등으로 이루어지고, 경화포장부(145)는 3개의 포장롤러,(9,9,9,) 및 그것들을 회전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4도에 상술한 경화정보입출력부(135; 제13도 참조)내에 설치된 메모리카드 드라이버(146)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동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카드를 장전하기 위한 장전기구(청구의 범위중의 「장전수단」에 상단한다; 147)와, 이 장전기구(147)에 장전된 메모리카드에 대한 정보의 독출 및 기입을 행하는 정보독출기입부(청구의 범위중의 「정보기입수단」)에 상당한다; 148) 및, 메모리카드로부터 독출된 정보 및 메모리카드에 기입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150)를 갖추고 있다.
또, 이 RAM(150)은 경화정보 기억영역(150a), 경화계수정보 기억영역(150b), 장해발생정보 기억영역(150c)을 갖추고 있다.
경과정보 기억영역(150a)에는, 예컨대 경화정보로서의 경화의 직경 D(1), 경화의 두께 T(1), 포장경화단위매수 M(1) 등이 금종별로 기억된다. 이들 경화정보중 직경 D(1) 및 두께 T(1)은, 밀리미터단위롤 소수점이하 제2자리까지 기억된다. 한편, 인치 등의 다른 단위로 기억하도록 해도 좋고, 단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 경화정보 기억영역(150a)에는, 메모리카드로부터 정보독출기입부(148)에 의해 독출된 경화정보를 기억시킬 수 있고, 또 패너부(114)의 키부(115)로 수입력한 경화정보를 기억시킬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는 메모리카드로부터 독출된 경화정보를 키부(115)로 수입력하여 수정할 수도 있다.
경화계수정보 기억영역(150b)에는, 그 날 하루에 행해진 처리의 결과가 처리모드별, 금종별 등의 분류에 따라 기억된다. 예컨대, 처리모드별의 통화계수정보로서는, 포장모드에서는 포장처리가 행해진 포장경화(봉금)의 개수, 계수모드에서는 계수처리가 행해진 경화의 매수 제어부(132)에 의해 기입된다.
장해발생정보 기억영역(150c)에는, 그 날 하루에 발생한 장해의 내용이나 시각 등이 제어부(132)에 의해 기입된다. 예컨대, 경화통로에서의 경화막힘, 포장지의 이송불량, 포장지절단 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RAM(150)에 기억된 경화정보, 경화계수정보 및 장해발생 정보의 내용은, 정보독출기입부(148)에 의해 독출되어 메모리카드에 기입할 수 있다. 또 메모리카드에 기억된 경화정보를 정보독출기입부(148)에 의해 독출하여 RAM(150)에 기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 ARM(150)내의 각 기억영역(150a~150c)의 기억내용을 1매의 메모리카드(151)내에 기억시키는 경우에는, 제15도(a)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카드(151)에도 경화정보 기억영역(151a), 경화계수정보 기억영역(151b), 장해발생정보 기억영역(151c)을 각각 설치하고, 정보독출기입부(148)에 의한 정보의 독출 혹은 기입을 행하도록 하면 좋다. 이에 따라, 1대의 경화포장기에 대한 각 정보를 1매의 메모리카드에 기억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5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매의 메모리카드에 복수대의 경화포장기에 관계되는 정보를 기억시키도록 해도 좋다. 즉 1매의 메모리카드(152)의 기억영역을 복수의 경화포장기(A,B,...)에 대응한 기억영역(152A,152B,152C,...)으로 분할하고, 더욱이 각 경화포장기에 대응한 기억영역을 경화정보 기억영역(152a), 경화계수정보 기억영역(152b), 장해발생정보 기억영역(152c)으로 분할하도록 하면, 1매의 메모리카드로 일괄하여 복수의 경화포장기에 대처할 수 있다. 그 경우, 경화포장기(A,B,C)측의 각 기억영역(150a~150c)에는 경화포장기의 종류(A,B,C)를 의미하는 정보도 기억해 두고, 메모리카드(152)측의 경화포장기(A,B,C)에 대응하는 각 기억영역(152a~152c)과 정보의 수수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각 경화포장기(A,B,...)에서 사용되는 경화정보의 내용이 동일한 경우에는, 경화정보 기억영역(152a)을 통힐하고, 경화계수정보 기억영역(152b) 및 장해발생정보 기억영역(152c)만을 각 경화포장기마다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메모리카드(152)의 기억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1매의 메모리카드(152)로 대응가능한 경화포장기의 대수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제15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은 1대의 경화포장기에 대해 1매의 메모리카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6도는 기억부(137)의 기억내용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금종블럭(1)의 기억내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최초의 기억영역(160)에는 당해 금종블럭의 갱신년월일이 기억된다. 이 갱신년월일은 제어부(132)내에 설치된 시계에 의해 주어져 후술하는 통상입역모드에서의 입력이 행해질 때마다 자동적으로 설정변경이 이루어진다.
기억영역(161)에는 경화의 직경 D(1)이, 기억영역(162)에는 경화의 두께 T(1)이 각각 기억된다. 이들 정부(D(1),T(1))는 상술한 메모리카드 드라이버(146; 제4도 참조)의 RAM(150)으로부터 입력된다.
기억영역(163)에는 경화통로폭정보(P1)가 기억된다. 이 P1은 가동통로부재(17; 제2도 참조)를 구동시켜서 선별홈폭(L; 제1도 참조)을 소정치로 하기위한 경화통로폭 조절부(141)의 펄스모터로의 입력펄스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경화의 직경 D(1)에 따라 제어부(132)가 산출하거나, 혹은 후술하는 특수입력모드에 의해 직접 입력하여 기억시킨다.
이 연산식은, 경화의 직경이 클 때 (1D(1) 2로 한다, 중간정도일(2D(1) 3로 한다), 작을 때 (3D(1)으로 한다)에서 다른 것이 사용된다. 이1~3는 각각 가동통로부재(17) 등의 설계치에 따라 다른 값을 취한다.
α1≥D(1)α2일 때. P1은
P1=(C1-D(1)/C2
로 주어진다. 여기서, C1, C2의 값은 각각 가동통로부재(17) 등의 설계치에 따라 달라진다.
마찬가지로, α2≥D(1)α3일 때는 P1=(C1+0.06-D(1)/C2
α3≥D(1)일 때는 P1=(C1+0.1-D(1)/C2 로 된다.
기억영역(164)에는 경화통로높이정보(P2)가 기억된다. 이 P2는 DC모터(M2)를 회전시켜 두께규제부재(41; 모두 제4도 참조)를 소정의 높이로 하기 위한 회전각도검지센서(S7)의 출력펄스수를 나타내고 있다. 즉 DC모터(M2)의 회전 구동이 개시되고 부터의 회전각도검지센서(S7)의 출력펄스수가 P2에 도달하면, DC모터(M2)를 정지시킨다
이 P2는 경화의 두께 T(1)을 이용하여 제어부(132)가 산출하거나, 혹은 후술하는 특수입력모드에 의해 직접 입력하여 기억시킨다. 이러한 연산식은,
P2 = (C3-T(1))/C4
로 주어진다. 여기서, C3, C4는 두께규제부재(41)의 설계치 등에 따라 다른 값을 채용한다.
기억영역(165)에는 경화집적부 내경정보(P3)가 기억된다. 이 P3는 벨트(77,78; 제7도 참조)의 간격을 경화의 직경 D(1)에 따라 설정변경하기 위한 집적부내경 조절부(143)의 펄스모터로의 입력펄스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어부(132)기 산출하거나, 혹은 후술하는 특수입력모드에 의해 직접 입력하여 기억시킨다.
연산식으로서 경화의 직경에 따라 다른 것이 사용되고,
로 된다. 즉 (C5 × D(1) - C6)에 직경 D(1)에 따라 각각의 정수를 가산하여 이 결과를 P3로 한다. 여기서, C5,C6 및1,2,...는 각각 벨트(77,78)의 설계치 등에 따라 다른 값을 채용한다.
기억영역(166)에는 경화지지부 하강패턴이 기억된다. 경화지지부 하강패턴은 벨트(77,78)의 구동패턴, 즉 이 벨트(77,78)에 설치된 경화지지부(79,80)의 하강패턴을 결정하는 정보이다. 경화지지부(79,80)는 경화가 1매 쌓아 올려질 때마다 하강하는데, 이 때의 하강량은 항시 일정하지 않고 일정한 패턴에 따라 변화한다. 경화지지부 하강패턴은 이 때의 하강량의 변화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경화의 두께 T(1)에 따라 결정되는데, 상세하게는 일본 특공평 3-17704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게 한다. 한편, 기억부(137)는 경화의 두께 T(1)에 따라 미리 정해진 경화지지부 하강패턴을 표로서 가지고 있으며,입력된 경화의 두께 T(1)에 대응하는 것을 독출하여 기억영역(167)에 기억시킨다.
기억영역(167)에는 금종기호 K(1)이, 또 기억영역(168)에는 금종수치 H(1)이 각각 기억된다. 예컨대, 이 금종블럭 1이 1달러경화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블럭이라고 하면, 금종기호 K(1)으로서는 표시부에 달러기호를 디지탈표시시키기 위한 제어정보가 기억되고, 금종수치 H(1)으로서는 (1.00)이 기억된다.
기억영역(169)에는 포장단위매수 M(1)이 기억된다. 이것은, 1개의 봉금으로 해야 할 경화의 매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여기서는 금종블럭 1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다른 금종블럭 2,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어서,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정보집록기(情報集錄機)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정보집록기로서는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집록기(170)는 메모리카드 드라이버(171)와 제어부(172)를 갖추고 있다. 또, 메모리카드 드라이버(171)는 메모리카드(151)를 장전하는 장전기구(173)와, 이 장전기구(173)에 장전된 메모리카드(151)내의 기억정보의 독출.기입을 행하는 정보독출기입부(174)를 갖추고 있다.
장전기구(173)에는 경화포장기(1)의 경화정보입출력부(135; 제14도 참조)로 가동정보(경화계수정보 및 장해발생정보)를 기입한 메모리카드(151)가 장전된다. 그리고, 장전된 메모리카드(151)로부터 가동정보가 독출된다. 독출된 가동정보는 제어부(172)에서 기억되고, 예컨대 그 날 하루에 제작된 포장경화의 개수나 계수처리된 경화의 매수의 관리 등에 사용된다. 더욱이, 장해발생 상황의 통계를 얻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정보집록기(170)에 의하면, 제어부(172)를 이용하여 설정한 경화정보를 장전기구(173)에 장전된 메모리카드(151)에 기입하거나, 1매의 메모리카드(151)로부터 경화정보를 판독하여 제어부(172)내에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이어서 메모리카드(151)에 기입함으로서, 이 경화정보를 복사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상술한 경화포장기를 실제로 사용할 때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경화포장기의 출하시에 있어서는, 출하처(수출처)의 유통경화의 경화정보(금종, 직경, 두께, 포장단위매수 등)를 기록한 메모리카드를 경화정보입출력부(135)를 통해 경화포장기에 셋트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메모리카드로부터 경화정보입출력부(135)의 RAM(150)내(경화정보 기억영역(150a))에 경화정보가 입력된다. 이 경화정보는 기억부(137)로 전송되어 기억된다. 또, 새로운 경화가 발행된 때 등, 경화정보의 변경. 추가가 있는 경우에는, 제조원(製造元)에서 새로운 메모리카드를 제작하고, 출하처에서 경화포장기의 경화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만일 출하처 등에 있어서 경화정보를 부분적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나 새로 발행된 금종의 경화정보를 추가하고자 할 때 등은, 키부(115)의 조작에 의해 입력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이 경화정보의 변경을 행한 때는, 변경후의 경화정보를 재차 메모리카드에 기입하고, 이 메모리카드를 이용하여 다른 경화포장기에 변경후의 경화정보를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모든 경화정보를 키부(115)의 조작에 의해 입력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경화포장기의 사용시에 있어서는, 먼저 금종지정부(134)로서의 업.다운버튼(130,131)을 조작함으로써, 기억부(137)에 기억되어 있는 경화의 금종이 금종표시부(124)에 순차 표시되어 가고, 처리하고자 하는 금종이 표시된 상태에서 정지시킴으로써 피처리경화의 금종이 지정된다. 또, 이 때 금종경화의 포장단위매수도 포장매수표시부(125)에 동시에 표시된다.
상기의 금종지정에 기초해서 제어부(132)는 지정된 금종의 경화정보를 기억부(137)로부터 독출하고, 각 조절부에 정위치복귀지령을 내서 각 조절부를 정위치로 복귀시킨 후, 할출(割出)한 펄스수 및 회전량만큼 각 조절부의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각 조절부가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경화통로폭 조절부(141)에 대해서는, 퍼스모터(M1)의 회전에 따라 무단계 캠(25)이 회전하고, 제2도에 나타낸 정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캠종동부(23)를 눌러 가동통로부재(17)를 가이드롤러(22,22)와 긴 구멍(21,21)에 의한 가이드작용에 의해 제2도에 있어서 좌우로 진출시켜 고정통로부재(16)에 대한 간격이 정해져 정지한다. 이에 따라 설정된 금종의 경화직경에 대응하는 통로폭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캠(25)은 무단계로 반경이 변화하는 주위면을 가지므로, 펄스모터(M1)의 1펄스에 의한 회전각을 1피치로 하여 통로폭을 조절할 수 있고, 실질상 무단계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최대통로폭과 최소통로폭의 범위내에 수납되는 외경이라면 여하한 외경의 경화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가동통로부재(17)의 오른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보조통부재(17)의 지점으로 되는 핀(28)도 이동하고, 그에 따라 통로면(27a)은 차제에 가동통로부재(17)의 에지부(17b)에 대한 각도가 작아져 직선모양으로 접근한다. 또 가동통로부재(17)의 이동에 의해 그 긴 구멍(34), 핀(32)을 매개해서 출구밑판(18)이 축(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변위하여 보조통로부재(35), 센서(S2,23)가 상기 보조통로부재(27)의 통로면(27a)에 평행한 위치로 된다. 따라서, 경화통로폭이 좁아짐에 따라 보조통로부재(27,35)에 의한 통로는 직선모양으로 변위함과 더불어 그 말단은 전진하여 경화집적부(7)에 접근하여, 경화직경에 관계없이 경화집적부(7)로의 진입상태가 변화하지 않게 된다.
한편, 경화통로높이 조저부(142)는 DC모터(M2)의 회전이동에 의해 무단계 캠(67)이 소정량 회전이동하여 캠종동부(69)가 내리 눌리고, 이에 따라 가동틀(48)이 스프링(62)의 밀어 붙임에 대항하여 하강하여 반송벨트(43)의 아랫면이 위치하는 높이가 금종설정된 경화의 윗면에 압접하여 이것을 반송할 수 있는 위치로 조절된다. 이와 더불어, 두께규제부재(41)도 그 경화가 1매만 아랫면에 치우쳐 통과할 수 있는 높이위치로 조정된다.
집적부내경 조절부(143)에 대해서는, 펄스모터(M3)의 회전에 따라 무단계 캠(92)이 제8도의 위치로부터 펄스수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캠종동부(91)가 캠면에 의해 눌려 차제에 캠(92)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링크(83)가 축(82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블럭(71)을 도면에 있어서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따라 제3링크(88)를 통해 제2링크(86)가 축(84)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다른측의 블럭(72)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좌우의 벨트(77,78)의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대되어 금종설정된 경화의 외경에 적합한 간격으로 설정됨과 더불어 링크(83,86)의 회전이동으로 블럭(71,72)은 제8도에 있어서 아랫쪽, 즉 경화통로(6)의 말단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미동하고, 경화직경이 커질수록 떨어지게 되어 경화의 수입에 적합한 위치를 취하게 된다. 더욱이, 제1링크(83)의 회전이동에 의해 링크(95)를 매개해서 레버(94)가 축(8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변위하고, 그 선단의 폐색부재(93)가 후퇴하여 벨트(77,78)간의 간격의 증대에 맞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에 따라 벨트(77,78), 폐쇄부재(93), 가이드(99,100) 등으로 형성되는 경화집적공간의 내경이 금종설정된 경화의 외경에 적합한 크기로 무단계 조정된다.
경화집적부(7)의 구동계에 대해서는, 벨트(77,78)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아암(105,106)이 부재(112)에 축(109,11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아암(105,106)이 상호 직선모양으로 되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벨트(77,78)간의 확개(擴開)에 추종하지만, 기어(107,108)는 항시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채이고, 따라서 모터(M4)의 구동력은 기어(113,103,107,108,104)를 통해 좌우의 벨트(77,78)의 간격의 변화에 관계없이 벨트(77,78)의 풀리(74,76)에 전달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경화통로(6)의 통로폭, 동일하게 경화통로(6)의 높이, 경화집적부(7) 모두가 처리해야 할 금종의 경화직경, 경화두께에 적합한 값으로 셋트된다.
다음에는 경화의 송출로부터 집적까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금종을 설정하고, 시작버튼(128)을 누르면, 회전원반(4)이 구동하여 호퍼(3)로부터 투입되는 경화를 회전원반(5)상으로 공급한다. 이 때, 회전원반(5)상의 경화의 존재상태는 레벨센서(S4)에 의해 감시되어 보급상태가 제어된다.
회전원반(5)의 회전에 위해 회전원반(5) 상의 경화는 그 주변으로부터 경화두께규제부재(41)의 아랫면밑으로 들어가 2매중첩상태의 상층의 경화가 배제되어 1층상태로 되어 경화통로(6)로 유입하고, 입구밑판(15)상에서 반송벨트(43)의 아랫면에 의해 눌려 반송벨트(43)의 회전이동에 의해 경화통로(6)의 고정통로부재(16)와 가동통로부재(17)의 에지부(16b,17b)에 걸친 상태로 반송된다. 이 에지부간의 간격보다 작은 소직경경화가 진입한 때는 이 에지부간의 배제구멍(19)으로부터 낙하하여 배제된다.
경화통로(6)의 말단에 이른 경화는 카운트센서(S2)에 의해 카운트되고, 센서(S3)에 의해 통과가 확인되며, 롤러(40,40...)에 의해 가이드되어 경화집적부(7)내로 들어간다.
여기서, 센서(S3)에 의한 통과의 확인이 소정시간 이루어지지 않은 때는, 이 경화통로(6)내에서 경화막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장해발생위치를 나타내는 위치표시부(119) 및 장해내용을 나타내는 내용표시부(120; 모두 제12도 참조)를 동작시킴과 더불어, 이 장해의 내용.발생시각 등(장해발생정보)을 경화정보입출력부(135)에 설치된 메모리카드 드라이버(146; 제14도 참조)내의 RAM(150)내(장해발생정보 기억영역(150(c))에 기입한다.
이 경화집적부(7)에서는, 좌우의 벨트(77,78)의 지지부(79,80)가 상단근처에 위치하고 있고, 경화는 이들 지지부(79,80)에 걸쳐 실리며, 1매의 경화가 실린 다음 펄스모터(M4)가 센서(S3)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해서 경화의 두께에 대응하는 소정펄스분 회전이동하여 벨트(77,78)를 회전이동시키고, 지지부(79,80)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하강한다.
이렇게 하여 포장단위매수의 경화가 카운트센서(S2)에 의해 계수된 때 그 신호에 따라 스톱퍼(36)의 도시하지 않은 작동용 솔레노이드에 통전되어 경화통로(6)상으로 스톱퍼(36)가 진출하여그 이후의 경화를 정지시킨다.
경화집적부(7)로 들어간 소정매수의 집적경하는, 벨트(77,78)(의 지지부(79,80)가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행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지지수단에 수도(受渡)되고, 포장부(10)로 인도되어 포장지(8)에 의한 포장이 이루어지며, 포장이 끝난 경화는 투출구(11)로부터 방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포장경화의 제작이 1회 행해질 때마다 경화정보입출력부(135)에 설치된 메모리카드 드라이버(146; 제14도 참조)내의 RAM(150)내(경화계수정보 기억영역(150b))의 기록된 경화계수정보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포장지(8)의 이송불량이나 포장지절단이 발생한 때는, 장해발생위치를 나타내는 위치표시부(119) 및 장해내용을 나타내는 내용표시부(120; 모두 제12도 참조)를 동작시킴과 더불어, 이 장해의 내용.발생시각 등을 장해발생 정보로서 경화정보입출력부(135)에 설치된 메모리카드 드라이버(146; 제14도 참조)내의 RAM(150)내(장해발생정보 기억영역(150c))에 기입한다.
한편, RAM(150)에 기억된 경화계수정보 및 장해발생정보는 그 날 하루의 경화포장기의 가동이 종료한 단계에서, 메모리카드 드라이버(146)에 의해 장전기구(147)에 장전된 메모리카드의 장해발생정보 기억영역(151c; 제15도(a) 참조)에 기입된다.
이렇게 하여 경화정보나 가동정보(경화계수정보 및 장해발생정보)가 기입된 메모리카드는 상술한 정보집록기(170; 제17도 참조)로의 정보입력에 사용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수입력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정보의 보존.관리 등의 작업부담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이들 정보가 기입된 메뫼카드를 제조원에 보냄으로써, 제조원이 장해발생상황이나 가동상황을 알 수 있게 되어, 장치개량이나 유지보수 등의 참고로 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화폐발행 등의 이유로 경화포장기(1)의 키부(115)의 조작에 의해 경화정보의추가.변경을 행한 때는, 이것을 제조원에 보냄으로서, 출하시의 경화포장기의 경화정보를 이것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해외사양의 경화포장기의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한편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경화통로폭 조절수단, 통로높이 조절수단, 경화집적부내경 조절수단 등에 관해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냈지만, 각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의 설계변경은 임의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경화정보를 기억부(137)에 기억시킬 때에 금종불럭(제15도 참조)을 조작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그 블럭에 경화정보를 기억시키도록 했지만, 비어 있는 금종블럭을 제어부(132)가 선택하여 그 블럭에 기억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기억부(137)에는 상술한 각 정보 외에 전원주파수 등과 같은 다른 정보를 기억시키도록 해도 좋다.
더욱이, 기억수단(137)으로서는, EEPROM 외에 배터리 백업을 갖춘 RAM 등을 사용해도 좋다.
아울러, 각 정보는 조절시점에서 EEPROM으로부터 독출하는 것이 아니라, 전원오프시와 설정기억시에 전정보를 일단 EEPROM으로부터 독출하여 RAM에 기억시키고, 조절시에는 각 정보를 이 RAM으로부터 독출하도록 해도 좋다.
덧붙여서, 본 실시예에서는 경화정보를 입력하면 곧바로 경화통로폭정보(P1), 경화통로높이정보(P2) 및 경화집적부내경정보(P3)를 산출하여 기억수단(137)에 기억시키도록 했지만, 조절시점에서 이들 정보(P1,P2,P3)를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의 발명에 의하면, 경화를 반송하는 경화통로의 통로폭, 통로높이 및 집적부의 내경을 처리해야 할 경화의 경화정보에 따라 무단게로 조정하도록 하고, 또 경화통로의 통로폭이나 통로높이, 경화집적부의 내경을 경화정보기억수단의 경화정보에 기초헤서 자동적으로 조정하므로, 처리경화의 금종변경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여하한 외경의 경화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다. 특히 경화직경이 극단적으로 다른 외국지향으로서도 그 때마다 캠을 변경하지 않고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만국공통의 경화포장기를 얻을 수 있다.
또, 경화정보를 외부기억매체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외부기억매체로부터 읽어들이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피처리경화의 금종변경조작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고, 더욱이 외부기억매체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외부기억매체에 대한 가동정보의 기입을 행하도록 했으므로 가동정보의 일괄관리를 위한 작업의 생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제2의 발명에 따른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경화포장기의 외부기억매체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외부기억매체에 가동정보를 기입함과 더불어, 이 가동정보를 정보집록(精報集錄)수단의 외부기억매체를 이용하여 독출하고, 독출한 정보를 이 정보집록수단의 제어수단으로 기억.관리하도록 했으므로, 수입력작업을 불필요하게 하여 가동정보의 일괄관리를 행하기 위한 작업의 생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8)

  1. 회전원반상에 공급된 경화를 1매씩 송출하여 경화통로상을 반송하고, 이 통로에서 경화의 선별, 계수 등의 소요의 처리를 행한 후, 소정매수의 경화를 경화집적부에 집적하며, 집적후 경화포장부에서 경화를 포장하는 경화포장기에 있어서, 외부기억매체를 장전하는 장전수단(147)과 이 장전수단(147)에 장전된 상기 외부기억매체에 대해 경화포장수정보, 경화계수정보 및 장해발생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동정보의 기입을 행하는 정보기입수단(148)을 갖춘 외부기억매체 구동수단(146)과, 입력된 경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화통로의 통로폭 및 통로높이와 상기 경화집적부의 내경을 산출하는 연산수단(132), 피처리경화의 금종을 지정하는 금종지정수단(134), 상기 경화통로의 통로높이를 무단계로 조절하는 경화통로폭 조절수단(141), 상기 경화통로의 통로높이를 무단계로 조절하는 경화통로높이 조절수단(142), 상기 경화집적부의 내경을 무단계로 조절하는 경화집적부내경 조절수단(143) 및, 상기 금종지정수단(134)에 의해 지정된 금종의 경화에 대한 상기 연산수단의 산출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경화통로폭 조절수단(141), 상기 경화통로높이 조절수단(142) 및 상기 경화집적부내경 조절수단(143)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1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억매체 구동수단이, 상기 외부기억매체에 대해 상기 경화정보의 독출 또는 기입을 행하는 정보독출기입수단(148)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억매체가 메모리카드(151,1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통로폭 조절수단(141), 상기 경화통로높이 조절수단(142) 및 상기 경화집적부내경 조절수단(143)이 각각 캠(25,67,92)과 이 캠에 종동(慫動)하는 이동부재를 갖추고 있고, 상기 캠의 직경이 상기 경화통로폭, 상기 경화통로높이 및 상기 경화집적부내경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각각 그 최소반경으로부터 최대반경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기.
  5. 회전원반상에 공급된 경화를 1매씩 송출하여 경화통로상을 반송하고, 이 통로에서 경화의 선별, 계수 등의 소요를 처리를 행한 후, 소정매수의 경화를 경화집적부에 집적하며, 집적후 경화포장부에서 경화를 포장하는 경화포장기의 상기 처리에 관계되는 정보를 일괄하여 관리하는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a) 외부기억매체를 장전하는 장전수단(147)과 이 장전수단(147)에 장전된 상기 외부기억매체에 대해 경화포장수정보, 경화계수정보 및 장해발생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동정보의 기입을 행하는 정보기입수단(148)을 갖춘 외부기억매체 구동수단(146)과, (b) 입력된 경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화통로의 통로폭 및 통로높이와 상기 경화집적부의 내경을 산출하는 연산수단(132), (c) 피처리경화의 금종을 지정하는 금종지정수단(134), (d) 상기 경하통로의 통로폭을 무단계로 조절하는 경화통로폭 조절수단(141), (e) 상기 경화통로의 통로높이를 무단계로 조절하는 경화통로높이 조절수단(142), (f) 상기 경화집적부의 내경을 무단계로 조절하는 경화집적부내경 조절수단(143) 및, (g) 상기 금종지정수단(134)에 의해 지정된 금종의 경하에 대한 상기 연산 수단의 산출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경화통로폭 조절수단(141). 상기 경화통로높이 조절수단(142) 및 상기 경화집적부내경 조절수단(143)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132)을 갖춘 경화포장기와; 외부 기억매체를 장전하는 장전수단(173)과 이 장전수단(173)에 장전된 상기 외부기억매체로 부터 상기 가동정보의 독출을 행하는 정보기입독출수단(174)을 갖춘 외부정보매체 구동수단(171)과, 상기 외부정보매체 구동수단(171)에 의해 독출된 상기 가동정보를 관리하는 제어수단(172)을 갖춘 정보집록수단(17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억매체 구동수단이, 상기 외부기억매체에 대해 상기 경화정보의 독출 또는 기입을 행하는 정보독출기입수단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억매체가 메모리카드(151,1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통로폭 조절수단(141), 상기 경화통로높이 조절수단(142) 및 상기 경화집적부내경 조절수단(143)이 각각 캠(25,67,92)과 이 캠에 종동(從動)하는 이동부재를 갖추고 있고, 상기 캠의 직경이 상기 경화통로폭, 상기 경화통로높이 및 상기 경화집적부내경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각각 그 최소반경으로부터 최대반경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
KR1019940004439A 1993-03-08 1994-03-08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 KR0149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46913 1993-03-08
JP04691393A JP3542360B2 (ja) 1993-03-08 1993-03-08 硬貨包装機および硬貨包装機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9736B1 true KR0149736B1 (ko) 1998-10-15

Family

ID=1276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439A KR0149736B1 (ko) 1993-03-08 1994-03-08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615216B1 (ko)
JP (1) JP3542360B2 (ko)
KR (1) KR0149736B1 (ko)
CA (1) CA2118551C (ko)
DE (1) DE69414439T2 (ko)
ES (1) ES212540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9277B1 (en) 2000-02-22 2002-12-31 Cummins-Allison Corp. Coin wrapper
JP4623761B1 (ja) * 2010-07-08 2011-02-02 ネット株式会社 メダルセレ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メダル式遊技機
JP4836151B1 (ja) * 2010-11-09 2011-12-14 ネット株式会社 メダルセレクタ及びメダル式遊技機
JP6619937B2 (ja) * 2015-02-10 2019-12-1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包装機、硬貨包装システムおよび硬貨包装方法
US9836909B2 (en) 2016-04-06 2017-12-05 Shuffle Master Gmbh & Co Kg Chip sorting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components and methods
US10096192B1 (en) 2017-08-30 2018-10-09 Shuffle Master Gmbh & Co Kg Chip sorting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CN112810866A (zh) * 2020-12-30 2021-05-18 青岛日清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外币自动配钞封包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41451A1 (de) * 1989-12-15 1991-06-27 Reis Standardwerk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muenzen oder dergleichen scheibenfoermigen gegenstaenden
US5129205A (en) * 1989-12-18 1992-07-14 Cummins-Allison Corp. Automatic adjustment device for a coin wrapping mechanism
CA2084459C (en) * 1991-12-10 1998-12-01 Ichiro Takatani Coin packag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15216A3 (en) 1994-11-23
DE69414439T2 (de) 1999-04-22
ES2125403T3 (es) 1999-03-01
CA2118551C (en) 1998-06-23
DE69414439D1 (de) 1998-12-17
EP0615216A2 (en) 1994-09-14
EP0615216B1 (en) 1998-11-11
JPH06263111A (ja) 1994-09-20
CA2118551A1 (en) 1994-09-09
JP3542360B2 (ja)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742B1 (ko) 경화포장기
KR100360207B1 (ko) 경화포장기
KR100329209B1 (ko) 경화 포장기
KR0149736B1 (ko) 경화포장기 및 경화포장기 관리시스템
US4586232A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EP0106278B1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KR100364833B1 (ko) 경화선별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경화처리기
JP3267697B2 (ja) 硬貨処理機
JP3414764B2 (ja) 硬貨包装機
JP3267696B2 (ja) 硬貨処理機
JP2004005746A (ja) 硬貨類処理機の通路幅調節装置
KR0165914B1 (ko) 경화처리기
JPWO2009130783A1 (ja) 硬貨処理装置
JP3668309B2 (ja) 硬貨包装機の硬貨集積装置
GB2102394A (en) Processing apparatus for a paper sheet bundle with a tape wound therearound
CA1219610A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3018512B2 (ja) 硬貨入出金機
JPS61103289A (ja) 硬貨処理機の識別異常硬貨排除装置
JPH0555274U (ja) 硬貨処理機の硬貨通路幅調節装置
JP2568068Y2 (ja) 硬貨集積装置
JPS6245328Y2 (ko)
JPH10265071A (ja) 紙葉類繰出し装置
JPH05162727A (ja) 硬貨包装機
JPH01197238A (ja) 紙葉類繰出し機構
JPH08167060A (ja) 搬送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