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098B1 - 펜더 마커 - Google Patents

펜더 마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098B1
KR0148098B1 KR1019960007573A KR19960007573A KR0148098B1 KR 0148098 B1 KR0148098 B1 KR 0148098B1 KR 1019960007573 A KR1019960007573 A KR 1019960007573A KR 19960007573 A KR19960007573 A KR 19960007573A KR 0148098 B1 KR0148098 B1 KR 0148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led
rim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902A (ko
Inventor
가츠히사 이시가미
기쿠히로 오오사와
Original Assignee
나카무라 요시로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무라 요시로,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나카무라 요시로
Publication of KR96003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목적) 펜더마커의 외관상 볼품을 손상함이 없이, 넓은 각도범위에서 그 점등상태를 보고확인 할 수 있게 한다.
(구성) LED(5)를 탑재한 회로기판(4)을 내장하는 보디(1)상에 두꺼운 렌즈(2)를 배치하고, 렌즈(2)의 바닥면은 LED(5)에 대향하는 면을 광 투과성의 평탄면(23)으로 하고, 회로기판(4)에 대향하는 면을 광 확산성의 평탄면(24)으로 하여 각각 형성하고, 또한 이 광 투과성의 평탄면(23)에 대향하는 렌즈(2)의 윗면을 림(3)으로 덮는다.
LED(5)의 광은, 광 투과성의 편탄면(23)을 투과하여 렌즈(2)내에 들어가 림(3)의 내면에서 반사되고, 렌즈(2)의 정면체로부터 사출되어 자동차의 운전석으로부터의 시인성을 높인다. 또, 비점등시에는 광 확산성의 평탄면(24)에 있어서의 광 확산에 의해 LED(5)를 탑재한 회로기판(4)이 렌즈를 투과하여 외부에 노출됨이 없고, 외관상의 볼품이 개선된다.

Description

펜더 마커
제1도는 본 발명의 팬더마커의 1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팬더마커의 조립상태의 외관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BB선의 각 확대 단면도,
제4도는 평탄면의 부분 확대 사시도와 그 단면도,
제5도는 점등시에 있어서의 광의 사출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보디 2:렌즈
3:림 4:회로기판
5:LED 7:통형상부
21:배면측 경사면 22:정면측 경사면
23:배면측 평탄면(광 투과면) 24:정면측 평탄면(광 확산면)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좌우 프런트 펜더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차폭을 운적석에서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펜더마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펜더마커로서 자동차의 클리어런스 램프와 펜더마커에를 광 파이버와 접속하고, 클리어런스 램프의 광을 광 파이버에 의해 펜더마커까지 도입하여 펜더마커를 점등 상태로 하는 방식의 것과, 펜더마커내에 광원을 구비하여 독자적으로 점등시키는 방식의 것이 있다.
펜더마커로서 클리어런스 램프의 점등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을 지니게 하는 경우에는 전자의 방식이 채용되나, 본래의 기능인 차폭확인을 원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램프와 펜더마커와의 사이에 광 파이버를 뻗어 설치할 필요가 없는 후자쪽이 구조적으로도 가격적으로도 유리하다.
이 후자와 같은 소위 자발광식의 펜더마커로서 종래부터 각종 구조의 것이 제안되어 있고, 예컨대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서, 일본국 실개소 62-437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펜더마커에서는 보디상에 내부를 중공으로 형성한 렌즈를 장착하고, 또한 보디 내지 렌즈의 내부공간내에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배열 설치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클리어런스 램프의 점등과 동시에 LED를 발광시킴으로써, 광을 렌즈를 통하여 외부에 사출시켜 운전석에서 펜더마커의 점등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펜더마커에서는 렌즈가 투명체이기 때문에 특히 비점등시에는 렌즈를 투과하여 렌즈 및 보디내에 내장한 LED나 그 구동회로부품이 외부에 노출되고, 펜더마커의 외관상 볼품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LED의 구동회로는 회로기판에 각종 부품을 탑재한 구조체로서 구성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이 회로기판에 형성된 배선패턴 등이 렌즈를 투과하여 외부에 노출되고, 펜더마커의 외관상의 볼품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렌즈와 보디와의 접합부를 피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림의 일부를 윗쪽으로까지 연장하여 렌즈측면과 윗면을 림으로 피복하고, 렌즈의 정면측의 단면, 즉 운전석에 대향하는 축의 단면만을 개방함으로써, 렌즈의 윗면이나 측면으로부터는 내부의 LED등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펜더마커의 점등을 보고확인할 수 있는 렌즈의 면적이 정면측의 단면과 그 근방만으로 되어 극히 한정된 것으로 되며, 또는 보고확인할 수 있는 각도범위도 극히 좁은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좌우의 펜더마커를 운전석으로부터 보고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렌즈면의 설계나 차체에 대한 장착각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어서 설계자유도가 손상되며, 혹은 조수석으로부터 펜더마커의 점등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펜더마커의 이용가치를 낮게 하는 원인으로 되어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펜더마커의 외관상의 볼품을 손상함이 없이, 넓은 각도범위로부터 그 점등상태를 보아 인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펜더마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펜더마커로서는, 적어도 LED를 탑재한 회로기판을 내장하는 보디와, 이 보디의 윗측에 배치된 두꺼운 렌즈와, 렌즈의 하부를 덮는 림을 구비하고 있고, 렌즈의 바닥면은 LED에 대향하는 면을 광 투과면으로 하여 회로기판에 대향하는 면을 광 확산면으로서 각각 형성하고, 또한 이 광 투과면에 대향하는 렌즈의 윗면을 림으로 덮도록 구성한다.
[작용]
LED로 발광된 광은, 광 투과면을 투과하여 렌즈내에 들어오고, 그 일부는 렌즈의 윗면에 있어서 림의 내면에서 반사되고 렌즈의 정면측으로부터 사출되어 자동차의 운전석으로부터의 시인성을 높인다. 광의 다른 일부는, 광 확산면으로 굴절되면서 렌즈내에 들어가고, 렌즈의 측면이나 정면측으로부터 사출되어 렌즈 전체를 밝게 한다.
또한 LED의 비 발광시에는 광 확산면에 있어서의 광 확산에 의해 LED를 탑재한 회로기판이 렌즈를 투과하여 외부에 노출됨이 없이, 외관상의 볼품이 개선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 제2도는 그 외관 사시도, 제3도(a) 및 (b)는 그 AA선, BB선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시와 같이, 펜더마커는 상부측이 개구된 용기형상으로 형성된 보디(1)와, 이 보디상에 적치되는 렌즈(2)와, 렌즈(2)를 보디(1)에 접합한 부분을 덮기 위한 림(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펜더마커를 자동차에 장착했을 때에 운적석에 대향하여 향해지는 측을 정면측이라 칭하고, 그 반대측을 배면측으로 칭한다.
상기 보디(1)는 가늘고 긴 직4각형의 용기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광원으로서의 LED(5)와, 이 LED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부품(6)을 탑재한 회로기판(4)을 내장하고 있다. 이 회로기판(4)은 보디(1)의 길이방향에 따라 대략 수평상태로 배치되고, 보디의 내부바닥면에 세워설치한 보스(11)에 회로기판(4)에 설치한 작은 구멍(4a)이 삽통된 후, 보스(11)의 꼭지부를 코킹성형(12)함으로써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4)의 일단부, 즉, 배면측의 단부에 상기 LED(5)가 그 발광면을 윗쪽으로 향하여 탑재되어 있다.
또, 상기 회로기판(4)에 접속된 코드(41)를 보디(1)의 바닥면에 설치한 인출구멍(13)으로부터 외부에 인출하고 있다. 이 인출구멍(13)은 보디(1) 바닥면에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된 통형상부(14)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통형상부(14)내에는 고무부싱(15)이 끼워맞춤되고, 이로 인해 인출구멍(13)과 코드(41)사이의 방수를 행하고 있다. 이 코드의 선단에는 도시 외의 코넥터가 접속된다.
또, 보디(1)의 외측의 한쪽 단면에는 계합돌기(16)가 설치되며, 다른쪽 단면에는 탄성계합편(17)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차체에 설치한 개구구멍에 펜더마커를 고정할 때에 이용된다.
상기 렌즈(2)는 비행기의 수직 꼬리날개에 유사한 대략 3각형을 한 속이찬 투명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면은 상기 보디(1)외형의 길이 및 폭의 각 치수에 대략 동등한 평면치수로 형성된다.
이 경우, 렌즈(2)배면측 영역의 윗면은 바닥면에 대해 약 45°의 경사면(21)으로서 형성되고, 정면측의 영역은 수직보다도 약간 배면측에 향하여 경사된 각도의 경사면(22)으로서 형성된다. 또, 이들 배면측과 정면측의 각 경사면(21,22)은 그 표면이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단면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은 배면측의 소면적의 평탄면(23)과, 정면측의 대면적의 평탄면(24)으로 2단구성의 평탄면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배면측의 평탄면(23a)은 광 투과성이 양호한 미끄러운 면으로서 형성되나, 정면측(23)의 평탄면(23)에는 광을 확산가능으로 하도록 미세한 확산스텝(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확산스텝(25)은 제4도(a),(b)에 그 사시도와 단면도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기서는 4 각 추출한 오목부를 바둑판 형상으로 배열한 구성으로 하고 4 각추의 경사면에 있어서 광을 확산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렌즈(2)의 바닥면 둘레가장자리에 따라 미세폭의 돌조(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조(26)의 선단부를 상기 보디(1)의 윗면에 초음파 용착함으로써, 보디(1)에 대하여 렌즈(2)를 일체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이 장착상태에서는, 렌즈(2)배면측의 평탄면(23)은 상기 LED(5)의 직상위치에 대향배치되게 된다.
상기 림(3)은 상기 렌즈(2)의 아래주위에 따른 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금속 혹은 내면을 광 반사가능하게 처리한 수지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배면측의 바닥면 일부에 설치한 돌기부(31)를 상기 보디(1)에 설치한 작은 구멍(18)에 코킹결합시키고, 또 정면측의 일부(32)를 보디(1)와 렌즈(2)사이에 끼워넣음으로써 보디(1)와 렌즈(2)에 일체적으로 장치된다.
그리고, 림(3) 배면측의 영역(33)은 상기 LED(5)에 대향되는 렌즈(2)의 배면측영역의 경사면(21) 하측의 영역을 덮도록 다소 윗쪽으로까지 연장된다. 한편, 림(3)의 정면측은 렌즈의 정면측 경사면 대략 전체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이 구성의 펜더마커는 차체의 앞측 펜더에 장착할 때에 제3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차체(B)에 설치한 가늘고 긴 개구구멍(H)에 윗쪽으로부터 끼워맞춤된다. 그리고, 이 끼워맞춤에 있어서는, 탄성계합편(17)을 안쪽에 탄성변형시키면서 보디(1)의 바닥부를 개구구멍(H)내에 삽입하면, 탄성계합편(17)이 복귀되었을 때에 계합돌기(16)와 탄성계합편(17)의 선단부가 각각 개구구멍(H)의 내연부에 계합되므로, 펜더마커를 차체(B)에 장치할 수 있다.
이때, 차체(B)의 면상에는 개구구멍(H)에 따라 패킹(P)을 배치하고 있고, 탄성계합편(17)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림(3)이 패킹(P)의 주연부에 있어서 차체면에 대하여 가압됨으로써, 패킹(P)에 의한 차체(B)와 림(3)사이의 방수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그 때에 코드(41) 선단에 접속된 코넥터를 전원측의 코넥터에 접속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한편, 차체에 장치된 펜더마커가 자동차의 클리어런스 램프의 점등과 동시에 LED(5)가 발광되어서 점등된 상태에서는, 제5도에 그 때의 광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도록, 렌즈(2)바닥면의 배면측 평탄면(23)의 광 투과성이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LED(5)로부터의 광은 이 배면측 평탄면(23)을 투과하여 렌즈(2)내에 아래쪽으로부터 윗쪽에 향하여 도입된다.
그리고, 렌즈(2)내를 윗쪽에 향하여 직진한 후, 배면측 경사면(21)에까지 도달하고, 이 배면측 경사면(21)의 영역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림(3)의 내면에서 대략 90도의 각도로 전반사되어서 렌즈(2)내를 정면측에 향하여 진행되고, 렌즈의 정면측 경사면(22)으로부터 사출된다. 또, 이것과 동시에 배면측 경사면(21)에서는 림(3)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도 광의 일부는 정면측에 향하여 발사되어 정면측 경사면(22)으로부터 사출된다.
또, 이것과 동시에 배면측 경사면(21)에서는 림(3)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도 광의 일부는 정면측에 향하여 반사되고, 정면측 경사면(22)으로부터 사출된다. 이 사출광은 렌즈의 정면측 경사면(22)이 다소 볼록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 상하, 좌우에 확산되면서 사출되므로, 운전석 및 조수석에까지 도달되어 이들 좌석의 승객이 점등상태를 확실하게 보고확인할 수 있다.
또, LED(5)로부터의 광은 배면측 평탄면(23)으로부터 렌즈에 입사할 때에 그 일부는 굴절되기 때문에 굴절된 광은 렌즈(2)내를 상기와 상이한 각도에서 윗쪽에 향하여 진행하고, 렌즈(2)의 배면측 경사면(21)의 림(3) 존재하고 있지 않는 영역이나, 림(3)이 거의 존재하고 있지 않는 양측면으로부터도 사출된다. 이로 인해, 림(3)에 의해 덮혀져 있지 않는 렌즈(2)의 거의 전체면으로부터 광이 사출되게 되며, 상기한 림(3)에서의 반사광에 이들의 광이 가해져 운전석이나 조수석으로부터의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렌즈(2)측면으로부터도 광이 사출되므로, 자동차 밖에 있는 사람에 대해서도, 렌즈의 측면이 밝게 보여 펜더마커의 볼품을 높일 수 있다. 또, LED(5)의 광의 다른 일부는 렌즈바닥면의 광 확산성이 있는 정면측 평탄면(24)에도 입사되나, 이 평탄면(24)에 있어서 LED(5)의 광이 4 각추를 배열한 확산스텝(25)에 의해 확산되어서 렌즈(2) 내에 진입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렌즈(2) 전체를 밝게 하는 작용을 조장하게 된다.
다른 한편, 펜더마커의 비점등시에는 렌즈(2)는 그 아래주위와 내면측 경사면(21)의 하측영역이 림(3)에 의해 덮혀져 있을 뿐이며, 기타영역은 노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광을 반사하여 그 외관성의 볼품을 높일 수가 있다. 또, 이 펜더마커를 접근하여 봤을 때에는 렌즈(2)바닥면의 정면측 평탄면(24)는 확산 스텝(25)에 의해 광 확산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정면측 평탄면(24)의 아래측을 분명하게 투시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보디(1)내에 내장되어 있는 회로기판(4)을 외부에서 볼수는 없게 된다. 이것은, 회로기판(4) 및 이것에 탑재된 부품(6)이 렌즈(2)를 투과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펜더마커의 외관상 볼품을 개선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외부에서 렌즈(2)에 들어온 광의 일부는 이 평면측 평탄면(24)에 있어서 확산 상태로 반사되기 때문에, 이 반사광에 의해 렌즈(2)를 밝게 빛내게 하고 비점등시에 있어서의 펜더마커의 볼품을 개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외부에서 렌즈(2)를 본 경우, 그 각도위치에 따라서는 렌즈바닥면의 배면측 평탄면(23)이 광 투과성이기 때문에, 이 배면측 평탄면을 투과하여 LED(5)가 노출되는 일이 있으나, LED(5)는 비점등시에는 렌즈(2)와 동일하게 투명한 수지의 색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LED(5)가 두드러져 보이는 일은 없고, 외관상의 볼품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며, 제3도와 동일값의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로기판(4)은 보디(1)에 설치한 보스(18)에 나사(19)에 의해 고정된다.
또,회로기판(4)에는 스프링성을 가지는 도전부재로 이루어지는 2개 이상의 접촉자(42)가 이면측에 향하여 돌출형성된다. 한편, 보디(1)의 바닥면에는 코넥터를 구성하는 통형상부(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통형사부(7)내에 상기 접촉자(42)에 대응하는 수의 도전부재로 이루어지는 코넥터단자(71)가 배열설치되어 상기 보디(1)에 인서트 형성되어 있다. 이 코넥터단자(71)의 기단부(71a)는 상기 보디(1)내에 돌출되어 있다. 또한, 72는 방수용의 실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디(1)내에 나사(19)에 의해 회로기판(4)을 고정하면, 접촉자(42)가 코넥터(71)의 기단부(71a)에 탄성력에 의해 접촉됨으로써 회로기판(4)과 코넥터단자(71)와의 전기접속이 행해진다. 그리고 코넥터단자(71)는 통형상부(7)로 코넥터로서 구성되기 때문에 도시 외의 차량적재전원에 접속되는 코넥터를 이 통형상부(7)에 끼워맞추게함으로써 양자의 전기적인 접속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 상기 실시예와 같은 코드(41)가 인출되는 일이 없고, 펜더마커 램프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렌즈(2)바닥면의 광 투과성 및 광 확산성의 각 평탄면(23,24)을 평탄면으로 하여 형성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경사면으로서, 혹은 곡면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 광 확산성 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면에 시보를 형성하고, 혹은 확산판을 첨부하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디상에 배치한 렌즈의 바닥면을 LED에 대향하는 면을 광 투과면으로 하고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면을 광 확산면으로 하여 각각 형성하고, 또한 이 광 투과면에 대향하는 렌즈의 윗면을 림으로 덮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LED에서 발광된 광은 광 투과면을 투과하여 렌즈내에 들어가고, 그 일부는 렌즈의 윗면에 있어서 림의 내면에서 반사되어 렌즈의 정면측으로부터 사출되며, 자동차의 운전석으로부터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 광의 다른 일부는 광 확산면에서 굴절되면서 렌즈내에 들어가고, 렌즈의 측면이나 정면측으로부터 사출되며, 펜더마커를 넓은 각도범위로부터 보고확인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렌즈 전체를 밝게 하여 자동차 밖으로부터의 펜더마터의 볼품을 개선한다. 또한, LED의 비점등시에는 광 확산면에 있어서의 광 확산에 의해 LED를 탑재한 회로기판이 렌즐르 투과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일이 없이, 이 상태에서의 외관상의 볼품도 개선된다.

Claims (1)

  1. 자동차의 프런트 펜더에 장비되는 펜더마커에 있어서, 적어도 LED를 탑재한 회로기판을 내장하는 보디와, 이 보디의 윗쪽에 배치된 두꺼운 렌즈와, 렌즈의 하부를 덮는 림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의 바닥면은 상기 LED에 대향하는 면을 광 투과면으로 하고, 상기 회로기판에 대향하는 면을 광 확산면으로 하여 각각 형성하고, 또한, 상기 광 투과면에 대향하는 렌즈의 윗면을 상기 림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더마커.
KR1019960007573A 1995-03-30 1996-03-20 펜더 마커 KR0148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95949 1995-03-30
JP9594995A JP3250595B2 (ja) 1995-03-30 1995-03-30 フェンダーマー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902A KR960033902A (ko) 1996-10-22
KR0148098B1 true KR0148098B1 (ko) 1998-08-17

Family

ID=1415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7573A KR0148098B1 (ko) 1995-03-30 1996-03-20 펜더 마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50595B2 (ko)
KR (1) KR01480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8281B2 (ja) * 2006-08-01 2011-06-22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内用インジケータの照明装置
JP4915528B2 (ja) * 2007-11-29 2012-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の灯火器
JP5660427B2 (ja) * 2010-03-26 2015-01-28 株式会社オリンピア 遊技機用照明装置及び遊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902A (ko) 1996-10-22
JP3250595B2 (ja) 2002-01-28
JPH08268153A (ja) 1996-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809A (en) Indicating instrument
US8469563B2 (en) Turn-indicator light module for a vehicle mirror assembly and vehicle mirror assembly comprising a turn-indicator light module
CN1195653C (zh) 机动车用制动灯
US8177401B2 (en) Light guide turn signal indicator rear view mirror
CN104048236A (zh) 车辆用灯具以及车辆的后面板
MX2007005225A (es) Ensamble de lampara de cortesia interior de vehiculo.
CN112601678A (zh) 用于机动车的照明装置
KR0148098B1 (ko) 펜더 마커
JP3249028B2 (ja) フェンダーマーカ
JP6081784B2 (ja) 発光装置
JP2007186943A (ja) ドアハンドル照光ユニット
CN212565626U (zh) 具有激光光源的超长高位刹车灯
JP4131098B2 (ja) 車両用サイドハンドルランプ
JP5147356B2 (ja) 車両用ランプ
JP4968152B2 (ja) 車両用灯具
EP3904159A1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and illuminable mirror display device
JP5147355B2 (ja) 車両用ランプ
JP4946958B2 (ja) 車両用灯具
JP4221923B2 (ja) 車両用サイドハンドルランプ
KR102557248B1 (ko)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CN216886468U (zh) 一种车用亮度均匀的灯板结构
CN220379507U (zh) 一种面光源配合厚壁件发光的贯穿式尾灯
JPH0452117Y2 (ko)
JP7115103B2 (ja) Etcアンテナ
CN220262663U (zh) 用于车辆的后视镜组件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