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908B1 - 가연권축기 - Google Patents

가연권축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908B1
KR0146908B1 KR1019940022172A KR19940022172A KR0146908B1 KR 0146908 B1 KR0146908 B1 KR 0146908B1 KR 1019940022172 A KR1019940022172 A KR 1019940022172A KR 19940022172 A KR19940022172 A KR 19940022172A KR 0146908 B1 KR0146908 B1 KR 0146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ing
supply system
combustible
proces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486A (ko
Inventor
쉬퍼즈 하인츠
담만 페터
바우어 카알
하니쉬 미하엘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퓌팅
바마크 악티엔게젤 샤프트
디이터 핑슈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퓌팅, 바마크 악티엔게젤 샤프트, 디이터 핑슈텐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퓌팅
Publication of KR96001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02G1/026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false-twis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1/00Creels, i.e. apparatus for supplying a multiplicity of individual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Warping, Beaming, Or Lea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가연권축기는 실공정 요소가 설치된 공정프레임, 실패키지를 설치하기 위한 크리일 및 크리일과 마주보는 측면에 공정프레임으로부터 측면으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작업통로를 배치할 수 있도록 설치된 권취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연신가열기는 귄취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으며 냉각판은 공정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연유닛은 냉각판의 배출측 끝단아래에서 공정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
실은 일반적으로 평면상의 배치로 크리일로부터 안내되어 작업통로를 넘어 귄취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제1실피이드 시스템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실은 가열기와 냉각판을 통과하여 가연유닛으로 진행하고 크리일로부터 공급된 실에 의하여 구성되는 평면을 통과하여 루프형태로 되돌아 온다. 두장치는 경상 대칭적인 관계로 설치됨으로써 두장치의 권취프레임에 의해 경계지워진 서비스통로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두장치의 권취장치에 대한 효과적인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연권축기
제1도와 제1a도는 가연권축기의 개략도,
제2도 내지 제5도, 제7도 및 제8도는 각기 다른 사경로(絲經路)를 가지며 동일한 배치를 양측 대칭으로 설치한 2중장치의 개략도,
제6도는 제4도, 제5도 및 제7도에서의 사경로를 가진 가연권축기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크리일프레임 2:공정프레임
3:권취프레임 4:작업통로
6:팩키지저장소 7:권취장치
9:대칭평면 14:사가이드
20:제1 히터 24:냉각판
26:튜브형통로
본 발명은 가연권축기에 대한 것이다.
가연권축기에 대해서는 DE-PS 25 30 125호에서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개시된 가연권축기의 디자인은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팩키지 도프(package doff)의 자동화와 더불어 양쪽에서 작동될 수 있는 가연권축기의 권취장치를 구축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는데, 이에 대해서는 DE-A 41 4904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귄취장치의 작동수행을 책임지는 조작자나 혹은 로봇이 행하는 사조의 취급, 특히, 만관팩키지의 제거 또는 빈(empty) 튜브의 공급과정을 방해하지 않고, 양쪽에서 작동될 수 있는 귄취장치를 구비한 가연권축기를 제안하는 데 있다. 또한, 크리일(creel)로 공급사팩키지를 제공하거나 실이 감긴 팩키지를 제거하도록 공통의 복도에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가연권축기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중장치로 쉽게 확장될 수 있는 장치를 대상으로하고 있다.
즉 본원 발명에서는, 동일한 가연권축기가 거울상대칭을 이루어 배열되고, 대칭 평면은 팩키지 제거를 위해 설계된 작업복도내에서 권취프레임을 따라 귄취프레임에서 적당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연장되므로, 도퍼(doffer)의 통행 및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사경로를 장치의 기본구성의 변경없이 배열할 수 있어 구성장치 배열상의 공간적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가연권축기는 수작업으로 각 사를 쓰레드(Thread)할 수 있게 하는데, 사는 막힘없이 진행하여 공급시스템 및 다른 처리장치에 도달한다. 그러나, 크리일(creel)로부터의 각 사를 튜브를 통해 안내하여 그와 연관된 사공급시스템으로 진행시키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그리고, 튜브는 사를 보호하는 기능도 한다. 또, 튜브의 활용으로 흡인건(suction gum)으로 사를 쓰레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공급시스템 부근에 위치한 튜브형 통로의 단부에 대향하여 흡인건을 지지하고, 다른 단부에서 사가 사공급팩키지에 최대로 밀착시켜 지지되도록 배열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의 쓰레드작업중 작업자나 사가 기계장치와 접촉하게 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장점중의 하나는, 쓰레딩작업이 만관팩키지의 제거작업과 독립하여 행해진다는 점이다. 이 장점은 권취프레임의 양편에 작업통로복도를 형성시킴으로써 실현된다. 즉, 공정프레임 및 권취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된 한 복도로부터는 사가 권취장치로 쓰레드되고, 각각의 빈 튜브는 권취장치로 공급된다. 권취장치의 다른쪽으로부터는 만관팩키지가 제거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사작업이 팩키지의 이동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나아가, 사공정과 독립하여 팩키지 이동을 자동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경로는 작업자가 공급시스템 및 처리장치에 걸친 전체 사경로를 살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작업통로에는 작업자 외에는 어느 기계장치들도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경로가 자유로이 개방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배열에서, 크리일프레임으로부터의 사경로는 가연영역안의 사경로와 교차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최종적으로 사팩키지를 향하여 제1 공급시스템으로 진행하는 사를 관찰하고 다룰 수 있다. 한편, 사경로가 반드시 튜브형 통로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낮은 데니어를 가지는 가는 사를 공정처리할 때에는, 제1 공급시스템이 최소한의 인장력을 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사진행경로에 너무 많은 굴곡부를 두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 다른쪽 가연권축기에서 처리될 사를 위하여 한쪽의 가연권축기의 크리일이 공급팩키지를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제1 공급시스템의 수평면 또는 공급시스템으로 하향경사하여 연장되는 평면을 따라 튜브형 통로나 사가이드가 연장되도록 하면, 사공급팩키지와 제1 공급시스템 사이에 단 하나의 90°굴곡부만이 형성된다. 이때, 사가 직접 제1 공급시스템안으로 안내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와 반대로, 제1 공급시스템이 작업자머리 위에 오도록 위치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권축기배열상의 튜브형 통로가 작업자를 방해하게 된다. 특히, 히터 및 냉각판, 그리고 가연장치를 보는 것도 어렵게 된다. 이러한 경우, 크리일과 제1 공급시스템 사이로 사가 열처리영역 위로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 이상의 본원 발명의 요지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되는 이하의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원의 제2도-제5도, 제7도 및 제8도에 개시된 가연권축기는 제1도의 장치와 완전히 동일하게 구성된 두 개의 장치 반체(半體)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은 모든 도면에 도시된 가연권축기에 적용된다. 제2도-제5도, 제7도 및 제8도의 각 실시예에 있어 그 특징들은 참조번호와 더불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가연권축기는 크리일프레임(1; 이하 '크리일'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공정프레임(2) 및 권취프레임(3)으로 구성된다. 크리일(1)은 공정프레임과 그 후면을 맞대어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가연권축기는 길이방향으로 - 도면의 평면은 장치의 횡방향이므로, 길이방향과 직교한다. - 각 공정 스테이션에 대하여 하나의 사가 대응하도록 된 복수개의 공정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있다. 권취장치는 세 개의 공정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폭을 점유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것과 같이, 3개의 권취장치는, 각각이 하나의 위에 놓이도록 배열되어 칼럼(기둥)을 형성하고 있다.
각 작동스테이션은 사공급팩키지(10)를 포함하는데, 여기에는 열가소성사(12)가 감겨져 있다. 사는 제1 공급시스템(18)에 의한 장력을 받으면서 사가이드(14)와 굴곡로울을 통해 머리 위로 인출된다.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에서는, 사가 튜브형 통로없이 크리일(1)과 제1 공급시스템(18) 사이에서 진행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도 튜브형 통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튜브형 통로가 없을 때는, 제1 공급시스템(18)과 권취장치 사이의 공정중에 고장이 발생할 때 사를 절단하는 예컨대 사절단장치를 공정프레임(2)상에 배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절단장치는 제1 공급시스템(18) 바로 윗쪽으로 권취프레임 위에 배열될 수도 있다.
튜브형 통로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된다.
크리일(1)에서 각 사는 튜브로 이송된다. 복수의 튜브가 하나의 다발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각 크리일 위의 평면으로 연장되거나(제1도-제4도), 크리일의 중간영역안의 평면으로 연장되거나(제5도), 또는 바닥 부근의 평면을 따라(제8도) 연장되어 있다. 제2도-제8도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 자세히 기술되겠지만, 튜브다발은 사조선을 따라 크리일로부터 각각의 제1 공급시스템(18)으로 진행한다. 이러한 배열을 택하는 경우에는 사조선을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부채꼴상으로 펼쳐지도록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튜브의 개구가 수평선을 이루고 연장되고, 각 튜브의 개구가 한 공급시스템(18)중의 하나의 시스템 전방에 위치하고, 이 공급시스템들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선을 이루어 배열되도록 튜브다발이 분리되어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공급시스템은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피구동이송축(18.1)을 포함하고 있다. 이 이송축은 복수개의 이송영역을 포함한다. 각 이송영역내로 하나의 사가 진행된다. 이를 위하여, 사는 각각의 사조선에 연관된 압축로울(18.2)에 의하여 이송축에 대해 압축되고 있다. 여기서, 압축로울은 사를 쓰레드(thread)하기 위한 방사상 이동을 위해 채택된 구성요소이다. 즉, 사가 쓰레드될 때 압축로울은 이송축에서 위로 올려진다. 압축로울은 작업자와 대향하고 있는 이송축(18.1)의 측면상에 배열된다. 압축로울(18.2)은 구동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를 굴곡로울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이 때문에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가이드(64)를 공급시스템(18)에 연결시키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이 사가이드가 크리일에서 압축로울(18.2) 및 이송축(18.1) 사이의 조임공간으로 진행하는 사를 굴곡시키는 것이다.
공급시스템(18)의 아랫쪽으로는 진행사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 히터(20)가 배열되며, 이를 통해 사가 진행되는 도중 가열된다. 제1 히터(20) 다음에는 추가의 사가이드(22)가 위치하는데, 이는 사를 굴곡시켜 냉각판(24)으로 진행시킨다. 히터(20)와 냉각판(24)은 상호 지붕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가이드(22)는 지붕형상구조의 볼록부에 위치하게 된다. 냉각판(24) 다음에는 가연장치(28)가 위치하고 있다. 이 가연장치는 DE-PS 22 13 881 또는 미국특허 제24,339,915호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가연장치(28) 다음에 위치하는 추가의 제2공급시스템(30)은 사(12)가 히터(20) 및 냉각판(24)상으로 발출되도록 작용하고 있다. 여기서, 사를 쓰레드하기 위해서는 히터 및 냉각판 사이의 직선경로내에서 연장되는 하나의 봉(rod)이 사용되는데, 그 봉의 상부끝면에는 사가이드(22)가 부착된다. 이에 대해서는 DE-PS 25 30 125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2 공급시스템(30)의 아랫쪽으로는 진행사의 방향으로 고정히터(제2 히터)가 배열되는데, 이는 가열재킷(32)으로 둘러싸인 곡선형의 가열튜브(34)로 구성되어 있다. 가열재킷은 증기로 가열튜브(34)를 가열하는데, 가열튜브(34)와 재킷은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도-제5도 및 제8도에서는, 평형튜브(42)가 가열튜브(34)에 대하여 봉합없이, 즉, 기밀(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하게 연결된다. 이 때문에, 사(12)가 가열튜브(34)의 기포를 평형튜브(42)내로 전달하게 된다. 덕트(38)의 굴곡부내에는 굴절로울(44)이 위치하는데, 이는 주위에 흠이 있는 판이나 로울로 구성된다. 이 핀이나 로울로 인해 사(12)가 거의 마찰저항없이 가열튜브(34)에서 평형튜브(42)내로 진행될 수 있다. 사(12)에 의해 가열튜브(34)로부터 평형튜브(42)내로 유입된 가열공기에 의해, 가열기 내에서의 낮은 온도, 즉 약 160℃~180℃의 온도에도 불구하고 가연장치(28)내의 사(12)에 가해진 크림프(crimp)를 공지의 고정히터에 비해 크게 줄일 수 있다.
평형튜브(42)의 출구끝에는 추가의 제3 공급시스템(46)이 위치하고 있다. 이 시스템의 위쪽이나 아래쪽으로는 사(12)에 대해 스핀마무리제(액체)를 부여하는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위치한다. 사는 그 외주에서 마찰로울(52)에 의해 구동되는 팩키지(50)로 감겨진다. 마찰로울(52)의 전방에는 이동기구(54)가 배설되어 있는데, 이는 사(12)를 팩키지(50) 위로 교차시켜 감기 위하여 팩키지(50)를 따라 사(12)를 왕복이동시킨다.
본원 발명에 의한 가연권축기에 있어서는 고정히터의 아랫쪽으로 평형튜브(42) 및 굴절로울(44)을 대체하여 공급시스템(46)이 위치하고, 다음으로 엉킴노즐과 공급시스템(65; 제1a도)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배열을 취하면, 엉킴노즐내로 공기를 유입시켜 적절한 사장력하에서 사가 서로 엉키거나 사의 필라멘트를 상호 혼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방법은 사의 감김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히 다중필라멘트사의 처리에 유용하다. 또한, 이 방법은 상이한 두 개의 공정스테이션상에서 산출된 사를 서로 엉키게하여 꼬임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평형튜브(42) 위로는 플랫포옴(56)이 위치하는데, 이는 바닥(60)상의 레일 혹은 포스트(58)에 의해 지지되며, 작업자를 위한 통로(4) 기능을 한다.
작업통로(4)는 공정프레임(2)과 권취프레임(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공정프레임(2)은 위에서부터 아랫쪽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 배열하고 있다.
공정프레임의 상부끝에는 냉각판(24)이 지지되어 있다. 그 아랫쪽으로 가연장치(28)와 제2 공급시스템(30)이 구비된다. 제2 공급시스템의 다음에는 가열재킷(32)이 위치된다. 이와 같이, 공정프레임(2)은 오직 사를 처리(열처리등)하기 위한 기계장치만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권치프레임(3)의 상부영역에는 제1히터(20) 뿐만 아니라 제1 공급시스템(18)이 지지되어 있다. 그 하부영역에는 굴곡장치 또는 제3 공급시스템(46; 제1도 및 제2도) 또는 제4 공급시스템(65; 제1a도)이 배열되어 있다.
제3 공급시스템은 공정프레임(2)의 바닥이나 권취프레임(3)의 바닥에 배열될 수 있다. 제3 공급시스템이 공정프레임(2)의 바닥에 위치할 때는 평형튜브(42)의 구성은 생략된다. 이 경우, 굴절로울(44)은 도시된 공급시스템(46) 대신에 권치프레임(3)내에 배열된다.
권취프레임(3)은 오직 권취장치 및 그 보조장치만을 수용하고 있는데, 여기서, 보조장치에는 이하와 같은 구성들이 포함된다; 팩키지 저장소(6)는, 권취장치(7)에 의해 만관의 사팩키지(50)가 형성된 후 팩키지가 권취장치에서 제거될 때 이를 수용한다. 만관 사팩키지(50)를 제거하기 위하여, 스핀들 지지체가 회전되며, 만관의 팩키지는 로올웨이(rollway)상에 놓여지는데, 이 로올웨이는 팩키지저장소(6)의 일부를 이룬다. 로올웨이상으로 만관 사팩키지(50)가 제거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이를 위해 팩키지저장소(6)의 로올웨이는 작업복도(5)에는 인접하지만 작업자와는 이격되어 대향하는 권취프레임(3) 측면상에 배설된다. 작업복도는 권취프레임(3)을 따라 연장되며, 저장소(6)에서 대기중인 만관팩키지의 제거를 위해 활용된다. 또, 각 권취장치(7)에는 튜브공급장치(8)가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튜브매거진(magazine)으로써 그 내부에는 여러개의 튜브가 임시 저장되어 있다. 권취장치(7)의 스핀들지지체상에서 형성된 만관팩키지가 팩키지저장소에 쌓여진 후, 빈 공관튜브가 스핀들지지체로 공급되어 이에 장착되는데, 이 기술에 대해서는 예컨대 DE-A 41 40 041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제2도-제5도, 제7도 및 제8도는 이중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부분들, 즉, 크리일프레임(1), 공정프레임(2) 및 권취프레임을 결합하여 제1도 및 제1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측면에 가연권축기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양측면상의 두 개의 동일한 장치가 권취프레임(3)의 작업복도측, 즉 팩키지저장소(6)의 전방에서 이격되어 연장되는 거울상의 대칭평면(9)을 기준으로 거울상 대칭을 이루어 배열됨으로써 이중장치가 구성되는데, 이때 두 권취프레임(3) 사이에는 더 넓은 작업복도(5)가 창출된다.
이와 같이하여 사를 취급하여도 잡업복도(5)에서의 만관팩키지 및 공관튜브의 취급은 방해받지 않는다. 사의 취급은 작업통로(4)에서 행해지므로, 팩키지의 취급과는 상호 독립되어 행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튜브공급을 포함한 팩키지의 취급을 자동화시킨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따. 그러나, 작업자(사람)가 팩키지를 취급하는 경우에도, 팩키지의 취급과 사의 취급을 별개로 독립시키는 경우의 잇점은 대단히 크다.
팩키지의 취급은 각 권취장치가 하나의 팩키지저장소에 연결됨으로써 더욱 간단해진다. 이러한 팩키지저장소(6)는 로올웨이를 포함하는데, 로올웨이는 장치의 길이방향 평면과 직교하여 뻗어 있고, 다소 경사져 있으며, 그 단부에는 정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각 만관팩키지는 이 로울웨이 위에 쌓여진다. 만관팩키지가 로올웨이로 적층되면, 권취장치는 곧바로 새 팩키지를 감기 위해 대기한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예컨대 DE-OS 41 40 041 및 DE-OS 43 01 05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의 가연권축기의 특징은 사공급팩키지용의 크리일이 한편에, 그리고 권취프레임의 팩키지저장소가 그와 맞은 편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두 개의 동일한 장치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때, 만관팩키지들은 그들 사이에 형성된 작업복도내에서 서로 대면하고, 사공급팩키지는 다음의 작업복도내에서 상호 대면하게 된다. 다수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권축기간의 작업복도는 오직 만관팩키지의 제거와 빈 튜브의 공급 또는 한편으로는 사공급팩키지의 공급과 빈 튜브의 제거를 위해서만 활용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가연권축기의 공정흐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크리일프레임(1)을 도시된 바닥보다 더 높이, 즉, 다른 프레임들이 설치된 바닥 위에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는 제3도-제5도, 제7도 및 제8도의 튜브형 통로(26)에 대응하는 튜브형 통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리일프레임(1)의 전부 또는 일부가 공정프레임(2) 또는 권취프레임(3) 또는 작업통로(4) 또는 작업복도(5) 위에 설치될 때는 가연권축기가 단일장치이건 이중장치이건 그 폭을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어 유리하다.
이하의 설명은 제1도-제8도의 실시예에 적용된다. 제1도, 제1a도 및 제2도에서는 프레임부분, 즉 크리일(1), 공정프레임(2) 및 권취프레임(3)은 유도되는 사가굴절로울(16)을 사이에 두고, 즉 크리일과 권취장치 사이에서, 숫자「9」의 형상을 가진 사경로로 진행하도록 배열된다. 굴절로울(16)을 지나 크리일(1)에서 진행하는 사는 먼저 권취프레임 우측의 공정프레임(2)을 통과하여 수평의 또는 경사진 평면내로 안내된다. 사가 이 평면을 통과하는 도중,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 제1 공급시스템(18)들중의 한 시스템으로 각각의 사가 진행하도록 사들은 부채꼴형상으로 펼쳐진다. 그리고, 각각의 사는 제1 히터(20)와 냉각판(24)을 가진 열처리 영역을 에워쌓는 상향하는 루프로 회귀하여 공정프레임(2)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크리일(1)에서 진행하는 사조군의 진행선(주행선)과 교차한다. 각각의 사는 가연장치(28), 제2 공급시스템(30) 및 가열튜브(34)를 통하여 수직하방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사경로가 작업통로(4) 아래를 지나 사가 감겨지는 권취프레임(3)으로 상향진행하도록 굴절로울(44)과 제3 공급시스템(46) 사이에 곡선의 사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서는 프레임부분, 즉, 크리일(1), 공정프레임(2) 및 권취프레임(3)은 사가 크리일과 제1 공급시스템(18)사이에서 히터(20) 및 냉각판(24)과 접촉하지 않고 그 위로 진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튜브형 통로(26)가 사용되는데, 여기에서 공정스테이션의 모든 사들은 3개의 중첩된 권취장치(7)에서 감겨지기 위하여 진행한다. 튜브다발의 각각의 튜브는 상향 및 수평을 이루다가 하향하는 브랜치(branch; 분기관)를 구비하고 있다. 튜브는 기밀되어 있으므로, 제1 공급시스템(18) 영역내의 각 튜브에 대향하여 설치된 흡인건(gun)에 의하여 사가 흡인 또는 흡출될 수 있다. 튜브형 통로의 장점은 사와 장치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히터(20) 및 냉각판(24)의 작동과 사의 쓰레딩작업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따. 또한, 사를 흡인할 수 있는 점에서 작동이 간단하다. 사의 굴곡부는 가능한한 극히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가 손상없이 진행하며, 공기가 튜브내에서 누적되지 않는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 사는 (65) 및 (66)에서 각각 90°굴국되어 있는데, 즉 (66)에서는 수직에서 수평으로, 그리고 (65)에서는 수평에서 수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후 사는 직접 피구동이송축(18.1)으로 진행된다. 압축로울(18.2)은 자유로이 작업자쪽으로 이동되며, 방사상 방향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제1도 및 제1a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추가의 사굴곡부를 두는 것은 불필요하다.
제1도-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크리일안에서 다발로 묶인 사조진행선이 각기 분리되고, 각각의 사가 공급시스템(18) 중의 어느 한 시스템 또는 피구동이송축의 공급영역으로 진행하도록 사조진행선을 작업통로 위의 수평평면내에서 부채꼴형상으로 펼칠 필요가 있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사가 굴곡로울(65) 및 제1 공급시스템(18) 사이의 수직평면내에서 부채꼴형으로 펼쳐져 있다.
제4도-제5도, 제7도 및 제8도에서는 사가 좌측 가연권축기의 크리일(1) 위의 굴곡로울(66)에서 좌측장치의 공급시스템이 아닌 우측가연권축기의 공급시스템(18)으로 대칭평면(9)을 통과하여 안내되며, 우측장치의 공정 및 권취프레임(2, 3)에서 열처리, 가연권축 및 감김과정이 수행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사는 그 자신의 튜브내에서 안내된다. 크리일(1)내에서, 복수개의 사의 튜브가 결합하여 튜브형 통로(26)를 형성한다. 각각의 튜브는 제1 공급시스템(18)의 영역내에서 튜브형 통로와 대향하여 지지되는 흡인건에 의해 각각의 사를 흡인 및 흡출하도록 기밀되어 있다. 튜브형 통로는 히터(20) 및 냉각판(24)의 작동과 사의 쓰레딩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를 흡인할 수 있어 튜브를 작동시키기 용이하다. 사의 굴곡부는 가능한 한 극히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가 손상없이 진행하며, 공기가 튜브내에서 누적되지 않는다.
특히,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좌측장치에서 진행하는 사가 우측장치에서 공정처리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경우, 제1 공급시스템(18)으로의 도입부를 간소화할 수 있고, 제1 공급시스템(18) 윗쪽의 충굴곡각도를 줄일 수 있다.
크리일에서 진행하는 튜브다발은 굴곡로울(66)에 의해 대칭평면(9)을 향하여 크리일 및 히터(20) 또는 냉각판(24) 위로 연장된다. 굴곡로울(65)에서 튜브는 하향한다. 굴곡로울(65)은 좌측장치의 히터(20) 및 우측장치의 제1 공급시스템(18) 위로 연장된 공간내의 수평선을 따라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다. 굴곡로울(65)은 대칭평면(9)의 한편에 크리일(1)과 함께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로울(65)과 우측장치의 공급시스템(18) 사이로는 튜브형 통로(26)가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져서 각 튜브는 피구동이송축(18.1)의 각각의 공급영역 전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은 거울상대칭평면(9)의 우측에 배열된 크리일에서 진행하는 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제5도 및 제7도에 있어서, 각 실시예는 특히 고단의 크리일(1)을 구비하고 있다. 공급팩키지 바로 아랫쪽에서 각각의 사는 튜브를 향하고 있따. 제5도에서는 크리일의 하부에서 크리일된 사공급팩키지에서 진행하는 상향하는 튜브 및 크리일 상부에서 크리일된 사공급팩키지에서 진행하는 하향하는 튜브를 도시하고 있다. 모든 튜브는 결합되어 하나의 다발을 이루며, 수평(제5도) 또는 경사진(제7도) 평면을 따라 뻗어 있다. 이 평면(63)은 작업자의 머리 위를 지나가며, 공급시스템 및 사처리 장치의 공정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제7도의 실시예에서, 두 가연권축기의 평면(63)들은 상호 대향하여 경사져 있다. 제6도는 특히 제5도 및 제7도에 있어 이들 평면(63)의 평면도이다. 튜브들은 각각의 상대편 가연권축기를 향하여 다발을 이루어 진행한다. 대칭평면(9)의 직전 또는 직후에서, 튜브다발이 부채꼴상으로 펼쳐져서 각각의 튜브가 피구동이송축(18.1)의 하나의 공급영역 전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튜브형 통로(26)가 시작되는 가연권축장치의 공급시스템(18)의 전방에서는 튜브들이 부채꼴상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칭평면(9)의 우측상에 배열된 크리일에서 진행하는 사는 이 대칭평면(9)을 통과하여 좌측장치의 공급시스템(18)으로 안내되어 열처리, 가연 및 감김과정을 겪는다. 대칭평면의 좌측에 배열된 사에 대해서도 이상의 설명은 마찬가지이다. 제5도에서, 좌측에서 진행되는 사들의 튜브형 통로(26)는 명확한 도시를 위해 중간에서 생략되었다. 좌측에서 진행하는 사 및 우측에서 진행하는 사들의 평면(63)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예컨대, 제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대향하여 경사진 평면(13)을 구비하여 사들이 하향성분을 가지도록 하는 것도 유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안내튜브가 부채꼴상으로 펼쳐지도록 더욱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제6도에서는, 크리일프레임(1)안에서 결합된 튜브형 통로(26)가 플랫포옴(56) 아래로 뻗어 있는 장치의 평면쪽으로 하향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튜브다발은 굴곡되어 수평방향을 향하며, 플랫폼 하부를 통과한다. 플랫폼 뒤에서, 튜브다발은 다른쪽 가연권축장치로 진행하기 위하여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진다. 그리고, 튜브는 다른쪽 장치의 플랫폼(56) 하부를 통과한다. 다른쪽 가연권축기의 권취프레임 아랫쪽에서, 튜브는 상향굴곡되어 수직평면을 따라 안내된다. 최종적으로, 각각의 튜브는 공급시스템(18)의 어느 한 시스템 전방에서 종료된다.
제6도에는, 장치의 평면도중 튜브형 통로가 도시되어 있고, 장치의 전체길이에 걸친 부분만이 나타나 있다. 튜브형 통로를 명료히 설명하기 위하여 공정프레임 및 권치프레임의 필수구성부가 생략되었다. 도시된 크리일프레임(1)들은 원형이다. 각각의 수평면상에는 4개의 팩키지가 배열되어 있다. 이 수평면들은 복수개로써 상호 위 아래로 순차배열된다. 각각의 사는 수직상향 또는 수직하향하는 튜브안으로 끌어당겨진다. 크리일에서 진행하는 튜브는 한데 모아져서 튜브형 통로(26)를 이룬다. 크리일프레임(1)으로부터, 튜브다발은 수평 또는 하향경사평면(63)내로 뻗는다. 튜브형 통로(26)는 한쪽 가연권축기의 공정프레임(2), 작업통로(4) 및 권취프레임(3)을 가로질러 진행한다. 권취프레임(3)의 위(제5도 및 제7도) 또는 아래(제8도)에서 튜브형 통로(26)는 평면(63)내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진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튜브는 다른쪽 가연권축기의 권취프레임(3)안의 하나의 공급시스템(18) 전방까지 연장된다. 전체 공정중에서 제1 공급시스템에 해당하는 공급시스템(18)의 앞쪽에 사절단기(67)를 배열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제6도에서는, 펼쳐진 상태에서, 한쪽 가연권축기의 안내튜브와 다른쪽 가연권축기의 안내튜브가 교차하고 있다. 제7도에서와 같이 튜브가 경사진 안내평면(63)을 따라 연장될 때 이러한 배열을 더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제5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가 수평으로 연장될 때에는, 튜브들은 상호 밀접하게 인접할 수 있는 평면(63)내에 위치한다. 제6도에서는, 평면(63) 윗쪽에 배열된 기계의 구성요소들이 명료한 도시를 위해 생략되었기 때문에, 사가 계속하여 진행되는 경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4도의 실시예와 대비한 제6도의 실시예의 한 차이점은, 튜브형 통로(26)가 처음에 굴곡로울(65)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뻗는다는 점이다. 굴곡로울(65)로부터 튜브형 통로가 부채꼴상으로 펼쳐진다. 제8도의 실시예에서, 튜브다발은 처음에 크리일에서 수평방향으로 진행하며, 이 수평경로를 따라 부채꼴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이후, 튜브가 상호 교차하지 않도록 한쪽 권축기에서 진행하는 튜브를 다른쪽 권축기에서 진행하는 튜브와는 상이한 평면으로 연장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Claims (33)

  1. 공정프레임(2); 적어도 하나의 사팩키지를 지지하며, 상기 공정프레임에 인접하여 위치한 크리일 프레임(1); 상기 공정프레임(2)과의 사이에 작업통로(4)를 경계짓고, 상기 공정프레임에 대향하여 그 한편에서 작업복도(5)를 경계짓도록 상기 공정프레임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권취프레임(3); 진행사에 대하여 가연을 부여하며, 제1 공급시스템(18), 길게 연장된 제1 히터(20), 길게 연장된 냉각판(24), 가연장치(28), 제2 공급시스템(30) 및 사권취장치(7)로 구성된 가연부여장치; 로 구성된 사가연권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시스템(18)은 상기 권취프레임 안에 배설되고, 상기 가연장치(28) 및 상기 제2 공급시스템(30)은 상기 공정프레임 안에 배설되며, 상기 제1 히터(20) 및 상기 냉각판(24)은 권취프레임에서 공정프레임으로 상기 작업통로(4)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사경로가 형성되도록 배설되고, 상기 권취장치(7)는 상기 작업통로(4) 및 상기 작업복도(5)에서 모두 작업될 수 있도록 위치하며, 상기 크리일프레임(1)은 상기 공정프레임(2)의 한편에 위치하고, 상기 권취프레임(3)은 상기 공정프레임(2)의 다른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부여장치는 상기 공정프레임에 배설된 가열튜브(34) 및 제3 공급시스템(46)으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급시스템(46)은 상기 사권취장치(7) 아래로 상기 권취프레임내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부여장치는 상기 가연장치(28) 및 상기 제2 공급시스템 아래로 상기 공정프레임에 배설된 수직방향의 가열튜브(34)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부여장치는 상기 가열튜브(34)의 하류측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작업통로(4)의 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권취프레임 및 상기 권취프레임에 배설된 제3 공급시스템(46)으로 연장되는 평형튜브(42)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길게 연장된 제1 히터(20) 및 상기 길게 연장된 냉각판(24)은 역 V자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작업통로(4)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프레임, 상기 크리일프레임 및 상기 권취프레임은 모두 바닥(60) 위에 위치하며, 상기 평형튜브(42)는 상기 바닥(60)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튜브(42) 바로 위로 작업통로(4)내에 위치한 플랫포옴(56)으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튜브(34) 및 상기 평형튜브(42)를 직각을 이루도록 상호 연결하는 덕트(38)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프레임에 배설된 제3 공급시스템(46)으로 더 구성되며, 상기 사권취장치(7)는 상기 권취프레임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터(20) 및 상기 권취장치(7)는 상기 권취프레임에 배설되며, 상기 냉각판(24)은 상기 공정프레임상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12. 공정프레임(2); 복수의 사팩키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공정프레임의 한편에 위치한 크리일프레임(1); 상기 공정프레임의 다른 한편에 위치하며, 공정프레임과의 사이에 작업통로(4)를 경계짓고, 공정프레임과 대향하는 쪽에 작업복도(5)를 경계짓기 위하여 공정프레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권취프레임(3); 복수의 진행사 각각에 대하여 가연을 부여하도록 나란히 복수개 배열되며, 제1 공급시스템(18), 길게 연장된 제1 히터(20), 길게 연장된 냉각판(24), 가연장치(28), 제2 공급시스템(30) 및 사권취장치(7)로 구성된 가연부여장치; 로 구성된 사가연권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시스템(18), 상기 제1 히터(20) 및 상기 권취장치(7)는 상기 권취프레임에 배설되며, 상기 냉각판(24), 상기 가연장치(28) 및 상기 제2 공급시스템(30)은 모두 상기 공정프레임에 배설되고, 상기 권취장치(7)는 상기 작업통로(4) 및 상기 작업복도(5) 모두에서 작업될 수 있도록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7)는 상기 권취프레임에 복수개의 수직기둥내에 배설되며, 상기 길게 연장된 제1 히터(20) 및 상기 길게 연장된 냉각판(24)은 역 V자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작업통로(4) 위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사를 평면배열을 이루어 크리일프레임으로부터 작업통로(4)를 지나서 각각의 제1 공급시스템(18)으로 안내하고, 이후 사는 각각의 길게 연장된 제1 히터, 길게 연장된 냉각판, 가연장치 및 제2 공급시스템을 통하여 진행하며, 상기 평면배열에 의해 정해지는 평면과 교차하도록 사를 안내하는 굴절로울(16)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15. 제1 및 제2 가연권축기로 구성되는 사가연권축기에 있어서, 각 가연권축기는 (a) 공정프레임(2), (b) 복수의 사팩키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공정프레임의 한 편에 위치하는 크리일(1), (c) 상기 공정 프레임의 한편에 위치하고, 작업통로(4)를 경계짓도록 상기 공정프레임에서 측방향으로 이격된 권취프레임(3), (d) 복수의 진행사 각각에 대하여 가연을 부여하도록 나란히 복수개 배열되며, 제1 공급시스템(18), 길게 연장된 제1 히터(20), 길게 연장된 냉각판(24), 가연장치(28), 제2 공급시스템(30) 및 사권취장치(7)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공급시스템 및 상기 권취장치(7)는 모두 상기 권취프레임에 배설되며, 상기 가연장치(28) 및 상기 제2 공급시스템(30)은 모두 상기 공정프레임에 배설되고, 상기 제1 히터(20) 및 상기 냉각판(24)은 상기 작업통로(4)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배설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연권축기는 대칭평면(9)의 대향측에 거울상 대칭을 이루어 배열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연권축기의 권취프레임 사이에 작업복도(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를 각각의 크리일프레임으로부터 작업복도(5)를 가로질러 다른쪽 가연권축기의 각 제1 공급시스템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으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복수의 사를 하나의 다발로 유지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튜브형 통로(26) 및 각각의 튜브형 통로의 하류쪽 단부에서부터 연장되어 가연권축기의 길이방향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진 복수개의 제2 튜브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통로(26)는 이와 연관된 가연권축기의 길게 연장된 제1 히터(20) 및 길게 연장된 냉각판(24) 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튜브요소는 상기 튜브형 통로(26)로부터 다른편 가연권축기의 제1 공급시스템(18)으로 하향경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통로는 공정프레임 및 상대편 권축기의 작업복도(5)를 통과하여 작업자의 키높이 위를 지나 연장되며, 제2 튜브요소는 관련된 튜브형 통로(26)와 동일평면에 위치하며 평면(6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21. 제20항에 있어서, 두 가연권축기의 상기 평면(63)들은 대향하여 하향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연권축기는 바닥(60)에서 지지되고, 상기 제2 튜브요소는 바닥에 바로 인접한 높이에서 상대편 권축기로 연장되며, 상기 제2 튜브요소는 다른편 가연권축기의 크리일프레임안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작업복도(5) 위의 경로를 따라 사를 안내하도록 형상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작업복도(5) 아래의 경로를 따라사를 안내하도록 형상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연권축기의 각 권취프레임은 복수의 수직기둥을 이루어 권취장치를 배설하고 있으며, 팩키지 저장소는 작업복도로부터 작업될 수 있도록 각 권취장치에 인접하여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26. 공정프레임(2); 적어도 하나의 사팩키지를 지지하며, 상기 공정프레임에 인접하여 위치한 크리일 프레임(1); 상기 공정프레임(2)에서 측면으로 이격되어 위치하여 작업통로(4)를 형성하고, 상기 공정프레임과 대향하는 한편에 작업복도(5)를 규정하기 위한 권치프레임(3); 진행사에 대하여 가연을 부여하며, 제1 공급시스템(18), 길게 연장된 제1 히터(20), 길게 연장된 냉각판(24), 가연장치(28), 제2 공급시스템(30) 및 사권취장치(7)로 구성된 가연부여장치로 구성된 사가연권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시스템(18)은 상기 권취프레임에 배설되고, 상기 가연장치(28) 및 상기 제2 공급시스템(30)은 상기 공정프레임에 배설되며, 상기 제1 히터(20) 및 상기 냉각판(24)은 권취프레임에서 공정프레임까지 상기 작업통로(4)를 가로지르는 사경로를 형성하도록 배설되고, 상기 권취장치(7)는 상기 작업통로(4) 및 상기 작업복도(5)에서 모두 작업가능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가연부여장치는 상기 공정프레임상에 배설된 가열튜브(34) 및 제3 공급시스템(4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권축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급시스템(46)은 상기 사권취장치 아래로 상기 권취프레임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가연권축기.
  28. 공정프레임(2); 적어도 하나의 사팩키지를 지지하며, 상기 공정프레임에 인접하여 위치한 크리일 프레임(1); 상기 공정프레임(2)에서 측면으로 이격되어 위치하여 작업통로(4)를 형성하고, 상기 공정프레임과 대향하는 한편에 작업복도(5)를 형성하기 위한 권취프레임(3); 진행사에 대하여 가연을 부여하며, 제1 공급시스템(18), 길게 연장된 제1 히터(20), 길게 연장된 냉각판(24), 가연장치(28), 제2 공급시스템(30) 및 사권취장치(7)로 구성된 가연부여장치; 로 구성된 사가연권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시스템(18)은 상기 권취프레임에 배설되고, 상기 가연장치(28) 및 상기 제2 공급시스템(30)은 상기 공정프레임에 배설되며, 상기 제1 히터(20) 및 상기 냉각판(24)은 권취프레임에서 공정프레임까지 상기 작업통로(4)를 가로지르는 사경로를 규정하도록 배설되고,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작업통로(4) 및 상기 작업복도(5)에서 모두 작업가능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가연부여장치는 상기 공정프레임내의 상기 가연장치(28)와 상기 제2 공급시스템(30) 아래에 배설된 가열튜브(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가연권축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부여장치는 상기 가열튜브(34)의 하류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통로(4)를 가로질러 상기 권취프레임까지 측면쪽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평형튜브(42) 및 상기 권취프레임에 배설된 제3 공급시스템(4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가연권축기.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길게 연장된 제1 히터(20) 및 상기 길게 연장된 냉각판(24)은 역 V자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작업통로(4)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가연권축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프레임, 상기 크리일프레임 및 상기 권취프레임은 모두 바닥(60)상에 위치하며, 상기 평형튜브(42)는 상기 바닥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가연권축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튜브(42) 바로 위에서 상기 작업통로(4) 안에 위치하고 있는 플랫포옴(56)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가연권축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튜브(34) 및 상기 평형튜브(42)를 직각으로 연결하는 덕트(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가연권축기.
KR1019940022172A 1993-09-04 1994-09-03 가연권축기 KR0146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29925 1993-09-04
DEP4329925.3 1993-09-04
DE4334587 1993-10-11
DEP4334587.5 1993-10-11
DEP4402832.6 1994-01-31
DE4402832 1994-01-31
DE4404302 1994-02-11
DEP4404302.3 1994-0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486A KR960010486A (ko) 1996-04-20
KR0146908B1 true KR0146908B1 (ko) 1998-08-01

Family

ID=2743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172A KR0146908B1 (ko) 1993-09-04 1994-09-03 가연권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44908A (ko)
EP (1) EP0641877B1 (ko)
KR (1) KR0146908B1 (ko)
CN (1) CN1052271C (ko)
DE (1) DE69425098T2 (ko)
TW (1) TW34053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607B1 (ko) 2001-06-23 2008-04-10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가연 가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1150C2 (de) * 1997-02-04 1999-04-29 Barmag Barmer Maschf Texturiermaschine
DE59804187D1 (de) * 1997-02-04 2002-06-27 Barmag Barmer Maschf Falschdrall-texturiermaschine
US6301870B1 (en) 1997-08-20 2001-10-16 Barmag Ag False twist textur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textured thread
FR2775299B1 (fr) * 1998-02-26 2000-03-17 Icbt Roanne Machine de filature et de texturation de fils par fausse torsion
WO2000021866A2 (de) * 1998-10-09 2000-04-20 Barmag Ag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abziehen eines fadens
EP1887115B1 (en) * 1998-10-31 2009-12-02 Teijin Seiki Co., Ltd. Yarn threading device and method for textile machine
JP4060508B2 (ja) * 2000-02-16 2008-03-12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延伸仮撚加工機
AU2002221698A1 (en) 2000-10-28 2002-05-06 Barmag Ag False twist texturing machine
WO2003002793A1 (de) * 2001-06-28 2003-01-09 Barmag Ag Falschdralltexturiermaschine
DE10200405A1 (de) 2002-01-08 2002-08-01 Zimmer Ag Spinnvorrichtung und -verfahren mit Kühlbeblasung
DE10204381A1 (de) * 2002-01-28 2003-08-07 Zimmer Ag Ergonomische Spinnanlage
DE10206089A1 (de) 2002-02-13 2002-08-14 Zimmer Ag Bersteinsatz
DE10232547A1 (de) * 2002-07-18 2004-02-05 Barmag Ag Falschdralltexturiermaschine
DE102004024030A1 (de) 2004-05-13 2005-12-08 Zimmer Ag Lyocell-Verfahren mit polymerisationsgradabhängiger Einstellung der Verarbeitungsdauer
ITFI20070202A1 (it) * 2007-09-10 2009-03-11 Giudici S P A "macchina testurizzatrice-interlacciatrice con doppio forno"
CN101634065B (zh) * 2008-07-25 2013-08-28 欧瑞康纺织有限及两合公司 假捻变形机
DE102013006626A1 (de) * 2013-04-18 2014-10-23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Texturiermaschine
WO2014198631A1 (de) * 2013-06-11 2014-12-18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Texturiermaschine
JP6763744B2 (ja) * 2015-10-30 2020-09-30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紡糸巻取設備
JP2017109833A (ja) * 2015-12-16 2017-06-22 村田機械株式会社 糸巻取装置及び糸巻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13881C3 (de) * 1972-03-22 1978-11-30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30 Remscheid Friktions-Falschdrallvorrichtung
US3946546A (en) * 1973-04-19 1976-03-30 Chavanoz S. A. False twist texturing apparatus
DE2352027B1 (de) * 1973-10-17 1974-12-05 Barmag Barmer Maschf Texturiermaschine fuer Chemiefasern
USRE30159E (en) * 1975-07-05 1979-11-27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ktiengesellschaft False twist-crimping machine
FR2332353A1 (fr) * 1975-11-19 1977-06-17 Roannais Const Textiles Atel Perfectionnement aux machines de texturation par fausse-torsion
DE3066049D1 (en) * 1979-07-14 1984-02-09 Barmag Barmer Maschf Apparatus for false-twisting yarns, and application of this apparatus to make a yarn
DE3018365C2 (de) * 1980-05-14 1983-07-14 Ernst Michalke GmbH & Co, 8901 Langweid Falschdralltexturiermaschine
CN1027926C (zh) * 1985-07-03 1995-03-15 巴马格巴默机器制造股份公司 运转纱线的连续监控方法
DE3801506C2 (de) * 1987-02-05 1996-09-19 Barmag Barmer Maschf Falschzwirnkräuselmaschine
US4905468A (en) * 1988-02-22 1990-03-06 Teijin Seiki Company Limited False twister
DE4140041A1 (de) * 1990-12-18 1992-06-25 Barmag Barmer Maschf Mehrstellige textilmaschine
DE4301051A1 (en) * 1992-01-25 1993-07-29 Barmag Barmer Maschf Thread winder with swivel lever spool holder - has relaxing piston cylinder unit engaging on lever adjusting to spool diameter
CN1045320C (zh) * 1992-10-08 1999-09-29 巴马格股份公司 假捻卷曲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607B1 (ko) 2001-06-23 2008-04-10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가연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085A (zh) 1995-08-02
EP0641877B1 (en) 2000-07-05
EP0641877A2 (en) 1995-03-08
EP0641877A3 (en) 1998-05-20
US5644908A (en) 1997-07-08
DE69425098D1 (de) 2000-08-10
DE69425098T2 (de) 2001-03-01
TW340533U (en) 1998-09-11
KR960010486A (ko) 1996-04-20
CN1052271C (zh) 2000-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6908B1 (ko) 가연권축기
CN100400728C (zh) 纺丝-拉伸-卷曲变形机
CN1727538B (zh) 拉伸和假捻机
JP5502882B2 (ja) 加熱装置
US4058961A (en) False twist-crimping machine
EP0744481B1 (en) Textile machine
CN105378164B (zh) 变形机
US5431002A (en) False twist crimping machine
JPH02198986A (ja) 糸継装置
USRE30159E (en) False twist-crimping machine
US6834489B2 (en) False twist texturing apparatus
US4291529A (en) False twist machine
CN100352985C (zh) 假捻卷曲变形机
US8468791B2 (en) Texturing machine
EP0571974A1 (en) A false twist texturing machine
JP6444387B2 (ja) テクスチャリング加工機
EP4108817A1 (en) False-twist texturing machine
CN105752753A (zh) 纺织机
JP2005232671A (ja) エアテクスチャード加工機
JPH0315568Y2 (ko)
JPH0633976U (ja) サクションガンのホルダ
US4165602A (en) Yarn texturing machine
CN117157436A (zh) 丝线生产设备
JP2016535183A (ja) テクスチャリング加工機
ITBA960051A1 (it) Preparato chimico sperimentale per rivestire di un film protettivo un filo di fibre sintetiche e procedimento per la sua applica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