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981B1 -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981B1
KR0145981B1 KR1019950014684A KR19950014684A KR0145981B1 KR 0145981 B1 KR0145981 B1 KR 0145981B1 KR 1019950014684 A KR1019950014684 A KR 1019950014684A KR 19950014684 A KR19950014684 A KR 19950014684A KR 0145981 B1 KR0145981 B1 KR 0145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air
circulation passage
kitchen wast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326A (ko
Inventor
요오상 가꾸무
고무지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최창선
Publication of KR960000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26B23/02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incinerating volatiles in the dryer exhaust gases, the produced hot gases being wholly, partly or not recycled into the drying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1/00Dumping soli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건조실(1)내에 수용되는 주방쓰레기를 강제순환 가열공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키도록한 주방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응축장치를 불필요로 하여 주방쓰레기 건조용의 가열에너지의 쓸데없는 소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하기 위한 것이다. 건조실(1)내의 공기를 강제손환 가열하기위한 순환용 통로(2)에 배기회로(21)를 분기접속하여 전기 순환용 통로(2)내에 가스버너(3)의 연소부(31)를 설치하고, 전기 가스버너(3)의 1차공기구를 전기순환계의 외부에 설치하여 전기 순환계에 생기는 잉여기체를 전기 배기회로(21)로부터 배출 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제1도는 종래 실시예의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설명도
제4도는 제2도중 실시예1의 건조공정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프루 차트(flow char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건조실 2:순환회로
21:배기회로 3:가스버너
31:연소부
본 발명은 주방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등에서 생기는 음식믈 찌꺼기등의 주방쓰레기를 건조하여 거의 무취상태로 처리하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종류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로서는 이미 특개소 5-96271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고, 상기 특개소 5-96271호는 제1도에 보인 바와같이 주방쓰레기를 교반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과, 이 건조실(1)내의 공기를 순환가열하도록 한 순환용 통로(2)와, 이 순환용 통로(2)에 각각 삽입된 가열수단으로서의 히터(H)와, 탈취장치(7)와 주방쓰레기 건조시에 생기는 수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장치(71)로 되어있다.
이것에서는 건조실(1)내에 투입된 주방쓰레기는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열풍이 강제 순환용의 팬(F)에 의하여 건조실(1)-응축장치(71)-탈취장치(7)의 경로로 순환하여 전기 건조실(1)내의 주방쓰레기가 건조됨과 함께 이 건조시에 생기는 냄새는 탈취장치(7)의 촉매에 의하여 제거되고 또한 건조공정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응축장치(71)에서 응축되어 액화되고 배수경로로 배수되거나 또는 별도 준비한 저류용기 내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건조된 주방쓰레기는 그 체적이 대폭 작아지게 된다. 또, 완전히 건조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통상의 쓰레기로서 처분할 수 있음은 물론 정원 수용의 비료등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이 선행기술의 것에서는 가정내에서 생기는 주방쓰레기를 건조쓰레기로 만듬과 함께 이 건조공정에서 생기는 수증기는 응축되어 배출된다. 또한, 냄새의 확산도 방지된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의 것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주방쓰레기의 건조시에 생기는 수증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응축장치(7)가 필요한다. 또, 건조를 촉진하기 위하여 히터(H)에 의하여 가열시킨 순환공기를 응축장치(71)에서 응축시키는 것이므로 가열-냉각을 반복되게 하여 에너지 손실이 많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건조실(1)내에 수용되는 주방쓰레기를 강제순환 가열공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키도록 한 주방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응축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주방쓰레기 건조용의 가열에너지의 쓸데없는 소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건조실(1)내의 공기를 강제순환 가열하기 위한 순환용 통로(2)에 배기회로(21)를 분기 접속하고 상기 순환용 통로(2)내에 가스버너(3)의 연소부(31)를 설치하며 상기 가스버너(3)의 1차공기구를 전기 순화계의 외부에 설치하여 상기 순환계에 생기는 잉여기체를 상기 배기회로(21)로 배출시키도록 한”것이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건조실(1)내에 수용한 주방쓰레기는 순환용 통로(2)를 통하여 강제 순환되는 가열 광기에 의하여 가열 건조된다. 이때, 수증기, 냄새, 또는 미세한 먼지가 발생하지만 냄새성분이나 미세한 먼지는 연소부(31)를 통과하는 사이에 연소된다.
그리고, 건조실(1)과 순환용 통로(2)로 된 폐루프내에 가열공기가 강제순환되는 것이지만 건조실(1)로부터의 발생한 수증기나 냄새성분의 체적팽창분과, 폐루프에 구성된 순화계의 외부로부터 흡인된 연소용의 1차공기량 및 연소가스의 증량분이 순환용 통로(2)와 건조실(1)을 연결하는 폐루프내의 공기량에 대하여 잉여기체량으로 되기때문에 이 잉여기체에 상당하는 량의 기체가 배기회로(21)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 배출기체에느 다량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배출기체가 수증기의 운반체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이 배기회로(21)로 배출되는 배출공기에 의하여 건조실(1)에 있어서의 발생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연소부(31)에 의하여 냄새성분이나 먼지등의 미립자가 연소된다.
그리고 건조실(1)내를 강제순환 가열하기 위한 열원은 상기 연소부(31)를 그대로 이용되는 경우 또는 이 연소부(31)와는 별개로 히터가 순환용 통로(2)내에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건조실(1)내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연소 배출가스와 함께 배기회로(210로 배출되므로 종래와 같이 응축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구성을 간소화 할수 있다. 또한, 동시에 냄새성분이나 먼지등의 발생미립자가 연소부(31)에서 연소되어 배기회로(21)로 배출되기 때문에 탈취장치가 불필요하게 되거나, 또는 탈취장치를 사용하더라도 그 용량이 적은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수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응축시키는 것은 아니므로, 결국 가열순환에 의해 건조에 있어서 가열공기를 냉각하는 공정이 아니므로 건조효율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매추 우수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2항 기재의 발명은 가스버너(3)를 모두 1차공기식의 가스버너로 한 것으로, 이 경우에는 순환용 통로(2)의 공기를 가스버너(3)의 연소용 공기로 소비하지 않으므로 연소가 안정된다.
건조실(1)과 순환용 통로(2)와의 순환계내에 있는 공기에는 각종의 냄새가스나 그밖의 가스를 포함하게 되므로 신선한 공기의 비율이 비교적 적다.
따라서 이 순환공기를 연소용 2차공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소의 안정성이 해치는 경우도 있지만, 상기 구성을 채용한 것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청구범위 제3항 기재의 발명은 가스버너(3)의 연소부(31)를 순환용 통로(2)에 있어서의 배기회로(21)와의 분기점의 상류측에 설치한 것이다. 이것에서는 건조실(1)로부터 배출되는 기체가 연소부(31)를 통과하여 그 일부가 외부로 배출됨과 함께 다른 일부는 순환용 통로(2)를 통하여 건조실(1)내로 순환된다.
따라서, 건조실(1)로부터 배출된 미립자등이 연소부(31)에 의하여 연소되어 그대로 배기회로(21)로 배출되므로 장치외부에는 냄새가 방출되지 않는다.
청구범위 제4항 기재의 발명은 순환용 통로(2)내의 기체를 강제순환 시키기 위한 팬(F)을 순환용 통로(2)에 있어서 배기회로(21)로의 분기점(A)의 상류측이며 또한 출구부(16)의 하류측에 설치한 것으로, 이 구성을 채용하므로서 건조실(1)내가 팬(F)의 흡입부압이 상시작용하게 되므로 건조실(1)의 주방쓰레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덮개판과 이것의 대립부와의 사이로부터 건조실(1)내의 냄새가 새어 나올 열려가 없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1은 원통상의 건조실(1)을 케이싱(K)내에 직립자세로 설치하여 건조실(1)의 상단개구부(11a)가 케이싱(K)의 상면에 개구되고, 이것에 개폐를 조절하는 덮개판(11)을 구비시켜서 저부의 일단에 건조 쓰레기 배출용의 배출구(12)를 설치하며, 이것을 저부덮개(13)에 의하여 폐쇄하고 있다. 이 건조실(1)내에는 회전축(41)을 수평으로 고정한 교반기(4)가 대향측벽 사이에 가설되고, 상기 회전축(41)에는 이것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교반봉(42)(42)을 구비시키고 있다.
상기 교반기(4)는 건조실(1)의 측벽외면에 부착한 구동모터(M1)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건조실(1) 저부의 상방과 상기교반기(4)의 하방 사이에는 로스틀(14)이 설치되어 있다.
건조실(1)저부의 일측에서 상기 저부덮개(13)의 반대측에는 순환용 통로(2)의 상류단으로된 출구부(16)가 개구되어 있고, 이것의 내측에 금망등으로 된 필터(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건조실(1)의 측벽(저부덮개(13) 반대측의 측벽)의 상단부에는 순환용 통로(2)의 하류단으로 된 입구부(18)가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출구부(16)와 입구부(18)를 연결하도록 순환용 통로(2)가 형성되고 이 순환용 통로(2)내에는 가스버너(3)의 연소부(31) 및 강재순환용 팬(F)이 내장된다.
그리고, 이 출구부(16)에는 건조실(1)내에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81)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82)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서는 상기 팬(F)은 순환용통로(2)에 있어서의 상기 분기점(A)의 상류측이며 또한 상기 건조실(1)의 출구부(16)와 대향하도록 그 하류측에 설치되어 이것의 흡입 토출력에 의하여 출구부(16)로부터 입구부(18)를 향하여 강제순환 공기류를 발생시킨다.
순환용 통로(2)의 하류단부에는 배기회로(21)가 연통접속되고, 가스버너(3)의 연소부(31)는 순환용 통로(2)에 있어서의 상기 배기회로(21)로의 분기점(A)과 그 상류측 근방과의 범위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건조실(1)로부터 배출된 미립자등이 연소부(31)에 의하여 연소되어 그대로 배기회로(21)로 배출되므로 장치외부에는 냄새가 방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기 가스버너(3)로의 1차공기구(32)는 케이싱(K)내에서 또 순환용 통로(2) 및 건조실(1)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1차공기구(32)에 노즐(N)이 대향하고 있다.
한편, 팬(F)은 가스버너(3)의 상류측에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것 때문에 팬(F)에 의한 토출압력의 영향이 가스버너(3)의 1차 공기흡입에 악영향을 주지 않아서 이 가스버너(3)의 연소가 원활히 행하여짐과 함께 가스버너(3)에서의 1차 공기흡입량도 안정되므로 순환용 통로(2)로부터 건조실(1) 내로의 강제순환량과 전술한 잉여기체량의 비율이 안정된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에서는 덮개판(11)을 열어 건조실(1)내에 주방쓰레기를 투입하고, 구동모터(M1)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팬(F)을 구동시켜서 가스버너(3)를 연소시킨다.
그러면, 팬(F)에 의하여 건조실(1)내의 공기는 출구부(16)로부터 순환용 통로(2)내로 흡입되어 입구부(18)로부터 건조실(1)내로 되돌아오는 순환경로가 구성된다.
이때, 연소부(31)에서의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순환경로의 공기가 가열되게 되며, 이것에 의하여 건조실(1)내의 주방쓰레기가 교반되면서 강재순환되는 가열 공기에 의하여 건조된다.
한편, 상기 연소부(31)에서의 가스연소를 위하여 1차공기구(32)로부터 1차공기가 흡입되어 순환용 통로(2)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적어도 이 1차공기량 및 공급가스량에 상당하는 기체량이 덮개판(11)을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순환용 통로(2)와 건조실(1)의 폐루프내에 수용되는 공기량에 대하여 잉여분량으로 되며, 이 잉여분량이 배기회로(21)로 배출된다.
또한, 건조실(1)내의 주방쓰레기의 건조도중에 생기느 가스나 수증기등의 체적증량분도 잉여 분량으로서 배기회로(21)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수증기를 포함한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회로(21)로 배출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건조실(10내의 주방쓰레기의 건조가 촉진된다.
또한, 건조실(1)과 순환용 통로(2)를 통하는 순환공기에는 건조도중에 생기는 냄새성분, 먼지등의 미립자가 포함되지만 이것들이 연소부(31)를 통과하는 사이에 연소된다.
따라서, 배기회로(21)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기체에는 냄새성분이나 먼지등의 미립자가 혼입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 가스버너(3)로서는 분젠버너나 예를들면 세라믹판을 사용한 적외선 버너등의 모두 1차공기식의 버너가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모두 1차공기식의 버너로 한 경우에는 연소부(31)에 생기는 모든 배기 가스는 순환용 통로(2)와 건조실(1)로 되는 폐루프의 외부로부터 공급되게 되므로 배기회로(21)로의 배출기체량이 가스버너(3)를 분젠버너로 한 경우보다도 많게되고 발생수증기의 배출능력이 많게 된다.
또한, 세라믹판과 같이 연소플레이트(plate)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 연소면을 넓게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냄새나 먼지를 효율적으로 소각시킬 수 있다.
또, 가스버너(3)를 분젠버너로 한 경우에는 상기 폐루프내의 공기가 연소용의 2차공기로서 소비되게 되므로 2차공기 부족으로 인하여 연소가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이 있지만, 모두 1차공기식의 경우에는 이런한 불안이 없다.
이상의 건조동작을 계속시키면 건조실(1)내의 주방쓰레기는 최종적으로수분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상태로 건조된다.
이 결과, 주방쓰레기 상태의 체적이1/5∼1/10 정도로 줄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하여 부피가 작아진 건조쓰레기가 로스틀(14)의 하방에 저장된다.
주방쓰레기의 처리량이 소정량에 달하면, 로스틀(14)의 하방에 저장된 건조쓰레기를 배출구(12)로 배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배출구(12)를 저부덮개(13)에 의하여 폐쇄함과 함께 그 하방에 쓰레기용기(5)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저면덮새(13)를 개방하면 건조쓰레기가 상기 쓰레기용기(5)내로 빠져나온다.
이 쓰레기용기(5)는 케이싱(k)의 전면하부에 설치한 개구(51)로부터 빼어내진다. 그리고, 이 개구(51)에는 개폐덮개(52)가 구비되어 있어 쓰레기용기(5)를 꺼낼때에는 개방되고 주방쓰레기 건조시에는 밀폐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는 팬(F)과 출구부(16)사이의 측벽에 공기유입구(22)가 형성되어 이것에 열림각도를 조절가능 하게한 뎀퍼(6)가 대향되어 있다.
이 댐퍼(6)에는 구동장치(62)의 출력축(6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장치(62)는 전기 출력축(61)을 진퇴구동하는 형식의 것으로서 입력신호에 따라서 상기 뎀퍼(6)로 공기유입구(22)를 밀폐한 상태로부터 소정의 최대 열림각도까지의 범위로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뎀퍼(6)의 열림각도를 크게하므로서 배기회로(21)로 부터의 배출공기량을 증량할수 있게 되며, 이와같이 하므로서 배기회로(21)로 배출되는 수증기량을 많게 할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열림각도 조절을 행하고 있다.
주방쓰레기 건조 초기에는 연소부(31)의 연소가스량을 최대로 하고 뎀퍼(6)의 열림각도를 닫힌상태로 하여 건조실(1)내의 주방쓰레기의 건조를 촉진시킨다. 그리고, 건조실(1)내가 제1설정온도(예를들면110℃정도의)로 되면 이거서이 온도센서(81)에 의하여 감지되어 뎀퍼(6)의 열림각도를 반개로 열어서 반 열림상태로 하여 상기 가열건조동작을 계속 시킨다.
이후 습도센서(82)에 의하여 건조실(1)내의 습도가 감지된다.
그리고, 건조실(1)내의 쓰레기의 건조가 완료되었을 때 상기 습도센서(82)의 출력치가 미리 정해진 설정치로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습도센서(82)의 출력치가 설정치로 되면 가스버너(3)의 연소를 정지시킴과 함께 뎀퍼(6)가 열린상태로 설정되어 팬(F)에 의하여 신선한 공기가 건조실(1)내로 많이 투입되어 건조완료 상태로 있는 건조실(1)내가 공냉된다.
그리고, 이 건조실(1)내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예를들면 50℃)로 하강하면 팬(F)등의 각부가 정지되어 일련의 건조동작이 정지된다.
더구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건조의 종료를 습도센서(82)의 출력치로 판단하였지만, 상기 건조공정에서는 뎀퍼(6)의 열림각도를 반개로 하였을 때 일단 건조실(1)내의 온도가 하강하나 건조의 진행에 의하여 다시 상승하여 건조완료 시점에서는 건조실(1)내의 온도가 120℃ 정도로 된다.
따라서, 이때를 건조종료로 판단하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온도센서(81)만에 의하여 건조공정이 제어될 수 있고 습도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상기 동작중에 건조실(1)내의 온도가 쓰레기중의 합성수지 시트등의 용융온도(약 130℃)이상으로 되지않도록 하여 유독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도시하지 않음)로서는 용융온도에 달하면 댐퍼(6)의 열림각도를 크게하여 (예를들면 전부 열리게 하여)신선한 공기의 공급량을 늘리므로서 건조실(1)내의 온도를 낮추는 장치나 이것과 동시에 가스버너(3)의 연소까지도 정지시키는 장치등를 채용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건조실(1)을 경사시켜서 케이싱(K)내에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건조실(1)에는 주방쓰레기 투입용의 개구부(11a) 근방의 상측벽에 출구부(16)를 설치함과 함께 건조실(1)의 저벽 일단에 입구부(18)를 설치하여 상기 출구부(16)의 근방에 팬(F)을 배치한 구성이며, 상기 출구부(16)에서부터 입구부(18)를 향하도록 순환용 통로(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순환용 통로(2)에 있어서의 상기 팬(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순환용 통로(2)에 있어서의 상기 팬(F)의 하류측에 가스버너(3)의 연소부(31)가 배치되어 이 하류측에 배기회로(21)가 분기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교반기(4)는 건조실(1)내에 이것과 동일축으로 설치되고 건조실(1)의 상단 개구부(11a)에 대향하는 저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이것은 상기 순환용 통로(2)의 외벽에 부착한 구동모터(M1)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형식의 것에서도 팬(F)의 작동에 의하여 건조용 공기가 건조실(1)→출구부(16)→순환용 통로(2)→입구부(18)→건조실(1)의 경로로 강재순환 됨과 함께 연소부(31)에서의 연소 및 먼지등의 연소가 일어나 발생수증기는 전술한 실시예1과 같이 배출기체의 일부가 되어 배기회로(21)를 통하여 배출된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팬(F)이 건조실(1)의 출구부(16)의 하류측 근방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 팬(F)의 흡입압력에 의하여 건조실(1)내가 부압조건하에 놓이게 되므로 덮개판(11)에 의한 건조실(1)의 상단 개구부(11a)의 밀폐가 불충분하더라도 이곳부터로의 냄새누설이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케이싱(K)내에는 건조실(1)이나 이것에 설치되는 순환용 통로(2)와는 별개로 건조실(1)의 몸체부를 포위하도록 공기실(60)을 구획 형성하고 있으며, 공기실(60)의 입구(60a)는 건조실(1)의 몸체부 하방에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실(60)과 순환용 통로(2)를 연통시키는 공기유입구(22)가 팬(F)의 상류측 측벽에 개구되고 이것에 뎀퍼(6)가 대접되어 있다.
또한, 가스버너(3)의 1차공기구(32)는 공기실(60)내에 위치한다.
건조쓰레기 배출용의 배출구(12)는 건조실(1)의 몸체부에서 전기 건조실(1)의 저벽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경사상태로 배치된 건조실(1)의 최하부와 거의 일치한다.
그리고, 이 배출구(12)는 저부덮개(13)에 의하여 개방가능하게 폐쇄되어 있으며, 이 저부덮개(13)의 하방에 쓰레기용기(5)가 설치되어 있다. 또, 건조실(1)의 몸체부에는 저부덮개를 둘러싸도록 하방으로 돌출시킨 통체(5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하단의 플렌지 (54)가 케이싱(K)의 저벽에 재치되는 쓰레기용기(5)의 상단부와 대접한다.
쓰레기용기(5)를 개구(51)로부터 케이싱(K)내에 삽입하면 상기 플렌지부(54)와 쓰레기용기(5)의 상단이 대접되도록하기 위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케이싱(K)의 저벽부에 경사면(55)(56)을 설치함과 함께, 쓰레기용기(5)에는 다리부(5a)를 구비시키고 있다.
따라서, 쓰레기용기(5)를 케이싱(K)의 개구(51)로부터 삽입하여 쓰레기용기(5)의 저벽이 일방의 경사면(55)에 대접되었을 때 이 쓰레기용기(5)의 저부에 형성된 다리부(5a)가 다른쪽의 경사면(56)에 대접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다시 삽입하면 쓰레기용기(5)가 평행이동하여 쓰레기용기(5)가 최종위치로 밀려들어 가면 이 쓰레기용기(5)의 상단 개방부와 플렌지부(54)가 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통체(5)는 쓰레기용기(5)에 의하여 그 개방단이 밀봉되게 된다.
이와같이 하면 밀봉 상태에서 저부덮개(13)를 개방하므로서 건조쓰레기가 건조실(1)로부터 쓰레기용기(5)내로 빠져나온다.
그리고, 이 때문에 상기 밀봉상태에서 저부덮개(13)를 개방하기 위한 레버기구(L)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2의 경우에도 가스버너(3)는 실시예1과 같이 모두 1차공기식이 좋고, 특히 세라믹 플레이트와 같은 연소판으로하면 연소면이 넓게 되므로 냄새나 쓰레기의 연소 또는 소각성능이 우수하게 된다.
특히, 이 실시예2 에서는 순환용 통로(2)에 있어서 경사하방으로 경사진 통로의 천장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순환용 통로(2)의 상기 통로부로써 상방으로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 냄새의 소각성능이 일층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어느 실시예에서도 가스버너(3)에 의하여 냄새성분이 연소되지만 연소에 의한 냄새성분의 소실이 불충한 경우에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탈취장치(7)를 보조적으로 배기회로(21)에 구비시켜도 좋다.

Claims (4)

  1. 건조실(1)내에 수용되는 주방쓰레기를 강제순환 가열공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키도록한 주방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건조실(1)내의 공기를 강제순환 가열하기 위한 순환용 통로(2)에 배기회로(21)를 분기접속하고, 상기 순환용 통로(2)내에 강제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함과 함께 공기에 실린 먼지 및 냄새 성문을 연소하여 제거하는 가스버너(3)의 연소부(31)를 설치하며, 상기 연소부(31)로 공급되는 공기를 1차식의 외부공기로하여 가스버너(3)의 연소효율이 향상됨과 함께 이에 따른 잉여기체가 순환계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포함하여 배기회로(21)로 배출되도록 가스버너(3)의 1차공기구를 상기 순환계의 외부에 설치하여 상기 순환계에 생기는 잉여기체를 상기 배기회로(21)로부터 배출시키도록한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1)내가 순환용통로(2)측으로 흡입부압이 항시 작용하도록 순환용통로(2)와 배기회로(21)의 분기점(A)의 상류측이며 또 건조실(1)의 출구부(16) 하류측에 위치한 순환용통로(2)에 기체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팬(F)을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가스버너(3)를 모두 1차공기식의 가스버너로한 청구의범위 제1항 기재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3. 가스버너(3)의 연소부(31)를 순환용 통로(2)에 있어서의 배기회로(21)와의 분기점의 상류측에 설치한 청구의 범위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4. 순환용 통로(2)내의 기체를 강제순환 시키기 위한 팬(F)을 순환용 통로(2)에 있어서 배기회로(21)로의 분기점(A)의 상류측이며 또 건조실(1)의 출구부(16)의 출구부(16)하류측에 설치한 청구의범위 제1항부터 제3항의 어느한 항기재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KR1019950014684A 1994-06-10 1995-06-03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KR0145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9241A JPH07332858A (ja) 1994-06-10 1994-06-10 生ごみ処理装置
JP94-129241 1994-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326A KR960000326A (ko) 1996-01-25
KR0145981B1 true KR0145981B1 (ko) 1998-07-15

Family

ID=1500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684A KR0145981B1 (ko) 1994-06-10 1995-06-03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332858A (ko)
KR (1) KR01459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957B1 (ko) * 2000-03-13 2002-05-04 김평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0343397B1 (ko) * 2000-03-13 2002-07-11 김평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탈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6550B4 (de) * 2010-02-01 2015-08-13 Eisenmann Ag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Gegenständen
KR101064957B1 (ko) * 2011-03-08 2011-09-16 오성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957B1 (ko) * 2000-03-13 2002-05-04 김평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0343397B1 (ko) * 2000-03-13 2002-07-11 김평길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326A (ko) 1996-01-25
JPH07332858A (ja) 199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981B1 (ko)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KR100501621B1 (ko) 음식물쓰레기의건조발효장치
JP3113777B2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0152695Y1 (ko)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0149800B1 (ko) 쓰레기 처리 장치
JPH09184683A (ja) 廃棄物処理装置
JPH09145035A (ja) 燃焼系システム及び燃焼炉
JPH02306011A (ja) 厨芥処理装置
JPH10281425A (ja) 処理設備
JPH11201639A (ja) ごみ乾燥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10137718A (ja) 生ゴミ処理機
KR0164292B1 (ko) 쓰레기 처리장치
JPH0345808A (ja) 給湯器付き高周波焼却装置
JPH11290812A (ja) 生ゴミ処理装置
JP3607337B2 (ja) 生ごみ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3164418B2 (ja) 厨芥乾燥処理機
JP2949465B2 (ja) 生ごみ処理装置
JPH05220463A (ja) 生ごみ処理炉
JPH07243764A (ja) 乾燥機の乾燥排ガス循環制御装置
JP2924362B2 (ja) 厨芥処理機
JPH01184319A (ja) 厨芥焼却装置
KR20020045180A (ko) 열분해식 소각장치
JPS63148018A (ja) 厨芥処理装置
JP4172884B2 (ja) 生ごみ処理機
JP4057469B2 (ja) 生ごみ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