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800B1 - 쓰레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처리 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9800B1 KR0149800B1 KR1019950056291A KR19950056291A KR0149800B1 KR 0149800 B1 KR0149800 B1 KR 0149800B1 KR 1019950056291 A KR1019950056291 A KR 1019950056291A KR 19950056291 A KR19950056291 A KR 19950056291A KR 0149800 B1 KR0149800 B1 KR 01498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n
- circulation passage
- drying chamber
- gas
- heating sour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abstract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0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5 odorles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건조실(1)과 팬(F) 사이를 순환하도록 형성된 순환용 통로(2)와, 상기 순환용 통로(2)에 설치된 가열원(3)과, 상기 순환용 통로(2)에 분지 접속된 배기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원(3)의 발열에 따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등을 상기 배기 회로에서 배출시키도록 한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팬(F)과 가열원(3)의 설치 위치를 특정하는 것에 의하여, 팬(F)에 관한 내열성 요구를 완화하도록 하는 것과 함께, 운전 중에 개폐뚜껑(11)을 개방하여도 악취가 배출하는 것을 억제 하도록 한다. 순환용 통로(2)에서 배기 통로의 분지점의 상류측에 팬(F)과 가열원(3)을 상류측에서부터 이 순서대로 설치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요소인 급기용 댐퍼 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어 회로도
제4도는 종래예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건조실 2:순환용 통로
3:가열원 F:팬
본 발명은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특히 부엌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건조하여 대략 무취 상태로 처리하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쓰레기 처리장치로서는, 이미 일본 특허 공개 소 5-9627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고, 이와 같은 것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를 교반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과, 이 건조실(1) 내의 공기를 순환 가열하는 순환용 통로(2)와, 이 순환용 통로(2)에 압입된 가열원으로서의 히터(H)와, 탈취장치(7)와, 쓰레기 건조시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 장치로 이루어 지고, 상기 건조실(1)의 쓰레기 투입구(11a)는 개폐뚜껑(11)으로 덮혀 있다.
이것은, 히터(H)에 의하여 가열된 열풍이 강제 순환용의 팬(F)에 의해 건조실(1) --- 응축장치(71) --- 탈취장치(7) 의 경로로 순환하여, 상기 건조실(1) 내의 쓰레기가 건조됨과 동시에 이 건조 시에 발생하는 악취는 상기 탈취장치(7)의 촉매에 의하여 제거되고, 건조 공정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응축장치(17)로서 응축 액화되어 배수경로를 통하여 배수되고, 또한, 별도의 저장 용기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건조된 쓰레기는 그 체적이 대폭 적어진다.
또한, 완전히 건조되어 통상의 쓰레기로서 처분 되는 것은 물론, 정원용의 비료등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선행기술의 것은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건조 쓰레기로 바꾸어주고, 이 건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는 응축하여 배출된다.
또한, 악취의 확산도 방지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것은, 응축장치(71)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건조를 촉진하기 위한 히터(H)에 의해 가열한 순환 공기를 응축장치(71)로 응축 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가열-냉각이 반복되는 것이 되어 에너지 로스가 많았다.
여기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조실(1)내의 공기를 강제 순환 가열하기 위한 순환용 통로(2)에 배기 회로를 분지 접속하고, 상기 순환용 통로(2) 내에 팬(F)과 가열원(3)을 설치하고, 해당 가열원(3)의 발열에 따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등을 상기 배기 회로로서 배출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즉, 상기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상기 배기 회로에서 배출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의 응축장치(71)가 불필요하여 구조가 간단해지고, 순화용 통로(2)내의 순환 기체를 반복하여 가열 냉각하는 것에 의해 에너지 로스를 방지할수 있게 된다.
상기 개선안에 의한 경우는, 순환용 통로(2)에 대한 배기 회로의 분지점과, 가열원(3)과, 특히 팬(F)의 삼자의 설치 위치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팬(F)이 순환용 통로(2)내의 고열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고려하고, 내열성이 높은 재료로서 팬(F)을 구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팬(F)의 토출구를 건조실(1)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 순환용 통로(2)에서 건조실(1)로의 기체의 토출력이 커지게되는 상태로 해당 팬(F)을 설치하면, 해당 건조실(1)내에 순환 기체가 강한 힘으로 분출되는 결과를 가져와, 운전 중에 개폐뚜껑(11)을 개방하는 경우 건조실(1)내의 기체와 함께 악취가 외부로 누설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개폐뚜껑(11)으로 개폐되는 쓰레기 투입구(11a)를 구비하는 건조실(1)과, 상기 건조실(1) 과 팬(F) 사이를 순환하도록 형성된 순환용 통로(2)와, 상기 순환용 통로(2)에 설치된 가열원(3)과, 상기 순환용 통로(2)에 분지 접속된 배기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원(3)의 발열에 따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등을 상기 배기 회로에서 배출시키도록 한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팬(F)과 가열원(3)의 설치 위치를 특정하는 것에 의하여, 팬(F)에 관한 내열성 요구를 완화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운전 중에 개폐뚜껑(11)을 개방하여도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억제 하는 것이 그 과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 수단은, 순환용 통로(2)에서 배기 통로의 분지점의 상류 측에 팬(F)과 가열원(3)을 상류 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설치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가열원(3)을 발열 시킴과 동시에 팬(F)을 작동 시키면, 해당 팬(F)의 흡인작용에 의해 건조실(1)내의 기체가 순환용 통로(2)에 흡인되고, 한편 해당 기체는 팬(F) 부분을 통과한 후에 그 하류 측의 가열원(3)으로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팬(F)에서 토출 된 후의 기체가 그 직하류측의 가열원(3)으로 가열되는 것에 따라, 가열원(3)에서 발생하는 열이 팬(F)에 직접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순환 기체가 상기 가열원(3)으로 가열될 시에는 해당 기체에 포함된 악취 성분이 가열 소멸됨과 동시에, 쓰레기에서 발생한 수증기 등의 양에 상당하는 여분 기체가 가열원(3)의 하류 측에서 분지하는 배기 회로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또한 잔여의 가체는 순환용 통로(2)의 하류단에서 다시 건조실(1) 내에 공급되어 쓰레기를 가열 건조 시킨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를 갖는다.
팬(F)이 순환용 통로(2)에 이어져 가열원(3)의 상류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해당 가열원(3)에서의 발생열이 팬(F)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고, 해당 팬(F)에 대한 내열성의 요구가 완화된다.
순환용 통로(2)에 이어 배기 통로의 분지점의 상류 측에 팬(F)을 설치하기 때문에, 해당 팬(F)의 토출 압력은 순환용 통로(2)와 배기 통로로 분산되고, 이에 따라, 해당 순환통로(2)에서 건조실(1)에 토출하는 기체의 토출 압력이 저하 한다.
이에 대하여, 팬(F)의 흡인력은 전부 건조실(1) 내에 작용한다.
따라서, 순환용 통로(2)에서 건조실(1)에 작용하는 기체의 토출압력에 비하여 흡인력이 커지게되어, 해당 건조실(1)내가 부(-)압 상태가 되고, 운전 중에 쓰레기 투입구의 개폐뚜껑을 열어도 해당 부분에서 부터의 악취의 누출이 막아진다.
다음에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상의 건조실(1)은 경사진 상태로 케이싱(K)내에 수납되어 있고, 그 상단에 쓰레기 투입구(11a)는 지축(11b)으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개폐뚜껑(11)으로 덮혀 있다.
또한, 상기 개폐뚜껑(11)에는 건조실(1) 내의 온도와 습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81) 및 습도센서(82)가 설치되어 있다.
건조실(1)의 저부에는 개폐 가능한 하부뚜껑(13)으로 막아진 배출구(12)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배출구(12)에서 그 하방의 회수버켓(5)에 처리 후의 쓰레기를 배출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뚜껑(13)은, 건조실(1)의 측벽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된 암(L1)에 연결되어 있고, 해당 암(L1)은, 수동 조작 가능한 조작레버(L2)를 요동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건조실(1)내에는, 해당 건조실(1)의 중심축과 평행한 형태로 설치된 회전축(41)과, 이에 고정된 교반날개(42)를 구비하는 교반기(4)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교반기(4)는 건조실(1)의 외저면에 설치된 구동 모터(M1)로 회전 구동 하도록 구성 되어있다.
건조실(1)내의 상기 배출구(12)에 대향하는 벽면부에는 열풍 토출구(18)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열풍 토출구(18)는 건조실(1)에 쓰레기 투입구(11a) 부근에 형성된 기체 흡인부(16)에 순환용 통로(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순환용 통로(2)에 이어 상기 열풍 토출구(18)의 상류측 부근에는 통기개구(T)를 남겨 놓은 형태로 다수의 투과공(17a)을 갖는 펀칭 플레이트(17)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통기개구(T)는 가스 버너(3a)의 연소부(31)에 대향하는 부분에서 상기 순환용 통로(2) 상류측을 향하여 약간 경사져 위치하고 있다.
또한, 펀칭 플레이트(17)내에 투과공(17a) 보다 큰 홀을 형성하고, 이 홀을 상기 통기개구(T)라 하여도 좋다.
연소부(31)의 하방 대향부에 펀칭 플레이트(17)를 설치한 주 목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소부(31) 하면 측의 유체 유량을 적게 하여 악취 성분을 확실하게 소실 시키기 위한 것이다.
순환용 통로(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기체 흡인부(16)에는 펀칭 플레이트(160)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교반기(4)로 교반되는 건조실(1)내의 쓰레기가 순환용 통로(2) 측에 칩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순환용 통로(2)의 구성벽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입부(16)의 부근에는, 외기를 유입 시키기 위한 급기구(22)가 형성 되어 있고, 해당 급기구(22)는 급기용 댐퍼(6)로 개폐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순환용 통기로(2)에는 상기 급기구(22)의 하류측 부근으로 건조실(1)내의 기체를 상기 기체흡입부(16)에서 흡입하기 위한 팬(F)이 설치되어 있고, 한편, 상기 팬(F)의 하류측에는 가열원(3)으로서의 가스버너(3a)의 연소부(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스버너(3a)로의 가스 회로에는 가스밸브(3b)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순환용 통로(2)에는, 가스버너(3a)의 하류측 부근으로 탈취장치(7)를 구비하는 배기회로(21)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스버너(3a)로서는 예를 들면 세라믹판을 아용한 적외선 버너 등의 일차 공기식의 버너가 적용되나, 다른 종류의 버너 사용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 모터(M1)등의 전기 부품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한 제어회로(70)로 제어된다.
상기 제어회로(70)에는 기구 조작부에 배치 설치된 운전 스위치(84)와 정지 스위치(85)의 출력, 건조실(1)내의 온도와 습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81)와 습도센서(82)의 출력이 인가되어 있다.
또한, 가스버너(3a)로의 가스회로에 압입된 가스밸브(3b), 상기 가스버너(3a)를 연소 시키기 위한 점화장치(3c), 건조실(1) 내의 기체를 순환용 통로(2)에 흡인하는 팬(F), 교반기(4)용의 구동 모터(M1) 및 급기용 댐퍼(6)의 구동 모터(62a)의 각각은 제어회로(70)의 출력으로 동작 제어 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실시예의 것에서는 개폐뚜껑(11)을 개방하여 건조실(1)내에 쓰레기를 투입하고 구동모터(M1)를 회전 시키는 상태로, 팬(F)을 구동 시켜 가스버너(3a)를 연소시킨다.
한편, 운전 개시 초기는 급기용 댐퍼(6)를 폐쇄한 상태로 동작이 진행된다.
이어서, 팬(F)에 의하여 건조실(1)내의 기체가 기체 흡인부(16)에서 순환용 통로(2)내에 흡인되어 열풍토출구(18)에서 건조실(1)내에 복귀하도록 순환한다.
즉, 건조실(1)내의 기체는 기체흡인부(16) --- 팬(F) --- 가스버너(3a) --- 열풍토출구(18) -- 건조실(1)을 순환한다.
따라서, 이 쓰레기 처리장치에 따르면, 팬(F)이 순환용 통로(2)내에 가스 버너(3a)의 상류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해당 건조 가스버너(3a)의 발생열이 직접 팬(F)에 작용하지 않아, 해당 팬(F)이 열적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팬(F)에 커다란 내열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팬(F)이 건조실(1) 내의 기체를 흡인하여 해당 건조실(1) 내가 부합을 이루기 때문에, 개폐뚜껑(11)을 개방한 경우에도 해당 건조실(1) 내의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아, 악취가 외부로 확산될 우려가 거의 없어진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서는 팬(F)으로부터 연결되는 순환용 통로(2)내의 순환기체의 일부를 통기개구(T) 부분으로, 연소부(31) 측을 바이패스하여 건조실(1) 측에 분류시켜 연소부(31) 측으로의 기체 공급량을 제한하는 통로 구성이 되어있다.
따라서, 연소부(31) 하면측을 흐르는 한정된 량의 기체를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해당 연소후의 기체의 일부가 배기통로(21)에서 배기되고, 잔여의기체는 펀칭플레이트(17)의 투과공(17a)을 통과하여 열풍 토출구(18)를 경유하여 건조실(1) 내로 복귀한다.
또한, 통기개구(T)에서 펀칭플레이트(17)를 통하는 가스버너(3a)로 부터의 복사열로 가열된 후에 열풍토출구(18)를 경유하여 건조실(1)내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해당 가열기체와 교반기(4)의 교반 작용에 의하여 건조실(1)내의 쓰레기가 교반 가열되고, 해당 쓰레기로 부터의 수증기와 가스체 등이 발생하고, 이 수증기 등과 가스버너(3a)의 연소 배기에 상당하는 량의 기체가 건조실(1) 및 순환용 통로(2)로 이루어지는 순환 경로 내에서 여분의 기체가 되고, 이에 상당하는 량의 기체가 배기 회로(21)에서 배출된다.
이상의 건조 동작을 계속하면서, 온도센서(81)로 건조실(1)내의 온도를 감시하고, 이에 따라, 해당 건조실(1)내의 온도가 105도 까지 상승하면 급기용 댐퍼(6)를 반 개방 상태로 유지하여 급기구(22)로서 순환용 통로(2)내에 외기를 흡인하고, 이 상태로 가스버너(3a)의 연소량을 제어 하면서 건조실(1) 내의 온도를 섭씨 105도 내지 110도의 범위로 유지한다.
급기구(22)에서 순환용 통로(2)내에 외기를 흡인하는 것은, 급기구(22)에서 순환용 통로(2)내에 외기를 흡인하면 해당 흡인 공기량이 여분의 기체가 되어 전체의 여분 기체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해당 여러 기체를 캐리어로 하여, 건조실(1)내의 수증기와 가스체를 배기 회로(21)에서 외부로 적극적으로 방출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쓰레기의 건조가 촉진된다.
상기의 건조 동작을 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건조실(1)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까지 저하하고, 이것을 온도센서(82)로 검지하여 가스버너(3a)를 소화 시킴과 함께 급기용 댐퍼(6)를 완전 개방 상태로 하고, 이에 따라, 해당 건조실(1)내에 냉기를 공급하여 이것을 안전온도(예를들면 섭씨 50도)까지 냉각하고, 그후, 기구 전체를 정지 시킨다.
따라서, 건조실(1)내의 쓰레기는 수분을 함유하지 않는 건조 상태가 되고, 이 결과, 쓰레기 상태의 체적이 1/5 내지 1/10정도로 적어진다.
이어서, 조작 레버(L2)를 조작하여 하부뚜껑(13)을 개방하고, 상기 건조후의 쓰레기를 하방의 회수버켓(5)으로 회수한다.
이에 따라, 쓰레기 처리 작업이 완료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흡인 압력 주체의 팬(F), 즉, 기체 흡인을 주목적으로 하고, 토출량이 적은 팬(F)이 사용되고, 이에 따라, 가스버너(3a)에서 토출되는 연소배기가 해당 가스버너(3a) 내에 역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즉, 토출량의 큰 토출 능력 주체의 팬(F)을 사용하면, 팬(F)에서 약세인 기체가 토출되는 결과, 가스버너(3a)의 연소부(31)에서 나오는 연소 배기를 억제하여 이것을 해당 가스버너(3a)내로 역류 시키는 우려가 있으나, 상기 흡인압력 주체의 팬(F)을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해당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체가 가스버너(3a) 내를 향하여 역류할 문제가 있기 때문에, 급기용 댐퍼(6)를 완전 개방하여 건조실(1) 내를 냉각하는 운전 종료 전의 상태에서는, 순환용 통로(2)를 흐르는 기체가 악취와 함께 가스버너(3a)의 일차 공기구에서 외부로 누설되는 우려가 적어진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열원(3)으로 가스버너(3a)를 사용하였으나, 이것을 변경하여 전기 히터를 채용하여도 좋다.
Claims (3)
- 개폐뚜껑(11)으로 개폐되는 쓰레기 투입구(11a)를 구비하는 건조실(1)과, 상기 건조실(1)과 팬(F) 사이를 순환하도록 형성된 순환용 통로(2)와, 상기 순환용 통로(2)에 설치된 가열원(3)과, 상기 순환용 통로(2)에 분지 접속된 배기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원(3)의 발열에 따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등을 상기 배기 회로에서 배출시키도록 한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순환용 통로(2)에서 배기 통로의 분지점의 상류측에 팬(F)과 가열원(3)을 상류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순환용 통로(2)에서 팬(F)의 상류측에, 상기 순환용 통로(2)에 외기를 공급하는 급기구(2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열원(3)을 가스 버너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325811A JP2807865B2 (ja) | 1994-12-27 | 1994-12-27 | 生ごみ処理装置 |
JP94-325811 | 1994-12-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21186A KR960021186A (ko) | 1996-07-18 |
KR0149800B1 true KR0149800B1 (ko) | 1998-08-17 |
Family
ID=1818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56291A KR0149800B1 (ko) | 1994-12-27 | 1995-12-26 | 쓰레기 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807865B2 (ko) |
KR (1) | KR0149800B1 (ko) |
-
1994
- 1994-12-27 JP JP6325811A patent/JP280786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
- 1995-12-26 KR KR1019950056291A patent/KR01498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807865B2 (ja) | 1998-10-08 |
JPH08178524A (ja) | 1996-07-12 |
KR960021186A (ko) | 1996-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49800B1 (ko) | 쓰레기 처리 장치 | |
KR100492866B1 (ko) | 음식물찌꺼기처리기 | |
KR100775907B1 (ko) | 음식물 쓰레기용 탈취장치 | |
KR0145981B1 (ko) |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 |
JPH1190384A (ja) | 厨芥処理機 | |
JP3607337B2 (ja) | 生ごみ処理装置の制御方法 | |
JP2994969B2 (ja) | 生ごみ処理機 | |
JPH10332155A (ja) | 電子レンジ | |
JPH11290812A (ja) | 生ゴミ処理装置 | |
JPS62218711A (ja) | 生ごみ処理装置 | |
JP3739069B2 (ja) | 厨芥処理機 | |
KR0164292B1 (ko) | 쓰레기 처리장치 | |
JP2949465B2 (ja) | 生ごみ処理装置 | |
JP4057469B2 (ja) | 生ごみ処理機 | |
JP3844881B2 (ja) | 厨芥処理器 | |
KR0149799B1 (ko) |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00061255A (ko) | 생활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3164418B2 (ja) | 厨芥乾燥処理機 | |
JPH0972657A (ja) | 真空乾燥装置 | |
JPH0857463A (ja) | 生ごみ処理装置 | |
JPH11179325A (ja) | 生ごみ処理装置 | |
KR20230166833A (ko) |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 |
KR20200126508A (ko) | 의류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복합 건조 처리 장치 | |
JP3063215B2 (ja) | 廃棄物処理装置 | |
JPH0587455A (ja) | 乾燥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602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