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833A -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833A
KR20230166833A KR1020220127938A KR20220127938A KR20230166833A KR 20230166833 A KR20230166833 A KR 20230166833A KR 1020220127938 A KR1020220127938 A KR 1020220127938A KR 20220127938 A KR20220127938 A KR 20220127938A KR 20230166833 A KR20230166833 A KR 20230166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eating plate
temperature sensor
ball
bi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김연근
권구대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66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12Coding means to aid in recyc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와, 상기 볼수납부 내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와, 상기 볼수납부 내 상기 볼 내부의 공기를 응축시켜 제습하기 위한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히팅플레이트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팅플레이트 또는 그 주변에 마련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고장이나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기능정지온도에 도달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온도센서의 고장으로 인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온도과승시 바이메탈은,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1차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바이메탈의 고장으로 인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온도과승시 온도퓨즈는,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2차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FOOD WAST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처리 가능한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식물쓰레기는 분리수거를 위해 음식물쓰레기 저장통에 일정기간 소정의 양만큼 모아두었다가 배출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그러함에도 가정이나 식당 등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등장하였지만, 대부분 부피가 크고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아 실생활에까지는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607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4110호 등에서는 음식물처리기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전제품의 형태로 개발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식물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bowl)과,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는 날개와, 볼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가열장치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음식물처리기가 볼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처리할 때, 가열장치에 의해 젖은 피처리물로부터 고온의 습증기가 발생할 수 있고, 습증기는 제습장치 따위에 의해 응축되어 피처리물은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될 수 있다
다만, 음식물처리기가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해 피처리물을 가열하기 때문에, 가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필요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011-0056076 A1 KR 10-2016-0044110 A1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 내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 가열수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와, 상기 볼수납부 내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와, 상기 볼수납부 내 상기 볼 내부의 공기를 응축시켜 제습하기 위한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히팅플레이트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팅플레이트 또는 그 주변에 마련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고장이나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기능정지온도에 도달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온도센서의 고장으로 인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온도과승시 바이메탈은,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1차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바이메탈의 고장으로 인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온도과승시 온도퓨즈는,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2차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기능정지온도에 도달하여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작동을 정지한 다음, 상기 냉각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 고장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상기 냉각장치의 작동을 위한 제1 온도조건으로 강제 설정하는 단계, 및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상기 냉각장치의 작동 정지를 위한 제2 온도조건으로 강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히팅플레이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 마련되되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싸는 관형의 발열체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퓨즈는,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발열체의 양단 사이에 이격 형성된 콜드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바이메탈은, 상기 발열체 상의 핫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은, 유리섬유가 함유된 절연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이메탈은, 온도에 따라 회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자동복귀타입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이메탈의 회로개방온도는, 상기 온도센서의 기능정지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이메탈의 회로폐쇄온도는, 상기 온도센서의 기능정지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발열체 상에 위치한 상기 바이메탈은, 상기 발열체와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소정 높이의 지지체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온도퓨즈의 전원차단온도는, 상기 하우징의 외관 변형이 일어나는 한계온도 미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온도퓨즈의 전원차단온도는, 상기 바이메탈의 회로개방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 상기 볼수납부 내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 상기 볼수납부 내 상기 볼 내부의 공기를 응축시켜 제습하기 위한 냉각장치, 상기 히팅플레이트 또는 그 주변에 마련된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온도센서의 고장이나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기능정지온도에 도달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작동을 정지하는 제어부, 상기 온도센서의 고장으로 인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온도과승시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바이메탈, 및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바이메탈의 고장으로 인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온도과승시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온도퓨즈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 내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마련되되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싸는 관형의 발열체, 상기 발열체의 주변에 마련된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의 고장으로 인한 상기 발열체의 온도과승시 상기 발열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바이메탈, 및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바이메탈의 고장으로 인한 상기 발열체의 온도과승시 상기 발열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온도퓨즈를 포함하는 히팅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처리기가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해 가열수단을 작동할 수 있으며, 이때 고온으로 열을 발생하기 위한 가열수단의 안전한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이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수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생략된 음식물처리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기계실 내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순환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플레이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와 온도센서, 온도퓨즈 및 바이메탈 간의 배치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이 마련된 지지체를 나타낸 히팅플레이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 고장시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냉각장치 작동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도센서, 온도퓨즈 및 바이메탈의 작동온도를 온도그래프로 도식화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음식물처리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이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수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내부에 볼(bowl)(50)이 수납되는 본체(10)와, 본체(10)에 마련되어 본체(10) 내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50)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자는 볼(50) 내부에 피처리물을 담은 다음, 볼(50)을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 장착시키면, 본체(10) 내 마련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건조되고, 또 본체(10) 내 마련된 구동장치(34)에 의해 커플링된 볼(50) 내부의 가동날개는 회동함으로써, 볼(50) 내부의 고정날개와의 상호작용으로 피건조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시킬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체(10)는 음식물처리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와,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에 개폐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체(10)의 도어(20)가 마련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20)의 개방시 볼수납부(1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고 볼(50)을 볼수납부(12)에 장착한 다음, 도어(20)를 폐쇄함으로써 음식물처리기(1)에 의해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케할 수 있다.
볼수납부(12)는 도어(20) 폐쇄시 외부와 격리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할 때 볼(50) 내부의 피처리물로부터 유발되는 악취 등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10)와 도어(20)가 마주 접하는 부분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도어(20) 폐쇄시 볼수납부(12)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수납부(12)의 저면에는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될 수 있다.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전기를 이용하여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전기히터 따위의 발열체를 이용하여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고, 유도가열을 이용한 인덕션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해진 열에 의해,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가열되어 건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볼(50)의 내부는 젖은 피처리물로부터 고온의 습증기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습증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등은 본체(10) 내 기계실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생략된 음식물처리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기계실 내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기계실에는 볼(50) 내부의 습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증발기(45)와, 유량조절밸브(46)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기계실은 고장 발생 등에 사용자가 아닌 작업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볼수납부(12)와 구획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의 외피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수리 등을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는 볼수납부(12)를 형성하는 볼수용하우징(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볼(50)이 볼수납부(12)에 장착시 볼수용하우징(14)은 도어(20)와 함께 볼(50)을 감쌀 수 있다.
볼수용하우징(14)은 측면이 원통형의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측면과 상응하는 둥글게 굽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볼수용하우징(14)에 의해, 그 내부에 형성되는 볼수납부(12)는 그 외부의 본체(10) 내 기계실과 구획될 수 있으나, 다만, 볼수용하우징(14)의 내부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볼(50)의 내부와 기계실 내 일 장치 간에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볼수용하우징(14)은 일측에 관통형성된 연통구(141)를 가질 수 있다.
볼수용하우징(14)에 관통형성된 연통구(141)는 볼수용하우징(14) 내 장착된 볼(50)의 통기구(미도시)와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통구(141)는 전방측, 즉 도어(20)측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도 4 참조), 볼(50)의 내외부를 서로 연통하는 볼(50)의 통기구는 볼(50)이 볼수납부(12)에 장착시 상기 연통구(141)와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이 장착되면, 볼(50)의 통기구는 기계실 내 일 장치(일 예로, 증발기)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서로 연통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수용하우징(14)의 일측, 즉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의 후방 외측에는, 내부에 증발기(45)가 수용된 증발기함(451)이 마련될 수 있고, 이때, 증발기함(451)의 일측(일 예로 전방측)에 형성된 개구부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와 마주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 장착시, 볼(50)의 내부는 볼(50)의 통기구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내부에 마련된 증발기(45)와 연통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와 응축기(47)는 증발기함(451)에 의해 분리되어 구획된 서로 다른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451)은, 내부에 응축기(47)를 제외한 증발기(45)만을 수용하는 함체일 수 있고, 응축기(47)는 증발기함(451) 외부의 기계실 내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함(45)은 내부 수용공간에 증발기(45)를 수용하되, 다만 냉매가 증발기함(45) 외부에 마련된 기계실의 압축기(48) 및 응축기(47)와 순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냉매는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유량조절밸브(46)와, 증발기(45)를 순차로 순환하는 순환냉매유로(Fr)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도 6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에 의해 볼(50)의 내부에서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를 통과함으로써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이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48)는 냉매순환유로(Fr) 상 증발기(45)와 응축기(47)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가 냉매순환유로(Fr)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압축기(48)는 증발기(45)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47)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기(47)는 압축기(48)에서 이송되어 온 냉매와 외기 간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응축기(47)를 통과하는 냉매는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후측방에는 응축기(47)로부터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다수 타공 형성된 통기공(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 도 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 내부에 있는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기 위해 응축기(47)의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팬(49)이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증발기(45)를 통과한 볼(50) 내부의 증기가 응축기(47)로 유도되지 않도록 증발기함(45)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볼수용하우징(14)의 후방측에 마련된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는 순환팬(44)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과, 증발기함(451)과, 순환팬(44)은 직렬로 배치될 수 있고,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 내부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를 통과한 다음, 다시 볼(50) 내부로 순환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팬(44)은 순환기류를 형성하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순환팬(44)은 원심팬일 수 있다. 도면부호 441은 순환팬의 팬모터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442는 팬모터가 장착되되 내부에 임펠러가 수용된 팬하우징을 가리킨다.
이러한 순환팬(44)은 회전축이 전방측, 즉 증발기(45) 또는 볼(5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에 마련된 증발기함(451)의 흡기구를 통해, 증발기(45)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흡기될 수 있다.
이렇게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임펠러의 회전으로,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배기덕트(미도시)로 배기될 수 있다.
즉,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 내부에 습기를 함유한 고온고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의 통기구 및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를 통해, 증발기함(451) 내부의 증발기(45)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고온고습의 증기는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되고, 이는 다시 순환팬(44)을 지나 배기덕트 및 증발기함(451)을 거쳐 다시 볼(50)의 통기구를 통해 볼(50)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공기유로(Fa)를 형성할 수 있다(도 6 및 7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5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통기구는 공기가 유입하는 경로와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가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관통구일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증발기함(451)은 전방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출입구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유출입구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통기구와 마주하여 상호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는 볼(50)의 내부공기가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마련하고, 증발기함(451)의 배출구는 유입구와 반대로 증발기함(451)의 내부공기가 볼(50)의 내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마련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유입구 및/또는 배출구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통기구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전방측, 즉 도어(20) 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에 볼(50)의 장착시, 증발기함(451)의 유입구 및 배출구는 볼(50)의 통기구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볼수납부(12)에 볼(50)의 장착시, 볼(50)의 통기구 내주면에는, 증발기함(451)의 유입구 및 배출구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이때 볼(50)과 증발기함(451) 사이에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통기구의 내주면에는 고무나 실리콘재 따위의 패킹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미도시)와 배출구(미도시)는, 볼(50)의 통기구와 마찬가지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일 실시예에 따라, 유입구와 배출구 각각은, 별개로 나누어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는 배출구 보다 그 구멍 면적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볼(50)에서 증발기함(451)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볼(50)의 내부에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되어 열팽창된 공기이지만, 증발기함(451)에서 볼(50)로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된 공기이기 때문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함(451)은 후방에 관통 형성된 흡기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에 순환팬(44)을 수용한 팬하우징(442)은, 일측(일 예로 전방측)에 개구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되, 팬하우징(442)의 개구부는 증발기함(451)의 흡기구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증발기함(451)의 흡기구가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 마련된 순환팬(44)의 회전축과 마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팬하우징(442) 내 순환팬(44)의 구동으로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흡기구를 통해 순환팬(44)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5)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으로부터 흡입되고, 이렇게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배기덕트로 배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순환팬(44)을 수용한 팬하우징(442)은, 임펠러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판이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임펠러의 회전구동으로 회전축의 전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원심력이 부여되고, 원심력을 가진 공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 유동할 때 가이드판은 그 공기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판의 일측, 일 예로 상측의 일부는 개구 형성되어, 가이드판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유동하는 공기는 원심력에 의해 가이드판의 개구부를 통해 원심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가이드판의 개구부에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된 배기덕트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팬하우징(442)의 내측에 격벽 형태로 가이드판과, 일측 개구부에서 연장 형성된 배기덕트가 마련될 수 있다.
결국, 배기덕트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그 전방에 마련된, 즉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다시말해,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는 순환팬(44)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 이외에 순환팬(44)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흡기구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통과한 공기가 순환팬(44)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지만, 배기구는 순환팬(4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볼(50)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발기함(451)은 후방측의 배기구로부터 유입된 저온저습의 증기가 볼(50)의 내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증발기함(451)은 후방측의 배기구와 전방측의 배출구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배관(456)을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즉, 연결배관(456)은 증발기함(451)의 전후방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증발기함(451)의 배기구와 배출구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볼(50)의 내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배관은 증발기함(451)의 배기구와 배출구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이면 그 형태 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는, 증발기함(45) 내부의 증발기(45)를 지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며, 이때 냉각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는, 증발기함(45)의 내부에 저류할 수 있다.
이때, 증발기함(45)은 내부에 저류하고 있는 응축수가 자연적으로 또는 강제로 증발기함(45) 외부의 기계실이나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응축수배출구(4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증발기(45)는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볼(50) 내부로부터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와 순환냉매유로(Fr)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 간에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증발기(45)를 통과하는 증기는 냉각되고, 증발기(45)를 통과할 때 증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45)는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면을 넓히기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앤튜브(pin&tube) 타입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렇게 제거된 수분에는 피처리물로부터 유래된 악취가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순환팬(44)을 소정의 구동속도로 지속 구동하여,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된 볼(50)의 내부공기, 즉 고온고습의 습증기를 증발기(45)에 반복 공급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45)가 고온고습의 습증기를 반복 응축함으로써, 증발기함(451) 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에 악취를 농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음식물처리기(1)의 각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출력되는 각종 신호나 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시키거나,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상기 피처리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등 다양한 구현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1)의 각종 동작을 수행 또는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볼(50)의 내부에 대하여 건조행정을 완료한 이후라고 하더라도, 순환팬(44)의 구동을 계속하여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볼(50)의 내부로 공급하여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볼(50)의 내부가 건조되었다고 하더라도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의 내부는 여전히 고온의 분위기를 가질 수 있고, 이는 볼(50)을 본체(10)로부터 인출하는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볼(50)의 내부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이후라고 하더라도, 순환팬(44)의 구동은 물론, 바람직하게는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계속하여, 볼(50)의 내부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사용자가 볼(50) 내부에 처리가 완료된 잔여 피처리물을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는 볼(50) 내부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이후, 오히려 순환팬(44)의 구동속도를 건조행정에서의 구동속도 보다 더 높일 수 있고, 또 압축기(48)의 구동속도 역시 건조행정에서의 구동속도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5)를 내부에 수용한 증발기함(451)의 내부에는, 순환팬(44)에 의해 인입된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저류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를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451)의 저면에는 응축수배출구(미도시)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응축수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자연배수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저면에는 응축수배출구(452)가 마련되되, 증발기함(451)의 저면은 상기 응축수배출구(452)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바닥으로 낙하한 경우, 이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따라 응축수배출구(452)로 유도됨으로써,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의 내부 고온고습의 증기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거쳐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저온저습의 증기는 팬하우징(442)의 배기덕트와, 증발기함(451) 내 연결배관을 통해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동하는 순환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순환기류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볼(50) 내부의 수분과 악취는 증발기함(451) 내 응축수 형태로 변환될 수 있고, 증발기(45)에 의해 수분과 악취가 제거된 공기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 즉 악취가 용해되어 있는 응축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배출구(452)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수되되, 이때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는 응축수탱크(80)의 내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증발기함(451) 내 응축수는 자연적으로 응축수탱크(80)로 유입되어 응축수탱크(80) 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응축수탱크(80) 또는 응축수탱크유입구는, 증발기함(451) 또는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의 하부, 즉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증발기함(451) 내 발생된 응축수가 응축수탱크(80)로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응축수탱크(80)의 상부에는, 응축수탱크(80) 내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로서 제1 통기공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1 통기공은 응축수탱크(80)의 상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응축수탱크(80)의 탱크커버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통기공은 응축수탱크(80) 내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일 예로, 본체(10) 내 기계실 또는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수탱크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는 응축수탱크(80)의 내부에 저장되지만, 이와 함께 응축수탱크유입구는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응축수탱크유입구는 제1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순환기류(볼(50) - 증발기함(451) - 순환팬(44)) 내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즉, 증발기함(451)의 내부는 응축수탱크(80)의 내부와 연결되고, 응축수탱크(80)에 관통 형성된 제1 통기공을 매개로, 외부 공기가 응축수탱크(80)나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이와 반대로 순환기류 내 공기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폐쇄된 순환기류 내 압력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그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피처리물로부터 발생된 악취는 응축수에 농축되어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기류 내 일부 공기에서는 악취 유발 물질이 적다.
다만, 적은 양이더라도 악취 유발 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통기공에는 탈취필터(9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필터(90)는 공기 내 악취를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활성탄 소재의 흡착제를 포함한 필터일 수 있고, 또 충진형(분말형 또는 가루형 등)이나 블럭형 등일 수 있으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터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
다만, 블럭형 필터는 분말형태의 필터가 열과 압력 등에 의해 압축되어 형성된 것으로, 분말사이로 공기가 빠져나가 필터기능이 저하되는 충진형 필터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필터(90)는, 블럭형 필터일 수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탈취필터(9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은 작기 때문에 여과 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블럭형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탈취필터(90)는 탈취능력이 저하되거나 사용기한을 도과한 경우 등에는 교체 가능하도록 탈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본체(10) 내 사용자나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 일 예로 본체(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나 작업자는 본체(10)의 외피 중 탈취필터(90)와 상응하는 부분을 탈거하여, 기존 탈취필터(90)를 탈착하고 새로운 탈취필터(9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과 전방의 탈취필터(90)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기관(91)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배기관(91)의 일단은 제1 통기공에 연결되고, 배기관(91)의 타단은 탈취필터(90)에 연결될 수 있다.
결국, 볼(50), 증발기함(451), 그리고 순환팬(44) 간에 순환하는 순환기류 내 공기 일부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함(451)으로부터 응축수탱크(80)로, 그리고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을 거쳐 배기관(91)을 따라 외부로 배기되되, 이때 배기관(91)의 말단에 위치한 탈취필터(90)를 거쳐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배기되는 공기 내 악취 유발 물질이 흡착 제거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폐쇄된 순환유로에서 발생하는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50)의 내부 공기는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순환기류 내 양압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순환기류 내 일부 공기는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에 연결된 배기관(91)과 탈취필터(90)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순환유로 내 양압은 제거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는 탈취필터(90)를 통해 배기관(91)을 따라 제1 통기공을 거쳐 응축수탱크(80) 또는 증발기함(451)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폐쇄된 순환유로 내 음압발생시 그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즉, 증발기(45)에 의해 순환유로 내 공기가 냉각 응축되어 폐쇄된 순환유로 내 음압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고, 또 배출모터(85)의 구동으로 응축수탱크(80)의 내부 역시 음압의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외기는 탈취필터(90)를 통해 도입될 수 있다. 탈취필터(90)로 도입된 외기는 이에 연결된 배기관(91) 및 제1 통기공을 통해 증발기함(451) 또는 응축수탱크(80)로 유입됨으로써, 순환유로 내 음압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탱크(80)와 탈취필터(90) 사이에 마련되어, 응축수탱크(80)에서 배출되는 공기 내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팽창탱크(8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팽창탱크(81)는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연통공을 포함할 수 있고, 또 팽창탱크(81)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 통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팽창탱크(81)의 연통공은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팽창탱크(81)의 제2 통기공은 배기관(91)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응축수탱크(80) 내 공기는 제1 통기공, 연통공, 그리고 제2 통기공을 순차로 통과하고 배기관(91)과 탈취필터(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팽창탱크(81)는 응축수탱크(80)의 상부, 구체적으로 팽창탱크(81)의 연통공이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되,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응축수탱크(80)로부터 습기를 포함하지 않은 공기가 팽창탱크(81)로 자연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팽창탱크(81)의 제2 통기공은, 연통공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81)의 제2 통기공을 통해 습기를 함유하지 않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통기공은 팽창탱크(8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통공은 팽창탱크(8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팽창탱크(81)를 중심으로 하부의 연통공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습기가 제거되어, 그 상부의 제2 통기공으로 배기될 수 있으며, 이때 팽창탱크(81)가 연통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팽창탱크(81)의 내부에는 탈습을 위한 부재가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하우징(80)의 내부에는 탈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격벽(미도시)을 마련함으로써, 팽창탱크(8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내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벽은 팽창탱크(81) 내 연통공에서 제2 통기공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마련되되, 그 유로 중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81)의 하측에 마련된 연통공과, 상측에 마련된 제2 통기공의 위치는, 팽창탱크(81)의 종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이때, 연통공과 제2 통기공 사이에, 팽창탱크(81)의 내상벽에는 하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격벽에 의해, 연통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 통기공을 통해 배출될 때, 그 유로 중 일부는 차단될 수 있고, 이때 그 과정에서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격벽에 충돌함으로써, 공기 내 수분은 분리되어 탈습된 다음, 제2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국, 팽창탱크(81)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할 때, 공기 내 수분은 제거되어 탈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팽창탱크(81)를 통해 탈취필터(90)로 인가되는 공기가 제습되어 건조된 상태이기 때문에 탈취필터(9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의 전방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어(20)가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만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의 개방을 위한 사용자입력을 받기 위해 도어열림버튼(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식물처리기(1)의 도어(20)를 개방시키기 위해, 사전적으로 도어열림버튼(60)을 터치하거나 눌러 조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가 구속상태에서 해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도어열림버튼(60)에 대한 사용자 조작 없이 도어(20)가 물리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어(20)가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어, 도어열림버튼(60)은 본체(10)의 상부 외면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방측, 도어(20)와 근접하도록 위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상부 내측에는 회로기판이 마련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어열림버튼(60)을 통하여 전자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받거나, 그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결국, 도어열림버튼(60)에 대한 사용자 조작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는 도어열림모듈의 구동장치를 작동시켜, 도어열림모듈의 걸쇠가 도어(20)와의 체결을 해제토록 함으로써, 도어(20)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 즉 구속 해제 상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음식물처리기(1)가 피처리물의 습증기를 제거하기 위해 제어부는 피처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플레이트(13)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히팅플레이트(13)를 안전하게 작동하고, 히팅플레이트(13)의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필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히팅플레이트 및 이의 제어방법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플레이트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플레이트의 저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플레이트(13)는, 하우징(131)과, 이에 마련된 발열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1)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체(130)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발열체(130)가 하우징(131)에 내장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하우징(131) 내 마련된 발열체(130)는 인가된 전원을 이용하여 외부로 열을 발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하우징(131)은 바람직하게 절연체이되, 내열성을 가질 수 있도록 유리섬유(glass fiber)가 함유된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130)의 가열로 하우징(131)의 일면, 일 예로 상면에 접한 피가열물인 볼(50)을 가열할 수 있다. 즉, 볼수납부(120)의 내부에 볼(50)이 수용될 때 볼(50)의 저면은 하우징(131)의 상면에 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열체(130)의 작동시 볼(50)이나 그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은 가열될 수 있다.
한편, 볼(50)이 볼수납부(12)의 안쪽까지 슬라이드 이동하여 장착될 때, 볼(50)이 히팅플레이트(13)의 발열체(130)와 근접하거나, 원형 발열체와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131)의 상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된 볼고정둘레(132)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부로 돌출 형성된 볼고정둘레(132) 중 도어(20)를 향한 전방측은 개구 형성되어 볼(50)이 슬라이드 이동시 하우징(131)의 상부로 인입될 수 있고, 볼고정둘레(132)는 하우징(131)의 전방이 아닌 후방 및 측방에만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31)의 상부에 안착된 볼(50)의 추가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볼수납부(12) 내 볼(50)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1)은, 상기 볼고정둘레(132) 중 개구된 부분 또는 볼(50)이 인입되는 방향에 볼고정홈(133)이 마련될 수 있다.
볼(50)이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히팅플레이트(13)의 하우징(131) 상부로 이동할 때, 하우징(131)에 위에 안착된 볼(50)이 자전하지 않고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우징(131)의 상부에는 움푹 패인 볼고정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이 하우징(131)의 상부에 위치할 때, 볼(50)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511)는 하우징(131)의 볼고정홈(133)에 삽입 장착되어, 볼수납부(12) 내 볼(50)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31)의 도면부호 134는 볼(50)의 가동날개와 회전 연동하는 회전부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34)가 삽입되는 관통구로서, 히팅플레이트(13)의 하우징(131) 중심에 마련될 수 있다.
구동장치(34)는 히팅플레이트(13)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볼수납부(12)에 안착된 볼(50), 구체적으로 볼(50)의 저면에 마련된 볼커플링(미도시)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장치(34)의 회전 구동력이 볼커플링을 매개로 볼(50) 내부에 자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가동날개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가동날개가 회전함으로써,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분쇄 및/또는 교반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31)에 마련된 발열체(13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피가열물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시즈히터(sheath heater) 등일 수 있으나, 그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발열체(130)는 하우징(131)에 마련되되,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발열체(13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3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발열체(130)가 관형으로 길게 형성된 파이프 형상인 경우, 발열체(130)는 하우징(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반 형태의 하우징(131) 중심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히팅플레이트(13)가 대략 단면이 원형이고 두께가 얇은 원반형인 경우, 관형의 발열체(130)는 하우징(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대략 고리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발열체(130)의 양단(130a, 130b)에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며, 발열체(130)의 양단(130a, 130b)에 전원선이 연결될 때, 그 양단(130a, 130b)이 직접 마주 접하여 합선이 되지 않도록 발열체(130)의 양단 사이는 서로 이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11 등 참조).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플레이트(13)는 발열체(130)가 과열되었을 때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센서(135), 바이메탈(136), 그리고 온도퓨즈(137)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35)는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의 주변에 마련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제어부는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된 측정온도를 이용하여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를 이용하여 볼(50) 또는 피처리물을 목표온도까지 가열하거나 히팅플레이트(13)의 동작 등을 제어할 때,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135)는,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의 주변에 마련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135)는, 히팅플레이트(13)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체(130) 중 콜드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체(130)의 콜드영역은 발열체(130)의 양단(130a, 130b) 사이의 이격공간, 즉 발열체(130)가 없는 개구된 부분의 영역이며, 이와 반대로 발열체(130)의 핫영역은 발열체(130)가 있는, 발열체(130) 상의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온도퓨즈(137)는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의 주변에 마련되어, 감지된 온도에 따라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퓨즈(137)는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온도퓨즈(137)는, 히팅플레이트(13)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발열체(130)의 콜드영역, 또는 온도센서(135)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온도퓨즈(137)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고온일 경우, 히팅플레이트(13)의 안전을 위해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때 온도퓨즈(137)의 전원차단온도는 하우징(131)의 외관 변형이 일어나는 한계온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의 지속적인 발열로 인해, 절연체인 하우징(131)이 과열로 외관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온도퓨즈(137)는 상기 전원차단온도에 도달하면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에 공급되는 전원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온도퓨즈(137)의 전원차단온도는 240℃일 수 있다.
또한, 바이메탈(136) 역시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의 주변에 마련되어, 감지된 온도에 따라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바이메탈(136)은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라인 상에 바이메탈(136)과 온도퓨즈(137)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메탈(136)과 온도퓨즈(137)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된 온도에 따라 회로를 개방하면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에 인가되는 전원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이메탈(136)은 발열체(130)의 핫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바이메탈(136)은 온도센서(135)나 온도퓨즈(137)와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바이메탈(136)이 발열체(130) 상에 위치함으로써, 발열체(130)의 작동시 온도센서(135)나 온도퓨즈(137)에 비하여 고열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온도센서(135)나 온도퓨즈(137)와 상응하는 온도가 바이메탈(136)에 가해질 수 있도록 바이메탈(136)은 발열체(130)와 이격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바이메탈(136)은 하우징(131)에 마련된 소정 높이(h)의 지지체(139) 상에 마련되어, 바이메탈(136)이 발열체(13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2 참조).
결국, 제어부는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능정지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고, 만약 제어부가 온도센서(135)의 고장 등의 이유로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의 온도가 기능정지온도에 도달하였음에도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지 못한 경우, 바이메탈(136)은 회로개방온도 도달시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에 인가되는 전원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바이메탈(136)의 회로개방온도는 상기 온도센서(135)의 기능정지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로개방온도는 185℃일 수 있고, 상기 기능정지온도는 16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퓨즈(137)의 전원차단온도는, 상기 회로개방온도 및 상기 기능정지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한편, 바이메탈(136)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된 온도에 따라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고, 이렇게 바이메탈(136)이 회로를 개방한 상태일 때, 다시 회로를 폐쇄한 상태로 복귀하여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메탈(136)은 히팅플레이트(13)의 저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나 작업자가 회로개방상태의 바이메탈(136)을 다시 회로폐쇄상태로 복귀조작하기에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이메탈(136)은 온도에 따라 회로의 개방은 물론 회로를 폐쇄할 수 있는 자동복귀타입일 수 있다.
즉, 바이메탈(136)은 감지된 온도가 상기 회로개방온도일 때에는 회로를 개방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감지된 온도가 상기 회로폐쇄온도일 때에는 회로를 폐쇄할 수 있다. 물론, 감지된 온도가 고온일 때 히팅플레이트(13)의 안전을 위해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의 미작동 등으로 바이메탈(136)이 감지된 온도가 내려가 저온일 때 다시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회로개방온도는 상기 회로폐쇄온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회로개방온도는 185℃일 수 있고, 상기 회로폐쇄온도는 170℃일 수 있다.
정리하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은 온도의 순으로, 온도퓨즈(137)의 전원차단온도, 바이메탈(136)의 회로개방온도, 바이메탈(136)의 회로폐쇄온도, 그리고 온도센서(135)의 기능정지온도일 수 있고, 각각은 구체적인 일 예로서, 240℃, 185℃, 170℃, 그리고 160℃일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히팅플레이트(13)를 작동시키는 단계(S10)와, 제어부가 히팅플레이트(13) 또는 그 주변에 마련된 온도센서(135)를 이용하여 히팅플레이트(13)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를 포함하여, 히팅플레이트(13) 상에 마련된 볼(50) 또는 피처리물을 가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히팅플레이트(13)는 물론, 냉각장치에 포함된 압축기(48), 방열팬(49), 순환팬(44), 방열팬(49) 등과 같은 음식물처리기(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제어지령을 생성하고 이를 인가(또는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어대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소정 동작모드의 기 마련된 스퀀스(sequence)에 따라 각 구성요소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제어지령을 생성하여 각 구성요소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가 피처리물을 처리하는 처리모드, 볼(bowl)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모드, 또는 볼 내부를 건조하는 건조모드 등과 같은 동작모드에 따라 작동할 때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동시 또는 이시에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음식물처리기(1)가 소정의 동작모드에 따라 동작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10 및 S20 단계에서 히팅플레이트(13)는 제어부에 의한 제어지령에 따라 작동하여 볼(5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피처리물을 가열하기 위해 히팅플레이트(13)를 작동시키면, 피처리물이 가열됨은 물론, 피처리물을 수용한 볼(50) 또는 볼(50)을 수용한 볼수납부(12)는 가열될 수 있다.
제어부가 듀티비제어방법이나 PID제어방법 등에 따라 히팅플레이트(13)를 이용하여 볼(50) 또는 피처리물을 목표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는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을 이용하여 히팅플레이트(13)의 작동함으로써 기 설정된 목표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고, 여기서 목표온도는 고정되거나 시간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또 동작모드 등에 따라 상기 목표온도는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온도센서(135)는 각종의 원인으로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온도센서(135)의 고장을 판단할 수 있다(S30).
본 발명은 제어부가 온도센서(135)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온도센서(135)의 고장을 판단할 수 있다(S30).
구체적이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온도센서(135)가 측정할 수 있는 기 설정된 정상(正常)범위를 벗어난 이상(異常)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온도센서(135)의 고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어부가 온도센서(135)의 고장을 판단한 경우, 히팅플레이트(13)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S31).
가열수단인 히팅플레이트(13)가 의도치 않게 피가열물을 지속 가열하면, 사용자가 볼(50) 따위의 피가열물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 있고, 또 음식물처리기(1) 제품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등 각종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는 온도센서(135)의 고장 판단시 히팅플레이트(13)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S31).
또한, 제어부가 히팅플레이트(13)의 고장을 판단하지 않더라도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상기 기능정지온도(일 예로 160℃일 수 있다)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가열수단인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피가열물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히팅플레이트(13)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S41).
이렇게 제어부는 온도센서(135)의 고장을 판단하거나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기능정지온도에 도달하면 히팅플레이트(13)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고, 이후 냉각장치를 작동(S32, S42)하여, 피가열물의 온도를 낮추어 사고 발생 위험을 낮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가열물인 볼(50)이 가열된 상태에서 볼(50)이 본체(10)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사용자의 화상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어부는 냉각장치를 작동하여 피가열물인 볼(5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볼(50) 내부의 공기를 응축시켜 제습 및 냉각하는 장치로서,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48)과 열교환기인 증발기(45) 및 응축기(47)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의 동작으로 볼(50) 내부의 공기는 냉각되고 다시 볼(50)로 재공급됨으로써, 피가열물인 볼(50)은 냉각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어부는 상기 볼(5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안전온도(일 예로 60℃일 수 있다) 이하가 되기 전까지 도어(20)가 개방되지 않도록, 도어(20)와 걸림쇠에 의해 구속된 도어열림모듈(70)의 개폐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가 히팅플레이트(13)의 작동을 정지시킬 때, 그 제어근거로서 온도센서(135)의 고장을 판단하여 히팅플레이트(13)의 작동을 정지시킨 경우에는 소정 시간 동안 냉각장치의 작동(S32)으로 피가열물의 온도를 낮춘 다음 히팅플레이트(13)를 재작동하지 않으나, 이와 다르게 온도센서(135)의 고장을 판단하지 않고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기능정지온도에 도달하여 피가열물의 과열을 판단한 경우에는 냉각장치의 작동(S41)으로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기능재작동온도 이하로 낮아졌을 때 냉각장치의 작동을 정지(S44)하고, 히팅플레이트(13)를 재작동하여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 있다(S45).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 고장시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온도센서(135)의 고장판단시 히팅플레이트(13)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지만(S31), 제어부가 히팅플레이트(13)의 작동 정지를 실패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 히팅플레이트(13)의 지속적인 피가열물의 가열로 인한 각종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히팅플레이트(13)의 온도과승시 바이메탈(136)은 히팅플레이트(13)에 공급되는 전원을 1차 차단(S33)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메탈(136)은 히팅플레이트(1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 상에 마련되어,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회로를 개방함으로써 히팅플레이트(1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135)가 고장나지 않은 경우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기능정지온도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히팅플레이트(13)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기능정지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의도치 않게 바이메탈(136)이 회로를 개방함으로써 히팅플레이트(13)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이메탈(136)의 회로개방온도는 온도센서(135)의 기능정지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다만,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기능정지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각종의 이유로 바이메탈(136)이 회로를 개방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히팅플레이트(13)에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으로 인해, 그리고/또는 냉각장치의 작동으로 인해, 바이메탈(136)이 회로폐쇄온도 이하의 낮은 온도를 감지하였을 때에는 회로를 폐쇄하여 히팅플레이트(13)에 전원이 다시 공급될 수 있도록 바이메탈(136)은 자동복귀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이메탈(136)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히팅플레이트(13)의 온도가 과승되었음에도 히팅플레이트(1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지 못한 경우, 히팅플레이트(13)의 지속적인 피가열물의 가열로 인한 각종 사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히팅플레이트(13)의 온도과승시 온도퓨즈(137)는 히팅플레이트(13)에 공급되는 전원을 2차 차단(S34)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퓨즈(137) 역시 바이메탈(136)과 마찬가지로 히팅플레이트(1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 상에 마련되어,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회로를 개방하여 히팅플레이트(1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라인 상에 바이메탈(136)과 온도퓨즈(137)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온도퓨즈(137)가 상기 바이메탈(136)의 회로개방온도보다 높은 전원차단온도를 감지한 경우, 히팅플레이트(1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히팅플레이트(13)가 과하게 가열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5는 도 14의 냉각장치 작동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단계별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135)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히팅플레이트(13)의 작동을 정지(S31)하고 냉각장치를 작동할 수 있다(S32).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지령에 따라 작동과 작동정지를 할 수 있으며, 만약 온도센서(135)가 정상상태인 경우 제어부는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된 측정온도에 따라 냉각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지만, 그렇지 않고 온도센서(135)가 고장상태인 경우 제어부는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된 측정온도를 신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의 동작모드 등에서 기 설정된 제어방법에 따라 동작 중인 냉각장치는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된 측정온도가 제1 온도조건에서 작동할 수 있고(S322), 또 제2 온도조건에서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S325).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온도센서(135)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냉각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히팅플레이트(13)의 작동 정지 후 냉각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피가열물인 볼(50)을 냉각시키기 위해 고장 상태인 온도센서(135)에서 측정되는 측정온도를 제1 온도조건으로 강제 설정함으로써 냉각장치를 작동케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제1 온도조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70℃일 수 있다.
이때, 피가열물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장치를 소정시간 동안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부는 냉각장치 동작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S323)할 수 있고, 소정 시간(일 예로 30분일 수 있다) 경과 후 제어부는 온도센서(135)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온도를 냉각장치의 작동을 정지하기 위한 제2 온도조건으로 강제 설정(S324)하여, 냉각장치의 작동을 정지케 할 수 있다(S325). 이때 본 발명은 제2 온도조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6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는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해 가열수단을 작동할 수 있으나, 이때 가열수단이 온도센서 등의 고장으로 인해 과열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음식물처리기의 안전한 사용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음식물처리기 10: 본체
11: 통기공 12: 볼수납부
13: 히팅플레이트 131: 하우징
132: 볼고정둘레 133: 볼고정홈
134: 관통구 135: 온도센서
136: 바이메탈 137: 온도퓨즈
139: 지지체 14: 볼수용하우징
141: 연통구 20: 도어
34: 구동장치 44: 순환팬
45: 증발기 451: 증발기함
46: 유량조절밸브 47: 응축기
48: 압축기 49: 방열팬
50: 볼 60: 도어열림버튼
70: 도어열림모듈 80: 응축수탱크
81: 팽창탱크 85: 배출모터
90: 탈취필터 91: 배기관

Claims (13)

  1.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와, 상기 볼수납부 내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와, 상기 볼수납부 내 상기 볼 내부의 공기를 응축시켜 제습하기 위한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히팅플레이트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팅플레이트 또는 그 주변에 마련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고장이나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기능정지온도에 도달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온도센서의 고장으로 인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온도과승시 바이메탈은,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1차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바이메탈의 고장으로 인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온도과승시 온도퓨즈는,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2차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기능정지온도에 도달하여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작동을 정지한 다음, 상기 냉각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 고장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상기 냉각장치의 작동을 위한 제1 온도조건으로 강제 설정하는 단계; 및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상기 냉각장치의 작동 정지를 위한 제2 온도조건으로 강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플레이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 마련되되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싸는 관형의 발열체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퓨즈는,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발열체의 양단 사이에 이격 형성된 콜드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바이메탈은, 상기 발열체 상의 핫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유리섬유가 함유된 절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은, 온도에 따라 회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자동복귀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의 회로개방온도는, 상기 온도센서의 기능정지온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의 회로폐쇄온도는, 상기 온도센서의 기능정지온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 상에 위치한 상기 바이메탈은, 상기 발열체와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소정 높이의 지지체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퓨즈의 전원차단온도는, 상기 하우징의 외관 변형이 일어나는 한계온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퓨즈의 전원차단온도는, 상기 바이메탈의 회로개방온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12.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
    상기 볼수납부 내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
    상기 볼수납부 내 상기 볼 내부의 공기를 응축시켜 제습하기 위한 냉각장치;
    상기 히팅플레이트 또는 그 주변에 마련된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온도센서의 고장이나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기능정지온도에 도달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작동을 정지하는 제어부;
    상기 온도센서의 고장으로 인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온도과승시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바이메탈; 및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바이메탈의 고장으로 인한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온도과승시 상기 히팅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온도퓨즈;
    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
  13.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 내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마련되되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싸는 관형의 발열체;
    상기 발열체의 주변에 마련된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의 고장으로 인한 상기 발열체의 온도과승시 상기 발열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바이메탈; 및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바이메탈의 고장으로 인한 상기 발열체의 온도과승시 상기 발열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온도퓨즈;
    를 포함하는 히팅플레이트.
KR1020220127938A 2022-05-31 2022-10-06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68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168 2022-05-31
KR20220067168 2022-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833A true KR20230166833A (ko) 2023-12-07

Family

ID=8916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938A KR20230166833A (ko) 2022-05-31 2022-10-06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83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4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060080974A1 (en) Drying apparatus, washing/dry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s of the apparatuses
US20080155758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07058009A1 (ja) 洗濯乾燥機
JP2010528734A (ja) 洗濯機と乾燥器
US7866059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dryer
TWI322840B (en) Washer dryer
JP4731620B2 (ja) 乾燥機
KR20230166833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6843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6838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7286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6829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6837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6857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7287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28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6841A (ko) 음식물처리기
JP4337550B2 (ja) 除湿装置
KR20230165619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20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18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7282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609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7283A (ko) 음식물처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