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857A - 음식물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857A
KR20230166857A KR1020220178950A KR20220178950A KR20230166857A KR 20230166857 A KR20230166857 A KR 20230166857A KR 1020220178950 A KR1020220178950 A KR 1020220178950A KR 20220178950 A KR20220178950 A KR 20220178950A KR 20230166857 A KR20230166857 A KR 20230166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door
main body
link member
low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광열
우영민
유용희
임동욱
정자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66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85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2Adaptations of bearings or couplings for supporting and connecting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28B1/06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using air or other gas as the cool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 F28B9/08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collecting and removing condens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의 볼수납부에 마련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도어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승하여 상기 볼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볼커플링에 결합되거나, 하강하여 상기 볼커플링으로부터 분리되는 본체커플링, 및 상기 도어 및 상기 본체커플링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본체커플링의 승강이동을 가이드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처리기 {FOOD WAST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식물쓰레기는 분리수거를 위해 음식물쓰레기 저장통에 일정기간 소정의 양만큼 모아두었다가 배출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가정이나 식당 등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등장하였지만, 대부분 부피가 크고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아 실생활에까지는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607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4110호 등에서는 음식물처리기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전제품의 형태로 개발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식물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bowl)과,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는 날개와, 볼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가열장치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도어의 개폐 방향에 따라 설치 위치상의 제한이 있거나, 볼을 본체에 탈장착할 때 등과 같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필요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1-0056076 A1 KR 10-2016-0044110 A1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의 설치 위치상의 제한이나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도어 개방식 볼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의 볼수납부에 마련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도어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승하여 상기 볼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볼커플링에 결합되거나, 하강하여 상기 볼커플링으로부터 분리되는 본체커플링, 및 상기 도어 및 상기 본체커플링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본체커플링의 승강이동을 가이드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어와 상기 링크부재가 결합된 결합축은, 상기 도어힌지축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링크부재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음식물처리기는, 상기 본체커플링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커플링을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상기 본체커플링이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제1 상하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링크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상하가이드홈에 삽입된 상기 본체커플링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커플링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하가이드홈에 삽입된 상기 본체커플링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할 때,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상하가이드홈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가압면에 의해 상방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베이스판에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판과 높이를 달리하도록 형성된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에 상기 본체커플링이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제2 상하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하가이드홈은 상기 제1 상하가이드홈보다 낮은 높이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링크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상하가이드홈에 삽입된 상기 본체커플링은, 상기 제2 상하가이드홈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가압면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하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상하가이드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상하가이드홈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가압판 사이에 경사지도록 마련된 가압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수납부의 저면에 마련되어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히팅플레이트는 상기 링크부재 위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된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른 상기 링크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히팅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판 또는 상기 지지면 위에 안착되어 승강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면은 상기 베이스판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히팅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판 위에 안착되어 하강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히팅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면 위에 안착되어 상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지지면 사이에 경사지도록 마련된 지지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히팅플레이트는,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를 음식물처리기의 본체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음식물처리기의 설치 위치 상의 제한을 해소토록 하거나, 도어 개방시 볼(bowl)에 마련된 볼커플링의 회전을 위해 결합되는 본체커플링이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도어 폐쇄시 본체커플링이 볼커플링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커플링의 승강 이동과 더불어 히팅플레이트가 승강 이동함으로써, 즉 도어 개방시 히팅플레이트가 하강하여 피가열물인 볼을 가열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한 제품 사용을 도모할 수 있고, 반대로 도어 폐쇄시 히팅플레이트가 볼을 향하여 상승함으로써 피가열물인 볼을 가열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본체 내부에 볼이 수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생략된 음식물처리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기계실 내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순환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본체커플링 및 히팅플레이트가 승하강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볼이 볼수납부에 인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를 상부에서 바라본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를 하부에서 바라본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와 본체커플링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폐쇄시 히팅플레이트, 링크부재, 그리고 본체커플링의 정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시 히팅플레이트, 링크부재, 그리고 본체커플링의 정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플레이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내부에 볼(bowl)(50)이 수납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 본체(10)의 일 측면에 본체(10) 내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본체 내부에 볼이 수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는 상부가 전방으로 젖혀짐으로써 볼수납부(12)가 개방될 수 있으며, 이때, 개방된 볼수납부(12)의 내측을 향하여 볼(50)이 인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볼(50)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자는 볼(50) 내부에 피처리물을 담은 다음, 볼(50)을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 장착시키면, 본체(10) 내 마련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건조되고, 또 본체(10) 내 마련된 구동장치(34)에 의해 커플링된 볼(50) 내부의 가동날개는 회동함으로써, 볼(50) 내부의 고정날개와의 상호작용으로 피건조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시킬 수 있다.
이렇게, 볼(50)이 볼수납부(12)에 인입되어 장착될 때, 볼(50)의 볼통기구(54)와 본체(10) 내 마련되는 냉각장치 또는 제습장치 간 유로를 밀폐하기 위해 씰링부재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이 그 전방을 향하여 볼통기구(54)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볼통기구(54)의 방향이 상기 씰링부재 또는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향한 방향과 일치한 상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음식물처리기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체(10)는 음식물처리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와,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에 개폐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체(10)의 도어(20)가 마련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20)의 개방시 볼수납부(1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고 볼(50)을 볼수납부(12)에 장착한 다음, 도어(20)를 폐쇄함으로써 음식물처리기(1)에 의해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케할 수 있다.
볼수납부(12)는 도어(20) 폐쇄시 외부와 격리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할 때 볼(50) 내부의 피처리물로부터 유발되는 악취 등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10)와 도어(20)가 마주 접하는 부분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도어(20) 폐쇄시 볼수납부(12)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수납부(12)의 저면에는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될 수 있다.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전기를 이용하여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전기히터 따위의 발열체를 이용하여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고, 유도가열을 이용한 인덕션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해진 열에 의해,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가열되어 건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볼(50)의 내부는 젖은 피처리물로부터 고온의 습증기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습증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등은 본체(10) 내 기계실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생략된 음식물처리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기계실 내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기계실에는 볼(50) 내부의 습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증발기(45)와, 유량조절밸브(46)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기계실은 고장 발생 등에 사용자가 아닌 작업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볼수납부(12)와 구획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의 외피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수리 등을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는 볼수납부(12)를 형성하는 볼수용하우징(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볼(50)이 볼수납부(12)에 장착시 볼수용하우징(14)은 도어(20)와 함께 볼(50)을 감쌀 수 있다.
볼수용하우징(14)은 측면이 원통형의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측면과 상응하는 둥글게 굽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볼수용하우징(14)에 의해, 그 내부에 형성되는 볼수납부(12)는 그 외부의 본체(10) 내 기계실과 구획될 수 있으나, 다만, 볼수용하우징(14)의 내부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볼(50)의 내부와 기계실 내 일 장치 간에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볼수용하우징(14)은 일측에 관통형성된 연통구(141)를 가질 수 있다.
볼수용하우징(14)에 관통형성된 연통구(141)는 볼수용하우징(14) 내 장착된 볼(50)의 볼통기구(54)와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통구(141)는 전방측, 즉 도어(20)측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도 3 참조), 볼(50)의 내외부를 서로 연통하는 볼(50)의 볼통기구(54)는 볼(50)이 볼수납부(12)에 장착시 상기 연통구(141)와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이 장착되면, 볼(50)의 볼통기구(54)는 기계실 내 일 장치(일 예로, 증발기)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서로 연통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수용하우징(14)의 일측, 즉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의 후방 외측에는, 내부에 증발기(45)가 수용된 증발기함(451)이 마련될 수 있고, 이때, 증발기함(451)의 일측(일 예로 전방측)에 형성된 개구부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와 마주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 장착시, 볼(50)의 내부는 볼(50)의 볼통기구(54)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내부에 마련된 증발기(45)와 연통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와 응축기(47)는 증발기함(451)에 의해 분리되어 구획된 서로 다른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451)은, 내부에 응축기(47)를 제외한 증발기(45)만을 수용하는 함체일 수 있고, 응축기(47)는 증발기함(451) 외부의 기계실 내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함(45)은 내부 수용공간에 증발기(45)를 수용하되, 다만 냉매가 증발기함(45) 외부에 마련된 기계실의 압축기(48) 및 응축기(47)와 순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냉매는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유량조절밸브(46)와, 증발기(45)를 순차로 순환하는 순환냉매유로(Fr)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도 6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에 의해 볼(50)의 내부에서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를 통과함으로써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이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48)는 냉매순환유로(Fr) 상 증발기(45)와 응축기(47)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가 냉매순환유로(Fr)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압축기(48)는 증발기(45)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47)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기(47)는 압축기(48)에서 이송되어 온 냉매와 외기 간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응축기(47)를 통과하는 냉매는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후측방에는 응축기(47)로부터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다수 타공 형성된 통기공(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 도 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 내부에 있는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기 위해 응축기(47)의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팬(49)이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증발기(45)를 통과한 볼(50) 내부의 증기가 응축기(47)로 유도되지 않도록 증발기함(45)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볼수용하우징(14)의 후방측에 마련된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는 순환팬(44)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과, 증발기함(451)과, 순환팬(44)은 직렬로 배치될 수 있고,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 내부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를 통과한 다음, 다시 볼(50) 내부로 순환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팬(44)은 순환기류를 형성하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순환팬(44)은 원심팬일 수 있다. 도면부호 441은 순환팬의 팬모터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442는 팬모터가 장착되되 내부에 임펠러가 수용된 팬하우징을 가리킨다.
이러한 순환팬(44)은 회전축이 전방측, 즉 증발기(45) 또는 볼(5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에 마련된 증발기함(451)의 흡기구를 통해, 증발기(45)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흡기될 수 있다.
이렇게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임펠러의 회전으로,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배기덕트(미도시)로 배기될 수 있다.
즉,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 내부에 습기를 함유한 고온고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의 볼통기구(54) 및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를 통해, 증발기함(451) 내부의 증발기(45)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고온고습의 증기는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되고, 이는 다시 순환팬(44)을 지나 배기덕트 및 증발기함(451)을 거쳐 다시 볼(50)의 볼통기구(54)를 통해 볼(50)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공기유로(Fa)를 형성할 수 있다(도 5 및 6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5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볼통기구(54)는 볼(50)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하는 경로와 볼(5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가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관통구일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증발기함(451)은 전방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출입구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유출입구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볼통기구(54)와 마주하여 상호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는 볼(50)의 내부공기가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마련하고, 증발기함(451)의 배출구는 유입구와 반대로 증발기함(451)의 내부공기가 볼(50)의 내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마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에 볼(50)의 장착시, 증발기함(451)의 유입구 및 배출구는 볼(50)의 볼통기구(54)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볼수납부(12)에 볼(50)의 장착시, 볼(50)의 볼통기구(54)는 내주면 또는 외주면이 증발기함(451)의 유입구 및 배출구에 직접 끼워지거나, 제1 패킹부재(112)를 매개로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증발기함(451)의 유입구 및/또는 배출구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볼통기구(54)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 일 예로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볼(50)과 증발기함(451) 사이에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통기구의 주변에는 고무나 실리콘재 따위의 패킹부재로서 제1 패킹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미도시)와 배출구(미도시)는, 볼(50)의 볼통기구(54)와 마찬가지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일 실시예에 따라, 유입구와 배출구 각각은, 별개로 나누어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는 배출구 보다 그 구멍 면적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볼(50)에서 증발기함(451)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볼(50)의 내부에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되어 열팽창된 공기이지만, 증발기함(451)에서 볼(50)로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된 공기이기 때문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함(451)은 후방에 관통 형성된 흡기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에 순환팬(44)을 수용한 팬하우징(442)은, 일측(일 예로 전방측)에 개구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되, 팬하우징(442)의 개구부는 증발기함(451)의 흡기구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증발기함(451)의 흡기구가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 마련된 순환팬(44)의 회전축과 마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팬하우징(442) 내 순환팬(44)의 구동으로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흡기구를 통해 순환팬(44)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5)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으로부터 흡입되고, 이렇게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배기덕트로 배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순환팬(44)을 수용한 팬하우징(442)은, 임펠러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판이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임펠러의 회전구동으로 회전축의 전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원심력이 부여되고, 원심력을 가진 공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 유동할 때 가이드판은 그 공기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판의 일측, 일 예로 상측의 일부는 개구 형성되어, 가이드판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유동하는 공기는 원심력에 의해 가이드판의 개구부를 통해 원심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가이드판의 개구부에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된 배기덕트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팬하우징(442)의 내측에 격벽 형태로 가이드판과, 일측 개구부에서 연장 형성된 배기덕트가 마련될 수 있다.
결국, 배기덕트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그 전방에 마련된, 즉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다시말해,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는 순환팬(44)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 이외에 순환팬(44)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흡기구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통과한 공기가 순환팬(44)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지만, 배기구는 순환팬(4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볼(50)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발기함(451)은 후방측의 배기구로부터 유입된 저온저습의 증기가 볼(50)의 내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증발기함(451)은 후방측의 배기구와 전방측의 배출구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배관(456)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즉, 연결배관(456)은 증발기함(451)의 전후방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증발기함(451)의 배기구와 배출구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볼(50)의 내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배관(456)은 증발기함(451)의 배기구와 배출구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이면 그 형태 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는, 증발기함(45) 내부의 증발기(45)를 지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며, 이때 냉각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는, 증발기함(45)의 내부에 저류할 수 있다.
이때, 증발기함(45)은 내부에 저류하고 있는 응축수가 자연적으로 또는 강제로 증발기함(45) 외부의 기계실이나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응축수배출구(4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증발기(45)는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볼(50) 내부로부터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와 순환냉매유로(Fr)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 간에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증발기(45)를 통과하는 증기는 냉각되고, 증발기(45)를 통과할 때 증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45)는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면을 넓히기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앤튜브(pin&tube) 타입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렇게 제거된 수분에는 피처리물로부터 유래된 악취가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순환팬(44)을 소정의 구동속도로 지속 구동하여,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된 볼(50)의 내부공기, 즉 고온고습의 습증기를 증발기(45)에 반복 공급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45)가 고온고습의 습증기를 반복 응축함으로써, 증발기함(451) 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에 악취를 농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음식물처리기(1)의 각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출력되는 각종 신호나 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시키거나,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상기 피처리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등 다양한 구현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1)의 각종 동작을 수행 또는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볼(50)의 내부에 대하여 건조행정을 완료한 이후라고 하더라도, 순환팬(44)의 구동을 계속하여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볼(50)의 내부로 공급하여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볼(50)의 내부가 건조되었다고 하더라도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의 내부는 여전히 고온의 분위기를 가질 수 있고, 이는 볼(50)을 본체(10)로부터 인출하는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볼(50)의 내부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이후라고 하더라도, 순환팬(44)의 구동은 물론, 바람직하게는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계속하여, 볼(50)의 내부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사용자가 볼(50) 내부에 처리가 완료된 잔여 피처리물을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는 볼(50) 내부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이후, 오히려 순환팬(44)의 구동속도를 건조행정에서의 구동속도 보다 더 높일 수 있고, 또 압축기(48)의 구동속도 역시 건조행정에서의 구동속도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5)를 내부에 수용한 증발기함(451)의 내부에는, 순환팬(44)에 의해 인입된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저류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를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451)의 저면에는 응축수배출구(미도시)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응축수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자연배수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저면에는 응축수배출구(452)가 마련되되, 증발기함(451)의 저면은 상기 응축수배출구(452)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바닥으로 낙하한 경우, 이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따라 응축수배출구(452)로 유도됨으로써,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의 내부 고온고습의 증기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거쳐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저온저습의 증기는 팬하우징(442)의 배기덕트와, 증발기함(451) 내 연결배관을 통해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동하는 순환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순환기류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볼(50) 내부의 수분과 악취는 증발기함(451) 내 응축수 형태로 변환될 수 있고, 증발기(45)에 의해 수분과 악취가 제거된 공기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 즉 악취가 용해되어 있는 응축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배출구(452)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수되되, 이때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는 응축수탱크(80)의 내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증발기함(451) 내 응축수는 자연적으로 응축수탱크(80)로 유입되어 응축수탱크(80) 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응축수탱크(80) 또는 응축수탱크유입구는, 증발기함(451) 또는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의 하부, 즉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증발기함(451) 내 발생된 응축수가 응축수탱크(80)로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응축수탱크(80)의 상부에는, 응축수탱크(80) 내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로서 제1 통기공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1 통기공은 응축수탱크(80)의 상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응축수탱크(80)의 탱크커버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통기공은 응축수탱크(80) 내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일 예로, 본체(10) 내 기계실 또는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수탱크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는 응축수탱크(80)의 내부에 저장되지만, 이와 함께 응축수탱크유입구는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응축수탱크유입구는 제1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순환기류(볼(50) - 증발기함(451) - 순환팬(44)) 내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즉, 증발기함(451)의 내부는 응축수탱크(80)의 내부와 연결되고, 응축수탱크(80)에 관통 형성된 제1 통기공을 매개로, 외부 공기가 응축수탱크(80)나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이와 반대로 순환기류 내 공기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폐쇄된 순환기류 내 압력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그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피처리물로부터 발생된 악취는 응축수에 농축되어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기류 내 일부 공기에서는 악취 유발 물질이 적다.
다만, 적은 양이더라도 악취 유발 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통기공에는 탈취필터(9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필터(90)는 공기 내 악취를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활성탄 소재의 흡착제를 포함한 필터일 수 있고, 또 충진형(분말형 또는 가루형 등)이나 블럭형 등일 수 있으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터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
다만, 블럭형 필터는 분말형태의 필터가 열과 압력 등에 의해 압축되어 형성된 것으로, 분말사이로 공기가 빠져나가 필터기능이 저하되는 충진형 필터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필터(90)는, 블럭형 필터일 수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탈취필터(9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은 작기 때문에 여과 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블럭형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탈취필터(90)는 탈취능력이 저하되거나 사용기한을 도과한 경우 등에는 교체 가능하도록 탈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본체(10) 내 사용자나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 일 예로 본체(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나 작업자는 본체(10)의 외피 중 탈취필터(90)와 상응하는 부분을 탈거하여, 기존 탈취필터(90)를 탈착하고 새로운 탈취필터(9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과 전방의 탈취필터(90)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기관(91)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배기관(91)의 일단은 제1 통기공에 연결되고, 배기관(91)의 타단은 탈취필터(90)에 연결될 수 있다.
결국, 볼(50), 증발기함(451), 그리고 순환팬(44) 간에 순환하는 순환기류 내 공기 일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함(451)으로부터 응축수탱크(80)로, 그리고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을 거쳐 배기관(91)을 따라 외부로 배기되되, 이때 배기관(91)의 말단에 위치한 탈취필터(90)를 거쳐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배기되는 공기 내 악취 유발 물질이 흡착 제거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폐쇄된 순환유로에서 발생하는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50)의 내부 공기는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순환기류 내 양압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순환기류 내 일부 공기는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에 연결된 배기관(91)과 탈취필터(90)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순환유로 내 양압은 제거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는 탈취필터(90)를 통해 배기관(91)을 따라 제1 통기공을 거쳐 응축수탱크(80) 또는 증발기함(451)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폐쇄된 순환유로 내 음압발생시 그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즉, 증발기(45)에 의해 순환유로 내 공기가 냉각 응축되어 폐쇄된 순환유로 내 음압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고, 또 배출모터(85)의 구동으로 응축수탱크(80)의 내부 역시 음압의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외기는 탈취필터(90)를 통해 도입될 수 있다. 탈취필터(90)로 도입된 외기는 이에 연결된 배기관(91) 및 제1 통기공을 통해 증발기함(451) 또는 응축수탱크(80)로 유입됨으로써, 순환유로 내 음압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탱크(80)와 탈취필터(90) 사이에 마련되어, 응축수탱크(80)에서 배출되는 공기 내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팽창탱크(8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팽창탱크(81)는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연통공을 포함할 수 있고, 또 팽창탱크(81)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 통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팽창탱크(81)의 연통공은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팽창탱크(81)의 제2 통기공은 배기관(91)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응축수탱크(80) 내 공기는 제1 통기공, 연통공, 그리고 제2 통기공을 순차로 통과하고 배기관(91)과 탈취필터(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팽창탱크(81)는 응축수탱크(80)의 상부, 구체적으로 팽창탱크(81)의 연통공이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되,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응축수탱크(80)로부터 습기를 포함하지 않은 공기가 팽창탱크(81)로 자연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팽창탱크(81)의 제2 통기공은, 연통공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81)의 제2 통기공을 통해 습기를 함유하지 않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통기공은 팽창탱크(8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통공은 팽창탱크(8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팽창탱크(81)를 중심으로 하부의 연통공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습기가 제거되어, 그 상부의 제2 통기공으로 배기될 수 있으며, 이때 팽창탱크(81)가 연통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팽창탱크(81)의 내부에는 탈습을 위한 부재가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하우징(80)의 내부에는 탈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격벽(미도시)을 마련함으로써, 팽창탱크(8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내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벽은 팽창탱크(81) 내 연통공에서 제2 통기공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마련되되, 그 유로 중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81)의 하측에 마련된 연통공과, 상측에 마련된 제2 통기공의 위치는, 팽창탱크(81)의 종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이때, 연통공과 제2 통기공 사이에, 팽창탱크(81)의 내상벽에는 하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격벽에 의해, 연통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 통기공을 통해 배출될 때, 그 유로 중 일부는 차단될 수 있고, 이때 그 과정에서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격벽에 충돌함으로써, 공기 내 수분은 분리되어 탈습된 다음, 제2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국, 팽창탱크(81)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할 때, 공기 내 수분은 제거되어 탈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팽창탱크(81)를 통해 탈취필터(90)로 인가되는 공기가 제습되어 건조된 상태이기 때문에 탈취필터(9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의 전방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어(20)가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만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의 개방을 위한 사용자입력을 받기 위해 도어열림버튼(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식물처리기(1)의 도어(20)를 개방시키기 위해, 사전적으로 도어열림버튼(60)을 터치하거나 눌러 조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가 구속상태에서 해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도어열림버튼(60)에 대한 사용자 조작 없이 도어(20)가 물리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어(20)가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어, 도어열림버튼(60)은 본체(10)의 상부 외면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방측, 도어(20)와 근접하도록 위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상부 내측에는 회로기판이 마련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어열림버튼(60)을 통하여 전자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받거나, 그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결국, 도어열림버튼(60)에 대한 사용자 조작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는 도어열림모듈의 구동장치를 작동시켜, 도어열림모듈의 걸쇠가 도어(20)와의 체결을 해제토록 함으로써, 도어(20)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 즉 구속 해제 상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커플링(31) 및/또는 히팅플레이트(13)는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본체커플링 및 히팅플레이트가 승하강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의 도어(20)는, 본체(10)의 개구된 볼수납부(12)의 전방에 가로로 마련된 도어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이때 도어(20)에는 링크부재(100)가 가로로 마련된 결합축(2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가 도어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볼수납부(21)를 개폐할 때, 도어(20)와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링크부재(100)는 상기 개폐 동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10)에 힌지 결합된 도어(20)의 도어힌지축(21)의 위치는, 링크부재(100)가 힌지 결합된 도어(20)의 결합축(22)의 위치 보다 높을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축(22)은 상기 도어힌지축(21)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 개방시 도어힌지축(21)을 중심으로 도어(20)가 회동할 때, 도어힌지축(21) 보다 하부에 위치한 결합축(22)은 이에 결합된 링크부재(100)와 함께 후방으로 인입될 수 있고(도 8 참조), 이와 반대로 도어(20) 폐쇄시 도어힌지축(21)을 중심으로 본체(10)가 회동할 때, 도어힌지축(21) 보다 하부에 위치한 결합축(22)은 이에 결합된 링크부재(100)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도 7 참조).
여기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20)의 개폐 동작에 따라 링크부재(100)가 이동할 때,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링크부재(100)와 결합되어 링크부재(10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 따위가 본체(10) 내, 또는 볼수용하우징(14) 내에 전후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단부가 도어(20)의 결합축(2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를 상부에서 바라본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100)는 두께가 얇은 대략 판 형상의 베이스판(110)과, 베이스판(110)에 대략 가운데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의 제1 상하가이드홈(110)을 포함할 수 있다.
장공의 제1 상하가이드홈(110)은 베이스판(110)에 관통 형성되어, 본체커플링(31)이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판(110)의 일측단부는 도어(20)의 결합축(22)과 힌지 결합할 수 있으며, 링크부재(10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제1 상하가이드홈(111)에 본체커플링(31)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상하가이드홈(111)을 따라 베이스판(11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커플링(31)은 하부에 마련된 탄성부재(33)에 지지되되, 탄성부재(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체커플링(31)은 상부로 가압될 수 있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1) 사이에는 간극 없이 서로 밀착함으로써, 회전하는 본체커플링(31)이 볼커플링(51)에 대하여 미끌어지지 않고 그 회전력을 오롯이 전달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와 본체커플링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링크부재(100)의 제1 상하가이드홈(111)에 끼워지는 본체커플링(31)은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33)에 의해 본체커플링(31)이 상방으로 탄성 가압될 때, 플랜지부(32)는 제1 상하가이드홈(111), 제2 상하가이드홈(151), 또는 경사가이드홈(163)의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가압면에 의해 상방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면은 본체커플링(31)의 플랜지부(32)와 간섭이 발생하는 베이스판(110), 가압판(150), 또는 가압경사면(161, 162)의 일부분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베이스판(110) 중 제1 상하가이드홈(111)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1 가압면, 가압판(150) 중 제2 상하가이드홈(151)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2 가압면, 그리고 가압경사면(161, 162) 중 경사가이드홈(163)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을 경사가압면이라 칭하기로 한다.
즉, 제1 상하가이드홈(111)에 끼워진 본체커플링(31)이 탄성부재(33)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가압될 때, 본체커플링(31)은 볼커플링(5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본체커플링(31)의 플랜지부(32)는 제1 상하가이드홈(1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 가압면에 의해 걸림으로써, 본체커플링(31)이 링크부재(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33)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가압되는 본체커플링(31)이 제2 상하가이드홈(151)에 끼워졌을 때, 본체커플링(31)의 플랜지부(32)는 제2 상하가이드홈(15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 가압면에 의해 걸림으로써, 본체커플링(31)이 볼커플링(51)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볼수납부(12)의 저면에 마련된 본체커플링(31)은 볼커플링(51)과 결합하기 위해 상승할 수 있으나, 이와 반대로 볼커플링(51)의 회전을 방지하거나 또는 볼수납부(12)로부터 진입 및 이탈하는 볼(50)에 대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커플링(31)은 하강하여 볼커플링(51)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저면에 볼커플링(51)이 마련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볼수납부(12)에 마련된 볼(50)의 볼커플링(51)을 회전시키기 위해, 볼커플링(51)과 결합되는 본체커플링(31)은 볼수납부(12)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볼커플링(51)은, 본체(10)의 볼수납부(12) 저면에 마련된 본체커플링(31)과 결합 가능하며, 본체(10)의 구동장치(34)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의 구동에 따라 이에 결합된 본체커플링(31)을 매개로 볼커플링(51)은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1) 사이의 결합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1)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면에 산과 골이 마련될 수 있고(도 12 참조), 이에 따라 본체커플링(31)의 상부면에 마련된 산과 골은, 볼커플링(51)의 하부면에 마련된 골과 산에 서로 이물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는 본체커플링(31)은 회전 구동력을 볼커플링(51)에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상승한 본체커플링(31)의 상부면에 형성된 산과 골이 볼커플링(51)의 하부면에 형성된 산과 골에 마주하여 서로 이물림 결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기 전에 미리, 볼커플링(51)과 본체커플링(31)이 서로 정합할 수 있도록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본체커플링(31)을 소정 각도씩 소정 횟수만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결국, 본체(10) 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은 회전 구동력을 본체커플링(31) 및 볼커플링(51), 그리고 볼커플링(51)에 직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가동날개에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돌아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100)가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그 이동에 따라 제1 상하가이드홈(111)에 삽입된 본체커플링(31)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링크부재(100)는 제1 상하가이드홈(111)보다 낮은 높이에 상기 본체커플링(31)이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제2 상하가이드홈(15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부재(100)는 베이스판(110)의 하부에 가압판(150)이 마련될 수 있고, 가압판(150)에는 본체커플링(31)이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제2 상하가이드홈(15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2 상하가이드홈(151)은 장공의 제1 상하가이드홈(111)과 같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제2 상하가이드홈(151)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상하가이드홈(111)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커플링(31)이 제1 상하가이드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링크부재(1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본체커플링(31)은 제1 상하가이드홈(111) 뿐만 아니라 제2 상하가이드홈(151)에도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110)과 가압판(150) 사이에는 가압경사면(161, 162)이 마련될 수 있다. 가압경사면(161, 162)은 베이스판(110) 및/또는 가압판(150)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10)과 가압판(150)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판(110)에 마련된 가압경사면(161, 162)은 베이스판(110)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 즉 도어(20) 또는 도어힌지축(21)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가압경사면(161, 162)의 말단부에는 가압판(150)이 베이스판(110)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경사면(161, 162)에는 제2 상하가이드홈(151)에서 연장 형성된 경사가이드홈(163)을 포함하되, 경사가이드홈(163)은 상기 가압경사면(161, 162)에 본체커플링(31)이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경사가이드홈(163)은 제1 상하가이드홈(111)과 같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가 제1 상하가이드홈(111)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마련되어, 본체커플링(31)이 제1 상하가이드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링크부재(1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본체커플링(31)은 제1 상하가이드홈(111) 뿐만 아니라 경사가이드홈(163)에도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플레이트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 15 내지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플레이트(13)는, 하우징(1310)과, 이에 마련된 발열체(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1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체(1300)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발열체(1300)가 하우징(1310)에 내장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하우징(1310) 내 마련된 발열체(1300)는 인가된 전원을 이용하여 외부로 열을 발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하우징(1310)은 바람직하게 절연체이되, 내열성을 가질 수 있도록 유리섬유(glass fiber)가 함유된 것이 바람직하다.
히팅플레이트(13)는 발열체(1300)의 가열로 하우징(1310)의 일면, 일 예로 상면에 접한 피가열물인 볼(50)을 가열할 수 있다. 즉, 볼수납부(12)의 내부에 볼(50)이 수용될 때 볼(50)의 저면은 하우징(1310)의 상면에 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열체(1300)의 작동시 볼(50)이나 그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은 가열될 수 있다.
또한, 볼(50)이 볼수납부(12)의 안쪽까지 슬라이드 이동하여 장착될 때, 볼(50)이 히팅플레이트(13)의 발열체(1300)와 근접하거나, 원형 발열체와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1310)의 상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된 볼고정둘레(132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부로 돌출 형성된 볼고정둘레(1320) 중 도어(20)를 향한 전방측은 개구 형성되어 볼(50)이 슬라이드 이동시 하우징(1310)의 상부로 인입될 수 있고, 볼고정둘레(1320)는 하우징(1310)의 전방이 아닌 후방 및 측방에만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310)의 상부에 안착된 볼(50)의 추가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볼수납부(12) 내 볼(50)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10)은, 상기 볼고정둘레(1320) 중 개구된 부분 또는 볼(50)이 인입되는 방향에 볼고정홈(1330)이 마련될 수 있다.
볼(50)이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히팅플레이트(13)의 하우징(1310) 상부로 이동할 때, 하우징(1310)에 위에 안착된 볼(50)이 자전하지 않고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우징(1310)의 상부에는 움푹 패인 볼고정홈(1330)이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이 하우징(1310)의 상부에 위치할 때, 볼(50)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511)는 하우징(1310)의 볼고정홈(1330)에 삽입 장착되어, 볼수납부(12) 내 볼(50)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310)의 도면부호 1340는 볼(50)의 가동날개와 회전 연동하는 회전부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본체커플링(31)이 삽입되는 관통구(1340)로서, 대략 히팅플레이트(13)의 하우징(1310) 중심에 마련될 수 있다.
본체커플링(31)은 히팅플레이트(13)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볼수납부(12)에 안착된 볼(50), 구체적으로 볼(50)의 저면에 마련된 볼커플링(51)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장치(34)의 회전 구동력은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1)을 매개로 볼(50) 내부에 자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가동날개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가동날개는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분쇄 및/또는 교반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310)에 마련된 발열체(130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피가열물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시즈히터(sheath heater) 등일 수 있으나, 그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발열체(1300)는 하우징(1310)에 마련되되,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발열체(130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3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발열체(1300)가 관형으로 길게 형성된 파이프 형상인 경우, 발열체(1300)는 하우징(1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반 형태의 하우징(1310) 중심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히팅플레이트(13)가 대략 단면이 원형이고 두께가 얇은 원반형인 경우, 관형의 발열체(1300)는 하우징(1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대략 고리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발열체(1300)의 양단(130a, 130b)에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며, 발열체(1300)의 양단(130a, 130b)에 전원선이 연결될 때, 그 양단(130a, 130b)이 직접 마주 접하여 합선이 되지 않도록 발열체(1300)의 양단 사이는 서로 이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플레이트(13)는 발열체(1300)가 과열되었을 때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센서(1350), 바이메탈(1360), 그리고 온도퓨즈(13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350)는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0)의 주변에 마련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제어부는 온도센서(1350)에 의해 측정된 측정온도를 이용하여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0)를 이용하여 볼(50) 또는 피처리물을 목표온도까지 가열하거나 히팅플레이트(13)의 동작 등을 제어할 때,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1350)는,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0)의 주변에 마련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1350)는, 히팅플레이트(13)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체(1300)와 중첩되지 않은 콜드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체(1300)의 콜드영역은 발열체(1300)의 양단(1300a, 1300b) 사이의 이격공간, 즉 발열체(1300)가 없는 개구된 부분의 영역이며, 이와 반대로 발열체(1300)의 핫영역은 발열체(1300)가 있는, 발열체(1300) 상의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온도퓨즈(1370)는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0)의 주변에 마련되어, 감지된 온도에 따라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퓨즈(1370)는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온도퓨즈(1370)는, 히팅플레이트(13)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발열체(1300)의 콜드영역, 또는 온도센서(1350)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바이메탈(1360) 역시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0)의 주변에 마련되어, 감지된 온도에 따라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바이메탈(1360)은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라인 상에 바이메탈(1360)과 온도퓨즈(1370)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메탈(1360)과 온도퓨즈(1370)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된 온도에 따라 회로를 개방하면 히팅플레이트(13) 또는 발열체(1300)에 인가되는 전원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이메탈(1360)은 발열체(1300)의 핫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바이메탈(1360)은 온도센서(1350)나 온도퓨즈(1370)와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바이메탈(1360)이 발열체(1300) 상에 위치함으로써, 발열체(1300)의 작동시 온도센서(1350)나 온도퓨즈(1370)에 비하여 고열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온도센서(1350)나 온도퓨즈(1370)와 상응하는 온도가 바이메탈(1360)에 가해질 수 있도록 바이메탈(1360)은 발열체(1300)와 이격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히팅플레이트(13)의 저면, 또는 하우징(1310)의 저면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1380a~1380d)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1380a~1380d)는 히팅플레이트(13)의 하우징(1310)을 지면 따위로부터 이격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 내지 9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100) 위에 히팅플레이트(13)의 하우징(1310)이 안착된 경우, 지지돌기(1380a~1380d)에 의해 히팅플레이트(13)의 발열체(1300)는 링크부재(100)와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100)의 베이스판(110)에는 지지돌기(1380a~1380d)에 의해 지지되는 히팅플레이트(13)가 안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100)가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위에 안착된 히팅플레이트(13)가 승강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재(100)는 베이스판(110)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121~12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지지면(121~124)의 위치는 히팅플레이트(13)의 지지돌기(1380a~1380d)의 위치에 상응할 수 있고, 이때,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지지돌기(1380a~1380d)와 이에 상응하는 지지면(121~124)은 각각 4개일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지지면(121~124)은 베이스판(110) 보다 높은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링크부재(1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이동에 따라 히팅플레이트(13)는 승강하여, 베이스판(110) 위에 안착되거나 또는 지지면(121~124) 위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110)과 지지면(121~124) 사이에는 지지경사면(131~134)이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경사면(131~134)은 베이스판(110) 및/또는 지지면(121~124)에서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판(110)과 지지면(121~124)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판(110)에 마련된 지지경사면(131~134)은 베이스판(110)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후방, 즉 볼수납부(12)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지지경사면(131~134)의 상측 말단부에는 지지면(121~124)이 베이스판(110)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면(121~124) 위에 안착된 히팅플레이트(13)는 베이스판(110) 위에 안착된 히팅플레이트(13) 보다 높은 위치를 가질 수 있고, 반대로 베이스판(110) 위에 안착된 히팅플레이트(13)는 지지면(121~124) 위에 안착된 히팅플레이트(13) 보다 낮은 위치를 가질 수 있다.
결국, 도어(20) 폐쇄시 히팅플레이트(13)는 지지면(121~124) 위에 안착되어 상승할 수 있고(도 7 참조), 반대로 도어(20) 개방시 히팅플레이트(13)는 베이스판(110) 위에 안착되어 하강할 수 있다(도 8 및 9 참조). 도 10의 도면부호 u1 내지 u4는 상승한 히팅플레이트(13)의 지지돌기(1380a~1380d)의 위치를 가리킬 수 있고, 도 10의 도면부호 d1 내지 d4는 하강한 히팅플레이트(13)의 지지돌기(1380a~1380d)의 위치를 가리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도어(20) 개폐시 링크부재(100)의 이동에 따른 히팅플레이트(13)와 본체커플링(31)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100)는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힌지축(21)을 중심으로 도어(20)가 회동하여 볼수납부(12)를 폐쇄할 때, 결합축(22)에 결합된 링크부재(100)는 도어(20) 방향인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히팅플레이트(13)와 본체커플링(31)은 상승하되, 상승한 본체커플링(31)은 제1 상하가이드홈(111)과 히팅플레이트(13)의 관통구(1340)를 통해 볼커플링(51)과 마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폐쇄시 히팅플레이트, 링크부재, 그리고 본체커플링의 정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100)의 지지면(121~124) 위에 히팅플레이트(13)가 안착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를 가질 수 있고, 또 제1 상하가이드홈(111)에 삽입된 본체커플링(31)은 탄성부재(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가압되되, 본체커플링(31)의 플랜지부(32)는 제1 상하가이드홈(111)의 가장자리 부분인 베이스판(110)의 제1 가압면에 걸려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8 및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힌지축(21)을 중심으로 도어(20)가 회동하여 볼수납부(12)를 개방할 때, 결합축(22)에 결합된 링크부재(100)는 볼수납부(12)의 내측 방향인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커플링(31)은 볼커플링(51)과 분리되어 히팅플레이트(13)와 함께 하강함으로써, 볼(50)이 볼수납부(12) 내로 진입할 때 또는 볼(50)이 볼수납부(12)로부터 이탈할 때 볼(50)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0)이 수평하게 개방된 도어(20) 위에 안착된 다음, 도어(20)의 내측면을 따라 볼수납부(12)의 내측으로 진입할 때에도 본체커플링(31)과 히팅플레이트(13)가 볼(50)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강된 히팅플레이트(13)의 높이는 수평하게 개방된 도어(20)의 상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또 하강된 본체커플링(31)의 상단 높이 역시 도어(20)의 상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시 히팅플레이트, 링크부재, 그리고 본체커플링의 정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100)의 베이스판(110) 위에 히팅플레이트(13)가 안착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를 가질 수 있고, 또 제1 상하가이드홈(111)과 제2 상하가이드홈(151)에 삽입된 본체커플링(31)은 탄성부재(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가압되되, 본체커플링(31)의 플랜지부(32)는 제1 상하가이드홈(111) 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된 제2 상하가이드홈(151)의 가장자리 부분인 가압판(150)의 제2 가압면에 걸려짐으로써, 본체커플링(31)의 상승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20)가 폐쇄되어 본체커플링(31)이 제1 상하가이드홈(111)에 삽입된 상태인 경우, 도어(20)가 도어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면, 제1 상하가이드홈(111)에 삽입되어 있는 본체커플링(31)은, 링크부재(100)가 점차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상하가이드홈(111)과 경사가이드홈(163)에 삽입된 다음, 순차로 제1 상하가이드홈(111)과 제2 상하가이드홈(151)에 삽입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탄성부재(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는 본체커플링(31)의 플랜지부(32)는, 도어(20) 폐쇄시 제1 상하가이드홈(111)의 가장자리부분인 베이스판(110)의 제1 가압면에 지지되지만, 점차 도어(20)가 개방됨에 따라 경사가이드홈(163)의 가장자리부분인 경사면(161, 162)의 경사가압면에 지지된 다음, 연속하여 경사가압면을 따라 이동한 이후 제2 상하가이드홈(151)의 가장자리부분인 가압판(150)의 제2 가압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2 상하가이드홈(151)에 삽입되어 제2 상하가이드홈(151)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커플링(31)이 제2 상하가이드홈(15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판(150)은 상기 제2 상하가이드홈(151)을 감싸되, 경사가이드홈(163)을 가진 경사면(161, 162)과 연장 형성되도록 대략 '∪' 또는 '∩'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상하가이드홈(151)의 전방측 말단부는 폐쇄됨으로써, 도어(20)가 개방될 때 가압판(150)의 제2 상하가이드홈(151)으로부터 본체커플링(31)이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음식물처리기 10: 본체
11: 통기공 12: 볼수납부
13: 히팅플레이트 14: 볼수용하우징
141: 연통구 20: 도어
21: 도어힌지축 22: 결합축
31: 본체커플링 32: 플랜지부
33: 탄성부재 34: 구동장치
44: 순환팬 45: 증발기
451: 증발기함 46: 유량조절밸브
47: 응축기 48: 압축기
49: 방열팬 50: 볼
51: 볼커플링 60: 도어열림버튼
61: 회로기판 80: 응축수탱크
81: 팽창탱크 85: 배출모터
90: 탈취필터 91: 배기관
100: 링크부재 110: 베이스판
111: 제1 상하가이드홈 150: 가압판
151: 제2 상하가이드홈 161, 162: 경사면
163: 경사가이드홈 1300: 발열체
1310: 하우징 1320: 볼고정둘레
1330: 볼고정홈 1340: 관통구
1350: 온도센서 1360: 바이메탈
1370: 온도퓨즈 1380a~1380d: 지지돌기

Claims (12)

  1.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의 볼수납부에 마련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도어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승하여 상기 볼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볼커플링에 결합되거나, 하강하여 상기 볼커플링으로부터 분리되는 본체커플링; 및
    상기 도어 및 상기 본체커플링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본체커플링의 승강이동을 가이드하는 링크부재;
    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링크부재가 결합된 결합축은, 상기 도어힌지축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링크부재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기는, 상기 본체커플링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커플링을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상기 본체커플링이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제1 상하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링크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상하가이드홈에 삽입된 상기 본체커플링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플링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하가이드홈에 삽입된 상기 본체커플링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할 때,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상하가이드홈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가압면에 의해 상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베이스판에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판과 높이를 달리하도록 형성된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에 상기 본체커플링이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제2 상하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하가이드홈은 상기 제1 상하가이드홈보다 낮은 높이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링크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상하가이드홈에 삽입된 상기 본체커플링은, 상기 제2 상하가이드홈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가압면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하가이드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상하가이드홈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가압판 사이에 경사지도록 마련된 가압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납부의 저면에 마련되어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히팅플레이트는 상기 링크부재 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된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른 상기 링크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히팅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판 또는 상기 지지면 위에 안착되어 승강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베이스판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히팅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판 위에 안착되어 하강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히팅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면 위에 안착되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지지면 사이에 경사지도록 마련된 지지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플레이트는,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KR1020220178950A 2022-05-31 2022-12-20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081 2022-05-31
KR20220067081 2022-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857A true KR20230166857A (ko) 2023-12-07

Family

ID=8916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950A KR20230166857A (ko) 2022-05-31 2022-12-20 음식물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85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919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080059492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 처리기
US20130217111A1 (en) Waste Disposal Device
KR20230166857A (ko) 음식물처리기
KR102632476B1 (ko) 음식물처리기
KR20060004601A (ko)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기
KR102632481B1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48A (ko) 음식물처리기
KR102632483B1 (ko) 음식물처리기
KR102632487B1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49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KR20230167287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49355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20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33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5618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7286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5619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42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KR20230166841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048875A (ko) 음식물처리기
EP2628543A1 (en) Waste disposal device
KR20230157606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43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6838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