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849A -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 Google Patents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66849A KR20230166849A KR1020220161902A KR20220161902A KR20230166849A KR 20230166849 A KR20230166849 A KR 20230166849A KR 1020220161902 A KR1020220161902 A KR 1020220161902A KR 20220161902 A KR20220161902 A KR 20220161902A KR 20230166849 A KR20230166849 A KR 202301668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ll
- food waste
- duct
- port
- inclined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2—Adaptations of bearings or couplings for supporting and connecting screw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과, 상기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를 가진 본체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제습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와 연통하기 위한 연통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부에 상기 볼의 전방을 항하여 경사진 볼경사면과, 상기 볼경사면에 상기 볼의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된 볼통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볼수납부는, 내측 상부에 상기 볼의 장착시 상기 연통구와 상기 볼통기구 간에 연통 가능하도록 형성된 커넥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 및 이에 장착되는 볼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식물쓰레기는 분리수거를 위해 음식물쓰레기 저장통에 일정기간 소정의 양만큼 모아두었다가 배출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그러함에도 가정이나 식당 등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등장하였지만, 대부분 부피가 크고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아 실생활에까지는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607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4110호 등에서는 음식물처리기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전제품의 형태로 개발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식물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bowl)과,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는 날개와, 볼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가열장치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도어의 개폐 방향에 따라 설치 위치상의 제한이 있거나, 볼을 본체에 탈장착할 때 등과 같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필요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의 설치 위치상의 제한을 해소하거나, 볼을 본체에 탈장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과, 상기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를 가진 본체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제습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와 연통하기 위한 연통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부에 상기 볼의 전방을 항하여 경사진 볼경사면과, 상기 볼경사면에 상기 볼의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된 볼통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볼수납부는, 내측 상부에 상기 볼의 장착시 상기 연통구와 상기 볼통기구 간에 연통 가능하도록 형성된 커넥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통기구와 상기 커넥터구 사이에 개재되어, 유로를 밀폐하기 위한 패킹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은,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용기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볼경사면과 상기 볼통기구는, 상기 용기뚜껑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은, 용기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볼경사면과 상기 볼통기구는, 상기 용기본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통기구는,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수납부는, 상기 볼의 진입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커넥터경사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구는, 상기 커넥터경사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일측에 상기 커넥터구와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 덕트구와, 또 다른 일측에 상기 볼통기구와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2 덕트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덕트구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중간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간덕트는, 상기 볼수납부에 탈장착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간덕트는, 상기 볼수납부에 전후방으로 마련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볼수납부에 탈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덕트구와 상기 볼통기구 사이에 개재되어, 유로를 밀폐하기 위한 제2 패킹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의 본체 내 볼수납부 내부에 마련되어,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제습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와 연통하기 위한 연통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수납부는, 내측 상부에 상기 볼의 장착시 상기 연통구와 상기 볼통기구 간에 연통 가능하도록 형성된 커넥터구를 포함하되, 상기 볼은, 상부에 상기 볼의 전방을 항하여 경사진 볼경사면과, 상기 볼경사면에 상기 볼의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된 상기 볼통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처리기 본체의 전방에 마련된 도어의 개폐에 따라 볼이 본체 내외부로 인출입되어, 음식물처리기의 설치 위치상의 제한을 해소할 수 있고, 또 본체 내 볼의 진입방향이 기 정해진 기준방향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볼의 내부 공기가 유출입 유동하는 유로를 밀폐할 수 있어,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로서 음식물처리기의 본체 내부에 볼이 수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생략된 음식물처리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기계실 내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순환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이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덕트가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덕트가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볼이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로서 음식물처리기의 본체 내부에 볼이 수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생략된 음식물처리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기계실 내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순환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이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덕트가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덕트가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볼이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내부에 볼(bowl)(50)이 수납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 본체(10)의 일 측면에 본체(10) 내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는 전방으로 젖혀짐으로써 볼수납부(12)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때, 개방된 볼수납부(12)의 내측을 향하여 볼(50)이 인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볼(50)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자는 볼(50) 내부에 피처리물을 담은 다음, 볼(50)을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 장착시키면, 본체(10) 내 마련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건조되고, 또 본체(10) 내 마련된 구동장치(34)에 의해 커플링된 볼(50) 내부의 가동날개는 회동함으로써, 볼(50) 내부의 고정날개와의 상호작용으로 피건조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시킬 수 있다.
이렇게, 볼(50)이 볼수납부(12)에 인입되어 장착될 때, 볼(50)의 볼통기구(54)와 본체(10) 내 마련되는 냉각장치 또는 제습장치 간 유로를 밀폐하기 위해 씰링부재가 마련될 수 있으나, 이때, 도 2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로서,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른 볼(50)이 그 전방을 향하여 볼통기구(54)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볼통기구(54)의 방향이 상기 씰링부재를 향한 방향과 일치한 상태로 진입하여야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약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 및/또는 씰링부재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음식물처리기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체(10)는 음식물처리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와,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에 개폐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체(10)의 도어(20)가 마련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20)의 개방시 볼수납부(1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고 볼(50)을 볼수납부(12)에 장착한 다음, 도어(20)를 폐쇄함으로써 음식물처리기(1)에 의해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케할 수 있다.
볼수납부(12)는 도어(20) 폐쇄시 외부와 격리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할 때 볼(50) 내부의 피처리물로부터 유발되는 악취 등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10)와 도어(20)가 마주 접하는 부분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도어(20) 폐쇄시 볼수납부(12)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수납부(12)의 저면에는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될 수 있다.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전기를 이용하여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전기히터 따위의 발열체를 이용하여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고, 유도가열을 이용한 인덕션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해진 열에 의해,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가열되어 건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볼(50)의 내부는 젖은 피처리물로부터 고온의 습증기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습증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등은 본체(10) 내 기계실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생략된 음식물처리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기계실 내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기계실에는 볼(50) 내부의 습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증발기(45)와, 유량조절밸브(46)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기계실은 고장 발생 등에 사용자가 아닌 작업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볼수납부(12)와 구획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의 외피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수리 등을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는 볼수납부(12)를 형성하는 볼수용하우징(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볼(50)이 볼수납부(12)에 장착시 볼수용하우징(14)은 도어(20)와 함께 볼(50)을 감쌀 수 있다.
볼수용하우징(14)은 측면이 원통형의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측면과 상응하는 둥글게 굽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볼수용하우징(14)에 의해, 그 내부에 형성되는 볼수납부(12)는 그 외부의 본체(10) 내 기계실과 구획될 수 있으나, 다만, 볼수용하우징(14)의 내부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볼(50)의 내부와 기계실 내 일 장치 간에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볼수용하우징(14)은 일측에 관통형성된 연통구(141)를 가질 수 있다.
볼수용하우징(14)에 관통형성된 연통구(141)는 볼수용하우징(14) 내 장착된 볼(50)의 볼통기구(54)와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통구(141)는 전방측, 즉 도어(20)측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도 3 참조), 볼(50)의 내외부를 서로 연통하는 볼(50)의 볼통기구(54)는 볼(50)이 볼수납부(12)에 장착시 상기 연통구(141)와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이 장착되면, 볼(50)의 볼통기구(54)는 기계실 내 일 장치(일 예로, 증발기)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서로 연통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수용하우징(14)의 일측, 즉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의 후방 외측에는, 내부에 증발기(45)가 수용된 증발기함(451)이 마련될 수 있고, 이때, 증발기함(451)의 일측(일 예로 전방측)에 형성된 개구부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와 마주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 장착시, 볼(50)의 내부는 볼(50)의 볼통기구(54)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내부에 마련된 증발기(45)와 연통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와 응축기(47)는 증발기함(451)에 의해 분리되어 구획된 서로 다른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451)은, 내부에 응축기(47)를 제외한 증발기(45)만을 수용하는 함체일 수 있고, 응축기(47)는 증발기함(451) 외부의 기계실 내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함(45)은 내부 수용공간에 증발기(45)를 수용하되, 다만 냉매가 증발기함(45) 외부에 마련된 기계실의 압축기(48) 및 응축기(47)와 순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냉매는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유량조절밸브(46)와, 증발기(45)를 순차로 순환하는 순환냉매유로(Fr)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도 6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에 의해 볼(50)의 내부에서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를 통과함으로써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이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48)는 냉매순환유로(Fr) 상 증발기(45)와 응축기(47)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가 냉매순환유로(Fr)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압축기(48)는 증발기(45)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47)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기(47)는 압축기(48)에서 이송되어 온 냉매와 외기 간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응축기(47)를 통과하는 냉매는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후측방에는 응축기(47)로부터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다수 타공 형성된 통기공(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 도 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 내부에 있는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기 위해 응축기(47)의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팬(49)이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증발기(45)를 통과한 볼(50) 내부의 증기가 응축기(47)로 유도되지 않도록 증발기함(45)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볼수용하우징(14)의 후방측에 마련된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는 순환팬(44)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과, 증발기함(451)과, 순환팬(44)은 직렬로 배치될 수 있고,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 내부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를 통과한 다음, 다시 볼(50) 내부로 순환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팬(44)은 순환기류를 형성하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순환팬(44)은 원심팬일 수 있다. 도면부호 441은 순환팬의 팬모터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442는 팬모터가 장착되되 내부에 임펠러가 수용된 팬하우징을 가리킨다.
이러한 순환팬(44)은 회전축이 전방측, 즉 증발기(45) 또는 볼(5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에 마련된 증발기함(451)의 흡기구를 통해, 증발기(45)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흡기될 수 있다.
이렇게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임펠러의 회전으로,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배기덕트(미도시)로 배기될 수 있다.
즉,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 내부에 습기를 함유한 고온고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의 볼통기구(54) 및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를 통해, 증발기함(451) 내부의 증발기(45)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고온고습의 증기는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되고, 이는 다시 순환팬(44)을 지나 배기덕트 및 증발기함(451)을 거쳐 다시 볼(50)의 볼통기구(54)를 통해 볼(50)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공기유로(Fa)를 형성할 수 있다(도 5 및 6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5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볼통기구(54)는 볼(50)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하는 경로와 볼(5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가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관통구일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증발기함(451)은 전방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출입구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유출입구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볼통기구(54)와 마주하여 상호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는 볼(50)의 내부공기가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마련하고, 증발기함(451)의 배출구는 유입구와 반대로 증발기함(451)의 내부공기가 볼(50)의 내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마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에 볼(50)의 장착시, 증발기함(451)의 유입구 및 배출구는 볼(50)의 볼통기구(54)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볼수납부(12)에 볼(50)의 장착시, 볼(50)의 볼통기구(54)는 내주면 또는 외주면이 증발기함(451)의 유입구 및 배출구에 직접 끼워지거나, 제1 패킹부재(112)를 매개로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증발기함(451)의 유입구 및/또는 배출구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볼통기구(54)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 일 예로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볼(50)과 증발기함(451) 사이에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통기구의 주변에는 고무나 실리콘재 따위의 패킹부재로서 제1 패킹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미도시)와 배출구(미도시)는, 볼(50)의 볼통기구(54)와 마찬가지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일 실시예에 따라, 유입구와 배출구 각각은, 별개로 나누어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증발기함(451)의 유입구는 배출구 보다 그 구멍 면적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볼(50)에서 증발기함(451)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볼(50)의 내부에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되어 열팽창된 공기이지만, 증발기함(451)에서 볼(50)로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된 공기이기 때문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함(451)은 후방에 관통 형성된 흡기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에 순환팬(44)을 수용한 팬하우징(442)은, 일측(일 예로 전방측)에 개구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되, 팬하우징(442)의 개구부는 증발기함(451)의 흡기구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증발기함(451)의 흡기구가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 마련된 순환팬(44)의 회전축과 마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팬하우징(442) 내 순환팬(44)의 구동으로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흡기구를 통해 순환팬(44)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5)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으로부터 흡입되고, 이렇게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배기덕트로 배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순환팬(44)을 수용한 팬하우징(442)은, 임펠러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판이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임펠러의 회전구동으로 회전축의 전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원심력이 부여되고, 원심력을 가진 공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 유동할 때 가이드판은 그 공기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판의 일측, 일 예로 상측의 일부는 개구 형성되어, 가이드판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유동하는 공기는 원심력에 의해 가이드판의 개구부를 통해 원심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가이드판의 개구부에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된 배기덕트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팬하우징(442)의 내측에 격벽 형태로 가이드판과, 일측 개구부에서 연장 형성된 배기덕트가 마련될 수 있다.
결국, 배기덕트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그 전방에 마련된, 즉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다시말해,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는 순환팬(44)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 이외에 순환팬(44)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흡기구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통과한 공기가 순환팬(44)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지만, 배기구는 순환팬(4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볼(50)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발기함(451)은 후방측의 배기구로부터 유입된 저온저습의 증기가 볼(50)의 내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증발기함(451)은 후방측의 배기구와 전방측의 배출구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배관(456)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즉, 연결배관(456)은 증발기함(451)의 전후방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증발기함(451)의 배기구와 배출구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볼(50)의 내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배관(456)은 증발기함(451)의 배기구와 배출구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이면 그 형태 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는, 증발기함(45) 내부의 증발기(45)를 지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며, 이때 냉각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는, 증발기함(45)의 내부에 저류할 수 있다.
이때, 증발기함(45)은 내부에 저류하고 있는 응축수가 자연적으로 또는 강제로 증발기함(45) 외부의 기계실이나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응축수배출구(4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증발기(45)는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볼(50) 내부로부터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와 순환냉매유로(Fr)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 간에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증발기(45)를 통과하는 증기는 냉각되고, 증발기(45)를 통과할 때 증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45)는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면을 넓히기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앤튜브(pin&tube) 타입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렇게 제거된 수분에는 피처리물로부터 유래된 악취가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순환팬(44)을 소정의 구동속도로 지속 구동하여,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된 볼(50)의 내부공기, 즉 고온고습의 습증기를 증발기(45)에 반복 공급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45)가 고온고습의 습증기를 반복 응축함으로써, 증발기함(451) 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에 악취를 농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음식물처리기(1)의 각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출력되는 각종 신호나 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시키거나,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상기 피처리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등 다양한 구현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1)의 각종 동작을 수행 또는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볼(50)의 내부에 대하여 건조행정을 완료한 이후라고 하더라도, 순환팬(44)의 구동을 계속하여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볼(50)의 내부로 공급하여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볼(50)의 내부가 건조되었다고 하더라도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의 내부는 여전히 고온의 분위기를 가질 수 있고, 이는 볼(50)을 본체(10)로부터 인출하는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볼(50)의 내부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이후라고 하더라도, 순환팬(44)의 구동은 물론, 바람직하게는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계속하여, 볼(50)의 내부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사용자가 볼(50) 내부에 처리가 완료된 잔여 피처리물을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는 볼(50) 내부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이후, 오히려 순환팬(44)의 구동속도를 건조행정에서의 구동속도 보다 더 높일 수 있고, 또 압축기(48)의 구동속도 역시 건조행정에서의 구동속도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5)를 내부에 수용한 증발기함(451)의 내부에는, 순환팬(44)에 의해 인입된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저류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를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451)의 저면에는 응축수배출구(미도시)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응축수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자연배수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저면에는 응축수배출구(452)가 마련되되, 증발기함(451)의 저면은 상기 응축수배출구(452)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바닥으로 낙하한 경우, 이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따라 응축수배출구(452)로 유도됨으로써,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의 내부 고온고습의 증기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거쳐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저온저습의 증기는 팬하우징(442)의 배기덕트와, 증발기함(451) 내 연결배관을 통해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동하는 순환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순환기류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볼(50) 내부의 수분과 악취는 증발기함(451) 내 응축수 형태로 변환될 수 있고, 증발기(45)에 의해 수분과 악취가 제거된 공기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 즉 악취가 용해되어 있는 응축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배출구(452)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수되되, 이때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는 응축수탱크(80)의 내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증발기함(451) 내 응축수는 자연적으로 응축수탱크(80)로 유입되어 응축수탱크(80) 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응축수탱크(80) 또는 응축수탱크유입구는, 증발기함(451) 또는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의 하부, 즉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증발기함(451) 내 발생된 응축수가 응축수탱크(80)로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응축수탱크(80)의 상부에는, 응축수탱크(80) 내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로서 제1 통기공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1 통기공은 응축수탱크(80)의 상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응축수탱크(80)의 탱크커버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통기공은 응축수탱크(80) 내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일 예로, 본체(10) 내 기계실 또는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수탱크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는 응축수탱크(80)의 내부에 저장되지만, 이와 함께 응축수탱크유입구는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응축수탱크유입구는 제1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순환기류(볼(50) - 증발기함(451) - 순환팬(44)) 내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즉, 증발기함(451)의 내부는 응축수탱크(80)의 내부와 연결되고, 응축수탱크(80)에 관통 형성된 제1 통기공을 매개로, 외부 공기가 응축수탱크(80)나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이와 반대로 순환기류 내 공기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폐쇄된 순환기류 내 압력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그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피처리물로부터 발생된 악취는 응축수에 농축되어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기류 내 일부 공기에서는 악취 유발 물질이 적다.
다만, 적은 양이더라도 악취 유발 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통기공에는 탈취필터(9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필터(90)는 공기 내 악취를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활성탄 소재의 흡착제를 포함한 필터일 수 있고, 또 충진형(분말형 또는 가루형 등)이나 블럭형 등일 수 있으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터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
다만, 블럭형 필터는 분말형태의 필터가 열과 압력 등에 의해 압축되어 형성된 것으로, 분말사이로 공기가 빠져나가 필터기능이 저하되는 충진형 필터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필터(90)는, 블럭형 필터일 수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탈취필터(9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은 작기 때문에 여과 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블럭형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탈취필터(90)는 탈취능력이 저하되거나 사용기한을 도과한 경우 등에는 교체 가능하도록 탈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본체(10) 내 사용자나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 일 예로 본체(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나 작업자는 본체(10)의 외피 중 탈취필터(90)와 상응하는 부분을 탈거하여, 기존 탈취필터(90)를 탈착하고 새로운 탈취필터(9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과 전방의 탈취필터(90)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기관(91)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배기관(91)의 일단은 제1 통기공에 연결되고, 배기관(91)의 타단은 탈취필터(90)에 연결될 수 있다.
결국, 볼(50), 증발기함(451), 그리고 순환팬(44) 간에 순환하는 순환기류 내 공기 일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함(451)으로부터 응축수탱크(80)로, 그리고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을 거쳐 배기관(91)을 따라 외부로 배기되되, 이때 배기관(91)의 말단에 위치한 탈취필터(90)를 거쳐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배기되는 공기 내 악취 유발 물질이 흡착 제거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폐쇄된 순환유로에서 발생하는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50)의 내부 공기는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순환기류 내 양압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순환기류 내 일부 공기는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에 연결된 배기관(91)과 탈취필터(90)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순환유로 내 양압은 제거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는 탈취필터(90)를 통해 배기관(91)을 따라 제1 통기공을 거쳐 응축수탱크(80) 또는 증발기함(451)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폐쇄된 순환유로 내 음압발생시 그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즉, 증발기(45)에 의해 순환유로 내 공기가 냉각 응축되어 폐쇄된 순환유로 내 음압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고, 또 배출모터(85)의 구동으로 응축수탱크(80)의 내부 역시 음압의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외기는 탈취필터(90)를 통해 도입될 수 있다. 탈취필터(90)로 도입된 외기는 이에 연결된 배기관(91) 및 제1 통기공을 통해 증발기함(451) 또는 응축수탱크(80)로 유입됨으로써, 순환유로 내 음압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탱크(80)와 탈취필터(90) 사이에 마련되어, 응축수탱크(80)에서 배출되는 공기 내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팽창탱크(8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팽창탱크(81)는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연통공을 포함할 수 있고, 또 팽창탱크(81)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 통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팽창탱크(81)의 연통공은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팽창탱크(81)의 제2 통기공은 배기관(91)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응축수탱크(80) 내 공기는 제1 통기공, 연통공, 그리고 제2 통기공을 순차로 통과하고 배기관(91)과 탈취필터(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팽창탱크(81)는 응축수탱크(80)의 상부, 구체적으로 팽창탱크(81)의 연통공이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되,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응축수탱크(80)로부터 습기를 포함하지 않은 공기가 팽창탱크(81)로 자연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팽창탱크(81)의 제2 통기공은, 연통공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81)의 제2 통기공을 통해 습기를 함유하지 않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통기공은 팽창탱크(8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응축수탱크(80)의 제1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통공은 팽창탱크(8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팽창탱크(81)를 중심으로 하부의 연통공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습기가 제거되어, 그 상부의 제2 통기공으로 배기될 수 있으며, 이때 팽창탱크(81)가 연통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팽창탱크(81)의 내부에는 탈습을 위한 부재가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하우징(80)의 내부에는 탈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격벽(미도시)을 마련함으로써, 팽창탱크(8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내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벽은 팽창탱크(81) 내 연통공에서 제2 통기공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마련되되, 그 유로 중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81)의 하측에 마련된 연통공과, 상측에 마련된 제2 통기공의 위치는, 팽창탱크(81)의 종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이때, 연통공과 제2 통기공 사이에, 팽창탱크(81)의 내상벽에는 하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격벽에 의해, 연통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 통기공을 통해 배출될 때, 그 유로 중 일부는 차단될 수 있고, 이때 그 과정에서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격벽에 충돌함으로써, 공기 내 수분은 분리되어 탈습된 다음, 제2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국, 팽창탱크(81)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할 때, 공기 내 수분은 제거되어 탈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팽창탱크(81)를 통해 탈취필터(90)로 인가되는 공기가 제습되어 건조된 상태이기 때문에 탈취필터(9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의 전방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어(20)가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만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의 개방을 위한 사용자입력을 받기 위해 도어열림버튼(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식물처리기(1)의 도어(20)를 개방시키기 위해, 사전적으로 도어열림버튼(60)을 터치하거나 눌러 조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가 구속상태에서 해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도어열림버튼(60)에 대한 사용자 조작 없이 도어(20)가 물리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어(20)가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어, 도어열림버튼(60)은 본체(10)의 상부 외면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방측, 도어(20)와 근접하도록 위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상부 내측에는 회로기판이 마련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어열림버튼(60)을 통하여 전자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받거나, 그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결국, 도어열림버튼(60)에 대한 사용자 조작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는 도어열림모듈의 구동장치를 작동시켜, 도어열림모듈의 걸쇠가 도어(20)와의 체결을 해제토록 함으로써, 도어(20)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 즉 구속 해제 상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는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볼(50)이 수용될 수 있다.
볼(50)은 피처리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본체(51)와, 용기본체(51)의 개구부를 덮는 용기뚜껑(52)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51)는 내부에 피처리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상으로서, 본 발명은 그 형상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원통형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볼(50) 또는 용기본체(51)를 용이하게 옮기거나 본체(10)에 탈장착할 수 있도록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볼손잡이(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손잡이(55)는 용기본체(51)의 일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고,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용기뚜껑(52)은 피처리물이 인출입되는 용기본체(51)의 개구부를 덮어 용기본체(51)의 내부를 폐쇄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한 용기본체(51)의 개구부에 용기뚜껑(52)이 덮어짐으로써, 용기본체(51) 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풍기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뚜껑(52)은 본체용기(51)의 개구부(미도시)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용기(51)의 개구부에 용기뚜껑(52)은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본체(51)의 개구부와 이를 덮는 용기뚜껑(52) 사이에 기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용기본체(51)의 개구부의 내주면 및/또는 용기뚜껑(52)의 저면에는 패킹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용기본체(51)의 개구부와 용기뚜껑(52) 사이에 패킹부재가 개재되어, 용기본체(51)의 습증기가 순환팬(44)에 의해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순환할 때 용기본체(51) 내 악취 등이 용기본체(51)의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본체(51) 내부에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에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와, 용기본체(51)의 내측벽에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는 볼커플링과 상호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본체(10)의 구동장치(34)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은 회전 구동력을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을 매개로, 회전부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가동날개와, 용기본체(51)의 내측벽에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날개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즉 회전하는 가동날개와 고정날개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볼(50)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가동날개와, 고정날개의 형상이나 개수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가동날개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가동날개 볼(50)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 즉 높이가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상응하여 고정날개역시, 고정날개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고정날개가 서로 다른 높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51)는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5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511)의 형상이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용기본체(51)의 저면 중 전방측, 즉 저면 중 볼손잡이(55)가 있는 방향이나, 용기본체(51)의 저면 중 후방측, 즉 저면 중 볼손잡이(55)가 있는 반대 방향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경우, 사용자가 볼손잡이(55)를 파지한 상태에서,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된 도어(20)의 개방에 의해 노출된 볼수납부(12)를 향해 볼(50)을 인입시키기 때문에, 가이드돌기(511)는 볼(50)이 볼수납부(12)를 향하여 진입하는 방향인 볼손잡이(55)가 있는 방향이나 또는 그 반대 방향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돌기(511)는, 좌우폭이 넓은 대략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렇게 돌출된 가이드돌기(511)에 의해 편평한 안착면 위에 안착된 볼(50)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어, 볼(50)의 내부에 투입되는 피처리물은 어느 한 방향으로 모여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커플링은 용기본체(51)의 저면에 돌출되지 않거나 돌출 높이가 가이드돌기(511)의 돌출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한편,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이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피처리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본체(51)와, 용기본체(51)의 개구부를 덮는 용기뚜껑(52)를 포함할 수 있고,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의 일측에는, 볼(50)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볼통기구(511a, 521a)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도면부호 54 역시 볼통기구이며, 경사면에 마련되는 볼통기구는 511a, 521a로 달리 표현하되,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서로 혼용하기로 한다.
볼통기구(511a, 521a)는 용기본체(51)의 내부와 그 외부를 연통하는 경로로서, 볼(50)이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에 장착될 때, 볼통기구(511a, 521a)는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기계실 내 일 장치, 구체적인 일 예로, 증발기함(451)의 유출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통기구(54)에 의해 볼(50)의 내부는 음식물처리기(1), 구체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그리고 증발기 등을 포함한 냉동사이클(또는 건조장치)과 연결될 수 있고, 냉동사이클 내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순환팬(44)의 구동으로 용기본체(51) 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습증기는 흡입되어,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응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건증기는 다시 용기본체(51)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볼통기구(511a, 521a)는 내부의 습증기가 외부, 즉 음식물처리기(1)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외부의 건증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격벽 따위에 의해 구분되어 나누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증기 및 건증기가 하나의 유출입구, 즉 하나의 볼통기구(511a, 521a)로 통합될 수도 있다.
이렇게 볼(50)의 볼통기구(511a, 521a)를 통해 용기본체(51) 내부의 습증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로부터 건증기가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볼(50) 내 음식물쓰레기는 건조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볼통기구(511a, 521a)의 크기나 형태, 역시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볼통기구(511a, 521a)와 마주하여 연결되는 커넥터구(111, 121) 또는 제2 덕트구(152)에 상응하는 크기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볼(50)의 일측에 형성된 볼통기구(511a, 521a)는 그 위치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7a 내지 7b, 또는 도 10a 내지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0)의 상부에 볼(50)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볼경사면(511, 52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볼(50)의 전방은 볼(50)이 볼수납부(12)에 장착되는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이렇게 볼(50)의 상부에 볼(50)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볼경사면(511, 521)에 볼통기구(511a, 521a)가 관통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50)이 볼수납부(12)로 진입하는 경우 볼통기구(511a, 521a)가, 후술하는 커넥터구(111)나 제2 덕트구(152)에 마주하여 가압됨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볼통기구(511a, 521a)와, 커넥터구(111) 또는 제2 덕트구(152) 간에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음식물처리기(1)를 작동시키기 위해 볼수납부(12)의 전방에 마련된 도어(20)를 폐쇄하면 도어(20)가 볼(50)을 볼수납부(12)를 향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볼통기구(511a, 521a)와, 커넥터구(111) 또는 제2 덕트구(152) 간의 연결 및 기밀성 확보를 위한 별도의 행위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볼통기구(521a)는, 도 7a 내지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0)의 상부에 볼(50)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볼경사면(521)에 형성되되, 여기서 볼경사면(521)은 볼(50)의 용기커버(52)에 마련될 수 있다.
볼경사면(521)은 용기커버(52)의 전방(또는 볼수납부(12)를 향한 볼(50)의 진입방향)에 형성되어, 용기커버(52)의 전방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질 수 있고, 그 볼경사면(521)에 볼통기구(521a)가 관통 형성되어, 볼(50)의 내외부가 볼통기구(521a)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볼(50)이 볼수납부(12)에 장착될 때, 볼수납부(12)의 내측에는 상기 볼통기구(52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커넥터구(111)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수납부(12) 내에 볼(50)이 장착될 때, 볼(50)의 전방에 마련된 볼통기구(521a)는 볼수납부(12) 내 커넥터구(11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수납부(12)의 내에 형성된 커넥터구(111)는, 상부가 볼(50)의 진입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커넥터경사면(11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커넥터경사면(110)은 볼수납부(12) 내 장착된 볼(50)의 볼경사면(521)과 대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결국, 커넥터경사면(110)은 상단이 볼(50)의 진입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볼(50)의 볼경사면(521)은 상단부가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볼수납부(12) 내 볼(50)이 인입되어 장착시 커넥터경사면(110)과 볼경사면(521)은 서로 마주함으로써, 커넥터경사면(110)의 커넥터구(111)와 볼경사면(521)의 볼통기구(521a)는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커넥터경사면(110)과 볼경사면(521) 간에 형성되는 경계면은 그 하단이 볼(50)의 진입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경사면으로서, 볼(50)이 볼수납부(12)에 대한 진입 방향을 따라 진입하면 할수록 커넥터경사면(110)과 볼경사면(521)은 서로 밀착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구(111)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증발기함(451)의 유출입구 또는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에서 볼수납부(12) 내측으로 연장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또 이와 달리, 상기 증발기함(451)의 유출입구 또는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에 별도의 덕트가 연결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 이와 달리, 기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커넥터구(111)는 증발기함(451)의 유출입구 또는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결국, 볼수납부(12) 내 볼(50)의 장착시, 볼(50)의 볼통기구(521a)는 커넥터구(111)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유출입구 또는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와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 내 커넥터구(111)와 볼(50)의 볼통기구(521a) 간의 유로를 밀폐하거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들 사이에 제1 패킹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패킹부재(112)는 고무나 실리콘재 따위와 같은 탄성을 가진 소재일 수 있고, 이러한 제1 패킹부재(112)가 커넥터경사면(110)의 커넥터구(111) 및 볼경사면(521)의 볼통기구(521a)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됨으로써, 볼수납부(12) 내 볼(50)의 장착시 상기 커넥터구(111)와 상기 볼통기구(521a) 간에 형성되는 유로는 밀폐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패킹부재(112)는 미리 상기 커넥터구(111)에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볼통기구(521a)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볼수납부(12) 내에 볼(50)이 삽입 장착되면, 볼수납부(12)의 커넥터구(111)와 볼(50)의 볼통기구(521a) 사이에 제1 패킹부재(112)가 개재됨으로써, 그들 간의 연결 유로는 밀폐될 수 있다.
한편, 도 8a 내지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덕트가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볼수납부(12) 내, 바람직하게는 볼수납부(12)의 내측 상부에 중간덕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덕트(150)는 볼수납부(12) 내 커넥터구(121)와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 덕트구(151)와, 볼(50)의 볼통기구(511a, 521a)와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2 덕트구(15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덕트구(151, 152) 간을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중간덕트(150)를 통해 제1 덕트구(15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2 덕트구(152)로, 그리고 반대로 제2 덕트구(15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덕트구(151)로 유도될 수 있다.
중간덕트(150)에 대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1 덕트구(151)는 음식물처리기(1) 본체(10)의 후방 또는 볼수납부(12)의 내측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고, 제2 덕트구(152)는 음식물처리기(1) 본체(10)의 하부 또는 볼수납부(12)의 하부를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덕트구(152)는 볼수납부(12)를 향한 볼(50)의 진입에 따라 볼(50)의 볼통기구(511a, 521a)와 더 밀착할 수 있도록, 커넥터경사면(110)과 마찬가지로, 경사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볼(50)의 볼수납부(12) 내 진입 장착시 제2 덕트구(152)와 볼통기구(511a, 521a) 간에 형성되는 경계면은, 사선방향, 구체적으로 하단이 볼(50)의 진입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경사면일 수 있다. 다시말해, 제2 덕트구(152)와 볼통기구(511a, 521a) 간에 형성되는 경계면은 상단이 볼(50)의 진입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중간덕트(150)의 상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중간덕트(150)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은, 도 8a 및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대략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또는 쐐기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중간덕트(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 내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볼수납부(12)를 볼수납부(12)로부터 탈착시킴으로써, 내부에 유입된 습증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오염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에 중간덕트(150)를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볼수납부(12)의 내측 상부의 양측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미도시)이 전후방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레일에는 중간덕트(150)가 결합 가능하여, 상기 레일에 결합된 중간덕트(15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볼수납부(12) 내 장착되거나 볼수납부(12)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덕트(150)가 볼수납부(12)에 장착되면, 중간덕트(150)의 제1 덕트구(151)는 증발기함(451)의 유출입구 또는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된 커넥터구(121)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넥터구(121)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중간덕트(150)의 제1 덕트구(151)와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구(121)는, 도 8a 내지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덕트(150) 또는 볼(50)의 진입방향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넥터구(121)가, 도 9a 및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커넥터경사면(120)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중간덕트(150)의 제1 덕트구(151') 역시, 제1 덕트경사면에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덕트경사면은 볼수납부(12)에 대한 중간덕트(150)의 진입방향 전방에 마련된 경사면으로서, 볼수납부(12)에 중간덕트(150)가 장착될 때, 상기 경사진 커넥터경사면(120)과 마주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즉, 제1 덕트경사면과 커넥터경사면(120) 간의 경계면은 사선방향이되, 그 하단이 중간덕트(150)의 진입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면일 수 있다.
결국, 중간덕트(150)도 마찬가지로 볼수납부(12)에 중간덕트(150)가 진입하는 경우, 제1 덕트경사면에 형성된 제1 덕트구(151')와 커넥터경사면(120)에 형성된 커넥터구(121)는 서로 마주하여 가압됨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제1 덕트구(151')와 커넥터구(121) 간에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어(20)가 폐쇄되는 경우, 볼(50) 이외에도 중간덕트(150)가 볼수납부(12)의 내측을 향하여 가압되어, 제1 덕트구(151')와 커넥터구(121) 간의 연결 및 기밀성은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도 8a 내지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커넥터구(121) 및 제1 덕트구(151, 151')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패킹부재(122)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덕트(150)가 볼수납부(12) 내에 장착되면, 커넥터구(121)와 제1 덕트구(151, 151') 간의 유로는 제1 패킹부재(112)에 의해 밀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a 내지 9b에 도시한 도면부호 120은, 커넥터경사면으로서 도 7a 및 7b에 도시한 도면부호 110의 커넥터경사면에 상응될 수 있다. 커넥터경사면은 커넥터구(121)를 관통 형성하기 위한 경사면이나, 도 8a 내지 8b와 같이, 사선 방향이 아닌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수납부(12) 내에 중간덕트(150)가 마련된 경우, 볼(50)의 볼통기구(521a)는 용기뚜껑(52)에 상기 제2 덕트구(152)와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도 10a 내지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뚜껑(52)이 아닌 용기본체(51)의 개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볼이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내지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51)의 개구부, 즉 용기본체(51)에 피처리물이 투입되는 개구부에 볼통기구(511a)가 마련될 수 있고, 볼통기구(511a)를 가진 볼(50)이 볼수납부(12)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볼통기구(511a)는 중간덕트(150)의 제2 덕트구(152)에 연결될 수 있다.
용기본체(51)의 개구부에 형성된 볼통기구(511a)는 용기본체(51)의 내부와 외부 간에 연통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볼통기구(511a)는 용기본체(51)의 개구부 중 일부에 형성되거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용기본체(51)의 개구부 전반에 걸쳐 형성되어 용기본체(51)의 개구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볼통기구(511a)의 크기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볼통기구(511a)와 마주하는 제2 덕트구(152) 역시 상기 볼통기구(511a)에 상응한 크기를 갖되,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볼통기구(511a)가 용기본체(51)의 개구부 전반에 걸쳐 형성된 경우, 제2 덕트구(152) 역시 중간덕트(150)의 경사진 저면 전반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통기구(511a)와 결합되는 중간덕트(150)의 제2 덕트구(152)가 형성된 저면은 볼수납부(12)의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고, 이에 마주 결합되는 볼경사면(511) 역시 볼수납부(12)의 내측을 향한 진입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즉, 용기본체(51)의 볼통기구(511a)가 관통 형성되도록 마련된 볼경사면(511)은 용기본체(51)의 개구부에 마련될 수 있고, 결국 용기본체(51)의 개구부 역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 이에 따라 볼(50)은 전방의 높이가 후방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볼(50)이 볼수납부(12)의 내측방향으로 진입하여 장착될 때, 중간덕트(150)의 저면과 용기본체(51)의 볼경사면(511) 간에 형성되는 경계면은 볼(50)의 진입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 있어, 중간덕트(150)의 제2 덕트구(152)와 이에 마주한 용기본체(51)의 볼통기구(511a)는 볼(50)이 볼수납부(12)에 진입함에 따라 서로 마주하여 가압됨으로써, 상기 제2 덕트구(152)와 볼통기구(511a) 간의 결합력은 더 높아질 수 있다.
아울러, 볼(50)이 볼수납부(12)의 내측방향으로 진입함에 따라 탈장착 가능한 중간덕트(150) 역시 볼수납부(12)의 내측방향으로 함께 가압될 수 있고, 특히 도어(20) 폐쇄시 도어(20)만 볼(50)을 볼수납부(12)의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볼(50)과 함께 중간덕트(150) 역시 볼수납부(12)의 내측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간덕트(150)의 제2 덕트구(152) 및 용기본체(51)의 볼통기구(511a)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패킹부재(15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덕트(150)가 마련된 볼수납부(12)에 볼(50)이 장착되는 경우, 제2 덕트구(152)와 볼통기구(511a) 간의 유로는 제2 패킹부재(153)에 의해 밀폐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이에 따라 볼(50) 내부의 습한 공기는 볼통기구(511a), 제2 덕트구(152), 제1 덕트구(151), 커넥터구(121),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 그리고 증발기함(451)의 유출입구의 순으로 유동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건조장치에 의해 제습된 공기는 증발기함(451)의 유출입구,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 커넥터구(121), 제1 덕트구(151), 제2 덕트구(152) 그리고 볼통기구(511a)의 순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음식물처리기
10: 본체
11: 통기공 12: 볼수납부
13: 히팅플레이트 14: 볼수용하우징
141: 연통구 20: 도어
44: 순환팬 45: 증발기
451: 증발기함 46: 유량조절밸브
47: 응축기 48: 압축기
49: 방열팬 50: 볼
51: 용기본체 52: 용기커버
54: 볼통기구 55: 볼손잡이
60: 도어열림버튼 80: 응축수탱크
81: 팽창탱크 85: 배출모터
90: 탈취필터 91: 배기관
110, 120: 커넥터경사면 111, 121: 커넥터구
112, 122: 제1 패킹부재 150: 중간덕트
151, 151': 제1 덕트구 152: 제2 덕트구
153: 제2 패킹부재 511, 521: 볼경사면
511a, 521a: 볼통기구
11: 통기공 12: 볼수납부
13: 히팅플레이트 14: 볼수용하우징
141: 연통구 20: 도어
44: 순환팬 45: 증발기
451: 증발기함 46: 유량조절밸브
47: 응축기 48: 압축기
49: 방열팬 50: 볼
51: 용기본체 52: 용기커버
54: 볼통기구 55: 볼손잡이
60: 도어열림버튼 80: 응축수탱크
81: 팽창탱크 85: 배출모터
90: 탈취필터 91: 배기관
110, 120: 커넥터경사면 111, 121: 커넥터구
112, 122: 제1 패킹부재 150: 중간덕트
151, 151': 제1 덕트구 152: 제2 덕트구
153: 제2 패킹부재 511, 521: 볼경사면
511a, 521a: 볼통기구
Claims (11)
-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과, 상기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를 가진 본체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제습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와 연통하기 위한 연통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부에 상기 볼의 전방을 항하여 경사진 볼경사면과, 상기 볼경사면에 상기 볼의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된 볼통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볼수납부는, 내측 상부에 상기 볼의 장착시 상기 연통구와 상기 볼통기구 간에 연통 가능하도록 형성된 커넥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통기구와 상기 커넥터구 사이에 개재되어, 유로를 밀폐하기 위한 패킹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용기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볼경사면과 상기 볼통기구는, 상기 용기뚜껑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용기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볼경사면과 상기 볼통기구는, 상기 용기본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통기구는,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납부는, 상기 볼의 진입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커넥터경사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구는, 상기 커넥터경사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커넥터구와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 덕트구와, 또 다른 일측에 상기 볼통기구와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2 덕트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덕트구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중간덕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덕트는, 상기 볼수납부에 탈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덕트는, 상기 볼수납부에 전후방으로 마련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볼수납부에 탈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구와 상기 볼통기구 사이에 개재되어, 유로를 밀폐하기 위한 제2 패킹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 음식물처리기의 본체 내 볼수납부 내부에 마련되어,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제습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와 연통하기 위한 연통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수납부는, 내측 상부에 상기 볼의 장착시 상기 연통구와 상기 볼통기구 간에 연통 가능하도록 형성된 커넥터구를 포함하되,
상기 볼은, 상부에 상기 볼의 전방을 항하여 경사진 볼경사면과, 상기 볼경사면에 상기 볼의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된 상기 볼통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067127 | 2022-05-31 | ||
KR1020220067127 | 2022-05-3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6849A true KR20230166849A (ko) | 2023-12-07 |
Family
ID=8916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61902A KR20230166849A (ko) | 2022-05-31 | 2022-11-28 |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66849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6076A (ko) | 2009-11-20 | 2011-05-26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KR20160044110A (ko) | 2014-10-14 | 2016-04-25 |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2022
- 2022-11-28 KR KR1020220161902A patent/KR20230166849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6076A (ko) | 2009-11-20 | 2011-05-26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KR20160044110A (ko) | 2014-10-14 | 2016-04-25 |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20299B2 (ja) | 衣類乾燥装置 | |
KR101779422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20220192464A1 (en) |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
US20220192465A1 (en) |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
KR20230166849A (ko) |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 |
JP2014033841A (ja) | 衣類乾燥機 | |
KR20230167287A (ko) | 음식물처리기 | |
KR20230166841A (ko) | 음식물처리기 | |
KR20230166842A (ko) |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 |
KR20230165618A (ko) | 음식물처리기 | |
KR20230166848A (ko) | 음식물처리기 | |
KR20230165620A (ko) | 음식물처리기 | |
KR20230165619A (ko) | 음식물처리기 | |
CN114209238A (zh) | 一种清洁系统 | |
KR20230165617A (ko) | 음식물처리기 | |
KR20230165616A (ko) | 음식물처리기 | |
KR20230166857A (ko) | 음식물처리기 | |
KR20240045051A (ko) | 음식물처리기 | |
KR20230167282A (ko) | 음식물처리기 | |
KR20230166843A (ko) |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 |
KR20230167283A (ko) | 음식물처리기 | |
KR20230167286A (ko) |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 |
KR102632483B1 (ko) | 음식물처리기 | |
KR20230166828A (ko) |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 |
KR20230166837A (ko) |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