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617A - 음식물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617A
KR20230165617A KR1020220065615A KR20220065615A KR20230165617A KR 20230165617 A KR20230165617 A KR 20230165617A KR 1020220065615 A KR1020220065615 A KR 1020220065615A KR 20220065615 A KR20220065615 A KR 20220065615A KR 20230165617 A KR20230165617 A KR 20230165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door
food waste
support fram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광열
우영민
유용희
임동욱
정자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5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5617A/ko
Publication of KR20230165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61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65F1/143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having a waste receptacle withdrawn upon opening of the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005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of the single uni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28B1/06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using air or other gas as the cool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 F28B9/08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collecting and removing condens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볼수납부에 안착된 상기 볼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볼의 회전부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처리기 {FOOD WAST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처리 가능한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식물쓰레기는 분리수거를 위해 음식물쓰레기 저장통에 일정기간 소정의 양만큼 모아두었다가 배출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그러함에도 가정이나 식당 등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등장하였지만, 대부분 부피가 크고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아 실생활에까지는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607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4110호 등에서는 음식물처리기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전제품의 형태로 개발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식물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bowl)과,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는 날개와, 볼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가열장치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볼 내부에 수용되는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기 위해 볼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때, 구동장치의 구동시 구동장치로부터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진동을 상쇄하거나, 음식물처리기 내 타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필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1-0056076 A1 KR 10-2016-0044110 A1
본 발명은, 볼 내부에 수용되는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기 위해 볼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때, 구동장치의 구동시 구동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상쇄하거나, 음식물처리기 내 타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볼수납부에 안착된 상기 볼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볼의 회전부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동완충부재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본체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매달리도록 결합되어, 하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의 체결홀을 통해,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홀 사이에 상기 진동완충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상기 진동완충부재는,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에 개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구동축이 통과하는 제1 관통홀이 마련된 제1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단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상기 도어의 도어힌지축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는, 전방 외관을 형성하되, 상기 볼수납부에 상응하는 개구부를 가진 본체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본체전방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수납부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볼수용하우징, 및 상기 볼수용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되, 내부에 증발기를 포함하는 증발기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수용하우징은, 상기 볼수납부에 상기 볼의 안착시 상기 볼에 관통형성된 통기구와 연결되는 연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볼수납부에 안착된 상기 볼의 내부는, 상기 통기구 및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증발기함의 내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수용하우징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증발기함의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의 내부공기가 상기 증발기함을 거쳐 다시 볼의 내부로 유동하는 순환기류를 형성하는 순환팬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진동완충부재에 의해, 상기 순환팬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과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 내부에 수용되는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기 위해 볼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때, 구동장치의 구동시 구동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상쇄하거나, 음식물처리기 내 타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이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수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힌지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에 볼이 수용되어 도어가 닫혔을 때의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생략된 음식물처리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도어 걸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의 전방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과 구동장치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완충부재가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기계실 내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증발기함, 그리고 순환팬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순환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의 차단부가 처리구를 막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본체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본체용기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음식물처리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이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수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내부에 볼(bowl)(50)이 수납되는 본체(10)와, 본체(10)에 마련되어 본체(10) 내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50)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자는 볼(50) 내부에 피처리물을 담은 다음, 볼(50)을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 장착시키면, 음식물처리기(1)는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건조하거나, 분쇄 및/또는 교반시킴으로써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음식물처리기(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체(10)는 음식물처리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와,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에 개폐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체(10)의 도어(20)가 마련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20)의 개방시 볼수납부(1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고 볼(50)을 볼수납부(12)에 장착한 다음, 도어(20)를 폐쇄함으로써 음식물처리기(1)로 하여금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케할 수 있다.
볼수납부(12)는 도어(20) 폐쇄시 외부와 격리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할 때 볼(50) 내부의 피처리물로부터 유발되는 악취 등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10)와 도어(20)가 마주 접하는 부분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도어(20) 폐쇄시 볼수납부(12)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힌지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는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되되, 본체(10)의 좌우측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도어힌지축(20a)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도어힌지축(20a)은 본체(10)의 전방 상부나 전방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10)의 전방 하부, 구체적으로 볼수납부(12)의 전방 하부에 마련되어, 도어힌지축(20a)을 중심으로 도어(20)가 하방으로 회동할 때 도어(20)는 개방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도어힌지축(20a)을 중심으로 도어(20)가 상방으로 회동할 때 도어(20)는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는 볼수납부(12)의 개방을 위해 하방으로 회동할 때, 도어(20)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자중에 의해 도어(20)가 하방으로 회동할 때, 개방완료시 도어(20)에 충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회동하는 도어(20)의 움직임을 저지하기 위해, 도어힌지축(20a)에는 도어완충장치(23)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힌지축(20a)에 마련된 도어완충장치(23)는, 유체나 탄성부재의 저항을 이용하여 도어(20)의 어느 일방향 또는 양방향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고, 구체적인 일 예로서, 도어완충장치(23)는 도어힌지축(20a)을 중심으로 개방 중인 도어(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동을 가할 수 있다.
다만, 도어완충장치(23)는 도어(20)의 자중에 의한 회전력보다 적은 제동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도어(20)는 자중에 의해 도어힌지축(20a)을 중심으로 중단 없이 개방 동작을 지속하도록 하되, 도어(20)의 움직임 속도를 낮추어 도어(20)의 완전개방시 도어(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는 개방되었을 때, 볼(50)이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되어,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된 도어(20)가 개방되었을 때,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볼(50)이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개방된 도어(20)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방된 도어(20) 위에 안착된 볼(50)이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볼수납부(12)의 저면과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의 높이는 서로 대응하여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볼수납부(12)의 저면에,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된 경우, 히팅플레이트(13)의 높이와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의 높이는 서로 대응하여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20)의 내측면에는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을 볼수납부(12)로 그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볼수납부(12)를 향하여 길게 형성된 움푹 패인 도어내측홈(22)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도어내측홈(22)은 도어(20)의 내측면 전반에 걸쳐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내측홈(22)에는, 볼(50)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511)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이 볼수납부(12)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때, 도어내측홈(22)은 볼(5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볼(50)이 도어내측홈(22)을 따라 가이드되어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볼(50)이 볼수납부(12)의 안쪽까지 이동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도어(20)의 내측면에 길게 형성된 도어내측홈(22)은, 도어(20)의 하단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볼수납부(12) 측을 향한 말단부가 개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수납부(12)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볼(50)이 고정되어 회전할 수 없도록, 볼수납부(12)의 저면에 마련된 히팅플레이트(13)의 측부 외주면 중 도어내측홈(22)을 향한 일부분에는 가이드돌기(511)가 인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볼고정홈(132)이 마련될 수 있다.
결국,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은 볼(50)의 가이드돌기(511)가 도어내측홈(22)에 삽입될 수 있고, 사용자는 볼(50)을 볼수납부(12)를 향하여 밀면 볼(50)은 도어내측홈(22)을 따라 이동하여, 볼수납부(12)에 장착될 수 있고,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은 볼(50)의 가이드돌기(511)가 히팅플레이트(13)의 볼고정홈(132)에 인입됨으로써, 볼수납부(12)에 볼(50)이 고정장착 될 수 있다.
또한, 히팅플레이트(13)는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일 부분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볼고정둘레(133)를 더 포함하되, 볼고정둘레(133) 중 볼수납부(12)의 전방측은 개구 형성되어, 슬라이드 이동되어 볼수납부(12)로 인입되는 볼(50)이 히팅플레이트(13) 위로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참조).
이렇게, 볼고정둘레(133)에 의해 형성된 영역의 내측에 볼(50)이 장착됨으로써, 볼수납부(12) 내 볼(50)은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는, 폐쇄시 볼수납부(12)와 마주하는 도어내측부(201)와, 도어내측부(201)의 외측방향에 대향 배치되는 외측부(7)와, 도어내측부(201)와 도어외측부(202) 사이에 개재되되 본체(10)에 마련된 도어힌지축(20a)과 축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프레임(203a, 203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대략 판상의 도어외측부(202)는 상기 도어내측홈(22)을 가진 도어내측부(201)와 대향 결합되되, 도어내측부(201)과 도어외측부(20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도어프레임(203a, 203b)이 개재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203a, 203b)은 도어(20)의 전반에 강성을 부여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어프레임(203a, 203b)은 도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도어프레임(203a, 203b)은 도어(20)의 좌우측 각각에 마련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도어프레임(203a, 203b)의 각각은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된 도어힌지축(20a)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상기 도어프레임(203a, 203b)은 도어(20)의 두께 방향, 일 예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개구된 'ㄷ'자형의 단면을 가진 막대형태일 수 있으며, 이때 도어프레임(203a, 203b)의 일단부(또는 폐쇄된 도어의 하측단부나 개방된 도어의 내측단부)에는 상기 도어힌지축(20a)과 축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한 쌍의 결합공(2031a, 2031a', 2031b, 2031b')을 가질 수 있다. 즉, 어느 한 'ㄷ'자형의 도어프레임(203a, 203b)에는 대향하는 한 쌍의 결합공(2031a, 2031a', 2031b, 2031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결합공(2031a, 2031a', 2031b, 2031b') 중 적어도 하나는 도어힌지축(20a)과 축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는 도어힌지축(20a)을 중심으로 상하회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힌지축(20a), 구체적으로 결합돌기(1024a, 1024b)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완충장치(23)가 내측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도어완충장치(23)는 도어프레임(203a, 203b)의 적어도 어느 한 쌍의 결합공(2031a, 2031a', 2031b, 2031b')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를 위해, 한 쌍의 결합공(2031a, 2031a', 2031b, 2031b') 중 안쪽에 위치한 결합공(2031a', 2031b')은 상기 도어완충장치(23)의 일단부가 개재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그에 상응하는 형상(일 예로 장방형)을 가질 수 있으며(도 5 참조), 물론 상기 도어완충장치(23)의 타단부 역시 제2 관통홀(1023a, 1023b)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그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을 가진 브라켓이 상기 제2 관통홀(1023a, 1023b)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어(20)의 도어내측부(201)과 도어외측부(202)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 개구된 단면이 'ㄷ'자형인 도어프레임(203a, 203b)이 개재되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해당 내부 공간에는 단열층(20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는 볼(50)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되기 때문에, 볼수납부(12) 내 고온의 분위기가 본체(10)의 외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도어(20)의 내부에 형성된 단열층(204)은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20) 내부의 단열층(204)은 움푹 패이도록 형성된 도어내측홈(22) 이외의 부분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열층(204)은 공기층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적어도 일부분에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
단열층(201)에 마련된 단열재는, 내부의 고열이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소재이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단열재의 형태 역시 적층 가능한 시트형태나 충진 가능한 폼형태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은, 볼(50)의 가이드돌기(511)가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볼손잡이(55)는 통상 전방을 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에 볼이 수용되어 도어가 닫혔을 때의 도어의 횡단면도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수납부(12)에 인입된 볼(50)의 볼손잡이(55)는 볼수납부(12)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이때 돌출된 볼손잡이(55)는 도어(20)의 폐쇄시,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 안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는 볼(5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볼손잡이(55)가 인입되어 본체(10)의 크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내측홈(22)의 좌우폭은, 가이드돌기(511)의 좌우폭에 상응하되, 볼손잡이(55)의 좌우폭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 안에 볼(50)의 볼손잡이(55)가 인입되었을 때, 볼손잡이(55)의 주변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은, 히팅플레이트(13)에 마련된 볼고정홈(132) 및 볼고정둘레(133)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지만, 볼(50)의 볼손잡이(55)는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의 내벽에 밀착하지 않고, 볼손잡이(55)와 도어내측홈(22)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0) 내 볼수납부(12)가 단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생략된 음식물처리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도어 걸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10)의 전방에는 도어(2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폐쇄된 도어(20)와 결합되는 걸쇠(151)를 포함할 수 있다.
걸쇠(151)에 상응하여 도어(20)는 내측면에 상기 걸쇠(151)와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된 움푹 패인 홀더홈(21)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홈(21)은 도어(20) 폐쇄시 걸쇠(151)와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20) 폐쇄시,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된 걸쇠(151)는 홀더홈(21)에 삽입되어, 걸쇠(151)와 홀더홈(21)는 서로 체결될 수 있고, 걸쇠(151)와 홀더홈(21)의 상호 체결에 의해 도어(20)는 물리적인 조작만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걸쇠(151)는 홀더홈(21)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걸쇠(151)는, 걸쇠구동장치(15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걸쇠로드(1512)와, 상기 걸쇠로드(1512)의 전방 말단부에 상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걸림턱(15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홀더홈(21)의 안쪽 상부에는, 도어(20)의 폐쇄시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걸림턱(1513)이 걸릴 수 있도록 움푹 패인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쇠로드(152)는 걸쇠구동장치(152)에 결합되어, 걸쇠구동장치(152)의 구동에 의해 걸쇠로드(152)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걸쇠(151) 또는 걸쇠로드(1512)는 걸쇠구동장치(152)의 구동에 의해 걸쇠(151)는 하방으로 회동하여 홀더홈(21)에 결합된 걸쇠(151)를 홀더홈(21)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가 자중에 의해 개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어(20)의 개방 이후, 다시 걸쇠(15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걸쇠구동장치(152)는 걸쇠(151)를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구동하거나, 또는 탄성수단에 의한 탄성복원력으로 걸쇠(151)를 상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가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만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도어(20)의 개방을 위한 사용자입력을 받기 위한 도어열림버튼(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어(20)가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어, 도어열림버튼(15)은 본체(10)의 상부 외면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방측, 도어(20)와 근접하도록 위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상부 내측에는 회로기판이 마련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어열림버튼(15)을 통하여 전자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받음으로써, 그에 따라 걸쇠구동장치(15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음식물처리기(1)의 도어(20)를 개방시키기 위해, 사전적으로 도어열림버튼(15)을 터치하거나 눌러 조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가 구속상태에서 해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도어열림버튼(15)에 대한 사용자 조작 없이 도어(20)가 물리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음식물처리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음식물처리기(1)의 각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출력되는 각종 신호나 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볼(bowl)(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시키거나,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상기 피처리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등 다양한 구현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1)의 각종 동작을 수행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도어열림버튼(15)에 대한 사용자 조작 입력이 있으면, 걸쇠구동장치(152)를 작동시킴으로써, 걸쇠(151)가 도어(20)의 홀더홈(21)으로부터 체결이 해제되도록 하여, 도어(20)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 즉 구속 해제 상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볼(50)의 내부 온도에 따라 걸쇠구동장치(152)가 걸쇠(151)를 작동시켜 도어(20)를 개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볼(50)의 내부 온도가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고온의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을 때, 도어(20)를 개방하여 볼(50) 내부의 고온의 분위기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는 볼(50)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 걸쇠구동장치(152)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의 전방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볼수납부(12)에 안착된 볼(5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2)은, 내부에 습기를 함유한 피처리물을 가진 볼(50)이 안착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볼(50)을 지탱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진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102)의 상부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0)이 인출입되는 전방 개구부를 갖되 볼수납부(12)를 형성하는 볼수용하우징(14)과, 볼(50)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플레이트(13)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02)의 하부에는, 볼(50)의 회전부(57)와 결합되어, 볼(50)의 회전부(57)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34)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동장치(34)는 지지프레임(102)의 하부에 매달리도록 결합되되, 이때, 구동장치(34)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343)이 지지프레임(102)에 관통형성된 제1 관통홀(102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축(343)은 지지프레임(102)의 제1 관통홀(1021a)은 물론, 볼수용하우징(14), 그리고 히팅플레이트(13)를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볼수납부(12)에 안착된 볼(50)과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지지프레임(102)과 구동장치(34) 사이에는, 구동장치(34)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이 지지프레임(102)에 전달되지 않도록 지지프레임(102)과 구동장치(3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완충부재(346)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완충부재(346)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 예로, 고무나 실리콘재 따위와 같이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2)과 그 하부에 마련되는 구동장치(34)는, 지지프레임(102)의 상부에서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수단(34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프레임(102)에는 상기 체결수단(345)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타공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수단(345)은 지지프레임(102)의 체결홀을 통해 구동장치(34)에 결합됨으로써, 지지프레임(102)과 구동장치(34)를 상호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진동완충부재(346)는 지지프레임(102)과 구동장치(34)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진동완충부재(346)는 지지프레임(102)의 체결홀과 체결수단(345) 사이,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102)의 체결홀 내주면에 개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왜냐하면, 통상적으로 진동완충부재(346)가 지지프레임(102)과 구동장치(34)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 구동장치(34)에서 발생된 진동이 체결수단(345)을 통해 지지프레임(102)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동완충부재(346)는 지지프레임(102)의 체결홀의 내주면에 개재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완충부재가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완충부재(346)는 지지프레임(102)의 체결홀의 내주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진동완충부재(346)의 측부 외주면에는 지지프레임(102)이 개재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02)의 두께에 상응하는 홈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완충부재(346)는 지지프레임(10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체결수단(345)은 진동완충부재(346)의 중공부에 삽입됨으로써, 지지프레임(102)을 통과하여 구동장치(34)와 체결될 수 있다.
결국, 체결수단(345)이 지지프레임(102)의 체결홀 주변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구동장치(345)와 결합 가능하기 때문에, 구동장치(34)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진동은, 진동완충부재(346)에 의해 지지프레임(102)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34)는 지지프레임(102)의 하부에 매달리도록 결합됨으로써, 본체(10)의 내측 저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구동장치(34)에서 발생된 진동은 본체(10)에도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2)의 상부에 안착되는 볼수용하우징(14)의 일측에는 증발기함(451)과 순환팬(44)이 마련될 수 있으며, 진동완충부재(346)에 의해 구동장치(34)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진동은, 지지프레임(102)에 전달되지 않고 격리되기 때문에, 순환팬(44)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과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102)은, 구동장치(34)의 구동축(343)이 삽입되는 제1 관통홀(1021a)이 마련된 제1 지지플레이트(1021) 이외에, 제1 지지플레이트(1021)의 양측단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2 지지플레이트(1022a, 102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플레이트(1022a, 1022b)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도어(20)의 도어힌지축(20a)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관통홀(1023a, 1023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 지지플레이트(1022a, 1022b) 각각에는 전방측에 제2 관통홀(1023a, 1023b)이 두께 방향으로 타공 형성될 수 있고, 이때 한 쌍의 제2 관통홀(1023a, 1023b)은 서로 상응하도록 마주 배치됨으로써, 도어힌지축(20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2 관통홀(1023a, 1023b)에 도어(20)의 상부 또는 하부의 양측이 결합됨으로써, 도어힌지축(20a)을 중심으로 도어(20)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일 예로서, 제2 관통홀(1023a, 1023b)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024a, 1024b)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결합돌기(1024a, 1024b)는 도어(20) 내 도어프레임(203a, 203b)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2031a, 2031a', 2031b, 2031b'), 일 예로 한 쌍의 결합공(2031a, 2031a', 2031b, 2031b') 중 바깥쪽에 위치한 결합공(2031a, 2031b)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도어(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힌지축(20a)이 소정의 강성을 가진 제2 지지플레이트(1022a, 1022b)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도어(20)에 소정의 충격이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제2 지지플레이트(1022a, 1022b)가 소정의 강성을 갖고 있어, 본체(10) 전반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도어완충장치(23)는 일단이 제2 관통홀(1023a, 1023b) 및/또는 결합돌기(1024a, 1024b)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한 쌍의 결합공(2031a, 2031a', 2031b, 2031b')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도어완충장치(23)는 유체나 탄성부재의 저항을 이용하여, 도어프레임(203a, 203b)이나 이를 포함한 도어(20)의 일방향 또는 양방향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개폐 동작을 하는 도어(20)로부터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돌아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2)은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는 전방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전방프레임(10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본체전방프레임(101)은 볼수납부(12)에 상응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으며, 개구부를 통해 볼(50)은 인출입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2), 구체적으로 그 전단부는 본체전방프레임(10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20)는 본체전방프레임(101)이 아닌, 지지프레임(10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본체전방프레임(101)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프레임(102)의 상부에는 볼수납부(12)와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될 수 있고, 지지프레임(102)의 하부에는 구동장치(34)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도면부호 341은,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가리킬 수 있고, 도면부호 342는 체결수단(345)에 의해 지지프레임(102)과 결합되는 몸체로서, 상면에 체결수단(345)과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342a~342f)을 포함하며, 또 구동모터(341)가 결합되어, 구동모터(341)의 회전 구동력을 구동축(343)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가리킬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 343은 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제어부의 제어지령을 구동모터에 전달하거나, 제어부가 구동모터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구동모터의 전류나 전압 따위를 독출하기 위해, 전기적인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전기단자부일 수 있다.
또한, 볼수납부(12)의 저면,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용하우징(14)의 저면에는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될 수 있다.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전기를 이용하여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전기히터 따위의 발열체를 이용한 하이라이트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고, 유도가열을 이용한 인덕션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해진 열에 의해,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가열되어 건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볼(50)의 내부는 젖은 피처리물로부터 고온의 습증기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습증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등은 본체(10) 내 기계실에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생략된 음식물처리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기계실 내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그리고 12 내지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기계실에는 볼(50) 내부의 습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증발기(45)와, 유량조절밸브(46)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기계실은 고장 발생 등에 사용자가 아닌 작업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볼수납부(12)와 구획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의 외피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수리 등을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는 볼수납부(12)를 형성하는 볼수용하우징(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볼(50)이 볼수납부(12)에 장착시 볼수용하우징(14)은 도어(20)와 함께 볼(50)을 감쌀 수 있다.
볼수용하우징(14)은 측면이 원통형의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측면과 상응하는 둥글게 굽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볼수용하우징(14)에 의해, 그 내부에 형성되는 볼수납부(12)는 그 외부의 본체(10) 내 기계실과 구획될 수 있으나, 다만, 볼수용하우징(14)의 내부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볼(50)의 내부와 기계실 내 일 장치 간에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볼수용하우징(14)은 일측에 관통형성된 연통구(141)를 가질 수 있다.
볼수용하우징(14)에 관통형성된 연통구(141)는 볼수용하우징(14) 내 장착된 볼(50)의 통기구(54)와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통구(141)는 전방측, 즉 도어(20)측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이 장착되면, 볼(50)의 통기구(54)는 기계실 내 일 장치(일 예로, 증발기)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서로 연통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수용하우징(14)의 일측, 즉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의 후방 외측에는, 내부에 증발기(45)가 수용된 증발기함(451)이 마련될 수 있고, 이때, 증발기함(451)의 일측(일 예로 전방측)에 형성된 개구부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와 마주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 장착시, 볼(50)의 내부는 볼(50)의 통기구(54)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내부에 마련된 증발기(45)와 연통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와 응축기(47)는 증발기함(451)에 의해 분리되어 구획된 서로 다른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451)은, 내부에 응축기(47)를 제외한 증발기(45)만을 수용하는 함체일 수 있다.
다만, 증발기함(45)은 내부 수용공간에 증발기(45)를 수용하되, 다만 냉매가 증발기함(45) 외부에 마련된 기계실의 압축기(48) 및 응축기(47)와 순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냉매는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유량조절밸브(46)와, 증발기(45)를 순차로 순환하는 순환냉매유로(Fr)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도 18 및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에 의해 볼(50)의 내부에서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를 통과함으로써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이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48)는 냉매순환유로(Fr) 상 증발기(45)와 응축기(47)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가 냉매순환유로(Fr)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압축기(48)는 증발기(45)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47)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기(47)는 압축기(48)에서 이송되어 온 냉매와 외기 간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응축기(47)를 통과하는 냉매는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후측방에는 응축기(47)로부터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다수 타공 형성된 통기공(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 도 12 내지 1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 내부에 있는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기 위해 응축기(47)의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팬(49)이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증발기(45)를 통과한 볼(50) 내부의 증기가 응축기(47)로 유도되지 않도록 증발기함(45)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볼수용하우징(14)의 후방측에 마련된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는 순환팬(44)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증발기함, 그리고 순환팬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과, 증발기함(451)과, 순환팬(44)은 직렬로 배치될 수 있고,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 내부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를 통과한 다음, 다시 볼(50) 내부로 순환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팬(44)은 순환기류를 형성하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순환팬(44)은 원심팬일 수 있다.
이러한 순환팬(44)은 회전축이 전방측, 즉 증발기(45) 또는 볼(5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에 마련된 증발기함(451)의 흡기구(455)를 통해, 증발기(45)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흡기될 수 있다.
이렇게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임펠러(443)의 회전으로,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배기덕트(445)로 배기될 수 있다.
즉,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 내부에 습기를 함유한 고온고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의 통기구(54) 및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를 통해, 증발기함(451) 내부의 증발기(45)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고온고습의 증기는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되고, 이는 다시 순환팬(44)을 지나 배기덕트(445) 및 증발기함(451)을 거쳐 다시 볼(50)의 통기구(54)를 통해 볼(50)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공기유로(Fa)를 형성할 수 있다(도 18 및 19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50)의 일측에 형성된 통기구(54)는 공기가 유입하는 경로와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가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관통구일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증발기함(451)은 전방에 유출입구(453, 454)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유출입구(453, 454)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통기구(54)와 마주하여 상호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는 볼(50)의 내부공기가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마련하고, 증발기함(451)의 배출구(454)는 유입구(453)와 반대로 증발기함(451)의 내부공기가 볼(50)의 내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마련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 및/또는 배출구(454)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통기구(54)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전방측, 즉 도어(20) 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에 볼(50)의 장착시,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 및 배출구(454)는 볼(50)의 통기구(54)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볼수납부(12)에 볼(50)의 장착시, 볼(50)의 통기구(54) 내주면에는,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 및 배출구(454)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이때 볼(50)과 증발기함(451) 사이에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통기구(54)의 내주면에는 고무나 실리콘재 따위의 패킹부재(541)가 마련될 수 있다(도 22 참조).
한편,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와 배출구(454)는, 볼(50)의 통기구(54)와 마찬가지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일 실시예에 따라, 유입구(453)와 배출구(454) 각각은, 도 14 및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개로 나누어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는 배출구(454) 보다 그 구멍 면적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볼(50)에서 증발기함(451)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볼(50)의 내부에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되어 열팽창된 공기이지만, 증발기함(451)에서 볼(50)로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된 공기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는, 볼(50)의 통기구(54)와 상응하도록 형성되되, 그 내부 중 일부분에 증발기함(451)의 배출구(454)가 격벽에 의해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볼(50)의 통기구(54)가 대략 둥근 모서리를 가진 장방형인 경우,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 역시 이에 상응하여 대략 둥근 모서리를 가진 장방형일 수 있고, 이때 유입구(453)의 내부 중 일부에 대략 원형의 배출구(454)가 격벽에 의해 구획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구(453) 내 배출구(454)가 차지하는 영역은 나머지 영역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함(451)은 후방에 관통 형성된 흡기구(455)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에 순환팬(44)을 수용한 팬하우징(442)은, 일측(일 예로 전방측)에 개구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되, 팬하우징(442)의 개구부는 증발기함(451)의 흡기구(455)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증발기함(451)의 흡기구(455)가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 마련된 순환팬(44)의 회전축과 마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팬하우징(442) 내 순환팬(44)의 구동으로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흡기구(455)를 통해 순환팬(44)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5)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으로부터 흡입되고, 이렇게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임펠러(443)의 회전에 의해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배기덕트(445)로 배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순환팬(44)을 수용한 팬하우징(442)은, 임펠러(443)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판(444)이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임펠러(443)의 회전구동으로 회전축의 전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원심력이 부여되고, 원심력을 가진 공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 유동할 때 가이드판(444)은 그 공기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판(444)의 일측, 일 예로 상측의 일부는 개구 형성되어, 가이드판(444)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유동하는 공기는 원심력에 의해 가이드판(444)의 개구부를 통해 원심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가이드판(444)의 개구부에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된 배기덕트(445)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팬하우징(442)의 내측에 격벽 형태로 가이드판(444)과, 일측 개구부에서 연장 형성된 배기덕트(445)가 마련될 수 있다.
결국, 배기덕트(445)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그 전방에 마련된, 즉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 형성된 배기구(4561)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다시말해,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는 순환팬(44)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455)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 이외에 순환팬(44)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456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흡기구(455)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통과한 공기가 순환팬(44)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지만, 배기구(4561)는 순환팬(4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볼(50)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발기함(451)은 후방측의 배기구(4561)로부터 유입된 저온저습의 증기가 볼(50)의 내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증발기함(451)은 후방측의 배기구(4561)와 전방측의 배출구(454)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배관(45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배관(456)은 증발기함(451)의 전후방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증발기함(451)의 배기구(4561)와 배출구(454)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볼(50)의 내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배관(456)은 증발기함(451)의 배기구(4561)와 배출구(454)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증발기함(451)이 전방케이싱(451a)과 후방케이싱(451b)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배관(456)의 일부는 증발기함(451)의 후방케이싱(451b)의 배기구(456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고, 연결배관(456)의 또 다른 일부는 증발기함(451)의 전방케이싱(451a)의 배출구(454)가 후방으로 연장형성됨으로써, 전방케이싱(451a)과 후방케이싱(451b)이 서로 마주 결합되는 경우, 그 결합에 의해 증발기함(451)의 전후방을 가로지르는 연결배관(456)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는, 증발기함(45) 내부의 증발기(45)를 지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며, 이때 냉각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는, 증발기함(45)의 내부에 저류할 수 있다.
이때, 증발기함(45)은 내부에 저류하고 있는 응축수가 자연적으로 또는 강제로 증발기함(45) 외부의 기계실이나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응축수배출구(4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증발기(45)는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볼(50) 내부로부터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와 순환냉매유로(Fr)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 간에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증발기(45)를 통과하는 증기는 냉각되고, 증발기(45)를 통과할 때 증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45)는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면을 넓히기 위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앤튜브(pin&tube) 타입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렇게 제거된 수분에는 피처리물로부터 유래된 악취가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순환팬(44)을 소정의 구동속도로 지속 구동하여,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된 볼(50)의 내부공기, 즉 고온고습의 습증기를 증발기(45)에 반복 공급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45)가 고온고습의 습증기를 반복 응축함으로써, 증발기함(451) 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에 악취를 농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볼(50)의 내부에 대하여 건조행정을 완료한 이후라고 하더라도, 순환팬(44)의 구동을 계속하여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볼(50)의 내부로 공급하여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볼(50)의 내부가 건조되었다고 하더라도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의 내부는 여전히 고온의 분위기를 가질 수 있고, 이는 볼(50)을 본체(10)로부터 인출하는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볼(50)의 내부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이후라고 하더라도, 순환팬(44)의 구동은 물론, 바람직하게는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계속하여, 볼(50)의 내부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사용자가 볼(50) 내부에 처리가 완료된 잔여 피처리물을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는 볼(50) 내부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이후, 오히려 순환팬(44)의 구동속도를 건조행정에서의 구동속도 보다 더 높일 수 있고, 또 압축기(48)의 구동속도 역시 건조행정에서의 구동속도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5)를 내부에 수용한 증발기함(451)의 내부에는, 순환팬(44)에 의해 인입된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저류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를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451)의 저면에는 응축수배출구(452)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응축수배출구(452)를 통해 외부로 자연배수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의 종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함(451)의 저면에는 응축수배출구(452)가 마련되되, 증발기함(451)의 저면은 상기 응축수배출구(452)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4511~4512)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바닥으로 낙하할 수 있고, 이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4511~4512)을 따라 응축수배출구(452)로 유도됨으로써,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의 내부 고온고습의 증기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거쳐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저온저습의 증기는 팬하우징(442)의 배기덕트(445)와, 증발기함(451) 내 연결배관(456)을 통해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동하는 순환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순환기류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볼(50) 내부의 수분과 악취는 증발기함(451) 내 응축수 형태로 변환될 수 있고, 증발기(45)에 의해 수분과 악취가 제거된 공기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 즉 악취가 용해되어 있는 응축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배출구(452)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수되되, 이때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는 응축수탱크(70)의 내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증발기함(451) 내 응축수는 자연적으로 응축수탱크(70)로 유입되어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응축수탱크(70) 또는 응축수탱크유입구는, 증발기함(451) 또는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의 하부, 즉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증발기함(451) 내 발생된 응축수가 응축수탱크(70)로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모터(75)는 흡입구와 배출구를 갖되, 흡입구는 응축수탱크(70)의 응축수탱크배출구(711)에 연결될 수 있고, 배출구는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된 배관(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배출모터(75)의 구동으로 흡입구에는 음압이 발생하여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된 응축수가 흡입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배출구에는 양압이 발생하여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응축수를 본체(10)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즉, 배출모터(75)의 구동에 따라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된 응축수는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된 응축수는 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 만족시 필요에 따라, 일 예로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고수위인 경우 배출모터(75)를 구동하거나, 또 주기적으로 또는 일련의 동작과정수행 중 배출모터(75)를 구동함으로써,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된 응축수를 본체(10)의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배출모터(75)의 미구동시에는, 응축수탱크(70) 내 응축수가 배수되지 않고 누적하여 적수될 수 있다.
한편, 응축수탱크(70)의 상부에는, 응축수탱크(70) 내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로서 제1 통기공이 마련될 수 있고, 이때, 제1 통기공은 응축수탱크(70) 내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일 예로, 본체(10) 내 기계실 또는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수탱크로 유입된 응축수는 응축수탱크(70)의 내부에 저장되지만, 이와 함께 응축수탱크(70)는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응축수탱크(70)는 상기 제1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순환기류(볼(50) - 증발기함(451) - 순환팬(44)) 내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즉, 증발기함(451)의 내부는 응축수탱크(70)의 내부와 연결되고, 응축수탱크(70)에 관통 형성된 제1 통기공을 매개로, 외부 공기가 응축수탱크(70)나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이와 반대로 순환기류 내 공기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폐쇄된 순환기류 내 압력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그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피처리물로부터 발생된 악취는 응축수에 농축되어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기류 내 일부 공기에서는 악취 유발 물질이 적다.
다만, 적은 양이더라도 악취 유발 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탱크(70)의 제1 통기공에는 탈취필터(6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필터(60)는 공기 내 악취를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활성탄 소재의 흡착제를 포함한 필터일 수 있고, 또 충진형(분말형 또는 가루형 등)이나 블럭형 등일 수 있으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터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
다만, 블럭형 필터는 분말형태의 필터가 열과 압력 등에 의해 압축되어 형성된 것으로, 분말사이로 공기가 빠져나가 필터기능이 저하되는 충진형 필터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필터(60)는, 블럭형 필터일 수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탈취필터(6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은 작기 때문에 여과 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블럭형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탈취필터(60)는 탈취능력이 저하되거나 사용기한을 도과한 경우 등에는 교체 가능하도록 탈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본체(10) 내 사용자나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 일 예로 본체(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나 작업자는 본체(10)의 외피 중 탈취필터(60)와 상응하는 부분을 탈거하여, 기존 탈취필터(60)를 탈착하고 새로운 탈취필터(6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응축수탱크(70)의 제1 통기공과 전방의 탈취필터(60)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기관(91)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배기관(91)의 일단은 제1 통기공에 연결되고, 배기관(91)의 타단은 탈취필터(60)에 연결될 수 있다.
결국, 볼(50), 증발기함(451), 그리고 순환팬(44) 간에 순환하는 순환기류 내 공기 일부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함(451)으로부터 응축수탱크(70)로, 그리고 응축수탱크(70)의 제1 통기공을 거쳐 배기관(91)을 따라 외부로 배기되되, 이때 배기관(91)의 말단에 위치한 탈취필터(60)를 거쳐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배기되는 공기 내 악취 유발 물질이 흡착 제거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폐쇄된 순환유로에서 발생하는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50)의 내부 공기는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순환기류 내 양압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순환기류 내 일부 공기는 응축수탱크(70)의 제1 통기공에 연결된 배기관(91)과 탈취필터(60)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순환유로 내 양압은 제거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는 탈취필터(60)를 통해 배기관(91)을 따라 제1 통기공을 거쳐 응축수탱크(70) 또는 증발기함(451)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폐쇄된 순환유로 내 음압발생시 그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즉, 증발기(45)에 의해 순환유로 내 공기가 냉각 응축되어 폐쇄된 순환유로 내 음압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고, 또 배출모터(75)의 구동으로 응축수탱크(70)의 내부 역시 음압의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외기는 탈취필터(60)를 통해 도입될 수 있다. 탈취필터(60)로 도입된 외기는 이에 연결된 배기관(91) 및 제1 통기공을 통해 증발기함(451) 또는 응축수탱크(70)로 유입됨으로써, 순환유로 내 음압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탱크(70)와 탈취필터(60) 사이에 마련되어, 응축수탱크(70)에서 배출되는 공기 내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팽창탱크(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탱크(80)는 응축수탱크(70)로부터 탈취필터(60)로 배기되는 유로 상에 마련되어, 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내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팽창탱크(80)는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연통공을 포함할 수 있고, 또 팽창탱크(80)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 통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팽창탱크(80)의 연통공은 응축수탱크(70)의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팽창탱크(80)의 제2 통기공은 배기관(91)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응축수탱크(70) 내 공기는 통기공, 연통공, 그리고 제2 통기공을 순차로 통과하고 배기관(91)과 탈취필터(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팽창탱크(80)는 응축수탱크(70)의 상부, 구체적으로 팽창탱크(80)의 연통공이 응축수탱크(70)의 통기공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되,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응축수탱크(70)로부터 습기를 포함하지 않은 공기가 팽창탱크(80)로 자연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팽창탱크(80)의 제2 통기공은, 연통공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80)의 제2 통기공을 통해 습기를 함유하지 않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통기공은 팽창탱크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응축수탱크(70)의 통기공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통공은 팽창탱크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팽창탱크하우징을 중심으로 하부의 연통공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습기가 제거되어, 그 상부의 제2 통기공으로 배기될 수 있으며, 이때 팽창탱크(80)가 연통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팽창탱크하우징의 내부에는 탈습을 위한 부재가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하우징의 내부에는 탈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마련함으로써, 팽창탱크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내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벽은 팽창탱크하우징 내 연통공에서 제2 통기공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마련되되, 그 유로 중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은 팽창탱크하우징의 내부 상측벽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격벽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둘 이상의 격벽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결국, 팽창탱크하우징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할 때, 공기 내 수분은 제거되어 탈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팽창탱크(80)를 통해 탈취필터(60)로 인가되는 공기가 제습되어 건조된 상태이기 때문에 탈취필터(6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볼(bowl)
한편, 다시 돌아와,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는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볼(50)이 수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분해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0)은 피처리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본체(51)와, 용기본체(51)의 개구부를 덮는 용기뚜껑(52)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51)는 내부에 피처리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상으로서, 본 발명은 그 형상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원통형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볼(50) 또는 용기본체(51)를 용이하게 옮기거나 본체(10)에 탈장착할 수 있도록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볼손잡이(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손잡이(55)는 용기본체(51)의 일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51)는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5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511)의 형상이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용기본체(51)의 저면 중 전방측, 또는 용기본체(51)의 저면 중 볼손잡이(55)가 있는 방향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돌기(511)는, 도어(20)의 내측면에 움푹 패인 형상의 도어내측홈(22)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돌기(511)는 도어내측홈(22)의 단면에 상응하도록 좌우폭이 넓은 대략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용기뚜껑(52)는 피처리물이 인출입되는 용기본체(51)의 개구부를 덮어 용기본체(51)의 내부를 폐쇄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한 용기본체(51)의 개구부(51a)에 용기뚜껑(52)이 덮어짐으로써, 용기본체(51) 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풍기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뚜껑(52)은 본체용기(51)의 개구부(51a)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용기(51)의 개구부(51a)에 용기뚜껑(52)은 안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본체(51)의 개구부와 이를 덮는 용기뚜껑(52) 사이에 기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용기본체(51)의 개구부의 내주면 및/또는 용기뚜껑(52)의 저면에는 패킹부재(535)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용기본체(51)의 개구부와 용기뚜껑(52) 사이에 패킹부재(535)가 개재되어, 용기본체(51)의 습증기가 순환팬(44)에 의해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순환할 때 용기본체(51) 내 악취 등이 용기본체(51)의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의 일측에는, 볼(50)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통기구(54)를 포함할 수 있다.
통기구(54)는 용기본체(51)의 내부와 그 외부를 연통하는 경로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볼(50)이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용하우징(14)에 장착될 때, 통기구(54)는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기계실 내 일 장치, 구체적인 일 예로,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기구(54)에 의해 볼(50)의 내부는 음식물처리기(1), 구체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그리고 증발기 등을 포함한 냉동사이클과 연결될 수 있고, 냉동사이클 내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순환팬(44)의 구동으로 용기본체(51) 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습증기는 흡입되어,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응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건증기는 다시 용기본체(51)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통기구(54)는 내부의 습증기가 외부, 즉 음식물처리기(1)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외부의 건증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분되어 나누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증기 및 건증기가 하나의 유출입구, 즉 하나의 처리구(12)로 통합될 수도 있다.
이렇게 볼(50)의 통기구(54)를 통해 용기본체(51) 내부의 습증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로부터 건증기가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볼(50) 내 음식물쓰레기는 건조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통기구(54)가 증발기함(451), 구체적으로 유입구(453) 및 배출구(454)와 연결될 때 기밀을 유지하며 연결될 수 있도록, 통기구(54)의 내주면 및/또는 외주면에는, 통기구(54)를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나 실리콘재 따위의 패킹부재(54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50)의 일측에 형성된 통기구(54)는 그 위치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용기뚜껑(5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기구(54)는, 볼(50)이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에 인입될 때 그 볼수납부(12)를 마주하도록, 볼(50)에 마련된 볼손잡이(55)와 반대방향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볼(50)이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에 인입될 때,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와의 연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통기구(54)는 용기뚜껑(52)의 일 측에 돌출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볼(50), 구체적으로 용기본체(51)의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볼(50) 또는 용기본체(51)를 용이하게 옮기거나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에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볼손잡이(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손잡이(55)는 용기본체(51)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상기 볼손잡이(55) 이외에, 접이식손잡이(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이식손잡이(512)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하되, 볼(50)의 좌우양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볼(50) 또는 용기본체(51)를 위에서 용이하게 들어, 싱크대 상판 위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이식손잡이(512)는 용기본체(51)의 양측에 삽입되어, 삽입 위치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가동부가 하방으로 젖혀졌을 때 볼손잡이(55)에 결합되거나 볼손잡이(55) 위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말해, 가동부와 고정부를 포함한 접이식손잡이(512)는 대략 'ㄷ'자 또는 '⊂'자로 형성되되, 양단부는 용기본체(51)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젖힘시 고정부는 볼손잡이(55)에 결합되거나 안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볼손잡이(55)는, 상기 접이식손잡이(512)와 다르게, 사용자가 측면에서 볼(50)을 파지하여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를 향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하거나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용기본체(51)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볼손잡이(55)와 접이식손잡이(512)는 용도 및 형상에 서로 차이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50), 구체적으로 용기본체(51)의 저면에는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51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511)는 볼(50)이 싱크대 상판 위에 안착될 때 볼(5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511)는 용기본체(51)의 저면 테두리 중 일부와 함께 볼(50)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돌기(511)는 용기본체(51)의 저면 테두리 중 일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본체(51)의 저면 테두리 중 볼손잡이(55)가 위치한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51)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511)는 너비 방향으로 넓게 형성되어 볼(50)이 싱크대 상판 위에 안착될 때 안정적으로 지지케 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돌기(511)는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가 일 그룹을 형성하여 너비 방향으로 넓게 배치될 수도 있다.
결국, 용기본체(51)가 싱크대 상판 위에 안착되어 소량의 음식물쓰레기가 반복 투입될 때, 가이드돌기(511)가 용기본체(51)를 바닥으로부터 이격 지지함으로써, 싱크대 상판 위의 물기가 용기본체(51)의 저면은 물론, 후술하는 볼커플링(56)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돌기(511)는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인입될 때 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아, 그에 갈음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 또는 용기본체(51)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볼커플링(56)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볼커플링(56)은, 본체(10)의 볼수납부(12) 저면에 마련된 본체커플링(미도시)과 결합 가능하며, 본체(10)의 구동장치(34)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의 구동에 따라 이에 결합된 본체커플링을 매개로 볼커플링(56)은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56) 사이의 결합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56)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면에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함몰 형성된 함몰부가 교번 배치되어,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56)이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56)은 서로 이물림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커플링의 구동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는 회전 구동력은 볼커플링(56)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볼(50)의 볼커플링(56)은 용기본체(51)의 저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어, 볼(50)이 싱크대 상판 위에 안착될 때 돌출된 볼커플링(56)에 의해 전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본체커플링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함몰부 각각이 볼커플링(56)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함몰부 각각에 마주하여, 서로 이물림 결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기 전에 미리, 서로 정합하도록 구동장치(34)를 이용하여 본체커플링을 소정 각도씩 소정 횟수만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3 및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본체(51) 내부에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부(57)와, 상기 회전부(57)의 외주면에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58a~58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57)는 볼커플링(56)과 상호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본체(10)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은 회전 구동력을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56)을 매개로, 회전부(57)에 전달될 수 있다.
이 이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본체(51)의 내측벽에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를 포함할 수 있다.
결국,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가동날개(58a~58c)와, 용기본체(51)의 내측벽에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는 상호 작용에 의해, 볼(50)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하도록 적층 형성된 복수의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격 형성된 복수의 날개들 사이로 회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58a~58c)가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와 가동날개(58a~58c) 사이에 개재된 피처리물은 파쇄 및/또는 교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가동날개(58a~58c)와,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의 형상이나 개수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본체(51)와 이의 일측 개구부(51a)를 덮는 용기뚜껑(52) 사이에는, 용기본체(51)의 내부 밀폐를 위해, 기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패킹부재(535)가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본체(51)의 개구부(51a)의 내주면 및/또는 외주면이나, 또는 용기뚜껑(52)의 내주면 및/또는 외주면에는 패킹부재(535)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용기본체(51)와 용기뚜껑(52) 사이에 패킹부재(535)가 개재되어, 용기본체(51)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의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게 차단할 수 있다.
용기본체(51)와 용기뚜껑(52) 사이에 패킹부재(535)를 개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뚜껑(52)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용기뚜껑(52)의 단면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 패킹부재(535)가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뚜껑(52)의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패킹부재(535)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 방향으로 움푹 패이도록 홈이 형성되거나 단차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결국, 용기본체(51)와 용기뚜껑(52)이 결합할 때, 용기뚜껑(52)의 하단부의 외주면을 두르도록 마련된 패킹부재(535)는 용기본체(51)의 상단부 내주면과 기밀을 유지하며 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부재(535)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차단부(53)는 하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532)를 마련할 수 있고, 용기뚜껑(52)에 결합된 차단부(53)의 플랜지부(532)가 패킹부재(535)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용기본체(51)의 상단 내측면과 용기뚜껑(52)의 하단 외측면 사이에 패킹부재(535)가 개재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패킹부재(535)는 용기뚜껑(52)과 그의 내측에 결합된 차단부(53)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패킹부재(535)는 차단부(53)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5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차단부(53)의 플랜지부(532)에는 패킹부재(535)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패킹부재(535)를 지지하는 지지돌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돌기는 바람직하게 복수 개가 이격 또는 연속 배치되도록 차단부(53)의 플랜지부(532)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돌기는 플랜지부(532)의 형상에 따라 대략 돌출된 원형의 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차단부(53)가 통기구(54)의 개폐를 위해 자전 회동할 때 차단부(53)의 플랜지부(532)가 패킹부재(535)와 면접하지 않고 접하는 부분이 선 또는 점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회전하는 차단부(53)가 패킹부재(535)에 의해 그 회전이 저지되거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뚜껑(52)에 마련된 통기구(5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용기뚜껑(52)의 내측에 차단부(53)가 인접 또는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차단부(53)는 통기구(54)의 어느 일측에서 다른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이동에 따라 통기구(54)는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차단부(53)는 용기뚜껑(52)의 내측에 인접 또는 접하여 마련되도록 다양한 형태의 판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53)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부(53)의 외측면이 대략 용기뚜껑(52)의 내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용기뚜껑(52)이 일측이 막힌 원통형인 경우, 차단부(53) 역시 일측이 막힌 원통형으로서 용기뚜껑(52)의 내측면에 인접 또는 접하게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용기뚜껑(52)의 내측에 마련된 차단부(53)는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534)을 중심으로 자전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되, 일측면에는 관통형성된 관통구(5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뚜껑(52)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차단부(53)의 경우, 상기 관통구(531)가 용기뚜껑(52)의 통기구(54)의 위치와 적어도 일부가 일치하여 정렬되는 경우, 볼(50)의 내부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관통구(531)의 위치가 통기구(54)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볼(50)의 내부는 외부와 차단되고, 볼(50)의 내부는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53)는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534)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외력에 의해 자전 회동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단부(53)의 중심 회전축에는 개폐손잡이(521)의 회전축 또는 자전축과 축결합될 수 있다.
개폐손잡이(521)는 볼(50) 또는 용기뚜껑(52)의 외부에 노출되되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차단부(53)의 중심 회전축(534)과 축결합될 수 있고, 결국 개폐손잡이(521)의 회동에 따라, 차단부(53)는 자전 회동하여 용기뚜껑(52)의 통기구(54)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뚜껑(52)의 상부에 마련된 개폐손잡이(521)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차단부(53) 또는 관통구(531)는, 통기구(54)를 중심으로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통기구(54)를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폐손잡이(521)를 이용하여 통기구(54)를 폐쇄한 상태에서, 싱크대 상판 위에 안착된 볼(50)의 용기뚜껑(52)을 열고 용기본체(51)에 소량의 음식물쓰레기를 반복하여 투입할 수 있고, 또 볼(50) 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에 투입할 때에는 개폐손잡이(521)를 이용하여 통기구(54)를 개방하고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에 인입시킬 수 있다.
차단부(53)는 용기뚜껑(52)에 마련된 개폐손잡이(521)에 대한 사용자조작으로 회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기구(54)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볼(50)이 인입되는 음식물처리기(1) 내 마련된 구동장치에 의해 통기구(54)가 개폐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통기구(54)가 폐쇄된 상태에서 볼(50)이 음식물처리기(1)의 볼수납부(12)에 인입되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차단부(53)의 회전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여 자동으로 통기구(54)를 개방하고, 볼(50) 내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거나 분쇄 및/또는 교반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음식물처리기 10: 본체
102: 지지프레임 1021: 제1 지지플레이트
1021a: 제1 관통홀 1022a, 1022b: 제2 지지플레이트
1023a, 1023b: 제2 관통홀 1024a, 1024b: 결합돌기
11: 통기공 12: 볼수납부
13: 히팅플레이트 132: 볼고정홈
133: 볼고정둘레 14: 볼수용하우징
141: 연통구 15: 도어열림버튼
151: 걸쇠 1512: 걸쇠로드
1513: 걸림턱 152: 걸쇠구동장치
20: 도어 20a: 도어힌지축
201: 도어내측부 202: 도어외측부
203a, 203b: 도어프레임 2031a, 2031a', 2031b, 2031b': 결합공
204: 단열층 21: 홀더홈
22: 도어내측홈 23: 도어완충장치
34: 구동장치 341: 구동모터
342: 동력전달부 342a~342f: 결합공
343: 구동축 344: 접촉단자
345, 345a~345f: 체결수단 346, 346a~346f: 진동완충부재
44: 순환팬 442: 팬하우징
443: 임펠러 444: 가이드판
445: 배기덕트 45: 증발기
451: 증발기함 451a: 전방케이싱
451b: 후방케이싱 4511~4512: 경사면
452: 응축수배출구 453: 유입구
454: 배출구 456: 연결배관
4561: 배기구 46: 유량조절밸브
47: 응축기 48: 압축기
49: 방열팬 50: 볼
51: 용기본체 511: 가이드돌기
512: 접이식손잡이 52: 용기뚜껑
521: 개폐손잡이 53: 차단부
531: 관통구 532: 플랜지부
534: 회전축 535: 패킹부재
54: 통기구 541: 패킹부재
55: 볼손잡이 56: 볼커플링
57: 회전부 58: 가동날개
59a: 제1 고정날개 59b: 제2 고정날개
60: 탈취필터 70: 응축수탱크
80: 팽창탱크 91: 배기관

Claims (11)

  1.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볼수납부에 안착된 상기 볼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볼의 회전부와 결합되어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완충부재;
    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완충부재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본체에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매달리도록 결합되어, 하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체결홀을 통해,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홀 사이에 상기 진동완충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상기 진동완충부재는,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구동축이 통과하는 제1 관통홀이 마련된 제1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단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상기 도어의 도어힌지축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방 외관을 형성하되, 상기 볼수납부에 상응하는 개구부를 가진 본체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본체전방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납부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볼수용하우징; 및
    상기 볼수용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되, 내부에 증발기를 포함하는 증발기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용하우징은, 상기 볼수납부에 상기 볼의 안착시 상기 볼에 관통형성된 통기구와 연결되는 연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볼수납부에 안착된 상기 볼의 내부는, 상기 통기구 및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증발기함의 내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용하우징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함의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의 내부공기가 상기 증발기함을 거쳐 다시 볼의 내부로 유동하는 순환기류를 형성하는 순환팬;
    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진동완충부재에 의해, 상기 순환팬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과 간섭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KR1020220065615A 2022-05-27 2022-05-27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615A KR20230165617A (ko) 2022-05-27 2022-05-27 음식물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615A KR20230165617A (ko) 2022-05-27 2022-05-27 음식물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617A true KR20230165617A (ko) 2023-12-05

Family

ID=8915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615A KR20230165617A (ko) 2022-05-27 2022-05-27 음식물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561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42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01868B1 (ko) 의류건조기
JP6043952B2 (ja) 衣類乾燥機
CN113951641A (zh) 一种多功能家居柜
WO2009038281A1 (en) Garbage dryer
JP6047754B2 (ja) 衣類乾燥機
KR20230165617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16A (ko) 음식물처리기
KR101094609B1 (ko) 건조기의 응축수 수위 표시 장치
KR20230165618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19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20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49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KR20230166842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KR20230167287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48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7282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7283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41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57A (ko) 음식물처리기
KR20240045051A (ko) 음식물처리기
CN114209238A (zh) 一种清洁系统
KR20230166843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060104305A (ko) 격납형 응축식 탈취건조처리기
KR20230167286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