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283A - 음식물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283A
KR20230167283A KR1020220103784A KR20220103784A KR20230167283A KR 20230167283 A KR20230167283 A KR 20230167283A KR 1020220103784 A KR1020220103784 A KR 1020220103784A KR 20220103784 A KR20220103784 A KR 20220103784A KR 20230167283 A KR20230167283 A KR 20230167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tank
condensate tank
bal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광열
우영민
유용희
임동욱
정자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6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28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6Separating volatiles, e.g. recovering solvents from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using buoyant p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볼의 내부 공기가 응축되어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탱크,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는 외장응축수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응축수탱크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통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기부는, 상기 응축수탱크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관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처리기 {FOOD WAST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처리 가능한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식물쓰레기는 분리수거를 위해 음식물쓰레기 저장통에 일정기간 소정의 양만큼 모아두었다가 배출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그러함에도 가정이나 식당 등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등장하였지만, 대부분 부피가 크고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아 실생활에까지는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607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4110호 등에서는 음식물처리기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전제품의 형태로 개발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식물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bowl)과,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는 날개와, 볼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가열장치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음식물처리기의 볼 내부에 수용되는 피처리물을 처리할 때, 피처리물의 수분으로부터 습증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발생된 응축수는 음식물처리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지만, 음식물처리기의 본체 내 피처리물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없는 경우, 본체 내부에서 적수되는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한 필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1-0056076 A1 KR 10-2016-0044110 A1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의 볼 내부에 수용되는 피처리물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없는 경우, 큰 용량을 가진 외장응축수탱크를 본체에 장착하여,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한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볼의 내부 공기가 응축되어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탱크,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는 외장응축수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응축수탱크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통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기부는, 상기 응축수탱크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관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의 내부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되, 열교환기가 수용되는 증발기함, 및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의 내부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다시 상기 볼의 내부로 유동하는 순환기류를 형성하는 순환팬을 더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함에서 발생된 상기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탱크 또는 상기 외장응축수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장응축수탱크는, 상기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유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장응축수탱크의 만수위시 상기 응축수유입부의 응축수유입유로가 폐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장응축수탱크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응축수유입부를 개폐하는 응축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기부에는 상기 통기부를 개폐하는 밸브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장응축수탱크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응축수의 수면 위에 부유하는 부레, 및 상기 부레의 승강에 따라 상기 응축수유입유로를 개폐하는 유로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장응축수탱크는, 상기 응축수유입유로를 형성하되, 상기 응축수유입유로에 마련된 상기 유로개폐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부레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사이에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마련된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부레의 상승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유로개폐부재를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응축수유입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로개폐부재는, 상승시 상기 응축수유입유로를 폐쇄하고, 하강시 상기 응축수유입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음식물처리기는, 상기 응축수탱크 내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압하는 배출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모터의 구동에 의해 밀폐된 상기 외장응축수탱크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외장응축수탱크의 내부 공기는 통기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내부에 형성된 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는, 상기 응축수탱크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관에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내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필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기부는, 상기 응축수탱크와 상기 탈취필터 사이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음식물처리기는, 상기 응축수탱크 내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압하는 배출모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모터의 구동시, 상기 본체의 외부 공기는 상기 탈취필터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장응축수탱크는, 상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볼의 내부 공기가 응축되어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외장응축수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응축수탱크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통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기부는, 상기 본체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관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처리기의 볼 내부에 수용되는 피처리물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없는 경우, 큰 용량의 외장응축수탱크를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응축수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이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수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생략된 음식물처리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기계실 내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증발기함, 그리고 순환팬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순환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탱크의 분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탱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탱크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장응축수탱크가 마련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응축수탱크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응축수탱크가 장착되는 본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응축수탱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별 부레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및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유입유로를 개폐하는 유로개폐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응축수탱크의 응축수유입유로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응축수탱크의 응축수유입유로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음식물처리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이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수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내부에 볼(bowl)(50)이 수납되는 본체(10)와, 본체(10)에 마련되어 본체(10) 내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50)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자는 볼(50) 내부에 피처리물을 담은 다음, 볼(50)을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 장착시키면, 음식물처리기(1)는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건조하거나, 분쇄 및/또는 교반시킴으로써 처리할 수 있다.
볼(5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511)는 도어(20)의 내측면에 움푹 패인 형상의 도어내측홈(22)에 삽입되어 도어내측홈(22)의 형상에 따라 볼수납부(12)에 인입되거나 볼수납부(1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하, 음식물처리기(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체(10)는 음식물처리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와,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에 개폐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체(10)의 도어(20)가 마련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20)의 개방시 볼수납부(1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고 볼(50)을 볼수납부(12)에 장착한 다음, 도어(20)를 폐쇄함으로써 음식물처리기(1)에 의해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케할 수 있다.
볼수납부(12)는 도어(20) 폐쇄시 외부와 격리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할 때 볼(50) 내부의 피처리물로부터 유발되는 악취 등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10)와 도어(20)가 마주 접하는 부분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도어(20) 폐쇄시 볼수납부(12)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수납부(12)의 저면에는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될 수 있다.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전기를 이용하여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전기히터 따위의 발열체를 이용한 하이라이트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고, 유도가열을 이용한 인덕션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해진 열에 의해,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가열되어 건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볼(50)의 내부는 젖은 피처리물로부터 고온의 습증기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습증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등은 본체(10) 내 기계실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생략된 음식물처리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기계실 내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기계실에는 볼(50) 내부의 습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증발기(45)와, 유량조절밸브(46)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기계실은 고장 발생 등에 사용자가 아닌 작업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볼수납부(12)와 구획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의 외피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수리 등을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는 볼수납부(12)를 형성하는 볼수용하우징(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볼(50)이 볼수납부(12)에 장착시 볼수용하우징(14)은 도어(20)와 함께 볼(50)을 감쌀 수 있다.
이때, 볼수용하우징(14)은 측면이 원통형의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측면과 상응하는 둥글게 굽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볼수용하우징(14)에 의해, 그 내부에 형성되는 볼수납부(12)는 그 외부의 본체(10) 내 기계실과 구획될 수 있으나, 다만, 볼수용하우징(14)의 내부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볼(50)의 내부와 기계실 내 일 장치 간에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볼수용하우징(14)은 일측에 관통형성된 연통구(141)를 가질 수 있다.
볼수용하우징(14)에 관통형성된 연통구(141)는 볼수용하우징(14) 내 장착된 볼(50)의 통기구(54)와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통구(141)는 전방측, 즉 도어(20)측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에 따라,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이 장착되면, 볼(50)의 통기구(54)는 기계실 내 일 장치(일 예로, 증발기)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서로 연통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수용하우징(14)의 일측, 즉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의 후방 외측에는, 내부에 증발기(45)가 수용된 증발기함(451)이 마련될 수 있고, 이때, 증발기함(451)의 일측(일 예로 전방측)에 형성된 개구부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와 마주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 장착시, 볼(50)의 내부는 볼(50)의 통기구(54)와, 볼수용하우징(14)의 연통구(141)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내부에 마련된 증발기(45)와 연통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와 응축기(47)는 증발기함(451)에 의해 분리되어 구획된 서로 다른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451)은, 내부에 응축기(47)를 제외한 증발기(45)만을 수용하는 함체일 수 있다.
다만, 증발기함(45)은 내부 수용공간에 증발기(45)를 수용하되, 냉매가 증발기함(45) 외부에 마련된 기계실의 압축기(48) 및 응축기(47)와 순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냉매는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유량조절밸브(46)와, 증발기(45)를 순차로 순환하는 순환냉매유로(Fr)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도 11 및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에 의해 볼(50)의 내부에서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를 통과함으로써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이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48)는 냉매순환유로(Fr) 상 증발기(45)와 응축기(47)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가 냉매순환유로(Fr)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압축기(48)는 증발기(45)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47)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기(47)는 압축기(48)에서 이송되어 온 냉매와 외기 간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응축기(47)를 통과하는 냉매는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후측방에는 응축기(47)로부터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다수 타공 형성된 통기공(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 도 5 내지 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 내부에 있는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기 위해 응축기(47)의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팬(49)이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증발기(45)를 통과한 볼(50) 내부의 증기가 응축기(47)로 유도되지 않도록 증발기함(45)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볼수용하우징(14)의 후방측에 마련된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는 순환팬(44)이 마련될 수 있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증발기함, 그리고 순환팬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수용하우징(14) 내 볼(50)과, 증발기함(451)과, 순환팬(44)은 직렬로 배치될 수 있고,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 내부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5)를 통과한 다음, 다시 볼(50) 내부로 순환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팬(44)은 순환기류를 형성하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순환팬(44)은 원심팬일 수 있다.
이러한 순환팬(44)은 회전축이 전방측, 즉 증발기(45) 또는 볼(5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에 마련된 증발기함(451)의 흡기구(455)를 통해, 증발기(45)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흡기될 수 있다.
이렇게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임펠러(443)의 회전으로,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배기덕트(445)로 배기될 수 있다.
즉,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 내부에 습기를 함유한 고온고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의 통기구(54) 및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를 통해, 증발기함(451) 내부의 증발기(45)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고온고습의 증기는 증발기(45)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되고, 이는 다시 순환팬(44)을 지나 배기덕트(445) 및 증발기함(451)을 거쳐 다시 볼(50)의 통기구(54)를 통해 볼(50)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공기유로(Fa)를 형성할 수 있다(도 11 및 12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50)의 일측에 형성된 통기구(54)는 공기가 유입하는 경로와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가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관통구일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증발기함(451)은 전방에 유출입구(453, 454)가 마련되되,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유출입구(453, 454)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통기구(54)와 마주하여 상호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는 볼(50)의 내부공기가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마련하고, 증발기함(451)의 배출구(454)는 유입구(453)와 반대로 증발기함(451)의 내부공기가 볼(50)의 내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마련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 및/또는 배출구(454)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통기구(54)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전방측, 즉 도어(20) 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에 볼(50)의 장착시,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 및 배출구(454)는 볼(50)의 통기구(54)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볼수납부(12)에 볼(50)의 장착시, 볼(50)의 통기구(54) 내주면에는,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 및 배출구(454)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이때 볼(50)과 증발기함(451) 사이에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통기구(54)의 내주면에는 고무나 실리콘재 따위의 패킹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와 배출구(454)는, 볼(50)의 통기구(54)와 마찬가지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일 실시예에 따라, 유입구(453)와 배출구(454) 각각은, 도 7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개로 나누어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는 배출구(454) 보다 그 구멍 면적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볼(50)에서 증발기함(451)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볼(50)의 내부에서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되어 열팽창된 공기이지만, 증발기함(451)에서 볼(50)로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된 공기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는, 볼(50)의 통기구(54)와 상응하도록 형성되되, 그 내부 중 일부분에 증발기함(451)의 배출구(454)가 격벽에 의해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볼(50)의 통기구(54)가 대략 둥근 모서리를 가진 장방형인 경우, 증발기함(451)의 유입구(453) 역시 이에 상응하여 대략 둥근 모서리를 가진 장방형일 수 있고, 이때 유입구(453)의 내부 중 일부에 대략 원형의 배출구(454)가 격벽에 의해 구획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구(453) 내 배출구(454)가 차지하는 영역은 나머지 영역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함(451)은 후방에 관통 형성된 흡기구(455)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에 순환팬(44)을 수용한 팬하우징(442)은, 일측(일 예로 전방측)에 개구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되, 팬하우징(442)의 개구부는 증발기함(451)의 흡기구(455)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증발기함(451)의 흡기구(455)가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 마련된 순환팬(44)의 회전축과 마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팬하우징(442) 내 순환팬(44)의 구동으로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흡기구(455)를 통해 순환팬(44)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5)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으로부터 흡입되고, 이렇게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임펠러(443)의 회전에 의해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배기덕트(445)로 배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순환팬(44)을 수용한 팬하우징(442)은, 임펠러(443)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판(444)이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임펠러(443)의 회전구동으로 회전축의 전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에 원심력이 부여되어, 원심력을 가진 공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 유동할 때 가이드판(444)은 그 공기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판(444)의 일측, 일 예로 상측의 일부는 개구 형성되어, 가이드판(444)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유동하는 공기는 원심력에 의해 가이드판(444)의 개구부를 통해 원심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고, 이는 상기 가이드판(444)의 개구부에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된 배기덕트(445)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팬하우징(442)은 내측에 격벽 형태로 가이드판(444)과, 일측 개구부에서 연장 형성된 배기덕트(445)가 마련될 수 있다.
결국, 배기덕트(445)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그 전방에 마련된, 즉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 형성된 배기구(4561)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다시말해, 증발기함(451)의 후방측에는 순환팬(44)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455)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 이외에 순환팬(44)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456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흡기구(455)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통과한 공기가 순환팬(44)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지만, 배기구(4561)는 순환팬(4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볼(50)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발기함(451)은 후방측의 배기구(4561)로부터 유입된 저온저습의 증기가 볼(50)의 내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증발기함(451)은 후방측의 배기구(4561)와 전방측의 배출구(454)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배관(45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배관(456)은 증발기함(451)의 전후방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증발기함(451)의 배기구(4561)와 배출구(454)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볼(50)의 내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배관(456)은 증발기함(451)의 배기구(4561)와 배출구(454)를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증발기함(451)이 전방케이싱(451a)과 후방케이싱(451b)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배관(456)의 일부는 증발기함(451)의 후방케이싱(451b)의 배기구(456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고, 연결배관(456)의 또 다른 일부는 증발기함(451)의 전방케이싱(451a)의 배출구(454)가 후방으로 연장형성됨으로써, 전방케이싱(451a)과 후방케이싱(451b)이 서로 마주 결합되는 경우, 그 결합에 의해 증발기함(451)의 전후방을 가로지르는 연결배관(456)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는, 증발기함(45) 내부의 증발기(45)를 지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며, 이때 냉각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는, 증발기함(45)의 내부에 저류할 수 있다.
이때, 증발기함(45)은 내부에 저류하고 있는 응축수가 자연적으로 또는 강제로 증발기함(45) 외부의 기계실이나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응축수배출구(4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증발기(45)는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볼(50) 내부로부터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와 순환냉매유로(Fr)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 간에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증발기(45)를 통과하는 증기는 냉각되고, 증발기(45)를 통과할 때 증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45)는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면을 넓히기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앤튜브(pin&tube) 타입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렇게 제거된 수분에는 피처리물로부터 유래된 악취가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순환팬(44)을 소정의 구동속도로 지속 구동하여,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된 볼(50)의 내부공기, 즉 고온고습의 습증기를 증발기(45)에 반복 공급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45)가 고온고습의 습증기를 반복 응축함으로써, 증발기함(451) 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에 악취를 농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음식물처리기(1)의 각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출력되는 각종 신호나 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시키거나,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상기 피처리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등 다양한 구현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1)의 각종 동작을 수행 또는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볼(50)의 내부에 대하여 건조행정을 완료한 이후라고 하더라도, 순환팬(44)의 구동을 계속하여 증발기(45)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볼(50)의 내부로 공급하여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볼(50)의 내부가 건조되었다고 하더라도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의 내부는 여전히 고온의 분위기를 가질 수 있고, 이는 볼(50)을 본체(10)로부터 인출하는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볼(50)의 내부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이후라고 하더라도, 순환팬(44)의 구동은 물론, 바람직하게는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계속하여, 볼(50)의 내부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사용자가 볼(50) 내부에 처리가 완료된 잔여 피처리물을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는 볼(50) 내부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이후, 오히려 순환팬(44)의 구동속도를 건조행정에서의 구동속도 보다 더 높일 수 있고, 또 압축기(48)의 구동속도 역시 건조행정에서의 구동속도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5)를 내부에 수용한 증발기함(451)의 내부에는, 순환팬(44)에 의해 인입된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저류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를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451)의 저면에는 응축수배출구(452)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응축수배출구(452)를 통해 외부로 자연배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함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함(451)의 저면에는 응축수배출구(452)가 마련되되, 증발기함(451)의 저면은 상기 응축수배출구(452)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4511~4512)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함(45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바닥으로 낙하할 수 있고, 이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4511~4512)을 따라 응축수배출구(452)로 유도됨으로써,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의 내부 고온고습의 증기는 증발기함(451) 내 증발기(45)를 거쳐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저온저습의 증기는 팬하우징(442)의 배기덕트(445)와, 증발기함(451) 내 연결배관(456)을 통해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동하는 순환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순환기류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볼(50) 내부의 수분과 악취는 증발기함(451) 내 응축수 형태로 변환될 수 있고, 증발기(45)에 의해 수분과 악취가 제거된 공기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증발기함(45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 즉 악취가 용해되어 있는 응축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배출구(452)를 통해 증발기함(451)의 외부로 배수되되, 이때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는 응축수탱크(70)의 내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증발기함(451) 내 응축수는 자연적으로 응축수탱크(70)로 유입되어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응축수탱크(70) 또는 응축수탱크유입구(712)는, 증발기함(451) 또는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의 하부, 즉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증발기함(451) 내 발생된 응축수가 응축수탱크(70)로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탱크의 분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수탱크(70)는 응축수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응축수탱크용기(71)와, 응축수탱크용기(71)의 개구부를 덮는 탱크커버(72)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탱크(70)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장형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탱크커버(72)를 임의로 응축수탱크용기(71)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없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응축수탱크(70)는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위센서(713a, 713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응축수탱크(70)는 낮은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저수위센서(713b)와 높은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고수위센서(713a)를 마련하되,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저수위센서(713b) 및/또는 고수위센서(713a)를 이용하여 설치높이에 응축수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가 저수위센서(713b)만을 통해 수위가 감지되는 경우 저수위임을 판단할 수 있고, 저수위센서(713b) 및 고수위센서(713a)를 통해 수위가 감지되는 경우 고수위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고수위센서(713a)만을 통해 수위가 감지되는 경우 수위센서에 오류가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응축수탱크(70)의 일측 상부에는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응축수탱크유입구(712)가 마련될 수 있고, 응축수탱크(70)의 저면이나 하부에는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탱크배출구(711)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탱크(70)의 응축수탱크유입구(712)의 높이는,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물론, 응축수탱크유입구(712)의 높이는, 응축수탱크배출구(711)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응축수탱크배출구(711)에는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해 가압하는 배출모터(75)가 연결될 수 있다.
배출모터(75)는 흡입구(751)와 배출구(752)를 갖되, 흡입구(751)는 응축수탱크(70)의 응축수탱크배출구(711)에 연결될 수 있고, 배출구(752)는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된 배관(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배출모터(75)의 구동으로 흡입구(751)에는 음압이 발생하여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된 응축수가 흡입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배출구(752)에는 외부로 가압하는 양압이 발생하여 흡입구(751)를 통해 흡입된 응축수를 본체(10)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즉, 배출모터(75)의 구동에 따라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된 응축수는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된 응축수는 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 만족시 필요에 따라, 일 예로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고수위인 경우 배출모터(75)를 구동하거나, 또 주기적으로 또는 일련의 동작과정수행 중 배출모터(75)를 구동함으로써, 응축수탱크(70) 내 저장된 응축수를 본체(10)의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배출모터(75)의 미구동시에는, 응축수탱크(70) 내 응축수가 배수되지 않고 누적하여 적수될 수 있다.
한편, 응축수탱크(70)의 상부에는, 응축수탱크(70) 내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로서 제1 통기공(721)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1 통기공(721)은 응축수탱크(70)의 상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통기공(721)은 응축수탱크(70)의 탱크커버(72)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통기공(721)은 응축수탱크(70) 내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일 예로, 본체(10) 내 기계실 또는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수탱크유입구(712)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는 응축수탱크(70)의 내부에 저장되지만, 여기서 응축수탱크유입구(712)는 증발기함(451)의 응축수배출구(452)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응축수탱크유입구(712)는 제1 통기공(721)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순환기류(볼(50) - 증발기함(451) - 순환팬(44)) 내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즉, 증발기함(451)의 내부는 응축수탱크(70)의 내부와 연결되고, 응축수탱크(70)에 관통 형성된 제1 통기공(721)을 매개로, 외부 공기가 응축수탱크(70)나 증발기함(451)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이와 반대로 순환기류 내 공기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폐쇄된 순환기류 내 압력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그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피처리물로부터 발생된 악취는 응축수에 농축되어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통기공(7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기류 내 일부 공기에서는 악취 유발 물질이 적다.
다만, 적은 양이더라도 악취 유발 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통기공(721)에는 탈취필터(6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필터(60)는 공기 내 악취를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활성탄 소재의 흡착제를 포함한 필터일 수 있고, 또 충진형(분말형 또는 가루형 등)이나 블럭형 등일 수 있으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터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
다만, 블럭형 필터는 분말형태의 필터가 열과 압력 등에 의해 압축되어 형성된 것으로, 분말사이로 공기가 빠져나가 필터기능이 저하되는 충진형 필터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필터(60)는, 블럭형 필터일 수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탈취필터(6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은 작기 때문에 여과 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블럭형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탈취필터(60)는 탈취능력이 저하되거나 사용기한을 도과한 경우 등에는 교체 가능하도록 탈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본체(10) 내 사용자나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 일 예로 본체(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나 작업자는 본체(10)의 외피 중 탈취필터(60)와 상응하는 부분을 탈거하여, 기존 탈취필터(60)를 탈착하고 새로운 탈취필터(6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응축수탱크(70)의 제1 통기공(721)과 전방의 탈취필터(60)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기관(91)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배기관(91)의 일단은 제1 통기공(721)에 연결되고, 배기관(91)의 타단은 탈취필터(60)에 연결될 수 있다.
결국, 볼(50), 증발기함(451), 그리고 순환팬(44) 간에 순환하는 순환기류 내 공기 일부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함(451)으로부터 응축수탱크(70)로, 그리고 응축수탱크(70)의 제1 통기공(721)을 거쳐 배기관(91)을 따라 외부로 배기되되, 이때 배기관(91)의 말단에 위치한 탈취필터(60)를 거쳐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배기되는 공기 내 악취 유발 물질이 흡착 제거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폐쇄된 순환유로에서 발생하는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50)의 내부 공기는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순환기류 내 양압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순환기류 내 일부 공기는 응축수탱크(70)의 제1 통기공(721)에 연결된 배기관(91)과 탈취필터(60)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순환유로 내 양압은 제거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는 탈취필터(60)를 통해 배기관(91)을 따라 제1 통기공(721)을 거쳐 응축수탱크(70) 또는 증발기함(451)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폐쇄된 순환유로 내 음압발생시 그 압력은 제거될 수 있다.
즉, 증발기(45)에 의해 순환유로 내 공기가 냉각 응축되어 폐쇄된 순환유로 내 음압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고, 또 배출모터(75)의 구동으로 응축수탱크(70)의 내부 역시 음압의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외기는 탈취필터(60)를 통해 도입될 수 있다. 탈취필터(60)로 도입된 외기는 이에 연결된 배기관(91) 및 제1 통기공(721)을 통해 증발기함(451) 또는 응축수탱크(70)로 유입됨으로써, 순환유로 내 음압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탱크(70)와 탈취필터(60) 사이에 마련되어, 응축수탱크(70)에서 배출되는 공기 내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팽창탱크(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탱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탱크의 종단면도이다.
도 14 및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탱크(80)는 응축수탱크(70)로부터 탈취필터(60)로 배기되는 유로 상에 마련되어, 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내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팽창탱크(80)는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연통공(82)을 포함할 수 있고, 또 팽창탱크(80)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 통기공(8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팽창탱크(80)의 연통공(82)은 응축수탱크(70)의 제1 통기공(721)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팽창탱크(80)의 제2 통기공(83)은 배기관(91)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응축수탱크(70) 내 공기는 제1 통기공(721), 연통공(82), 그리고 제2 통기공(83)을 순차로 통과하고 배기관(91)과 탈취필터(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팽창탱크(80)는 응축수탱크(70)의 상부, 구체적으로 팽창탱크(80)의 연통공(82)이 응축수탱크(70)의 제1 통기공(721)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되,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응축수탱크(70)로부터 습기를 포함하지 않은 공기가 팽창탱크(80)로 자연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팽창탱크(80)의 제2 통기공(83)은, 연통공(8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80)의 제2 통기공(83)을 통해 습기를 함유하지 않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통기공(83)은 팽창탱크하우징(8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응축수탱크(70)의 제1 통기공(721)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통공(82)은 팽창탱크하우징(8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팽창탱크하우징(81)을 중심으로 하부의 연통공(82)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습기가 제거되어, 그 상부의 제2 통기공(83)으로 배기될 수 있으며, 이때 팽창탱크(80)가 연통공(82)을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팽창탱크하우징(81)의 내부에는 탈습을 위한 부재가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하우징(81)의 내부에는 탈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격벽(85)을 마련함으로써, 팽창탱크하우징(8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내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벽(85)은 팽창탱크하우징(81) 내 연통공(82)에서 제2 통기공(83)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마련되되, 그 유로 중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85)은 팽창탱크하우징(81)의 내부 상측벽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격벽(85)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도 15의 85a 및 85b 참조), 이때 둘 이상의 격벽(85)은 서로 다른 크기 또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팽창탱크하우징(81)의 하측에 마련된 연통공(82)과, 상측에 마련된 제2 통기공(83)의 위치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탱크하우징(81)의 종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팽창탱크하우징(81)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연통공(82)과 제2 통기공(83)은 서로 소정 거리(△d)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연통공(82)과 제2 통기공(83) 사이에, 팽창탱크하우징(81)의 내상벽에는 하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격벽(85a, 85b)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통공(8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 통기공(83)을 통해 배출될 때, 적어도 하나의 격벽(85a, 85b)에 의해 그 유로 중 일부는 차단될 수 있고,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연통공(82)에서 제2 통기공(83)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격벽(85)에 충돌하고 우회함으로써, 공기 내 수분은 분리되어 탈습된 다음, 제2 통기공(8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팽창탱크하우징(81)의 제2 통기공(83)은 연통공(82)보다 그 구멍 면적이 작을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통기공(83)의 직경(r2)은 연통공(82)의 직경(r1)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통공(82)을 통해 도입된 공기가 제2 통기공(83)을 통해 배출될 때, 제2 통기공(83)의 좁은 구멍 크기로 인하여 압력이 낮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슬점이 낮아져 팽창탱크하우징(81)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 중 수분은 제거될 수 있다.
이렇게 팽창탱크하우징(8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팽창탱크하우징(81)의 하부에 위치한 연통공(82)을 통해, 그리고 이에 연결된 제1 통기공(721)을 통해 응축수탱크(70)로 흘러 그 내부에 집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팽창탱크하우징(81)의 내측 저면은 연통공(82)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86a, 86b)을 포함할 수 있다.
결국, 팽창탱크하우징(81)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할 때, 공기 내 수분은 제거되어 탈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팽창탱크(80)를 통해 탈취필터(60)로 인가되는 공기가 제습되어 건조된 상태이기 때문에 탈취필터(6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외장응축수탱크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의 수분을 가열해 공기 중에 방출한 다음, 증발기(45)를 이용하여 습증기를 응축하고, 이렇게 발생된 응축수는 응축수탱크(70)에 저장될 수 있다.
응축수탱크(70)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는 배출모터(75)의 구동시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된 배관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없는 경우, 본체(10) 내부의 응축수탱크(70) 보다 더 큰 용량의 응축수탱크가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본체(1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본체(10)의 내부에 저장하는 응축수탱크(70) 이외에, 본체(10)의 외부에 마련되어 응축수를 저장하는 외장응축수탱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응축수탱크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응축수탱크(100)는 내부에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진 대략 함체 형상의 수조통(110)과, 수조통(11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체(10)의 외부에 마련된 외장응축수탱크(100)는, 본체(10)의 외면에 탈부착 또는 탈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본체(10)의 외면과 외장응축수탱크(100)의 외면은 서로 홈(또는 걸이)과 이에 결합되는 걸이에 의해, 또는 금속재와 자석에 의해, 또는 밸크로 따위의 탈부착수단에 의해, 탈부착 또는 탈장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수조통(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진 것이면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측, 일 예로 상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수조통(110)에는 개구부를 통해 본체(10)의 내부에서 생성된 수분 및/또는 악취가 유입되어 저장할 수 있고, 또 수조통(110)의 내부에 저장된 악취는 개구부를 통해 외부, 바람직하게는 본체(10)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조통(110)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장응축수탱크(100)는 본체(10)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고, 내부의 응축수를 버리거나 세척을 위해 사용자는 외장응축수탱크(100)를 이동할 요구가 있기 때문에, 외장응축수탱크(1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일 예로서, 수조통(110)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일측에 돌출 및/또는 오목한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손잡이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수조통(110)의 개구부에는 이를 개폐할 수 있는 제1 커버(13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수조통(110)의 개구부는 이에 제1 커버(130)가 안착되거나 결합됨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1 커버(130)는 수조통(110)의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 커버(130)가 회동함으로써, 수조통(110)의 개구부는 개폐될 수 있다.
즉, 제1 커버(130)는 수조통(110)의 개구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제1 커버(130)는 수조통(110)을 개폐하되, 수조통(110) 내 응축수 및/또는 공기(도는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제1 커버(130)와 수조통(110) 사이에는 패킹부재(미도시)가 개재되도록 마련되어, 제1 커버(130)와 수조통(110)이 마주하는 부분에는 수밀성과 기밀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커버(130)의 위에는 제1 커버(130)를 덮어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커버(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커버(130) 위에는 제1 및 제2 피팅장치(1011, 1021) 및/또는 제1 및 제2 배관(101, 102)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및 제2 피팅장치(1011, 1021) 및/또는 제1 및 제2 배관(101, 10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를 덮을 수 있도록 제1 커버(130) 위에는 제2 커버(1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2 커버(120)는 제1 커버(130)의 일측과 힌지 결합할 수 있고, 제2 커버(12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제1 커버(130)의 상면은 개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버(120)의 일측, 일 예로 힌지축의 반대측에는 제1 커버(130)와 결합 가능한 결합버튼(121)이 마련될 수 있고, 결합버튼(121)의 작동으로 결합버튼(121)이 제1 커버(130)에 결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제2 커버(120)가 제1 커버(130)와 탈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커버(130)에는 유체가 유출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피팅장치(1011, 1021)가 마련될 수 있고, 이때 피팅장치(1011, 1021)에는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배관(101, 102)이 결합됨으로써, 배관(101, 102)을 따라 본체(10)와 외장응축수탱크(100), 구체적으로 수조통(110)의 내부 간에는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즉, 피팅장치(1011, 1021)는 제1 커버(13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피팅장치(1011, 1021)를 통해 제1 커버(130)가 결합된 수조통(110)의 내부와 외부는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피팅장치(1011, 1021)에 배관(101, 102)을 결합하거나 피팅장치(1011, 1021)로부터 배관(101, 102)을 분리함으로써, 외장응축수탱크(100)는 본체(10)와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130)에 마련된 피팅장치(1011, 1021)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의 유동을 위한 제1 피팅장치(1011)와, 공기(또는 악취)의 유동을 위한 제2 피팅장치(1021)가 구분되어 마련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피팅장치(1011, 1021) 각각에는 본체(10)와 응축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배관(101)과, 본체(10)와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배관(102)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피팅장치(1011)는 외장응축수탱크(100)의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부분으로서 "응축수유입부"라는 용어와 혼용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제2 피팅장치(1021)는 외장응축수탱크(100)의 내외부 공기가 연통되는 부분으로서 "통기부"라는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서 형성된 응축수, 구체적으로 응축수탱크(70)에 저장된 응축수는 배출모터(75)의 구동에 의해 제1 배관(101)을 따라 유동하여 외장응축수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배출모터(75)의 구동으로 외장응축수탱크(100)의 내부에는 양압이 형성되며, 이러한 양압에 의해 외장응축수탱크(100) 내 공기(또는 악취)는 제2 배관(102)을 따라 유동하여 본체(10), 구체적으로 본체(10) 내 배기관(91)을 통해 탈취필터(60)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응축수탱크가 장착되는 본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응축수탱크(100)의 제1 피팅장치(1011)에 결합된 제1 배관(101)은 본체(10) 내 응축수탱크(70)와 연결된 배출모터(75)의 배출구(752)에 연결됨으로써, 배출모터(75)의 구동시 응축수탱크(70) 내 응축수는 제1배관(101)을 따라 외장응축수탱크(100)의 내부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외장응축수탱크(100)의 제2 피팅장치(1021)에 결합된 제2 배관(102)은, 본체(10) 내 탈취필터(60)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밀폐된 외장응축수탱크(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외장응축수탱크(100) 내 공기는 제2 배관(102)을 따라 탈취필터(60)로 유도될 수 있다.
즉, 배출모터(75)에 의해 밀폐된 외장응축수탱크(100)의 내부로 압력이 가해지면 외장응축수탱크(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수 있고, 상승한 외장응축수탱크(100)의 내부 압력은 외장응축수탱크(100) 내 공기가 제2 배관(102)을 따라 탈취필터(60)로 배기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외장응축수탱크(100) 내 공기가 탈취필터(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외부로 악취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탈취필터(60)에는 일단이 응축수탱크(70) 또는 팽창탱크(80)에 연결된 배기관(91)이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제2 배관(102)은 배기관(91)의 어느 일 지점에 마련된 분기장치(91a)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기장치(91a)에는, 일단이 응축수탱크(70)의 제1 통기공(721) 또는 팽창탱크(80)의 제2 통기공(83)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된 배기관(91)의 타단과, 또 일단이 탈취필터(60)에 연통가능하도록 연결된 합류관(911)의 타단과, 일단이 제2 피팅장치(1021)에 연통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배관(102)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취필터(60)는 응축수탱크(70) 또는 팽창탱크(80)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됨은 물론, 외장응축수탱크(100)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응축수탱크(100)는, 수조통(110)과, 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 커버(130)를 포함하되, 이때, 제1 커버(130)는 본체(10) 내 응축수탱크(70)에 저수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유입부를 통해 응축수가 외장응축수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지만, 외장응축수탱크(100) 내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외장응축수탱크(100) 내 응축수는 응축수유입부 등을 통해 역류할 수 있다.
외장응축수탱크(100) 내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외장응축수탱크(100) 내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배출모터(75)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응축수탱크(100)는 내부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즉 응축수의 만수위시 응축수유입부의 응축수유입유로를 물리적으로 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응축수유입유로는 외장응축수탱크(100)의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유로로서, 응축수유입부 내 응축수가 유입되는 유로는 물론, 후술하는 가이드부재(134) 내 응축수가 유입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응축수탱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수유입부의 응축수유입유로를 폐쇄하기 위해, 응축수밸브(1012)를 조작하여 응축수유입유로를 외부에서 폐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응축수탱크(100)는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즉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의 위에 부유하는 부레(132)를 이용하여 응축수유입유로를 내부에서 폐쇄할 수 있다.
응축수유입유로를 내부에서 폐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장응축수탱크(100)는 상기 부레(132)와, 상기 부레(132)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응축수유입유로를 개폐하는 유로개폐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1 및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응축수탱크(100) 내 응축수가 집수되어 수위가 상승하면, 이에 따라 응축수의 수면 위에 부유한 부레(132) 역시 상승하고, 상승하는 부레(132)에 의해 유로개폐부재(135)는 상방으로 밀어올려져,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응축수유입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레(132)에는 링크부재(133)가 결합될 수 있고, 이때 가이드부재(134)의 중공부(1344)에 삽입 개재된 유로개폐부재(135)는 가이드부재(134)의 중공부(1344)에 의해 승강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으며, 결국, 이에 따라 부레(132)의 승강이동에 따라 이에 결합된 링크부재(133)의 상단부는 가이드부재(134) 내 유로개폐부재(135)의 하단부를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응축수유입유로는 폐쇄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부레(132)는 내부에 공기를 수용한 공기주머니로서, 이에 의해 부레(132)는 외장응축수탱크(100) 내 응축수의 수면 위에 부유할 수 있다.
부레(132)는 내부에 공기를 수용한 것이면 그 형상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응축수의 수면에 대한 부력을 확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가로방향으로 더 넓은 단면적을 가진 형상일 수 있다.
도 20 및 21에 도시한 도면부호 132c 내지 132a는 수조통(110) 내 응축수의 수위에 따른 부레(132)의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부호 132a는 수조통(110) 내 응축수가 만수위일 때의 부레(132)의 위치이고, 도면부호 132c는 수조통(110) 내 응축수가 저수위일 때의 부레(132)의 위치이다.
부레(132)가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할 때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가이드플레이트(13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가이드플레이트(131)는 제1 커버(13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고, 이때 부레(132)는 가이드플레이트(131)의 내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개재됨으로써, 부레(132)가 승강이동할 때 가이드플레이트(131)는 부레(132)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승강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부레(132)에는 링크부재(133)가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재(133)는 부레(132)와 유로개폐부재(135) 사이, 또는 부레(132)와 가이드부재(134) 사이에 마련되어, 응축수의 수위에 따른 부레(132)의 승강운동을 유로개폐부재(135)에 전달할 수 있다.
링크부재(133)는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대략 'ㄴ'자 형태의 판형으로서, 일단은 부레(132)와 결합할 수 있고, 타단에는 회전축공(1331)이 타공 형성되어, 회전축공(1331)은 가이드부재(134)의 회전축(1345)과 축결합하여, 회전축(1345)을 중심으로 링크부재(133) 및 이에 결합된 부레(132)가 승강 회동할 수 있다.
도 20 및 21에 도시한 도면부호 133c 내지 133a는 수조통(110) 내 응축수의 수위에 따른 링크부재(133)의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부호 133a는 수조통(110) 내 응축수가 만수위일 때의 링크부재(133)의 위치이고, 도면부호 133c는 수조통(110) 내 응축수가 저수위일 때의 링크부재(133)의 위치이다.
한편, 가이드부재(134)는 일측은 응축수유입부 또는 제1 피팅장치(1011)에 결합되어, 제1 배관(101)을 통해 외장응축수탱크(100)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되도록 응축수유입유로를 마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34)는 내부에 응축수유입유로를 형성하는 중공부(1344)를 가질 수 있고, 중공부(1344)는 가이드부재(134)의 외부 일측방향, 일 예로 상측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삽입관(1342)과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삽입관(1342)이 응축수유입부 또는 제1 피팅장치(1011)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제1 배관(101)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가 삽입관(1342)과 중공부(1344)를 통해 외장응축수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134)의 중공부(1344) 내에는 유로개폐부재(135)가 마련될 수 있고, 유로개폐부재(135)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부(1344)를 따라 승강 이동이 가이드되어, 유로개폐부재(135)가 승강 이동에 따라 응축수유입유로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로개폐부재(135)가 상승하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응축수유입유로는 폐쇄될 수 있고, 반대로 유로개폐부재(135)가 하강하면 응축수유입유로는 개방될 수 있다.
다만, 중공부(1344)에 끼워진 유로개폐부재(135)가 하강시에도 중공부(1344)를 폐쇄하지 않도록, 즉 삽입관(1342)을 통해 유입된 응축수가 중공부(1344) 및 유로개폐부재(135)를 통과할 수 있도록, 대략 막대형상의 유로개폐부재(135)는 외주면에 방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날개를 가져, 인접한 날개들 사이로 응축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로개폐부재(135)가 상승시 응축수유입유로에 밀착할 수 있도록, 유로개폐부재(135)의 상단부, 즉 삽입관(1342)과 마주하는 말단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부레(132)의 상승으로 인한 상방 이동시 삽입관(1342)을 가압하여 수밀(水密)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가이드부재(134)는 제1 커버(130)에 체결되되, 삽입관(1342)은 제1 피팅장치(1011)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제1 배관(101)을 통해 외장응축수탱크(100)의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유입유로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부재(134)의 미설명도면부호 1343은, 제1 커버(130)와 가이드부재(134)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해, 제1 커버(130)의 저면에 끼워진 가이드부재(134)의 외주면에 커플러(미도시)와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을 가리킬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산은 삽입관(1342)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재(134)는 하단부에는, 판형의 링크부재(133)가 개재되어 링크부재(133)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움푹하게 패인 가이드홈(1346)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1345)에 링크부재(133)의 회전축공(1331)이 축결합하여, 링크부재(133)가 회전축(1345)을 중심으로 승강 회동할 때, 가이드부재(134)의 가이드홈(1346)에는 링크부재(133)가 개재됨으로써 링크부재(133)의 승강 이동은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34)의 가이드홈(1346)에 개재된 링크부재(133)의 회전축공(1331)과 상응하여, 가이드부재(134)의 일측에는 관통 형성된 회전축(1345)이 형성되어, 가이드부재(134)의 회전축(1345)과 링크부재(133)의 회전축공(1331)이 마주하여 축결합할 수 있다.
결국, 도 23 및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응축수탱크(100) 내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 이동하는 부레(132)는 링크부재(133)를 회전축(1345)을 따라 승강 회동케하되, 가이드홈(1346)을 따라 상승 이동하는 링크부재(133)는, 상단날(1332)과 접하는 유로개폐부재(135)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응축수유입유로를 폐쇄할 수 있고(도 24 참조), 이와 반대로 가이드홈(1346)을 따라 하강이동하는 링크부재(133)는 상단 일부(1332)가 유로개폐부재(135)를 상방으로 가압하지 않음으로써 유로개폐부재(135)를 삽입관(1342)으로부터 이탈케하여 응축수유입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도 23 참조).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부레(132)의 부력을 확보하기 위해, 부레(132)는 가로방향으로 넓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고, 응축수 수위의 상승으로 부레(132)가 회전축(1334)을 중심으로 상승 회동할 때, 제1 커버(130)의 저면이 부레(132)의 상승을 저지하지 않도록 제1 커버(130)는 저면 중 적어도 일부, 특히 적어도 부레(132)의 상승 이동시 부레(132)와 접하는 부분에는 움푹 패인 홈으로서 부레이동공간(130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가이드부재(134)가 제1 커버(130)에 체결되고, 부레(132)에 결합된 링크부재(133)가 가이드부재(134)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결합되어 있어, 제1 커버(130)의 저면은 부레(132)의 최대 상승 지점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유입부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응축수유입부를 통해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임의로 응축수유입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응축수밸브(1012)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밸브(1012), 구체적으로 응축수밸브(1012)의 손잡이는, 외장응축수탱크(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가 응축수밸브(1012)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밸브(1012)는, 제1 피팅장치(1011)에 연결된 제1 배관(101)의 일 지점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응축수밸브(1012)가 제1 배관(101)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를 위해 응축수밸브(1012)의 손잡이는 제2 커버(120)에 관통 형성된 손잡이노출구(122)와 상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피팅장치(1021)에 연결된 제2 배관(102)의 일 지점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배관(102)을 개폐할 수 있는 또 다른 배기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나, 배기밸브가 오작동으로 폐쇄된 상태에서, 외장응축수탱크(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고압에 의한 외장응축수탱크(100)의 파손이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외장응축수탱크(100)의 통기구에는 배기밸브가 마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사용자는 응축수밸브(1012)를 조작하여 제1 배관(101)을 폐쇄하고, 응축수밸브(1012)가 마련된 피팅장치의 일측, 본체(10) 또는 외장응축수탱크(100)와 연결된 배관을 분리함으로써, 안전하게 외장응축수탱크(10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음식물처리기 10: 본체
11: 통기공 12: 볼수납부
13: 히팅플레이트 14: 볼수용하우징
141: 연통구 20: 도어
22: 도어내측홈 34: 구동장치
44: 순환팬 442: 팬하우징
443: 임펠러 444: 가이드판
445: 배기덕트 45: 증발기
451: 증발기함 451a: 전방케이싱
451b: 후방케이싱 4511~4512: 경사면
452: 응축수배출구 453: 유입구
454: 배출구 456: 연결배관
4561: 배기구 46: 유량조절밸브
47: 응축기 48: 압축기
49: 방열팬 50: 볼
60: 탈취필터 70: 응축수탱크
71: 응축수탱크용기 711: 응축수탱크배출구
712: 응축수탱크유입구 713a, 713b: 수위센서
72: 탱크커버 721: 제1 통기공
75: 배출모터 751: 흡입구
80: 팽창탱크 81: 팽창탱크하우징
82: 연통공 83: 제2 통기공
85: 격벽 86a, 86b: 경사면
91: 배기관 911: 합류관
100: 외장응축수탱크 101: 제1 배관
102: 제2 배관 1011: 제1 피팅장치
1021: 제2 피팅장치 110: 수조통
120: 제2 커버 121: 결합버튼
122: 손잡이노출구 130: 제1 커버
131: 가이드플레이트 132: 부레
133: 링크부재 1331: 회전축공
1332: 상단날 134: 가이드부재
1342: 삽입관 1344: 중공부
1345: 회전축 1346: 가이드홈
135: 유로개폐부재

Claims (13)

  1.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볼의 내부 공기가 응축되어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탱크;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는 외장응축수탱크;
    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응축수탱크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통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기부는, 상기 응축수탱크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관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의 내부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되, 열교환기가 수용되는 증발기함; 및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된 상기 볼의 내부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다시 상기 볼의 내부로 유동하는 순환기류를 형성하는 순환팬;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함에서 발생된 상기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탱크 또는 상기 외장응축수탱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응축수탱크는, 상기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유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장응축수탱크의 만수위시 상기 응축수유입부의 응축수유입유로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응축수탱크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응축수유입부를 개폐하는 응축수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에는 상기 통기부를 개폐하는 밸브가 마련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응축수탱크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응축수의 수면 위에 부유하는 부레; 및
    상기 부레의 승강에 따라 상기 응축수유입유로를 개폐하는 유로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응축수탱크는,
    상기 응축수유입유로를 형성하되, 상기 응축수유입유로에 마련된 상기 유로개폐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부레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사이에 결합되는 링크부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마련된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부레의 상승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유로개폐부재를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응축수유입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개폐부재는, 상승시 상기 응축수유입유로를 폐쇄하고, 하강시 상기 응축수유입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기는, 상기 응축수탱크 내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압하는 배출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모터의 구동에 의해 밀폐된 상기 외장응축수탱크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외장응축수탱크의 내부 공기는 통기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내부에 형성된 압력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응축수탱크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관에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내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필터;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기부는, 상기 응축수탱크와 상기 탈취필터 사이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기는, 상기 응축수탱크 내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압하는 배출모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모터의 구동시, 상기 본체의 외부 공기는 상기 탈취필터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응축수탱크는, 상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3.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볼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볼의 내부 공기가 응축되어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외장응축수탱크;
    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응축수탱크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통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기부는, 상기 본체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관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KR1020220103784A 2022-05-30 2022-08-19 음식물처리기 KR202301672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6082 2022-05-30
KR1020220066082 2022-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283A true KR20230167283A (ko) 2023-12-08

Family

ID=8916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784A KR20230167283A (ko) 2022-05-30 2022-08-19 음식물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728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368B1 (ko) 세탁건조기
CN106468010B (zh) 衣物烘干机
JP6110432B2 (ja) 衣類処理装置
JP5226780B2 (ja) 洗濯機と乾燥器
JP6185009B2 (ja) 衣類洗濯装置
CN103748279B (zh) 衣物处理设备
JP3920299B2 (ja) 衣類乾燥装置
CN108027154A (zh) 除湿机
JP2015226775A (ja) 衣類処理装置
CN107268229A (zh) 洗涤干燥机
JP2008110088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230167283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7282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18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19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20A (ko) 음식물처리기
JP4728834B2 (ja) 洗濯乾燥機
KR20230166849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KR20230166841A (ko) 음식물처리기
KR20240045051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28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6842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KR20230166848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7286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7287A (ko) 음식물처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