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875A - 음식물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875A
KR20230048875A KR1020210131803A KR20210131803A KR20230048875A KR 20230048875 A KR20230048875 A KR 20230048875A KR 1020210131803 A KR1020210131803 A KR 1020210131803A KR 20210131803 A KR20210131803 A KR 20210131803A KR 20230048875 A KR20230048875 A KR 20230048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door
main body
presen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욱
강명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1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8875A/ko
Publication of KR20230048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의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볼은 개방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안착 후, 상기 볼수납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처리기 {FOOD WAST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식물쓰레기는 분리수거를 위해 음식물쓰레기 저장통에 일정기간 소정의 양만큼 모아두었다가 배출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가정이나 식당 등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등장하였지만, 대부분 부피가 크고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아 실생활에까지는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607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4110호 등에서는 음식물처리기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전제품의 형태로 개발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식물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bowl)과,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는 날개와, 볼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가열장치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 음식물처리기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볼을 본체의 내부 수용공간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시켜 장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볼을 본체에 탈장착할 때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특히, 수분이 함유된 피처리물은 무겁기 때문에 이를 본체 위로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필요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1-0056076 A1 KR 10-2016-0044110 A1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볼을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된 도어를 이용하여 본체 내부의 볼수납부에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의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볼은 개방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안착 후, 상기 볼수납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수납부의 저면과 개방된 상기 도어의 내측면은 높이가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수납부의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에 장착된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높이와 개방된 상기 도어의 내측면은 높이가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는, 상기 볼수납부를 향하여 길게 형성된 움푹 패인 도어내측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은, 개방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안착시, 상기 도어내측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저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수납부의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에 장착된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측부 외주면 중 상기 도어내측홈을 향한 일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인입되는 볼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볼수납부에 장착된 상기 볼의 손잡이는 상기 도어내측홈 안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일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볼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볼을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된 도어를 이용하여 본체 내부의 볼수납부에 장착 가능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볼을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 내 볼이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볼수납부와 기계실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본체외피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순환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볼이 수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볼이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에 볼이 수용되어 도어가 닫혔을 때의 볼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에 볼이 수용되어 도어가 닫혔을 때의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닫혔을 때 제1 및 제2 링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및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열렸을 때 제1 및 제2 링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링크부와 본체커플링의 분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링크부와 본체커플링의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 내 볼이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내부에 볼(bowl)(50)이 수납되는 본체(10)와, 본체(10)에 마련되어 본체(10) 내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50)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자는 볼(50) 내부에 피처리물을 담은 다음, 볼(50)을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 장착시키면, 음식물처리기(1)는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건조하거나, 분쇄 및/또는 교반시킴으로써 처리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체(10)는 음식물처리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와,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에 개폐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체(10)의 도어(20)가 마련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20) 개방시 볼수납부(1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고 볼(50)을 볼수납부(12)에 장착한 다음, 도어(20)를 폐쇄함으로써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케할 수 있다.
볼수납부(12)는 도어(20) 폐쇄시 외부와 격리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할 때 볼(50) 내부의 피처리물로부터 유발되는 악취 등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10)와 도어(20)가 마주 접하는 부분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도어(20) 폐쇄시 볼수납부(12)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수납부(12)의 저면에는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될 수 있다.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전기를 이용하여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전기히터 따위의 발열체를 이용한 하이라이트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고, 유도가열을 이용한 인덕션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해진 열에 의해,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건조될 수 있다.
피처리물 건조시, 피처리물로부터 고온의 습증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습증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등은 기계실(14)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볼수납부와 기계실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본체외피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14)에는 습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증발기(46)와, 유량조절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기계실(14)은 고장 발생 등에 사용자가 아닌 작업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볼수납부(12)와 구획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의 본체외피 중 적ㅇ도 일부 영역은 수리 등을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냉매는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유량조절밸브(미도시)와, 증발기(46)를 순차로 순환하는 순환냉매유로(Fr)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에 의해 볼(50)의 내부에서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6)를 통과함으로써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이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44)이 마련될 수 있고,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 내부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6)를 통과하여 다시 볼(50) 내부로 순환하는 기류를 형성케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팬(44)은 순환기류를 형성케하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팬(44)은 원심팬일 수 있다.
이러한 순환팬(44)은 본체(10)의 후방 상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에 마련된 흡기구를 통해 증발기(46)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흡기되며,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마련된 다수의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제2 덕트(43b)로 배기될 수 있다.
즉,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 내부에 습기를 함유한 고온고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구동에 의해 볼(50) 상부에 마련된 제1 통기구(54a)를 통해 제1 관로(41a) 및 제1 덕트(43a)를 거쳐, 증발기(46)로 유입될 수 있고, 증발기(46)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습의 습증기는 순환팬(44)을 지나 제2 덕트(43b) 및 제2 관로(41b)를 거쳐 다시 볼(50) 상부에 마련된 제2 통기구(54b)를 통해 볼(50)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공기유로(Fa)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6)와 응축기(47)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응축기(47)를 제외한 증발기(46)만을 수용하는 함체로서 증발기함(45)을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함(45)은 내부 수용공간에 증발기(46)를 수용하되, 다만 냉매가 증발기함(45) 외부에 마련된 기계실(14)의 압축기(48) 및 응축기(47)와 순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따. 이때, 증발기함(45)의 증기 유입측에는 제1 덕트(43a)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반대로 증발기함(45)의 증기 배출측에는 순환팬(44)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는, 증발기함(45) 내부의 증발기(46)를 지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며, 이때 발생하는 증기 응축수는, 증발기함(45)의 내부에 저류할 수 있고, 증발기함(45) 내부에 저류하고 있는 응축수는 자연적으로 또는 강제로 응축수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증발기함(45) 외부의 기계실(14)이나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증발기(46)는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볼(50) 내부로부터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와 순환냉매유로(Fr)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 간에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증발기(46)를 통과하는 증기는 냉각되고, 증발기(46)를 통과할 때 증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거될 수 있다.
압축기(48)는 냉매순환유로(Fr) 상 증발기(46)와 응축기(47)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가 냉매순환유로(Fr)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압축기(48)는 증발기(46)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47)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47)는 압축기(48)에서 이송되어 온 냉매와 외기 간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응축기(47)를 통과하는 냉매는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후측방에는 응축기(47)로부터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다수 타공 형성된 통기공(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계실(14) 내부에 있는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기 위해 응축기(47)의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팬(49)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증발기(46)를 통과한 볼(50) 내부의 증기가 응축기(47)로 유도되지 않도록 증발기함(45)에 의해 차단되될 수 있다.
다시 돌아와,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는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볼(50)이 수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분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0)은 피처리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본체(51)와, 용기본체(51)의 개구부를 덮는 용기커버(52)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51)는 내부에 피처리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상으로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볼(50) 또는 용기본체(51)를 용이하게 옮기거나 본체(10)에 탈장착할 수 있도록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볼손잡이(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손잡이(55)는 용기본체(51)의 일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51)는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5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511)의 형상이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용기본체(51)의 저면 중 전방측, 또는 용기본체(51)의 저면 중 볼손잡이(55)가 있는 방향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돌기(5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20)의 내측면에 움푹 패인 형상의 도어내측홈(22)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돌기(511)는 도어내측홈(22)의 단면에 상응하도록 좌우폭이 넓은 대략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용기커버(52)는 피처리물이 인출입되는 용기본체(51)의 개구부를 덮기 위한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대략 판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본체(51)의 개구부와 이를 덮는 용기커버(52) 사이에 기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용기본체(51)의 개구부의 내주면 및/또는 용기커버(52)의 저면에는 패킹부재(53)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용기본체(51)의 개구부와 용기커버(52) 사이에 패킹부재(53)가 개재되어, 용기본체(51)의 습증기가 순환팬(44)에 의해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순환할 때 용기본체(51) 내 악취 등이 용기본체(51)의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커버(52)는 내부의 습증기가 배출되거나 수분이 제거된 증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통기구(54a)를 통해 볼(50) 내부의 습증기는 볼(50)로부터 배기될 수 있고, 제2 통기구(54b)를 통해 습기가 제거된 증기는 볼(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볼수납부(12)에 탈장착되는 볼(50)은 제1 및 제2 덕트(43a, 43b)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통기구(54a)에는 볼(50)의 내부와 제1 덕트(43a)를 단속 및/또는 개폐할 수 있는 제1 연결체(42a)가 결합될 수 있고, 제2 통기구(54b)에는 볼(50)의 내부와 제2 덕트(43b)를 단속 및/또는 개폐할 수 있는 제2 연결체(42b)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덕트(43a, 43b)와 연결된 제1 및 제2 관로(41a, 41b)가 마련되되, 각 제1 및 제2 관로(41a, 41b)의 내부에는 선택적으로 유로를 연결/분리하거나 또는 개방/폐쇄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단부가 막힌 관형의 몸체에 측면 일부가 개구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단 및/또는 하단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홈이나 돌기가 마련되고, 이에 상응하여 제1 및 제2 관로(41a, 41b)의 내주면에도 나선형의 돌기나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상단 외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요홈을 가진 손잡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체(42a, 42b)는 구동장치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비틀림 외력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승강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는 하강시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와 결합되거나, 상승시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와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관형의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는 개구져 있고, 이는 측면에 개구진 부분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회전 정도에 따라 측면의 개구진 부분이 선택적으로 제1 또는 제2 덕트(43a, 43b)를 향함으로써, 볼(50)의 내부는 제1 또는 제2 덕트(43a, 43b)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가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와 연결되거나 분리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와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 간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의 외주면 및/또는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의 내주면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에 볼커플링(56)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볼커플링(56)는, 본체(10)의 볼수납부(12) 저면에 마련된 본체커플링(31)과 결합 가능하며, 본체(10)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33)은 구동에 따라 이에 결합된 본체커플링(31)을 매개로 볼커플링(56)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 사이의 결합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면에 산과 골이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커플링(31)의 상부면에 마련된 산과 골은, 볼커플링(56)의 하부면에 마련된 골과 산에 서로 이물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는 본체커플링(31)은 회전 구동력을 볼커플링(56)에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상승한 본체커플링(31)의 상부면에 형성된 산과 골이 볼커플링(56)의 하부면에 형성된 산과 골에 마주하여 서로 이물림 결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기 전에 미리, 서로 정합하도록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본체커플링(31)을 소정 각도씩 소정 횟수만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본체(51) 내부에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부(57)와, 상기 회전부(57)의 외주면에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3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57)는 볼커플링(56)과 상호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본체(10)이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33)은 회전 구동력을 본체커플링(31) 및 볼커플링(56), 그리고 회전부(57)에 전달할 수 있다.
이 이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본체(51)의 내측벽에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를 포함할 수 있다.
결국,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가동날개(38)와, 용기본체(51)의 내측벽에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는 상호 작용에 의해, 볼(50)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하도록 적층 형성된 복수의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격 형성된 복수의 날개들 사이로 회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38)가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와 가동날개(38) 사이에 개재된 피처리물은 파쇄 및/또는 교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가동날개(38)와,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의 형상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어(20)는 본체(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에 마련되어, 본체(10) 내부의 볼수납부(12)를 개폐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20)를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의 외측면에는 움푹 패인 오목한 홈형태의 도어손잡이(21)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다르게 도어손잡이(21)는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어(20)는 볼수납부(12)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가 개방되었을 때, 볼(50)이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되어,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볼이 수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된 도어(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이때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볼(50)이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개방된 도어(20)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방된 도어(20) 위에 안착된 볼(50)이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볼수납부(12)의 저면과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의 높이는 서로 대응하여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볼수납부(12)의 저면에,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된 경우, 히팅플레이트(13)의 높이와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의 높이는 서로 대응하여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20)의 내측면에는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을 볼수납부(12)으로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볼수납부(12)를 향하여 길게 형성된 움푹 패인 도어내측홈(22)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도어내측홈(22)은 도어(20)의 내측면 전반에 걸쳐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내측홈(2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볼(50)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511)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이 볼수납부(12)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때 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볼(50)이 도어내측홈(22)을 따라 가이드되어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볼(50)이 볼수납부(12)의 안쪽까지 이동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도어(20)의 내측면에 길게 형성된 도어내측홈(22)은, 도어(20)의 하단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볼수납부(12) 측을 향한 말단부가 개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수납부(12)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볼(50)이 고정되어 회전할 수 없도록, 볼수납부(12)의 저면에 마련된 히팅플레이트(13)의 측부 외주면 중 도어내측홈(22)을 향한 일부분에는 가이드돌기(511)가 인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볼고정홈(132)이 마련될 수 있다.
결국,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은 볼(50)의 가이드돌기(511)가 도어내측홈(22)에 삽입될 수 있고, 사용자는 볼(50)을 볼수납부(12)를 향하여 밀면 볼(50)은 도어내측홈(22)을 따라 이동하여, 볼수납부(12)에 장착될 수 있고,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은 볼(50)의 가이드돌기(511)가 히팅플레이트(13)의 볼고정홈(132)에 인입됨으로써, 볼수납부(12)에 볼(50)이 고정장착 될 수 있다.
또한, 히팅플레이트(13)는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일 부분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볼고정둘레(133)를 더 포함하되, 볼고정둘레(133) 중 볼수납부(12)의 전방측은 개구 형성되어, 슬라이드 이동되어 볼수납부(12)로 인입되는 볼(50)이 히팅플레이트(13) 위로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볼고정둘레(133)에 의해 형성된 영역의 내측에 볼(50)이 장착됨으로써, 볼수납부(12) 내 볼(50)은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볼이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에 볼이 수용되어 도어가 닫혔을 때의 볼의 종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은, 볼(50)의 가이드돌기(511)가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볼손잡이(55)는 전방을 향할 수 있다.
이때, 볼(50)의 볼손잡이(55)는 볼수납부(12)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이때 돌출된 볼손잡이(55)는 도어(20)의 폐쇄시,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 안으로 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는 볼(5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볼손잡이(55)가 인입되어 본체(10)의 크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내측홈(22)의 좌우폭은, 가이드돌기(511)의 좌우폭에 상응하되, 볼손잡이(55)의 좌우폭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에 볼이 수용되어 도어가 닫혔을 때의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수납부(12)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볼(50)의 볼손잡이(55)는 폐쇄된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 안에 인입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 안에 볼(50)의 볼손잡이(55)가 인입되었을 때, 볼손잡이(55)의 주변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은, 히팅플레이트(13)에 마련된 볼고정홈(132) 및 볼고정둘레(133)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지만, 볼(50)의 볼손잡이(55)는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의 내벽에 밀착하지 않고, 볼손잡이(55)와 도어내측홈(22)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0) 내 볼수납부(12)가 단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 내 볼수납부(12)는 볼(50)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되기 때문에, 볼수납부(12)의 단열을 위해, 도어(20)는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두께를 가진 도어(20)의 내부에는 단열층(20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어(20)의 단열층(201)은 움푹 패이도록 형성된 도어내측홈(22) 이외의 부분에 마련될 수 있으며, 단열층(201)은 공기층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단열층(201)에 단열재가 마련될 수 있다.
단열층(201)에 마련된 단열재는, 내부의 고열이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소재이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단열재의 형태 역시 적층가능한 시트형태나 충진가능한 폼형태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볼(50)의 저면에 마련된 볼커플링(56)은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33)에 결합된 본체커플링(31)과 결합됨으로써, 본체(10)의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볼(50) 내부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부(57) 및 이의 외주면에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38)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커플링(31)은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볼(50)에 마련된 볼커플링(56)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커플링(31)은 도어(20)의 개폐 동작에 연동함으로써, 본체커플링(31)은 도어(20) 개방시 하강하여 볼(50)과 분리됨으로써 볼수납부(12)로부터 볼(50)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본체커플링(31)은 도어(20) 폐쇄시 상승하여 볼(50)과 결합됨으로써 구동축(33)의 구동에 따라 볼(50)의 저면에 마련된 볼커플링(56)은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닫혔을 때 제1 및 제2 링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 및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열렸을 때 제1 및 제2 링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울러,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링크부와 본체커플링의 분해도이다.
도 17 내지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본체커플링(31)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링크부(3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제1 링크부(32)는 도어(20)의 개폐동작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링크부(32)는 도어(20)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링크부(32)는 대략 판 형상일 수 있고, 이때 승강 이동하는 본체커플링(31)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상하가이드홈(32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하가이드홈(322)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된 장공으로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된 도어(2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볼수납부(12)를 개폐하는 경우, 상기 상하가이드홈(322)의 경사는 도어(20) 측, 즉 전방의 높이가 낮고, 볼수납부(12) 측, 즉 후방의 높이가 높을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부(32)의 상하가이드홈(322)에 삽입된 본체커플링(31)의 하부에는 본체커플링(31)을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34)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33)에 결합된 본체커플링(31)은, 제1 링크부(32)에 마련된 장공의 상하가이드홈(322)에 아래에서 위로 삽입되되, 탄성부재(34)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는 본체커플링(31)이 제1 링크부(32)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본체커플링(31)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걸림턱(311)이 마련될 수 있다.
결국,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상하가이드홈(322)에 삽입된 본체커플링(31)은 탄성부재(34)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지만, 경사진 상하가이드홈(322)에 의해 본체커플링(31)의 상사점은 제한되기 때문에, 경사진 상하가이드홈(322)이 전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본체커플링(31)의 상사점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링크부(32)는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의 전후가이드홈(3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후가이드홈(321)에는 고정된 가이드돌기(35)가 끼움결합됨으로써, 관통 형성된 전후가이드홈(321)의 형태에 따라 제1 링크부(32)의 이동은 가이드될 수 있으며, 직선으로 곧게 뻗은 형태의 전후가이드홈(321)은 도어(20)가 개폐될 때 제1 링크부(32)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링크부(32)의 전방측 말단부는 도어(20)의 내측 하단부와 결합되되, 이때 제1 링크부(32)와 도어(20)는 좌우방향으로 놓여진 축을 중심으로 축결합할 수 있다. 다만,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도어(20)의 도어힌지축(20a)은 상기 제1 링크부(32)와 도어(20)가 결합하는 축의 높이보다는 높게 형성되어, 도어(20)가 도어힌지축(20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개폐됨에 따라 제1 링크부(32)는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17 및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가 폐쇄를 위해 도어힌지축(20a)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면, 도어(20)의 하단부는 전방으로 당겨져 제1 링크부(32)를 전방으로 인출케 하여, 상하가이드홈(322)의 후방측, 즉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진 상하가이드홈(322)에 본체커플링(31)이 위치하여 탄성부재(34)에 의해 상승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도 19 및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가 개방을 위해 도어힌지축(20a)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면, 도어(20)의 하단부는 후방으로 밀려져 제1 링크부(32)를 후방으로 인입케하여, 상하가이드홈(322)의 전방측, 즉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진 상하가이드홈(322)에 본체커플링(31)이 위치하여 탄성부재(34)에 의한 상승 높이가 제한됨으로써 하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힌지축(20a)을 중심으로 도어(20)가 회동할 때, 도어(20)의 하단부가 제1 링크부(32)와 직접 결합된 경우, 도어(20)가 개폐시 하단부가 해당 축을 중심으로 한 원형 운동에 의해 제1 링크부(32)가 위로 들어올려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링크부(32)와 도어(20)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제2 링크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부(32)와 제2 링크부(36)는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링크부(32)와 제2 링크부(36), 그리고 제2 링크부(36)와 도어(20)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놓여진 축을 중심으로 축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부(32)의 전방측단에 마련된 제1 축결합부(323)와 제2 링크부(36)의 일측단은 내링크축(361)을 중심으로 축결합할 수 있고, 도어(20)의 내측하단부에 마련된 제2 축결합부(23)와 제2 링크부(36)의 타측단은 외링크축(362)을 중심으로 축결합할 수 있다.
이때, 도어(20)의 도어힌지축(20a)은 도어(20)의 제2 링크부(36) 또는 외링크축(362) 보다는 높이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어(20)가 폐쇄를 위해 도어힌지축(20a)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면, 도어(20)의 하단부는 전방으로 당겨져 제2 링크부(36) 및 제1 링크부(32)를 순차로 전방으로 인출케 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도어(20)가 개방을 위해 도어힌지축(20a)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면, 도어(20)의 하단부는 후방으로 밀려져 제2 링크부(36) 및 제1 링크부(32)를 순차로 후방으로 인입케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축결합부(323)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내링크축(36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축결합공(323a, 323b)을 가질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축결합부(23) 역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외링크축(362)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축결합공(미도시)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제2 링크부(36) 역시 한 쌍일 수 있다.
이렇게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링크부(32)와 도어(20) 사이에 제2 링크부(36)를 연결하되, 내링크축(361) 및 외링크축(362)을 중심으로 연결되는 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다관절로 연결됨으로써,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제1 링크부(32)는 들어 올려지지 않고 전후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된 도어(20)는 상하 방향이 아닌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는 도어(20')는 좌측단부나 우측단부에 수직하게 마련된 도어힌지축(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도어(20') 역시, 도어(20') 폐쇄시, 볼수납부(12) 내 볼(50)의 볼손잡이(5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도어(20') 내측면에는 움푹 패인 형상의 도어내측홈(22')이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어(20') 폐쇄시 도어내측홈(22')가 볼(50)의 볼손잡이(55) 사이에는 공기층이 개재될 수 있고, 두께를 가진 도어(20')의 내부에도 단열층이 마련되어, 본체(10) 내 볼수납부(12)가 단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여 볼수납부(12)를 개폐하기 때문에,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링크부(32')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제1 링크부(32)와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제1 링크부(32)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링크부(32')는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의 상하가이드홈(322')을 갖되, 상하가이드홈(322')의 경사는, 앞선 실시예와 다르게, 도어(20') 측, 즉 전방의 높이가 높고, 볼수납부(12) 측, 즉 후방의 높이가 낮을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부(32')는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의 전후가이드홈(32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장공의 전후가이드홈(321')에는 고정된 가이드돌기(35)가 끼움결합되어, 제1 링크부(32')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렇게 다른 형상의 상하가이드홈(322')을 가진 제1 링크부(32')에 의해, 도어(20')가 폐쇄를 위해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마련된 도어힌지축을 중심으로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회동하면, 도어(20')의 하단부는 후방으로 밀려져 제1 링크부(32')를 후방으로 인입케하여, 상하가이드홈(322')의 후방측, 즉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진 상하가이드홈(322')에 본체커플링(31)이 위치하여 탄성부재(34)에 의해 상승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도어(20')가 개방을 위해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마련된 도어힌지축을 중심으로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회동하면, 도어(20')의 하단부는 전방으로 당겨져 제1 링크부(32')를 전방으로 인출케 하여, 상하가이드홈(322')의 후방측, 즉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진 상하가이드홈(322)에 본체커플링(31)이 위치하여 탄성부재(34)에 의한 상승 높이가 제한됨으로써 하강할 수 있다.
다만,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제1 링크부(32')가 전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해, 도어(20')의 개폐에 따른 외력을 제1 링크부(32')에 전달하기 위해, 제1 링크부(32')와 도어(20')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제2 링크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2 링크부(36')는, 좌우 회동하는 도어(20')의 개방폭을 확장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링크부재가 서로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된 다관절의 암(arm)일 수 있다.
다관절 암(arm) 형태의 제2 링크부(36')의 일측단을 제1 링크부(32')의 전방측단에 연결하기 위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링크부(32')의 전방측단에는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32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링크부(32')의 전방측단에 마련된 결합돌기(323')에, 제2 링크부(36')의 일측단이 수직 방향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때 마찬가지로 제2 링크부(36')의 타측단 역시, 도어(20)의 내측 하단부와 수직 방향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제2 링크부(36')는 절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음식물처리기 10: 본체
11: 통기공 12: 볼수납부
13: 히팅플레이트 131: 히팅코일
132: 볼고정홈 133: 볼고정둘레
14: 기계실 20: 도어
20a: 도어힌지축 201: 도어단열층
21: 도어손잡이 22: 도어내측홈
23: 제2 축결합부 31: 본체커플링
311: 걸림턱 32: 제1 링크부
321: 전후가이드홈 322: 상하가이드홈
323: 제1 축결합부 33: 구동축
34: 탄성부재 35: 가이드돌기
36: 제2 링크부 361: 내링크축
362: 외링크축 41a: 제1 관로
41b: 제2 관로 42a: 제1 연결체
42b: 제2 연결체 43a: 제1 덕트
43b: 제2 덕트 44: 순환팬
45: 증발기함 47: 응축기
48: 압축기 49: 방열팬
50: 볼 51: 용기본체
511: 가이드돌기 52: 용기커버
53: 패킹부재 54a: 제1 통기구
54b: 제2 통기구 55: 볼손잡이
56: 볼커플링 57: 회전부
58: 가동날개 59a: 제1 고정날개
59b: 제2 고정날개

Claims (10)

  1.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의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
    를 포함하되,
    상기 볼은 개방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안착 후, 상기 볼수납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납부의 저면과 개방된 상기 도어의 내측면은 높이가 서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납부의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에 장착된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높이와 개방된 상기 도어의 내측면은 높이가 서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는, 상기 볼수납부를 향하여 길게 형성된 움푹 패인 도어내측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개방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안착시, 상기 도어내측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저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납부의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에 장착된 상기 볼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히팅플레이트의 측부 외주면 중 상기 도어내측홈을 향한 일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인입되는 볼고정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볼수납부에 장착된 상기 볼의 손잡이는 상기 도어내측홈 안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일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볼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KR1020210131803A 2021-10-05 2021-10-05 음식물처리기 KR20230048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803A KR20230048875A (ko) 2021-10-05 2021-10-05 음식물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803A KR20230048875A (ko) 2021-10-05 2021-10-05 음식물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875A true KR20230048875A (ko) 2023-04-12

Family

ID=8598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803A KR20230048875A (ko) 2021-10-05 2021-10-05 음식물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887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17111A1 (en) Waste Disposal Device
KR20230048875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048874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048876A (ko) 음식물처리기
KR102632483B1 (ko) 음식물처리기
KR102632487B1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064164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KR20230157606A (ko) 음식물처리기
EP2628543A1 (en) Waste disposal device
KR20230166857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064647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49355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48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19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20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48929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KR20230165618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49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KR20230166842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KR20230167287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16A (ko) 음식물처리기
CN115298386A (zh) 衣物处理装置
KR20230165617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41A (ko) 음식물처리기
KR200446317Y1 (ko) 수평드럼회전형 열풍순환식 음식물쓰레기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