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647A - 음식물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647A
KR20230064647A KR1020210149438A KR20210149438A KR20230064647A KR 20230064647 A KR20230064647 A KR 20230064647A KR 1020210149438 A KR1020210149438 A KR 1020210149438A KR 20210149438 A KR20210149438 A KR 20210149438A KR 20230064647 A KR20230064647 A KR 20230064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evaporator
ultraviolet
door
circula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김승현
배희철
유용희
임동욱
김연근
최은한
우영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647A/ko
Publication of KR20230064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장착되는 볼수납부와,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볼을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1 자외선모듈을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처리기 {FOOD WAST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식물쓰레기는 분리수거를 위해 음식물쓰레기 저장통에 일정기간 소정의 양만큼 모아두었다가 배출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가정이나 식당 등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등장하였지만, 대부분 부피가 크고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아 실생활에까지는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607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4110호 등에서는 음식물처리기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전제품의 형태로 개발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식물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bowl)과,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는 날개와, 볼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가열장치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피처리물은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요소들에는 곰팡이나 세균 등의 미생물이 생성되기 좋은 환경이 형성된다.
미생물들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증식하게 되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사용되는 가정이나 식당 등지에서의 위생상, 그리고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필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1-0056076 A1 KR 10-2016-0044110 A1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볼의 내부를 살균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음식물처리기 내 응축수에 의해 형성되는 다습한 공간의 내부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장착되는 볼수납부와,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볼을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1 자외선모듈을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상기 제1 자외선모듈은, 살균모드에서 상기 볼의 용기본체 내부를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상기 제1 자외선모듈은, 상기 볼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자외선광을 하향 조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상기 기계실 내 상기 장치 중 열교환기를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2 자외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상기 본체는, 상기 기계실 내 상기 장치와, 상기 볼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상기 볼의 내부 공기가 상기 덕트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순환팬, 상기 순환팬이 결합되되, 상기 덕트를 형성하는 유로하우징, 및 살균모드에서 상기 유로하우징의 일면에 마련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를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2 자외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상기 유로하우징은, 상기 기계실 내 상기 장치 중 증발기가 수용되는 증발기함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자외선모듈은, 상기 증발기를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증발기함은, 상기 증발기가 수용되는 본실, 상기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로 가이드하기 위한 전실 및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순환팬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후실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자외선모듈은, 상기 후실의 상기 순환팬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순환팬은, 상기 유로하우징의 상부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외선모듈은, 상기 순환팬의 전방에 마련되되, 상기 제2 자외선모듈의 자외선광 조사 방향과 상기 순환팬의 흡기구로 흡인되는 공기의 기류 방향이 서로 교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증발기함의 내부에는, 냉동사이클의 상기 증발기가 마련되고,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냉동사이클의 상기 증발기를 제외한 압축기 및 응축기가 마련되되, 상기 증발기함에 의해 상기 증발기는 상기 압축기 및 응축기와 분리 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볼의 내부를 살균함으로써, 음식물처리기 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처리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한 피처리물에 대하여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냉동사이클 장치를 포함하되, 냉동사이클 장치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에 의해 형성되는 다습한 공간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음식물처리기의 내부에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 내 볼이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볼수납부와 기계실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본체외피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순환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볼이 수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볼이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에 볼이 수용되어 도어가 닫혔을 때의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처리기의 본체에 볼 및 연결체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하우징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내 습증기가 유로하우징을 따라 유동하는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하우징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자외선모듈을 나타낸 음식물처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자외선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자외선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 내 볼이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내부에 볼(bowl)(50)이 수납되는 본체(10)와, 본체(10)에 마련되어 본체(10) 내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50)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자는 볼(50) 내부에 피처리물을 담은 다음, 볼(50)을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 장착시키면, 음식물처리기(1)는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건조하거나, 분쇄 및/또는 교반시킴으로써 처리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체(10)는 음식물처리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와,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에 개폐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체(10)의 도어(20)가 마련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20) 개방시 볼수납부(1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고 볼(50)을 볼수납부(12)에 장착한 다음, 도어(20)를 폐쇄함으로써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케할 수 있다.
볼수납부(12)는 도어(20) 폐쇄시 외부와 격리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할 때 볼(50) 내부의 피처리물로부터 유발되는 악취 등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10)와 도어(20)가 마주 접하는 부분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도어(20) 폐쇄시 볼수납부(12)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수납부(12)의 저면에는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될 수 있다.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전기를 이용하여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전기히터 따위의 발열체를 이용한 하이라이트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고, 유도가열을 이용한 인덕션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해진 열에 의해,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건조될 수 있다.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볼(50) 내부에는 피처리물로부터 고온의 습증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습증기를 건조시키기 위해 습증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등은 기계실(14)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볼수납부와 기계실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본체외피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14)에는 습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증발기(46)와, 유량조절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기계실(14)은 고장 발생 등에 사용자가 아닌 작업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볼수납부(12)와 구획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의 본체외피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수리 등을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냉매는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유량조절밸브(미도시)와, 증발기(46)를 순차로 순환하는 순환냉매유로(Fr)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에 의해 볼(50)의 내부에서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6)를 통과함으로써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이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44)이 마련될 수 있고,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 내부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6)를 통과하여 다시 볼(50) 내부로 순환하는 기류를 형성케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팬(44)은 순환기류를 형성케하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팬(44)은 원심팬일 수 있다.
이러한 순환팬(44)은 본체(10)의 후방 상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에 마련된 흡기구를 통해 증발기(46)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흡기되며,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마련된 다수의 블레이드(또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제2 덕트(43b)로 배기될 수 있다.
즉,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 내부에 습기를 함유한 고온고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구동에 의해 볼(50) 상부에 마련된 제1 통기구(54a)를 통해 제1 관로(41a) 및 제1 덕트(43a)를 거쳐, 증발기(46)로 유입될 수 있고, 증발기(46)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습의 습증기는 순환팬(44)을 지나 제2 덕트(43b) 및 제2 관로(41b)를 거쳐 다시 볼(50) 상부에 마련된 제2 통기구(54b)를 통해 볼(50)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공기유로(Fa)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6)와 응축기(47)는 분리되어 구획된 서로 다른 공간에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응축기(47)를 제외한 증발기(46)만을 수용하는 함체로서 증발기함(45)을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함(45)은 내부 수용공간에 증발기(46)를 수용하되, 다만 냉매가 증발기함(45) 외부에 마련된 기계실(14)의 압축기(48) 및 응축기(47)와 순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증발기함(45)의 증기 유입측에는 제1 덕트(43a)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반대로 증발기함(45)의 증기 배출측에는 순환팬(44)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는, 증발기함(45) 내부의 증발기(46)를 지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며, 이때 발생하는 증기 응축수는, 증발기함(45)의 내부에 저류할 수 있고, 증발기함(45) 내부에 저류하고 있는 응축수는 자연적으로 또는 강제로 응축수배출구(451)를 통해 증발기함(45) 외부의 기계실(14)이나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증발기(46)는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볼(50) 내부로부터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와 순환냉매유로(Fr)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 간에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증발기(46)를 통과하는 증기는 냉각되고, 증발기(46)를 통과할 때 증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거될 수 있다.
압축기(48)는 냉매순환유로(Fr) 상 증발기(46)와 응축기(47)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가 냉매순환유로(Fr)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압축기(48)는 증발기(46)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47)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47)는 압축기(48)에서 이송되어 온 냉매와 외기 간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응축기(47)를 통과하는 냉매는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후측방에는 응축기(47)로부터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다수 타공 형성된 통기공(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계실(14) 내부에 있는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기 위해 응축기(47)의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팬(49)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증발기(46)를 통과한 볼(50) 내부의 증기가 응축기(47)로 유도되지 않도록 증발기함(45)에 의해 차단되될 수 있다.
다시 돌아와,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는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볼(50)이 수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분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0)은 피처리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본체(51)와, 용기본체(51)의 개구부를 덮는 용기커버(52)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51)는 내부에 피처리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상으로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볼(50) 또는 용기본체(51)를 용이하게 옮기거나 본체(10)에 탈장착할 수 있도록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볼손잡이(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손잡이(55)는 용기본체(51)의 일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51)는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5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511)의 형상이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용기본체(51)의 저면 중 전방측, 또는 용기본체(51)의 저면 중 볼손잡이(55)가 있는 방향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돌기(5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20)의 내측면에 움푹 패인 형상의 도어내측홈(22)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돌기(511)는 도어내측홈(22)의 단면에 상응하도록 좌우폭이 넓은 대략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용기커버(52)는 피처리물이 인출입되는 용기본체(51)의 개구부를 덮기 위한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대략 판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본체(51)의 개구부와 이를 덮는 용기커버(52) 사이에 기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용기본체(51)의 개구부의 내주면 및/또는 용기커버(52)의 저면에는 패킹부재(53)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용기본체(51)의 개구부와 용기커버(52) 사이에 패킹부재(53)가 개재되어, 용기본체(51)의 습증기가 순환팬(44)에 의해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순환할 때 용기본체(51) 내 악취 등이 용기본체(51)의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커버(52)는 내부의 습증기가 배출되거나 수분이 제거된 증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통기구(54a)를 통해 볼(50) 내부의 습증기는 볼(50)로부터 배기될 수 있고, 제2 통기구(54b)를 통해 습기가 제거된 증기는 볼(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볼수납부(12)에 탈장착되는 볼(50)은 제1 및 제2 덕트(43a, 43b)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통기구(54a)에는 볼(50)의 내부와 제1 덕트(43a)를 단속 및/또는 개폐할 수 있는 제1 연결체(42a)가 결합될 수 있고, 제2 통기구(54b)에는 볼(50)의 내부와 제2 덕트(43b)를 단속 및/또는 개폐할 수 있는 제2 연결체(42b)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덕트(43a, 43b)와 연결된 제1 및 제2 관로(41a, 41b)가 마련되되, 각 제1 및 제2 관로(41a, 41b)의 내부에는 선택적으로 유로를 연결/분리하거나 또는 개방/폐쇄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단부가 막힌 관형의 몸체에 측면 일부가 개구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단 및/또는 하단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나선형의 홈이나 돌기가 마련되고, 이에 상응하여 제1 및 제2 관로(41a, 41b)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나선형의 돌기나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7 내지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관로(41a, 41b)의 내측벽 중 상부 및 하부 각각에는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411, 412)가 마련될 수 있고, 돌기 형태의 가이드부(411, 412)를 따라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외주면 중 상부 및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411, 412)가 개재될 수 있도록 나선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체(42a, 42b)는 구동장치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비틀림 외력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승강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는 하강시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와 결합되거나, 상승시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와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관형의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는 개구져 있고, 이는 측면에 개구진 부분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회전 정도에 따라 측면의 개구진 부분이 선택적으로 제1 또는 제2 덕트(43a, 43b)를 향함으로써, 볼(50)의 내부는 제1 또는 제2 덕트(43a, 43b)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가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와 연결되거나 분리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와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 간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의 외주면 및/또는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의 내주면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상단 외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요홈을 가진 손잡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에 볼커플링(56)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볼커플링(56)는, 본체(10)의 볼수납부(12) 저면에 마련된 본체커플링(31)과 결합 가능하며, 본체(10)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33)은 구동에 따라 이에 결합된 본체커플링(31)을 매개로 볼커플링(56)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 사이의 결합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면에 산과 골이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커플링(31)의 상부면에 마련된 산과 골은, 볼커플링(56)의 하부면에 마련된 골과 산에 서로 이물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는 본체커플링(31)은 회전 구동력을 볼커플링(56)에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상승한 본체커플링(31)의 상부면에 형성된 산과 골이 볼커플링(56)의 하부면에 형성된 산과 골에 마주하여 서로 이물림 결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기 전에 미리, 서로 정합하도록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본체커플링(31)을 소정 각도씩 소정 횟수만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본체(51) 내부에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부(57)와, 상기 회전부(57)의 외주면에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3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57)는 볼커플링(56)과 상호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본체(10)이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33)은 회전 구동력을 본체커플링(31) 및 볼커플링(56), 그리고 회전부(57)에 전달할 수 있다.
이 이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본체(51)의 내측벽에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를 포함할 수 있다.
결국,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가동날개(38)와, 용기본체(51)의 내측벽에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는 상호 작용에 의해, 볼(50)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하도록 적층 형성된 복수의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격 형성된 복수의 날개들 사이로 회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38)가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와 가동날개(38) 사이에 개재된 피처리물은 파쇄 및/또는 교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가동날개(38)와,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의 형상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어(20)는 본체(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에 마련되어, 본체(10) 내부의 볼수납부(12)를 개폐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20)를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의 외측면에는 움푹 패인 오목한 홈형태의 도어손잡이(21)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다르게 도어손잡이(21)는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어(20)는 볼수납부(12)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가 개방되었을 때, 볼(50)이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되어,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볼이 수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된 도어(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이때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볼(50)이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개방된 도어(20)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방된 도어(20) 위에 안착된 볼(50)이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볼수납부(12)의 저면과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의 높이는 서로 대응하여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볼수납부(12)의 저면에,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된 경우, 히팅플레이트(13)의 높이와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의 높이는 서로 대응하여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20)의 내측면에는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을 볼수납부(12)으로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볼수납부(12)를 향하여 길게 형성된 움푹 패인 도어내측홈(22)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도어내측홈(22)은 도어(20)의 내측면 전반에 걸쳐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내측홈(2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볼(50)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511)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이 볼수납부(12)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때 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볼(50)이 도어내측홈(22)을 따라 가이드되어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볼(50)이 볼수납부(12)의 안쪽까지 이동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도어(20)의 내측면에 길게 형성된 도어내측홈(22)은, 도어(20)의 하단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볼수납부(12) 측을 향한 말단부가 개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수납부(12)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볼(50)이 고정되어 회전할 수 없도록, 볼수납부(12)의 저면에 마련된 히팅플레이트(13)의 측부 외주면 중 도어내측홈(22)을 향한 일부분에는 가이드돌기(511)가 인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볼고정홈(132)이 마련될 수 있다.
결국,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은 볼(50)의 가이드돌기(511)가 도어내측홈(22)에 삽입될 수 있고, 사용자는 볼(50)을 볼수납부(12)를 향하여 밀면 볼(50)은 도어내측홈(22)을 따라 이동하여, 볼수납부(12)에 장착될 수 있고,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은 볼(50)의 가이드돌기(511)가 히팅플레이트(13)의 볼고정홈(132)에 인입됨으로써, 볼수납부(12)에 볼(50)이 고정장착 될 수 있다.
또한, 히팅플레이트(13)는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일 부분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볼고정둘레(133)를 더 포함하되, 볼고정둘레(133) 중 볼수납부(12)의 전방측은 개구 형성되어, 슬라이드 이동되어 볼수납부(12)로 인입되는 볼(50)이 히팅플레이트(13) 위로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볼고정둘레(133)에 의해 형성된 영역의 내측에 볼(50)이 장착됨으로써, 볼수납부(12) 내 볼(50)은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볼이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은, 볼(50)의 가이드돌기(511)가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볼손잡이(55)는 전방을 향할 수 있다.
이때, 볼(50)의 볼손잡이(55)는 볼수납부(12)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이때 돌출된 볼손잡이(55)는 도어(20)의 폐쇄시,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 안으로 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는 볼(5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볼손잡이(55)가 인입되어 본체(10)의 크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내측홈(22)의 좌우폭은, 가이드돌기(511)의 좌우폭에 상응하되, 볼손잡이(55)의 좌우폭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에 볼이 수용되어 도어가 닫혔을 때의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수납부(12)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볼(50)의 볼손잡이(55)는 폐쇄된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 안에 인입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 안에 볼(50)의 볼손잡이(55)가 인입되었을 때, 볼손잡이(55)의 주변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은, 히팅플레이트(13)에 마련된 볼고정홈(132) 및 볼고정둘레(133)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지만, 볼(50)의 볼손잡이(55)는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의 내벽에 밀착하지 않고, 볼손잡이(55)와 도어내측홈(22)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0) 내 볼수납부(12)가 단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 내 볼수납부(12)는 볼(50)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되기 때문에, 볼수납부(12)의 단열을 위해, 도어(20)는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두께를 가진 도어(20)의 내부에는 단열층(20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어(20)의 단열층(201)은 움푹 패이도록 형성된 도어내측홈(22) 이외의 부분에 마련될 수 있으며, 단열층(201)은 공기층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단열층(201)에 단열재가 마련될 수 있다.
단열층(201)에 마련된 단열재는, 내부의 고열이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소재이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단열재의 형태 역시 적층가능한 시트형태나 충진가능한 폼형태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볼(50)의 저면에 마련된 볼커플링(56)은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33)에 결합된 본체커플링(31)과 결합됨으로써, 본체(10)의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볼(50) 내부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부(57) 및 이의 외주면에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38)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커플링(31)은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볼(50)에 마련된 볼커플링(56)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커플링(31)은 도어(20)의 개폐 동작에 연동함으로써, 본체커플링(31)은 도어(20) 개방시 하강하여 볼(50)과 분리됨으로써 볼수납부(12)로부터 볼(50)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본체커플링(31)은 도어(20) 폐쇄시 상승하여 볼(50)과 결합됨으로써 구동축(33)의 구동에 따라 볼(50)의 저면에 마련된 볼커플링(56)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0)의 내부 공기가 냉동사이클의 열교환기인 증발기(46)를 통과하여 습기가 제거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입하는 순환공기유로(Fa)를 형성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볼(50)의 내부와 제1 및 제2 덕트(43a, 43b)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이하, "연결체"로 통칭할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본체(10) 내 마련된 제1 및 제2 관로(41a, 41b)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제1 및 제2 덕트(43a, 43b)와 볼(50)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관로(41a, 41b) 내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선택적으로 볼(50)과 제1 및 제2 덕트(43a, 43b) 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분리하거나 또는 개방/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면, 일 예로 상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상단부에 마련된 연결체손잡이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가 결합되는 제1 및 제2 관로(41a, 41b)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1 및 제2 관로(41a, 41b)에 결합된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6의 도면부호 41a' 및 41b' 각각은 제1 및 제2 관로(41a, 41b) 중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가리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회전에 따라 볼(50)과 제1 및 제2 덕트(43a, 43b) 간에 유로는 선택적으로 개방/폐쇄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선택적으로 볼(5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50) 내부의 습증기가 냉동사이클의 열교환기, 구체적으로 증발기(46)를 지나 다시 볼(50) 내부로 돌아올 수 있는 순환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덕트(43)와,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순환팬(44)이 결합되는 유로하우징(6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하우징(60)은 본체(1)의 상부에 마련되어 덕트(43)를 형성하는 구조체로서, 일측에 순환팬(44)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의 상부에 마련된 본체외피가 제거되면, 유로하우징(60)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도 5 및 6 참조),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하우징(60)의 전체 외관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하우징(60)은, 볼(50)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볼(50) 내부의 습증기가 유동하는 덕트(4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하우징(60)에는 순환팬(44)이 결합될 수 있으며, 유로하우징에 결합된 순환팬(44)은, 후방 상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순환팬(44)의 구동에 의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0)의 상부에 마련된 제1 통기구(54a)를 통해 흡입된 습증기는, 제1 관로(41a) 및 제1 덕트(43a)를 거쳐 증발기함(45) 내부의 증발기(46)로 유입될 수 있고, 증발기(46)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습의 습증기는 순환팬(44)을 지나 제2 덕트(43b) 및 제2 관로(41b)를 거쳐 다시 볼(50) 상부에 마련된 제2 통기구(54b)를 통해 볼(50)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공기유로(F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덕트(43)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하우징(60)은, 순환팬(44)의 스크롤 하우징(611)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팬(44)은 원심팬으로서, 모터 따위와 같이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장치(441)와, 구동장치(441)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회전축(443)과, 회전축(443)에 결합된 임펠러(442)를 포함할 수 있다(도 19 참조).
구동장치(44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임펠러(442)는, 회전축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마련된 블레이드를 포함한 것으로, 순환팬(44)의 전방에 마련된 흡기구(미도시)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임펠러(442)의 회전으로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그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임펠러(442)의 외주면에는 이격하여 스크롤(scroll) 형태의 스크롤 하우징(611)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내부에 임펠러(442)를 수용하는 스크롤 하우징(611)은 일 예로 납작한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전방에는 개구 형성된 흡기구가 마련되고, 이에 상응하여 외주면에도 개구 형성된 배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이에 따라, 임펠러(442)의 구동에 따라 전방의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원심력에 의해 스크롤 하우징(611)의 내주면을 따라 회동하여 배기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유로하우징(60)은, 제1 및 제2 덕트(43a, 43b)의 전방측 단부에 마련된 제1 및 제2 관로(41a, 4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로 길게 형성된 관형의 제1 및 제2 관로(41a, 41b) 각각은,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가 삽입되어,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와 제1 및 제2 덕트(43a, 43b)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폐 및/또는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의 상부에 마련된 유로하우징(60)이, 하부에 마련된 볼(50)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관로(41a, 41b)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볼(50) 내부의 습증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제1 덕트(43a)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습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6)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증발기함(45)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하우징(60)은, 증발기함(45)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덕트(43a)와 증발기함(45)은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증발기함(45)은, 증발기(46)가 수용되는 본실(45b)과, 제1 덕트(43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증발기(46)로 가이드하기 위한 전실(45a)과, 증발기(46)를 통과한 공기를 순환팬(44)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후실(45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하우징의 종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실(45b) 내 증발기(46)를 중심으로 전실(45a)과 후실(45c) 각각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실(45a) 내 고온고습의 공기는 본실(45b) 내 증발기(46)를 통과하여 후실(45c)에서는 저온저습의 공기가 마련될 수 있다.
고온고습의 공기가 저온저습의 공기로 상태 변화하는 과정 중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렇게 발생된 응축수가 증발기함(45)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증발기함(45)에는 응축수배출구(451)가 마련될 수 있다.
응축수배출구(451)는 구체적으로 증발기함(45)의 본실(45b)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고, 이때, 증발기함(45)의 저면, 특히 본실(45b)의 저면은 상기 응축수배출구(451)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증발기함(45)의 저면에 저류된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배출구(451)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함께, 전실(45a)의 내측 저면과 후실(45c)의 내측 저면은 굽은 형태를 가져, 전실(45a) 및 후실(45c)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본실(45b)의 저면으로 유도되어, 본실(45b)의 저면에 저류된 응축수가 응축수배출구(451)를 통해 증발기함(45)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응축수배출구(451)는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본실(45b) 이외에 전실(45a) 및/또는 후실(45c)에도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하우징(60)의 후방에는 순환팬(44)이 마련되며, 이때 순환팬(44)의 전방, 구체적으로 순환팬(44)의 흡기구 전방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배면(45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하우징(60)의 구배면(452)은 수평면보다 소정 각도 θ만큼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스크롤 하우징(611)의 전방에는 흡기구가 위치하기 때문에, 흡기구 주변의 영역은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기구의 전방에는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발생한 응축수는 흡기구의 전방 또는 순환팬(44)의 전방에 마련된 하향 경사진 구배면(452)을 따라, 증발기함(45), 구체적으로 응축수배출구(451)로 유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하우징(60)은 증발기함(45) 내부에 수용된 증발기(46)에 의해, 볼(50) 내부의 습증기는 유로하우징(60)의 외부로 유동하지 않고 습기가 제거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볼(50) 내부의 피처리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역시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을 수 있다.
즉, 기계실(14)에는 냉동사이클을 이루기 위한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증발기(46)와, 유량조절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나, 그 중 열교환기인 증발기(46)가 유로하우징(60)의 증발기함(45)에 의해 압축기(48)와, 응축기(47) 등과 분리 구획되고, 볼(50) 내부의 습증기가 유로하우징(60) 내부에서 순환유로를 따라 기밀하게 유동하여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음식물처리기(1)의 피처리물인 음식물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50)의 내부에는 곰팡이나 세균 등의 미생물이 생성되기 좋은 환경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50) 내부에 미생물을 살균하여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에는 제1 자외선모듈(71)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자외선모듈을 나타낸 음식물처리기의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자외선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및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볼수납부(12)에서 볼(50)을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1 자외선모듈(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외선모듈(71)은 곰팡이나 세균 등의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파장대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LED모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자외선모듈(71)은 일 예로 LED발광소자와, LED발광소자가 실장된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은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짧으며, 이는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장파인 UV-A(380~315㎚ 파장), 중간파인 UV-B(315-280㎚), 그리고 단파인 UV-C(280㎚ 이하의 파장)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UV-C는 살균작용을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자외선모듈(71)과 후술하는 제2 자외선모듈(72)은 UV-C의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모듈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 자외선모듈(71)은 상기 UV-C 대역의 파장과 함께 UV-A 및/또는 UV-B 대역의 파장의 조합으로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제1 자외선모듈(71)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수납부(12)의 내부 일측면에서,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내부를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된 도어(20) 개방시,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본체(10) 내 볼수납부(12)로 인입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볼수납부(12)의 내측 상부에 마련된 제1 자외선모듈(71)은 볼(50)의 내부를 향하여 자외선광을 하향 조사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볼(50)의 내부 살균시 볼수납부(12)로 인입되는 볼(50)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0)의 상부에 마련된 용기커버(52)는 제거되고, 용기본체(51)의 상부가 개구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어모듈은,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살균모드에서 제1 자외선모듈(71)을 작동시키기 전에, 리드센서나 광센서 등과 같은 각종의 센서를 이용하여, 볼(50)의 용기본체(51)에 용기커버(52)가 장착되어 있는지, 또는 볼수납부(12)에 용기커버(52)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볼(50)의 용기커버(52)에는 자석이 마련되고, 이에 상응하여,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용기커버(52)와 인접한 위치, 즉 볼수납부(12)의 내측 상부에 상기 용기커버(52)에 마련된 자석의 유무를 감지하는 리드센서를 이용하여, 제어모듈은 용기커버(52)의 장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볼(50)의 내부 살균을 위해 용기커버(52)가 제거된 상태는 물론,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의 처리를 위해 용기커버(52)가 용기본체(51)의 상부 개구부를 덮은 상태라도, 볼(50)이 볼수납부(12)에 인출입될 때, 볼수납부(12)에 마련된 제1 자외선모듈(71)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의 상부에 마련된 제1 자외선모듈(71)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수납부(12)의 내측 상면에서 하향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러한 제1 자외선모듈(71)은 볼수납부(12)로 인출입되는 볼(50)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수납부(12)의 내측 상부에는,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가 볼(50), 구체적으로 용기커버(52)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관로(41a, 41b)는 돌출형성될 수 있다(도 21 참조).
따라서, 일 예로, 볼수납부(12)의 상부 내측벽에서 제1 자외선모듈(71)의 돌출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관로(41a, 41b)의 돌출높이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볼수납부(12)에 마련된 제1 자외선모듈(71)이 하나인 경우, 하나의 제1 자외선모듈(71)에 의해 볼(50)의 용기본체(51) 내부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하나의 제1 자외선모듈(71)은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용기본체(51)의 대략 중심을 향하여 자외선광을 하향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자외선모듈(71)은, 볼수납부(12)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되, 돌출된 제1 및 제2 관로(41a, 41b)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놓인 가상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되,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용기본체(51)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에 마련된 제1 자외선모듈(71)이 둘 이상인 경우, 둘 이상의 제1 자외선모듈(71)은 제1 및 제2 관로(41a, 41b)의 사이에, 상기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일렬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볼(50) 내부의 습증기는 다량의 습기를 함유한 상태로 공기순환유로(Fa)를 따라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미생물이 증식할 가능성이 높은 유로가 위생적인 환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순환유로(Fa) 상에 제2 자외선모듈(72)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자외선모듈(72)은, 제1 및 제2 덕트(43a, 43b)와 증발기함(45)을 포함한 유로하우징(60)의 일면에,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를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자외선모듈(72)은 증발기함(45)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볼(50) 내부의 습증기는, 열교환기, 즉 증발기(46)를 통과하면서 습기가 제거될 수 있으며, 이때, 증발기(46)를 포함한 증발기함(45)의 내부에는 응축수가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함(45)의 내부에는 피처리물이 수용된 볼(50) 내부의 습증기가 통과하되, 탈습과정에서 다습한 환경이 형성되기 때문에, 미생물이 증식할 가능성이 높아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자외선모듈(72)은 증발기함(45)의 일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를 향해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자외선모듈을 나타낸 음식물처리기의 단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자외선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및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자외선모듈(72)은 증발기함(45)의 일면, 특히 증발기함(45) 중 후실(34c)의 일면에 내부를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순환팬(44) 또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은 경사진 상태로 유로하우징(60)에 마련되기 때문에, 순환팬(44)의 전방에 위치한 증발기함(45)의 후면(또는 후실(45c)의 후면)은 공기의 흐름을 위해 순환팬(44) 또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UV-C 대역의 파장인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1 자외선모듈(71)은 물론, 제2 자외선모듈(72)은, 소정의 조사각을 갖고 퍼지도록 자외선광을 출광하기 때문에, 하나의 제2 자외선모듈(72)이, 증발기함(45) 내 마련된 증발기(46)와, 유로하우징(60)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 전반에 대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자외선모듈(72)은 상기 증발기함(45)의 경사진 후면(또는 후실(34c)의 경사진 후면)에서 내부를 향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증발기함(45)의 경사진 후면 또는 후실(34c)의 경사진 후면에서 내부를 향하도록 마련된 제2 자외선모듈(72)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 순환팬(44)의 흡기구로 흡인되는 공기에 대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고, 또 소정의 조사각으로 조사되는 자외선광의 살균영역 내에 증발기함(45) 내 증발기(46)가 포함되기 때문에, 제2 자외선모듈(72)는 본체(10) 내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 전반에 걸쳐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시말해, 순환팬(44)의 전방에 마련된 제2 자외선모듈(72)의 자외선광 조사 방향과, 순환팬(44)의 흡기구로 흡인되는 공기의 기류 방향은 서로 교차하도록, 상기 제2 자외선모듈(72)은 유로하우징(60)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순환팬(44)은 유로하우징(60)에 경사지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를 순환팬(44)의 흡기구로 유도하기 위해 경사진 후면을 가진 증발기함(45)의 후실(34c)에 상기 제2 자외선모듈(72)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2 자외선모듈(72)의 소정 각도의 조사각에 의해 형성되는 살균영역 내에 증발기(46)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증발기함(45)에 마련된 제2 자외선모듈(72)에 의해 내부로 조사된 자외선광은, 증발기함(45) 내 소정 영역에만 도달하고, 증발기함(45) 내 일부에는 자외선광이 도달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함(45) 내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증발기함(45)의 내부에는 자외선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면처리되거나, 코팅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제어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에 따라 음식물처리기(1)는 복수의 운전모드 중 살균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제어모듈은 살균모드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자외선모듈(71, 72)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하도록, 또는 소정 듀티비(duty cycle)에 따르도록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중 제1 자외선모듈(71)은 살균모드 이외에 세척모드에서도 작동하여 볼(50) 내부를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세척모드에 따라, 볼(50)의 용기본체(51) 내부에 피처리물로서 깨끗한 물이 담수된 경우, 제어부는 히팅플레이트(13)가 볼(50) 내부의 담수된 물을 가열하도록 하여 스팀(또는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볼(50)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의 스팀에 의해, 볼(50)의 내부는 살균될 수 있고, 또 스팀의 유동으로 유로하우징(60)의 제1 및 제2 덕트(43a, 43b)는 물론 증발기함(45)의 내부 역시 살균될 수 있다.
이때, 세척모드로 운전하는 음식물처리기(1)의 제어모듈은, 세척모드와 함께 제1 및/또는 제2 자외선모듈(71, 72)을 기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하도록, 또는 소정 듀티비에 따르도록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살균모드로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살균모드에서 제1 및/또는 제2 자외선모듈(71, 72)에 의해 조사되는 자외선광은 물이나 스팀은 투과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처리기(1)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세척모드와 살균모드로 동시에 운전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음식물처리기 10: 본체
11: 통기공 12: 볼수납부
13: 히팅플레이트 132: 볼고정홈
133: 볼고정둘레 14: 기계실
20: 도어 201: 단열층
21: 도어손잡이 22: 도어내측홈
31: 본체커플링 41a: 제1 관로
41b: 제2 관로 42: 연결체
42a: 제1 연결체 42b: 제2 연결체
43a: 제1 덕트 43b: 제2 덕트
44: 순환팬 441: 구동장치
442: 임펠러 443: 회전축
444: 배기구 45: 증발기함
45a: 전실 45b: 본실
45c: 후실 451: 응축수배출구
46: 증발기 47: 응축기
48: 압축기 49: 방열팬
50: 볼 51: 용기본체
511: 가이드돌기 52: 용기커버
53: 패킹부재 54a: 제1 통기구
54b: 제2 통기구 55: 볼손잡이
56: 볼커플링 57: 회전부
58: 가동날개 59a: 제1 고정날개
59b: 제2 고정날개 60: 유로하우징
61: 상부하우징 611: 스크롤하우징
621: 덕트경사면 71: 제1 자외선모듈
72: 제2 자외선모듈

Claims (10)

  1.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에 장착되는 볼수납부와,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
    를 포함하되,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볼을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1 자외선모듈;
    을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외선모듈은, 살균모드에서 상기 볼의 용기본체 내부를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외선모듈은, 상기 볼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자외선광을 하향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내 상기 장치 중 열교환기를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2 자외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기계실 내 상기 장치와, 상기 볼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상기 볼의 내부 공기가 상기 덕트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순환팬;
    상기 순환팬이 결합되되, 상기 덕트를 형성하는 유로하우징; 및
    살균모드에서 상기 유로하우징의 일면에 마련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를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2 자외선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하우징은, 상기 기계실 내 상기 장치 중 증발기가 수용되는 증발기함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자외선모듈은, 상기 증발기를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함은,
    상기 증발기가 수용되는 본실, 상기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로 가이드하기 위한 전실 및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순환팬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후실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자외선모듈은, 상기 후실의 상기 순환팬의 전방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팬은, 상기 유로하우징의 상부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외선모듈은, 상기 순환팬의 전방에 마련되되, 상기 제2 자외선모듈의 자외선광 조사 방향과 상기 순환팬의 흡기구로 흡인되는 공기의 기류 방향이 서로 교차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함의 내부에는, 냉동사이클의 상기 증발기가 마련되고,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냉동사이클의 상기 증발기를 제외한 압축기 및 응축기가 마련되되, 상기 증발기함에 의해 상기 증발기는 상기 압축기 및 응축기와 분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KR1020210149438A 2021-11-03 2021-11-03 음식물처리기 KR20230064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438A KR20230064647A (ko) 2021-11-03 2021-11-03 음식물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438A KR20230064647A (ko) 2021-11-03 2021-11-03 음식물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647A true KR20230064647A (ko) 2023-05-11

Family

ID=8637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438A KR20230064647A (ko) 2021-11-03 2021-11-03 음식물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64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17268A (zh) 一种消毒柜
CN102369399B (zh) 烹调设备
KR20230064647A (ko) 음식물처리기
KR2003006688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632483B1 (ko) 음식물처리기
CN110665023B (zh) 一种消毒柜
KR20230048875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048876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048874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064164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KR20230054984A (ko) 음식물처리기
CN110354289B (zh) 一种新型消毒柜
KR20230166857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19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18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20A (ko) 음식물처리기
CN213219358U (zh) 一种消毒柜
KR20230166841A (ko) 음식물처리기
CN213666880U (zh) 一种蒸汽消毒柜
KR20230166849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EP4316332A1 (en) Shoe care apparatus
EP4316333A1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EP4316334A1 (en) Shoe care apparatus
KR20230167287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48929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