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487B1 - 음식물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487B1
KR102632487B1 KR1020210138140A KR20210138140A KR102632487B1 KR 102632487 B1 KR102632487 B1 KR 102632487B1 KR 1020210138140 A KR1020210138140 A KR 1020210138140A KR 20210138140 A KR20210138140 A KR 20210138140A KR 102632487 B1 KR102632487 B1 KR 102632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raveling
food waste
main body
waste dispo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4984A (ko
Inventor
임동욱
강명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48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4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 및 상기 볼이 내부에 장착되는 볼수납부와,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기계실 내 상기 장치와, 상기 볼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및 상기 덕트와 상기 볼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처리기 {FOOD WAST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식물쓰레기는 분리수거를 위해 음식물쓰레기 저장통에 일정기간 소정의 양만큼 모아두었다가 배출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가정이나 식당 등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등장하였지만, 대부분 부피가 크고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아 실생활에까지는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607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4110호 등에서는 음식물처리기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전제품의 형태로 개발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식물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bowl)과,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는 날개와, 볼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가열장치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도어의 개폐 방향에 따라 설치 위치상의 제한이 있거나, 볼을 본체에 탈장착할 때 등과 같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필요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1-0056076 A1 KR 10-2016-0044110 A1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의 설치 위치상의 제한이나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 및 상기 볼이 내부에 장착되는 볼수납부와,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기계실 내 상기 장치와, 상기 볼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및 상기 덕트와 상기 볼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은, 상기 볼의 내부 공기가 외부와 유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통기구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기구는, 상기 볼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제1 통기구와,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부터 상기 볼의 내부로 유입되는 제2 통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제1 및 제2 통기구 각각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제1 통기구와 상기 제1 덕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체와, 상기 제2 통기구와 상기 제2 덕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결체는, 자전 가능한 원통형으로서, 회전에 따라 상기 통기구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되, 상기 통기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에 따라 상기 볼의 내부는 상기 덕트와 연결이 단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결체는, 상단부가 폐구되고, 하단부는 개구되며, 측면부의 일부는 개구된 형상을 가진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결체는, 상기 상단부에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되,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연결체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체의 상단부의 외주면 또는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주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부를 따라 회전하는 상기 몸체는 승강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체는, 상기 주행부의 상측에 씰링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씰링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체가 삽입되는 관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로의 내벽에는, 상기 주행부와 결합되어 상기 주행부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행부는, 높이에 따라 높은 높이를 가진 상부주행로와 낮은 높이를 가진 하부주행로, 그리고 상기 상부주행로 및 상기 하부주행로를 서로 연결하는 전환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부주행로 및 상기 하부주행로는 수평하게 마련되고, 상기 전환로는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행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상부주행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연결체는 상기 볼과 기밀상태에서 상기 볼의 내부와 상기 덕트 간의 연결이 1회 단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행부는, 상기 상부주행로 상에 상기 주행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1 차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환로에서 상기 제1 차단부 간의 중심각은 180도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행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하부주행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연결체는 상기 볼과 분리상태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행부는, 상기 하부주행로 상에 상기 주행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2 차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전환로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행부는, 상기 몸체 상단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제1 주행부와, 상기 몸체 하단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제2 주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주행부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주행부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는 동일 모선 상에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행부는 홈 형태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돌출된 돌기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를 본체의 전방에 마련하고 개방된 도어를 통해 볼이 본체 내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처리기의 설치 위치상의 제한이나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사용자는 편리하게 본체와 그 내부에 위치한 볼 사이에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볼 내부의 피처리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피처리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 내 볼이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볼수납부와 기계실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본체외피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순환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볼이 수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볼이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에 볼이 수용되어 도어가 닫혔을 때의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처리기의 본체에 볼 및 연결체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체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주행로를 따라 회동하는 연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환로를 따라 회동하는 연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주행로를 따라 회동하는 연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연결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및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및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체의 다양한 동작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 내 볼이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내부에 볼(bowl)(50)이 수납되는 본체(10)와, 본체(10)에 마련되어 본체(10) 내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50)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자는 볼(50) 내부에 피처리물을 담은 다음, 볼(50)을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 장착시키면, 음식물처리기(1)는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건조하거나, 분쇄 및/또는 교반시킴으로써 처리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체(10)는 음식물처리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와,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에 개폐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체(10)의 도어(20)가 마련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20) 개방시 볼수납부(1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고 볼(50)을 볼수납부(12)에 장착한 다음, 도어(20)를 폐쇄함으로써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케할 수 있다.
볼수납부(12)는 도어(20) 폐쇄시 외부와 격리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할 때 볼(50) 내부의 피처리물로부터 유발되는 악취 등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10)와 도어(20)가 마주 접하는 부분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도어(20) 폐쇄시 볼수납부(12)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수납부(12)의 저면에는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될 수 있다.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전기를 이용하여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전기히터 따위의 발열체를 이용한 하이라이트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고, 유도가열을 이용한 인덕션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해진 열에 의해,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건조될 수 있다.
피처리물 건조시, 피처리물로부터 고온의 습증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습증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등은 기계실(14)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볼수납부와 기계실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본체외피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14)에는 습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증발기(46)와, 유량조절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기계실(14)은 고장 발생 등에 사용자가 아닌 작업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볼수납부(12)와 구획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의 본체외피 중 적ㅇ도 일부 영역은 수리 등을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동사이클의 구동으로, 냉매는 압축기(48)와, 응축기(47)와, 유량조절밸브(미도시)와, 증발기(46)를 순차로 순환하는 순환냉매유로(Fr)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팬(44)에 의해 볼(50)의 내부에서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6)를 통과함으로써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고, 이는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44)이 마련될 수 있고, 순환팬(44)의 구동으로 볼(50) 내부의 증기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6)를 통과하여 다시 볼(50) 내부로 순환하는 기류를 형성케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팬(44)은 순환기류를 형성케하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팬(44)은 원심팬일 수 있다.
이러한 순환팬(44)은 본체(10)의 후방 상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44) 회전축의 축방향 전방에 마련된 흡기구를 통해 증발기(46)를 통과한 저온저습의 증기는 흡기되며, 흡기된 증기는 순환팬(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에 원주를 따라 마련된 다수의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순환팬(44)의 원심방향에 연결된 제2 덕트(43b)로 배기될 수 있다.
즉,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한 가열로 볼(50) 내부에 습기를 함유한 고온고습의 증기는 순환팬(44)의 구동에 의해 볼(50) 상부에 마련된 제1 통기구(54a)를 통해 제1 관로(41a) 및 제1 덕트(43a)를 거쳐, 증발기(46)로 유입될 수 있고, 증발기(46)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습의 습증기는 순환팬(44)을 지나 제2 덕트(43b) 및 제2 관로(41b)를 거쳐 다시 볼(50) 상부에 마련된 제2 통기구(54b)를 통해 볼(50)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공기유로(Fa)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열교환기인 증발기(46)와 응축기(47)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응축기(47)를 제외한 증발기(46)만을 수용하는 함체로서 증발기함(45)을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함(45)은 내부 수용공간에 증발기(46)를 수용하되, 다만 냉매가 증발기함(45) 외부에 마련된 기계실(14)의 압축기(48) 및 응축기(47)와 순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따. 이때, 증발기함(45)의 증기 유입측에는 제1 덕트(43a)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반대로 증발기함(45)의 증기 배출측에는 순환팬(44)과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볼(50) 내부의 고온고습의 습증기는, 증발기함(45) 내부의 증발기(46)를 지나면서 저온저습의 증기로 변화하며, 이때 발생하는 증기 응축수는, 증발기함(45)의 내부에 저류할 수 있고, 증발기함(45) 내부에 저류하고 있는 응축수는 자연적으로 또는 강제로 응축수배출구(451)를 통해 증발기함(45) 외부의 기계실(14)이나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증발기(46)는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볼(50) 내부로부터 인출된 고온고습의 증기와 순환냉매유로(Fr)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 간에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증발기(46)를 통과하는 증기는 냉각되고, 증발기(46)를 통과할 때 증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거될 수 있다.
압축기(48)는 냉매순환유로(Fr) 상 증발기(46)와 응축기(47)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가 냉매순환유로(Fr)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압축기(48)는 증발기(46)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47)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47)는 압축기(48)에서 이송되어 온 냉매와 외기 간 열교환을 시키는 수단으로, 응축기(47)를 통과하는 냉매는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후측방에는 응축기(47)로부터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다수 타공 형성된 통기공(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계실(14) 내부에 있는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기 위해 응축기(47)의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팬(49)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증발기(46)를 통과한 볼(50) 내부의 증기가 응축기(47)로 유도되지 않도록 증발기함(45)에 의해 차단되될 수 있다.
다시 돌아와,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는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볼(50)이 수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분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0)은 피처리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본체(51)와, 용기본체(51)의 개구부를 덮는 용기커버(52)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51)는 내부에 피처리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상으로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볼(50) 또는 용기본체(51)를 용이하게 옮기거나 본체(10)에 탈장착할 수 있도록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볼손잡이(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손잡이(55)는 용기본체(51)의 일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51)는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5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511)의 형상이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용기본체(51)의 저면 중 전방측, 또는 용기본체(51)의 저면 중 볼손잡이(55)가 있는 방향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돌기(5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20)의 내측면에 움푹 패인 형상의 도어내측홈(22)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돌기(511)는 도어내측홈(22)의 단면에 상응하도록 좌우폭이 넓은 대략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용기커버(52)는 피처리물이 인출입되는 용기본체(51)의 개구부를 덮기 위한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대략 판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본체(51)의 개구부와 이를 덮는 용기커버(52) 사이에 기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용기본체(51)의 개구부의 내주면 및/또는 용기커버(52)의 저면에는 패킹부재(53)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용기본체(51)의 개구부와 용기커버(52) 사이에 패킹부재(53)가 개재되어, 용기본체(51)의 습증기가 순환팬(44)에 의해 순환공기유로(Fa)를 따라 순환할 때 용기본체(51) 내 악취 등이 용기본체(51)의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커버(52)는 내부의 습증기가 배출되거나 수분이 제거된 증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통기구(54a)를 통해 볼(50) 내부의 습증기는 볼(50)로부터 배기될 수 있고, 제2 통기구(54b)를 통해 습기가 제거된 증기는 볼(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볼수납부(12)에 탈장착되는 볼(50)은 제1 및 제2 덕트(43a, 43b)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통기구(54a)에는 볼(50)의 내부와 제1 덕트(43a)를 단속 및/또는 개폐할 수 있는 제1 연결체(42a)가 결합될 수 있고, 제2 통기구(54b)에는 볼(50)의 내부와 제2 덕트(43b)를 단속 및/또는 개폐할 수 있는 제2 연결체(42b)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12)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덕트(43a, 43b)와 연결된 제1 및 제2 관로(41a, 41b)가 마련되되, 각 제1 및 제2 관로(41a, 41b)의 내부에는 선택적으로 유로를 연결/분리하거나 또는 개방/폐쇄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단부가 막힌 관형의 몸체에 측면 일부가 개구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단 및/또는 하단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나선형의 홈이나 돌기가 마련되고, 이에 상응하여 제1 및 제2 관로(41a, 41b)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나선형의 돌기나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상단 외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요홈을 가진 손잡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체(42a, 42b)는 구동장치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비틀림 외력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승강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는 하강시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와 결합되거나, 상승시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와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관형의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는 개구져 있고, 이는 측면에 개구진 부분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회전 정도에 따라 측면의 개구진 부분이 선택적으로 제1 또는 제2 덕트(43a, 43b)를 향함으로써, 볼(50)의 내부는 제1 또는 제2 덕트(43a, 43b)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가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와 연결되거나 분리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와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 간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하단부의 외주면 및/또는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의 내주면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에 볼커플링(56)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볼커플링(56)는, 본체(10)의 볼수납부(12) 저면에 마련된 본체커플링(31)과 결합 가능하며, 본체(10)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33)은 구동에 따라 이에 결합된 본체커플링(31)을 매개로 볼커플링(56)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 사이의 결합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면에 산과 골이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커플링(31)의 상부면에 마련된 산과 골은, 볼커플링(56)의 하부면에 마련된 골과 산에 서로 이물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는 본체커플링(31)은 회전 구동력을 볼커플링(56)에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상승한 본체커플링(31)의 상부면에 형성된 산과 골이 볼커플링(56)의 하부면에 형성된 산과 골에 마주하여 서로 이물림 결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기 전에 미리, 서로 정합하도록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본체커플링(31)을 소정 각도씩 소정 횟수만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본체(51) 내부에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부(57)와, 상기 회전부(57)의 외주면에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3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57)는 볼커플링(56)과 상호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본체(10)이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33)은 회전 구동력을 본체커플링(31) 및 볼커플링(56), 그리고 회전부(57)에 전달할 수 있다.
이 이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본체(51)의 내측벽에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를 포함할 수 있다.
결국,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가동날개(38)와, 용기본체(51)의 내측벽에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는 상호 작용에 의해, 볼(50)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하도록 적층 형성된 복수의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격 형성된 복수의 날개들 사이로 회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38)가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와 가동날개(38) 사이에 개재된 피처리물은 파쇄 및/또는 교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가동날개(38)와,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의 형상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어(20)는 본체(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에 마련되어, 본체(10) 내부의 볼수납부(12)를 개폐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20)를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의 외측면에는 움푹 패인 오목한 홈형태의 도어손잡이(21)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다르게 도어손잡이(21)는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어(20)는 볼수납부(12)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가 개방되었을 때, 볼(50)이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되어,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볼이 수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된 도어(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이때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볼(50)이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개방된 도어(20)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방된 도어(20) 위에 안착된 볼(50)이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볼수납부(12)의 저면과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의 높이는 서로 대응하여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볼수납부(12)의 저면에,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된 경우, 히팅플레이트(13)의 높이와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의 높이는 서로 대응하여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20)의 내측면에는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을 볼수납부(12)으로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볼수납부(12)를 향하여 길게 형성된 움푹 패인 도어내측홈(22)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도어내측홈(22)은 도어(20)의 내측면 전반에 걸쳐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내측홈(2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볼(50)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511)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이 볼수납부(12)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때 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볼(50)이 도어내측홈(22)을 따라 가이드되어 볼수납부(12)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볼(50)이 볼수납부(12)의 안쪽까지 이동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도어(20)의 내측면에 길게 형성된 도어내측홈(22)은, 도어(20)의 하단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볼수납부(12) 측을 향한 말단부가 개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수납부(12)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볼(50)이 고정되어 회전할 수 없도록, 볼수납부(12)의 저면에 마련된 히팅플레이트(13)의 측부 외주면 중 도어내측홈(22)을 향한 일부분에는 가이드돌기(511)가 인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볼고정홈(132)이 마련될 수 있다.
결국,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은 볼(50)의 가이드돌기(511)가 도어내측홈(22)에 삽입될 수 있고, 사용자는 볼(50)을 볼수납부(12)를 향하여 밀면 볼(50)은 도어내측홈(22)을 따라 이동하여, 볼수납부(12)에 장착될 수 있고,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은 볼(50)의 가이드돌기(511)가 히팅플레이트(13)의 볼고정홈(132)에 인입됨으로써, 볼수납부(12)에 볼(50)이 고정장착 될 수 있다.
또한, 히팅플레이트(13)는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일 부분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볼고정둘레(133)를 더 포함하되, 볼고정둘레(133) 중 볼수납부(12)의 전방측은 개구 형성되어, 슬라이드 이동되어 볼수납부(12)로 인입되는 볼(50)이 히팅플레이트(13) 위로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볼고정둘레(133)에 의해 형성된 영역의 내측에 볼(50)이 장착됨으로써, 볼수납부(12) 내 볼(50)은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 본체에 볼이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도어(20)의 내측면 위에 안착된 볼(50)은, 볼(50)의 가이드돌기(511)가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볼손잡이(55)는 전방을 향할 수 있다.
이때, 볼(50)의 볼손잡이(55)는 볼수납부(12)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이때 돌출된 볼손잡이(55)는 도어(20)의 폐쇄시,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 안으로 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는 볼(5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볼손잡이(55)가 인입되어 본체(10)의 크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내측홈(22)의 좌우폭은, 가이드돌기(511)의 좌우폭에 상응하되, 볼손잡이(55)의 좌우폭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수납부에 볼이 수용되어 도어가 닫혔을 때의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수납부(12)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볼(50)의 볼손잡이(55)는 폐쇄된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 안에 인입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 안에 볼(50)의 볼손잡이(55)가 인입되었을 때, 볼손잡이(55)의 주변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은, 히팅플레이트(13)에 마련된 볼고정홈(132) 및 볼고정둘레(133)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지만, 볼(50)의 볼손잡이(55)는 도어(20)의 도어내측홈(22)의 내벽에 밀착하지 않고, 볼손잡이(55)와 도어내측홈(22)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0) 내 볼수납부(12)가 단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 내 볼수납부(12)는 볼(50)을 가열하는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되기 때문에, 볼수납부(12)의 단열을 위해, 도어(20)는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두께를 가진 도어(20)의 내부에는 단열층(20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어(20)의 단열층(201)은 움푹 패이도록 형성된 도어내측홈(22) 이외의 부분에 마련될 수 있으며, 단열층(201)은 공기층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단열층(201)에 단열재가 마련될 수 있다.
단열층(201)에 마련된 단열재는, 내부의 고열이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소재이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단열재의 형태 역시 적층가능한 시트형태나 충진가능한 폼형태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볼(50)의 저면에 마련된 볼커플링(56)은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33)에 결합된 본체커플링(31)과 결합됨으로써, 본체(10)의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볼(50) 내부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부(57) 및 이의 외주면에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38)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커플링(31)은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볼(50)에 마련된 볼커플링(56)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커플링(31)은 도어(20)의 개폐 동작에 연동함으로써, 본체커플링(31)은 도어(20) 개방시 하강하여 볼(50)과 분리됨으로써 볼수납부(12)로부터 볼(50)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본체커플링(31)은 도어(20) 폐쇄시 상승하여 볼(50)과 결합됨으로써 구동축(33)의 구동에 따라 볼(50)의 저면에 마련된 볼커플링(56)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 볼(50)이 장착되었을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0)의 내부 공기가 냉동사이클의 열교환기인 증발기(46)를 통과하여 습기가 제거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다시 볼(50)의 내부로 유입하는 순환공기유로(Fa)를 형성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볼(50)의 내부와 제1 및 제2 덕트(43a, 43b)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이하, "연결체"로 통칭할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본체(10) 내 마련된 제1 및 제2 관로(41a, 41b)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제1 및 제2 덕트(43a, 43b)와 볼(50)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관로(41a, 41b) 내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선택적으로 볼(50)과 제1 및 제2 덕트(43a, 43b) 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분리하거나 또는 개방/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면, 일 예로 상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상단부에 마련된 연결체손잡이(424)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가 결합되는 제1 및 제2 관로(41a, 41b)는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1 및 제2 관로(41a, 41b)에 결합된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6의 도면부호 41a' 및 41b' 각각은 제1 및 제2 관로(41a, 41b) 중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가리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회전에 따라 볼(50)과 제1 및 제2 덕트(43a, 43b) 간에 유로는 선택적으로 개방/폐쇄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선택적으로 볼(5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체(42)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체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연결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7(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체(42)의 외관을 다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및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체(42)는 관로(41a, 41b) 내부에 장착되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부가 빈 원통형의 연결체(42)는, 중공부를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체(42)는 일단부, 즉 볼(50)을 향한 하단부는 개구되어 볼(50)의 통기구(54a, 54b)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또 연결체(42)의 중공부는 측면부 중 일부가 개구 형성된 측면개구부(4210b)를 통해 덕트(43a, 43b)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 본체(10)의 외부에 노출되는 연결체(42)의 상단부는 폐구됨으로써, 결국 연결체(42) 내부의 중공부를 매개로 덕트(43a, 43b)와 볼(50)의 통기구(54a, 54b)는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체(42)는, 폐구된 상단부(4211)와, 개구된 하단부(4212)와, 측면부 중 일부가 개구된 측면개구부(4210b)와, 측면부 중 일부가 폐구된 측면폐구부(4210a)를 갖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체(42)의 몸체는 실시예에 따라, 일체로 형성되거나, 둘 이상의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연결체(42)는 관로(41a, 41b)에 결합되었을 때, 본체(10)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 즉 폐구된 상단부(4211)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연결체손잡이(42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연결체손잡이(424)를 파지하고 비틀림외력을 가함으로써, 연결체(42)는 외력에 의해 수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관로(41a, 41b) 내 결합된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볼(50)의 내부와 제1 및 제2 덕트(43a, 43b)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체(42)는 회전함에 따라 승강이동할 수 있다.
즉, 연결체(42)는 하강시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이하, "통기구"로 통칭할 수 있다)에 장착되어 덕트(43a, 43b)와 볼(50) 사이에 유로를 형성케 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연결체(42)는 상승시 볼(50)의 통기구(54a, 54b)로부터 탈착되어 덕트(43a, 43b)와 볼(50) 사이에 기 형성된 유로를 분리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2의 A-A'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예로, 제1 연결체(42a)는 제1 관로(41a) 내에서 상승하여, 볼(50)의 제1 통기구(54a)와 분리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제2 연결체(42b)는 제2 관로(42b) 내에서 하강하여, 볼(50)의 제2 통기구(54b)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체(42)는 외주면 중 일부에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체(42)는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주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체(42)의 주행부는 홈 형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연결체(42)의 주행부는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상부주행가이드(4231, 4237)와, 그 하부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하부주행가이드(4232, 4238) 사이에 움푹 패인 홈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부주행로(4222, 4226)는 상부주행가이드(4231, 4237)와 하부주행가이드(4232, 4238) 사이에 움푹 패인 홈일 수 있고, 하부주행로(4223, 4227)는 하부주행가이드(4232, 4238)의 하부에 움푹 패인 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부는, 연결체(42)의 몸체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체(42)의 몸체 상단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제1 주행부(4222~4224)와, 연결체(42)의 몸체 하단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제2 주행부(4226~422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체(42)의 몸체 하단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하단둘레부(4212)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주행부(4226~4228) 중 하부주행로(4227)는 하부주행가이드(4238)와 하단들레부(4212) 사이에 움푹 패인 홈일 수 있다.
여기서, 하단둘레부(4212)는 연결체(42)가 하강시 볼(50)의 통기구(54a, 54b)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연결체(42)와 통기구(54a, 54b) 간에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무나 실리콘 따위와 같은 탄성을 가진 연질의 소재일 수 있다.
한편, 연결체(42)가 볼(50)의 내부와 덕트(43a, 43b) 사이에 유로를 형성할 때,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체(42)의 몸체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씰링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는 씰링홈(4221, 4225)이 마련될 수 있다.
씰링홈(4221, 4225)에 마련된 씰링부재에 의해 연결체(42)의 외주면과 관로(41a, 41b)의 내측면은 서로 밀착하여,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연결체(42)의 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씰링홈(4221, 4225)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볼(50)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로부터 발생된 악취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주행부, 즉 제1 및 제2 주행부(4222~4224, 4226~4228)의 상측, 구체적으로 제1 주행부(4222~4224)의 상부주행가이드(4231)의 상측 및/또는 제2 주행부(4226~4228)의 상부주행가이드(4237)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씰링홈(4221, 4225)에 씰링부재가 개재될 수 있도록 씰링홈(4221, 4225)의 상하측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씰링홈(4221, 4225)의 하측에는 몸체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상부주행가이드(4231, 4237)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체(42)의 몸체 상단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상단둘레부(4211)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단둘레부(4211)와 제1 주행부(4222~4224)의 상부주행가이드(4231) 사이에는 씰링홈(42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주행부(4226~4228)의 상부주행가이드(4237)의 상측에는 씰링홈(4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씰링홈(4221)의 상측에는 연결체(42)의 몸체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체(42)가 관로(41a, 41b) 내에서 회전할 때, 연결체(42)의 외주면에 형성된 주행부는 관로(41a, 41b)의 내측벽에 형성된 가이드부(411, 412)에 의해, 그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행부가 홈 형태인 경우, 홈 형태에 상응하여 홈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411, 412)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체(42)는 회전시 연결체(4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 형태의 주행부가 관로(41a, 41b)의 내측벽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411, 412)에 의해 그 이동이 가이드되어 회동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및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411, 412)는 관로(41a, 41b)의 내측벽에 고정되되, 주행부가 연결체(42)의 상하측 각각에 마련된 제1 주행부(4222~4224)와, 제2 주행부(4226~4228)를 포함한 경우, 상기 가이드부(411, 412)도 이에 상응하여, 관로(41a, 41b)의 내측벽 상하부 각각에 제1 및 제2 가이드부(411, 412)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부(411)는 제1 주행부(4222~4224)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고, 제2 가이드부(412)는 제2 주행부(4226~4228)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가이드부(411, 412)는 관로(41a, 41b)의 내측벽에 동일 모선 상에 마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3 참조). 왜냐하면, 제1 및 제2 가이드부(411, 4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주행부(4222~4224, 4226~4228)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전환로(4224, 4228) 등을 통해 관로(41a, 41b)에서 연결체(42)가 일거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때문이다.
일 예로, 제1 및 제2 가이드부(411, 412)는, 도 18 내지 2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벽에 서로 마주 배치되어, 중심각 180°를 가질 수 잇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411, 412)가 상부주행로(4222, 4226)를 따라 하강구간에서 회동한 후, 연속하여 하부주행로(4223, 4227)를 따라 상승구간에서 회동하는 과정 도중, 관로(41a, 41b)에서 연결체(42)가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411, 412)는 상기 주행부를 따라 이동하는 객체로서, 결국 연결체(42)는 가이드부(411, 412)를 기준으로 상부주행로(4222, 4226) 및/또는 하부주행로(4223, 4227)를 따라 회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행부는 회전에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상부주행로(4222, 4226)와 하부주행로(4223, 422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주행로(4222, 4226)와 하부주행로(4223, 4227)가 서로 연속할 수 있도록, 상부주행로(4222, 4226)와 하부주행로(4223, 4227)는 전환로(4224, 4228)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주행로(4222, 4226) 및 하부주행로(4223, 4227)는 소정 각도로 이루어진 나선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상부주행로(4222, 4226) 및 하부주행로(4223, 4227)는 수평하게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상부주행로(4222, 4226) 및 하부주행로(4223, 4227)를 서로 연결하는 전환로(4224, 4228)가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체(42)가 연속하여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부(411, 412)는 상부주행로(4222, 4226)를 따라 이동한 다음 순차로 하부주행로(4223, 4227)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연결체(42)가 반대로 연속하여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부(411, 412)는 하부주행로(4223, 4227)를 따라 이동한 다음 순차로 상부주행로(4222, 422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411, 412)가 상부주행로(4222, 4226) 또는 하부주행로(4223, 4227)를 따라 이동할 때에는, 상부주행로(4222, 4226) 및 하부주행로(4223, 4227)가 수평하기 때문에, 연결체(42)의 높이는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가이드부(411, 412)가 전환로(4224, 4228)를 통해 상부주행로(4222, 4226)에서 하부주행로(4223, 4227)로 이동하는 경우 연결체(42)는 상승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가이드부(411, 412)가 전환로(4224, 4228)를 통해 하부주행로(4223, 4227)에서 상부주행로(4222, 4226)로 이동하는 경우 연결체(42)는 하강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체(42)가 연속하여 2회전하는 경우, 가이드부(411, 412)는 상부주행로(4222, 4226) 및 하부주행로(4223, 4227) 각각에서 1회전씩하되, 가이드부(411, 412)가 상부주행로(4222, 4226)와 하부주행로(4223, 4227) 사이의 전환로(4224, 4228)를 따라 이동할 때에는 연결체(42)의 높이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주행로(4222, 4226)가 홈 형태인 경우, 홈 형태의 상부주행로(4222, 4226)를 갖기 위해, 상부주행로(4222, 4226)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돌출된 형태의 상부주행가이드(4231, 4237) 및 하부주행가이드(4232, 4238)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한 쌍의 상부주행가이드(4231, 4237) 및 하부주행가이드(4232, 4238)에 의해 그 사이에는 홈 형태의 상부주행로(4222, 4226)가 마련될 수 있고, 돌출된 상기 하부주행가이드(4232, 4238)의 하측에는 그에 따라 하부주행로(4223, 4227)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주행로를 따라 회동하는 연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환로를 따라 회동하는 연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주행로를 따라 회동하는 연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체(42)가 가이드부(411, 412)에 의해 자전할 때, 하부주행가이드(4232, 4238)는 가이드부(411, 4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체(42)는 가이드부(411, 412)를 기준으로 하부주행로(4223, 4227)를 따라 회동할 수 있다. 즉 연결체(42)는 상승한 구간인 상승구간에서 자전할 수 있다.
이후, 연결체(42)가 대략 360°를 회전한 이후, 가이드부(411, 412)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로(4224, 4228)로 진입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411, 412)가 상부주행로(4222, 4226)와 하부주행로(4223, 4227)를 연결하는 전환로(4224, 4228)에 진입한 다음,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체(42)의 자중에 의해 가이드부(411, 412)는, 하부주행로(4223, 4227)에서 상부주행로(4222, 4226)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연결체(42)는 하강한 구간인 하강구간에서 자전할 수 있다.
가이드부(411, 412)는 연결체(42)의 상부주행로(4222, 4226) 또는 하부주행로(4223, 4227)를 따라 회동함으로써, 하강구간 또는 상승구간에서 자전할 수 있으며, 하강구간, 즉 상부주행로(4222, 4226)에서 자전하는 연결체(42)는 볼(50)과 기밀상태를 유지할수 있고, 반대로 상승구간, 즉 하부주행로(4223, 4227)에서 자전하는 연결체(42)는 볼(50)과 분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체(42a)의 제1 주행부 중 상부주행로(4222)에 제1 가이드부(411a)가 위치하고, 제1 연결체(42a)의 제2 주행부 중 상부주행로(4226)에 제2 가이드부(412a)가 위치하여, 제1 연결체(42a)는 하강한 상태일 수 있고, 이때 하강구간의 제1 연결체(42a)가 자전할 때, 제1 연결체(42a)의 중공부는 제1 덕트(43a)와 연결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또 이와 상반되게, 제2 연결체(42b)의 제1 주행부 중 하부주행로(4223)에 제1 가이드부(411b)가 위치하고, 제2 연결체(42b)의 제2 주행부 중 하부주행로(4227)에 제2 가이드부(412b)가 위치하여, 제2 연결체(42b)는 상승한 상태일 수 있고, 이때 상승구간의 제2 연결체(42b)가 자전할 때, 제2 연결체(42b)의 중공부는 제2 덕트(43b)와 연결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관로(41a, 41b) 내 결합된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가 볼(50)의 내부와 제1 및 제2 덕트(43a, 43b)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폐쇄할 수 있도록, 연결체(42)의 측면부의 일부는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연결체(42)의 측면부는 일부가 개구된 측면개구부(4210b)와, 폐구된 측면폐구부(421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개구부(4210b)와, 상기 측면폐구부(4210a)는 각각 중심각이 180°일 수 있다.
결국, 연결체(42)의 주행부가 가이드부(411, 412)에 의해 상부주행로(4222, 4226)를 따라 이동할 때, 연결체(42)는 볼(50)과 기밀상태를 유지하면서, 볼(50)의 내부와 덕트(43a, 43b) 간의 연결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즉 하강구간에서 연결체(42)가 회전할 때, 볼(50)의 내부와 덕트(43a, 43b) 간의 연결은 1회 단속될 수 있다.
도 24 및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체의 다양한 동작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 모두가 상승구간에서 측면개구부(4210b)는 제1 및 제2 덕트(43a, 43b)와 마주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단, 상승구간에 있는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볼(50)의 제1 및 제2 통기구(54a, 54b)와 결합되지 않고 연결이 끊어진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연결체(42a)는 상승구간에서 90°만큼 회전할 수 있고, 도 2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체(42a)의 측면개구부(4210b)는 절반만 제1 덕트(43a)와 마주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연결체(42a)는 상승구간에서 같은 방향으로 90°만큼 더 회전할 수 있고, 도 2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체(42a)의 측면폐구부(4210a)가 제1 덕트(43a)와 마주하여 연결이 폐쇄될 수 있다.
또, 도 2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체(42a)는 상승구간에서, 그리고 제2 연결체(42b)는 하강구간에 있을 수 있고,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측면개구부(4210b)는 제1 및 제2 덕트(43a, 43b)와 마주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하강구간에 있는 제2 연결체(42b)는 볼(50)의 제1 통기구(54a)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연결체(42a)는 하강구간에서 90°만큼 회전할 수 있고, 도 2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체(42a)의 측면개구부(4210b)는 절반만 제1 덕트(43a)와 마주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연결체(42a)는 하강구간에서 같은 방향으로 90°만큼 더 회전할 수 있고, 도 2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체(42a)의 측면폐구부(4210a)가 제1 덕트(43a)와 마주하여 연결이 폐쇄될 수 있다.
한편, 주행부는, 도 18 내지 2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주행로(4222, 4226) 상에 주행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1 차단부(423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전환로(4224, 4228)와 제1 차단부(4236) 간의 중심각(θ)은 180° 이상일 수 있다.
즉, 연결체(42)가 볼(50)과 기밀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전할 때, 가이드부(411, 412)는 상부주행로(4222, 4226)를 따라 이동하며, 이때 연결체(42)가 볼(50)의 내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덕트(43a, 43b)와 1회씩 연결 및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전환로(4224, 4228)와 상기 제1 차단부(4236) 간의 중심각(θ)은 1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행부는, 도 18 내지 2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주행로(4223, 4227) 상에 주행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2 차단부(423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11, 412)는 하부주행로(4223, 4227)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연결체(42)는 볼(50)과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가이드부(411, 412)가 하부주행로(4223, 4227)를 따라 이동할 때, 전환로(4224, 4228)와 인접하여 위치한 제2 차단부(4235)에 의해 그 이동이 저지됨으로써, 가이드부(411, 412)가 전환로(4224, 4228)로 다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부(411, 412)가 하부주행로(4223, 4227)를 따라 이동한 후 제2 차단부(4235)에 의해 그 이동이 저지되면, 연결체(42)가 하강하지 않고 볼(50)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 상태의 연결체(42)는 사용자가 본체(10)로부터 외부로 인출하기 용이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연결체(42)가 관로(41a, 41b)로부터 일거에 빠지지 않도록, 제1 주행부(4222~4224)의 전환로(4224)와, 제2 주행부(4226~4228)의 전환로(4228)은 동일 모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또는 제2 차단부(4236, 4235)는 제1 주행부(4222~4224)와 제2 주행부(4226~4228) 중 적어도 하나에만 마련될 수 있다.
전환로(4224, 422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주행로(4222, 4226)와 하부주행로(4223, 4227)를 서로 연결하는 구간으로서, 상부주행로(4222, 4226)와 하부주행로(4223, 4227)가 각각 수평한 경우, 연결체(42)가 상승구간 및 하강구간 각각에서 회동시 급격하게 높이가 전환되거나 급격히 낙하하지 않도록, 상기 전환로(4224, 4228)는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환로(4224, 4228)를 형성하기 위해 전환로(4224, 4228)를 따라 전환로(4224, 4228)의 좌우측 각각에 돌출 형성된 전환가이드(4233, 4234, 4239)는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는 회전 위치에 따라 볼(50)과 단속됨으로써, 볼수납부(12)에 볼(50)의 장착을 완료하거나 탈착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고, 또 볼수납부(12)에 볼(50)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제1 및 제2 연결체(42a, 42b)의 회전 위치에 따라 볼(50)과 제1 및 제2 덕트(43a, 43b) 간에 유로를 개폐하거나 개방(또는 폐쇄)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음식물처리기 10: 본체
11: 통기공 12: 볼수납부
13: 히팅플레이트 132: 볼고정홈
133: 볼고정둘레 14: 기계실
20: 도어 201: 단열층
21: 도어손잡이 22: 도어내측홈
31: 본체커플링 41a: 제1 관로
41b: 제2 관로 411, 411a, 411b: 제1 가이드부
412, 412a, 412b: 제2 가이드부 42: 연결체
424: 연결체손잡이 4210a: 측면폐구부
4210b: 측면개구부 4211: 상단둘레부
4212: 하단둘레부 4221, 4225: 씰링홈
4222, 4226: 상부주행로 4223, 4227: 하부주행로
4224, 4228: 전환로 4233, 4234, 4239: 전환가이드
4235: 제2 차단부 4236: 제1 차단부
4231, 4237: 상부주행가이드 4232, 4238: 하부주행가이드
42a: 제1 연결체 42b: 제2 연결체
43a: 제1 덕트 43b: 제2 덕트
44: 순환팬 45: 증발기함
451: 응축수배출구 46: 증발기
47: 응축기 48: 압축기
49: 방열팬 50: 볼
51: 용기본체 511: 가이드돌기
52: 용기커버 53: 패킹부재
54a: 제1 통기구 54b: 제2 통기구
55: 볼손잡이 56: 볼커플링
57: 회전부 58: 가동날개
59a: 제1 고정날개 59b: 제2 고정날개

Claims (19)

  1.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 및
    상기 볼이 내부에 장착되는 볼수납부와,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기계실 내 상기 장치와, 상기 볼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및
    상기 덕트와 상기 볼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체;
    를 포함하며,
    상기 볼은, 상기 볼의 내부 공기가 외부와 유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통기구는, 상기 볼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제1 통기구와,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부터 상기 볼의 내부로 유입되는 제2 통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제1 및 제2 통기구 각각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제1 통기구와 상기 제1 덕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체와, 상기 제2 통기구와 상기 제2 덕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2. 삭제
  3. 삭제
  4.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 및
    상기 볼이 내부에 장착되는 볼수납부와, 상기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기계실 내 상기 장치와, 상기 볼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및
    상기 덕트와 상기 볼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체;
    를 포함하며,
    상기 볼은, 상기 볼의 내부 공기가 외부와 유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는, 자전 가능한 원통형으로서, 회전에 따라 상기 통기구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되, 상기 통기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에 따라 상기 볼의 내부는 상기 덕트와 연결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단부가 폐구되고, 하단부는 개구되며, 측면부의 일부는 개구된 형상을 가진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상단부에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되,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연결체손잡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부의 외주면 또는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주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부를 따라 회전하는 상기 몸체는 승강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주행부의 상측에 씰링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씰링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체가 삽입되는 관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로의 내벽에는, 상기 주행부와 결합되어 상기 주행부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는, 높이에 따라 높은 높이를 가진 상부주행로와 낮은 높이를 가진 하부주행로, 그리고 상기 상부주행로 및 상기 하부주행로를 서로 연결하는 전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주행로 및 상기 하부주행로는 수평하게 마련되고, 상기 전환로는 경사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상부주행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연결체는 상기 볼과 기밀상태에서 상기 볼의 내부와 상기 덕트 간의 연결이 1회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는, 상기 상부주행로 상에 상기 주행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1 차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환로에서 상기 제1 차단부 간의 중심각은 18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하부주행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연결체는 상기 볼과 분리상태에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는, 상기 하부주행로 상에 상기 주행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2 차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전환로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는, 상기 몸체 상단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제1 주행부와, 상기 몸체 하단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제2 주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주행부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주행부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는 동일 모선 상에 마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는 홈 형태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돌출된 돌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KR1020210138140A 2021-10-18 2021-10-18 음식물처리기 KR10263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140A KR102632487B1 (ko) 2021-10-18 2021-10-18 음식물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140A KR102632487B1 (ko) 2021-10-18 2021-10-18 음식물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984A KR20230054984A (ko) 2023-04-25
KR102632487B1 true KR102632487B1 (ko) 2024-01-31

Family

ID=8610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140A KR102632487B1 (ko) 2021-10-18 2021-10-18 음식물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4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2395B2 (ja) * 2006-05-31 2011-06-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生ごみ処理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1507A (ko) * 2008-11-07 2010-05-1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저온 촉매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2395B2 (ja) * 2006-05-31 2011-06-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生ごみ処理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984A (ko)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50308A (zh) 嵌入式微波烤箱
US20130217111A1 (en) Waste Disposal Device
KR20150018201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632487B1 (ko) 음식물처리기
KR102632476B1 (ko) 음식물처리기
KR102190386B1 (ko) 드레스룸 환경조성장치
KR102632481B1 (ko) 음식물처리기
KR102632483B1 (ko) 음식물처리기
KR102603242B1 (ko) 음식물처리기 및 이의 볼
CN201223310Y (zh) 一种烤箱
KR20230048875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57606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49355A (ko) 음식물처리기
KR102427010B1 (ko)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20230166857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48929A (ko)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의 제어방법
EP2628543A1 (en) Waste disposal device
KR20230166848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064647A (ko) 음식물처리기
CN114481577B (zh) 一种干衣机及干衣控制方法
CN115413974B (zh) 基站和具有其的扫地集尘装置
KR20230167287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19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18A (ko) 음식물처리기
KR20230165620A (ko) 음식물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