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737B1 - 살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균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737B1
KR0145737B1 KR1019900004396A KR900004396A KR0145737B1 KR 0145737 B1 KR0145737 B1 KR 0145737B1 KR 1019900004396 A KR1019900004396 A KR 1019900004396A KR 900004396 A KR900004396 A KR 900004396A KR 0145737 B1 KR0145737 B1 KR 0145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ituted
composition
group
component
dimethylu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854A (ko
Inventor
에프.에프.모페스
엠.그린헐
Original Assignee
윌리암 로버트 맥알렌 스펜스
제네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암 로버트 맥알렌 스펜스, 제네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윌리암 로버트 맥알렌 스펜스
Publication of KR900013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0Derivatives containing the group >N—CO—N aryl or >N—CS—N—ary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2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N—CO—N< or >N—CS—N< groups directly attached to a cycloaliphat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살균 조성물
본 발명은 산업용 살균제로서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산업용 살균제는 특히 박테리아 및 진균류에 의해 발생하는 산업상의 손상을 막는데 유용하다. 산업용 살균제는 페인트, 라텍스, 접착제, 가죽, 목재, 금속 처리용 액체 및 냉각수를 보존하는데 사용된다.
산업용 살균제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의 한 부류는 이소티아졸리논 구조물에 기초한 것이다. 유용한 살균성을 갖는 이소티아졸리논 유도체가 여러곳에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761488호에서는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랄킬 또는 그룹이 질소원자에 결합되어 있고, 4 및 5 위치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 또는 저급알킬 그룹으로 치환된 이소티아졸리논 유도체를 기재하였다. 미합중국 특허 제3517022호에서는 벤즈이소티아졸론을 기재하였는데 여기에서 카바모일 그룹은 질소원자에 결합되어 있고 벤젠환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950349호에서는 이소티아졸린-3-온 또는 벤즈이소티아졸린-3-온 유도체일 수 있는 N-티오-치환된 이소티아졸린-3-은 화합물을 기재하였다. 미합중국 특허 제4165318호에서는 극성 유기 용매내 이소티아졸린-3-온의 용액을 기재하였는데 여기에서 용액은 또한 안정화시킬 수 있는 양만큼의 포름 알데히드를 함유한다. 영국 특허 명세서 제2087388호에서는 폴리메닐렌환이 세 개 또는 네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4,5-폴리메틸렌-4-이소티아졸린-3-온을 기재하였다.
살균작용을 하는 또다른 부류의 화합물은 이소티아졸로티온 구조물에 기초한 것이다. 영국 특허 명세서 제1113634호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화합물 또는 이것의 이성체 형태의 화합물을 기재하였는데 여기에서 4 및 5 위치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알킬 또는 아릴 그룹으로 치환될 수 있고 또는 이 화합물은 다른 환 시스템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질소 원자에 대해 비치환된 이소티아졸린-3-온은 예를 들어 나트륨 및 칼륨같은 알카리 금속 및 암모니아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같은 아민과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염들은 일반적으로 수용성이다. 영국 특허 명세서 제 1191253호에서는 두 개 이상의 다른 아민 염의 혼합물 형태인 크루드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은 세기가 큰 수성용액을 기재하고 특허청구하였는데 아민은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을 아민, 트리이소프로판을 아민 및 모폴린으로부터 선택된다. 영국 특허 명세서 제 1330531호에서는 2-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고 하이드록실 및 에테르 그룹이 없는 지방족, 지환식 또는 복소환식 아민내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조성물을 기재하였다.
영국 특허 명세서 제2004747호에서는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같은 하이드록실 유기 용매내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알카리 금속염 용액을 기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염 용액들은 시판할 정도로 충분히 인정하게 하기 위하여 상당한 양의 특별한 유기 용매, 예를 들어 글리콜을 부가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전기한 형태의 화합물과 조성물 및 이와 동일한 형태의 관련 화합물들은 특별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에 따라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 및/또는 진균류에 미치는 효과가 다양하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드는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항균 물질로서 이들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균성을 갖는 화합물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조성물이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조성물은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화합물들의 특성들을 종합해서 나타낸다. 이러한 조성물은 유용한 항진균성을 나타내는 다른 화합물과 함께 유용한 항박테리아성을 나타내는화합물을 함유한다.
놀라울 정도로 유용한 항균성을 갖는 혹종의 조성물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a) 최소한 하나의 이소티아졸리논 유도체 또는 최소한 하나의 이소티아졸로티온 유도체 및
(b) 최소한 하나의 치환된 우레아 또는
(c) 최소한 하나의 할로겐-함유 방향족 알킬 설폭사이드 또는 설폰인 최소한 하나의 화합물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조성물의 성분 (a)인 이소티아졸리논 또는 이소티아졸로티온은 다음 일반식을 갖는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1
식중, X는 산소 또는 황 원자 :
R은 수소원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 그룹,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티오 그룹,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옥시 그룹, 카바모일 그룹 또는 양이온:
A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 그룹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 그룹:
D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시아노 그룹,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 그룹: 또는
A 및 D는 이들이 결합되는탄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5-또는 6-원환을 이룸.
바람직하게는 성분(a)는 최소한 하나의 이소티아졸리논 유도체, 즉 X가 산소원자인 화합물이다. 그룹 R,A 및 D가 치환된 하이드로카빌 그룹이거나 또는 이들을 함유한다면 치환체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알콕시 또는 알킬티오이고 특히 알킬 그룹이 C1-4를 함유하는 것이다. R이 카바모일 그룹이면, 이것은 R 이 치환될 수 있는 하이드로카빌 그룹 또는 수소원자인 -CONHR1형태이다. R이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 그룹, 즉 C1-4함유 알킬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다.
R은 특히 수소 또는 메틸 그룹이다.
A 및 D 는 이들이 결합되는 탄소와 함께 치환될 수 있는 5- 또는 6 원 환을 만드는데, 여기에서 치환체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알킬, 알콕시 또는 알킬티오 그룹이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환은 이종원자. 예를 들어 질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A 및 D 는 벤젠, 시클로펜텐, 또는 시클로헥센 환같은 탄화수소 환을 만든다. 또 다르게, A 및 D 는 별개의 독립적인 그룹이고, A 및 D 중 하나 또는 이 둘 모두는 수소원자일 수 있다. A 및 D 의 최소한 하나가 수소 원자이외의 그룹, 특히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염소 또는 저급 알킬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혼합물의 성분 (a) 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에는 2- 메틸이소티아졸린 -3- 온 ( R은 메틸, A 및 D 는 수소임) : 5- 클로로 -2- 메틸이소티아졸린 -3-온 ( R 은 메틸, A는 수소 및 D 는 염소임) : 전기한 두 화합물의 혼합물 : 4. 5- 디클로로- 2- 메틸이소티아졸린 -3- 온 ( R 은 메틸, A 및 D는 염소임) : 1, 2- 벤즈이소티아졸린 -3-온 ( R 은 수소, A 및 D는 이들이 결합되는 탄소원자와 함께 벤젠환 형성) : 4, 5- 트리메틸렌 -4- 이소티아졸린 -3- 온 ( R 은 수소, A 및 D 는 이들이 결합되는 탄소원자와 함께 시클로펜텐 환 형성) : 및 2- 메틸 -4, 5- 트리메틸렌 -4- 이소티아졸린 -3-은 ( R 은 메틸, A 및 D는 이들이 결합되는 탄소원자와 함께 시클로펜텐 환 형성)이 포함된다.
성분(a)에서, R 이 양이온이라면 이것은 원자가가 1보다 클수있지만 그러나 알카리 금속, 아민 또는 4차 암모늄 양이온같이 일가 양이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한 바와같이 이러한 물질들은 일반적으로 수용성이어서 수성 매체내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b)는 최소한 하나의 치환된 우레아이고 일반적으로 각 질소 원자에 대해 최소한 하나의 치환체 그룹을 함유하는 우레아이다. 사용할 수 있는 우레아 화합물류는 방향족 그룹 (방향족 치환체) 이거나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치환체 그룹을 함유하는데, 여기에서 기타 다른 치환체는 방향족 치환체가 붙어있는 질소와 결합하지 않는다.
하나 또는 두 개의 치환체는 다른 질소와 결합할 수 있고 이들 치환체는 일반적으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또는 시클로알킬 그룹이다. 성분(b)로서 사용할 수 있는 치환된 우레아는 다음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2
식중, Ar은 아릴, 치환된 아릴, 복소환식 또는 치환된 복소환식 그룹
R2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알콕시 또는 치환된 알콕시 그룹: 및
R3는 수소원자 또는 R2에 정의한 바와 같은 그룹임.
치환된 그룹들은 탄화수소 그룹, 할로겐 원자, 하이드로카본옥시 그룹, 하이드록시 그룹, 및 알킬아미노설포닐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치환체 또는 이러한 치환체들의 혼합 그룹을 함유할 수 있다.
Ar그룹은 페닐 그룹같은 비치환된 아릴 그룹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그 자체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옥시 그룹, 알콕시 그룹, 알킬 그룹 또는 할로겐 원자인 최소한 하나의 치환체를 함유한다. 따라서, Ar그룹은 예를 들어 페닐, 4-클로로페닐, 3,4-디클로로페닐, 4-이소프로필페닐, 3-클로로-4-브로모페닐, 3-클로로-4-메틸페닐, 4(4'-클로로페녹시)페닐 또는 4(4'-메톡시페녹시)페닐 그룹일 수 있다. Ar그룹이 복소환식 그룹이거나 또는 이 그룹을 포함한다면 Ar그룹은 예를 들어 벤조티아졸-2-일 그룹이거나 또는 피리딜 그룹같이 방향족성을 갖는 복소환식 그룹일 수 있다.
R2및 R3그룹은 일반적으로 비치환되었다. 일반적으로 R2및 R3는 6개 이하의 탄소원자, 특히 4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R3가 수소원자 이외의 그룹이라면 R2및 R3그룹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3는 수소 또는 메틸 그룹이다. R2그룹은 예를 들어 메틸, n-부틸, 메톡시, 2-메틸시클로헥실 또는 3-부티닐 그룹일 수 있다.
성분(b)로서 사용할 수 있는 치환된 우레아에는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1-메틸-1-n-부틸우레아,
3-(3-클로로-4-브로모페닐)-1-메틸-1-메톡시우레아,
3-[4-(4'-클로로페녹시)페닐]-1,1-디메틸우레아,
3-[4-(4'-메톡시페녹시)페닐]-1,1-디메틸우레아,
3-(4-클로로페닐)-1-메틸-1-(3-부티닐)우레아,
3-페닐-1-(2-메틸시클로헥실)우레아, 및
3-(벤조티아졸-2-일)-1-메틸우레아가 포함된다.
기타 치환된 우레아에는
3-(4-이소프로필페닐)-1,1-디메틸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1-메틸-1-메톡시우레아,
3-(3-클로로-4-메틸페닐)-1,1-디메틸우레아,
1,1-디메틸-3-페닐우레아,
3-(4-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3-(3-클로로-4-메톡시페닐)-1,1-디메틸우레아,
1,1-디메틸-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3-(3-삼차부틸카바모일옥시)-페닐-1,1-디메틸우레아,
1,1-디메틸-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3-3-클로로-4-(클로로디플루오로메틸리오)페닐-1,1-디메틸우레아,
3-(3-[1',1',2',2'-테드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1,1-디메틸우레아, 및
3-(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1-디메틸우레아가 포함된다.
성분(b)가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이고 유용한 성분을 갖는 조성물이 얻어졌다.
성분(b)로서 사용할 수 있는 치환체 우레아는 영국 특허 제 691403호와 제 692589호 및 미합중국 특허 제 2655455호와 제 276897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성분(c)로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물질은 다음 일반식을 갖는다.
Ar1SOxR4
식중, Ar1은 아릴, 치환된 아릴, 복소환식 또는 치환된 복소환식 그룹:
R4는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그룹,
X는 1또는 2 및
Ar 및 R4그룹의 최소한 하나는 최소한 하나의 할로겐 치환체를 함유함.
Ar1및 R4그룹내에 존재할 수 있는 치환체에는 최소한 하나의 할로겐 원자, 하이드로카빌 그룹 또는 하이드로카빌옥시 그룹이 포함된다. Ar1또는 R4또는 이둘 모두는 최소한 하나의 할로겐 원자 치환체를 함유한다.
성분(c)로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류에서 Ar1은 복소환식 그룹, 특히 최소한 하나의 할로겐 치환체, 특히 최소한 두 개의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세 개의 할로겐원자를 함유하는 피리딘환같이 방향족 특성을 갖는 치환된 복소환식 그룹이다. 이러한 화합물에서 R4가 C1-14를 함유하는 비치환된 알킬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화합물 및 이러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영국 특허 제 1103606호, 미합중국 특허 제 3296272호 및 제 3371011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형태의 화합물은 당해 티오피리딘 화합물을 산화시킴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형태의 적당한 화합물에는 Ar1이 세 개 또는 네 개의 할로겐 치환체를 함유하는 피리딘환이고 R4가 저급 알킬, 즉 C1-6알킬그룹이며 X가 2인 화합물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형태의 화합물에는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 2,3,6-트리클로로-4-(메틸설포닐) 피리딘 및 2,3,5,6-테트라클로로-4-(이소프로필설포닐)피리딘이 포함된다.
성분(c)로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화합물류에서 Ar1은 아릴 그룹을 함유하고 R4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메틸 그룹이며 X는 2이다. 이러한 형태의 화합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이 미합중국 특허 제 3632859호 및 제 3663623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363285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형태의 화합물은 설포닐 아세트산을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용액내 소듐 하이포아이오다이트를 사용하여 할로겐화시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3663623호의 방법은 할로겐화 단계가 중성 용액내 일염화요오드를사용하여 행해지는 점에서 있어서 다르다. 상기 형태의 적당한 화합물에는 Ar1이 4-메틸페닐 그룹과 같은 알킬로 치환된 아릴 그룹이고 R4가 디요오드메틸 그룹인 화합물이 포함된다.
성분(c)가 디-요오드메틸-4-메틸페닐 설폰이고 유용한 특성을 갖는 조성물이 얻어졌다.
본 발명의 특별한 구체예로서 (a)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또는 디-요오드메틸-4-메틸페닐 설폰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후 다른 성분이란 성분(b) 또는 성분(c) 또는 성분(b)와 (c)의 혼합물에 대해 사용될 것이다.
조성물중 성분들의 상대적인 비는 여러 가지 일 수 있으며 1중량%의 성분(a) 또는 다른 성분, 및 이에 상당하여 99중량%의 다른 성분 또는 (a) 성분을 함유하는 유용한 특성을 갖는 조성물이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비율은 성분(a) 및 다른 성분으로서 사용된 화합물 및 또한 혼합물이 사용되는 특별한 시스템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은 각 성분을 최소한 2중량% 및 특히 8중량%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항균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박테리아 및 진균 모두에 작용한다. 더우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모든 성분에 대한 각각의 억제 농도(FIC)의 총합이 1 미만, 바람직하게 0.7 미만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조성물의 모든 성분에 대한 FIC의 합이 0.6 이하인 조성물이다. FIC는 성분의 최소 억제 농도에 대한 각각의 성분의 농도비이다. 조성물의 모든 성분에 대한 FIC의 합계가 1미만이면 조성물은 상승작용을 나타내며 이러한 상승작용의 정도는 FIC의 합이 1 미만인 양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FIC의 합이 0.6 미만일 수 있도록 함을 알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성을 가지며 산업용 살균제로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젖은 상태에서도 양호한 방부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절삭액 방부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냉각수에 사용될 수 있다. 목재 및 가죽을 보관하는 것은 본 조성물의 또다른 용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박테리아 박멸제를 부가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페인트 필름 살진균제로서 페인트내에 함침될 수 있다.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특별한 화합물의 특성에 따라 용해도가 달라질지라도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a) 및 다른 성분인 물질들은 많은 극성 용매에 용해된다. 그러나 많은 화합물들이 물, 알콜, 에테르, 케톤 및 기타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내에 용해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항균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또한 적당한 담체 물질내에 또는 이것의 물질상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담체 및 본 발명에 따르는 성분(a)와 성분(b) 또는 성분(c) 또는 성분(b) 및 (c)로된 효과적인 양의 조성물로 구성되는 살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담체는 항균 작용이 있다면 거의 나타내지 않는 물질이고 미생물, 특히 진균류의 증식에 민감한 물질일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담체는 액상 매체일 수 있고 살균제 조성물은 액상 담체내 성분(a) 및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유제, 분산물 또는 용액일 수 있다. 담체는 성분(a) 및 다른 성분의 하나 또는 이 둘 모두가 실제적으로 용해되지 않는 물일 수 있거나 또는 성분(a) 및 다른 성분의 최소한 하나 및 바람직하게 이 두성분 모두가 용해되는 아세트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설폭사이드 또는 N-메틸-2-피롤리돈 같은 액체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액체는 성분(a) 및 다른 성분에 대한 용매이고 다른 하나는 이들 성분에 대해 비용매인 액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조성물은 용매내에 성분(a) 및 다른 성분의 용액 방울 또는 유제를 만들므로써 비용매내에 분산된다. 현탁액 또는유제를 사용한다면, 이들은 편리하게 현탁액 또는 유제로서 비연속상을 유지하기에 효과적인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예를 들어 에틸렌 디아민같은 아민, 알킬 페놀 및 지방 알콜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알킬렌 옥사이드 공중합체같은 분산제 또는유화제로서 효과적이고 살균제 조성물내에 사용되도록 공지된 어떤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기타 계면활성제에 소듐 리그노설포네이트, EO/PO/EO 블록 공중합체, 노닐 페놀 또는 베타-나프톨과의 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노닐 페놀 또는에틸렌 디아민과의 PO/EO 공중합체 축합물 및 나프탈렌 베타-설폰산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이 포함된다.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가 함침되는 모든 분산물 또는 유제의 중량에 대해 0.1-20 중량%로 존재한다. 분산물 또는 유제는 계면활성제에 부가하여 농후제와 같이 살균제 조성물에 함침되도록 공지된 기타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농후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에는 다당류 크산탄 검, 소듐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이종다당류, 알기네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아라비아 검,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비닐 알콜이 포함된다.
또 다르게 또는 부가적으로 조성물은 담체 또는 희석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하나이상의 고체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임의의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고체 물질에는 금속 산화물 또는 이것의 혼합물이나 화합물 같은 무기물질,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 산화 실리콘,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활석, 피로필라이트, 석고, 규조토, 초오크, 벤토나이트 및 플러토 및 밀가루, 콩가루, 목분, 호두껍질분 및 리그닌 같은 유기물질이 포함된다. 고체 물질은 바람직하게 미분된 형태이고 평균 미립자 크기는 5㎛이하이다. 어떤 임의의 고체가 조성물과 임의의 고체의 총중량에 대해 1-95중량 % 의 양으로 조성물에 부가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임의의 고체는 조성물의 최소한 10중량 % 및 80중량 % 이하로 존재한다.
특히 조성물이 고체 형태라면 조성물은 먼지 제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적당한 먼지 제거제에는 도데실 벤젠, 트리데실 옥타데카노에이트, 트리메틸을 프로판 트리도데카노에이트, 트위첼오일(twitchel oil), Ensitol USN 및 광유가 포함된다.
살균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조성물의 양은 항균 작용을 하기에 충분할 수 있고 조성물은 실제적으로 많은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살균 조성물은 항균 물질로서 사용되려면 희석되는 농축된 용액, 유제 또는 분산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다른 성분과 성분(a)로 된 조성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살균 조성물의 0.0001중량%-10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항박테리아 작용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조성물은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여러 매체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으로서 전기한 바와 같은 성분(a)와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매체를 처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매체내 또는 매체상의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조성물은 미생물, 특히 박테리아가 증식하여 문제를 일으키는 조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미생물이 문제를 일으키는 시스템에는 목재 및 가죽같은 고체 물질 및 액체, 특히 페인트, 와니스 및 락커같은 표면 피복 조성물, 중합체 유제, 굴착용 윤활제, 금석처리 액체, 및 냉각수액 같은 수성 시스템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물질내에 포함 될 수 있다. 성분(c)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페인트, 와니스 또는 락커에 함침되어 항진균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특징으로서 성분(c)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효과량 함유되어 있는 표면 피복 조성물이 제공된다.
표면 피복 조성물은 페인트, 와니스 또는 레커일 수 있으며 특히 예를 들어 유제 페인트같은 페인트이다. 표면 피복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특징적으로 0.001 - 2 중량%, 특히 0.1 중량%이다. 성분(c)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표면 피복 조성물에다 항진균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 조성물의(a)성분과 또다른 성분은 단지 항균화합물일 수 있거나 또는 항균성을 지닌 또다른 화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a) 성분인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고 및/또는 또다른 성분인 하나 이상의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a) 성분과 또다른 성분으로 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공지된 항균 화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항균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므로써 조성물이 더 광범위한 항균성을 지닐 수 있으므로 이것은 조성물의 성분들보다 일반적으로 더 효과적이다. 공지된 항균 화합물은 항박테리아성, 항진균성, 항조류성, 또는 기타 항균 특성을 지닌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과 기타 항균 화합물과의 혼합물은 특징적으로 항균 작용을 하는 화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1-99 중량%인 성분(a)와 또다른 성분으로 된 조성물, 특히 40-60 중량%인 성분(a)와 또다른 성분으로 된 조성물을 함유한다.
유럽 특허 출원 제 345955호로서 현재 공개되고 계류중이며 공개되지 않은 영국 특허 출원 제 8811948.2호에 할로겐화된 방향족 디니트릴, 치환된 우레아(본 발명 조성물의 (b)성분), 및 할로겐함유 방향족 알킬 설폭사이드나 설폰(본 발명 조성물의 (c)성분)으로 구성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개된 우리의 유럽 특허 출원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물은 유용한 항진균 작용과 항조류 작용을 갖는다. 이들 조성물을 본 발명 조성물의 (a)성분인 이소티아졸리논 유도체나 이소티아졸로티온 유도체와 함께 사용하던 이들 조성물의 작용이 증가될 수 있음을 알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으로 최소한 하나의 할로겐화 방향족 디니트릴인(d) 성분과 함께 (a)성분, (b)성분 및 (c) 성분으로 된 조성물이 제공된다.
(d) 성분은 프탈로니트릴, 이소프탈로니트릴 또는 테레프탈로니트릴일 수 있다. (d)성분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물질은 다음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3
식중, Y는 같거나 다르며 할로겐 원자이고
n은 1-4임.
n이 4 미만일때, 방향족 고리내의 나머지 원자는 수소원자이다. n이 4일 때 유용한 결과를 얻었다. 각각의 Y그룹은 바람직하게 염소 또는 불소 원자이다. 편리하게 모든 Y그룹은 동일하다. 본 발명 조성물의 (d)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이 미합중국 특허 제 3290353호 및 제 3331735호에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3290353호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d)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은 당해 산 할로겐화물, 특히 산 염화물을 암모니아와 반응시켜 당해 아미드를 얻은 다음 이것을 오산화인 같은 탈수제와 반응시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전기된 방법은 할로겐 교환반응에 의해 불화 유사체를 제조할 수 있는 염소화된 방향족 디니트릴을 제조하는데 적당하다.
본 발명 조성물의 (d)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로는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 테트라플루오로이소프탈로니트릴 및 테트라클로로테레프탈로니트릴이 있다. (d)성분이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이고 유용한 특성을 지닌 조성물이 얻어졌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특징에 따른 조성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기타 항균 화합물의 예로서, 디에틸도데실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메틸옥타데실(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메틸디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메틸디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트리메틸-테트라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디메틸(C12-C18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클로로벤질디메틸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데실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헥사데실피리디늄 브로마이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도데실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도데실피리디늄 비설페이트, 벤질도데실-비스-(베타-하이드록시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도데실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디메틸(C12-C18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도데실디메틸 에틸 암모늄에틸설페이트, 도데실디메틸-(1-나프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데실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도데실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1-(3-클로로알킬)-3,5,7-트리아자-1-아조니아-아다안탄 클로라이드와 같은 4차 암모늄 화합물 : 1,3-비스(하이드록시메틸)-5,5-디메틸하이단토인 및 1-(하이드록시메틸)-5,5-디메틸하이단토인과 같은 하이단토인 유도체 : 1,3-비스(2-에틸헥실)-5-메틸-5-아미노헥사하이드로피리미딘, 헥사메틸렌 테트라 아민, 1,3-비스(4-아미노페녹시)프로판 및 2-[(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 에탄올과 같은 아미노 화합물 : 1[2-(2,4-디클로로페닐)-2-(2-프로페닐옥시)에틸]-1H-이미다졸, 2-(메톡시카보닐아미노)벤즈이미다졸과 같은 이미다졸 유도체 : 메틸렌 비스 티오시아네이트 같은 티오시아네이트 유도체 : 트리부틸린-옥사이드,클로라이드,나프토에이트,벤조에이트 또는 2-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같은 주석 화합물이나 착물 : 2-(티오시아노메틸리오)벤즈티아졸, 및 머캅토벤즈리아졸과 같은 티아졸 유도체 :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니트로메탄, 5-브로모-5-니트로-1,3-디옥산 및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과같은 니트로 화합물 : 글루테르알데하이드(펜탄디알), p-클로로페닐-3-요오도프로파르길 포름알데하이드 및 글리옥살과 같은 알데하이드류 및 유도체 : 클로르아세트아미드, N,N-비스(하이드록시메틸)클로르아세트아미드, N-하이드록세메틸클로르아세트아미드 및 디티오-2,2-비스(벤즈메틸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나이드 및 1,6-헥사메틸렌-비스[5-(4-클로로페닐)비구아나이드]와 같은 구아니딘 유도체 : 3,5-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1,3,5-2H-티오디아진-2-티온과같은 티온류 : 헥사하이드로트리아진 및 1,3,5-트리-(하이드록시에틸)-1,3,5-헥사하이드로트리아진과 같은 트리아진 유도체 : 비스-옥사졸리딘 같은 옥사졸리딘과 이것의 유도체 : 2,5-디하이드로-2,5-디알콕시-2,5-디알킬푸란 같은 푸란과 이것의 유도체 : 소르빈산과 이것의 염 및 4-하이드록시벤조산과 이것의 염 및 에스테르 같은 카복실산 및 이것의 염과 에스테트류 : 및 5-클로로-2-(2,4-디클로로페녹시)페놀, 티오-비스(4-클로로페놀) 및 2-페닐페놀과 같은 페놀 및 이것의 유도체들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특징이 다음 실시예에 기술되어 있다.
다음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조성물의 항균성에 대해 평가했다. 무균 조건하에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미생물학적 평가에서, Pseudomonas aeruginosa를 사용해 여러 조성물들을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작용에 대해 테스트했다.
[미생물학적 평가]
테스트될 물질이나 물질의 혼한물을 필요한 농도가 되도록 하는양으로 영양 브로쓰(broth)에 부가했다. 부가된 물질을 제로의 농도에서부터 특별한 물질의 최소 억제 농도 이상으로 부가했다. 혼합물에서, 각 물질의 농도를 규칙적으로 변화시켜 다른 상대 비율과 다른 총 농도의 혼합물 매트릭스를 얻었다.
각각의 브로쓰 샘플에다 충분한 테스트 박테리아를 접종시켜 약 105세포 cm-3가 되도록 함에 의해 박테리아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검사했다. 혼합물을 30℃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트시켰다. 테스트 기간이 끝났을 때 브로쓰가 탁하게 되므로써 테스트 박테리아의 증식이 일어났음을 알았다. 브로쓰가 탁하게 도지 않았다는 것은 증식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모든 증식을 정지시켰던 물질이나 혼합물의 최저농도를 기록하였다. 결과를 이용해 이소볼로그램(isobologram)를 그렸는데 이것으로부터 혼합물에 대한 각각의 억제 농도의 총합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 1]
상기 기술된 미생물학적 평가를 박테리아인 Pseudomonas aeruginosa를 사용해 실행했다. 테스트된 조성물은 1, 2- 벤즈 이소티아졸린 -3- 온과 2, 3, 5, 6- 테트라클로로 -4-(메틸실포닐)피리딘의 혼합물이었다.
사용한 1, 2- 벤즈이소티아졸린 -3- 온의 농도는 0, 5, 11, 16, 22, 28, 33, 39, 44 및 50 마이크로그램 ㎝-3이었다.
2, 3, 5, 6- 테트라클로로 -4- (메틸설포닐)피리딘을 0, 14, 28, 42, 55, 69, 83, 97, 111 및 125 마이크로그램 ㎝-3의 농도로 사용했다.
얻은 결과에서, FIC의 최저 총합은 0.72였는데 이것은 11 마이크로그램 ㎝-3의 1, 2- 벤즈이소티아졸린과 28 마이크로그램 ㎝-3의 2, 3, 5, 6- 테트라클로로 -4-(메틸설포닐)피리딘을 함유하는 혼합물로써 결과된 것이다. 사용한 혼합물과 얻은 결과에 대한 상세한 사항이 다음 표 1 에 기록되어있다.
Figure kpo00004
표 1 에 대한 주석
(a) BIT는 1, 2- 벤즈이소티아졸린 -3-온임.
(b) TCSP는 2, 3, 5, 6- 테트라클로로 -4-(메틸설포닐)피리딘임.
[실시예 2]
2, 3, 5, 6- 테트라클로로 -4-(메틸설포닐)피리딘을 디요오도메틸 -4- 메틸페닐 설폰으로 대체시켰던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사용한 1, 2- 벤즈이소티아졸린 -3-온의 농도는 0, 5, 11, 16, 22, 28, 33, 39, 44 및 50 마이크로그램 ㎝ 이었다.
디요오도메틸 -4-메틸페닐 설폰을 0, 55, 111, 166, 221, 277, 332, 388, 444 및 500 마이크로그램 ㎝ 의 농도로 사용했다.
얻은 결과에서, FIC의 최저 총합은 0.56이었는데 이것은 11 마이크로그램 cm 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 111 마이크로그램cm 의 디요오도메틸-4-메틸페닐 설폰을 함유하는 혼합물로써 결과된 것이다. 사용한 혼합물과 얻은 결과에 대한 상세한 사항이 다음 표2에 기록되어 있다.
Figure kpo00005
표2에 대한 주석
(a)는 표1에 대한 주석에 정의된 바와 같음.
(b) DIMS는 디요오도메틸-4- 메틸페닐 설폰임.
[실시예 3]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을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로 대체시켰던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의 과정을 반복했다.
사용한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농도는 0,5,11,16,22,28,33,39,44 및 50 마이크로그램cm 이었다.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를 0,55,111,166,221,277,332,388,444 및 500 마이크로그램cm 의 농도로 사용했다.
얻은 결과에서, FIC의 최저총합은 0.56이었는데 이것은 5마이크로그램cm 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 166마이크로그램cm 의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를 함유하는 혼합물로써 결과된 것이다. 사용한 혼합물과 얻은 결과에 대한 상세한 사항이 다음 표3에 기록되어 있다.
Figure kpo00006
표3에 대한 주석
(a)는 표1에 대한 주석에 정의된 바와 같음.
(b) DCDMU는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임.
[실시예 4]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을 40 중량%의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40 중량%의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및 20 중량%의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로 구성된 조성물을 함유한 혼합된 살균 조성물로 대체시켰던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했다.
성분들을 유발(mortar)과 유봉(pestle)으로 함께 갈아 혼합시키므로써 살균 조성물을 제조했다.
사용한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농도는 0,5,11,16,22,28,33,39,44 및 50 마이크로그램cm 이었다.혼합된 살균제를 0,55,111,167,222,278,333,389,444 및 500 마이크로그램cm 의 농도로 사용했으며 중량은 혼합된 살균 조성물의 총량이다.
얻은 결과에서, FIC의 최저 총합은 0.63이었는데 이것은 16 마이크로그램cm 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 55 마이크로그램cm 의 혼합된 살균 조성물을 함유한 혼합물로써 결과된 것이었다. 사용한 혼합물과 얻은 결과에 대한 상세한 사항이 다음 표4에 기록되어있다.
Figure kpo00007
표4에 대한 주석
(a)는 표1에 대한 주석에 정의된 바와 같음.
(e)MBC-1은 실시예4에 기술되어 있는 혼합된 살균 조성물임.
[실시예 5]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지만 다른 조성물, 즉 30 중량%의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30 중량%의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페닐)피리딘, 20 중량%의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및 20 중량%의 산화아연을 함유하는 혼합된 살균 조성물을 사용해 실시예4의 과정을 반복했다.
사용된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농도는 0,5,11,16,22,28,33,39,44 및 50 마이크로그램cm 이었다. 혼합된 살균제를 0,28,55,83,111,139,166,194,222 및 250 마이크로그램 cm 의 농도로 사용했으며 상기 중량은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혼합된 살균조성물의 총량이다.
얻은 결과에서, FIC의 최저 총합은 0.57이었는데 이것은 11 마이크로그램cm 의 혼합된 살균 조성물을 함유한 혼합물로써 결과된 것이었다. 사용한 혼합물과 얻은 결과에 대한 상세한 사항이 다음 표5에 기록되어 있다.
Figure kpo00008
표5에 대한 주석
(a)는 표1에 대한 주석에 정의된 바와 같음.
(f) MBC-2는 실시예5에 기술되어있는 혼합된 살균조성물임.
[실시예 6]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지만 다른 조성물, 즉 55 중량%의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20 중량%의 디요오드메틸-4-메틸페닐설폰 및 25 중량%의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를 함유하는 혼합된 살균 조성물을 사용해 실시예 4의 과정을 반복했다.
사용한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농도는 0,5,11,16,22,28,33,39,44 및 50 마이크로그램cm 이었다. 혼합된 살균제를 0,28,55,83,111,139,166,194,222 및 250 마이크로그램cm 의 농도로 사용했는데 상기 중량은 혼합된 살균 조성물의 총량이다.
얻은 결과에서, FIC의 최저총합은 0.58이었는데 이것은 11마이크로그램cm 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 55 마이크로그램cm 의 혼합된 살균 조성물을 함유한 혼합물로써 결과된 것이다. 사용한 혼합물과 얻은 결과에 대한 상세한 사항이 다음 표6에 기록되어있다.
Figure kpo00009
표6에 대한 주석
(a)는 표1에 대한 주석에 정의된 바와 같음.
(g) MBC-3은 실시예 6에 기술되어 있는 혼합된 살균조성물임.
[실시예 7]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지만 다른 조성물, 즉 35 중량%의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20 중량%의 디요오도메틸-4-메틸페닐 설폰, 25중량%의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및 20 중량%의 산화아연을 함유하는 혼합된 살균 조성물을 사용해 실시예4의 과정을 반복했다.
사용한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농도는 0,5,11,16,22,28,33,39,44 및 50 마이크로그램cm 이었다. 혼합된 살균제를 0,28,55,83,111,139,166,194,222 및 250 마이크로그램cm 의 농도로 사용했는데 상기 중량은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혼합된 살균 조성물의 총량이다.
얻은 결과에서, FIC의 최저 총합은 0.77이었는데 이것은 16 마이크로그램cm 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 28 마이크로그램cm 의 혼합된 살균조성물을 함유하는 혼합물로써 결과된 것이었다. 사용한 혼합물과 얻은 결과에 대한 상세한 사항이 다음 표7에 기록되어있다.
Figure kpo00010
표7에 대한 주석
(a)는 표1에 대한 주석에 정의된 바와 같음.
(b) MBC-4는 실시예7에 기술되어 있는 혼합된 살균 조성물임.
[실시예 8]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을 2-메틸-4,5-트리메틸렌-4-이소티아졸린-3-온으로 대체시켰던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5의 과정을 반복했다.
사용한 2-메틸-4,5-트리메틸렌-4-이소티아졸린-3-온의 농도는 0,5,11,16,22,28,33,39,44 및 50 마이크로그램cm 이었다. 혼합된 살균제를 0,14,28,55,83,111,139,166,194,222 및 250 마이크로그램cm 의 농도로 사용했는데 상기 중량은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혼합된 살균 조성물의 총량이다.
얻은 결과에서, FIC의 최저총합은 0.51이었는데 이것은 5마이크로그램cm 의 2-메틸-4,5-트리메틸렌-4-이소티아졸린-3-온과 55 마이크로그램cm 이 혼합된 살균조성물을 함유한 혼합물로써 결과된 것이다. 사용한 혼합물과 얻은 결과에 대한 상세한 사항이 다음 표8에 기록되어있다.
Figure kpo00011
표8에 대한 주석
(f)는 표5에 대한 주석에 정의된 바와 같음.
(i) MTI는 2-메틸-4,5-트리메틸렌-4-이소티아졸린-3-온임.
[실시예 9-11]
9중량%의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 6중량%의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 9 중량%의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 6 중량%의 산화아연 : 10 중량%의 프로필렌 글리콜 : 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block)의 평균 분자량이 2700이고 44중량%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는 3 중량%의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에틸렌 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 및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물을 함께 습식 밀링(milling)하여 수성의 분산액을 제조했다.
33% w/v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을 함유하고 pH가 6-8인 수성 분산액과 상기 수성 분산액을 함께 교반하여 혼합시켰다. 상기 분산액들을 다음 표9에 기록되어있는
Figure kpo00012
표9에 대한 주석
(j) BD는 33% w/v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을 함유한 수성 분산액임.
ND는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및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임.
혼합비율은 각 수성 분산액의 총 부피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2-20]
0.2% 효모 추출물을 함유하는 50g 부분의 의장용 아크릴 유제 페인트(pH 9의 Revacry1 1A 라텍스에 기초함)에다 실시예 9의 혼합 분산액을 부가했다. 페인트내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농도를 100,200 또는 300ppm w/v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이러한 혼합된 분산액을 페인트에 부가했다. 다음에 부가된 혼합 분산액을 함유하는 페인트 혼합물에다 박테리아 혼합물을 접종시켰다.
접종물은 박테리아 Aeromonas hydrophila, Proteus rettgeri, Pseudomonas aeruginosa, Serratia marcescens, Alcaligenes spp, Pseudomonas cepacia 및 Pseudomonas putida 중의 다른 하나를 각각 함유하고 있는 동일한 양의 현탁액을 혼합시켜 제조했던 박테리아의 혼합 현탁액이었다.
1㎤의 혼합된 박테리아 현탁액을 각각의 페인트 혼합물에다 접종시키고 30℃에서 인큐베이트시켰다. 1일, 3일 및 7일의 접촉시간후, 소량 부분의 페인 혼합물을 취하여 박테리 증식에 대해 검사했다. 박테리아의 증식정도를 기록했다.
7일후 소량의 페인 혼합물을 취한후에, 1㎤의 혼합된 박테리아 현탁액을 더 부가했다. 두 번째 주의 1일, 3일 및 7일후에 각각 소량 부분을 취하였다. 두 번째 주가 끝난후에, 1㎤의 혼합된 박테리아 현탁액을 또 부가했다.
세 번째 주의 1일, 3일 및 7일후에 각각 소량부분을 취하였다.
얻은 결과를 다음 표 10 에 기록했다.
비교 목적을 위해, 단지 1, 2- 벤즈이소티아졸린 -3-온의 분산액을 함유하거나 또는 단지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3-(3, 4- 디클로로페닐)-1, 1- 디메틸우레아, 2, 3, 5, 6- 테트라클로로 -4- (메틸설포닐)피리딘 및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분산액을 함유한 또다른 페인트 혼합물을 제조했다.
이러한 비교 페인트 혼합물을 이용한 테스트 결과를 또한 다음 표 10 에 기록했다.
Figure kpo00013
표 10 에 대한 주석
(j) 는 표 9 에 대한 주석에 정의된 바와 같음.
(k) 9, 10 및 11 은 실시예 9, 10 및 11 의 분산액임.
(l) 양은 페인 혼합물에 대해 수성 분산액의 1, 2- 벤즈이소티아졸린 -3- 온 성분의 ppm w/v로서 주어짐.
* 이러한 양은 페인트 혼합물에 대해 ND로서 정의된 총 수성 분산액의 % w/v 로서 주 어짐.
(m) 0 은 증식하지않음을 의미함 (콜로니 (colony)가 관찰안됨).
1 은 육안으로 볼수있을 정도의 약간의 증식을 의미함.
2 은 보통으로 증식했음을 의미함 (약간의 합체 (coalscence) 와 함께 분리된 콜로니 가 관찰됨).
4 는 밀집/유착하여 증식했음을 의미함 (합체된 콜로니가 전체적으로 관찰됨).
NM은 이전의 결과로써 더 이상의 작용이 없음을 알았으므로 측정하지않음을 의미함.
[실시예 21-29]
효모 추출물을 함유하고있는 아크릴 유제 페인트를 효모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지않은 수성의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유제 페인트 제제로 대체시켰던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2-20에 기술된 과정을 반복했다.
얻은 결과를 다음 표 11 에 기록했다.
Figure kpo00014
표 11 에 대한 주석
(j) 는 표 9 에 대한 주석에 정의된 바와 같음.
(k), (l) 및 (m) 은 모두 표 10 에 대한 주석에 정의된 바와 같음.

Claims (11)

  1. 각 성분의 부분 억제 농도(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의 합계가 1 미마인 살균용 조성물로서, (a) 하기의 일반식을 가진, 1-99 중량%의 최소한 하나의 이소티아졸리논 또는 최소한 하나의 이소티아졸로티온 및
    Figure kpo00015
    (식중, X는 산소 또는 황 원자; R 은 수소원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그룹,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 티오그룹,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옥시그룹, 카바모일 그룹 또는 양이온; A 는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 그룹,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 그룹; D 는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 그룹,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하이드로카빌 그룹; 또는 A 및 D 는 이들이 결합되는 탄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5- 또는 6- 원환을 이룸.)
    (b) 하기의 일반식을 가진, 1-99 중량%의 최소한 하나의 치환된 우레아
    Figure kpo00016
    (식중, Ar 은 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 R2는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알콕시 또는 치환된 알콕시 그룹; 및 R3는 수소원자 또는 R2에 정의한 바와 같은 그룹임)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a)가 2- 메틸이소티아졸린 -3- 온; 5- 클로로 -2- 메틸이소티아졸린 -3- 온; 4, 5- 디클로로 -2- 메틸이소티아졸린 -3- 온; 1, 2- 벤즈이소티아졸린 -3- 온; 4, 5- 트리메틸렌 -4- 이소티아졸린 -3- 온 및 2- 메틸 -4, 5- 트리메틸렌 -4- 이소티아졸린 -3- 온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b)가 3, -(3, 4- 디클로로페닐)-1, 1- 디메틸우레아, 3-(3, 4- 디클로로페닐)-1- 메틸 -1-n- 부틸우레아, 3-(3-클로로-4-브로모페닐)-1- 메틸 -1- 메톡시우레아, 3-[4-(4'-클로로페녹시)페닐]-1,1-디메틸우레아, 3-[4(4'-메톡시페녹시)페닐]-1,1-디메틸우레아 3-(4-클로로페닐)-1-메틸-1-(3-부티닐)우레아, 3-페닐-1-(2-메틸시클로헥실) 우레아,또는 3-(4-이소프로필페닐)-1,1-디메틸우레아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4. 제1항, 2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일반식이 다음과 같은 최소한 하나의 할로겐을 함유한 방향족 알킬 설폭사이드 또는 설폰인 (c)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Ar1SOXR4
    (식중, Ar1은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복소환식 또는 치환된 복소환식 그룹; R4는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 그룹; x는 1 또는 2; 및 Ar1및 R4그룹의 최소한 하나는 최소한 하나의 할로겐 치환체로 함유함.)
  5. 제4항에 있어서, 성분(c)가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2,3,6-트리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2,3,5,6-테트라클로로-4-(이소프로필설포닐)피리딘 또는 디-요오드메틸-4-메틸페닐 설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일반식을 갖는 최소한 하나의 할로겐화된 방향족 디니트릴인 항균 화합물인 추가적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Figure kpo00017
    식중, 각 Y는 같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할로겐 원자이고; n은 1-4임.
  7. 제6항에 있어서,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 3,-(3,4-디클로로페닐)-1, 1-디메틸우레아; 디-요오드메틸-4-메틸페닐 설폰 및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을 포함하는 조성물.
  8. 미생물 침입에 의해 손상되기 쉽고,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5항 내지 제 9항의 어느 한 항 조성물을 0.0001 - 10 중량% 함유하는 매체로서, 전기의 매체는 냉각 수액, 금속 처리 액체, 굴착용 윤활제, 중합체 유제, 페인트, 와니스, 락커, 목재 및 가죽으로부터 선택되는 매체.
  9.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 내지 제 9항중의 어떤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로 매체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매체내 또는 매체상의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전기의 매체는 냉각 수액, 금속 처리 액체, 굴착용 윤활제, 중합체 유제, 페인트, 와니스, 락커, 목재 및 가죽으로터 선택되는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및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을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니트릴은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테트라플루오로이소프탈로니트릴 또는 테트라클로로테레프탈로니트릴인 조성물.
KR1019900004396A 1989-03-31 1990-03-31 살균 조성물 KR0145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907298.7 1989-03-31
GB898907298A GB8907298D0 (en) 1989-03-31 1989-03-31 Composition and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854A KR900013854A (ko) 1990-10-22
KR0145737B1 true KR0145737B1 (ko) 1998-08-01

Family

ID=1065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396A KR0145737B1 (ko) 1989-03-31 1990-03-31 살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125967A (ko)
EP (1) EP0390394B1 (ko)
JP (1) JP2833822B2 (ko)
KR (1) KR0145737B1 (ko)
AR (1) AR247070A1 (ko)
AT (1) ATE107130T1 (ko)
AU (1) AU626396B2 (ko)
CA (1) CA2013262A1 (ko)
DE (1) DE69009822T2 (ko)
DK (1) DK0390394T3 (ko)
ES (1) ES2057378T3 (ko)
FI (1) FI901554A0 (ko)
GB (2) GB8907298D0 (ko)
IE (1) IE63572B1 (ko)
NO (1) NO179474C (ko)
NZ (1) NZ233075A (ko)
PT (1) PT93633B (ko)
ZA (1) ZA902231B (ko)
ZW (1) ZW40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041A (ko)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KR101111639B1 (ko) * 2007-07-18 2012-02-17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살미생물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1757A (en) * 1988-05-20 1995-03-28 Zeneca Limited Synergistic fungicidal composition and use
ZA908425B (en) * 1989-11-03 1991-07-31 Rohm & Haas Synergistic microbicidal combinations
US5468759A (en) * 1991-12-19 1995-11-21 Rohm And Haas Company Synergistic microbicidal combinations containing 4,5-dichloro-2-octyl-3-isothiazolone and certain commercial biocides
CA2062598A1 (en) * 1991-03-25 1992-09-26 Wilson K. Whitekettle Bacterial inhibiting compositions and their use
KR960004500B1 (ko) * 1992-10-20 1996-04-06 주식회사유공 살균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비누
US5266218A (en) * 1993-04-15 1993-11-30 Betz Laboratories, Inc. Gelled biocidal treatments
US5266217A (en) * 1993-04-15 1993-11-30 Betz Laboratories, Inc. Gelled biocidal treatments
GB9312645D0 (en) * 1993-06-18 1993-08-04 Zeneca Ltd Stable aqueous formulation and use
US5310761A (en) * 1993-07-22 1994-05-10 Betz Laboratories, Inc. Biocida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JPH0753533A (ja) * 1993-08-11 1995-02-28 Hodogaya Chem Co Ltd 農園芸用殺菌組成物
TW385231B (en) * 1993-09-17 2000-03-21 Chugoku Marine Paints Anti-fouling compositions or fouling control of harmful aquatic organisms
DE4404702A1 (de) * 1994-02-15 1995-08-31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Wasserdispergierbare Granulate auf der Basis lebender Organismen
JP3526919B2 (ja) * 1994-09-26 2004-05-17 タイメイテック株式会社 抗菌組成物
US5472483A (en) * 1994-11-18 1995-12-05 Asahi Denka Kogyo Kabushiki Kaisha Antifouling agent
BR9606828A (pt) * 1995-01-13 1997-12-30 Environmetally Safe Systems In Pesticida ambientalmente seguro e acelerador de crescimento de planta
US5614203A (en) * 1995-01-30 1997-03-25 Environmentally Safe Systems, Inc. Environmentally safe pesticide and plant growth accelerator
US5607727A (en) * 1995-03-14 1997-03-04 Isk Biosciences Corpo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own stain in wood
JPH10109912A (ja) * 1996-10-04 1998-04-28 Akio Suganuma 抗菌組成物
DE19651351A1 (de) * 1996-12-10 1998-06-18 Riedel De Haen Ag Mikrobizide Gemische
US6133300A (en) * 1999-10-15 2000-10-17 Troy Technology Corporation, Inc. Antimicrobial mixtures of 1,3-bis(hydroxymethyl)-5,5-dimethylhydantoin and 1,2-benzisothiazolin-3-one
DE10042894A1 (de) * 2000-08-31 2002-03-14 Thor Chemie Gmbh Synergistische Biozidzusammensetzung mit 2-Methylisothiazolin-3-on
MXPA01008719A (es) * 2000-09-06 2002-04-10 Air Products Polymers Lp Conservacion de emulsiones polimericas usando compuestos cationicos.
FR2816478B1 (fr) * 2000-11-10 2004-01-30 Richard C Johnson Composition fongicide a base d'halosulfone notamment pour emballage
US6849664B2 (en) 2001-10-18 2005-02-01 Chevron U.S.A. Inc. Process for disposing biocide-containing cooling water
US9034905B2 (en) * 2003-02-05 2015-05-19 Rohm And Haas Company Synergistic microbicidal combinations
JP2006052209A (ja) * 2004-07-12 2006-02-23 Fumito Kumagai 防黴剤、抗菌剤及び消臭剤並びに防黴、抗菌及び消臭方法
US7468384B2 (en) * 2004-11-16 2008-12-23 Rohm And Haas Company Microbicidal composition
US7585980B2 (en) * 2006-05-25 2009-09-08 Troy Corporation Immobilized 1,2-benzisothiazolin-3-one
US9723842B2 (en) 2006-05-26 2017-08-08 Arch Chemicals, Inc. Isothiazolinone biocides enhanced by zinc ions
US7652048B2 (en) * 2007-05-04 2010-01-26 Troy Corporation Water-based, antimicrobially active, dispersion concentrates
EP2213166B1 (de) * 2009-01-29 2012-03-21 THOR GmbH Biozidzusammensetzungen enthaltend 2-Methylisothiazolin-3-on und ein Haloalkylsulfon
CN106359399B (zh) * 2009-09-28 2019-01-11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二溴丙二酰胺组合物及其作为杀生物剂的用途
US8747873B2 (en) * 2012-02-01 2014-06-1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ions of dibromomalonamide and their use as biocides
WO2015094131A1 (en) * 2013-12-20 2015-06-25 Univentures Public Company Limited Natural rubber latex preservative with zinc oxide nanostructures
DE102015118926A1 (de) * 2015-11-04 2017-05-04 Schulz Farben- Und Lackfabrik Gmbh Halbfabrikate zu Bautenfarben und Bautenfarben
DE102015118915A1 (de) * 2015-11-04 2017-05-04 Schulz Farben- Und Lackfabr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utenfarben und System
DE102015118923A1 (de) * 2015-11-04 2017-05-04 Schulz Farben- Und Lackfabrik Gmbh Anlage zur Herstellung von Bautenfarben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523425A (en) * 1949-12-06 1956-04-03 W. Todd Charles Herb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aromatic urea compounds
US2655445A (en) * 1949-12-06 1953-10-13 Du Pont 3-(halophenyl)-1-methyl-1-(methyl or ethyl) ureas and herb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employing same
NL212631A (ko) * 1949-12-06
US2768971A (en) * 1954-05-26 1956-10-30 Ici Ltd Preparation of alkyl-aryl-ureas
NL129620C (ko) * 1963-04-01
GB1113634A (en) * 1964-07-13 1968-05-15 Ici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ungicidal compositions
NL130534C (ko) * 1964-12-11
US3296272A (en) * 1965-04-01 1967-01-03 Dow Chemical Co Sulfinyl- and sulfonylpyridines
US3371011A (en) * 1966-10-21 1968-02-27 Dow Chemical Co Sulfinyl-and sulfonylpyridine pest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US3523121A (en) * 1967-03-09 1970-08-04 Rohm & Haas Certain 2-carbamoyl-3-isothiazolenes
US3849430A (en) * 1967-03-09 1974-11-19 Rohm & Haa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isothiazolones and 3-hydroxyisothiazoles
US3517022A (en) * 1967-10-03 1970-06-23 Rohm & Haas Certain 2-carbamoyl-1,2-benzisothiazolones
GB1191253A (en) * 1968-02-21 1970-05-13 Ici Ltd New Compositions of Matter
US3632859A (en) * 1969-03-10 1972-01-04 Abbott Lab Diiodomethyl sulfones
US3663623A (en) * 1969-07-25 1972-05-16 Abbott Lab Preparation of iodomethylsulfones
US3821389A (en) * 1969-10-31 1974-06-28 Sherwin Williams Co Microbiocidal use of 1,2-benzisothiazolin-3-ones
GB1330531A (en) * 1970-03-31 1973-09-19 Ici Ltd 1,2-benzisothiazolone solutions
US4031055A (en) * 1971-05-03 1977-06-21 Rohm And Haas Company Metal compound stabilized coating compositions
GB1458522A (en) * 1973-04-19 1976-12-15 Ici Ltd Benzisothiazolin-3-one derivatives
AR207229A1 (es) * 1973-08-20 1976-09-22 Rohm & Haas Composicion de recubrimiento estabilizada con formaldehido y metodo para su preparacion
US4173643A (en) * 1973-12-20 1979-11-06 Rohm And Haas Company Synergistic microbiocidal compositions
JPS5835833B2 (ja) * 1974-06-24 1983-08-0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ケンマエキノ チヨウセイホウホウ
US3929561A (en) * 1975-03-03 1975-12-30 Betz Laboratories Synergistic compositions containing bis (trichloromethyl) sulfone and their use
US4165318A (en) * 1977-09-06 1979-08-21 Rohm And Haas Company Formaldehyde stabilized coating compositions
GB2004747B (en) * 1977-09-30 1982-02-17 Ici Ltd Compositions of matter
US4209522A (en) * 1978-06-28 1980-06-24 The Dow Chemical Company Antimicrobial bis(5-nitro-2-thiazolyl)thioisothiazoles and thiadiazoles
JPS5929163B2 (ja) * 1979-11-14 1984-07-18 北興化学工業株式会社 防腐防かび剤
JPS56113706A (en) * 1980-02-09 1981-09-07 Nissan Chem Ind Ltd Mildewcide composition for industrial use
JPS5823843B2 (ja) * 1980-04-28 1983-05-18 北興化学工業株式会社 防腐防かび剤
FR2492376A1 (fr) * 1980-10-17 1982-04-23 Cird Polymethylene-4,5 isothiazoline-4 ones-3,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utilisation comme agents bactericides et fongicides
JPS5950642B2 (ja) * 1981-04-08 1984-12-10 ウェルファイド株式会社 工業用殺菌剤
JPH0234350B2 (ja) * 1982-03-03 1990-08-0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Hosetsukagobutsuoyobisoreoganjusurusatsukinzai
JPS6054301A (ja) * 1983-09-06 1985-03-28 Hokko Chem Ind Co Ltd 防腐防かび剤
GB8424799D0 (en) * 1984-10-02 1984-11-07 Ici Plc Biocide composition
JP2605764B2 (ja) * 1987-12-11 1997-04-30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石油系燃料用スライム防除薬剤
JPH01193372A (ja) * 1988-01-29 1989-08-03 Sakura Color Prod Corp 描画用水彩絵具
JPH01224098A (ja) * 1988-03-02 1989-09-07 Tokyo Met Gov Gesuidou Service Kk 脱水汚泥ケーキの消臭方法
US4964892A (en) * 1988-12-22 1990-10-23 Rohm And Haas Company Synergistic microbicidal combinations containing 2-N-octyl-3-isothiazolone and certain commercial biocides
US4906651A (en) * 1988-12-22 1990-03-06 Rohm And Haas Company Synergistic microbicidal combinations containing 3-isothiazolone and commercial biocid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041A (ko)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KR101111639B1 (ko) * 2007-07-18 2012-02-17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살미생물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26396B2 (en) 1992-07-30
US5125967A (en) 1992-06-30
NO179474B (no) 1996-07-08
FI901554A0 (fi) 1990-03-28
IE63572B1 (en) 1995-05-17
GB9006142D0 (en) 1990-05-16
EP0390394A3 (en) 1992-10-07
ZA902231B (en) 1991-03-27
ES2057378T3 (es) 1994-10-16
IE901065L (en) 1990-09-30
DE69009822D1 (de) 1994-07-21
KR900013854A (ko) 1990-10-22
CA2013262A1 (en) 1990-09-30
DE69009822T2 (de) 1994-11-24
ATE107130T1 (de) 1994-07-15
PT93633A (pt) 1990-11-07
DK0390394T3 (da) 1994-07-18
EP0390394B1 (en) 1994-06-15
NO901381L (no) 1990-10-01
EP0390394A2 (en) 1990-10-03
NZ233075A (en) 1992-07-28
NO901381D0 (no) 1990-03-26
ZW4090A1 (en) 1990-12-05
AR247070A1 (es) 1994-11-30
NO179474C (no) 1996-10-16
PT93633B (pt) 1996-12-31
JPH02286606A (ja) 1990-11-26
GB8907298D0 (en) 1989-05-17
AU5227890A (en) 1990-10-04
JP2833822B2 (ja) 199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737B1 (ko) 살균 조성물
JP3488015B2 (ja) ハロプロピニル化合物と硫黄含有トリアジンとの混合物を含む殺生物剤組成物
EP1382248B1 (en) Stabilized haloalkynyl microbicide compositions
FI97678C (fi) Biosidinen koostumus
JPH0314502A (ja) 水性組成物用防腐剤
WO1997020464A1 (en) Synergistic bactericide
FI98189C (fi) Teollisena biosidina käyttökelpoinen koostumus ja sen käyttö
EP1111994A1 (en) Use of derivatives of methylene-bis-oxazolidine and compositions obtained thereby
JP2003511471A (ja) 低温安定防腐剤
KR0139060B1 (ko) 항생작용을 하는 조성물 및 이들의 용도
GB2208474A (en) Biocidal composition and use
EP0542489A2 (en) Microb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3-isothiazolones and poly-lysine
JP2002544144A (ja) イソチアゾロンの安定化
EP0946097B1 (en) Composition and use
KR100290717B1 (ko) 종이,펄프공정수용살균제및종이,펄프공정수용살균방법
US5401757A (en) Synergistic fungicidal composition and use
US5451564A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N-hydroxy heterocyclic thiones
US20030039580A1 (en) Stable preservative formulations comprising halopropynyl compounds and butoxydiglycol solvent
JPH05320004A (ja) 工業用殺菌剤
CA2041348A1 (en) Composition and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