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490B1 - 3개 모드의 세공조성을 가진 sic 다공성 베어링재 - Google Patents

3개 모드의 세공조성을 가진 sic 다공성 베어링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490B1
KR0145490B1 KR1019950013923A KR19950013923A KR0145490B1 KR 0145490 B1 KR0145490 B1 KR 0145490B1 KR 1019950013923 A KR1019950013923 A KR 1019950013923A KR 19950013923 A KR19950013923 A KR 19950013923A KR 0145490 B1 KR0145490 B1 KR 014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c
less
pore
bearing materia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826A (ko
Inventor
알렉산더 쉬베츠 칼
카타이닌거 안톤
푼두스 미카엘
그라임 요헨
Original Assignee
하.헤르만 게.멤펠
엘렉트로쉬멜즈베르크 겜프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헤르만 게.멤펠, 엘렉트로쉬멜즈베르크 겜프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헤르만 게.멤펠
Publication of KR96000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051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pore size, pore shape or kind of porosity
    • C04B38/0061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pore size, pore shape or kind of porosity closed por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8Preparation of finely divided silica neither in sol nor in gel form;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051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pore size, pore shape or kind of por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6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burning-out added substances by burning natural expanding materials or by sublimating or melting out added substances
    • C04B38/063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8/0635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8/0645Burnable, meltable, sublimable materials
    • C04B38/065Burnable, meltable, sublimable materials characterised by physical aspects, e.g. shape, size or por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43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ceramics, cermets or hard carbon, e.g. diamond like carbon [DLC]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344Materials with friction-reduced moving parts, e.g. ceramics lubricated by impregnation with carbon
    • C04B2111/00353Slid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2/00Solid materials defined by their properties
    • F16C2202/02Mechanical properties
    • F16C2202/10Poros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Product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Porous Artificial Stone Or Porous Ceramic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이 발명은 3개 모드의 세공조성(trimodal pore composition)을 가진 SiC 다공성 베어링재(porous SiC bearing materials)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폐쇄세공 3~10vol% 를 가진 무압소결 SiC 의 다공성 베어링재를 미크로세공(M), 섬유형성세공(F) 및 구형마크로세공(S)으로 구성되는 3개모드의 세공조성을 가지며, 그 세공계 F-M-S(제1도)의 양은 그 코너점(corner points) a = 10%M - 80%F - 10%S b = 10%M - 10%F - 80%S C = 40%M -10%F - 50%F , d = 40%M - 50%F - 10%S 를 가진 사다리꼴영역에 의해 정해지며, 그 미크로세공은 직경이 5㎛ 또는 5㎛ 미만이고, 섬유형상세공은 직경이 30㎛ 또는 30㎛ 미만이며 길이가 80㎛ 또는 80㎛ 미만이고, 구형세공은 직경이 70㎛ 또는 70㎛ 미만이며, 적어도 250MN/㎡ 의 휨강도를 가진다.

Description

3개의 모드의 세공 조성을 가진 SiC 다공성 베어링재(bearing material)
제1도는 이 발명의 3개의 모드의 세공조성영역 표시도.
제2도는 이 발명의 베어링재의 조성 개략도.
제3도는 이 발명에 의해 얻어진 소결체(Sintered body)의 미세구조도.
이 발명은 3개의 모드(trimodal)의 세공조성(pore composition)을 가진 SiC 다공성 베어링재(bearing material)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소결(dense sintered) SiC 는 경도가 높고, 고온강도가 높으며, 열전도율이 높고, 내열충격성이 높으며, 내산화성이 높다.
또, 내마모성 및 내식성도 높다.
그 중소결 SiC 는 또 마찰학적인 행동(tribological behavior)이 극히 양호하며 윤활을 갖거나 갖지 않는 마찰 및 마모행동을 갖는다.
이와같은 이유로, 소결한 순수 SiC 는 슬라이딩베어링(sliding bearing)의 이상적인 재료로 제안되었다.
특히, 플로팅-링시일(floating-ring Seals)을 마모응력(wear stresses)를 받게 되어 이들의 응용에서 예로서 알루미늄 옥사이드 또는 소결탄화물(cemented carbide)등 다른재료로 대치하였다.
특히, 자동차공업의 물펌프에서, 다량 생산을 하는 소결 SiC 로 된 슬라이딩링(sliding ring)의 사용에 대한 시장점유율이 항상 더 크다.
중소결 SiC 는 순도 98.5% SiC 를 가지며, 잔류기공률(residual porosity)1-3vol%에 대응되는 소결밀도 3.10~3.16g/㎥ 를 주로 가진다.
그 경도(knoop HK-0.1 = 2500)와 강도(휨강도 : 약400MN/㎡)가 높으며, 그 소결 SiC 는 액상매질에서 실시하는 고형입자에 의해 기대이상으로 내마모성이 있다.
마모성과 부식마모가 조합하여도 이 세라믹재는 내모마성이 있다.
실제로 발생하는 대부분의 슬라이딩 메모에 의해 이상적인, 즉 적합한 윤활작동상태를 차단하였다.
그 베어링 또는 시일의 슬라이딩면이 서로 접속됨으로써 고체마찰 또는 건조마찰이 발생하여, 마찰계수의 큰 증가를 나타낸다.
국부마찰열(local frictional heat)에 의해 열응력피크 상태로 되어 그 피크에서는 고밀도로 그 미크로조직(microstructure)의 성분을 파괴시킨다.
윤활이 개시될때(냉각), 열충격으로 인하여 크랙(crack)이 형성되고 파단면(fracture)이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
중소결 SiC 는 일반적으로 다른 세라믹보다 더 좋은 상태에서 대처하나, 더 어려운 수력학적 상태하에서 작동하며 신뢰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플로팅-링시일 및 슬라이딩 베어링에 사용되는 더 개량된 SiC 베어링재를 필요로 하였다.
그 마찰학적인 특성에 대한 소결 SiC 를 최적화하려는 시도는 이미 공지되었다.
이와같은 시도는 그 작용면(슬라이딩면)에서 윤활포켓작용(lubricant pocket function)을 달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중소결 SiC 미크로조직에서 평균세공크기 10㎛ 의 밀폐세공 형상으로 소량의 추가 공극율(porosity)을 도입하여 균질분포되는 기술구성에 의한다.
이들의 마크로세공(macropore)은 그 작용면에서 알맞은 요흠(depressions)을 얻는다.
그 요흠에서는 추가윤활액이 회수되어 저장실(reservoir)을 형성한다.
이 세공에 저장된 윤활액저장실은 위험한 상태, 즉 윤활공급기의 간단한 고장이 발생할 경우 잔류윤활(residual lubrication)를 보장받을 수 있어, 결합되어 있는 베어링요소의 건조작동연장 및 순간적인 고장은 방지한다.
여기서, 그 SiC 미크로조직으로 도입한 마크로세공은 각각의 개별적인 세공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그 세공내에 수압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속적인 차넬세공(개방공극률 : open porosity)은 그 베어링내에서 노출을 피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추가도입공극률은 그 세라믹성분의 강도를 저하시키므로, 그 공극률(Vol%)의 레벨과 특히 세공크기에 따라 그 제한을 설정한다.
예로서 특허문헌 DE-C-3927300(showa Denko K . K . ) 에서는 전 공극률 4~14vol% 의 다공질 SiC 소결체를 플로팅-링시일(floating-ring seals)로 사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들의 무압 SiC 소결체의 세공은 서로간에 독립적이며 밀폐되어 있고, 원활한 원형면과 평균세공크기 10~40㎛ 을 가진다. 이들의 세공은 소결기술(미세한 SiC 분말과 거친 분말의 혼합물로부터 출발하거나, 불완전 소결에 의해)에 의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SiC 콤팩트(compact)에서 플라스틱 구체를 결합시킨다음 그 구체(spheres)를 열분해시켜 발생한다. 후자의 경우, 특정의 전공극률과 평균 세공크기는 그 플라스틱 구체의 양과크기에 의해 목적물 형상으로 설정시킬 수 있다. 그 명세서의 구체적 설명에서 나타낸바와같이, 그 얻어진 SiC 소결체에서 평균세공크기 10~40㎛ 은 특히 슬라이딩링(sliding ring)으로서 마찰학적인 응용면에서 중요하다.
평균 세공크기 10μ 의 다공성 SiC 소결체는 베어링요소로서 결점이 있다. 그 이유는 그 윤활포켓(lubricant pocket)효과가 적은 세공의 경우 너무 낮기 때문이다. 동일하게, 평균세공크기 40㎛ 의 다공성 SiC 소결체는 특히 그 플로팅-링시일의 조기누출(투과성 : permeability)로 인하여 슬라이딩링에 적합하지 않으며 링마모를 증가시킨다.
관측한 마모증가의 이유는 그 거친 세공의 SiC 소결체의 강도가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예로서 공극률(porosity)8% 의 SiC 소결체의 경우 평균세공크기10㎛ 에서 50㎛ 으로 변화되어 그 강도는 40kp/㎟에서 20kp/㎟ 으로 감소된다. 즉, 절반 값으로 감소된다.
이 범위로 감소된 강도는 큰 국부결함(local defects)(개별적인 큰 세공) 또는 크랙(cracks)의 발생으로 설명할 수 있다. 위 독일특허에서 평균세골크기 40㎛ 를 가진 강력한 다공성 SiC 소결체의 마찰학적인 특성은 불량생산으로 인하여 우수한 것으로 인정될 수 없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특허문헌 EP-A-486336(company ceramiqueset composites)에는 전 공극률 4-18vol%와 평균세공크기 40~200㎛ 을 가진 거친 세공의 SiC 베어링요소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그 베어링요소는 동일하게 플라스틱 구체형상으로 세공형상을 한 소결할 수 있는 SiC 분말로 무압소결을 하여 제조하였다.
그러나, 그 명세서와 특히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평균세공크기
60~100㎛ 과 총공극률 8~15vol% 는 이 “커진 세공을 가진 실리콘 카바이드”의 마찰학적 사용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의 거친 세공을 한 SiC 소결체 강도에 대하여 표시한바 없다.
위 특허문헌 유롭특허출원에서 기재된 SiC 베어링재가 저압범위, 즉 예로서 ㅣbar(특허문헌 EP-A-486336 의 실시예 1 참조)등 시일링되도록 하고 적은 압력차이 시일링 및 마모요건은 충족시킬수 있으나, 압력범위10bar 에서의 그 요건을 충족시킬수 없다.
바람직한 범위의 평균세공크기 60-100㎛ 과 순간적으로 높은 총공극률 범위 8-15vol%에서 그 SiC 성분강도는 상당히 감소되므로, 엄격한 제한범위는 슬라이딩링 및 카운터링(Counter ring)(경질/경질 페어링에서)과 같이 거친 세공을 가진 SiC 의 사용에 따라 설정된다.
특허문헌 PCT 공개공보WO93/25495(carborundum Company, USA)에서는 그 미세공이 불균일한 형상을 가진 공극률 3-15vol%, 그 미세공의 최대크기 약 3~5㎛ , 종횡비(aspect ratio) 1:1 ~ 3:1 을 가진 미세한 세공을 가진 SiC 소결체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들의 소결체는 2개 모드의 입자크기 분포를 가진 SiC , 즉 서로 다른 평균입자크기를 가진 2개의 SiC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예로서, 평균입자크기 0.5㎛ 의 미세한 소결 작용을 하는 SiC 분말을 평균입자크기 3㎛ 을 가진 소결작용이 덜한 거칠은 SiC 분말과 혼합한다. 이들의 소결체가 저렴한 거친 SiC 분말을 사용한 결과 저렴한 코스트로 이들의 소결체를 제조할 수 있으나, 임계상태에서 이들의 마찰학적인 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5㎛ 보다 더 작거나 동일한 미크로세공의 빈약한 윤활포켓작용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특허문헌 EP-A-5784408(Carborundum Company, USA)에는 공극률 2~12vol% 를 가진 거치른 세공의 SiC 소성체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그 세공은 형상이 구형(球形)이고, 직경이 50~500㎛이다. 이들의 거치른 세공의 SiC 소성체는 특허문헌 EP-A-486336(Ceramiques et Composites)에서 주로 이미 언급한바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마찰학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에 대하여 그 자체 공지된 SiC 베어링재를 더 향상시켜, 광범위한 응용분야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예로서, 이 베어링재는 저압과 고압에서 그라파이트와 결합하거나 그 자체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목적은 이 발명에 따라 각각의 밀폐세공 3~10vol% 를 가진 무압소결 SiC 로 구성된 다공질 베어링재에 있어서 미크로세공(micropores)(M) , 섬유형상 마크로세공(fiber-shaped macropores(F) 및 구형 마크로세공(spherical macropores)(S)으로 구성되는 3개모드의 세공조성물(trimodal pore composition)을 가지며, 그 세공계(pore system) F-M-S(제1도)의 양은 코너점(corner points) a = 10%M - 80%F -10%S
b = 10%M - 10%F - 80%S
c = 40%M - 10%F - 50%S
d = 40%M - 50%F - 10%S
를 가진 사다리꼴영역에 의해 정하여지며, 그 미크로세공은 직경 5㎛ 또는 5㎛ 미만, 그 섬유형상 마크로세공은 직경 30㎛ 또는30㎛ 미만과 같이 80㎛ 또는 80㎛ 미만, 구형 마크로세공은 직경 70㎛ 또는 70㎛ 미만을 가지며, 그 휨강도는 적어도 250MN/㎡ 인 다공질 베어링재에 의해 달성된다.
그 미크로세공은 세공크기 분포 0.1㎛ ~ 5㎛ 을 가진다.
그 섬유형상 마크로세공의 종횡비는 2:1 ~ 50:1 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2:1 ~ 20:1 이다.
그 섬유형상 마크로세공의 크기분포는 그 범위 dF= 5.25㎛ 1F=1~80㎛(dF: 섬유직경, 1F: 섬유길이)가 바람직하다. 섬유세공직경 8~20㎛ 와 섬유세공길이 20~70㎛ 이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구형마크로세공은 크기분포 30㎛~70㎛ 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크기분포 40~60㎛ 이다.
그 세공이외에 존재한 중 SiC 매트릭스(dense SiC matrix) 는 탄소원소 , 알루미늄 원소 및/또는 보론원소 20wt% (총)이내로 포함하는 α-SiC 로 구성되며, 그 α-SiC 는 평균입자크기50㎛을 가진 각주상, 관상 결정형상으로 존재한다.
그 베어링재의 개략적인 구성은 제2도에 나타낸다.
이 발명의 SiC 베어링재를 재조하기 위하여, 사용한 SiC 출발분말은 입자크기분포 5㎛, 바람직하게는 3㎛ , 비표면적 10-15㎡/g(BET 방법으로 측정), 금속불순물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99.5% 순도를 가진 시판용 α-SiC 가 바람직하다.
마크로세공-형성첨가제로서, 분해온도가 낮기 때문에 (800℃)실제로 소결처리공정전에 그 SiC 화합물을 더 처리할때 섬유형상세공 및 구형세공 형상의 중공공간(hollow spaces)을 형성하는 유기질 단섬유 및 플라스틱 구체(spheres)가 사용된다.
사용할 수 있는 섬유재는 예로서 면, 아마섬유(flax), 목질 펄프(wood pulp) 또는 셀룰로오즈 섬유,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등 합성 또는 식물섬유를 분해시켜 크기에 따라 분급하며, 순 셀룰로오즈섬유가 특히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적합한 구형재에는 예로서 폴리메타크릴데이터,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및 베이크라이트(bakelite)등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플라스틱이 있다.
협소한 크기분포에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구형체가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구형(PPMA)가 바람직하다.
섬유형상세공 및 구형세공을 형성하는 첨가제의 총량, 이들의 상대비율 및 크기분포는 이 발명의 SiC 베어링재의 제조 및 특성에 대단히 중요하다.
섬유형상세공 형성 첨가제는 길이 15~90㎛ 와 직경 8~30㎛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길이 30~80㎛ 과 직경 10~25㎛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형세공형성 첨가제는 구형직경 40~8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50~70㎛ 의 직경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 형상처리공정에서 구형체는 크랙(cracks)함유 생지(green bodies)로 되므로 직경80㎛ 를 가진 구형체는 피할 필요가 있다.
마크로세공형성 첨가제의 크기분포는 이 발명의 베어링재의 특성, 특히 강도특성을 얻는데 대단히 중요하다.
발명자의 실험에 의해, 그 마크로세공의 비교적 넓은 크기분포에서 입계특수성분 응력에 필요로하는 그 베어링재의 휨강도250MN/㎡ 을 그 이상 얻을수 없음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직경100㎛ 을 가지며 그 세공을 연결하는 임계균열(critical flaws)및/또는 크랙으로 작용하는 2,3 개의 마크로세공의 존재에 기인한다.
그 섬유형성세공과 구형세공 형상 첨가제의 상대비는 단섬유 : 구형체의 중량비가 9:1 ~ 1:9 가 되도록 선택한다.
가장 바람직한 결과는 단섬유 : 구형체가 4:1~1:4 의 범위로 얻어진다.
이 발명의 베어링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그 SiC 출발분말을 그 자제공지의 방법에서 통상의 소결첨가제와 가압조제 7wt% 이내로 하여 같이 처리시켜 슬립(slip)을 얻은 다음, 적당한 방법, 예로서 사전에 제조한 슬립을 분무건조시켜 처리하여 유동없는 입상재를 얻는다.
적당한 소결 첨가제에는 예로서 탄소원소, 알루미늄원소, 보존원소, 알루미늄 니트라이드 및 보론 카바이드가 있으며, 입상 그라파이트 또는 카본블랙 형상의 탄소원자 및 미세한 알루미늄 니트라이드분말이 특히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적당한 압축조제(pressing asids)에는 예로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알루미늄스테아테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및 당(sugar)이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상품명 polyviol , Wacker-Chermie GmbH)을 압축조제로서 당(사카로오즈)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소결조제와 도핑(doping)한 SiC 분말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3.5 중량부의 혐소한 크기분포를 가진 유기질 단섬유 및 구형체의 형상의 마크로세공을 가진 유기질 첨가제를 건조 SiC 임상재에 혼합하면서 첨가하였다. 이것을 균질의 즉시 압축할 수 있는 혼합물이 생성될때까지 혼합하였다.
이것은 예로서 건조혼합기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제조코스트면에서 다량 생산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각각의 건조혼합처리공정 없이 직접 분무건조시키며, 특정량의 세공형상 첨가제를 분무용 슬립(slip)에 혼합시켜 즉시 압출할 수 있는 혼합물을 제조할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즉시 압출할 수 있는 혼합물은 예로서 축방향 다이압축 또는 균형 압축(isostatic pressing)에 의해 압축성형시켜 생지(green bodies)를 얻는다.
여기서, 섬유를 포함하는 이 발명의 즉시 압축할 수 있는 SiC 혼합물이 섬유를 포함하지 않은 혼합물(즉, 마크로세공형성첨가제로서 구형체만을 포함하는 혼합물 또는 마크로세공형성 첨가제 없는 혼합물)과 비교하여 압축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기대이상으로 발견하였다.
다이압축에서, 그 섬유함량은 그 압축생지의 스프링백(Spring back) 및 크랙형성을 감소시켜, 섬유없는 균열강도보다 더 큰 약 20~60%의 균열강도를 가진 “섬유보강생지”(fiber-reinforced green bodies)를 얻는다.
스프링백(spring back)의 감소로 인하여 크랙(cracks)으로 될 수 있는 그 고체내의 유발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압축성형체의 고강도는 그 압축성체 처리를 제거하지 않은 생지가공에 의한 또 다른 처리에서 가장 중요하며, 그 생지부분등의 저장 및 운송에도 가장 중요하다.
그 압축성형체를 불활성 분위기의 존재하에서 온도 100℃∼1000℃의 범위로 10~24시간 열처리시킨 후, 그 처리조제를 제거하고 그 세공형성첨가제를 열분해한다.
그 다음으로, 그 예열형성체를 보호가스분위기의 존재하에 또는 진공상태에서 20~60분간 2000℃∼2100℃에서, 이 발명의 SiC베어링요소가 형성될 때 까지 무압소결(pressureless sintering)을 한다.
소결하는 동안에, 그 형성체와 마크로세공은 그 압축형성체 또는 그 형성체에 존재한 마크로 세공의 직경을 기준으로 하여 17~19%의 수축을 하여, 크기분포 5㎛을 가진 마크로세공을 형성하고, 그 용량비는 그 압축밀도와 소결 피라미터(최종온도/유지시간)에 따라 그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SiC소결체는 총공극률 3~10Vol%와 휨강도 250MN/㎡이상을 가진다.
그 다공성 SiC베어링재는 그라파이트에 대한 그 페어링(pairing)을 한 경질/연질에서 또는 그 자체에 대한 페어링을 한 경질/경질에서 축방향 플로팅-링시일의 시일링 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베어링재는 동일하게 내마모성과 실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등 베어링의 보호축 슬리브와 구성성분의 제조에 적합하다.
위 설명과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총 공극률 P는 다음식에 따라 소결밀도 Ds와 매트릭스밀도 DR의 측정치에서 계산하였다.
P = (1-DS/DR·100)[Vol%]
그 세공조성, 즉 섬유형상세공, 구형세공 및 미크로세공의 % 및 그 마크로세공의 세공크기 분포는 그 베어링요소의 연마섹션(polished section)의 에칭되지않은 미크로 그라프를 사용하여 반자동 화상분석법(semi-automatic image analysis process)에 의해 세라믹그라피로 측정한다.
제1도는 세공계 미크로세공(M), 섬유형상세공(F) 및 구형마크로세공(S) (F-M-S)에서 이 발명의 세공조성의 영역을 나타내며, 이 세공계의 점(points)은 세공조성의 다음 제한치에 대응한다.
제2도는 이 발명의 베어링재의 개략적인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제3도는 섬유형상세공과 구형세공을 형성하며 소결밀도 3.02g/㎤ , 휨강도 310MN/㎡ , 총공극률 5.3vol% 및 세공조성 38% 섬유형상세공-42% 구형세공-20% 미크로세공을 가진 첨가제로 α-SiC를 무압소결시켜 얻어진 소결체의 미크로 조직을 나타낸다.
그 구형 마크로세공은 직경이 60㎛ 또는 60㎛ 미만이다.
그 섬유형상 마크로세공은 직경이 20㎛ 또는 20㎛ 미만이고, 길이가 70㎛ 또는 70㎛ 미만이다. 그 미크로세공의 직경은 5㎛ 또는 5㎛ 미만이다.
다음실시예는 이 발명의 SiC 베어링재, 그 제조 및 마찰학적 응용분야에서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이 발명의 슬라이딩링(sliding ring)의 제조
사용한 출발물질은 평균입자크기 0.6㎛ 과 비표면적 12㎡/g 를 가진 미세한 α-SiC 소결분말이었고, 그 잔류산소함량은 0.6wt% 이었다.
다음 조성을 가진 수용성 슬립을 제조하였다.
α-SiC 소결분말 98. 0 중랑부(PbW)
탄소 첨가제(카본블랙) 1.0 PbW
알루미늄 첨가제(AIN) 1.0 PbW
도핑 소결분말 100.0 PbW
플라스틱 구형체 d=50-70㎛ (PMNA) 1.0 PbW
셀룰로오즈 탄섬유
d = 10 - 25㎛
l = 30 - 80㎛ 1.0 PbW
압축조제(2.5 PbW당 및 2.0 Pb W polyviol) 4.5 PbW
우선 도펀트(dopants)와 압축조제를 사전에 용해 또는 슬러리화시킨 물에 교반하면서 그 SiC 분말을 분산시킨 60% 농도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이 분산액의 균질화를 완료시킨후 그 셀룰로오즈 단섬유와, 플라스틱 구형체를 교반하고, 희석에 의해 밀도 1650g/I 로 설정하였다. 이와같이 제조하여 마무리한 스립을 기준상태에서 분무건조기에 의해 건조하였다.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유동이 없는 압축할 수 있는 입상재물 압력 100MPa 하에 자동식건조스프레스에서 다이압력에 의해 최종적으로 처리하여 압축밀도 1.80g/㎥ 와 크기 da= 88 , di=66, h=28㎜ 를 가진 슬라이딩링을 얻었다.
이 압축부분은 그 윤활제와 바인더를 제거하며, 또 그 유기질 세공형성물질을 서서히 열분해시키기 위하여 12시간 동안 탄화로(carbonization furnace)내에서 아르곤 보호가스 스트림하에서 800℃ 로 예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후, 바인더를 제거시킨 슬라이딩링을, 진공 20mbar, 온도 2050℃에서 30분간 그라파이트관로(graphite)의 가열영역에 위치시킨 그라파이트제 도가니내에서 소결하였다.
매트릭스 밀도 3.19g/㎤ 를 가진 소결체는 그 링의 직경을 기준으로 하여 18% 선형 수축을 하였으며, 총공극률 5.3vol% 에 대응하는 소결밀도가 평균 3.02g/㎤ 이었다.
그 압축링과 소결형성테의 특성은 표1에 요약하였다.
제3도는 소결시킨 슬라이딩링의 연마섹션에 대한 1:00 의 스케일(scale)상에서의 광학적 미크로그라프(optical micrograph)를 나타낸 것이다.
서로 다른 3층 타입의 세공은 블랙영역 또는 돗(dots)으로 분명하게 알수 있다. 화상해석(image analysis)에 의해 섬유형상 세공함량 38% , 구형세공함량 42% , 미크로세공 함량 20% 를 나타낸다.
폴라즈마에칭(plasma etching)후 전개한 SiC 미크로조직은 평균크기 30㎛ 를 가진 SiC 미결정을 나타낸다.
[실시예 2-5]
이 발명의 또 다른 슬라이딩링의 제조
그 세공형성 첨가제 셀로로오즈와 PMMA 플라스틱 구형체의 총량과 중량비를 서로 변경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SiC 슬랑딩링을 제조하였다(실시예2,3) 구형 마크로세공을 형성하는 PMMA 첨가제를 세공형성체로서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실시예4), 또는 마크로세공 형성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았다(실시예5).
후자의 경우, 즉 세공형성첨가제 없이 중(dense)SiC 기준재를 얻었다. 실시예2-3은 이 발명의 베어링재에 관한 것으로, 그 세공조성(섬유형상세공/구형세공/미크로세공의 비)과 총 공극률을 변화시킨 것이다.
실시예 4 및 5 는 종래의 공지된 재료와 비교실시예이다.
그 혼합물, 압축 생지 및 소결형성체의 특성을 실시예1의 대응데이타와 함께 표1에 요약한다.
* .......... 3점 방법(테스트바 3X3X30mm, 충거리(loading span) 25mm),
** ........ 매트릭스밀도 3.19g/㎤를 기준
*** ....... 1 = 길이, d = 직경
[실시예 6]
슬라이딩링 벤치테스트(sliding ring bench tests)결과
경질/연질(hard/soft) 및 경질/경질의 페어링(pairing)에서 마찰학적 파라미터(마찰 및 마모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의한 다수의 테스트링은 필요로 하는 최종 크기로 가공하고 푸석푸석한 B4C 입자 320 으로 표면래핑(lapping)을 한후에 완성재의 테스트링과 비교하여 테스트하였다.
이 테스트를 하기 위하여, 플로팅-링시일 벤치를 사용하였다.
이 테스트벤치에 의해 마찰학적인 파라미터는 시일링 매질로서 순수(demineralized water)를 사용하여, 주변속도 9m/sec , 일정온도 60℃에서 중간압력 125bar 이내로 측정하였다.
그 마찰학적인 벤치 테스트의 결과를 다음표 2 및 3에서 요약한다.
*.......... 그라파이트 Buko1 (Burgmann제)
**------- 에지 치핑(edge chipping)량이 큼
***------ 테스트 종료 : 접착 마모, 에지치핑이 양이 큼 , 슬라이딩면 파괴, 누출 그 경질/연질 페어링(pairing)에서의 테스트(표2참조)에 의해 세공조성 80% 마크로세공-20% 미크로세공을 가진 다공성 SSiC 링(총공극률 약 5vol%)은 전압력 단계에서, 증 SSiC(실시예 5 , 표준 SSiC , 100% 미크로세공, 총공극률 1.3vol%)의 링보다 마찰 및 마모계수가 낮다는 것을 명확하게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및 4 의 링에 대한 마찰학적 대비에 의해 나타낸바와같이, 그 세공조성의 변화, 즉 섬유형상 마크로세공에 의한 구형 마크로세공의 약 50% 대치는 평균 30% 정도 압력 25-125bar에서 그 마모가 기대이상으로 더 감소되었다.
이 발명의 실시예 3 의 링이외에 실시예4 및 5 의 링을 사용하여 25 및 50bar에서 고압영역에서의 대비를 한 그 경질/연질 페어링의 슬라이딩링 테스트(표3참조)에 의해, 3개모드의 세공조성을 가진 이 발명의 재료에 대한 최적안정성을 또 확인 하였다.
이 경질/경질 페어링의 슬라이딩링은 마모성이었고, 화학적으로 첨식하는 매질에서 시일링에 특히 바람직하다.
그 마모는 모든 경우 , 단위 시간당 0.02㎛ 미만이었다. 따라서, 다공성 SiC 에서 그 3개 모드 세공조성 25% 섬유형상세공-56% 구형세공-19% 미크로세공은 2개 모드세공조성 79% 구형세공-21% 미크로세공과 비교하여 마찰학적 행동을 현저하게 향상시킴을 나타낸다.
그 경질/경질 페어링의 가장 불량의 성능은 실시예 5에서 100% 미크로세공을 포함하는 중 SiC (dense SiC)를 가질때이다. 이경우, 불충분한 공극률에 의한 접착경과 주로 발생하는 것과 같이 재료를 치핑(chipping)하며 최종적으로 누출되어 마모가 커 졌다.
그 대비 테스트벤치 결과에 의하여, 이 발명의 SiC 베어링재에서 마찰학적으로 최적재를 얻을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 최적재는 플로팅-링시일에서 SiC/그라파이트와 SiC/SiC 의 슬라이딩 페어링(sliding pairing)을 표준재보다 마모응력을 더 높이도록 한다.

Claims (7)

  1. 각각의 폐쇄세공(closed pores)3-10vol%를 가진 무압소결(pressureless sintered)시킨 SiC 다공성 베어링재(porous bearing material)에 있어서, 미크로세공(micropores)(M), 섬유형상 마크로세공(fiber-shaped macropores)(F) 및 구형마크로세공(spherical macropores)(S)으로 구성되는 3개 모드 세공조성(trimodel pore composition)을 가지며, 세공계 F-M-S(제1도)의 그 조성량은 코너점(corner points) a = 10%M - 80%F - 10%S; b = 10%M - 10%F - 80%S; c = 40%M - 10%F - 50%S; d = 40%M - 50%F - 10%S 을 가진 사다리꼴영역에 의해 정해지며, 그 미크로세공은 직경이 5㎛ 또는 5㎛ 미만이고, 그 섬유형상 마크로세공은 직경이 30㎛ 또는 30㎛ 미만이고, 길이가 80㎛ 또는 80㎛ 미만이며, 구형마크로세공은 직경이 70㎛ 또는 70㎛ 미만이고, 휨강도가 최소한 250MN/㎡ 인 SiC 다공성 베어링재.
  2. 제1항에 있어서, 그 세공이외에 존재한 중 SiC 매트릭스(dense SiC matrix)는 평균크기 50㎛ 이며 탄소원소, 알루미늄 또는 보론 2wt%(총)이내를 가진 각주관상 결정형상의 α-SiC 카바이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SiC 다공성 베어링재.
  3. 유기질단섬유와 플라스틱 구형체의 중량비 9:1 ∼ 1:9 의 크기분포가 좁은 그 유기질집단섬유와 플라스틱 구형체를 소결첨가제와 압축조제로 혼가한 미세한 α-SiC 분말에 그 도핑한 SiC 부말을 기준으로 하여 1∼3.5 중량부로 첨가시켜, 그 균질화시킨 분말혼합물을 압축성형하여 생지(green bodies)를 얻으며, 그 생지를 온도 1000℃ 이내에서 보호가스분위기의 존재하에 예열시킨 다음 그 예열시킨 생지를 온도 2000℃∼2100℃에서 소결시켜 그 실리콘카바이드(SiC)의 매트릭스밀도의 90%∼97% 의 밀도를 가진 소결체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SiC 다공성 베어링재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그 소결 첨가제는 알루미늄 니트라이드 또는 보론 및 탄소를 2wt% 이내의 양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SiC 다공성 베어링재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그 유기질 단섬유는 크기분포 dF= 8-30㎛ , lp = 15-90㎛ (dp = 섬유직경 , lp = 섬유길이)를 가진 셀룰로오즈임을 특징으로 하는 SiC 다공성 베어링재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그 플라스틱 구형체는 크기분포 ds= 40-80㎛ (ds = 구형체직경)을 가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구형체(PMMA)임을 특징으로 하는 SiC 다공성 베어링재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그 예열시킨 소지의 소결은 압력 ≤ 30mbar에서 불활성 분위기의 존재하에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SiC 다공성 베어링재의 제조방법.
KR1019950013923A 1994-06-01 1995-05-30 3개 모드의 세공조성을 가진 sic 다공성 베어링재 KR0145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19243A DE4419243A1 (de) 1994-06-01 1994-06-01 Gleitwerkstoff aus porösem SiC mit trimodaler Porenzusammensetzung
DE94-P4419243.6 1994-06-01
DE94-P44.19.243.6 1994-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826A KR960000826A (ko) 1996-01-25
KR0145490B1 true KR0145490B1 (ko) 1998-07-15

Family

ID=65195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543A KR0159835B1 (ko) 1994-06-01 1995-05-27 무기산화물의 실릴화 방법
KR1019950013923A KR0145490B1 (ko) 1994-06-01 1995-05-30 3개 모드의 세공조성을 가진 sic 다공성 베어링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543A KR0159835B1 (ko) 1994-06-01 1995-05-27 무기산화물의 실릴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62895A (ko)
EP (1) EP0685437B1 (ko)
JP (1) JP2722182B2 (ko)
KR (2) KR0159835B1 (ko)
CN (1) CN1040341C (ko)
CA (1) CA2146399C (ko)
CZ (1) CZ283013B6 (ko)
DE (2) DE4419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4094A (en) * 1996-09-30 1998-11-10 Surface Technologies Ltd. Bearing having micropores and design method thereof
DE19654174A1 (de) * 1996-12-23 1998-06-25 Kempten Elektroschmelz Gmbh Gleitwerkstoff aus Siliciumcarbid
DE19712480A1 (de) * 1997-03-25 1998-10-01 Burgmann Dichtungswerk Feodor Gleitringdichtung
US6214078B1 (en) 1997-11-25 2001-04-10 Ferro Corporation High temperature ceramic filter
US5958998A (en) * 1998-02-05 1999-09-28 Xerox Corporation Ink jet inks
JP2000240653A (ja) 1999-02-24 2000-09-05 Ntn Corp 焼結含油軸受とその製造方法及び情報機器用スピンドルモータ
JP4589491B2 (ja) * 1999-08-24 2010-12-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炭化ケイ素粉末、グリーン体の製造方法、及び炭化ケイ素焼結体の製造方法
DE10030011A1 (de) * 2000-06-17 2002-01-03 Sgl Carbon Ag Formteil aus von Polymeren abgeleiteter Keramik
DE10032044B4 (de) * 2000-07-05 2008-09-11 Walter Spang Gleitlager mit Festschmierstoff
DE10061397B4 (de) * 2000-09-29 2004-04-08 Desch Antriebstechnik Gmbh & Co. Kg Planetengetriebe und Planetenlager sowie deren Bauteile
DE20019276U1 (de) * 2000-11-13 2002-03-28 Veba Oel Technologie & Automatisierung Gmbh Drehtrommel mit Wälzkörperanordnung
DE10111225A1 (de) * 2001-03-08 2002-09-19 Wacker Chemie Gmbh Verbundwerkstoff auf der Basis von Siliciumcarbid und Kohlenstoff,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seine Verwendung
US6762140B2 (en) 2001-08-20 2004-07-13 Saint-Gobain Ceramics & Plastics, Inc. Silicon carbide ceramic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DE10241265A1 (de) * 2002-09-06 2004-03-18 Ceram Tec Ag Innovative Ceramic Engineering Gesinterte Siliciumcarbidkörper mit optimierten tribologischen Eigenschaften ihrer Gleitbeziehungsweise Dichtfläche
JP2006046540A (ja) 2004-08-05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圧流体軸受装置
WO2007064454A2 (en) * 2005-11-30 2007-06-07 Corning Incorporated Controlled pore size distribution porous ceramic honeycomb filter, honeycomb green body, batch mix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8916488B2 (en) * 2006-10-30 2014-12-23 Kyocera Corporation Sliding memb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echanical seal ring using sliding member and mechanical seal using mechanical seal ring
US8298311B2 (en) * 2006-11-15 2012-10-30 Corning Incorporated Filters with controlled submicron porosity
US7981188B2 (en) * 2006-11-30 2011-07-19 Corning Incorporated Controlled pore size distribution porous ceramic honeycomb filter, honeycomb green body, batch mix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E102007025894B4 (de) * 2007-06-01 2009-08-20 Schott Ag Glaskeramik-Panzermaterial
EP2025658A1 (en) * 2007-08-08 2009-02-18 Imerys Ceramics France Porous ceramic bodi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PL2188228T3 (pl) * 2007-08-31 2019-05-31 Corning Inc Wyrób z kordierytu o strukturze plastra miodu i sposób wytwarzania
MX2012007608A (es) * 2009-12-31 2012-07-30 Oxane Materials Inc Particulas de ceramica con colocacion y/o tamaño de poro y/o microesfera controlados y metodo para hacerlas.
AU2011209837B2 (en) 2010-01-29 2014-11-2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Self-toughened high-strength proppant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102408237A (zh) * 2011-08-10 2012-04-11 哈尔滨新辉特种陶瓷有限公司 含石墨碳化硅陶瓷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540380A (zh) * 2017-09-28 2018-01-05 宁波欧翔精细陶瓷技术有限公司 具有三形态的孔组成的多孔SiC轴承材料及其制造方法
CN107477116B (zh) * 2017-09-29 2020-06-09 北京天宜上佳高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多孔结构的降噪摩擦体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7517A (ja) * 1985-08-12 1987-02-18 Ibiden Co Ltd 摺動部材
JP2665773B2 (ja) * 1988-07-29 1997-10-22 イビデン株式会社 摺動材料の製造方法
JPH0255273A (ja) * 1988-08-18 1990-02-23 Showa Denko Kk メカニカルシール用炭化珪素焼結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メカニカルシール
JPH02121759A (ja) * 1988-10-28 1990-05-09 Harima Ceramic Co Ltd ガス吹込み用ポーラス耐火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668145B1 (fr) 1990-10-17 1993-01-22 Ceramiques Composites Corps fritte en carbure de silicium notamment pour garniture mecanique et garniture comportant un tel corps fritte.
FR2684091B1 (fr) * 1991-11-21 1994-02-25 Pechiney Recherche Procede de fabrication de carbures metalliques a grande surface specifique sous balayage de gaz inerte a pression atmospherique.
WO1993025495A1 (en) 1992-06-12 1993-12-23 The Carborundum Company Porous silicon carbide
US5395807A (en) 1992-07-08 1995-03-07 The Carborundum Company Process for making silicon carbide with controlled poros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770A (ko) 1996-01-25
KR0159835B1 (ko) 1998-11-16
EP0685437B1 (de) 1996-11-06
CZ283013B6 (cs) 1997-12-17
KR960000826A (ko) 1996-01-25
CN1040341C (zh) 1998-10-21
EP0685437A1 (de) 1995-12-06
US5762895A (en) 1998-06-09
CA2146399A1 (en) 1995-12-02
CN1121961A (zh) 1996-05-08
JPH07332367A (ja) 1995-12-22
CZ29295A3 (en) 1995-12-13
DE59500042D1 (de) 1996-12-12
CA2146399C (en) 1999-08-03
JP2722182B2 (ja) 1998-03-04
DE4419243A1 (de) 199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490B1 (ko) 3개 모드의 세공조성을 가진 sic 다공성 베어링재
US5707567A (en) Process for producing a self-sintered silicon carbide/carbon graphite composite material having interconnected pores which maybe impregnated
EP0578408B1 (en) Silicon carbide with controlled porosity
US7166550B2 (en) Ceramic composite body of silicon carbide/boron nitride/carbon
KR20050003355A (ko) 탄화규소 및 무결합제성 탄소로 이루어진 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US20020160902A1 (en) Composite material based on silicon carbide and carbon,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JP3350394B2 (ja) 黒鉛複合炭化ケイ素焼結体、黒鉛複合炭化ケイ素焼結複合材及びメカニカルシール
US5939185A (en) Bearing material of silicon carbide
KR101060863B1 (ko) 세라믹 소결체 및 이것을 이용한 접동부품, 및, 세라믹소결체의 제조방법
JP5637513B2 (ja) 摺動材料およびメカニカルシール
EP0675091B1 (en) Composite material for sliding purposes,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use thereof
JP3517711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用密封環及びこれを使用したメカニカルシール
JP4865146B2 (ja) 炭化珪素焼結部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メカニカルシ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764089B2 (ja) 複合SiC摺動部材、メカニカルシール用密封環、メカニカルシール、及び複合SiC摺動部材の製造方法
CN107540380A (zh) 具有三形态的孔组成的多孔SiC轴承材料及其制造方法
Kern et al. Nanostructured Carbon and Graphite–Ultra Lightweight Engineering Materials
JP2002338358A (ja) 炭化珪素焼結部品並びにその炭化珪素焼結部品を用いたメカニカルシ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01648A (ja) 摺動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