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137B1 - 격납시스템 - Google Patents

격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137B1
KR0142137B1 KR1019940022158A KR19940022158A KR0142137B1 KR 0142137 B1 KR0142137 B1 KR 0142137B1 KR 1019940022158 A KR1019940022158 A KR 1019940022158A KR 19940022158 A KR19940022158 A KR 19940022158A KR 0142137 B1 KR0142137 B1 KR 0142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pace
transverse
lift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896A (ko
Inventor
마고또 난바
히로시 야마시따
꼬지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도도끼 히로노부
후지헨소꾸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도끼 히로노부, 후지헨소꾸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도끼 히로노부
Publication of KR950008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 E04H6/186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car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승강리프트의 종방향에도 격납물을 격납하는 일이 가능한 격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승강리프트(3)이 승강이동하는 승강공간(2)의 좌우에 횡측격납실(8A,8B)를 설치하고, 그 횡측격납실(8A,8B)에 동횡측격납실(8A),(8B)와 승강공간(2)와의 사이를 횡행 이동하는 횡행트레이(11)를 배치했다.
또한, 승강공간(2)의 전후에 종측격납실(15A,15B)를 설치하고, 그 종측격납실(8A,8B)에 동횡측격납실(8A,8B)와, 승강공간(2)와의 사이를 횡행 이동하는 종행트레이(18)를 배치했다.
이것에 의해, 승강공간(2)의 좌우 및 전후에 자동차를 격납할 수 있고, 스페이스의 유효활용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케된다.

Description

격납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입체주차장의 평단면도.
제2도는 입체주차장의 모식적인 정단면도.
제3도는 입체주차장의 모식적인 측단면도.
제4도는 승강리프트의 사시도.
제5도는 횡행(橫行)트레이의 사시도.
제6도는 종행(縱行)트레이의 사시도.
제7도는 횡행트레이가 승강공간에 이동한 상태를 표시하는 입체주차장의 평단면도.
제8도는 종행트레이가 승강공간으로 이동한 상태를 표시하는 입체주차장의 평단면도.
제9도는 별도예의 입체주차장의 평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와는 틀리는 형상의 입체주차장의 평단면도.
제11도는 틀리는 형상의 격납프레임을 짜맞추어서 형성한 입체주차장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격납물인 자동차 4 : 승강리프트의 포크
3 : 승강리프트 2 : 승강공간
8A,8B : 횡측격납실 13 : 횡행 트레이의 포크
11 : 횡행 트레이 15A,15B : 종측격납실
18 : 종행 트레이 19 : 종횡 트레이의 포크
본 발명은 예를들면, 자동차를 격납하는 포크식 입체주차장 등의 격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들면, 입체주차장으로서는, 복수의 차량적재대를 가지는 로터를 회전시켜, 순차차량을 적재해가는 곤도라 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곤도라식 것으로서는, 고속으로 로터를 회전시킬 수가 없는 동시에, 장치 전체가 대규모로 되기 때문에, 근년에서는 이 곤도라식의 것에서 포크식의 것으로 보급해 오고 있다.
상기 포크식의 입체주차장의 시스템으로서는, 입체격납탑에 대해서 승강하는 승강 리프트에 차량을 탑재한 후, 소정층까지 승강리프트를 승각시킨다.
그후, 승강리프트의 좌우양측에 배치된 횡행 트레이를 승강리프트측에 이동시켜, 승강리프트에 형성된 빗살모양의 포크에 횡행 트레이의 포크를 걸어맞춘다.
이 상태에서 승강트레이를 하강시키므로서, 차량은 승강트레이로부터 횡행 트레이 위로 옮겨탄다.
그후, 횡행 트레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므로서, 차량의 격납이 완료된다.
그런, 상포크식 입체주차장에서는, 승강리프트의 횡방향으로 밖에 차량을 격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승강리프트의 전후에 공지등 스페이스가 비여있는데도 불구하고, 그 스페이스가 쓸데 없게 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강리프트의 종방향에도 격납물을 격납하는 일이 가능한 격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서는, 격납물을 얹어놓는 포크가 있고, 격납 프레임에 대해서 승강이동하는 승강리프트와, 상기 승강리프트가 승강이동하는 승강공간의 횡방향에 설치된 횡측격납실과, 상기 승강공간과 횡측격납실과의 사이를 횡행 이동하고, 상기 승강리프트의 포크와 엇갈리게 형성된 포크를 가지는 횡행 트레이와, 상기 승강공간의 종횡에 설치된 종측격납실과 상기 승강공간과 종측격납실과의 사이를 종행이동하고, 상기 승강리프트의 포크와 엇갈리게 형성된 포크를 가지는 종행 트레이과를 구비한 것을 그의 요지로 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격납프레임은, 그 평면형상이 대략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상기 승강공간이, 동승강공간의 좌우방향에 상기 횡측격납실이, 승강공간의 전후방향에 종측격납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격납시스템이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횡측격납실은 상기 승강공간에 대해서 좌우 어느 한편에만 형성되어, 상기 종측격납실은 승강공간에 대해서 전후 어느 한편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격납물을 격납할때는, 우선, 승강리프트의 포크에 격납물을 얹어 놓는다.
이 상태로, 승강리프트를 승강공간내를 승강 이동시킨다.
그리고, 승강리프트가 소정의 높이에서 정지한 후, 그 정지한 승강공간과 대향하는 횡측격납실 또는 종측격납실에 배치되어 있는 횡행트레이 또는 종행트레이가 승강공간내에 이동한다.
이때, 승강공간내에 이동한 트레이는 승강리프트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횡행트레이 또는 종행트레이가 승강공간내에 이동한 후, 승강리프트는 하강한다.
그 결과, 승강리프트의 포크상에 얹어있던 격납물이 승강공간내에 이동한 트레이의 포크상을 갈아탄다.
격납물이 같이탄 트레이는 승강공간내의 이동하기 전에 배치되어있던 격납실로 돌아온다.
이것으로, 격납물은 소정의 격납실에 격납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포크식의 입체주차장에 구체화한 일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제1도~제3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입체격납프레임(1)은 평면 대략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입체격납프레임(1)의 상부에는 자동차(C)의 출입구가 되는 입출고실(1a)가 형성되어 있다.
입체격납프레임(1)의 중앙에는 승강공간(2)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공간(2)에는 승강리프트(3)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4도에 표시하는 거와 같이, 승강리프트(3)은, 빗살모양의 포크(4)가 각각 돌출형성된 한쌍의 리프트프레임(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프트프레임(5)의 각 단부는, 입체격납프레임(1)의 승강레일(6)에 따라서 승강 가능하게 걸어맞쳐져 있다.
각 리프트프레임(5)의 단부는 와이어(체인이라도 가)(7)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입출고실(2)내에 설치된 윈치(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따라 와이어(7)의 감기 또는 풀어내기가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윈치의 구동에 따라서 승강리프트(3)이 승강레일(6)에 따라서 승강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각 층에서의 상기 승강공간(2)의 좌우 양측에는, 자동차(C)가 격납되는 횡측격납실(8A,8B)가 형성되어 있다.
각 횡측격납실(8A,8B)에는 한쌍의 가이드레일(9)에는 롤라(10)(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음)이 지지되어 있다.
또 좌횡측격납실(8A)와 우횡측격납실(8B)와의 사이에서의 승강공간(2)내에도 롤라(10)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9)가 설치되어 있다.
각 롤라(10)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적극 회전한다.
제5도에 표시하는 것과같이, 상기 각 횡측격납실(8A,8B)의 롤라(10)상에는 횡행트레이(11)이 각각 얹어있다.
제5도에 표시하는 것과같이, 상기 횡행트레이(11)은 대략 H형상의 트레이프레임(12)와, 동프에이프레임(12)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빗살모양의 포크(13)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횡행트레이(11)의 포크(13)은, 상기 승강리프트(3)에 형성된 포크94)와 간섭하지 않도록, 승강리프트(3)의 포크(4)과는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각 횡트레이(11)은 상기 롤라(10)의 회전에 따라, 횡측격납실(8A,8B)와 승강공간(2)와의 사이를 횡행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층에 있어서의 승강공간(2)의 전후에도 종측격납실(15A,15B)가 형성되어 있다.
종측격납실(15A,15B)에는 승강공간(2)에 향해서 늘어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동가이드 레일(16)상에는, 종행 트레이(18)이 각각 얹어있다.
제6도에 표시하는것과 같이, 각 종행트레이(18)에는 구동륜(17)이 복수개 설치되어, 동구동륜(17)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적극 회전한다.
이 구동륜(17)의 회전에 의해, 종행트레이(18)이 가이드레일(16)에 따라서 종측격납실(15A,15B)와 승강공간(2)과의 사이를 종행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동종행트레이(18)에도, 상기 횡행트레이(11)과 같이 포크(19)가 설치되어 있다.
요컨대, 상기 횡행트레이(11)은 횡측격납실(8A,8B)와 승강공간(2)과의 횡행이동하고, 종행트레이(18)은 종측격납식(15A,15B)와 승강공간(2)와의 사이을 자주(自走)로 종행 이동한다.
또한, 각 종행트레이(18)의 전부(前部)(승강공간(2)와 대향하는 측)에는 횡행트레이 이동용롤라(20)이 설치되어 있다.
동횡행트레이 이동용롤라(20)은 종행트레이(18) 자신에 적재하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고동에 의해 정역방향에 적극 회전한다.
또한, 상기 각 모터 및 윈치는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라에 의해 자동 제어된다.
다음에, 자동차의 주차시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들면, 제1도에 있어서, 3층의 횡측격납실(8A)에 자동차(도시하지않음)을 격납할때는, 우선, 자동차를 승강리프트(3)의 포크(4)상에 얹어놓는다.
이어서, 3층의 전후 종측격납실(15A,15B)로부터 종행 트레이(18)을 각각 승강공간(2)측에 이동시킨다.
이때의 각 종행트레이(18)은, 횡행트레이 이동용롤라(20)이 횡측격납실(8A,8B)에 설치된 롤라(10)과 동일 직선상에 병행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각 종행트레이(18)의 횡행트레이 이동용롤라(20) 및 횡측격납실(8A)의 롤라(10)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횡측격납실(8A)의 횡행트레이(11)이 승강공간(2)측에 이동된다.
횡행트레이(11)이 승강공간92)에 도달한 후, 윈치를 구동하고, 승강리플(3)을 3층까지 하강시킨다.
이때, 승강리프트(3)의 포크(4)와 횡행트레이(11)과의 포크(13)과는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승강리프트(3)을 하강시켜도 승강리프트(3)과 횡행트레이(11)과는 간섭하지 않는다(제7도 참조).
횡행트레이(11)이 승강공간(2)에 이동한 상태로, 승강리프트(3)가 하강하므로서, 승강리프트(3)상의 자동차는 횡행트레이(11)상에 옮겨탄다.
이어서, 각 종행트레이(18)의 횡행트레이 이동용롤라(20) 및 횡측격납실(8A)의 롤라(10)을 앞의 트레이(11)은 본래의 횡측격납실(8A)로 복귀되어, 자동차의 입고가 완료한다.
또, 자동차를 출고시킬때의 동작은, 상기 입고시의 동작과 반대가 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다음에, 자동차를 3층의 종측격납실(15A)에 입고할때를 설명한다.
종측격납실(15A)에 배치되어 있는 종행트레이(18)를 승강공간(2)까지 이동시킨다.
이어서, 자동차(C)를 올려놓은 승강리프트(3)을 3층까지 이동시킨다.
이것으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종행트레이(18)위에 자동차가 옮겨진다.
이어서 그 종행트레이(18)를 본래의 종측격납실(15A)에 복귀시키므로서, 자동차의 입고가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리프트(3)이 승강이동하는 승강공간(2)의 좌우에 횡측격납실(8A,8B)를 설치하고, 그 횡측격납실(8A,8B)에 동횡측격납실(8A),(8B)와 승강공간(2)와의 사이를 횡행 이동하는 횡행트레이(11)를 배치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공간(2)의전후에 종측격납실(15A,15B)를 설치하고, 그 종측격납실(8A,8B)에 동횡측격납실(8A,8B)와 승강공간(2)와의 횡행 이동하는 종행트레이(18)를 배치했다.
이것으로 승강공간(2)의 좌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로 예를들면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승강리프트(3)의 설치수를 하나로하여 구체화했지만, 승강리프트(3)의 설치수를 2개 이상으로 구체화해도 좋다.
(2) 횡행트레이(11)의 횡행 이동을 액튜에이터 등의 직선 왕복 운전을 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것.
또, 횡행트레이(11)의 이동을 종행트레이(18)과 같이 자주식(自走式)으로 할 것.
반대로, 종행트레이(18)를 횡행트레이(11)과 같이 롤러(10)위에 이동하도록 구성할 것.
(3) 입체격납프레임(1)의 평면 형상을 제9도에 표시하고 L자형으로 하거나, 제10도에 표시하는 凸자형으로하여 구체화할 것.
또한 제11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그것들을 짜맞쳐서 입체주차장을 형성해도 좋다.
(4) 입체주차장의 층수를 4층미만으로하거나, 5층이상으로 구체화할 것.
(5) 상기 실시예에서는, 격납 시스템으로서 입체주차장으로 구체화했지만, 단볼상자 등의 화물의 격납을 하는 격납시스템 등으로 구체화해도 좋다.
(6)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측의 횡측격납실(8A,8B) 및 종측격납실(15A,15B)를 설치했지만, 예를들면 1층에는 횡측격납실(8A,8B)만을 형성하고, 또, 2층에는 종측격납실(15A,15B)만을 형성하고, 3층에는 양격납실(8A,8B,15A,15B)를 설치하는 등, 적의 그 짜맞추기를 변경해도 좋다.
이상 자세히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리프트가 승강이동하는 승강공간의 횡측 및 종측에 격납물을 격납할 수가 있어서, 보다 스페이스의 유효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

  1. 격납물(C)을 올려놓은 빗살모양의 포크(4)를 가지며, 격납프레임(1)에 대해서 승강 이동하는 승강리프트(3)과, 상기 승강리프트(3)이 승강 이동하는 승강공간(2)의 횡방향에 설치된 횡측격납실(8A,8B)와, 상기 승강공간(2)와 횡측격납실(8A,8B)와의 사이를 횡행 이동하고, 상기 승강리프트(3)의 포크(4)와 엇갈리게 형성된 빗살모양의 포크(13)의 가지는 횡행트레이(11)과, 상기 승강공간(2)의 종방향으로 설치된 종측격납실(15A,15B)와, 상기 승강공간(2)와 종측격납실(15A,15B)와의 사이를 종행 이동하고, 상기 승강리프트(3)의 포크(4)와 엇갈리게 형성된 포크(19)를 가지는 종행트레이(18)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프레임(1)은, 그 평면형상이 대략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상기 승강공간(2)가, 동승강공간(2)의 좌우방향에 상기 횡측격납실(8A,8B)가, 승강공간(2)의 전후방향에 종측격납실(15A,15B)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측격납실(8A,8B)는 상기 승강공간(2)에 대해서 좌우 어느 한편만 형성되고, 상기 종측격납실(15A,15B)는 승강공간(2)에 대해서 전후 어느 한편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시스템.
KR1019940022158A 1993-09-03 1994-09-03 격납시스템 KR0142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20111A JP2866787B2 (ja) 1993-09-03 1993-09-03 格納システム
JP93-220111 1993-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896A KR950008896A (ko) 1995-04-19
KR0142137B1 true KR0142137B1 (ko) 1999-02-18

Family

ID=1674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158A KR0142137B1 (ko) 1993-09-03 1994-09-03 격납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66787B2 (ko)
KR (1) KR01421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4654B (zh) * 2019-12-05 2021-11-23 深圳精智机器有限公司 一种机械车库车辆交接系统及其车辆搬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896A (ko) 1995-04-19
JPH0771132A (ja) 1995-03-14
JP2866787B2 (ja) 199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271B1 (ko) 격납 시스템
KR20040024178A (ko)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한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
JPH10299280A (ja) 自動車・荷物等の立体格納装置
JPH07113284B2 (ja) 多層複列型収納設備
KR0142137B1 (ko) 격납시스템
JP2863705B2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CN112627608A (zh) 车库及车辆入库方法、车辆出库方法
JP2568412B2 (ja) 地下駐車場用のスタッカクレーン
CN212054004U (zh) 侧向多层链条式升降横移停车设备
JP2651757B2 (ja) 棚積リフトにおける荷物積み降ろし装置
JP2963852B2 (ja) 格納システム
JP3181186B2 (ja) 格納システム
KR0113685Y1 (ko) 입체주차장치
JP2633172B2 (ja) トレー型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3014747U (ja) 格納システム
JP2587217Y2 (ja) 立体駐車装置
JPH04203176A (ja) 駐車装置
JP2882978B2 (ja) 格納システム
JP2909369B2 (ja) 格納システム
JP3295066B2 (ja) 多段式立体駐車装置
JPH08158688A (ja) 格納システム
JP2899531B2 (ja) 格納システム
JPH04353173A (ja) 立体駐車装置
JPH0565773A (ja) 駐車装置
JPH11190142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