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451Y1 - 휴대용 전자식 주역 점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식 주역 점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451Y1
KR0140451Y1 KR2019960004582U KR19960004582U KR0140451Y1 KR 0140451 Y1 KR0140451 Y1 KR 0140451Y1 KR 2019960004582 U KR2019960004582 U KR 2019960004582U KR 19960004582 U KR19960004582 U KR 19960004582U KR 0140451 Y1 KR0140451 Y1 KR 0140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le
present
point
un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808U (ko
Inventor
김원환
Original Assignee
김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환 filed Critical 김원환
Priority to KR2019960004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451Y1/ko
Publication of KR9700558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8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4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괘(占卦)를 통하여 점을 알아보는 휴대용 전자식 주역 점괘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자계산기, 전자수첩, 삐삐, 휴대폰(이하 전자장치라 한다)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용이하게 점괘를 알아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전자식 주역점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일반인의 관심도에 비하여 그 내용해법이 난해하고 자료가 방대하여 대중화되기 어려운 점을 전자장치에 입력하여 두고 점괘 표시장치를 휴대하면 간편하게 자신의 의도 하에 이루어진 괘에 따라 점괘를 출력 표시되게 함으로써 주역점술을 대중화 할 수 있으며, 소형경량으로 휴대가 가능한 등의 효과를 갖으며, 또한 시각적으로 노출된 점괘표시장치의 경우 부가적 기능이 주기능 제품의 품위관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식 주역 점괘 표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괘를 조합하기 위한 반복횟수 실행스텝의 흐름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외형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액정 디스플레이
3,4,5,6,7 : 스위치 8a,8b,8c : 격실
9 : 액정에 나타낸 볼(이하 볼이라고 함)
100 : 점괘표시장치
본 고안은 점괘(占卦)를 통하여 점을 알아보는 휴대용 전자식 주역 점괘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자계산기, 전자수첩, 삐삐, 휴대폰(이하 전자장치라 한다)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용이하게 점괘를 알아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전자식 주역 점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점술은 다양한 형태로 전해지고 있으며 이중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점성술(별점), 토정비결 또는 관상을 폐쇄회로 카메라로 촬영하여 컴퓨터로 분석하는 관상을 통한 점술 등이 수년 전부터 알러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점술에 사용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휴대가 불가능한 컴퓨터와 다양한 부속 기기로 구성되는 관계로 사용장소가 제한되며, 단순히 흥미위주로 점을 보는 경우에는 즉흥적인 요구에 응할 수 없어 사용이 곤란한 것이며, 또한 선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95-9409호에 안출한 바 있는 전자계산기를 이용한 휴대용 점괘 표시장치는 수동식으로 표시장치를 흔듦으로써 표시장치에 대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구슬을 별도로 준비해야하는 문제점과 상기 구슬을 장착하기 위해서 일정한 공간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점술을 간편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자장치에 점괘 및 괘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표시된 액정 표시수판을 입력시켜 두고 필요시마다 해당 점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되 소형 경량으로 제조하여 휴대가 가능하도록 된 전자장치를 이용한 전자식 주역 점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적용된 점술은 고전 우경 중의 하나인 주역(周易)에 의한다.
주역에 있어 고대 중국인들이 사용하던 여덟 가지의 괘(八卦)는 자연계 및 인사계의 모든 현상을 음양에 겹치어서 여덟 가지의 상으로 나타낸 것으로써 사람의 운명을 판단하는 기본 원리를 점쳐보는데 사용하여 근세에 이르렀다.
상기 팔괘는 건(乾:), 태(兌:), 이(離:), 진(震:), 손(巽:), 감(坎:), 간(艮:), 곤(坤:)으로 이루어져 두 괘의 조합인 64괘로써 점괘가 나오게 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상기 64점괘를 전자장치에 입력하여 필요한 괘를 형성하여 해당 괘의 점괘를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여 주역점을 치려할 때 주역운세, 산통, 산가지(제비)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점괘를 디스플레이(2) 상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제1도는 본 고안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써, 전원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전원부(10)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공급하는 입력부(20)와 공급받은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부(30)와, 상기 연산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0)와, 상기 메모리부(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80)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64괘를 나타내는 해당 괘 스위치부(50)와, 상기 64괘를 나타내는 해당 괘 스위치부(50)와, 상기 64괘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지정부(60)와,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해당 괘를 지정하여지는 64괘 저장부(70)와, 지정된 해당 괘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80)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외형사시도로써, 본 고안은 통상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연산, 제어 그리고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전자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주역의 점괘를 기억시켜두고 각 점괘에 해당하는 출력데이터를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2)를 케이스(1)의 전면중앙에 형성하고,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2) 우측 하부에 일측으로 전원 온/오프스위치(3,4)와 타측으로 괘를 입력하는 --/―스위치(5, 6)를 형성하고, 전면하부로 점괘에 따른 운세를 표시하게 하는 다수의 스위치(7)를 형성하여 점괘표시장치(1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7)는 점괘에 해당하는 총론을 액정 디스플레이(2)에 표시되게 하는 스위치와, 세부적인 각론을 표시되게 하는 스위치로 할당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로써 200은 본 고안을 휴대용으로 실시한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보호지갑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이하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점괘표시장치(100)는 점술에 사용되는 주역의 팔괘에 의한 점괘를 총론 및 각각 세부적인 각론으로 풀이하여 전자장치에 기억시켜두고, 해당 점괘를 형성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입력시킴으로써 해당점괘의 내용을 액정 디스플레이(2) 통하여 문자 또는 적당한 기호로써 출력되게 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제2도와 제3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전원을 켜면 초기화 단계(S10)에서 스텝20으로 이동하여 점괘표시장치인가를 판별하여 No인 경우에는 상기 초기화단계로 이동하고 Yes인 경우에는 스텝30으로 출력한다.
상기 스텝30은 작동횟수 1이 자동 입력되어(X←1) 격실에 볼(9)이 있는가를 판별하는 스텝40으로 출력하며, 상기 스텝40에서 No인 경우에는 상기 스텝30 출력으로 이동하고 Yes일 경우에는 격실에 볼의 수가 짝수인가를 판별하는 스텝50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볼(9)은 상기 메모리부(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80)에 나타내어지는 표시기호의 수단을 의미하며, 이러한 볼은 본 고안장치의 제작 시에 작성되었던 메모리부(40)의 지시에 의해서 임의의 수로 결정되어 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임의로 결정되어진 볼(9)의 수를 통하여 사용자의 점괘가 결정되어 지고, 이러한 괘는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2)에 나타내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볼(9)로 예시하였지만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괘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수단으로 쌀알 모양이나 별, 동물 그 밖의 다른 여러 가지의 모양으로 구사할 수 있다.
상기 스텝50에서 볼(9)의 수가 홀수인 경우 즉, No인 경우에는 스텝70으로 출력하며 제3도에서 도시한 스위치(6)를 선택하여 ―괘를 스텝100으로 디스플레이하고 Yes일 경우에는 스텝60으로 출력하며 스위치(5)는 선택하여 --괘를 스텝100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작동이 끝나면 스텝80인 반복횟수(X+16)의 범위에서 X+1이 6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90으로 출력하여 리셋(Reset)이 되고 작은 경우에는 스텝30단계의 출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바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1회나 2회로서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같은 동작을 여섯 번 반복하여 6개의 괘를 만들 수 있지만, 제비뽑기나 사다리 타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단 한번의 조작으로 64개의 괘 중 하나의 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비뽑기나 사다리 타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한번은 상괘(上卦), 또 한번은 하괘(下卦)를 나타내게 하여 2번으로 6개의 괘를 생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마음속으로 선택한 특정 격실(8a) 내에는 일정수의 볼(9)이 담기게 되고 이때 담긴 볼(9)의 수효를 세어 짝수로 담기게 되면 스텝60인 --스위치(5)를 홀수로 담기게 되면 스텝70인 ―스위치(7)를 각각 선택하여 누르고 이를 6회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특정 격실은 각 격실 중의 어느 하나를 칭하며,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정된 격실을 의미한다.
이때 매회 -- 또는 ―스위치(5,6)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 또는 ―와 같은 괘가 액정 디스플레이(2)에 표시되게 됨으로써 6회 반복실시에 따라서 두 개의 괘가 형성되며 이 괘는 82개로 조합이 됨으로써 총 64가지의 점괘가 형성된다.
여기서 두 개의 괘는 상기한 액정 디스플레이(2) 상에서 나타나는 상괘(上卦)와 하괘(下卦)를 의미한다. 즉, 액정 디스플레이(2) 상에 윗부분에 3개의 괘가 형성되며, 아랫부분에 3개의 괘가 생성됨으로 6개의 괘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괘들은 각 상기의 -- 또는 ―스위치(5,6)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하나씩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형성된 두 개의 괘에 대한 점괘를 알아보려 하면 하부에 형성된 스위치(7) 중에 원하는 항목 즉 총론을 알고자 하면 해당 스위치를 운세, 일진 등의 세부항목을 알고자 하면 각론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저장장치에 저장된 해당 점괘가 문자로써 액정 디스플레이(2) 상에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일반인의 관심도에 비하여 그 내용해법이 난해하고 자료가 방대하여 대중화되기 어려운 점을 전자장치에 입력하여 두고 점괘표시장치를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자신의 의도 하에 이루어진 괘에 따라 점괘를 출력 표시하게 함으로써 주역점술을 대중화 할 수 있으며 소형경량으로 휴대가 가능한 등의 효과를 갖으며, 또한 시각적으로 노출된 점괘 표시장치의 경우 부가적 기능이 주기능 제품의 품위관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내장형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기존의 전자장치에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라이터, 열쇠고리, 필기구 등으로도 겸용이 가능하며 이때는 부가되는 입력스위치를 하부에 추가 구성하면 그 실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주역 점괘표시장치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 호출기와 같은 어떠한 전자장치에도 접목시킬 수 있게 됨을 밝혀둔다.

Claims (2)

  1. 전원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전원부(10)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공급하는 입력부(20)와, 공급받은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부(30)와, 상기 연산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0)와, 상기 메모리부(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80)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64괘의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어드레스지정부(60)와,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해당 괘를 지정하여지는 64괘 지정부(70)와, 지정된 해당 괘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80)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휴대용 전자식 주역점괘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자장치에 주역의 점괘를 기억시켜두고 각 점괘에 해당하는 출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2) 우측 하부에 일측으로 전원 온/오프스위치(3,4)와 타측으로 괘를 입력하는 --/―스위치(5,6)를 형성하고, 전면하부로 점괘에 따른 운세를 표시하게 하는 타수의 스위치(7)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주역점괘 표시장치.
KR2019960004582U 1996-03-12 1996-03-12 휴대용 전자식 주역 점괘 표시장치 KR0140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582U KR0140451Y1 (ko) 1996-03-12 1996-03-12 휴대용 전자식 주역 점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582U KR0140451Y1 (ko) 1996-03-12 1996-03-12 휴대용 전자식 주역 점괘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808U KR970055808U (ko) 1997-10-13
KR0140451Y1 true KR0140451Y1 (ko) 1999-04-15

Family

ID=1945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582U KR0140451Y1 (ko) 1996-03-12 1996-03-12 휴대용 전자식 주역 점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4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606A (ko) * 2001-03-15 2002-09-28 이정래 휴대용 점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606A (ko) * 2001-03-15 2002-09-28 이정래 휴대용 점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808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4690A (en) Electronic montage creation device
JP5166472B2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装置
JP2005526321A5 (ko)
KR940006043A (ko) 정보 관리 장치
EP1134554A3 (en) Map display device and navigation device
CN102207924B (zh) 信息显示装置
KR0140451Y1 (ko) 휴대용 전자식 주역 점괘 표시장치
JPH02144681A (ja) 携帯型データ入力装置
US5659338A (en) Electronic apparatuses which displays various graphic data at the time of power-on
JP2011130973A (ja) 電子化ボードゲームシステム
KR100521808B1 (ko) 별자리 검색 장치와 방법 및 별자리 검색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930004896B1 (ko) 품명표시기 부착저울의 표시방법
JP2011206446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US20120120094A1 (e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reception status display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reception status display method
FR2837941A1 (fr) Clavier et methode de saisie
KR950009409Y1 (ko) 전자계산기를 이용한 휴대용 점괘 표시장치
JP5287588B2 (ja) 図形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086723A5 (ko)
JP3044484U (ja) 携帯用電子周易占卦表示装置
JPH0373052A (ja) 入力・表示装置
JP2003091228A5 (ko)
JP3000623B2 (ja) 手書き文字認識装置及び手書き文字認識方法
JP3022220U (ja) 電子式ビンゴゲーム機
JPS63103364A (ja) 電子機器
JPH0895925A (ja)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205

Effective date: 200110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116

Effective date: 2001103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