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715Y1 -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715Y1
KR0138715Y1 KR2019960037061U KR19960037061U KR0138715Y1 KR 0138715 Y1 KR0138715 Y1 KR 0138715Y1 KR 2019960037061 U KR2019960037061 U KR 2019960037061U KR 19960037061 U KR19960037061 U KR 19960037061U KR 0138715 Y1 KR0138715 Y1 KR 0138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pet
fastener
protective cover
hole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673U (ko
Inventor
이기현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7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715Y1/ko
Publication of KR19980023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들의 접촉에 의해 카페트의 사방 끝단이 접히거나 말리게 되어 외관이 불량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사방 둘레에 단턱부(134)가 이면으로 형성된 사각공(132)을 다수개 관통하여 된 카페트(130)와; 상기 단턱부(134)에 부착 고정되도록 삽지공(143)를 갖는 결합부(141)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돌기(147)가 절곡 형성되면서 내측면에는 걸림돌부(149)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탄지편(145)을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체결구(140)와; 그 체결구(140)의 삽지공(143)으로 끼워져 탄지편(145)의 걸림돌부(149)에 걸리도록 양측에는 걸림홈(152)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플렌지부(154)를 형성하여 된 고정구(150)와; 상기 체결구(140)의 탄지편(145)에 형성된 돌기(147)가 고정되게 제1 구멍(112)이 형성된 록커패널(110)과, 제 2구멍(122)이 형성된 보호용 커버(120)로 구성된 것으로, 카페트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가장자리 부분의 접힘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외관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뿐더러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용 커버와 록커패널에는 제1,2 구멍을 형성하면서 별도로 고정구와 체결구를 구비하므로써, 록커패널에 보호용 커버를 설치할 때 카페트도 함께 고정할 수 있게 되어 그 카페트의 가장 자리가 들떠 접히는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생산 공장에서는 각 부위별로 단품을 제작한 다음,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자동차 생산이 이루어지는 데, 각 단품은 패널(Panel)부품, 서브 유닛(Sub unit)부품, 커버(Cover)부품, 바디 프레밍(Body framing), 바디 인 화이트(Body in white), 의장(Trim) 부품 등으로 각각 나누어지는 것으로, 이들 단품을 제작한 후 그 상태를 측정토록 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태에서 패널부품, 서브유닛부품, 커버부품, 바디 프레밍, 바디 인 화이트 등을 조립 라인에서 조립 완료하고 난 다음 의장 부품을 생산하게 되는 데, 그 의장 부품들 중 특히 록커패널에 보호용 커버와 카페트를 설치함에 있어,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2(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바닥패널의 양측에는 체결공(12)이 요소 요소에 설치된 록커패널(10)을 용접 결합하고, 그 록커패널(10)의 상부에는 보호용 커버(20)를 볼트(40)로써 체결하고, 상기 보호용 커버(20)에는 볼트(40)의 구멍(24)이 형성된 요입부(22)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보호용 커버(20) 일측에는 볼트(40)의 체결 작업시 간섭되지 않도록 요홈(32)이 다수개 형성된 카페트(30)를 상치하고 있었다. 이때 그 카페트(30)에 요홈(32)이 형성된 것은 보호용 커버(20)의 볼팅 작업시 간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된 종래의 기술 구성에서, 록커패널(10)의 상부로는 별도로 구비된 보호용 커버(20)가 설치되는 데, 그 보호용 커버(20)에 형성된 수개의 구멍(24)이 상기 록커패널(10)에 형성된 체결공(12)으로 위치되게 한 다음, 볼트(40)로써 각각의 구멍(24)으로 끼워 체결공(12)에 체결하게 되어 있었다. 하지만, 상기 보호용 커버(20)는 록커패널(1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반면, 카페트(30)는 차량의 바닥패널에 고정 수단이 없이 단지 안착되어 있으므로, 운전자 및 탑승자들의 승하차시 접촉에 의해 카페트(30)의 사방 끝단이 접히거나 말리게 되어 외관이 불량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별도로 구비된 체결구와 고정구로 카페트와 보호용 커버를 록커패널에 동시에 고정하므로써, 카페트의 가장 자리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방 둘레에 단턱부가 이면으로 형성된 사각공을 다수개 관통하여 된 카페트와; 상기 단턱부에 부착 고정되도록 삽지공를 갖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돌기가 절곡 형성되면서 내측면에는 걸림돌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탄지편을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체결구와; 그 체결구의 삽지공으로 끼워져 탄지편의 걸림돌부에 걸리도록 양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플렌지부를 형성하여 된 고정구와; 상기 체결구의 체결편에 형성된 돌기가 고정되게 제1 구멍이 형성된 록커패널와, 제 2구멍이 형성된 보호용 커버로 구성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카페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요부 측단면도이고, (b)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요부 측단면도이고, (b)는 요부평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10 : 록커패널112,122 : 제1,2 구멍
120 : 보호용 커버130 : 카페트
132 : 사각공134 : 단턱부
140 : 체결구141 : 결합부
143 : 삽지공145 : 탄지편
147 : 돌기149 : 걸림돌부
150 : 고정구152 : 걸림홈
154 : 플렌지부
첨부된 도 3 내지 도 4(a)(b)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카페트(130)를 록커패널(110)에 마운팅시 체결구(140)와 고정구(150)를 이용하게 된 것이다.
상기 카페트(130)에는 사방 둘레로 단턱부(134)가 이면으로 형성된 사각공(132)을 다수개 관통한다.
상기 체결구(140)에는 상기 단턱부(134)에 부착 고정되도록 삽지공(143)를 갖는 결합부(141)가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돌기(147)가 절곡 형성되면서 내측면에는 걸림돌부(149)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탄지편(145)을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한다.
상기 고정구(150)는 체결구(140)의 삽지공(143)으로 끼워져 탄지편(145)의 걸림돌부(149)에 걸리도록 양측에는 걸림홈(152)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플렌지부(154)를 형성한다.
상기 록커패널(110)과 보호용 커버(120)에는 체결구(140)의 탄지편(145)에 형성된 돌기(147)가 고정되게 제1,2 구멍(112)(122)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카페트(130)와 보호용 커버(120)의 설치 작업시 차량에 장착된 도어 하단이 반복 접촉되게 한 록커패널(110)의 상부에는 보호용 커버(120)를 설치하되, 그 보호용 커버(120)를 록커패널(110)에 고정함에 있어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사용하는 대신에 체결구(140)와 고정구(150)를 사용하므로써, 보호용 커버(120)와 카페트(130)를 함께 고정시켜 줄 수 있게 하여 그 카페트(130)의 가장자리가 외부의 접촉에 의해 접히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뿐더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그 카페트(130)의 마운팅 작업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카페트(130)의 사각공(132) 이면으로 형성된 단턱부(134)에는 체결구(140)에 형성된 결합부(141)를 접착제로 부착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페트(130)에는 사각공(13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체결구(140)를 여러개 구비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된 상태에서 상기 록커패널(110)에 보호용 커버(120)를 올려 놓게 되는 데, 이에 형성된 제1,2 구멍(112)(122)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게 해야 한다.
이후, 상기 체결구(140)의 각 탄지편(145)은 록커패널(110)과 보호용 커버(120)의 제1,2 구멍(112)(122)으로 끼우게 된다. 즉 그 제1,2 구멍(112)(12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각 탄지편(145)이 안쪽으로 좁아지게 되고, 완전히 통과했을 때는 그 자체의 탄지력에 의해 원래대로 복원된다. 이 상태가 되면, 탄지편(145)의 돌기(147)는 록커패널(110)의 이면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구(140)에 형성된 삽지공(143)으로는 별도로 구비된 고정구(150)를 끼워 고정한다. 이때 그 고정구(150)에 형성된 걸림홈(152)에는 상기 탄지편(145)의 걸림돌기(147)가 끼워지게 되어 보다 견고한 결합이 되게 한다. 다시말해, 고정구(150)가 각 탄지편(145)을 바깥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기 때문에 탄지편(145)의 돌기(147)는 록커패널(110)의 이면을 강하게 밀어 주어 보다 견고한 결합이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는 보호용 커버(120)를 록커패널(110)에 고정함은 물론 카페트(130)의 가장자리 부분도 함께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에 따르면, 카페트의 사각공 이면으로 형성된 단턱부에는 체결구를 부착 고정하는 한편, 록커패널과 보호용 커버에는 제1,2 구멍을 형성하므로써, 카페트를 록커패널에 설치할 때 보호용 커버도 함께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카페트가 록커패널에 고정되어 가장자리 부분의 접힘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외관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뿐더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사방 둘레에 단턱부(134)가 이면으로 형성된 사각공(132)을 다수개 관통하여 된 카페트(130)와; 상기 단턱부(134)에 부착 고정되도록 삽지공(143)를 갖는 결합부(141)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돌기(147)가 절곡 형성되면서 내측면에는 걸림돌부(149)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탄지편(145)을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체결구(140)와; 그 체결구(140)의 삽지공(143)으로 끼워져 탄지편(145)의 걸림돌부(149)에 걸리도록 양측에는 걸림홈(152)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플렌지부(154)를 형성하여 된 고정구(150)와; 상기 체결구(140)의 탄지편(145)에 형성된 돌기(147)가 고정되게 제1 구멍(112)이 형성된 록커패널(110)과, 제 2구멍(122)이 형성된 보호용 커버(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
KR2019960037061U 1996-10-31 1996-10-31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 KR0138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061U KR0138715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061U KR0138715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673U KR19980023673U (ko) 1998-07-25
KR0138715Y1 true KR0138715Y1 (ko) 1999-04-01

Family

ID=1947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061U KR0138715Y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7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94B1 (ko) * 2007-12-12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660B1 (ko) * 2002-11-20 2005-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러기지 커버링 매트의 장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94B1 (ko) * 2007-12-12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673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8855B2 (en) Integral doghouse fastener with retaining feature
EP0728951B1 (en) Support and releasable fastener assembly
US5788268A (en) Spring retainer air bag mounting device
US5538277A (en) Passenger air bag module fastenerless cover attachment
KR0138715Y1 (ko) 자동차용 카페트의 마운팅 구조
US7255365B2 (en) Air bag module with adjustable cover
JPH0318732Y2 (ko)
JP2001277986A (ja) エアバッグ用のクリップ装置
KR20050112273A (ko) 자동차용 도어 스커프 트림의 체결구조
KR100376551B1 (ko) 자동차의 웨이스트 몰딩 취부구조
JP3260272B2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スカッフプレートの取り付け構造
JP2002096692A (ja) 装飾部品の取付構造
JP2594376Y2 (ja) ガーニッシュ端部の接続構造
KR100204512B1 (ko) 자동차용 도어내부에 취부되는 패드구조
JPH05338509A (ja) グリル取付け構造
JPH0885398A (ja) キッキングプレートの取付構造
JPH09132099A (ja) モジュールカバー取付構造
KR0122040Y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80059688A (ko) 범퍼 측부판 고정용 파스너
KR100204511B1 (ko) 자동차용 도어내부에 취부되는 패드구조
KR0133422Y1 (ko)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 도어 장착구조
KR200191957Y1 (ko) 사이드 언더 미러 취부 구조
KR0139954B1 (ko) 차량용 헤드램프와 스페이서 결합구조
KR0120274Y1 (ko) 클립
JPH08132986A (ja) 固定式ウィンドウガラスと内装トリムとの合わせ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