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256B1 - 석모로 광물면 플리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석모로 광물면 플리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256B1
KR0138256B1 KR1019900009762A KR900009762A KR0138256B1 KR 0138256 B1 KR0138256 B1 KR 0138256B1 KR 1019900009762 A KR1019900009762 A KR 1019900009762A KR 900009762 A KR900009762 A KR 900009762A KR 0138256 B1 KR0138256 B1 KR 013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ece
fiber
suction
conveyor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134A (ko
Inventor
요아침 멜렘
클레멘스 히르쉬만
하인즈-유우르겐 운거레르
한스 프르타크
Original Assignee
로타르 비히, 프랑크 뤼첼
그륀츠바이크+하트만 에이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타르 비히, 프랑크 뤼첼, 그륀츠바이크+하트만 에이쥐 filed Critical 로타르 비히, 프랑크 뤼첼
Publication of KR91000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18Glass fibres
    • D04H1/4226Glass fibres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glass fleec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3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for arranging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석모로 광물면 플리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2개의 섬유가닥푸는 장치와 섬유저장부 영역내에 구부러지게 뻗어있는 흡인면이 제공된 기체투과성 수집컨베이어가 달린 본 발명에 의한 광물면 플리스의 제조장치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 2 도는 4개의 섬유가닥푸는 장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 모양으로된 2개의 수집컨베이어 및 그 다음에 접속되고, 조정가능한 패킹 롤러가 달린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와 같은 도면으로서, 드럼 다음에 접속되고, 조정가능한 2개의 패킹 롤러가 달려있는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 4 도는 전·후연속하여 배치된 2개의 제 3 도에 도시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여기에서는 롤러에 갈음하여 서로 변경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컨베이어 벨트가 있는, 단일플리스들이 회전하는 생산밴드에 실려서 함께 복합펠트 트랙쪽으로 빠져나가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 5 도는 제 4 도에 제조라인의 일분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도로서, 여기에서는 단일플리스가 그 안내컨베이어 벨트의 진자운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생산밴드에서 복합 펠트트랙으로 벗어져 나가는 것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상세한 부호설명 *
1, 2 --- 섬유가닥푸는 장치13 --- 안내요소
3 --- 자유분사속19 --- 드럼
5 --- 낙하샤프트27 --- 고정자
6 --- 수집컨베이어34 --- 광물면 플리스
7 --- 털 플리스35, 36 --- 쌍롤러
8 --- 컨베이어 벨트45 --- 생산밴드
11 --- 흡인실51 --- 플리스층
12 --- 운반용 슬릿52 --- 펠트밴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 및 제 2 항의 개념에 의하여 특히 석모(Stone wool)로 부터 광물면 플리스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와 특허청구범위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의하여 다수의 광물면 플리스로 합성펠트밴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석모 또는 유리솜 등으로 광물면 플리스를 제조하는 때에는 섬유를 푸는 것 이외에, 플리스(Fleece)를 형성하는 것이 주요 방법이 된다. 섬유가닥푸는 장치에 의하여 발생되는 섬유/가스/공기 혼합물에서 섬유를 분리하기 위하여, 대부분 일종의 필터 밴드로서 작용하고, 대개는 가스가 투과하는 평평한 회전식 컨베이어의 형태로 형성된 수집컨베이어의 몸체에 제공되어 있는 상자형 낙하샤프트속으로 이러한 혼합물을 유입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컨베이어 아래에 일정한 저압을 발생시키는 흡인장치가 있다.
섬유·가스·공기혼합물(여기에는 결합제도 포함될 수 있음)이 수집 컨베이어상에 놓이면, 가스·공기혼합물은 필터로서 작용하는 수집컨베이어 아래에서 흡인되고, 섬유는 플리스로서 이 컨베이어상에 분리된다. 이에 반하여, 전후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고, 전술한 장치에 비하여 더 큰 지지력, 즉 더 무거운 표면중량을 가진 다수의 섬유가닥푸는 장치가 달린 낙하샤프트를 광물면 플리스를 얻기 위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선행 섬유가닥푸는 장치의 이미 형성된 부분플리스는 가스·공기혼합물의 흡인을 위하여 후속되는 부분플리스와 결합하여 추가유동저항을 만들어 낸다. 이것은 낙하샤프트내에서 다수의 섬유가닥푸는 장치들이 협동하게 되면 그만큼 전체플리스의 이송방향으로의 유동저항이 더 커지고, 이로 인하여 그 흡인압력으로 이러한 유동저항을 극복하여야 하는 흡인 장치의 에너지 소비가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원리에 관하여는 US-PS 3220812에 그 도해가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체플리스형성은 에너지소비의 증대 이외에도 이로 인하여 흡인장치와 플리스표면 사이에서 생기는 차동압력때문에, 형성되는 광물면 플리스가 너무 과도하게 압착됨으로써 낙하샤프트가 과급된다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 그 결과 전체 광물면플리스의 주어진 최소용적중량을 낮출 수 없게 된다. 즉, 예를 들면, 석모로 구성된 털플리스에 있어서도 이러한 장치로 25kg/m3이하의 용적중량을 만들어낼 수 없다.
이외에도, 플리스형성이 균질적으로 진행되지 아니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플리스의 전체표면에 걸쳐서 서로 다른 표면중량이 생길 수 있다. 더구나, 다수의 섬유가닥 풀기장치가 달려있는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비교적 무거운 표면중량을 가진 광물면 플리스를 제조할 필요가 있을 때, 경우에 따라서는 흡인장치의 용량, 즉 그 송풍기 출력이 초과되면 즉시 낙하샤프트의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몇개의 섬유가닥푸는 장치를 차단시켜야 하는 단점도 있다.
종래의 낙하샤프트에 있어서는 플리스의 두께가 낙하샤프트의 유출구 쪽으로 점점 증대되고, 흡인압력이 일정한 때 관류속도가 낙하샤프트의 유출구 쪽으로 점점 감소되는 상태에 의하여 컨베이어 아래에 있는 흡인 영역이 다수의 구역으로 세분되고, 이송방향으로 흡인압력이 증대된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서는 높은 차동압력의 문제 및 이로인하여 야기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전체플리스의 과급문제는 해결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석모로 구성되고, 25kg/m3이하의 총밀도를 가진 양질의 광물면 플리스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흡인을 위한 에너지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와 이와 같이 형성되고, 총밀도가 낮은 광물면 플리스로 다층펠트밴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중 첫번째 과제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및 제 2 항의 특징에 의하여 해결한다.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플리스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흡인면적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곡면에 있어서는 풀리는 길이가 수평면에 대한 그 수직투영보다 더 크기 때문에, 이것은 곡면에 있어서도 또한 같다. 후자의 경우는 다수의 섬유가닥푸는 장치를 사용하는 때에는 이러한 장치들을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공간을 절약하여 배치할 수 있고, 그러면서도 장치당 이용할 수 있는 흡인면적을 이송방향으로 증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에서는 일반적으로 함수, 즉 흡인면적 A=f( )이 적용된다.
이 식에서 는 광물면 플리스의 저항 계수를 나타내며, 주로 그 표면중량과 섬유세밀도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에서 유동시 압력손실에 대한 기본조건은 다음과 같다.
상기식에서 =가스·공기혼합물의 밀도(kg/m3)를 나타내고,
W=유동속도(m/s)를 나타낸다.
각 섬유가닥푸는 장치의 용량흐름 뿐아니라, 흡인장치의 △P도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다음의 관계를 얻는다.
W1×A1=W2×A2
W2=W1
이로부터 다시 흐름속도는 이송방향으로 저항계수 비의 근(Root)에 비례하여 감소되고, 용량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다음 식이 적용된다.
그 외에도, 이에 의하여 이용할 수 있는 흡인면을 평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는 흡인압력이 일정한 때에는 섬유가닥푸는 장치의 간격들이 이송방향으로 커져가고, 이에 따라 공간수요가 점점 커져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지된 관계도-신규성을 전체로- 그 자체가 하나의 발명이 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사용되는 정의 의제 흡입면이라 함은 몇개의 흡인 구역들이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구성상 가로벽에 의하여 세분되어 있지 아니한 것을 말한다. 오히려 이러한 흡인구역들은 노즐 블로윙법에 있어서 섬유가닥푸는 장치마다 원추형 체적의 수직투영에 의하여 조정되며, 각 흡인구역의 경계는 낙하샤프트내의 와류로 인하여 서로 교차될 수 있다. 그러나, 각 자유분사투영면 별로 이송방향으로 확장된 흡인면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의하여 한편으로는 수집컨베이어 장치내의 흡인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전체적으로 적은 흡인출력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 더구나, 후자에 의하면 면적단위당 털지지력을 적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비교적 적은 총밀도를 가진 광물면 플리스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DE-OS 21 22 039로 부터 양모플리스를 제조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에서는 섬유가닥푸는 장치에서 나오는 섬유들이 구부러지게 뻗어있고, 고속(45m/sec.)으로 회전하는 흡인용 드럼의 형태로된 흡인면도 거치게 되어 있으나, 고유한 플리스형성은 이러한 흡인드럼의 주변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이 흡인드럼상에서 실시되지 아니하고, 깔때기모양으로 형성되고, 흡인드럼과 동일한 폭을 가진 후속 분배기내에서 실시된다. 노즐 블로윙법 분야에서도 사용되는 이러한 공지된 흡인드럼은 발생되는 섬유의 속도와 다소 일치하는 주변속도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이것은 본래의 섬유플리스를 떼어놓는데 이용되지 못하고, 가스·공기 혼합물을 흡인하는데에만 이용된다. 전술한 DE-OS 21 22 039에서는 그 외에도 다수의 섬유가닥푸는 장치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흡인드럼이 달려있는 낙하샤프트도 기술하였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서로 전후연속하여 배치되고, 그 중앙선이 수직평면내에 놓여있고, 이에 대하여 2개의 흡인드럼이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섬유가닥푸는 장치만을 생각한 것으로서, 이러한 드럼들은 전술한 단일흡인드럼과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작동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부러져 뻗어있는 영역과 이러한 영역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낙하샤프트에 맞대어 밀폐되는 안내요소가 달린 기체가 투과하는 수집컨베이어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3 항에 의한 장치는 구부러진 면에 대항하는 그 면에 의하여 이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양모플리스가 더 원활하게 반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밀폐된 안내요소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공기와 섬유가 낙하샤프트로부터 무단히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이것은 털실플리스 자체에 의하여 밀폐되어야 하는 털실플리스의 이송슬릿에 있어서도 또한 같다. 그러나, 플리스의 폐쇄작용은 그 용량중량, 복원탄력 및 플리스 자체의 관련되는 힘에 의하여 정하여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긴 탄성단일섬유를 가진 플리스는 슬릿의 폭이 동일한 때에는 짧은 단일섬유를 가진 플리스 보다 이송슬릿을 더 확실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이송용 슬릿을 좁게 만들면, 더 무거운 표면중량에 있어서는 너무 과도한 과급이 일어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임의로 좁게 선택하지 못한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4 항에 의하여 안내요소와 수집컨베이어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형성할 수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5 항에 의하여, 안내 요소에 갈음하여 또다른 수집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유리하며, 이때에 낙하샤프트에 대한 밀폐문제는 본래부터 제공되어 있는 안내요소측에서 담당한다. 2개의 수집컨베이어장치로 구성되는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6 항에 의하여 이 이중장치에 3개의 섬유가닥푸는 장치들을 이중장치 사이의 중간에 제 3 섬유가닥푸는 장치를 놓고,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2개의 섬유가닥푸는 장치들을 병렬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이념에 적합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특허청구의 범위 제 7 항에 의하여, 수집컨베이어 장치 사이로 플리스를 이송하기 위하여 제공된 슬릿의 폭을 변경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처리기술상 또는 구조상의 이유로 수집컨베이어장치 사이의 이송용슬릿을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8 항에 의하여 이와 같은 일정한 슬릿을 이송방향으로 후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요소에 의하여 그 폭을 변경할 수 있게 하고, 특허청구의 범위 제 9 항에 의하여 이러한 조정가능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롤러 또는 컨베이어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특허청구의 범위 제 10 항에 따라 서로 변경시킬 수 있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2개의 구동 가능한 롤러 또는 컨베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송방향으로 후속되는 이러한 조정가능 요소들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로 서로 다른 표면 중량을 가진 광물면 플리스를 제조할 수 있게 하려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경험에 의하면, 특히 노즐 블로윙법에 의하여 작동하는 다수의 섬유가닥푸는 장치가 달린 종래의 낙하샤프트에 있어서, 낙하샤프트로부터의 이송범위 안에는 약 25kg/m3이하의 용적 중량 및 과급을 피하기 위하여서는 75kg/m3이상의 용적용량을 가진 털실플리스는 놓일 수 없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장해없은 원활한 제조를 더 이상 할 수 없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것은 약 1 : 3의 지지면 변도에 해당하며, 변동폭은 1 : 12 이상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플리스의 내부결합이 최소한으로 되기 때문에, 이때에는 상당히 작은 지지면을 가진 플리스의 이송이 특히 요구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플리스는 공기가 이송슬릿을 통하여 무단히 유출될 때 함께 불려 나갈 수 있거나, 너무 큰 흡인압력이 가하여지는 때에는 수집컨베이어로 부터 분리되지 아니한다. 그 외에도, 여기에서 제공된 4개의 섬유가닥푸는 장치중 하나가 우연히 탈락되는 때에는 총표면중량의 3분의 1만이 수집컨베이어장치에 도달함으로써 플리스 이송에 대한 요건을 증대시킨다는 것도 유의하여야 한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8 항 내지 제 10 항의 특징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해결하는데 기여하다.
그러나, 이러한 요건들을 참작한 또 다른 방법도 도움이 된다. 즉, 특허청구의 범위 제 11 항에 의하여, 임의로 이용할 수 있는 각 수집 컨베이어장치의 흡인면의 크기를 특히 플리스를 이송하기 위하여 제공된 슬릿 영역에서 조정할 수 있고, 특허청구의 범위 제 12 항에 의하여, 적어도 후속되는 요소 앞에 형성되는 플리스를 처리할 수 있는 배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2 항 내지 제 12 항에 의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엇보다도 수집컨베이어의 적재면은 무거운 표면하중을 수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적재면용으로 비교적 얇고 작은 구멍들이 뚫려있는 금속박판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 외에도, 그렇지 아니하면 정력학적으로 필요한 적당한 높이를 가진 가로리브들을 제외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순전히 기계적으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매끈한 수집컨베이어면들을 유지하게 된다. 이것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력있는 롤러형 브러쉬, 즉 내부로 부터 균일한 주변속도로 수집컨베이어의 천공들을 빗질하는 브러쉬와 수집컨베이어에 비하여 더 빠른 주변속도로 외표면을 청결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또다른 롤러형 브러쉬의 컴비네이션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유리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에서는 수집컨베이어의 천공에 우연히 정착된 섬유 및 결합제의 잔재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습윤-건조-청소장치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이와같은 건조방법은 처리기술적으로나 비용면에서 중요한 장점이 된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13 항에 의한 본 발명의 장치는 노즐 블로윙법에 의하여 생성되는 석모에서 플리스를 생성시키는데 적합하다. 그러나, 노즐 블로윙법으로서는 이제까지 25kg/m3이하의 총밀도를 가진 석모에 기초하여 경제적 및 작업안전적으로 플리스를 제조하지 못하였다. 노즐 블로윙법은 공지된 바와같이, 광물용해물이 들어있는 도가니로 부터 중력의 작용으로 용해물 흐름이 넘쳐나오게 되고, 이러한 용해물 흐름은 인장노즐내에서, 빠른 유동속도로 용해물 흐름에 대하여 평행으로 흐르는 기체의 작용으로 섬유로 풀려지고, 끌어당겨진 다음에, 연화온도 이하로 냉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청구의 범위 제 14 항에 의하여 적재면이 증대됨에 따라 섬유가닥푸는 장치로 부터 생성되는 섬유들이 수직면으로 부터 어긋나는 경사각으로 수집면에 놓일 수 있도록 섬유가닥푸는 장치들을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더구나, 수집컨베이어로써 회전대칭적 장치를 선택하는 것, 즉 특허청구의 범위 제 15 항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집컨베이어장치를 드럼으로 형성하고, 특허청구의 범위 제 16 항에 의하여 각 수집컨베이어장치 내의 흡인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여러가지 조작조건에 쉽게 적합시킬 수 있게 하는 것도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7 항에 따라, 다수의 단일플리스로 구성되는 펠트밴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수의 장치로부터 나오는 단일플리스를 진행하는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함께 펠트밴드로 내려앉는 방법에 의하여 해결한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8 항에 의하여, 몇개의 플리스로 합성펠트밴드를 형성하고, 그 속에서 플리스가 진행하고 컨베이어벨트상에서 진자운동에 의하여 컨베이어벨트 위에 다층펠트밴드로 내려앉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즐 블로윙법에 따라 작동하는 2개의 섬유가닥푸는 장치(1, 2)에 의하여 체적이 원추형으로 된 자유분사속(3, 4)이 생성되고, 이러한 자유분사속들은 섬유·기체·공기·결합제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고, 상자모양으로 형성된 낙하샤프트(5)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낙하샤프트(5)의 하부폐쇄부를 수집컨베이어장치(6)가 형성하고, 이 수집컨베이어장치에는 구부러져 뻗어있고, 그 위에 섬유가닥 푸는 장치(1, 2)에서 나오는 섬유가 털실플리스(7)에 내려앉는 흡인면(a, b)이 있다. 수집운반장치(6)에는 회전하는 다공컨베이어 벨트(8)가 제공되어 있고, 이 컨베이어 벨트는 이송방향인 화살표(9)방향으로 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도시하지 않았음). 그 외에도, 수집운반장치(6) 내부에는 흡인장치(도시하지 않았음)가 제공되어 있고, 여기에서 생기는 흡인압력은 구부러지게 뻗어있는 흡인면(a, b) 아래쪽에 배치된 흡인실(11)에서만 작용한다. 구부러지게 뻗어있는 흡인면(b)에 마주하여 이것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송용 슬릿의 범위를 한정하면서, 낙하샤프트(5)에 맞대어 밀폐되는 안내요소(13)가 금속박판의 형태로 제공되어 있고, 이러한 안내요소는 이 실시예에서는 위치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원추형 체적의 섬유자유분사속(3, 4)은 이제까지 실제에는 낙하샤프트내에 일정한 난류가 생기는데도, 제 1 도 에서는 이상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종래의 낙하샤프트내에서는 형성되는 플리스에서 몇센티미터(약 2 내지 10cm)위로 평균 흐름속도보다 더 빠른 매우 강한 횡류가 생겨서, 두루마리 및 비꼬인 다발 등이 형성되어 섬유의 분리가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되는 플리스 위로 약 10cm 정도의 영역에는 이러한 횡류에 대응하여 정적 압력도 분배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대기에 대하여는 약 40 mm/WS의 압력을, 흡인구역 끝에서는 약 30m/sec의 횡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이송용슬릿이 확정적으로 밀폐되어 있어서, 다시 말하면 이 경우에는 이송용슬릿(12)이 전체플리스(7)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현저히 적은 압력 및 흐름비가 요구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흡입면(a, b)에 있어서는 흡인구역(b)의 호길이가 흡인구역(a)보다 더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개념에 의하여,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지지력이 이송방향(9)으로 증대되기 때문에, 흡인면(b) 영역내에서의 더 높은 섬유지지력을 더 큰 흡인면(b)으로 보상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종래의 낙하샤프트 보다 더 적은 흡인압력으로 작업을 할 수 있고, 형성되는 플리스위의 횡류도 대폭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1 도에 도시된 수집운반장치(6)와 대칭적으로 안내박판(13)에 갈음하여 이에 대응하는 적당한 수집운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도는 4개의 섬유가닥푸는 장치(14 내지 17), 하나의 낙하샤프트(18),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2개의 드럼형 수집컨베이어(19, 21) 및 이 수집컨베이어에 후속되고, 화살표(20)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하나의 패킹 롤러(22)가 달려있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간단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2개의 부분플리스(23, 24)로 부터 연속적으로 하나의 전체플리스(25)가 생겨나며, 드럼과 같은 수집컨베이어(19, 21)는 서로 축방향 고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수집컨베이어(19, 21)사이의 근소한 간격이 일정하기 때문에, 롤러(22)는 이송용 슬릿(26)에서 조정가능한 패킹장치의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에서도 부분플리스(23)의 형성이 시작되고 흡인면(c)이 부분플리스(23)의 더 높은 섬유지지력 영역내에 있는 흡인면(d)보다 더 작다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이러한 흡인면(c, d)은 최적의 이송 및 흡인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송용슬릿(26) 영역내에서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예를 들면, 드럼(19)내부에 제공되고, 드럼의 흡인부분과 비흡인부분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는 고정자(27)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여기에서는 2개의 부분플리스(23, 24)를 이송전에 한데 집합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수집컨베이어(21)는 원칙적으로 수집컨베이어(19)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수집컨베이어에도 흡인부분과 비흡인부분을 서로 분리시키는 고정자(28)가 있다. 여기에서는 부분플리스(24)가 패킹 롤러(22)로 인하여 더 일찍 수집컨베이어(21)에서 떨어져야 하기 때문에, 흡인부분만이 대향하여 있는 수집컨베이어(19)에 있어서보다 더 일찍 끝나있다. 이와 같이 플리스를 떼어놓는 것은 제 2 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기장치(30)에 의하여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3 도는 부분플리스(32, 33)를 형성하는 2개의 드럼형 수집컨베이어(29, 31)가 달린 제 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광물면 플리스(34)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이 장치는 플리스(34)가 이송방향으로 후속되어 있는 쌍롤러(35, 36)에 의하여 형성되고, 이 쌍롤러들은 화살표(37, 38)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는 점만이 제 2 도에 도시한 장치와 다르다. 이때 쌍롤러들은 제 3 도에 따라 수집컨베이어(29, 31)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비대칭적으로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도 각 수집컨베이어(29 또는 31)에는 수집컨베이어의 흡인부분 또는 비흡인부분을 조정할 수 있는 내부고정자(39 또는 41)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수집컨베이어(29, 31)에 있어서 전체흡인면이 동일하며, 각 섬유가닥푸는 장치 별로 이용할 수 있는 흡인면(e, f)이 이송방향으로 증대된다.
제 4 도는 다수의 단일플리스(42, 43)로 합성되는 펠트밴드(44)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3 도에 도시한 2개의 장치들이 전후하여 연속배치 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지만, 여기에서는 제 4 실시예로서, 롤러(35, 36)에 갈음하여 2개의 컨베이어 벨트(45 내지 48)가 그 간격들을 서로 변경할 수 있게 제공되어 있다. 특히 예를 들면, 20kg/m3이하의 비교적 낮은 총밀도를 가진 단일플리스에 있어서는 컨베이어 벨트(45 내지 48)가 단일플리스의 일정한 가이드 역할을 담당한다. 제 4 도에 의하면, 단일플리스(42)가 먼저 진행하는 생산밴드(49) 위에 얹혀지고, 그 다음에 이 단일플리스(42) 위에 단일플리스(43)가 놓이기 때문에, 전체플리스(44)가 생기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또다른 단일플리스를 겹쳐놓는 것에도 확대 응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 5 도는 다수의 플리스층(51)으로 구성되는 펠트밴드(52)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제조라인의 일부분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단일플리스층(51)은 예를 들면, 제 4 도에 도시된 단일플리스(42)에 따라 제조되는 몇개의 플리스(53)에서 생긴다. 여기에서는 변경시킬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컨베이어 벨트(54, 55)가 제 4 도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45, 46)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 제 5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 벨트(54, 55)가 회전하는 생산밴드(56)상에 있는 단일플리스(53)를 다층펠트밴드(52)로 떼어놓을 수 있도록 진자운동을 행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54, 55)를 진자운동으로 옮겨놓는 기구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고, 다만 상징적으로 이중화살표(57)로 표시하였을 뿐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5가지 실시예의 수집컨베이어에는 일반적으로, 우발적으로 정지되는 섬유가닥푸는 장치에서, 흡인에 대한 서로 다른 요건에 반응할 수 있도록, 조절가능한 자체흡인장치 또는 공동흡인에 있어서는 적당한 드로틀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적은 흡인에너지를 가지고 비교적 높은 섬유지지력으로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수집컨베이어가 2개 이상의 섬유가닥푸는 장치에 의하여 작동되게 할 수 있다.

Claims (18)

  1. 광물면 플리스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플리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낙하샤프트내에 다수의 섬유가닥푸는 장치들을 제공하고, 섬유들을 흡인압력의 작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집컨베이어상에 떼어놓는 방법에 있어서, 그때그때 섬유가닥푸는 장치에 병렬되고, 이송방향으로 증대되어가는 수집컨베이어의 제거면에서 섬유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의한 방법을 실시하는 특히, 석모에서 광물면 플리스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플리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낙하샤프트내에 다수의 섬유가닥푸는 장치가 제공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부러져 뻗어있는 영역이 있는 기체투과 수집운반장치상에서 흡인압력의 작용으로 섬유를 제거할 수 있고, 구부러져 뻗어있는 영역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낙하샤프트에 밀폐되는 안내요소가 배치되어 있는 장치에 있어서, 단일섬유가닥푸는 장치(1, 2 ; 4 내지 17)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 섬유, 기체, 공기혼합물에, 의제흡인면이 수집운반장치(6;19, 21;29, 31)의 구부러져 뻗어있는 영역상에서, 단일 섬유가닥푸는 장치(1, 2;4 내지 17)가 이용할 수 있는 흡인면(a, b;c, d;e, f)이 이송방향으로 증대되도록 병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안내요소(13)가 구부러져 뻗어있는 영역에 대향하여 있는 그 면에 의하여 이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안내요소와 수집운반장치 사이의 근소한 간격(12)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안내요소(13)에 또다른 수집운반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2개의 수집운반장치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섬유가닥푸는 장치가 병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플리스의 이송을 위하여 수집운반장치 사이에 제공된 슬릿의 폭을 변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플리스의 이송을 위하여 수집운반장치 사이에 제공된 슬릿(26)이 이송방향으로 후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정가능 요소(22)에 의하여 그 폭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구동가능 롤러 또는 구동가능 컨베이어 벨트가 조정가능 요소(22)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서로 변경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된 2개의 구동 가능 롤러(35, 36) 또는 컨베이어 벨트(45, 46)가 조정가능요소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각 수집운반장치(6;19, 21;29, 31)의 이용할 수 있는 흡인면(a, b ; c, d ; e, f)이 특히 플리스의 이송을 위하여 제공된 슬릿의 영역내에서 그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후속되는 요소(22)에, 형성되는 플리스를 조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로윙장치(30)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플리스형성 섬유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노즐 블로윙법에 의하여 작용하는 섬유가닥푸는 장치(1, 2,;14 내지 17)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섬유가닥푸는 장치가 이에 의하여 생성되는 섬유들이 수직면에서 어긋나는 경사각으로 수집면위에 놓이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2 항 내지 제 14 항중 한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집운반장치(19)가 드럼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2 항 내지 제 14 항중 한항에 있어서, 각 수집운반장치(6;19, 21;29, 31)내의 흡인압력이 자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다수의 단일 플리스, 특히 제 2 항에 의한 장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일플리스로 구성되는 펠트밴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다수의 장치에서 나오는 단일플리스(42, 43)가 진행하는 생산밴드(45)상에서 함께 하나의 펠트밴드(44)로 떨어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다수의 플리스층, 특히 제 2항에 의한 장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플리스로 구성되는 펠트밴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진행하는 생산밴드(56)상에 있는 플리스(53)가 생산밴드상에서의 진자운동(57)에 의하여 다층펠트밴드(52)로 떨어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00009762A 1989-06-29 1990-06-29 석모로 광물면 플리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0138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921399A DE3921399A1 (de) 1989-06-29 1989-06-29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ineralwollevliesen aus insbesondere steinwolle
DEP3921399.4 1989-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134A KR910001134A (ko) 1991-01-30
KR0138256B1 true KR0138256B1 (ko) 1998-05-15

Family

ID=638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762A KR0138256B1 (ko) 1989-06-29 1990-06-29 석모로 광물면 플리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093069A (ko)
JP (1) JPH0351325A (ko)
KR (1) KR0138256B1 (ko)
CA (1) CA2019945C (ko)
CZ (1) CZ325790A3 (ko)
DD (1) DD296123A5 (ko)
DE (1) DE3921399A1 (ko)
DK (1) DK170665B1 (ko)
HU (1) HU212973B (ko)
PL (1) PL1646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41627A1 (de) * 1991-12-17 1993-06-24 Gruenzweig & Hartman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mineralwollevliesen
DE4141659A1 (de) * 1991-12-17 1993-06-24 Gruenzweig & Hartman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mineralwollevliesen
DE19728523A1 (de) * 1997-07-04 1999-01-07 Erfurtgemuese E 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textiler Flächengebilde
DE19731758C2 (de) * 1997-07-23 2003-08-21 Thueringer Daemmstoffwerke Gmb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rodukten aus mineralischen Rohstoffen, insbesondere Mineralwolle
DE19834963A1 (de) * 1998-08-03 2000-02-17 Pfleiderer Daemmstofftechnik 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neralwollevlies
US6588080B1 (en) * 1999-04-30 2003-07-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rolled loft and density nonwoven webs and method for producing
US6867156B1 (en) 1999-04-30 2005-03-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terials having z-direction fibers and fold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MY127992A (en) * 1999-09-28 2007-01-31 Rockwool Int Processe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an-made vitreous fibre products
HU228444B1 (en) * 1999-09-28 2013-03-28 Rockwool Int Bonded fibre products
EP1228012B1 (en) * 1999-09-28 2007-02-07 Rockwool International A/S Processe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an-made vitreous fibre products
US6635136B2 (en) 2000-03-30 2003-10-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producing materials having z-direction fibers and folds
FR2809119A1 (fr) * 2000-05-17 2001-11-23 Saint Gobain Isover Procede de formation et conditionnement de feutres isolants et son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KR20020042386A (ko) * 2000-11-30 2002-06-05 김정준 스푼형 저울
FR2862986B1 (fr) * 2003-11-27 2006-05-12 Rieter Perfojet Machine de production de non-tisse, son procede de reglage et non-tisse obtenu
WO2005094210A2 (en) * 2004-03-12 2005-10-13 The Hartz Mountain Corporation Multi-action anthelmintic formulations
DE102004038881B4 (de) * 2004-08-10 2013-01-03 Saint-Gobain Isover G+H Ag Ein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ineralwollevliesen
JP4830085B2 (ja) * 2007-05-11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高分子ウエブの製造方法と装置
DE102009008810A1 (de) 2009-02-12 2010-08-19 Klaus Sommer Mineralfasern, Mineralfaserwolle und Mineralfaserflächengebilde mit verbesserten textilen Eigenschaften und Verfahren der Behandlung
DE102009061752A1 (de) 2009-02-12 2016-01-14 Klaus Somme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polsterten oder abgesteppten Textilien mit verbesserten Festigkeitseigenschaften und verstärkten Polstereffekten
US20130084445A1 (en) * 2011-09-30 2013-04-04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Method of forming a web from fibrous material
FI127694B (fi) * 2016-11-16 2018-12-14 Paroc Group Oy Menetelmä kaksi- tai useampikerroksisen mineraalivillaeristeen valmistamiseksi
CN109354418B (zh) * 2018-11-08 2022-04-19 金陵科技学院 一种制造掺杂多频谱吸波材料的岩棉的方法
CN109853134A (zh) * 2018-11-08 2019-06-07 金陵科技学院 具有抗菌功能的岩棉产品的制造方法
CN116815367B (zh) * 2023-08-28 2023-12-08 常州虹纬纺织有限公司 一种竹节纱加热器用清理装置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7291A (en) * 1944-10-09 1949-04-12 Gustin Bacon Mfg Co Process for forming felted fibrous insulating material
US2785728A (en) * 1953-11-23 1957-03-19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Article of manufa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US2897874A (en) * 1955-12-16 1959-08-04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Method and apparatus of forming, processing and assembling fibers
NL124045C (ko) * 1961-10-17 1900-01-01
AT236259B (de) * 1962-09-06 1964-10-12 Vyzk Ustav Bavlnarsky Krempelmaschine
GB1175315A (en) * 1967-08-25 1969-12-23 Richard Dilo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Fibre Fleeces.
FR2088396A1 (en) * 1970-05-07 1972-01-07 Fiberglas Canada Ltd Slag wool carpeting or felt
US3824086A (en) * 1972-03-02 1974-07-16 W M Perry By-pass fiber collection system
US4201247A (en) * 1977-06-29 1980-05-06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Fibrous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US4463048A (en) * 1982-03-04 1984-07-31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Manufacturing a laminated pack of mineral fibers and resulting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325790A3 (cs) 1998-12-16
DE3921399C2 (ko) 1991-05-08
PL164616B1 (pl) 1994-08-31
DK156590A (da) 1990-12-30
DD296123A5 (de) 1991-11-21
KR910001134A (ko) 1991-01-30
CA2019945A1 (en) 1990-12-29
DE3921399A1 (de) 1991-01-10
DK170665B1 (da) 1995-11-27
PL285838A1 (en) 1991-03-11
US5093069A (en) 1992-03-03
DK156590D0 (da) 1990-06-28
HUT64923A (en) 1994-03-28
HU904014D0 (en) 1990-12-28
HU212973B (en) 1997-01-28
CA2019945C (en) 1993-11-30
JPH0351325A (ja) 199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256B1 (ko) 석모로 광물면 플리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CA2016820C (en) High speed crosslapper
US20060000070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spinning and laying a synthetic yarn sheet for the production of non-wovens
HU21042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ineral fibre web
US2460899A (en) Method of mat formation
EP0006327B1 (en) Apparatus for distributing fibres uniformly over a conveyor surface
JPH05309752A (ja) 傾斜複合材料用素材の製造方法
US5111552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mineral wool web
AU608867B2 (en) Multi-headed ductless webber
US3501813A (en) Method of forming a continuous fibrous web
US4904439A (en) Method of making a non-woven fiber web using a multi-headed ductless webber
EP0759102B1 (en) Direct forming method of collecting long wool fibers
US3981708A (en) System for producing blankets and webs of mineral fibers
US2005000872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flow in a fiber extrusion system
WO1997032069A1 (en) Production of a lapped product from a web, and apparatus for this
GB1067847A (en) Production of fibre mats
EP0817875B1 (en) Apparatus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nonwovens
US5093963A (en) Ductless webber
FI79518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glasfiberprodukter, t.ex. mattor, garn och foergarn.
EP0210992A1 (en) Card
US3172184A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fleeces of mineral fibers
CA1147961A (en) Method of transferring mat from a forming station to a secondary bonding station
US5093962A (en) Method of forming webs without confining ducts
JP2659405B2 (ja) ダクトなしのウエブ製造機
HU209899B (en) Process for separating gas and fibres produced by several fibre forming equip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