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500B1 - 자동차의대쉬패드어셈블리제작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대쉬패드어셈블리제작방법및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500B1
KR0137500B1 KR1019970020563A KR19950034488A KR0137500B1 KR 0137500 B1 KR0137500 B1 KR 0137500B1 KR 1019970020563 A KR1019970020563 A KR 1019970020563A KR 19950034488 A KR19950034488 A KR 19950034488A KR 0137500 B1 KR0137500 B1 KR 0137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upper mold
pressure plate
fibish
pa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862A (ko
Inventor
진한걸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7002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500B1/ko
Publication of KR970020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B29C69/02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of moulding techniqu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6Moulds specially adapted for vacuum forming,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대쉬 패드 어셈블리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상하부가 구조로 이루어지는 금형에 의해 한공정으로 제작이 되도록 하므로서 제작비 및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키도록 하는 자동차의 대쉬 패드 어셈블리 제작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수직으로 다수개의 진공 홀(1A)이 형성된 하부 금형(1)의 상부로 피브이시판을 올려놓고 상부로부터 상부 금형(2)을 하강시켜 상기 상부 금형(2)의 저부로 결착된 압력판(5)에 의해 가압되면서 피브이시부(3)가 진공성형되도록 하고, 이렇게 피브이시부(3)가 성형 되고 나면 상부 금형(2)을 일정한 높이에가지 상승시켜 저부의 압력판(5)을 체결하고 있는 클램프(7)를 해제시킨 후 상기 압력판(5)을 타측의 힌지축(2A)을 축으로 수평 회동시켜 상부 금형(2)의 저면으로부터 완전히 제쳐질 수 있도록 하여 압력판(5)을 제친 상태에서 상기 피브이시부(3) 상부로 우레탄을 발포시키고, 상부 금형(2)을 서서히 가압시켜 우레안 폼을 형성시키도록 하므로서 대쉬 패드 어셈브릴를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대쉬 패드 어셈블리 제작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금형에 의한 제작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a)도는 피브이시부의 진공성형 상태도.
(b)도는 우레탄 폼부의 발포성형 상태도.
제3도는 종래 금형에 의한 제작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a)도는 진공성형 상태도.
(b)도는 발포성형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1:하부금형2, 2', 2:상부 금형
3:피브이시부4:우레탄 폼부
5:압력판2A:힌지축
7:클램프
본 발명은 자동차의 대쉬 패드 어셈블리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상하부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금형에 의해 한공정으로 제작이 되도록 하므로서 제작비 및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키도록 하는 자동차의 대쉬 패드 어셈블리 제작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 앞쪽으로 형성되는 대쉬 패드는 진공성형되는 일측의 피브이시(PVC)부와 발포성형되는 타측의 우레탄 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브이시부와 우레탄 폼부의 양 대응면은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각 형상에 따른 제작을 위해 두단계의 성형공정에 의해서 제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있다.
즉 도면 제3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a)도는 상기 피브이시부를 진공성형하기 위한 상, 하부 한쌍의 금형이며, (b)도는 상기 피브이시부에 상기 우레탄 폼부를 압착시켜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한쌍의 금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작구성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수직으로 진공 홀(1A)이 다수개 천공된 하부 금형(1')에 피브이시판을 올려놓고 상부 금형(2')으로 압착하여 성형한 후 이렇게 성형된 피브이시부(3)는 다른 한쌍의 하부 금형(1)에 올려놓고 상기 피브이시부(3) 위로 우레탄을 발포시켜 서서히 상부 금형(2)에 의해 압착되도록 하면서 성형을 시키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2단계를 거쳐 성형시키게 되는 제작공정은 일차 성형된 피브이시부(3)를 옮겨 전단계 하부 금형(1')의 금형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하부 금형(1) 위로 올려놓고, 우레탄을 발포시켜 압착성형시키게 되므로 제작시간이 대단히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반드시 서로 다른 2쌍의 금형(1')(1)(2')(2)이 구비되어야만 하므로 금형제작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공성형용 하부금형에 피브이시판을 재치시켜 상부 금형 하부로 형성된 압력판의 가압에 의해 피브이시부를 성형하고, 그 위로 우레탄을 도포시킨 후 상기 압력판을 상부 금형의 일측으로 회전시켜 제거시킨 상태에서 상부 금형에 의해 압착성형되도록 하므로서 한쌍의 금형에 의해서 보다 신속하게 대쉬 패널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금형의 축소로 금형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켜 보다 경제적인 패널제작을 제공코자 하는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한쌍의 금형에 의해 피브이시부(3)의 진공성형과 우레탄 폼의 발포성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대한 것이다.
즉 피브이시부(3)는 수직으로 진공 홀(1A)이 다수개 형성된 하부 금형(1)과 상부 금형(2)의 하부로 수평 회동이 가능하게 착설된 압력판(5)에 의해 압착되어 진공성형되는 것이며, 이렇게 성형된 피브이시부(3)의 상부로 상기 압력판(5)을 상부 금형(2)의 일측을 축으로 회동시켜 제거되도록 한 뒤 우레탄을 발포시키면서 상부 금형(2)에 의해 압착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같은 대쉬 패널의 제작을 위해 본 발명은 수직으로 진공 홀(1A)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한 하부 금형(1)과, 저면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일측 단부에서 수평 회동이 가능하게 축설되면서 타측에서는 클램프(7)에 의해 체해결이 가능하게 고정시킨 압력판(5)을 구비한 상부 금형(2)으로서 한쌍의 금형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금형에 의한 제작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a)도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다수개의 진공 홀(1A)이 형성된 하부 금형(1)의 상부로 피브이시판을 올려놓고 상부로부터 상부금형(2)을 하강시켜 상기 상부 금형(2)의 저부로결착된 압력판(5)에 의해 가압되면서 피브이시부(3)를 진공성형되도록 한다.
이렇게 피브이시부(3)가 성형되고 나면 상부 금형(2)을 일정한 높이에까지 상승시켜 저부의 압력판(5)을 체결하고 있는 클램프(7)를 해제시킨 후 (b)도에서와 같이 타측의 힌지축(2A)을 축으로 수평 회동시켜 상부 금형(2)의 저면으로부터 완전히 제쳐질 수 있도록 한다.
압력판(5)을 제친 상태에서 상기 피브이시부(3) 상부를 우레탄을 발포시키고, 상부 금형(2)을 서서히 가압시켜 우레안 폼을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작 공정은 종래 진공 성형시의 하부 금형(1')과 발포 성형시의 하부 금형(1)의 금형면 형상이 동일한 점을 이용하여 동일한 금형면 형상의 금형을 이중으로 제작한다는 것은 경제적 손실이며, 따라서 진공 성형시의 하부 금형(1')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상부 금형(2)은 본체 저면이 발포 성형시의 상부 금형면 형상을 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 금형(2) 저면의 저부로는 일정간격만큼 이격시켜 진공 성형시의 상부 금형(2)에의 금형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한 압력판(5)을 체해결이 가능하게 형성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압력판(5)은 상부 금형(2)의 금형면 바깥측에서 힌지축(2A)에 의해 일단부가 지지되도록 하고, 타측의 다수 부분에는 상부 금형(2)으로부터 형성시킨 브라켓트(2B)에 지지되어 클램프(7)로서 체해결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클램프(7)들을 모두 해제시키게 되면 상기의 압력판(5)은 힌지축(2A)을 축으로 수평회동이 가능해져 하부 금형(1)과 상부 금형(2) 사이에서 완전히 제쳐지도록 한 후 직접 하부 금형(1)에 상부 금형(2)을 가압시켜 성형을 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한쌍의 금형 즉 하부 금형(1)과 압력판(5)에 의해 피브이시부(3)를 진공성형하며, 상기 하부 금형(1)과 상부 금형(2)에 의해서는 우레탄 폼부(4)를 발포성형시키게 되므로 성형물을 일일히 다른 금형으로 옮기거나 하는 공정간 이송이 생략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종전에는 피브이시부(3) 성형후 상기 피브이시부(3)를 옮기기 위해서는 상기 피브이시부(3)를 냉각을 시켜 어느정도 경화되도록 하여야만 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해서는 하부 금형(1)에 재치된 상태에서 바로 우레탄을 발포시켜 상부 금형(2)에 의해 가압시키게 되므로 성형물 바깥단부의 성형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공정축소로 인한 제작시간의 단축을 가능토록 하면서 금형 제작비를 대폭 절감시킴에 따라 제품의 원가절감을 이루도록 하므로서 대쉬 패널의 제작을 대단히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하부 금형의 상부로 피브이시판을 재치시켜 상부 금형 하부로 회동이 가능하게 착설된 압력판이 상부 금형에 의해 가압되도록 하여 피브이시부를 진공성형하고, 상기 압력판을 상부 금형의 일단부에서 수평회동시켜 제쳐지도록 한 후 성형된 피브이시부 상부로 바로 우레탄을 발포시켜 상기 상부 금형에 의해 직접 가압되도록 하므로서 우레탄 폼부를 발포성형시키도록 하여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대쉬 패드 어셈블리 제작방법.
  2. 수직으로 진공 홀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한 하부 금형과;
    저면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바깥쪽 한곳에서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수평 회동이 가능하게 축설된 압력판의 타측에서는 다수 부분에 상부로부터 돌설된 브라켓트와 클램프에 의해 체해결이 가능하게 결착시킨 상부 금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대쉬 패드 어셈블리 제작장치.
KR1019970020563A 1995-10-09 1995-10-09 자동차의대쉬패드어셈블리제작방법및장치 KR0137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563A KR0137500B1 (ko) 1995-10-09 1995-10-09 자동차의대쉬패드어셈블리제작방법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563A KR0137500B1 (ko) 1995-10-09 1995-10-09 자동차의대쉬패드어셈블리제작방법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862A KR970020862A (ko) 1997-05-28
KR0137500B1 true KR0137500B1 (ko) 1998-06-01

Family

ID=1942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563A KR0137500B1 (ko) 1995-10-09 1995-10-09 자동차의대쉬패드어셈블리제작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881B1 (ko) * 2011-11-03 2013-09-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소프트패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881B1 (ko) * 2011-11-03 2013-09-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소프트패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862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4625A (en) Embossed, inflatable ball making method
US4818331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eat
KR0137500B1 (ko) 자동차의대쉬패드어셈블리제작방법및장치
JP3742320B2 (ja) プレス成形装置
JP2897806B2 (ja) 表皮材とパッド材との一体成形方法及び一体成形型
JP3755864B2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KR100950197B1 (ko) 자동차용 내장재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US218398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a formed mat
JPH0470132B2 (ko)
JPH0745135B2 (ja) 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
KR20040100733A (ko) 차량의 내장 판넬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장 판넬의제조방법
JP3731857B2 (ja) シート材料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CN213035219U (zh) 一种汽车工程模具固定装置
CN117774280B (zh) 一种热成型加工方法
CN216501901U (zh) 一种具有缓冲保护功能的汽车内饰用冲压模具
JP2002018874A (ja) 発泡性基材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KR950001704Y1 (ko) 랜싱 및 벤딩 성형장치
JPH0453924Y2 (ko)
JP2690238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成形用金型装置
JPH06198730A (ja) 積層材の真空絞り成形方法
KR960009371Y1 (ko) 창유리 성형장치
JPH05278101A (ja) 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H06238695A (ja) 積層成形体の成形装置
JP2783135B2 (ja) 表皮材とパッド材との一体成形方法及び一体成形型
JPH10146884A (ja) 電子部品収納容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