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981Y1 -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981Y1
KR0136981Y1 KR2019960030086U KR19960030086U KR0136981Y1 KR 0136981 Y1 KR0136981 Y1 KR 0136981Y1 KR 2019960030086 U KR2019960030086 U KR 2019960030086U KR 19960030086 U KR19960030086 U KR 19960030086U KR 0136981 Y1 KR0136981 Y1 KR 0136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retainer
clutch
release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754U (ko
Inventor
최영삼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30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98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7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9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이스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리테이너와 클러치 분리시 충격을 완화하는 막 스프링을 일체로 구성한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볼 베어링과, 상기 볼 베어링이 내장된 베어링 케이스와, 릴리이스 포오크와 연결되는 포오크 리테이너와, 상기 베어링 케이스를 지지하는 리테이너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막스프링과 베어링 리테이너가 일체로 형성된 리테이너 스프링이 구성되어 조립부품수가 절감되고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수동변속기의 클러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단면도, (b)는 다이어프램 스프링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단면도, (b)는 리테이너 스프링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러치 페달 2 : 클러치 케이블
3 : 릴리이스 포오크 4 : 릴리이스 베어링
5 : 릴리이스 레버 6 : 클러치 커버
7 : 베어링 칼라 21 : 포오크 리테이너
24 : 베어링 케이스 25 : 볼베어링
30 : 리테이너 스프링 32 : 환형링부
34 : 탄성다리부 40 : 릴리이스 베어링
본 고안은 수동변속기의 클러치에 구성되는 릴리이스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릴리이스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리테이너와 클러치 분리시 충격을 완화하는 막 스프링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구성부품수 절감은 물론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킨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의 클러치는 플라이 휠과 변속기의 입력축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로 전달되는 기관의 동력을 필요에 따라 단속하는 일을 하며 기관을 시동할 때 또는 변속기의 기어를 변속할 때에는 기관과의 연결을 끊고, 발진할 때에는 기관의 동력을 서서히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러치의 조작구조는 일반적으로 기계식과 유압식이 있는데, 제1도는 기계식 클러치 조작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페달의 조작력을 클러치 본체에 전달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힘을 가하는 클러치 페달(1)과, 상기 클러치 페달(1)의 조작력을 릴리이스 포오크(3)에 전달하는 클러치 케이블(2)과, 클러치 하우징(미도시)에 한끝을 고정하여 지레작용에 의해 릴리이스 베어링(4)을 누르는 릴리이스 포오크(3)와, 상기 릴리이스 포오크(3)의 작동으로 릴리이스 레버(5) 또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눌러 클러치를 끊는 작용을 하는 릴리이스 베어링(4)으로 구성된다.
특히, 종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이스 포오크(3)와 연결되는 포오크 리테이너(11)와, 상기 포오크 리테이너(11)와 연결되어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리테이너(12)와, 상기 베어링 리테이너(12)와 조립되어 클러치 분리시 충격을 완화하는 막 스프링(13)과, 전후로 움직이며 베어링을 보호하는 베어링 케이스(14)와, 상기 베어링 케이스(14)내에 삽입되는 볼베어링(15)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은 제1도를 참고하면, 릴리이스 포오크(3)에 의해 클러치커버(6)를 전후로 하여 움직이면서, 회전중의 릴리이스 레버(5)나 다이어프램스프링을 밀어 클러치를 끊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릴리이스 베어링(4)은 베어링 칼라(7)에 압입되어 있다.
그러나, 릴리이스 포오크(3)의 작동으로 클러치를 끊고자 할 때 탄성을 가지면서 전후로 움직여 이동충격을 완화하는 막 스프링(13)과 포오크 리테이너(11)와 연결되어 베어링(3)을 지지하는 베어링 리테이너(12)가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조립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막스프링과 베어링 리테이너를 일체로 구성하여 설치하므로써 구성 부품수가 감소됨은 물론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는 볼 베어링과, 상기 볼 베어링이 내장된 베어링 케이스와, 릴리이스 포오크와 연결되는 포오크 리테이너와, 상기 베어링 케이스를 지지하는 리테이너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베어링(25)과, 상기 볼 베어링(25)이 내장된 베어링 케이스(24)와, 제1도에서 릴리이스 포오크(3)와 연결되는 포오크 리테이너(21), 상기 베어링 케이스(24)를 지지하는 리테이너 스프링(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테이너 스프링(30)은 상기 포오크 리테이너(21)와, 베어링 케이스(24)사이에 위치되어 포오크 리테이너(21)와 연결되는 환형링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링부(32)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어링 케이스(24)의 외주면 위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다리부(34)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다리부(34)의 끝단부에 외향절곡편(34a)가 형성되어, 상기 외향절곡편(34a)은 상기 포오크 리테이너(21) 위치와 대항되는 베어링 케이스(24)의 측면을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주요부인 리테이너 스프링의 설치는 포오크 리테이너(21) 쪽에서 베어링의 전진방향, 즉 제1도를 참고하여 릴리이스 레버(5)나 다이어프램 스프링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베어링 케이스(24)를 감싸듯이 조립하면 된다.
상기 릴리이스 포오크(3)에 의해 클러치를 끊을 때 릴리이스 베어링(4)이 릴리이스 레버(5)나 다이어프램을 밀게 되고, 이때 리테이너 스프링(30)에 형성되는 탄성다리부(34)의 외향절곡편(34a)가 갖는 탄성에 의해 릴리이스 베어링(40)의 이동충격이 감소된다.
그리고 리테이너 스프링의 환형링부(32)는 종래의 베어링 리테이너와 같이 포오크 리테이너와 연결되어 릴리이스 베어링(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는 막스프링과 베어링 리테이너가 일체로 형성된 리테이너 스프링(30)이 구성되어 조립부품수가 절감되고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볼 베어링과, 상기 볼 베어링이 내장된 베어링 케이스와, 제1도에서 릴리이스 포오크와 연결되는 포오크 리테이너와, 상기 베어링 케이스를 지지하는 리테이너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스프링은 상기 포오크 리테이너와, 베어링 케이스사이에 위치되어 포오크 리테이너와 연결되는 환형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링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어링 케이스의 외주면 위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다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다리부의 끝단부에 외향절곡편이 형성되어, 상기 외향절곡편은 포오크 리테이너 위치와 대항되는 베어링 케이스의 측면을 압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
KR2019960030086U 1996-09-19 1996-09-19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 KR0136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086U KR0136981Y1 (ko) 1996-09-19 1996-09-19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086U KR0136981Y1 (ko) 1996-09-19 1996-09-19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54U KR19980016754U (ko) 1998-06-25
KR0136981Y1 true KR0136981Y1 (ko) 1999-03-20

Family

ID=1946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086U KR0136981Y1 (ko) 1996-09-19 1996-09-19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9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6059B (zh) * 2022-11-28 2024-05-10 陕西法士特齿轮有限责任公司 一种双工位后盖总成装配生产线及装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54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23924A (ko) 릴리즈력을 돕기 위한 보조 스프링을 구비한 마찰 클러치
KR0136981Y1 (ko) 클러치의 릴리이스 베어링 조립구조
KR200285108Y1 (ko) 클러치의 릴리이즈 포크 지지 구조
JP3804160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KR100244957B1 (ko) 와이어링 지지 칼라 및 당김형 클러치의 릴리스 장치
KR200191183Y1 (ko) 장착이 용이한 릴리즈 포크
KR200171629Y1 (ko) 클러치 케이블의 체결선단부구조
JP2536953Y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装置
KR0163677B1 (ko) 클러치카바 조립체
KR19990015553U (ko) 클러치의 릴리이즈 포크용 풀크럼
KR19990000811U (ko) 클러치 릴리스 포크
KR200184820Y1 (ko) 클러치 구조
KR100369025B1 (ko)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 조립체
KR200171204Y1 (ko) 클러치 커버에서 아답터 조립체의 스냅링 이탈 방지 기구
KR19980050701U (ko) 비윤활식 클러치 릴리이스 베어링
KR200147469Y1 (ko) 자동변속기용 킥다운 브레이크
KR100229401B1 (ko) 차량용 클러치 릴리즈시스템
KR19980054619U (ko) 스냅 링 탈거용 공구
KR20020052286A (ko) 클러치 리테이너구조
KR100219325B1 (ko) 자동차 클러치의 릴리스 레버
JP2005030498A (ja) 車両用クラッチのレリーズ機構
JPH0680928U (ja) 自動調心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KR19980041913U (ko) 자동차의 클러치 릴리스 포크의 힌지 결합구조
KR19990020790U (ko) 유압 작동식 클러치 구조
KR19980021085U (ko) 자동차의 클러치 본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