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162Y1 - 닥터블레이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닥터블레이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162Y1
KR0136162Y1 KR2019920010080U KR920010080U KR0136162Y1 KR 0136162 Y1 KR0136162 Y1 KR 0136162Y1 KR 2019920010080 U KR2019920010080 U KR 2019920010080U KR 920010080 U KR920010080 U KR 920010080U KR 0136162 Y1 KR0136162 Y1 KR 0136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tor blade
doctor
roller
main body
develop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10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294U (ko
Inventor
마사도시 다까노
사또루 모리사와
Original Assignee
마쓰모도 도오루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모도 도오루,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모도 도오루
Publication of KR930001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2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1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02Developer
    • G03G2215/0604Developer solid type
    • G03G2215/0607Developer solid type two-component
    • G03G2215/0609Developer solid type two-component magnetic brus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그 외주에는 자기 브러시가 형성된 현상로울러를 포함하는 현상장치의 본체에 닥터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닥터 블레이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며, 닥터 블레이드는 자기브러시의 높이를 균등한 수준으로 설정하기위해 닥터 블레이드의 말단과 현상로울러의 외주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닥터갭을 가지고 현상로울러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장착구조에는 닥터 블레이드가 부착된 강성지지부재와 강성지지부재를 현상장치의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구비한다.
닥터 블레이드는 지지판을 통해 현상장치의 본체에 장착된다.

Description

닥터 블레이드 장착구조
제1도는 본고안에 따른 닥터 블레이드 장착구조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현상장치가 구비된 전자사진 팩시밀리 장치의 개략 종단면도.
제2도는 현상장치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체에 지지판을 고정시키는 나사의 중심부위에서의 단면도.
제4도는 닥터 블레이드를 지지판에 고정시키는 나사의 중심부위에서의 단면도.
제5도는 블레이드 조절나사의 중심부위에서의 단면도.
제6도는 현상로울러가 제거된 상태의 측판의 개략도.
제7도는 더미로울러의 장착상태의 정면도.
제8도는 현상로울러의 장착상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치본체 30 : 급지부
50 : 판독헤드 60 : 기록부
61 : 감광드럼 65 : 현상장치
67 : 정착장치 70 : 현상로울러
80 : 지지판 83 : 블레이드조절나사공
90 : 닥터 블레이드 650 : 하우징
653 : 지지판장착베이스 655 : 슬릿
700 : 더미로울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전자사진법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닥터 블레이드를 장착시키는 닥터 블레이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부터 표면을 광도전체로 형성한 감광드럼의 표면을 노광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잠상에 토너를 부착시켜 형성하고, 이 토너를 기록용지에 전사함과 동시에 정착장치에 의해 정착시키는 소위 전자사진법을 이용한 전자복사기나 레이저빔 프린터등의 화상형성장치가 알려져있다.
전자사진법의 현상방법에 관하여 여러 가지 방식이 고안되었으나 자석에 의해 쇄상으로 배열된 자성체 캐리어(자기브러시)에 의해 대전토너를 정전잠상에 공급하는 자기브러시법이라고 부르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자기브러시법은 비자성의 토너와 자성체의 캐리어를 소정비율로 혼합한 2성분의 현상제를 사용하는데, 근래에 1성분계 하전형 자성토너를 사용함과 동시에 현상로울러에 미리 자성체 캐리어를 부착시켜두는 소위 1.5성분현상이라고 부를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자기브러시법을 적용하는 현상장치는, 자기로울러의 외주에 비자성체의 슬리이브를 회전가능하게 삽입한 현상로울러를 구성하고, 현상로울러의 슬리이브를 회전시켜서 토너를 순차적으로 현상구역에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양호한 현상을 행하기 위해서는 자기브러시의 높이를 고정밀도로 균일하게 배치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위해 현상로울러의 외주(슬리이브의 외주)에 대향시킨 평판상의 닥터 블레이드를 설치함과 동시에 닥터 블레이드의 선단과 현상로울러의 외주사이에 소정간극(닥터갭)을 설정하고, 이것에 의해 자기브러시의 높이를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닥터 블레이드의 조절은 현상로울러의 외주와 닥터 블레이드의 선단과의 사이에 설정되는 닥터갭과 동등한 두께를 가진 게이지를 끼워서 닥터 블레이드를 균등하게 압압시켜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행해진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평판상의 닥터 블레이드를 현상로울러의 종방향 전장에 걸쳐서 균일한 닥터 블레이드 갭으로 조절하여 고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하는 문제점이 있다. 평판상의 세장한 닥터 블레이드는 그 자체가 변형되기 쉬우므로 직선정밀도나 비틀림등의 가공정밀도의 유지가 곤란하며, 강성을 지니도록해서 변형을 방지하는 것은 두께를 두껍게 하는등 단면형상을 크게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단면형상을 크게 하는 것은 현상장치를 대형화시키고 또한 이 현상장치를 사용하는 하상형성장치 전체의 대형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그 결과 변형이 용이한 닥터 블레이드를 현상로울러 외주에 수평으로 맞닿게하거나 골정시킨 게이지에 그 전장에 걸쳐서 균등한 압압력으로 맞닿게함과 동시에 복수의 체결나사로 고정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조정작업은 번거롭고 고정밀도로 설정조절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이상의 사실을 고려하여 닥터 블레이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장치의 닥터 블레이드 및 닥터갭의 조정을 용이하고 정확히 수행할 수 있는 닥터갭 조절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한특징에 따른 닥터 블레이드 장착구조는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그 외주표면상에는 자기 브러시가 형성된 현상로울러를 포함하는 현상장치의 본체에 닥터 블레이드를 장착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닥터 블레이드는 상기 닥터 블레이드의 말단과 현상로울러의 외주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극을 가지고 현상로울러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자기브러시의 높이를 일정하게 설정하며, 닥터 블레이드의 장착구조는 상기 닥터 블레이드가 부착된 강성지지판과, 상기 강성지지판을 상기 장착장치의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며, 이로써 상기 닥터 블레이드는 상기 지지판을 통해 상기 현상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닥터 블레이드가 강성지지판에 의해 본체에 장착되므로, 닥터 블레이드는 강성으로 만들 필요가 없으며 얇은 두께를 가지며, 그 직선 정밀도는 지지판에 의해 유지되므로, 용이하게 가공되어서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닥터 블레이드 장착구조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기 닥터 블레이드와 강성지지판 사이에 구비된 닥터갭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닥터 블레이드를 상기 현상로울러로 접근 또는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닥터갭을 조절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닥터 블레이드의 정밀한 조절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조절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개선된다.
전술한 목적이나 특징 또는 기타 본 고안의 장점들은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파악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닥터 블레이드 장착구조의 일실시에가 적용된 현상장치가 구비된 전자사진 팩시밀리 장치의 개략 종단면도로서 도면의 우측은 장치의 전방부에 해당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팩시밀리 장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상부를 덮는 상부구성체(20)로 구성된다. 급지부(30)가 본체(10)의 후방상부에 배치되어 수신정보가 기록될 기록용지나 전사될 정보가 수록된 원고가 장치에 이송 또는 도입된다.
상부구성체(20)의 상부표면은 장치의 전방단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하향경사되며 표시패널, 조작버튼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3)가 그 위에 배치된다.
판독헤드(50)가 상부구성체(20)에 포함되며, 전사될 원고가 급지부(30)로부터 상부구성체(20)를 통하여 이송되어 원고에 기록된 정보가 판독헤드(50)에 의해 판독된다.
여러 가지 전자사진용 작동기구를 구비한 기록부(60)가 본체(10)내에 수용되며, 수신정보가 출력될 기록용지가 본체(10) 및 상부구성체(20)사이의 급지부(30)로부터 기록부(60)로 이송되어 여기서 수신정보가 기록된다.
각각의 장치등은 이하에 자세히 설명된다.
급지부(30)는 급지부(30)의 기록용지도입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기록용지 카세트(40)를 가진 카세트장착부(31)와, 카세트 장착부(31)의 전방단부(제2도의 우측)에 위치된 원고호울더(32)로 구성되고, 카세트(40)는 수신정보가 기록될 기록용지를 담고 있다.
카세트 장착부(31)는 카세트장착부(31)에 장착된 기록용지카세트(40)에 담긴 기록용지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기록용지도입로울러(33)를 가지며, 기록용지도입로울러(33)는 도시안된 구동모우터에 의해 회전가능하다.
상부구성체(20)는 상부구성체(20)의 프레임으로서 패널프레임(21)으로부터 장치의 후방단부로 뻗으며, 본체(10)의 후방상부에 위치된 선회축(11)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암(21a)과, 상부구성체(20)의 상부표면을 구성하며 급지부(30)쪽의 상부구성체(20)의 단부에서 핀(25)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패널(22)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조로 해서 상부구성체(20)는 조작패널(22)과 함께 선회개폐가능하며, 조작패널(22)은 상부구성체(20)와 독립적으로 선회개페가능하게 된다.
조작패널 기판(22a) 이 조작패널(22)의 안쪽(아래쪽)을 따라 부착되며, 상부 원고안내판(22b) 이 조작패널기판(22a)의 안쪽(본체 10쪽)에 배치되며, 판독헤드(50)가 상부원고안내판의 원고도입부쪽(급지부 30쪽)에 근접배치된다.
판독헤드(50)는 헤드프레임(53)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밀착접촉식 판독센서(51)와 원고도입로울러(52)로 구성되며, 조작패널(22)은 핀(25)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며, 패널프레임(21)도 또한 핀(25)에 의해 지지되고, 원고도입로울러(52)는 급지부(30)쪽에 배치된다.
패널프레임(21)은 상부 원고안내판(22b)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인 하부원고 안내판(21b)과, 판독헤드(50)의 판독센서(51)에 해당하는 위치에 놓인 이송로울러(26) 및 판독헤드(50)에 해당하는 위치에 놓인 하부도입부 안내부재(21c)를 각각 구비한다.
하부도입부안내부재(21c)의 후방단부(급지부(30)에 인접하는 쪽)은 급지부(30)의 원고호울더(32)에 근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가압지지판(21d)이 하부도입부 안내부재(23c)의 원고도입로울러(5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압지지판(21d), 원고도입로울러(52)에 의해 그 아래쪽으로부터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한쌍의 배지로울러(27)가 하부 원고안내판(21b)의 길이방향의 대략중간에 배치되며 하부원고안내판(21b)의 상부면 위초 약간 돌출하는 하부로울러(27a)와 하부로울러(27a)의 돌출된 상부면에 맞닿는 상부로울러(27b)로 구성된다.
조작패널(22) 및 패널프레임(21)의 이러한 구조로해서, 원고통로가 조작패널(22)쪽의 원고안내부재(판독센서(51) 및 상부 원고안내판(22b))와 패널프레임(21)쪽의 원고안내부재(하부도입부 안내부재(21c), 가압지지판(21b) 및 하부원고안내판(21b))사이에 형성된다. 판독헤드(50)의 원고도입로울러(52), 패널프레임(21)의 이송로울러(26) 및 한쌍의 배지로울러(27)중의 하부로울러(27b)는 도시안된 구동모우터에 의해 소정의 원조속도로 구성되어 원고호울더(32)에 놓인 원고를 제2도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이송경로를 따라 원고통로를 통해 이송하며, 원고에 기록된 정보가 판독헤드(50)에 의해 읽혀져서 기록된다. 좀더 상세히는 원고호울더(32)에 놓인 원고는 원고도입로울러(52)에 의해 상부구성체(20)로 도입되고 이송로울러(26)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원고의 상부면에 기록된 정보가 판독센서(51)에 의해 읽혀지며, 이후에 원고는 한쌍의 배지로울러(27)에 의해 이송되어 본체(10)의 전방단부를 통해 배출된다.
전술한바와같이 판독헤드(50)는 원고이송통로상에 배치되고, 원고는 기록된 정보가 위를 향하도록 원고호울더(32)에 놓이며, 원고가 이송됨에 따라 정보가 읽혀지고 원고는 그 상태로 배출된다.
한편, 본체(10)는 전술한 바와같이 전자사진용 여러 가지 작동기구를 구비한 기록ㄹ부(60)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는 광도전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청소하는 크리닝기구(62), 감광드럼(61)의 표면에 광도전체를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코로나대전기(63), 감광드럼(61)의 표면을 화상정보에 따라 온오프되는 레이저빔으로 노광주사하는 주사광학기구(64), 노광에 의해 전기대전을 제거함에 의해 잠상이 형성된 광도전체의 일부를 토너를 부착시킴으로써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현장장치(65), 도시안된 구동모우터에 의해 소정의 원주속도로 구동되는 감광드럼(61)의 둘레에서 기록용지를 대전시킴으로써 기록용지상에 토너화상을 전사시키는 전사대전기(66), 및 전사대전기(66)에 의해 토너화상이 전사된 기록용지가 이송되는 위치에 배치된 정착장치(67)등이 배치된다.
크리닝기구(62)는 탄성부재로 형성되고 감광드럼(61)의 표면과 접촉하며, 감광드럼(61) 및 코로나 대전기(63)와 함께 단일 프레임상에 장착되어 감광드럼장치(61a)의 일부를 이루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현상장치(65)는 본체하우징(650)과 현상로울러(70)로 구성되고 본체하우징은 여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65c)를 가지며, 현상로울러는 자기로울러가 삽입되고 그 전방 및 후방의 일측에서 본체하우징(65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원통형 슬라이브를 가진다.
본체하우징(650)은 현상로울러(70)와 평행하여 제1도의 토노카트리지(65c)의 우측에 해당하는 용기의 상부위치에 놓인 지지축(12)을 가진다.
현상장치(65)는 본체(10)의 도시안된 샤시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축(12)주위로 선회되며, 현상로울러(65b)는 장치에 대해 후방측에서 감광드럼(61)에 대해서 근접하여 지지축(12)의 대향단이 샤시에 상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U자형 홈에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주사광학기구(64)는 화상정보에 따라 온오프되는 레이저빔으로 감광드럼(61)의 표면에 주사시키는 주사광학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요소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요소는 프레임(64a)에 장착됨으로써 일체로 배열된다.
또한, 주사광학기구(64)는 현상장치(65) 및 급지부(30)밑의 본체 샤시(10a)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주사광학기구(64)로부터의 레이저빔은 코로나대전기(63) 및 현상장치(65)사이를 통과하여 감광드럼(61)에 방사되어 감광드럼(61)을 주사한다. 전사대전기(66)는 상부구성체(21)의 패널프레임(21)에 의해 감광드럼(61)위에 지지된다.
정착장치(67)는 소정온도로 가열되는 가열로울러(67a)와 장치의 전방단부쪽에서 가열로울러(67a)의 상방에 비스듬히 위치되며 그 상부면에서 본체샤시(10a)의 소정위치에 고정된 가압로울러(67b)로 구성된다.
가열로울러(67a)는 감광드럼(61)과 동기적인 원주속도로 회전하여 정착위치가 정착작용을 수행함과 더불어 기록용지를 반드시 이송하도록 한다.
또한 현상장치(65)의 토너캐리지(65c)의 경사상부면은 소정간격으로 상부구성체(20)의 패널프레임(21)의 하부도입부 안내부재(21c)의 하측에 배치된 상부 기록용기안내판(21e)에 근접배치되고, 패널프레임(21)의 하부원고안내판(21b)의 하부면에 배치된 기록용지이송경로 규제판은 감광드럼(61)과 그사이에 놓인 정착장치(67)위에 위치되며 전사대전기(66)로부터, 장치전방단부쪽의 전사대전기(66)의 비스듬한 하방에 위치된 정착장치(67)쪽을 향해서 원호형상을 취한다. 더욱이, 한쌍의 로울러(69)는 현상장치(65)의 지지축이 삽입된 로울러(69b)와, 로울러(69b)에 대해 상부구성체(20)상에 배치된 이송로울러(69a)로 구성되며, 이송로울러(69a)는 도시안된 구동모우터에 의해 감광드럼(61)과 동일한 원주속도로 회전한다.
기록장치(60) 및 상부구성체(20)의 이러한 구조로인해 기록용지이송경로가 기록장치(60)의 상부면(토너카트리지(65c)의 상부면)의 기록용지안내부재와 상부구성체(20)의 하부면상의 기록용지 안내부재(상부기록용지 안내판(21e) 및 기록용지 이송경로 규제판(21f))사이에 형성되며, 급지부(30)의 카세트 장착부(31)에 장착된 기록용지 카세트에 수용된 기록용지는 제4도의 2점쇄선으로 도시된 이송경로를 따라서 기록용지 이송되어 수신정보가 기록장치(60)에 의해 각각의 기록용지의 하면에 프린트된다.
좀더 상세히는 기록용지카세트(40)에 수용된 기록용지는 순차적으로 카세트 장착부(31)의 기록용지도입로울러(33)의 회전에 의해 최상부의 것부터 기록용지 이송경로로 도입되며, 한편 감광드럼(61)의 대전표면은 수신문자나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되어 주사광학기구(64)에서 방사되는 레이저빔에 의해 그 회전축방향으로 메인스케닝(노광)되며, 동시에 감광드럼(61)이 회전되며(서브스캐닝), 현상장치(65)는 감광드럼(61)의 표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시켜서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토너화상은 감광드럼(61)의 원주속도와 동기적인 속도로 한쌍의 구동로울러(69)에 의해 이송되며 전사대전기(66)에 의해 대전된 기록용지에 전사되며, 나아가 정착장치(67)에 의해 토너화상이 기록용지상에 전사되고, 기록용지는 장치의 전방으로 배출된다.
다음에 닥터 블레이드(90)가 장착된 현상장치(65)가 본 고안에 따른 현상장치의 닥터 블레이드 장착구조 및 닥터갭조절구조의 실시예를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2도는 현상장치(65)용 닥터 블레이드(90)의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제1도와 관련해서 전술된 토너카트리지(65c)는 제2도에서는 편의상 제거된 것이다.
제2도의 현상장치는 베어링(72)으로 본체하우징(650)의 좌우측벽(651,651)에 의해 드 대향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현상로울러(70)의 외주는 하우징(65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652)를 통해 소정범위만큼 노출되며 저장된 토너가 이 노출부분을 통해서 제2도에서는 도시안된 감광드럼의 표면에 공급된다.
각각 체결나사공(654)이 형성된 지지판 장착 베이스(653)가 하우징(650)의 측벽(651,651)에 근접한 부분에 개구부(652) 밑에 형성된다.
지지판(80)은 그 대향단에서 나사(101)에 의해 지지판 장착베이스(653)에 장착되며, 또한 닥터 블레이드(90)가 복수개의 나사(102)로써 지지판(80)에 고정된다. 지지판(80)은 강성재료, 예를들면 금속재료, 특히 스테인레스스틸등으로 제작된다.
지지판(80)은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진 단면과, 양 지지판 장착페이스(653)를 커버하는 길이(현상로울러(70)의 현상구역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또한 높은 강성을 가져서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부착공(81)이 지지판(80)의 대향단부에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블레이드 장착 나사공(82)이 소정간격으로 이들 부착공(81)사이에서 두께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블레이드 조절나사공(83)이 블레이드 장착 나사공(82)에 근접하여(블레이드 나사공(82)에 수직방향으로) 지지판(80)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다. 제3도의 이부분의 부분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지지판(80)은 부착공(81)을 관통하여 지지판장착베이스(653)의 체결나사공(654)과 나사결합하는 나사(101)에 의해 하우징(650)에 장착된다. (표면에 지지판장착 베이스(653,653)가 접촉하는) 하우징(650)에 장착된 지지판(80)의 외부표면 높이의 평면은 현상로울러(70)의 회전중심을 통과한다.
또한 블레이드조절부재인 블레이드 조절나사(103)는 지지판(80)의 후방단부(하단부쪽)로부터 블레이드 조절나사공(83)과 나사결합된다.
닥터 블레이드(90)는 그 상부를 따라 예각으로 형성된 상부에지(91)를 가진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장착슬롯(92)이 지지판(80)의 블레이드 장착나사공(8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각각 닥터 블레이드(90)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닥터 블레이드(90)는 장착슬롯(92)을 관통하며 블레이드 장착나사공(82)과 나사결합하는 체결나사(102)에 의해 지지판(80)에 고정된다.
제4도에서 체결나사(102)으 중앙부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현상로울러(70)의 외주와 닥터 블레이드(90)사이의 소정간격을 가지고 지지판(80)에 정상적으로 닥터 블레이드(90)가 장착될 때, 그 후방에지(하단에지)는 지지판(80)의 후방에지면(하단에지면)에서 아래로 돌출하며, 제5도의 블레이드 조절나사(103)의 중앙부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레이드 조절나사(103)의 나사머리의 플랜지부는 닥터 블레이드(90)의 돌출된 후방단부면에 맞닿는다. 좀더 상세히는 닥터 블레이드(90)와 각각의 블레이드 조절나사공(83)과 나사결합되는 각각의 블레이드조절나사(103)는 블레이드조절나사공(83)과 나사결합에 의해 조정되는 블레이드 조절나사(103)의 나사머리의 이동구역이 닥터 블레이드(90)와 간섭하게되는 위치관계로 설정된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현상로울러(70)의 반경에 소용의 닥터갭을 더해서 얻어지는 반경을 가진 더미로울러(700)가 현상로울러(70)를 대신해서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더미로울러(700)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결과적으로 닥터 블레이드(90)가 적절히 장착되면, 그 에지(91)는 더미로울러(700)의 외주에 대해 맞닿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해서 닥터 블레이드(90)는 장착슬롯(92)의 범위내에서 이동가능하지만 낙하되지 않는 상태에서 체결나사(102)에 의해 지지판(80)에 일시적으로 장착되며, 그 후방단부로부터 지지판(80)의 블레이드 조절나사공(83)과 나사결합하는 블레이드 조절나사(103)의 나사머리는 닥터 블레이드(90)의 후방단부에 맞닿으며, 블레이드 조절나사(103)의 나사부길이는 닥터 블레이드(90)가 블레이드 조절나사(103)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조절된다.
그 결과, 닥터 블레이드(90)는 조절을 위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써 닥터갭은 매우 용이하고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닥터 블레이드(80)는 체결나사(102)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90)를 지지판(80)에 일시적으로 장착되는 방법으로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나사(101,101)로 지지판(80)을 하우징(650)에 장착하거나, 나사(101,101)로 지지판(80)을 하우징(650)에 장착하는 방법, 그리고 닥터 블레이드(90)를 체결나사(102)로 지지판(80)에 장착하는 방법등이 작업성을 고려하여 선태될 수 있다.
한편, 감광드럼(70)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제6도와 같이 베어링(72)이 결합되는 장착공(656)이, 현상로울러(70)가 지지되는 하우징(650)의 측벽(651,651)에 형성되며, 이로써 현상로울러(70)는 장착공(656)에 결합된 베어링(72)을 통해 하우징(65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장착공(656)은 베어링(72)의 직경보다 작고 더미로울러(700)의 축(701)보다 큰 소정폭(W)를 가진 슬릿을 통해 전방으로 개방된다.
현상로울러(70)의 반경에 소요의 닥터갭을 더한 반경을 가진 더미로울러(700)는 정착로울러(70)와 동일한 방법으로 슬릿(655)을 통해 장착공(656)에 장착될 수 있다.
좀더 상세히는 하우징(650)(측판(651))에 장착된 더미로울러(700)의 정면도에 도시된바와같이, 더미로울러(700)는 그 대향단부에서 돌출하며, 슬릿(655)의 폭(W)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축(701,701)을 가지며, 베어링(710)은 이들 축(701)에 장착되고, 각각의 베어링(710)은 베어링본체(711)보다 큰 직경의 칼라(712)를 가진다.
제7도에서 각각의 베어링(710)이 그 좌측에 위치된 칼라에 장착된다.
또한, 각각의 축(701,701)의 부분(702)이 베어링(710)의 칼라(712)의 대향 쪽에 폭(X)만큼 노출된다. 폭(X)은 측벽(651)의 두께보다 크며, 축(701)의 대향쪽에서 노출된 부분(702)사이의 간격(ℓ)은 측벽(651)사이의 간격(L)과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구조로해서, 더미로울러(700)는 노출부(702)가 측벽(651)의 슬릿(655)에 대응하도록 장착공(656)내에 위치된후 베어링(710)을 측벽(651)을 향해 접근시켜서 베어링본체(711)가 장착공(656)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더미로울러(700)를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고, 또한(더미로울러(700)를 제7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전술한 과정을 역으로 시행함으로써 용이하게 더미로울러(700)를 제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닥터 블레이드(90)는 더미로울러(700)가 장착공(656)에 장착시키고, 닥터 블레이드(90)를 전술한 조절방법에 의해 더미로울러(700)의 외주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균등하게 접촉시킨후, 체결나사(102)를 조여서 닥터 블레이드(90)를 지지판(80)에 고정시킴으로써 닥터 블레이드(90)를 장착시킬 수 있다.
좀더 상세히는 닥터 블레이드(90)의 조절은 블레이드 조절나사(103)를 나사조절하여 닥터 블레이드(90)를 그 나사머리로써 닥터 블레이드(90)의 에지가 더미로울러(700)의 전체외주에 대해서 균일하게 맞닿을때까지 상향으로 밀고나서, 체결나사(102)를 조임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90)를 지지판(80)에 고정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서 완료된다.
블레이드 조절나사(103)는 조절완료후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닥터갭이 조절된후에, 더미로울러(700)는 하우징(650)으로부터 제거되고 현상로울러(70)가 측판(651)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축(71)은 베어링(72)이 장착안된 상태에서 슬릿(655)을 통해 장착공(656)에 위치설정되며, 각각의 베어링(72)은 측판(651)의 외부로부터 축(71) 및 장착공(656)과 결합되고, E 링과 같은 베어링 미끄럼빠짐방지부재(73)가 베어링(72)의 외부에서 여기에 근접하여 축(71)에 부착되어, 베어링(72)이 낙하되지않고 현상로울러(70)의 외주와 닥터 블레이드(90)의 사이에 소정의 닥터갭이 설정되도록 베어링(72)이 장착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에 따른 현상장치용 스크레이퍼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자사진용 팩시밀리 장치에 대해 적용되었지만 본 고안은 여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복사기의 현상장치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그 외주에는 자기브러시가 형성된 현상로울러를 포함하는 현상장치의 본체에 닥터 블레이드를 장착하며 상기 닥터 블레이드는 자기브러시의 높이를 균등한 수준으로 설정하기위해 상기 닥터 블레이드의 말단과 현상로울러의 외주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닥터갭을 가지고 현상로울러에 대향해서 배치된 닥터 블레이드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닥터 블레이드 장착구조는, 상기닥터 블레이드가 부착된 강성지지부재, 상기 닥터 블레이드를 상기 현상장치의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상기 닥터 블레이드와 상기 강성지지부재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로울러에 접근 및 후퇴하는 상기 닥터 블레이드에 의해서 상기 닥터 갭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닥터 블레이드와 상기 강성지지부재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 닥터 갭조절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닥터 블레이드는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현상장치의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닥터 갭조절수단은 현상로울러의 외주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또한 상기 닥터 갭의 량이 닥터 블레이드 조절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되도록 상기 강성지지부내에 제공된 닥터 블레이드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닥터 블레이드 조절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아래쪽 단부표면내에서 나사결합되는 나사를 포함하고 있으며, 평면에 배치된 상기 닥터 블레이드는 상기 현상로울러의 회전중심축선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현상로울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하단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나사는 상기 나사의 헤드부분이 상기 닥터 블레이드의 하부후방 부분을 조절하도록 제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터 블레이드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지지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터 블레이드 장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지지부재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터 블레이드 장착구조.
KR2019920010080U 1991-06-07 1992-06-08 닥터블레이드 장착구조 KR013616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73726 1991-06-07
JP073726U JPH0714458U (ja) 1991-06-07 1991-06-07 現像装置のドクターブレード装着構造及びドクターギャップ調整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294U KR930001294U (ko) 1993-01-21
KR0136162Y1 true KR0136162Y1 (ko) 1999-03-30

Family

ID=1352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10080U KR0136162Y1 (ko) 1991-06-07 1992-06-08 닥터블레이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03010A (ko)
JP (1) JPH0714458U (ko)
KR (1) KR0136162Y1 (ko)
DE (1) DE42186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3791U (ko) * 1974-04-18 1975-11-04
DE4243096C2 (de) * 1991-12-20 1997-07-17 Fujitsu Ltd Entwicklungsvorrichtung zur Verwendung eines Zwei-Komponenten-Entwicklers
JPH06282122A (ja) * 1992-04-16 1994-10-07 Canon Inc ブレード部材、ブレード部材取り付け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5556499A (en) * 1994-12-01 1996-09-17 Polaroid Corporation Delaminat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150173Y1 (ko) * 1995-12-13 1999-07-01 윤종용 현상기의 독터 갭 조정 장치
JPH11143226A (ja) * 1997-11-11 1999-05-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JPH11194604A (ja) * 1998-01-07 1999-07-21 Ricoh Co Ltd トナー担持体
US6021298A (en) * 1999-01-26 2000-02-01 Aetas Technology Corp. Embedded doctor blade arrangement
US6088564A (en) * 1999-08-13 2000-07-11 Xerox Corporation Translating tribocharging blade
US6078771A (en) * 1999-09-22 2000-06-20 Lexmark International, Inc. Low friction doctor blade
US6806014B2 (en) 2001-08-21 2004-10-19 Aetas Technology, Inc. Monocomponent developing arrangement for electrophotography
CN2692714Y (zh) * 2002-03-15 2005-04-1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显影器件、旋转显影单元、图像形成设备以及计算机装置
US6697594B1 (en) 2002-09-13 2004-02-24 Lexmark International, Inc. Doctor blade suppor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013104B2 (en) * 2004-03-12 2006-03-14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regulating system having toner regulating member with metallic coating on flexible substrate
US7424253B2 (en) * 2005-08-22 2008-09-09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metering device
JP5033434B2 (ja) * 2006-02-28 2012-09-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部品取付構造
JP4908894B2 (ja) * 2006-03-30 2012-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66070B2 (ja) * 2008-12-24 2011-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11242757A (ja) * 2010-04-20 2011-12-01 Canon Inc 規制部材、クリーニング部材、現像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8554733B (zh) * 2018-06-01 2023-10-27 中山市优绿智得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刮刀间隙调整机构
CN114055534A (zh) * 2021-12-17 2022-02-18 江苏科润膜材料有限公司 流延设备及精确调节校正生产全氟离子交换膜的流延刀
US11592761B1 (en) * 2022-01-26 2023-02-2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doctor blad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0043A (ko) * 1972-07-18 1974-03-18
JPS5574575A (en) * 1978-11-30 1980-06-05 Canon Inc Cleaning device
JPS5588087A (en) * 1978-12-27 1980-07-03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Cleaning device of copying machine or the like
JPS55113074A (en) * 1979-02-24 1980-09-01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Develop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ic copier
JPS55151673A (en) * 1979-05-17 1980-11-26 Canon Inc Developing device
DE3311890A1 (de) * 1982-03-31 1983-10-06 Ricoh Kk Entwicklungeinrichtung
DE3225006A1 (de) * 1982-07-03 1984-01-05 Develop Dr. Eisbein Gmbh & Co, 7016 Gerlingen Entwicklungseinrichtung fuer ein kopiergeraet o.dgl.
US4595280A (en) * 1982-12-02 1986-06-17 Ricoh Company, Ltd. Blade cleaning device
US5081504A (en) * 1988-12-28 1992-01-14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Drum cleaning unit for image recording apparatus
US5220129A (en) * 1989-03-20 1993-06-15 Fujitsu Ltd. Developing device used in electrophotographic field
JP2646393B2 (ja) * 1989-05-31 1997-08-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4151177A (ja) * 1990-04-10 1992-05-25 Asahi Optical Co Ltd トナー供給促進機構
JP2921913B2 (ja) * 1990-04-13 1999-07-19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法に於る現像装置のドクターギャップ調整方法及びその調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294U (ko) 1993-01-21
DE4218675A1 (de) 1993-01-21
JPH0714458U (ja) 1995-03-10
US5303010A (en) 199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6162Y1 (ko) 닥터블레이드 장착구조
US6101354A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a process cartridge is detachably mountable and such a process cartridge whose developing member is supported at a position which deviates from a developing position
US6131011A (en) Method of adjusting the mounting of cleaning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20044305A1 (en) Facsimile device utilizing process unit for electrophotographic device
US5291242A (en) Gear arrangement for development unit of imaging device
US4965639A (en) Toner supply cartridge for reproduction and printing machines
US5128716A (en) Method for adjusting a doctor gap of a development device in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6522854B2 (en) Developing apparatus preventing rotation between magnet and bearing
JP342676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転写装置
KR100196572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역전사 감소방법과 장치
JP342676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転写装置
US6839535B2 (en) Developing apparatus
JPH10133541A (ja) 作像ユニットの組立方法および作像ユニット
JPS58118659A (ja) 画像形成装置
JP3398007B2 (ja) 転写装置
JP3351673B2 (ja) 画像形成装置
JP4664052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268060B1 (ko) 현상기에서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간의 닙 유지장치
JPH08152781A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05392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864879B2 (ja) 紙送りローラの軸調整機構
JPH10293504A (ja) 画像形成装置
JP3272042B2 (ja) 画像形成装置の現像器
JP2967834B2 (ja) 画像形成装置
JPH054819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