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625B1 -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625B1
KR0135625B1 KR1019940703211A KR19940073211A KR0135625B1 KR 0135625 B1 KR0135625 B1 KR 0135625B1 KR 1019940703211 A KR1019940703211 A KR 1019940703211A KR 19940073211 A KR19940073211 A KR 19940073211A KR 0135625 B1 KR0135625 B1 KR 0135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valve
prime mover
valves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끼오 아오야기
가즈히꼬 오쓰보
겐 야스다
고지 후지다
다까유끼 야마가와
가즈요시 나리다
Original Assignee
오까다 하지메
하다찌 겐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021344A external-priority patent/JP27090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5087425A external-priority patent/JP3088584B2/ja
Application filed by 오까다 하지메, 하다찌 겐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까다 하지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17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with energy recovery arrangements, e.g. using accumulators, fly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39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two or more pumps with cross-as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46Control of prime movers, e.g. depending on the hydraulic load of work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원동기(1)가 구동상태일 때, 제어장치(25)가 개구(開口)구동신호를 출력하여 개폐밸브(23)가 개구상태로 되고, 조작레버(68 등)를 조작하면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감압밸브를 통해 전환밸브(8~16)의 구동부에 주어져서 전환된다. 따라서, 주유압펌프(3, 4)로부터의 압유의 유량과 흐름방향이 조절되어 액투에이터(57A, 57B, 57C, 56A, 54)를 조작량에 대응하는 속도로 작동시킬 수 있다. 원동기(1)가 비구동상태에서 액튜에이터(57A, 57B, 57C, 56A, 54)를 구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선택지령장치(24)에서 개구지령을 선택하면, 제어장치(25)가 개구구동신호를 출력하여 개폐밸브(23)에 의해 어큐뮬레이터(21)와 감압밸브(17)등과를 접속하는 관로를 개통시킨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작레버(68)를 조작하면 전환밸브(9)가 전환되고, 작업기(作業機)의 자중에 의해 붐실린더(57A)가 작동하여 작업기를 강하할 수 있다. 한편,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서 액튜에이터(57A, 57B, 57C, 56A, 54)를 구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선택지령장치(24)에서 폐지(閉止)지령을 선택하면, 제어장치(25)가 폐지구동신호를 출력하여 개폐밸브(23)엥 해 어큐뮬레이터(21)와 감압밸브(17)와를 접속하는 관로가 차단된다. 여기서, 조작레버(68)등을 잘못하여 건드렸을 때에도, 각 애튜에이터(57A, 57B, 57C, 56A, 54)는 작성하지 않고 작업기는 강하를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의도하지 않은 작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종래, 유압쇼벨의 유압구동장치로서, 원동기와, 이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주유압펌프와, 이 주유압펌프로부터 토출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주행모터, 선회모터, 붐실린더, 암실린더, 버킷실린더 등의 액튜에이터와, 주유압펌프로부터 각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환밸브와,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보조유압펌프와, 이 보조유압펌프로부터 토출하는 압유를 제어하여 상기 각 전환벨브를 조작하는 전환밸브조작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4(1992)-30038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형 유압쇼벨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성에 더하여 보조유압펌프와 전환밸브조작수단과를 접속하는 관로로부터의 분기관로에 축압(蓄壓)수단 즉 어큐뮬레이터를 설치한 것이 있다. 이것은 원동기의 정지후에도 필요에 따라서 전환밸브조작수단을 조작하면, 이 어큐뮬레이터로부터의 압유를 유압원으로 하여 해당하는 전환밸브를 전환하여, 해당하는 어큐뮬레이터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예를 들면 고장에 의해 원동기가 정지하여 공중에서 정지한 상태에 있는 작업기(作業機)를 조작에 의해 작업기의 자중(自重)으로 지상에 내리기 위해, 해당하는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려고 할 때, 또는 암·붐 등의 프론트부분을 교환하거나 또는 수송하기 위해 분해할 때, 그 분해에 앞서 전환밸브를 전환조작시켜서 해당하는 액튜에이터에 접속되는 관로계통내의 압유를 저압회로에 해방하여 압력을 빼고자 할 때 등에, 이 어큐뮬레이터는 활용되고 있다.
발명의 개시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원동기의 정지후에 잘못하여 오퍼레이터 등이 전환밸브조작수단을 건드렸을 때에는, 어큐뮬레이터로부터의 압유가 해당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되어 이 전환밸브가 전환되어, 어큐뮬레이터의 작동이 가능한 상태를 초래하는 수가 있고,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공중에 유지되어 있는 작업기의 중력에 의한 강하 등, 오퍼레이터가 의도하지 않은 어큐뮬레이터의 작동이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원동기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잘못하여 전환밸브조작수단을 건드렸을 때에도, 전환밸브가 전환되지 않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원동기와, 그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주유압펌프와, 그 주유압펌프로부터 토출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주유압펌프로부터 상기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환밸브와, 상기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보조유압펌프와, 그 보조유압펌프로부터 토출하는 압유를 제어하여 상기 전환밸브를 조작하는 전환밸브조작 수단과, 상기 보조유압펌프와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과를 접속하는 관로로부터의 분기관로상에 배설한 축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축압수단을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의 유압원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전환밸브를 전환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과, 상기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는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정지검출수단에서 상기 원동기의 정지상태가 검출되고 또한 상기 선택수단에서 상기 액튜에이터의 구동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축압수단에 의한 상기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유효로 하고, 상기 정지검출수단에서 상기 원동기의 정지상태가 검출되고 또한 상기 선택수단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의 비구동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축압수단에 의한 상기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무효로 하는 전환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따라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선택수단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선택함으로써, 정지검출수단에서는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되어 있으므로, 전환제어수단은 축압수단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유효하게 동작시킨다. 즉, 유압원으로서 축압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압유가 전환밸브조작수단을 통해 그 액튜에이터에 해당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된다. 따라서, 전환밸브조작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전환밸브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그 전환밸브에 대응하는 액튜에이터의 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예를 들면 그 액튜에이터가 공중에 유지되어 있는 작업기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작업기의 자중에 의해 액튜에이터가 구동하여 작업기를 강하시킬 수 있다.
한편,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선택수단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비구동을 선택함으로써, 정지검출수단에서는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되어 있으므로, 전환제어수단은 축압수단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무효로 한다. 즉, 이 때 오퍼레이터 등이 잘못하여 전환조작수단을 건드려도, 축압수단에 축적된 압유가 전환밸브조작수단을 통해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환밸브는 전환되지 않고 중립으로 유지되어, 대응하는 액튜에이터가 작동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정지검출수단에서 상기 원동기의 정지상태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보조유압펌프를 유압원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전환밸브를 전환한다.
이로써, 원동기가 구동상태에 있을 때에,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정지검출수단에서는 원동기의 정지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조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가 전환밸브조작수단을 통해 그 액튜에이터에 해당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전환밸브조작수단을 조작함으로써, 그 전환밸브에 대응하는 액튜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축압수단과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과를 접속하는 관로 및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과 상기 전환밸브와를 접속하는 관로중 한쪽에 설치된 밸브수단과, 그 밸브수단을 전환하여 상기 한쪽의 관로를 차단하는 수단을 가진다.
이로써, 축압수단내의 압유에 의한 파일롯압은 축압수단과 전환밸브조작수단과를 접속하는 관로의 도중에 있어서 밸브수단에서 차단되어 전환밸브조작수단에 전달되지 않거나, 또는 전환밸브조작수단까지는 전달되지만 전환밸브조작수단과 전환밸브와를 접속하는 관로의 도중에 있어서 밸브수단에서 차단되어 전환밸브조작수단에 전환밸브와를 접속하는 관로의 도중에 있어서 밸브수단에서 차단되어 전환밸브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축압수단과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과를 접속하는 관로상에 배설되어 그 관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가지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개폐수단을 개구(開口)상태로 되도록 구동시키는 개구지령 및 상기 개폐수단을 폐지(閉止)상태로 되도록 구동시키는 폐지지령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이것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지령수단이고,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정지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 및 상기 선택지령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개폐제어수단을 더 가진다.
이로써,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따라서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선택지령수단에 있어서 개폐수단을 개구상태로 되도록 구동시키는 개구지령을 입력함으로써, 이 개구지령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 및 정지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에 따라서 개폐제어수단에서 개폐수단의 구동이 제어되어, 개폐수단이 개구상태로 되어 축압수단과 전환밸브조작수단과를 접속하는 관로가 개통된다. 따라서, 전환밸브조작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축압수단내의 압유가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되어 전환밸브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선택지령수단에 있어서 개폐수단을 폐지상태로 되도록 구동시키는 폐지지령을 입력함으로써, 이 폐지지령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 및 정지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에 따라서 개폐제어수단에서 개폐수단의 구동이 제어되고, 개폐수단이 폐지상태로 되어 축압수단과 전환밸브조작수단과를 접속하는 관로가 차단된다. 따라서, 전환밸브는 전환되지 않고 중립으로 유지된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과 상기 전환밸브와를 접속하는 파일롯관로상에 배설되고, 상기 전환밸브를 중립으로 유지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전환밸브를 동작가능으로 하는 제 2 위치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환되는 보조전환밸브를 가지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보조전환밸브를 제 1 위치에 전환하는 전환지령 및 상기 보조전환밸브를 제 2 위치에 전환하는 전환지령을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이것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지령수단이고,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정지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 및 상기 선택지령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전환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보조전환밸브제어수단을 더 가진다.
이로써,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따라서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선택지령수단에 있어서 전환밸브를 동작가능으로 하는 제 2 위치에 전환하는 전환지령을 입력함으로써, 이 전환지령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 및 정지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에 따라서 보조전환밸브제어수단에서 보조전환밸브의 구동이 제어되고, 보조전환밸브가 제 2 위치에 전환되어 전환밸브조작수단과 전환밸브와를 접속하는 관로가 개통된다. 따라서, 전환밸브조작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축압수단내의 압유가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되어 전환밸브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원동기가 정시상태에 있을 때에,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선택지령수단에 있어서 보조전환밸브를 전환밸브를 중립으로 유지하는 제 1 위치에 전환하는 전환지령을 입력함으로써, 이 전환지령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 및 정지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에 따라서 보조전환밸브제어수단에서 보조전환밸브의 구동이 제어되고, 보조전환밸브가 제 1 위치로 되어 전환밸브조작수단과 전환밸브와를 접속하는 관로가 차단된다. 따라서, 전환밸브는 전환되지 않고 중립으로 유지된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과 상기 전환밸브와를 접속하는 파일롯관로상에 배설되고, 상기 전환밸브를 중립으로 유지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전환밸브를 동작가능으로 하는 제 2 위치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환되는 보조전환밸브와, 상기 정지검출수단에서 상기 원동기의 정지상태가 검출되지 않을 때에 상기 보조전환밸브를 상기 제 2 위치에 전환하는 수단을 가지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보조전환밸브를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의 어느 하나에 수동으로 전환하는 수단이다.
이로써, 원동기가 구동상태에 있을 때에,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정지검출수단에서 원동기의 정지상태가 검출되지 않음으로써, 보조전환밸브가 전환밸브를 동작가능으로 하는 제 2 위치에 전환되고, 전환밸브조작수단과 전환밸브와를 접속하는 파일롯관로가 개통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전환밸브조작수단을 조작함으로써, 보조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가 전환밸브조작수단을 통해 그 액튜에이터에 해당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되어, 전환밸브를 전환할 수 있다.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따라서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제 2 위치에 수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전환밸브조작수단과 전환밸브와를 접속하는 파일롯관로가 개통된다. 따라서, 전환밸브조작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축압수단내의 압유가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되어 전환밸브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정지검출수단에서 원동기의 정지상태가 검출되어 보조전환밸브는 전환밸브를 중립으로 유지하는 제 1 위치에 전환되어 있거나 또는 수동으로 보조전환밸브를 제 1 위치에 전환함으로써, 전환밸브조작수단과 전환밸브와를 접속하는 파일롯관로가 차단된다. 따라서, 전환밸브는 전환되지 않고 중립으로 유지된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을 동작불능으로 록하는 록수단을 가지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록수단을 록상태로 되도록 동작시키는 록지령 및 상기 록수단의 록상태를 해제하도록 동작시키는 록해제지령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이것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지령수단이고,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정지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 및 상기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상기 록수단의 동작으로 제어하는 록제어수단을 더 가진다.
이로써,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선택지령수단에 있어서 록수단을 록상태로 되도록 동작시키는 록지령을 입력함으로써, 이 록지령에 대응 한 선택지령신호 및 정지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에 따라서 록제어수단에서 록수단의 동작이 제어되고, 록수단이 록되어서 전환밸브조작수단이 동작불능으로 된다. 따라서, 전환밸브는 전환되지 않고 중립으로 유지된다.
한편,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따라서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선택지령수단에 있어서 록수단의 록상태를 해제하도록 동작시키는 록해제지령을 입력함으로써, 이 록해제지령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 및 정지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에 따라서 록제어수단에서 록수단의 동작이 제어되고, 록상태가 해제되어서 전환밸브조작수단이 동작가능으로 된다. 따라서, 전환밸브조작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조작축압수단내의 압유가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되어 전환밸브를 전환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레버와, 이 조작레버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압유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가지고, 상기 록수단은 상기 선택지령수단에 있어서 상기 록해제지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조작레버를 요동가능으로 하고, 상기 선택지령수단에 있어서 상기 록지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조작레버를 기계적으로 요동불능으로 록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이로써,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따라서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선택지령수단에 록해제지령을 입력하면 록수단에 의해 조작레버는 요동가능으로 되고, 이 조작레버를 오퍼레이터가 조작함으로써 그 조작에 따라서 유압구동장치가 제어밸브로부터 해당하는 전환밸브에 도입된다.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선택지령수단에 록지령을 입력하면 록수단에 의해 조작레버는 기계적으로 요동불능으로 록되므로, 전환밸브는 전환되지 않고 중립으로 유지된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은 전기적인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보조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 압력을 상기 전환밸브에 출력하는 감압밸브를 가지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감압밸브를 동작불능으로 하는 동작정지지령 및 동작가능으로 하는 동작지령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이것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지령수단이고,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정지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 및 상기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상기 감압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이로써,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따라서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선택지령수단에 있어서 전기적인 입력수단을 구비한 감압밸브를 동작가능으로 하는 동작지령을 입력함으로써, 이 동작지령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 및 정지검출신호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에 따라 전환제어수단에서 감압밸브의 동작이 제어되어 감압밸브는 전기적인 입력에 대응한 개상태로 된다. 따라서, 축압수단으로부터의 압유가 감압되어서 2차 압력이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되어 전환밸브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선택지령수단에 있어서 전기적인 입력수단을 구비한 감압밸브를 동작불능으로 하는 동작정지지령을 입력함으로써, 이 동작정지지령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 및 정지검출신호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에 따라서 전환제어수단에서 감압밸브의 동작이 제어되어 감압밸브는 폐상태로 된다. 따라서, 전환밸브는 전환되지 않고 중립으로 유지된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은 전기적인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함 2차 압력을 상기 전환밸브에 출력하는 감압밸브와, 오퍼레이터의 수동조작지령을 검출하여 이것에 대응한 전기적인 조작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조작검출수단과, 상기 조작지령신호에 따라서 상기 감압밸브의 입력수단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감압밸브구동수단을 가진다.
이로써, 오퍼레이터가 예를 들면 조작레버의 수동조작을 행하면, 조작검출수단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수동조작지령이 검출되어서 이것에 대응한 전지거인 조작지령신호가 출력되고, 그 조작지령신호에 따라서 감압밸브구동수단에 의해 감압밸브의 전기적인 입력수단에 구동신호가 출력되고, 그리고 감압밸브에 의해 보조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 압력이 전환밸브에 출력되어, 최종적으로 전환밸브를 조작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은 상기 보조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 압력을 상기 전환밸브에 출력하는 수동조작식의 감압밸브를 가진다.
이로써,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직접 감압밸브를 조작하여, 보조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 압력을 전환밸브에 출력하여 전환밸브를 조작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은 전기적인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 압력을 상기 전환밸브에 출력하는 감압밸브와, 오퍼레이터의 수동조작지령을 검출하여 이것에 대응한 전기적인 조작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조작검출수단과, 상기 조작지령신호에 따라서 상기 감압밸브의 입력수단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감압밸브구동수단을 가지고,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전원장치와 상기 감압밸브의 입력수단과를 접속하는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가지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개폐수단을 개상태로 하는 개동작지령 및 상기 개폐수단을 폐상태로 하는 폐동작지령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이것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지령수단을 가지고,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정지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 및 상기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상기 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개폐제어수단을 더 가진다.
이로써,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따라서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선택지령수단에 있어서 개폐수단을 폐상태로 하는 페동작지령을 입력함으로써, 이 폐동작지령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 및 정지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에 따라서 개폐제어수단에서 개폐수단의 구동이 제어되어, 개폐수단이 폐상태로 구동하여 전원장치와 감압밸브의 전기적인 입력수단과를 접속하는 회로가 연락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예를 들면 조작레버를 수동조작함으로써, 조작검출수단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수동조작지령이 검출되어서 이에 대응한 전기적인 조작지령신호가 출력되고, 그 조작지령신호에 따라서 감압밸브구동수단에 의해 감압밸브의 전기적인 입력수단에 구동신호가 출력되고, 그리고 감압밸브에 의해 축압수단으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 압력이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되므로, 최정적으로 전환밸브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선택지령수단에 있어서 개폐수단을 개상태로 하는 개동작지령을 입력함으로써, 이 개동작지령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 및 정지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에 따라서 개폐제어수단에서 개폐수단의 구동이 제어되어, 개폐수단이 개상태로 구동하여 전원장치와 감압밸브의 전기적인 입력수단과를 접속하는 회로가 차단된다. 따라서, 감압밸브의 전기적인 입력수단에 구동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전환밸브는 전환되지 않고 중립으로 유지된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지검출수단은 상기 원동기의 정지를 지령하는 정지지령이 입력되는 정지지령수단이거나, 또는 상기 원동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수단이거나, 또는 상기 원동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수단이거나, 또는 상기 주유압펌프 및 보조유압펌프중 최소한 한쪽의 토출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수단이거나, 또는 상기 원동기에 구비된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수단이어도 된다.
이로써, 원동기가 정시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의 실시예를 제 1 도~제 9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도를 제 1 도에 나타낸다.
제 1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는 원동기(1)와, 원동기(1)에 의해 구동도는 주유압펌프(3,4)와, 주유압펌프(3,4)로부터 토출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액튜에이터와, 주유압펌프(3,4)로부터 이들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환밸브(8~1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건설기계는 예를 들면 제 2 도에 나타낸 유압쇼벨을 대상으로하고 있으며, 전술한 액튜에이터는 예를 들면 프론트어태치멘트(53)의 일부인 붐(53a)의 승강을 행하는 붐실린더(57A), 암(53b)을 구동하는 암실린더(57B), 버킷(53c)을 구동하는 버킷실린더(57C)와, 하부주행체를 구동하는 우주행모터 및 좌주행모터(도시하지 않음), 상부선회체(54a)를 하부주행체(54b)에 대하여 선회시키는 선회모터(도시하지 않음)이다. 여기서, 제 1 도에 있어서는 번잡을 피하기 위해, 액튜에이터로서 전환벨브(9)에 의해 압유가 제어되는 붐실린더(57A) 및 전환밸브(10)에 의해 압유가 제어되는 암실린더(57B)만을 나타내고, 다른 액튜에이터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그 외의 액튜에이터에 대해서도 각각에 대응하여 전환밸브(8,11~16)가 배설되어 있으며, 이것들에 의해 각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가 제어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는 원동기(1)에 의해 구동되는 보조유압펌프(7)와, 이 보조유압펌프(7)로부터 토출하는 압유를 제어하여 각 전환밸브(8~16)를 조작하는 복수의 전환밸브조작기구(67, 69) 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전환밸브조작기구(67)는 감압밸브(17,18)와 이 감압밸브(17, 18)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조작레버(68)를 구비하고 있으며, 조작레버(68)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라서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 압력을 발생하고, 이것을 라인(9a, 9b)을 통해 출력하여 전환밸브(9)를 구동하여 전환밸브(9)의 개도(開度) 및 전환방향을 제어한다. 또 마찬가지로, 전환밸브조작기구(69)는 감압밸브(19, 20)와, 이 감압밸브(19, 20)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조작레버(70)를 구비하고 있으며, 조작레버(70)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라서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압력을 발생하고, 이것을 라인(10a, 10b)을 통해 출력하여 전환밸브(10)를 구동하여 전환밸브(10)의 개도 및 전환방향을 제어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기타 마찬가지로, 전환밸브(8, 11~16)의 각각에 대응한 감압밸브 및 그것들을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구비한 전환밸브조작기구도 배설되어 있다. 다음에, 감압밸브(17~20) 및 전환밸브조작기구(67, 69)에 대하여 설명할 때는, 이 도시하지 않은 감압밸브 및 전환밸브조작기구에 대해서도 같은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는 보조유압펌프(7)와 감압밸브(17~20)등과를 접속하는 관로로부터 분기한 분기관로상에(또는 특히 분기관로를 배설하지 않고 보조유압펌프(7)와 감압밸브(17~20)등과를 접속하는 관로에 접속하여 배설해도 됨)배설된 어큐뮬레이터(21)와, 어큐뮬레이터(21)로 부터 보조유압펌프(7)방향에의 흐름을 저지하고, 보조유압펌프(7)로부터 어큐뮬레이터(21)방향에의 흐름을 허용하는 체크밸브(22)와, 어큐뮬레이터(21)와 감압밸브(17~20)등과를 접속하는 관로상에 배설되어 그 관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23)와,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으로서의 정지지령장치(2)와,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는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으로서 배설되고, 개폐밸브(23)를 개구(開口)상태로 되도록 구동시키는 개구지령 및 개폐밸브(23)를 폐지(閉止)상태로 되도록 구동시키는 폐지지령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이것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지령장치(24)와, 논리판단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출력되는 정지지령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개폐밸브(23)를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25)와, 주유압펌프(3, 4)의 배기용적을 제어하는 펌프조작기구(5, 6)을 구비하고 있다.
전환밸브조작기구(67)의 상세구조를 제 3 도에 나타낸다.
제 3 도에 있어서, 전환밸브조작기구(67)는,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6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조작되면, 조작레버(68)에 계합하여 푸시로드(104)가 밀어내려지고, 이에 따라서 푸시로드(104)에 계합한 슬리브(106), 스프링(107), 로드(105)를 통해 로드(105)에 맞닿은 스풀(108)이 스프링(109)의 힘에 항거하여 밀어내려진다. 이때, 스풀(108)의 통로(111)에 연통하는 포트(116)가 보디(102)의 통로(110)에 연락되기까지의 동안은 유압원인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압유는 전환밸브(9)의 라인(9a, 9b)에 도입되지 않고, 조작용 파일롯압력은 탱크의 압력으로 대략 제로이다. 그리고 또한, 스풀(108)이 밀어내려져서 스풀(108)의 포트(116)가 통로(110)에 연락되면,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통로(110), 포트(116)를 통해 통로(111)에 도입된다. 이와 같이, 소장의 압력범위에 있어서는, 이 전환밸브조작기구(67)로부터 전환밸브(9)에 출력되는 조작용 파일롯압은 조작레버(68)의 조작량에 따라서 점차 커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제 4 도에 나타낸 제어장치(25)에 있어서의 처리수순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순 S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출력되는 정지지령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를 제어장치(25)에 읽어 넣는다. 다음에 수순 S2로 이행하여,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수순 S2의 판별이 만족되지 않을 때에는 원동기(1)가 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고, 수순 S3으로 이행한다. 이 수순 S3에서는, 제어장치(25)는 개폐밸브(23)를 개구상태로 되도록 구동하는 개구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개폐밸브(23)가 개구상태로 되어, 보조유압펌프(7)와 감압밸브(17~20)등과를 접속하는 관로가 개통된다. 또,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토출유는 어큐물레이터(21)에도 공급되어 축압(蓄壓)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 원동기(1)의 구동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가 구동되고, 이들 주유압펌프(3, 4)의 압유가 전환밸브(8~16)의 센터바이패스통로에 주어지고 있다. 여기서, 조작레버(68, 70) 등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해당하는 감압밸브를 통해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주어져서, 그 대응하는 전환밸브가 전환된다. 또, 이 때 당해 전환밸브의 스풀스트로크가 증가함에 따라서, 당해 전환밸브의 펌프포트로부터의 액튜에이터포트에 이어지는 통로, 및 당해 전환밸브의 액튜에이터포트로부터 탱크포트에 이어지는 통로의 개도가 서서히 증가해 가고, 센터바이패스통로를 개폐하는 스로틀의 개도가 작아지므로, 주유압펌프(3, 4)로부터 해당하는 액튜에이터에 유입되는 유량 또는 해당하는 액튜에이터로부터 유출되는 유량, 및 그 압유의 흐름방향이 조절되어, 해당하는 액튜에이터를 조작레버(68, 70) 등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속도로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감압밸브(17~20) 등의 파일롯압중 최대의 것이 펌프조작기구(5, 6)에 도입되는 동시에 주유압펌프(3, 4)의 토출압도 펌프조작기구(5, 6)에 도입되고 있으며, 펌프조작기구(5, 6)는 주유압펌프(3, 4)의 입력토크가 원동기(1)의 출력토크의 범위내로 되도록 주유압펌프(3, 4)의 배기용적을 제어하는 마력제어를 행한다. 이상과 같은 수순 S3을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원동기(1)의 구동상태에 있어서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원동기(1)를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면, 원동기(1)는 정지하고, 이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의 구동은 정지하여 액튜에이터의 작동은 정지하고, 이 액튜에이터에 접속된 작업기(作業機)는 정지(靜止)유지된다. 이 때, 제어장치(25)에 있어서의 전술한 수순 S2의 판별은 만족되어서 원동기(1)가 비구동상태로 있다고 판단되고, 수순 S5로 이행한다. 이 수순 S5에서는,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가 비선택상태의 신호인가의 여부, 즉 개폐밸브(23)를 폐지상태로 하는 폐지지령신호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여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선택하는 지령인 개구지령을 선택하면, 이 수순 S5의 판별이 만족되지 않고, 수순 S6으로 이행한다. 이 수순 S6에서는, 제어장치(25)는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유효하게 동작시키기 위해, 개폐밸브(23)를 개구상태로 구동하는 개구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어큐뮬레이터(21)와 감압밸브(17~20)등과를 접속하는 관로를 개통시킨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작레버(68, 70) 등의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를 해당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하여 그 전환밸브를 전환할 수 있고, 그 전환밸브에 대응하는 액튜에이터를 작동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액튜에이터가 붐실린더(57A)이고, 원동기(1)의 정지시에 붐실린더(57A)에 접속되는 붐(53a)을 포함하는 작업기가 공중에 정지유지된 것이라고 하면, 조작레버(68)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밸브(9)가 전환되고, 작업기의 자중(自重)에 의해 붐실린더(57A)가 작동하여, 당해 작업기를 강하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수순 S6이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한편, 전술한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 있고,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지 않고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비구동을 선택하는 지령인 폐지지령을 선택하면, 상기 수순 S5에 있어서의 선택지령신호가 비선택인가의 여부의 판별이 만족되고, 수순 S8로 이행한다. 이 수순 S8에서는, 제어장치(25)에 의해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무효로 하기 위해, 개폐밸브(23)를 폐지상태로 구동하는 폐지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로써 어큐뮬레이터(21)와 감압밸브(17~20) 등과를 접속하는 관로가 차단되어,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에 의한 파일롯압은 감압밸브(17~20)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레버(68, 70)등의 하나에 오퍼레이터 등이 잘못하여 건드렸을 때에도,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가 감압밸브(17~20) 등에 공급되어 전환밸브(8~16)가 전환될 염려가 없고 전환밸브(8~16)는 중립으로 유지되므로, 각 액튜에이터는 작동하지 않고 작업기는 강하를 일으키지 않고 정지상태의 그대로 유지된다. 즉, 오퍼레이터가 의도하지 않은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수순 S8이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그리고, 원동기(1)의 고장 또는 과부하에 의한 정지 등,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의하지 않고 원동기(1)가 정지한 경우에도, 정지지령장치(2)에서 정지지령을 입력하고, 선택지령장치(24)에서 개구지령을 선택하여 개폐밸브(23)을 개구상태로 되도록 구동함으로써, 어큐뮬레이터(21)내의 압유를 감압밸브(17~20) 등을 통해 전환밸브(8~16)에 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조작레버(68, 70) 등을 조작하여 감압밸브(17~20) 등을 중립위치에 유지함으로써, 해당하는 전환밸브를 중립복귀시킬 수 있고, 이로써 해당하는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제 2 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예를 제 5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도를 제 5 도에 나타낸다. 제 1 도의 실시예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 5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가 제 1 의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와 다른 점은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으로서 원동기(1)로 구동되는 보조유압펌프(7)의 토출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장치(26)를 배설하는 동시에, 제어장치(25)가 이 압력검출장치(26)로부터 출력되는 압력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개폐밸브(23)를 개구·폐지상태로 되도록 구동하는 개구·폐지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과, 개폐밸브(23)가 보조유압펌프(7)와 감압밸브(17~20) 등을 접속하는 관로로부터 분기한 어큐뮬레이터(21)가 접속되는 관로상에 배설되어 있는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의 실시예와 대략 동등하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에 있어서, 제 1 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 4 도에 있어서의 S2에 있어서, 압력검출장치(26)로부터 출력되는 압력신호의 값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장치(25)에 있어서 원동기(1)는 구동상태라고 판단되어 S3으로 이행하고, 압력신호의 값이 소정치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장치(26)에 있어서 원동기(1)는 비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어 S5로 이행하는 점이다. 그 외의 동작은 제 1 의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1 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압력검출장치(26)에 의해 주유압펌프(3, 4)의 토출압을 검출해도 된다. 이 변형예를 제 6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6 도에 있어서,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으로서 원동기(1)로 구동되는 주유압펌프(3)의 토출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장치(26)가 배설되고, 제어장치(25)는 이 압력검출장치(26)로부터 출력되는 압력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개폐밸브(23)를 개구·폐지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전환밸브(11)의 하류측에는 도시하지 않는 스로틀량이 작은 스로틀이 배설되어 있으며, 전환밸브(8~11)가 모두 중립위치라도 센터바이패스라인에는 약간의 압력이 있고, 이것을 압력검출장치(26)에서 검출함으로써 원동기(1)의 구동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전환밸브(2~16)에 대해서도 같다.
그리고, 여기서는 주유압펌프(3)의 토출압력을 검출하였지만, 주유압펌프(3, 4)의 최소한 한쪽이면 된다.
이 변형예에 의해서도 상기 제 2 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제 3 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예를 제 7 도~제 9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도를 제 7 도에 나타낸다. 제 1 및 제 2 의 실시예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 7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가 제 1 의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와 다른 점은 주유압펌프(3, 4)의 토출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83, 84)가 배설되어 있는 것과, 보조유압펌프(7)로부터 토출하는 압유를 제어하여 각 전환밸브(8~16)를 조작하는 전환밸브조작지구가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의 조작을 조작지령으로서 검출하여 이것에 대응한 조작지령신호를 제어장치(38)에 출력하는 조작검출기구(31~36)와, 이 조작지령신호에 따라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38)와, 제어장치(38)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가 입력되는 전기적인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그 구동신호에 따라서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 압력을 전환밸브(8~16)에 출력하는 전자(電磁)비례감압밸브(27~30) 등을 구비하고 있는 것과,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으로서, 원동기(1)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장치(37)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장치(38)는 또 회전수검출장치(37)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개폐밸브(23)를 개구·폐지상태로 구동하는 개구·폐지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조작검출기구(31~36)의 상세구성에 대하여 조작검출기구(31)를 예로 들어 제 8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8 도에 있어서, 조작레버(81)의 기부(基部)에는, 예를 들면 포텐쇼미터로 이루어지는 조작검출기구(31)가 조작레버와 연동하여 배설되어 있다. 이 조작검출기구(31)는 조작레버(81)의 조작위치를 조작지령으로서 검출하고, 이것에 대응한 조작지령신호를 제어장치(38)에 출력한다. 제어장치(38)는 미리 정해진 게인곡선에 의거하여, 이 조작지령신호에 따른 구동신호를 전자비례감압밸브(27, 28)에 출력한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의 실시예와 대략 동등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을 제 9 도에 나타낸 제어장치(38)에 있어서의 처리수순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순 S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검출기구(31~36)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지령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와, 회전수검출장치(37)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신호를 제어장치(38)에 읽어 넣는다. 다음에, 수순 S2로 이행하여, 회전수신호의 값이 소정치 이하인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수순 S2의 판별이 만족되지 않을 때는 원동기(1)가 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고, 수순 S3으로 이행한다. 이 수순 S3에서는, 제어장치(25)는 개폐밸브(23)를 개구상태로 되도록 구동하는 개구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개폐밸브(23)가 개구상태로 되어, 보조유압펌프(7)와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과를 접속하는 관로가 개통된다. 또,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토출압은 어큐뮬레이터(21)에도 공급되어 축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 원동기(1)의 구동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가 구동되고, 이들 주유압펌프(3, 4)의 압유가 전환밸브(8~16)의 센터바이패스통로에 주어지고 있다. 여기서,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수순 S4에 있어서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조작검출기구(31~36)에서 검출한 조작량에 따른 소요의 구동신호가 제어장치(38)로부터 출력되어,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해당하는 감압밸브를 통해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주어지고, 그 대응하는 전환밸브가 전환되어,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속도로 액튜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장치(38)에는 또 조작검출기구(31~36)에 구비된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으며, 각 조작레버의 조작량의 최대치에 따른 주유압펌프(3, 4)의 제 1 목표배기용적이 연산되고, 그에 따른 소요의 구동신호가 펌프조작기구(5, 6)에 출력된다. 또, 제어장치(38)에는 압력센서(83, 83)로부터의 신호도 입력되어 있으며, 미리 설정된 입력토크제한함수에 의거하여 펌프토출압력에 따른 마력제한제어를 위한 제 2 목표배기용적이 연산되고, 제 1 목표배기용적이 제 2 목표배기용적보다 커지면, 제 2 목표배기용적에 따른 구동신호가 소요의 구동신호로서 펌프조작기구(5, 6)에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수순 S4를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원동기(1)의 구동상태에 있어서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원동기(1)를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면, 원동기(1)는 정지하고, 이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의 구동은 정지하여 액튜에이터의 작동은 정지하고, 이 액튜에이터에 접속된 작업기는 정지유지된다. 이 때, 제어장치(38)에 있어서의 전술한 수순 S2의 판별은 만족되어서 원동기(1)가 비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고, 수순 S5로 이행한다. 이 수순 S5에서는,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가 비선택상태의 신호인가의 여부, 즉 개폐밸브(23)를 폐지상태로 하는 폐지지령신호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여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선택하는 지령인 개구지령을 선택하면, 이 수순 S5의 판별이 만족되지 않고, 수순 S7으로 이행한다. 이 수순 S6에서는, 제어장치(38)는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유효하게 동작시킥 위해, 개폐밸브(23)를 개구상태로 구동하는 개구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어큐뮬레이터(21)와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과를 접속하는 관로를 개통시킨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수순 S7에 있어서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조작검출기구(31~36)에서 검출된 조작량에 따른 소요의 구동신호가 제어장치(38)로부터 출력되어,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를 해당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하여 그 전환밸브를 전환할 수 있고, 그 전한밸브에 대응하는 액튜에이터를 작동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액튜에이터가 붐실린더(57A)이고, 원동기(1)의 정지시에 붐실린더(57A)에 접속되는 붐(53a)을 포함하는 작업기가 공중에 정지유지된 것이라고 하면,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밸브(9)가 전환되고, 작업기의 자중에 의해 붐실린더(57A)가 작동하여, 당해 작업기를 강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원동기(1)의 다음 번 시동시에 있어서의 안전의 확보 등의 관점에서 제어장치(38)로부터 펌프조작기구(5, 6)에 주유압펌프(3, 4)의 배기용적이 최소용량으로 되는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수순 S6을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한편, 전술한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지 않고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비구동을 선택하는 지령인 폐지지령을 선택하면, 상기 S5에 있어서의 선택지령신호가 비선택상태의 신호인가의 여부의 판별이 만족되어, 수순 S8로 이행한다. 이 수순 S8에서는, 제어장치(38)에 의해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무효로 하기 위해, 개폐밸브(23)를 폐지상태로 구동하는 폐지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로써 어큐뮬레이터(21)와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과를 접속하는 관로가 차단되고,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에 의한 파일롯압은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S9에 있어서 제어장치(38)로부터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중립신호가 출력되고, 이로써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은 그 중립위치에 유지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오퍼레이터 등이 잘못하여 건드렸을 때에도,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은 중립으로 유지된 그대로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는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공급되지 않으며, 따라서 전환밸브(8~16)가 전환되지 않고 중립으로 유지되므로, 각 액튜에이터는 작동하지 않고 작업기는 강하를 일으키지 않고 정지상태의 그대로 유지된다. 즉, 오퍼레이터가 의도하지 않는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원동기(1)의 다음번 시동시에 있어서의 안전의 확보 등의 관점에서 제어장치(38)로부터 펌프조작기구(5, 6)에 주유압펌프(3, 4)의 배기용적이 최소용량으로 되는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수순 S9을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으로서 회전수검출장치(37)를 배설하였지만, 원동기(1)에 탑재된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출력전압검출장치를 배설해도 된다. 이 경우에 대해서도, 같은 효과를 얻는다.
제 4 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 4 의 실시예를 제 10 도 및 제 11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를 제 10 도에 나타낸다.
제 10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가 제 1 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 1 의 실시예의 개폐밸브(23)의 대신에, 복수의 감압밸브(17~20) 등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보조전환밸브(39~42) 등이 배설되어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보조전환밸브(39)는 감압밸브(17)와 전환밸브(9)의 한쪽의 구동부와를 접속하는 파일롯회로의 관로상에 배설되어 있고, 보조전환밸브(41)는 감압밸브(19)와 한쪽의 구동부와를 접속하는 파일롯회로의 관로상에 배설되어 있고, 보조전환밸브(40)는 감압밸브(18)와 전환밸브(9)의 다른쪽의 구동부와를 접속하는 파일롯회로의 관로상에 배설되어 있고, 보조전환밸브(42)는 감압밸브(20)와 전환밸브(10)의 다른 쪽의 구동부와를 접속하는 파일롯회로의 관로상에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번잡하게 되므로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다른 전환밸브(8, 11~16)에 대응하는 감압밸브 및 보조전환밸브도 마찬가지로 배설되어 있다. 다음에, 감압밸브(17~20) 및 보조전환밸브(39~42)에 대하여 설명할 때에는, 이들 도시하지 않은 감압밸브 및 보조전환밸브에 대해서도 같은 것으로 한다.
또,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의 선택지령장치(24)는 보조전환밸브(39~42)등을 해당하는 전환밸브(8~16)를 중립으로 유지하는 위치(이하, 적의 중립유지위치라고 함)로 전환되도록 구동하는 지령(이하, 적의 중립유지지령이라고 함)과, 그들 전환밸브(8~16)를 동작가능으로 하는 위치(이하, 적의 동작위치라고 함)에 구동하는 지령(이하, 적의 동작위치지령이라고 함)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입력되고, 제어장치(25)는 보조전환밸브(39~42) 등의 각각에 동일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의 실시예와 대략 동등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제 11 도에 나타낸 제어장치(25)에 있어서의 처리수순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순 S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출력되는 정지지령장치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를 제어장치(25)에 읽어 넣는다. 다음에, 수순 S12로 이행하여,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수순 S12의 판별이 만족되지 않을 때는 원동기(1)가 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고, 수순 S13으로 이행한다. 이 수순 S13에서는, 제어장치(25)는 보조전환밸브(39~42) 등을 동작위치 즉 제 10 도의 상단위치로 되도록 구동하는 동작위치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보조전환밸브(39~42) 등이 동작위치에 전환되고, 감압밸브(17~20) 등과 전환밸브(8~16)와를 접속하는 파일롯관로가 개통된다. 또,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토출유는 어큐뮬레이터(21)에도 공급되어 축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 원동기(1)의 구동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가 구동되고, 이들 주유압펌프(3, 4)의 압유가 전환밸브(8~16)의 센터바이패스통로에 주어지고 있다. 여기서, 조작레버(68, 70) 등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해당하는 감압밸브를 통해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주어지고, 그 대응하는 전환밸브가 전환된다. 또, 이 때 당해 전환밸브의 스풀스트로크가 증가함에 따라서, 당해 전환밸브의 펌프포트로부터 액튜에이터포트에 이어지는 통로, 및 당해 전환밸브의 액튜에이터포트로부터 탱크포트에 이어지는 통로의 개도가 서서히 증가되어 가고, 센터바이패스통로를 개폐하는 스로틀의 개도가 작아지므로, 주유압펌프(3, 4)로부터 해당하는 액튜에이터에 유입되는 유량 또는 해당하는 액튜에이터로부터 유출되는 유량, 및 그 압유의 흐름방향이 조절되어, 해당하는 액튜에이터를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속도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제 1 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때 펌프조작기구(5, 6)는 주유압펌프(3, 4)의 입력토크가 원동기(1)의 출력토크의 범위내로 되도록 주유압펌프(3, 4)의 배기용적을 제어하는 마력제어를 행한다. 이상과 같은 수순 S13을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원동기(1)의 구동상태에 있어서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원동기(1)를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면, 원동기(1)는 정지하고, 이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의 구동은 정지하여 액튜에이터의 작동은 정지하고, 이 액튜에이터에 접속된 작업기는 정지유지된다. 이 때, 제어장치(25)에 있어서의 전술한 수순 S12의 판별은 만족되어서 원동기(1)가 비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고, 수순 S15로 이행한다. 이 수순 S15에서는,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가 비선택상태의 신호인가의 여부, 즉 중립유지지령신호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여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선택하는 지령인 동작위치지령을 선택하면, 이 수순 S15의 판별이 만족되지 않고, 수순 S16으로 이행한다. 이 수순 S16에서는, 제어장치(25)는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유효하게 동작시키기 위해, 보조전환밸브(39~42) 등을 동작 위치에 구동시키는 동작위치 신호를 출력하고, 감압밸브(17~20)등과 전환밸브(8~16)와를 접속하는 관로를 개통시킨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작레버(68, 70) 등의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을 해당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하여 그 전환밸브를 전환할 수 있고, 그 전환밸브에 대응하는 액튜에이터를 작동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액튜에이터가 붐실린더(57A)이고, 원동기(1)의 정지시에 붐실린더(57A)에 접속되는 붐(53a)을 포함하는 작업기가 공중에 정지유지된 것으로 하면, 조작레버(68)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밸브(9)가 전환되고, 작업기의 자중에 의해 붐실린더(57A)가 작동하여, 당해 작업기를 강하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수순 S16이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한편, 전술한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지 않고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비구동을 선택하는 지령인 중립유지지령을 선택하면, 상기 S15에 있어서의 선택지령신호가 비선택상태의 신호인가의 여부의 판별이 만족되고, 수순 S18로 이행한다. 이 수순 S18에서는, 제어장치(25)에 의해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무효로 하기 위해, 보조전환밸브(39~42) 등을 중립유지위치 즉 제 10 도의 하단위치에 구동하는 중립유지위치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감압밸브(17~20) 등과 전환밸브(8~16)와를 접속하는 파일롯관로가 차단되어,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에 의한 파일롯압은 감압밸브(17~20)까지는 전달되지만 전환밸브(8~16)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레버(68, 70) 등의 어느 하나를 오퍼레이터가 잘못하여 건드렸을 때에도,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가 감압밸브(17~20) 등에 공급되어 전환밸브(8~16)가 전환될 염려는 없고 전환밸브(8~16)는 중립으로 유지되므로, 각 액튜에이터는 작동하지 않고, 작업기는 강하를 일으키지 않고 정지상태의 그대로 유지된다. 즉, 오퍼레이터가 의도하지 않은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수순 S18이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그리고, 제 1 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동기(1)의 고장 또는 과부하에 의한 정지 등,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의하지 않고 원동기(1)가 정지한 경우에도, 정지지령장치(2)에서 정지지령을 입력하에 선택지령장치(24)에서 동작위치지령을 선택하여 보조전환밸브(39~42) 등을 동작위치로 구동시킴으로써, 어큐뮬레이터(21)내의 압유를 감압밸브(17~20) 등을 통해 전환밸브(8~16)에 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조작레버(68, 70) 등을 조작하여 감압밸브(17~20) 등을 중립위치에 유지함으로써, 해당하는 전환밸브(8~16)를 중립복귀시킬 수 있고, 이로써 해당하는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능을 특정의 액튜에이터에만, 또는 특정의 방향에만 적용하려고 하는 경우, 대응하는 특정의 전환밸브에 대해서만 보조전환밸브를 배설함으로써, 그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 5 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 5 의 실시예를 제 12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도를 제 12 도에 나타낸다. 제 1~제 4 의 실시예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 12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가 제 4 의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와 다른 점은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으로서 원동기(1)로 구동되는 보조유압펌프(7)의 토출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장치(26)를 배설하는 동시에, 제어장치(25)가 이 압력검출장치(26)로부터 출력되는 압력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보조전환밸브(39~42) 등을 동작위치·중립유지위치에 전환하는 동작위치·중립유지위치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제 4 의 실시예와 대략 동등하다.
또, 상기 구성의 동작에 있어서, 제 4 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 11 도에 있어서의 S12에 있어서, 압력검출장치(26)로부터 출력되는 압력신호의 값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장치(25)에 있어서 원동기(1)는 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어 S13으로 이행하고, 압력신호의 값이 소정치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장치(25)에 있어서 원동기(1)는 비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어 S15로 이행하는 점이다. 그외의 동작은 제 4 의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4 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제 2 의 실시예의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압력검출장치(26)에 의해 주유압펌프(3, 4)의 토출압을 검출해도 되고, 이 경우에도 같은 효과를 얻는다.
제 6 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 6 의 실시예를 제 13 도 및 제 14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도를 제 13 도에 나타낸다. 제 1~제 5 의 실시예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 13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가 제 4 의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와 다른 점은 보조유압펌프(7)로부터 토출하는 압유를 제어하여 각 전환밸브(8~16)를 조작하는 전활밸브조작기구가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의 조작을 조작지령으로서 검출하여 이것에 대응한 조작지령신호를 제어장치(38)에 출력하는 조작검출기구(31~36)와, 이 조작지령신호에 따라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38)와, 제어장치(38)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가 입력되는 전기적인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그 구동신호에 따라서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 압력을 전환밸브(8~16)에 출력하는 전자비례감압밸브(27~30)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으로서, 원동기(1)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장치(37)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장치(38)는 또 회전수검출장치(37)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보조전환밸브(39~42) 등을 동작위치·중립유지위치에 전환하는 동작위치·중립유지위치신호를 출력한다. 그 외의 구성은 제 4 의 실시예와 대략 동등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은 제 14 도에 나타낸 제어장치(38)에 있어서의 처리수순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순 S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검출기구(31, 36)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지령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와, 회전수검출장치(37)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신호를 제어장치(38)에 읽어 넣는다. 다음에, 수순 S12로 이행하여, 회전수신호의 값이 소정치 이하인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수순 S12의 판별이 만족되지 않을 때는 원동기(1)가 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고, 수순 S13으로 이행한다. 이 수순 S13에서는, 제어장치(38)는 보조전환밸브(39~42) 등을 제 13 도의 상단위치인 동작위치로 되도록 구동하는 동작위치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보조전환밸브(39~42) 등이 동작위치로 되고,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과 전환밸브(8~16)를 접속하는 관로가 개통된다. 또,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토출유는 어큐뮬레이터(21)에도 공급되어 축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 원동기(1)의 구동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가 구동되어, 이들 주유압펌프(3, 4)의 압유가 전환밸브(8~16)의 센터바이패스통로에 주어지고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수순 S14에 있어서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조작검출기구(31~36)에서 검출한 조작량에 따른 소요의 구동신호가 제어장치(38)로부터 출력되어,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해당하는 감압밸브를 통해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주어지고, 그 대응하는 전환밸브가 전환되어,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속도로 액튜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제 3 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어장치(38)에 있어서, 마력제어가 행해져서, 제 1 목표배기용적 또는 제 2 목표배기용적의 어느 하나에 따른 소요의 구동신호가 펌프조작기구(5, 6)에 대해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수순 S14를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원동기(1)의 구동상태에 있어서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원동기(1)를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면, 원동기(1)는 정지하고, 이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의 구동은 정지하여 액튜에이터의 작동은 정지하고, 이 액튜에이터에 접속된 작업기는 정지유지된다. 이 때, 제어장치(38)에 있어서의 전술한 수순 S12의 판별은 만족되어 원동기(1)가 비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고, 수순 S15로 이행한다. 이 수순 S15에서는,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가 비선택상태의 신호인가의 여부, 즉 보조전환밸브(39~42) 등을 중립유지위치로 하는 중립유지위치신호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여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선택하는 지령인 동작위치지령을 선택하면, 이 수순 S15의 판별이 만족되지 않고, 수순 S16으로 이행한다. 이 수순 S16에서는 제어장치(38)는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유효하게 동작시키기 위해, 보조전환밸브(39~42)를 동작위치에 구동하는 동작위치신호를 출력하여,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과 전환밸브(18~26)와를 접속하는 관로를 개통시킨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수순 S17에 있어서,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조작검출기구(31~36)에서 검출된 조잘걍에 따른 소요의 구동신호가 제어장치(38)로부터 출력되어,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를 해당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하여 그 전환밸브를 전환할 수 있고, 그 전환밸브에 대응하는 액튜에이터를 작동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액튜에이터가 붐실린더(57A)이고, 원동기(1)의 정지시에 붐실린더(57A)에 접속되는 붐(53a)을 포함하는 작업기가 공중에 정지유지된 것이라고 하면,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밸브(9)가 전환되고, 작업기의 자중에 의해 붐실린더(57A)가 작동하여, 당해 작업기를 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원동기(1)의 다음 번 시동시에 있어서의 안전의 확보 등의 관점에서, 제어장치(38)로부터 펌프조작기구(5, 6)에 주유압펌프(3, 4)의 배기용적을 최소용량으로 하는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수순 S17을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한편, 전술한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지 않고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비구동을 선택하는 지령인 중립유지위치지령을 선택하면, 상기 S15에 있어서의 선택지령신호가 비선택상태의 신호인가의 여부의 판별이 만족되고, 수순 S18로 이행한다. 이 수순 S18에서는, 제어장치(38)는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무효로 하기 위해, 보조전환밸브(39~42) 등을 중립유지위치로 구동하는 중립유지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이로써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과 전환밸브(8~16)와를 접속하는 관로가 차단되어,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에 의한 파일롯압은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까지는 전달되지만 전환밸브(8~16)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S19에 있어서 제어장치(38)로부터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중립신호가 출력되고, 이로써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은 그 중립위치에 유지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오퍼레이터 등이 잘못하여 건드렸을 때에도,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은 중립으로 유지된 그대로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는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공급되지 않고, 따라서 전환밸브(8~16)가 전환되지 않고 중립으로 유지되므로, 각 액튜에이터는 작동하지 않아 작업기는 강하를 일으키지 않고 정지상태의 그대로 유지된다. 즉, 오퍼레이터가 의도하지 않은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원동기(1)의 다음 번 시동시에 있어서의 안전의 확보 등의 관점에서, 제어장치(38)로부터 펌프조작기구(5, 6)에 주유압펌프(3, 4)의 배기용적을 최소용량으로 하는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수순 S19를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제 7 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 7 의 실시예를 제 15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도를 제 15 도에 나타낸다. 제 1~제 6 의 실시예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 15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가 제 6 의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와 다른 점은 제 6 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장치(38)로부터 보조전환밸브(39~42) 등의 각각에 동일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장치(38)는 보조전환밸브(39~42) 각각에 상이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각각을 개별로 전환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제 6 의 실시예와 대략 동등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6 의 실시예에 있어서 얻어지는 효과에 더하여, 다시 각 보조전환밸브(39~42) 등에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각각을 서로 상이한 응답속도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6 및 제 7 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으로서 회전수검출장치(37)를 배설하였지만, 원동기(1)에 탑재된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출력전압검출장치를 배설해도 된다. 이 경우에 대해서도, 같은 효과를 얻는다.
제 8 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 8 의 실시예를 제 16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도를 제 16 도에 나타낸다. 제 1~제 7 의 실시예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 16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가 제 4 의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와 다른 점은 보조전환밸브(38~42) 등의 대신에, 각 감압밸브(17~20) 등으로부터 1대 2개씩 배설된 각 전환밸브(8~16)의 양측의 구동부에 각각 접속하는 파일롯관로(예를 들면 라인 9a, 9b나 라인 10a, 10b)에 대하여, 이 2개의 파일롯관로를 연통가능한 보조전환밸브(43, 44) 등을 배설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제 4 의 실시예와 동등하다.
또, 상기 구성의 동작에 있어서, 제 4 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 11 도에 있어서 S13 또는 S16에서 보조전환밸브(43, 44) 등은 동작위치인 도면중 좌위치로 전환되고, S18에서 보조전환밸브(43, 44) 등은 중립유지위치인 도면중 우위치로 전환되는 것이다.
즉, S13 또는 S16에서는 제어장치(25)는 보조전환밸브(43, 44) 등을 동작위치로되도록 구동하는 동작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이로써 각 전환밸브(8~16)의 양측 구동부를 접속하는 파일롯관로(예를 들면 라인 9a와 9b, 라인 10a와 10b)는 서로 차단되어, 독자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환밸브(8~16)는 전환동작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S18에서는 제어장치(25)는 보조전환밸브(43, 44) 등을 중립유지위치로 되도록 구동하는 중립유지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이로써 각 전환밸브(8~16)의 양측 구동부를 접속하는 파일롯관로(예를 들면 라인 9a와 9b, 라인 10a와 10b)는 연통하고, 전환밸브(8~16)등은 중립유지된다. 이로써, 조작레버(68, 70)등에 잘못하여 접촉해도 감압밸브(17~20) 등이 작동하지 않고 전환밸브(8~16)는 전환되지 않는다. 그 외의 동작은 제 4 의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4 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제 9 의 실시예
본 발명은 제 9 의 실시예를 제 17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도를 제 17 도에 나타낸다. 제 1~제 8 의 실시예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 17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가 제 8 의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와 다른 점은 보조전환밸브(43, 44) 등의 대신에, 각 감압밸브(17~20) 등으로부터 1대 2개씩 배설된 각 전환밸브(8~16)의 양측의 구동부 각각에 접속하는 파일롯관로(예를 들면 라인 9a와 9b, 라인 10a와 10b)에 대하여, 이 2개의 파일롯관로에 걸치도록 배치되고, 이 2개의 파일롯관로를 동시에 차단가능한 보조전환밸브(45, 46)등을 배설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제 8 의 실시예와 동등하다.
또, 상기 구성의 동작에 있어서, 제 8 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 11 도에 있어서의 S13 또는 S16에서 보조전환밸브(45, 46) 등은 동작위치인 도면중 하위치로 전환되고, S18에서 보조전환밸브(45, 46) 등은 중립유지위치인 도면중 상위치로 전환되는 것이다.
즉, S13 또는 S16에서는 제어장치(25)는 보조전환밸브(45, 46) 등을 동작위치에 구동하는 동작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이로써 각 전환밸브(8~16)의 양측 구동부를 접속하는 2개의 파일롯관로(예를 들면 라인 9a와 9b, 라인 10a와 10b)는 각각 개통된다. 따라서, 전환밸브(8~16)는 전환동작가능한 상태로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8 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제 10 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0 의 실시예를 제 18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도를 제 18 도에 나타낸다. 제 1~제 9 의 실시예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 18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가 제 9 의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와 다른 주요한 점은 보조전환밸브(47, 48)의 구성이다. 즉, 보조전환밸브(47, 48)는 각 전환밸브(8~16)의 양측의 구동부에 각각 접속하는 2개의 파일롯관로를 걸치도록 배치되고, 이 2개의 파일롯관로를 동시에 차단가능한 기능을 가진 점에서는 제 9 의 실시예의 보조전환밸브(45, 46)와 동등하지만, 본 실시예의 보조저환밸브(47, 48)는 제 9 의 실시예의 보조전환밸브(45, 46)와 같이 전기적인 입력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 아니고,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도입되어 동작한다. 즉, 보조전환밸브(47, 48)는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공급되고 있을 때는 도면중 하단(下段)위치의 동작위치에 전환되고, 보조유압펌프(7)로부터 압유가 공급되고 있지 않을 때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도면중 상단(상단上段)위치의 중립유리 위치에 전환되고, 또한 보조전환밸브(47, 48)는 각각의 조작부(47A, 48B)를 통해 수동에 의해 동작위치·중립유지위치의 어느 것에도 조작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구동식의 보조전환밸브(47, 48)로 한 관계로, 제 9 의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의 선택지령장치(24)와 제어장치(25)가 제외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9 의 실시예와 대략 동등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원동기(1)을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고, 이 원동기(1)가 구동상태에 있을 때는,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보조전환밸브(47, 48) 등의 구동부(47B, 48B) 등에 주어지고, 이들 보조전환밸브(47, 48) 등이 동작위치 즉 도면중 하단위치에 전환되고, 이로써 대응하는 전환밸브(8~16)의 구동부아 감압밸브(17~20) 등이 연통된다. 또,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토출유는 어큐뮬레이터(21)에도 공급되어 축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 원동기(1)의 구동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가 구동되고, 이들 주유압펌프(3, 4)의 압유가 전환밸브(8~16)의 센터바이패스통로에 주어지고 있다. 여기서, 조작레버(68, 70) 등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해당하는 감압밸브를 통해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주어져서, 그 대응하는 전환밸브가 전환된다. 또, 이 때 당해 전환밸브의 스풀스토로크가 증가함에 따라서, 당해 전환밸브의 펌프포트로부터 액튜에이터포트에 이어지는 통로, 및 당해 전환밸브의 액튜에이터포트로부터 탱크포트에 이어지는 통로의 개도가 서서히 증가되어 가고, 센터바이패스통로를 개폐하는 스로틀의 개도가 작아지므로, 주유압펌프(3, 4)로부터 해당하는 액튜에이터에 유입되는 유량 또는 해당하는 액튜에이터로부터 유출되는 유량 및 그 압유의 흐름방향이 조절되어, 해당하는 액튜에이터를 조작레버(68, 70) 등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속도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제 1 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때 펌프조작기구(5, 6)는 주유압펌프(3, 4)의 입력토크가 원동기(1)의 출력토크의 범위내로 되도록 주유압펌프(3, 4)의 배기용적을 제어하는 마력제어를 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원동기(1)의 구동상태에 있어서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원동기(1)를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면, 원동기(1)는 정지하고, 이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4)의 구동은 정지하여 액튜에이터의 작동은 정지하고, 이 액튜에이터에 접속된 작업기는 정지유지된다. 또, 이 때 보조유압펌프(7)의 구동도 정지하므로, 압유가 보조전환밸브(47, 48) 등의 구동부(47B, 48B)에 주어지지 않고, 이들 보조전환밸브(47, 48) 등은 스프링의 힘으로 중립유지위치 즉 도면중 상단위치에 전환되고, 이로써 대응하는 전환밸브(8~16)의 구동부와 감압밸브(17~20) 등은 차단된다.
이와 같은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보조전환밸브(47, 48) 등을 동작위치인 도면중 하단위치에 수동조작으로 전환하면 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감압밸브(17~20) 등의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를 감압밸브, 보조전환밸브를 통해 해당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하고, 그 전환밸브를 전환할 수 있고, 그 전환밸브에 대응하는 액튜에이터를 작동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은 유효하게 동작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액튜에이터가 붐실린더(57A)이고, 원동기(1)의 정지시에 붐실리더(57A)에 접속되는 붐(53a)을 포함하는 작업기가 공중에 정지유지된 것이라고 하면, 조작레버(68, 70) 등을 통해 감압밸브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밸브(9)가 전환되고, 작업기의 자중에 의해 붐실린더(57A)가 작동하여 당해 작업기를 강하시킬 수 있다.
한편,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보조전환밸브(47, 48) 등을 조작하는 조작부(47A, 48A) 등으로 부터 손을 떼면 스프링의 힘에 의해 보조전환밸브(47, 48) 등은 중립유지위치인 도면중 상단위치에 전환되어(스프링의 힘으로 전환되지 않을 때에도 조작부(47A, 48A)등에 있어서 수동으로 상단위치에 전환하면 됨), 감압밸브(17~20) 등과 전환밸브(8~16)의 구동부와의 사이가 차단되는 동시에 전환밸브(8~16)의 양측의 각각의 구동부끼리가 연통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는 전환밸브(8~16)는 중립위치에 유지되므로, 감압밸브(17~20) 등의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잘못하여 건드렸을 때에도,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가 전환밸브(8~16)의 구동부에 공급되어 전환밸브(8~16)가 전환될 염려가 없고, 즉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해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이 무효로 된다. 따라서, 각 액튜에이터는 작동하지 않아서, 작업기는 강하를 일으키지 않고 정지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즉, 오퍼레이터가 의도하지 않은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따라서 보조전환밸브(47, 48)등을 동작위치 또는 중립유지위치에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이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는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성하고, 보조전환밸브(47, 48)의 구동부(47B, 48B) 등이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제 1 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동기(1)의 고장 또는 과부하에 의한 정지 등,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의하지 않고 원동기(1)가 정지한 경우에도, 보조전환밸브(47, 48) 등의 조작부(47A, 48A) 등을 통해 보조전환밸브(47, 48) 등을 동작위치로 전환함으로써, 어큐뮬레이터(21)내의 압유를 감압밸브(17~20) 등을 통해 전환밸브(8~16)에 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조작레버(68, 70) 등을 조작하여 감압밸브(17~20) 등을 중립위치에 유지함으로써, 해당하는 전환밸브(8~16)를 중립복귀시킬 수 있고, 이로써 해당하는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제 11 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1 의 실시예를 제 19 도~제 22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도를 제 19 도에, 감압밸브(17)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단면도를 제 20 도에 나타낸다. 제 1~제 10 의 실시예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 19 도 및 제 20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가 제 1 의 실시예와 다른 주요한 점은 원동기(1)에 발전기(49)가 구비되고, 제어장치(25)가 정지검출수단으로서 발전기(49)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신호를 검출하는 것, 개폐밸브(23)의 대신에 전환제어수단의 구성요소로서 감압밸브(17~20) 등을 동작불능으로 록하는 록수단과, 상기 출력전압신호 및 선택지령신호(후술)에 따라서 록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록제어수단을 배설하는 것, 선택지령장치(24)에 상기 록수단을 록상태로 되도록 동작시키는 록지령 및 록상태를 해제하도록 동작시키는 록해제지령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입력되고, 이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가 제어장치(25)에 출력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록수단은 각 감압밸브(17~20) 등에 각각 배설되어 있다. 감압밸브(17)에 있어서의 록수단을 예로 들어 제 20 도에 나타낸다.
제 20 도에 있어서, 감압밸브(17)는 조작레버(68)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68A)에 결합하는 상단부를 가진 니들(17b)과, 이 니들(17b)의 주위에 배치되어 여자(勵磁)시에 니들(17b)을 조작레버(68)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일(17c)과, 니들(17b)을 조작레버(68)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부세하는 스프링(17a)을 가진다. 다른 감압밸브(18~20) 등에 대해서도 동등한 구성을 구비한 록수단이 배설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의 실시예와 대략 등등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제 21 도에 나타낸 제어장치(25)에 있어서의 처리수순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순 S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전기(49)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 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를 제어장치(25)에 읽어 넣는다. 다음에, 수순 S2로 이행하여, 출력전압이 소정치 이하인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수순 S2의 판별이 만족되지 않을 때는 원동기(1)가 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고, 수순 S3으로 이행한다. 이 수순 S3에서는, 제어장치(25)는 록수단인 코일(17c, 18c, 19c) 등의 록을 해제하도록 동작시키는 록해제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의 동작의 상세를 감압밸브(17) 및 코일(17c)을 예로 들어 제 20 도 및 제 22 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발전기(49)로부터의 전압이 제어장치(25)를 통해 코일(17c)에 인가되어 코일(17c)이 여자되고, 니들(17b)은 조작레버(68)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니들(17b)과 조작레버(68)와의 기계적 결합 즉 록이 해제된 상태로 되고, 조작레버(68)는 자유로 요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동작은 다른 감압밸브(18~20) 등에 있어서도 같다. 또,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토출유는 어큐뮬레이터(21)에도 공급되어 축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 원동기(1)의 구동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가 구동되고, 이들 주유압펌프(3, 4)의 압유가 전환밸브(8~16)의 센터바이패스통로에 주어지고 있다. 여기서, 조작레버(68, 70) 등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해당하는 감압밸브를 통해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주어져서, 그 대응하는 전환밸브가 전환된다. 또한, 이 때 당해 전환밸브의 스풀스트로크가 증가함에 따라서, 당해 전환밸브의 펌프포트로부터 액튜에이터포트에 이어서는 통로 및 당해 전환밸브의 액튜에이터포트로부터 탱크포트에 이어지는 통로의 개도가 서서히 증가되어 가고, 센터바이패스통로를 개폐하는 스로틀의 개도가 작아지므로, 주유압펌프(3, 4)로부터 해당하는 액튜에이터에 유입되는 유량 또는 해당하는 액튜에이터로부터 유출되는 유량 및 그 압유의 흐름방향이 조절되고, 해당하는 액튜에이터를 조작레버(68, 70) 등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속도로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제 1 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펌프조작기구(5, 6)는 주유압펌프(3, 4)의 입력토크가 원동기(1)의 출력토크의 범위내로 되도록 주유압펌프(3, 4)의 배기용적을 제어하는 마력제어를 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원동기(1)의 구동상태에 있어서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원동기(1)를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면, 원동기(1)가 정지하고, 이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의 구동은 정지하여 액튜에이터의 작동은 정지하고, 이 액튜에이터에 접속된 작업기는 정지유지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는, 발전기(49)로부터 출력전압이 검출되지 않고, 감압밸브(17)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코일(17c)은 여자되지 않으므로, 스프링(17a)의 힘에 의해 니들(17b)은 조작레버(68)방향으로 이동되고, 니들(17b)의 선단과 조작레버(68)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68A)이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조작레버(68)는 요동불능 즉 조작불능인 록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때 제어장치(25)에 있어서의 전술한 수순 S2의 판별은 만족되어서 원동기(1)가 비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고, 수순 S5로 이행한다. 이 수순 S5에서는 선택지령장치(25)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가 비선택상태의 신호인가의 여부, 즉 코일(17c) 등을 록상태로 하는 록지령신호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여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선택하는 지령인 록해제지령을 선택하면, 이 수순 S5의 판별이 만족되지 않고, 수순 S6으로 이행한다. 이 수순 S6에서는, 제어장치(25)은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유효하게 동작시키기 위해, 록제어수단으로서 록해제신호를 출력하고, 코일(17c) 등의 록을 해제하도록 동작시킨다. 즉, 감압밸브(17)의 코일(17c)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전원(50)을 이용하여 코일(17c)에 전압을 인가하여 코일(17c)을 여자함으로써, 니들(17b)은 스프링(17a)의 힘에 항거하여 조작레버(68)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니들(17b)과 조작레버(68)와의 기계적 결합 즉 록이 해제된 상태로 되어, 조작레버(68)는 요동가능으로 된다. 다른 감압밸브(17) 및 코일에 대해서도 같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들 조작레버(68, 70) 등의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를 해당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하여 그 전환밸브를 전환할 수 있으며, 그 전환밸브에 대응하는 액튜에이터를 작동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액튜에이터가 붐실린더(57A)이고, 원동기(1)의 정지시에 붐실린더(57A)에 접속되는 붐(53a)을 포함하는 작업기가 공중에 정지유지된 것으로 하면, 조작레버(68)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밸브(9)가 전환되고, 작업기의 자중에 의해 붐실린더(57A)가 작동하고, 당해 작업기를 강하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수순 S6이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한편, 전술한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지 않고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비구동을 선택하는 지령인 록지령을 선택하면, 상기 S5에 있어서의 선택지령신호가 비선택인지가의 여부의 판별이 만족되고, 수순 S8로 이행한다. 이 수순 S8에서는,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무효로 하기 위해, 록제어수단으로서 제어장치(25)에 의해 록신호가 출력되고, 코일(17c) 등을 록하도록 동작시킨다. 즉, 감압밸브(17)의 코일(17c)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코일(17c)에의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코일(17c)을 여자하지 않음으로써, 니들(17b)과 조작레버(68)와의 기계적 결합은 계속되어 록상태는 유지되므로, 조작레버(68)는 요동불능으로 된다. 다른 감압밸브 및 코일에 대해서도 같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레버(68, 70) 등의 어느 하나를 오퍼레이터 등이 잘못하여 건드렸을 때에도, 조작레버가 요동하지 않으므로 해당하는 감압밸브가 작동하지 않고, 이로써,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가 감압밸브(17~20) 등에 공급되어서 전환밸브(8~16)가 전환될 우려가 없고 전환밸브(8~16)는 중립으로 유지되므로, 각 액튜에이터는 작동되지 않고 작업기는 강하를 일으키지 않고 정지상태의 그대로 유지된다. 즉, 오퍼레이터의 의도하지 않은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수순 S8이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그리고, 원동기(1)의 고장 또는 과부하에 의한 정지 등,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의하지 않고 원동기(1)가 정지된 경우에도, 선택지령장치(24)에서 록해제지령을 선택하여 코일(17c) 등을 록해제상태로 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어큐뮬레이터(21)내의 압유를 감압밸브(17~20) 등을 통해 전환밸브(8~16)에 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조작레버(68, 70) 등을 조작하여 감압밸브(17~20) 등을 중립위치에 유지함으로써, 해당하는 전환밸브를 중립복귀시킬 수 있고, 이로써 해당하는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고, 이 경우도 같은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상기 제 11 의 실시예에서는,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으로서, 제어장치(25)가 원동기(1)에 구비된 발전기(49)의 출력전압신호를 검출하였으나, 원동기의 정지를 지령하는 정지지령장치(2)를 정지검출수단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 정지검출수단으로서 보조유압펌프(7) 및 주유압펌프(3, 4)중 최소한 한쪽의 토출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장치, 또는 원동기(1)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장치를 배설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환밸브조작수단으로서, 수동조작가능한 감압밸브(17~20) 등을 배설하였으나, 오퍼레이터의 수동조작지령을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조작검출기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감압밸브를 전기적 입력수단을 구비한 전자비례감압밸브로 하고, 상기 조작검출기구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자비례감압밸브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이 경우도 같은 효과를 얻는다.
제 12 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2 의 실시예를 제 23 도~제 25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도를 제 23 도에, 제 23 도에 나타낸 유압구동장치의 회로에 구비되는 제어장치(38)의 구성을 제 24 도에 나타낸다. 제 1~제 11 의 실시예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 23 도 및 제 24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가 제 3 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선택지령장치(24)에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을 동작가능으로 하는 동작지령 및 동작불능으로 하는 동작정지지령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입력되어 이에 대응하는 선택지령신호가 출력되는 것, 전환제어수단의 구성요소인 개폐밸브(23)가 제외되고, 제어장치(38)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의 선택지령신호와 회전수검출장치(37)로부터의 회전수신호에 따라서 전자비례감압밸브(27~30)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장치(38)의 상세구성을 제 24 도에 나타낸다.
제 24 도에 있어서, 제어장치(38)는 조작검출기구(31~36)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의 조작지령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38a)와, 마이크로콤퓨터로 이루어지고, A/D변환기(38a)와 선택지령장치(24)와 회전수검출장치(37)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거하여 논리판단을 행하는 연산부(38b)와, 연산부(38b)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38d)와, D/A변환기(38d)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전자비례감압밸브구동회로(38c)를 구비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3 의 실시예와 대략 동등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을 제 25 도에 나타낸 제어장치(38)에 있어서의 처리수순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순 S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검출기구(31~36)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지령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와, 회전수검출장치(37)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신호를 제어장치(38)에 읽어 넣는다. 다음에, 수순 S22로 이행하고, 제어장치(38)의 연산부(38b)에서 회전수신호의 값이 소정치 이하인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수순 S22의 판별이 만족되지 않을 때는 원동기(1)가 구동되고, 이들 주유압펌프(3, 4)의 압유가 전환밸브(8~16)의 센터바이패스통로에 주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또,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토출유는 어큐뮬레이터(21)에도 공급되어 축압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수순 S23에 있어서, 조작검출기구(31~36)에서 검출된 조작량에 따른 소요의 구동신호가 제어장치(38)의 전자비례감압밸브구동회로(38c)로부터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출력되어,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해당하는 감압밸브를 통해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주어지고, 그 대응하는 전환밸브가 전환되어,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속도로 액튜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제 3 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어장치(38)에 있어서 마력제어가 행해지고, 제 1 목표배기용적 또는 제 2 목표배기용적의 어느 하나에 따른 소요의 구동신호가 제어장치(38)의 전자비례감압밸브구동회로(38c)로부터 펌프조작기구(5, 6)에 대하여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수순 S23이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원동기(1)의 구동상태에 있어서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원동기(1)를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면, 원동기(1)는 정지하고, 이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의 구동은 정지하여 액튜에이터의 작동은 정지하고, 이 액튜에이터에 접소된 작업기는 정지유지된다. 이 때, 제어장치(38)에 있어서의 전술한 수순 S22의 판별은 만족되어서 원동기(1)가 비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고, 수순 S24로 이행한다. 이 수순 S24에서는,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가 비선택상태의 신호인가의 여부, 즉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을 정지상태로 하는 동작정지지령신호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여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선택하는 지령인 동작지령을 선택하면, 이 수순 S5의 판별이 만족되지 않고, 수순 S26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이 수순 S26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유효하게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장치(38)의 전자비례감압밸브구동회로(38c)가 조작검출기구(31~36)에서 검출한 조작량에 따른 소요의 구동신호를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출력하고,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가 해당하는 감압밸브를 통해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주어져서, 그 대응하는 전환밸브가 전환된다. 따라서, 그 전환밸브에 대응하는 액튜에이터를 작동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액튜에이터가 붐실린더(57A)이고, 원동기(1)의 정지시에 붐실린더(57A)에 접속되는 붐(53a)을 포함하는 작업기가 공중에 정지유지된 것이라고 하면, 해당하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밸브(9)가 전환되어, 작업기의 자중에 의해 붐실린더(57A)가 작동하여, 당해 작업기를 강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원동기(1)의 다음 번 시동시에 있어서의 안전의 확보 등의 관점에서 제어장치(38)의 전자비례감압밸브구동회로(38c)로부터 펌프조작기구(5, 6)에 주유압펌프(3, 4)의 배기용적이 최소용량으로 되는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수순 S26을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한편, 전술한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지 않고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비구동을 선택하는 지령인 동작정지지령을 선택하면, 상기 S24에 있어서의 선택지령신호가 비선택상태의 신호인가의 여부의 판별이 만족되고, 수순 S25로 이행한다. 이 수순 S25에서는, 제어장치(38)의 전자비례감압밸브구동회로(38c)에 의해,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무효로 하기 위해, 전자비례감압밸브(27~30)를 동작정지상태로 고정하는 동작정지신호가 출력되고, 이로써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은 그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오퍼레이터 등이 잘못하여 건드렸을 때에도,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은 중립으로 유지된 그대로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는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공급되지 않고, 따라서 전환밸브(8~16)가 전환되지 않고 중립으로 유지되므로, 각 액튜에이터는 작동하지 않고 작업기는 강하를 일으키지 않고 정지상태의 그대로 유지된다. 즉, 오퍼레이터의 의도하지 않은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원동기(1)의 다음 번 시동시에 있어서의 안전의 확보 등의 관점에서 제어장치(38)의 전자비례감압밸브구동회로(38c)로부터 펌프조작기구(5, 6)에 주유압펌프(3, 4)의 배기용적이 최소용량으로 되는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수순 S25을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2 의 실시예에서는,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으로서, 원동기(1)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장치(37)를 배설하였으나, 이 회전수검출장치(37)의 대신에, 원동기(1)의 정지를 지령하는 정지지령장치(2)를 사용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원동기(1)에 발전기를 구비하는 동시에 발전기로부터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장치나, 보조유압펌프(7) 및 주유압펌프(3, 4)중 최소한 한쪽의 토출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장치를 배설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 13 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3 의 실시예를 제 26 도 및 제 27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제 12 의 실시예와 동등한 부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도를 제 26 도에 나타낸다. 제 26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는 조작밸브전환수단인 전자비례밸브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자비례밸브를 동작불능으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가 제 11 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보조유압펌프(7)로부터 토출하는 압유를 제어하여 각 전환밸브(8~16)를 조작하는 전환밸브조작기구가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의 조작을 조작지령으로서 검출하여 이에 대응한 조작지령신호를 제어장치(38)에 출력하는 조작검출기구(31~36)와, 이 조작지령신호에 따라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38)와, 제어장치(38)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가 입력되는 전기적인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그 구동신호에 따라서 전원인 축전지(40)로부터의 인가전압을 기초로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 압력을 전환밸브(8~16)에 출력하는 전자비례감압밸브(27~30)등과, 축전지(40)와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과를 접속하는 회로상에 배설되고, 이 회로를 개폐가능한 개폐장치(89)를 구비하고 있는 것고,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으로서 정지지령장치(2)를 사용하는 것, 선택지령장치(24)에는 개폐장치(89)를 개상태로 하는 개동작지령 및 례상태로 하는 폐동작지령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장치(38)는 또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출력되는 정지지령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전자비례감압밸브(27~30)를 동작가능상태 또는 동작불능상태로 제어한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1 의 실시예와 대략 동등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원동기(1)를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고, 이 원동기(1)가 구동상태에 있을 때는, 주유압펌프(3, 4)가 구동되고, 이들 주유압펌프(3, 4)의 압유가 전환밸브(8~16)의 센터바이패스통로에 주어지고 있다. 이 후의 동작을 전자비례감압밸브(27)를 예로 들어 제 26 도 및 제 27 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지금 정지지령장치(2)에 있어서의 스위치는 온상태이고, 축전지(40)로부터 통전되어 개폐장치(89)에 있어서의 릴레이(391)는 폐동작을 행한다. 이로써 릴레이(391)를 통해 축전지(40)와 전자비례감압밸브(27)가 도통하고, 전자비례감압밸브(27)는 동작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토출유는 어큐뮬레이터(21)에도 공급되어 축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를 조작하면, 조작검출기구(31)는 그 조작을 조작지령으로서 검출하여 이에 대응한 조작지령신호를 제어장치(38)에 출력하고, 제어장치(38)로부터 그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구동신호가 전자비례감압밸브(27)에 출력된다. 이러한 동작은 다른 전자비례감압밸브에 대해서도 같다. 따라서,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해당하는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의 어느 하나를 통해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주어져서, 그 대응하는 전환밸브가 전환된다. 이 때, 당해 전환밸브의 스풀스트로크가 증가함에 따라서, 당해 전환밸브의 펌프포트로부터 액튜에이터포트에 이어지는 통로, 및 당해 전환밸브의 액튜에이터포트로부터 탱크포트에 이어지는 통로의 개도가 서서히 증가되어 가능 동시에, 센터바이패스통로를 개폐하는 스로틀의 개도가 작아지고, 이로써 해당하는 액튜에이터에 유입되는 유량, 또는 해당하는 액튜에이터로부터 유출되는 유량, 및 그 압유의 흐름 방향에 제어되고, 해당하는 액튜에이터가 전술한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속도로 작동한다. 또, 제 3 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어장치(38)에 있어서 마력제어가 행해지고, 제 1 목표배기용적 또는 제 2 목표배기용적의 어느 하나에 따른 소요의 구동신호가 펌프조작기구(5, 6)에 대하여 출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원동기(1)의 구동상태에 있어서,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원동기(1)를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면, 원동기(1)는 정지하고, 이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의 구동은 정지하여, 액튜에이터의 작동은 정지하고, 이 액튜에이터에 접속된 작업기는 정지유지된다. 이 후의 동작을 다시 전자비례감압밸브(27)를 예로 들어 제 26 도 및 제 27 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지금 정지지령장치(2)의 스위치는 오프상태로 되므로, 개폐장치(89)의 릴레이(391)에는 축전지(40)로부터 통전이 행해지지 않고 접점이 개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폐동작지령을 선택하면 된다. 이로써, 선택지령장치(24)내의 스위치(제 27 도 참조)는 온상태로 되어 축전지(40)로부터 통전되어 개폐장치(89)내의 릴레이(392)가 폐동작을 행한다. 이로써, 릴레이(392)를 통해 축전지(40)와 전자비례감압밸브(27)가 도통하고, 전자비례감압밸브(27)는 동작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를 조작한, 조작검출기구(31)는 그 조작을 조작지령으로서 검출하여 이에 대응한 조작지령신호를 제어장치(38)에 출력하고, 제어장치(38)로부터 그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구동신호가 전자비례감압밸브(27)에 출력된다. 이러한 동작은 다른 전자비례감압밸브에 대해서도 같다. 따라서,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가 해당하는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의 어느 하나를 통해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주어져서, 그 대응하는 전환밸브가 전환된다. 따라서, 그 전환밸브에 대응하는 액튜에이터를 작동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액튜에이터가 붐실린더(57A)이고, 원동기(1)의 정지시에 붐실린더(57A)에 접속되는 붐(53a)을 포함하는 작업기가 공중에 정지유지된 것이라고 하면, 해당하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밸브(9)가 전환되고, 작업기의 자중에 의해 붐실린더(57A)가 작동하여, 당해 작업기를 강하시킬 수 있다.
한편,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지 않을 경우에는,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개동작지령을 선택하면 된다. 이로써, 선택지령장치(24)내의 스위치(제 27 도 참조)는 오프상태로 되고, 개폐장치(89)내의 릴레이(392)가 개상태의 그대로이다. 또,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릴레이(391)도 개상태의 그대로이므로, 전자비례감압밸브(27)는 전력을 얻을 수 없어서 동작불능 상태인 중립복귀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의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잘못하여 건드렸을 때에도,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가 전환밸브(8~16)의 구동부에 공급되어 전환밸브(8~16)가 전환될 염려가 없고, 즉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이 무효로 된다. 따라서, 각 액튜에이터는 작동하지 않고, 작업기는 강하를 일으키지 않고 정지상태의 그대로 유지된다. 즉, 오퍼레이터의 의도하지 않은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동기(1)의 고장, 또는 과부하에 의한 정지 등,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의하지 않고 원동기(1)가 정지된 경우에도, 정지지령장치(2)에서 정지지령을 입력하여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개동작지령을 선택하여 개폐장치(89)를 개상태로 함으로써,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은 동작불능의 중립복귀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서 해당하는 전환밸브(8~16)를 중립복귀시켜서 해당하는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제 14 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4 의 실시예를 제 28 도 및 제 29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도를 제 28 도에 나타낸다. 제 1~제 13 의 실시예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 28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가 제 13 의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와 다른 점은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으로서 원동기(1)와 일체적으로 배치된 발전기(41)를 배설하는 동시에, 개폐장치(89)로부터 릴레이(391)가 제외되고, 개폐장치(89)는 발전기(41)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릴레이(392)가 개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정지지령장치(21)로부터 원동기(1)를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고, 이 원동기(1)가 구동상태에 있을 때는, 주유압펌프(3, 4)가 구동되고, 이들 주유압펌프(3, 4)의 압유가 전환밸브(8~16)의 센터바이패스통로에 주어지고 있다. 또,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토출유는 어큐뮬레이터(21)에도 공급되어 축압되어 있다. 이 후의 동작을 전자비례감압밸브(27)를 예로 들어 제 28 도 및 제 29 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지금 발전기(41)는 원동기(1)에 의해 구동되어 전압이 출력되고 있으며, 개폐장치(89)의 다이오드를 통해 전자비례감압밸브(27)에 통전되어 전자비례감압밸브(17)는 동작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를 조작하면, 조작검출기구(31)는 그 조작을 조작지령으로서 검출하여 이에 대응한 조작지령신호를 제어장치(38)에 출력하고, 제어장치(38)로부터 그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구동신호가 전자비례감압밸브(27)에 출력된다. 이러한 동작은 다른 전자비례감압밸브에 대해서도 같다. 따라서,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해당하는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의 어느 하나를 통해 댕으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주어져서, 그 대응하는 전환밸브가 전환된다. 다음의 압유유량·흐름방향의 제어 및 펌프제어는 제 13 의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와 같은 원동기(1)의 구동상태에 있어서,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원동기(1)를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면, 원동기(1)는 정지하고, 이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의 구동은 정지하고, 액튜에이터의 작동은 정지하여, 이 액튜에이터에 접속된 작업기는 정지유지된다. 이 후의 동작을 다시 전자비례감압밸브(27)를 예로 들어 제 28 도 및 제 29 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지금 원동기(1)에 구비된 발전기(41)로부터의 출력전압은 영으로 되므로, 전자비례감압밸브(27)에의 통전이 행해지지 않고 전자비례감압밸브는 동작불능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폐동작지령을 선택하면 된다. 이로써, 선택지령장치(24)내의 스위치(제 29 도 참조)는 온상태로 되어 축전지(40)로부터 통전되어 개폐장치(89)내의 릴레이(392)가 폐동작을 행한다. 이로써, 릴레이(392)를 통해 축전지(40)와 전자비례감압밸브(27)가 도통하고, 전자비례감압밸브(27)는 동작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를 조작하면, 조작검출기구(31)는 그 조작을 조작지령으로서 검출하여 이에 대응한 조작지령신호를 제어장치(38)에 출력하고, 제어장치(38)로부터 그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구동신호가 전자비례감압밸브(27)에 출력된다. 이러한 동작은 다른 전자비례감압밸브에 대해서도 같다. 따라서,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가 해당하는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의 어느 하나를 통해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주어져서, 그 대응하는 전환밸브가 전환된다. 따라서, 그 전환밸브에 대응하는 액튜에이터를 작동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액튜에이터가 붐실린더(57A)이고, 원동기(1)의 정지시에 붐실린더(57A)에 접속되는 붐(53a)을 포함하는 작업기가 공중에 정지유지된 것이라고 하면, 해당하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밸브(9)가 전환되어, 작업기의 자중에 의해 붐실린더(57A)가 작동하여, 당해 작업기를 강하시킬 수 있다.
한편,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는,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개동작지령을 선택하면 된다. 이로써, 선택지령장치(24)내의 스위치(제 29 도 참조)는 오프상태로 되고, 개폐장치(89)내의 릴레이(392)가 개상태의 그대로이다. 또,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발전기(41)로부터도 전압은 출력되지 않으므로, 전자비례감압밸브(27)는 전력을 얻을 수 없어서 동작불능의 상태인 중립복귀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의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잘못하여 건드렸을 때에도,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가 전환밸브(8~16)의 구동부에 공급되어 전환밸브(8~16)가 전환될 염려가 없고, 즉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이 무효로 된다. 따라서, 각 액튜에이터는 작동하지 않고, 작업기는 강하를 일으키지 않고 정지상태의 그대로 유지된다. 즉, 오퍼레이터의 의도하지 않은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3 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동기(1)의 고장, 또는 과부하에 의한 정지 등,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의하지 않고 원동기(1)가 정지된 경우에도,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개동작지령을 선택하여 개폐장치(89)를 개상태로 함으로써,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은 동작불능의 중립복귀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서 해당하는 전환밸브(8~16)를 중립복귀시켜서 해당하는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제 15 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5 의 실시예를 제 30 도~제 32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회로도를 제 30 도에 나타낸다. 제 1~제 14 의 실시예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 30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가 제 13 의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와 다른 점은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으로서 원동기(1)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장치(37)를 배설한 것, 제어장치(38)가 회전수검출장치(37)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개폐장치(89)를 제어하여 개폐시키는 것, 및 개폐장치(89)로부터 릴레이(391)가 제외되어 제어장치(38)에 의해 제어되어 릴레이(392)가 개폐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4 의 실시예와 대략 동등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을 제어장치(38)에 있어서의 처리수순의 플로차트를 나타낸 제 31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순 S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검출기구(31~36)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지령신호와,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와, 회전수검출장치(37)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수신호를 제어장치(38)에 읽어 넣는다. 다음에, 수순 S22로 이행하고, 회전수신호의 값이 소정치 이하인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수순 S22의 판별이 만족되지 않을 때는 원동기(1)가 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고, 수순 S23으로 이행한다. 이 수순 S23에서는, 제어장치(38)는 개폐장치(89)를 폐동작시킨다. 이 동작을 전자비례감압밸브(27)를 예로 들어 제 32 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즉 제어장치(38)는 전원인 축전지(40)와 도통하고, 릴레이(392)를 폐동작시킨다. 이로써, 릴레이(392)를 통해 축전지(40)와 전자비례감압밸브(27)가 도통하고, 전자비례감압밸브(27)는 동작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토출유는 어큐뮬레이터(21)에도 공급되어 축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를 조작하면, 조작검출기구(31)는 그 조작을 조작지령으로서 검출하여 이에 대응한 조작지령신호를 제어장치(38)에 출력하고, 제어장치(38)로부터 그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구동신호가 전자비례감압밸브(27)에 출력된다. 이러한 동작은 다른 전자비례감압밸브에 대해서도 같다. 따라서, 보조유압펌프(7)의 압유가 해당하는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의 어느 하나를 통해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주어져서, 그 대응하는 전환밸브가 전환된다. 이 때, 당해 전환밸브의 스풀스트로크가 증가함에 따라서, 당해 전환밸브의 펌프포트로부터 액튜에이터포트에 이어지는 통로, 및 당해 전환밸브의 액튜에이터포트로부터 탱크포트에 이어지는 통로의 개도가 서서히 증가되어가는 동시에, 센터바이패스통로를 개폐하는 스로틀의 개도가 작아지고, 이로써 해당하는 액튜에이터에 유입되는 유량, 또는 해당하는 액튜에이터로 부터 유출되는 유량, 및 그 압유의 흐름방향에 제어되고, 해당하는 액튜에이터가 전술한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속도로 작동한다. 또, 제 3 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어장치(38)에 있어서 마력제어가 행해지고, 제 1 목표배기용적 또는 제 2 목표배기용적의 어느 하나에 따른 소요의 구동신호가 펌프조작기구(5, 6)에 대하여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수순 S23을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원동기(1)의 구동상태에 있어서 정지지령장치(2)로부터 원동기(1)를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신호가 출력되면, 원동기(1)는 정지하고, 이에 따라서 주유압펌프(3, 4)의 구동은 정지하여 액튜에이터의 작동은 정지하고, 이 액튜에이터에 접속된 작업기는 정지유지된다. 이 때, 제어장치(38)에 있어서의 전술한 수순 S22의 판별은 만족되어서 원동기(1)가 비구동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고, 수순 S24로 이행한다. 이 수순 S24에서는, 선택지령장치(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지령신호가 비선택상태의 신호인가의 여부, 즉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을 정지상태로 하는 개동작지령신호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여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선택하는 지령인 개동작지령을 선택하면, 이 수순 S5의 판별이 만족되지 않고, 수순 S26으로 이행한다. 이 수순 S26에서는,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유효하게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장치(38)는 전술한 S23과 마찬가지로 하여 개폐장치(89)를 폐동작시킨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제어장치(38)는 조작검출기구(31~36)에서 검출한 조작량에 따른 소요의 구동신호를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출력하고,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가 해당하는 감압밸브를 통해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주어져서, 그 대응하는 전환밸브가 전환된다. 따라서, 그 전환밸브에 대응하는 액튜에이터를 작동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액튜에이터가 붐실린더(57A)이고, 원동기(1)의 정지시에 붐실린더(57A)에 접속되는 붐(53a)을 포함하는 작업기가 공중에 정지유지된 것이라고 하면, 해당하는 조작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밸브(9)가 전환되어, 작업기의 자중에 의해 붐실린더(57A)가 작동하여, 당해 작업기를 강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원동기(1)의 다음 번 시동시에 있어서의 안전의 확보 등의 관점에서 제어장치(38)로부터 펌프조작기구(5, 6)에 펌프(3, 4)의 배기용적이 최소용량으로 되는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수순 S26을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한편, 전술한 원동기(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의도하지 않고 선택지령장치(24)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비구동을 선택하는 지령인 개동작지령을 선택하면, 상기 S24에 있어서의 선택지령신호가 비선택상태의 신호인가의 여부의 판별이 만족되고, 수순 S25에 이행한다. 이 수순 S25에서는, 어큐뮬레이터(21)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무효로 하기 위해, 제어장치(38)는 개폐장치(89)를 개동작상태로 한다. 이 동작을 전자비례감압밸브(27)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즉 제어장치(38)는 전원인 축전지(40)와 차단되어서 도통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전자비례감압밸브(27)는 전력을 얻을 수 없으므로, 동작가능한 상태로 되어 중립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동작은 다른 전자비례감압밸브에 대해서도 같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레버의 어느 하나를 오퍼레이터등이 잘못하여 건드렸을 때에도,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은 중립으로 유지된 그대로 어큐뮬레이터(21)의 압유는 전자비례감압밸브(27~30) 등에 공급되지 않고, 따라서 전환밸브(8~16)가 전환되지 않고 중립으로 유지되므로, 각 액튜에이터는 작동하지 않고 작업기는 강하를 일으키지 않고 정지상태의 그대로 유지된다. 즉, 오퍼레이터의 의도하지 않은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원동기(1)의 다음 번 시동시에 있어서의 안전의 확보 등의 관점에서 제어장치(38)로부터 펌프조작기구(5, 6)에 주유압펌프(3, 4)의 배기용적이 최소용량으로 되는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수순 S25을 종료하면, 개시로 귀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5 의 실시예에서는,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으로서, 원동기(1)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장치(37)를 배설하였으나, 이 회전수검출장치(37)의 대신에, 원동기(1)의 정지를 지령하는 정지지령장치(2)를 사용하도록 해도 되고, 또 정지검출수단으로서 원동기(1)에 발전기를 구비하여 그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장치나, 보조유압펌프(7) 및 주유압펌프(3, 4) 중 최소한 한쪽의 토출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장치를 배설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따라서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선택수단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구동을 선택하므로, 정지검출수단에서는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되어 있으므로 전환제어수단은 축압수단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유효하게 동작시킨다. 즉, 유압원으로서 축압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압유가 전환밸브조작수단을 통해 그 액튜에이터에 해당하는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된다. 따라서, 전환밸브조작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전환밸브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그 전환밸브에 대응하는 액튜에이터의 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예를 들면, 그 액튜에이터가 공중에 유지되어 있는 작업기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기의 자중에 의해 액튜에이터가 구동되어, 작업기를 강하시킬 수 있다.
한편,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오퍼레이터가 액튜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선택수단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비구동을 선택하므로, 정지검출수단에서는 원동기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되어 있으므로 전환제어수단은 축압수단에 의한 전환밸브의 전환동작을 무효로 한다. 즉, 이 때 오퍼레이터 등이 잘못하여 전환조작수단을 건드려도, 축압수단에 축적된 압유가 전환밸브조작수단을 통해 전환밸브의 구동부에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환밸브는 전환되지 않고 중립으로 유지되어, 대응하는 액튜에이터가 작동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유압쇼벨 등의 건설기계에 구비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2 도는 유압쇼벨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3 도는 전환밸브조작기구(67)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4 도는 제 1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6 도는 제 2 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8 도는 조작검출기구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9 도는 제 3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 4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11 도는 제 4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 12 도는 본 발명이 제 5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13 도는 본 발명이 제 6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14 도는 제 6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 15 도는 본 발명이 제 7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16 도는 본 발명이 제 8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17 도는 본 발명이 제 9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18 도는 본 발명이 제 10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19 도는 본 발명이 제 11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20 도는 감압밸브(17)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제 21 도는 제 11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 22 도는 전기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23 도는 본 발명의 제 12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24 도는 유압구동장치의 회로에 구비되는 제어장치(38)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25 도는 제 12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 26 도는 본 발명의 제 13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27 도는 전기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28 도는 본 발명의 제 14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29 도는 전기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30 도는 본 발명의 제 15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제 31 도는 제 15 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 32도는 전기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6)

  1. 원동기(1)와, 그 원동기(1)에 의해 구동되는 주유압펌프(3, 4)와, 그 주유압펌프(3, 4)로부터 토출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액튜에이터(57A, 57B, 57C, 56A, 54)와, 상기 주유압펌프(3, 4)로부터 상기 액튜에이터(57A, 57B, 57C, 56A, 54)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환밸브(8~16)와, 상기 원동기(1)에 의해 구동되는 보조유압펌프(7)와, 그 보조유압펌프(7)로부터 토출하는 압유를 제어하여 상기 전환밸브(8~16)를 조작하는 전환밸브조작수단(67, 69;17~20, 68,70;27~30, 31~36, 38)과, 상기 보조유압펌프(7)와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67, 69;17~20, 68, 70;27~30, 31~36, 38)과를 접속하는 관로에 배설한 축압(蓄壓)수단(21)을 구비하고, 상기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축압수단(21)을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67, 69;17~20,68,70;27~30,31~36,38)의 유압원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전환밸브(8~16)를 전환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검출수단(2,26,37,41,49,47B,48B)과, 상기 원동기(1)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액튜에이터(57A,57B,57C,56A,54)를 구동시키는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수단(24,47A,48A)과, 상기 정지검출수단(2,26,37,47B,48B;25,39)에서 상기 원동기(1)의 정지상태가 검출되고 또한 상기 선택수단(24,47A,48A)에서 상기 액튜에이터(57A, 57B, 57C, 56A, 54)의 구동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축압수단(21)에 의한 상기 전환밸브(8~16)의 전환동작을 유효로 하고, 상기 정지검출수단(2,26,37,47B,48B;25,39)에서 상기 원동기(1)의 정지상태가 검출되고 또한 상기 선택수단(24,47A,48A)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57A, 57B, 57C, 56A, 54)의 비구동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축압수단(21)에 의한 상기 전환밸브(8~16)의 전환동작을 무효로 하는 전환제어수단(23,39~42,43~48,17c~20c,89;17a;25,3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제어수단(23,39~42,43~48,17c~20c,89;17a;25,38)은 상기 정지검출수단(2,26,37,47B,48B;25,39)에서 상기 원동기(1)의 정지상태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보조유압펌프(7)를 유압원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전환밸브(8~16)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축압수단(21)과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67, 69;17~20,68,70;27~30,31~36,38)과를 접속하는 관로 및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67, 69;17~20,68,70;27~30,31~36,38)과 상기 전환밸브(8~16)와를 접속하는 관로중 한쪽에 설치된 밸브수단(23,39~42,45~48)과, 그 밸브수단을 전환하여 상기 한쪽의 관로를 차단하는 수단(25, 3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축압수단(21)과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67, 69;17~20,68,70;27~30,31~36,38)과를 접속하는 관로상에 배설되어 그 관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23)을 가지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개폐수단(23)을 개구(開口)상태로 되도록 구동시키는 개구지령 및 상기 개폐수단을 폐지(閉止)상태로 되도록 구동시키는 폐지지령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이것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지령수단(24)이고,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정지검출수단(2, 26, 37)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 및 상기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상기 개폐수단(23)의 구동을 제어하는 개폐제어수단(25, 38)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67, 69;17~20,68,70;27~30,31~36,38)과 상기 전환밸브(8~16)와를 접속하는 파일롯관로상에 배설되고, 상기 전환밸브(8~16)를 중립으로 유지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전환밸브(8~16)를 동작가능으로 하는 제 2 위치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환되는 보조전환밸브(39~42,43~46)를 가지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보조전환밸브(39~42,43~46)를 제 1 위치에 전환하는 전환지령 및 상기 보조전환밸브(39~42,43~46)를 제 2 위치에 전환하는 전환지령을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이것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지령수단(24)이고,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정지검출수단(2, 26, 37)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 및 상기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상기 보조전환밸브(39~42,43~46)의 구동을 제어하는 보조전환밸브제어수단(25,38)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67,69;17~20,68,70)과 상기 전환밸브(8~16)와를 접속하는 파일롯관로상에 배설되고, 상기 전환밸브(8~16)를 중립으로 유지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전환밸브(8~16)를 동작가능으로 하는 제 2 위치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환되는 보조전환밸브(47,48)와, 상기 정지검출수단(47B,48B)에서 상기 원동기(1)의 정지상태가 검출되지 않을 때에 상기 보조전환밸브(47,48)를 상기 제 2 위치에 전환하는 수단(47A,48A)을 가지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보조전환밸브(47,48)를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의 어느 하나에 수동으로 전환하는 수단(47A, 48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67, 69;17~20,68,70)을 동작불능으로 록하는 록수단(17c~20c)을 가지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록수단(17c~20c)을 록상태로 되도록 동작시키는 록지령 및 상기 록수단의 록상태를 해제하도록 동작시키는 록해제지령의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이것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지령수단(24)이고,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정지검출수단(25)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 및 상기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상기 록수단(17c~20c)의 동작을 제어하는 록제어수단(17a;25)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67,69;17~20,68,70)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레버(68,70)와, 이 조작레버(68, 70)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압유를 제어하는 제어밸브(17~20)를 가지고, 상기 록수단은 상기 선택지령수단(24)에 있어서 상기 록해제지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조작레버를 요동가능으로 하고, 상기 선택지령수단(24)에 있어서 상기 록지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조작레버를 기계적으로 요동불능으로 록하는 수단(17c~20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27~30,31~36,38)은 전기적인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 압력을 상기 전환밸브(8~16)에 출력하는 감압밸브(27~30)를 가지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감압밸브27~30)를 동작불능으로 하는 동작정지지령 및 동작가능으로 하는 동작지령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이것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지령수단(24)이고, 상기 전환제어수단은 상기 정지검출수단(37)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 및 상기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상기 감압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은 전기적인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 압력을 상기 전환밸브(8~16)에 출력하는 감압밸브(27~30)와, 오퍼레이터의 수동조작지령을 검출하여 이것에 대응한 전기적인 조작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조작검출수단(31~36)과, 상기 조작지령신호에 따라서 상기 감압밸브(27~30)의 입력수단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감압밸브구동수단(3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67, 69;17~20,68,70)은 상기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 압력을 상기 전환밸브(8~16)에 출력하는 수동조작식의 감압밸브(17~2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조작수단은 전기적인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유압펌프(7)로부터의 압유를 감압한 2차 압력을 상기 전환밸브(8~16)에 출력하는 감압밸브(27~30)와, 오퍼레이터의 수동조작지령을 검출하여 이것에 대응한 전기적인 조작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조작검출기구(31~36)과, 상기 조작지령신호에 따라서 상기 감압밸브(27~30)의 입력수단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감압밸브구동수단(38)을 가지고, 상기 전환제어수단(89, 38)은 전원장치(40, 41)와 상기 감압밸브(27~30)의 입력수단과를 접속하는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89)을 가지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개폐수단(89)을 개상태로 하는 개동작지령 및 상기 개폐수단(89)을 폐상태로 하는 폐동작지령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이것에 대응한 선택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지령수단(24)을 가지고, 상기 전환제어수단(89, 38)은 상기 정지검출수단(2,37;39)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지검출신호 및 상기 선택지령신호에 따라서 상기 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한느 개폐제어수단(89)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13. 제 1 항에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검출수단은 상기 원동기(1)의 정지를 지령하는 정지지령이 입력되는 정지지령장치(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검출수단은 상기 원동기(1)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수단(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15. 제 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검출수단은 상기 주유압펌프(3, 4) 및 보조유압펌프(7) 중 최소한 한쪽의 토출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장치(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16. 제 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검출수단은 상기 원동기(1)에 구비된 발전기(41, 49)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수단(25, 3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KR1019940703211A 1993-02-09 1994-02-09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KR0135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1344 1993-02-09
JP5021344A JP2709012B2 (ja) 1993-02-09 1993-02-09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93-87425 1993-04-14
JP05087425A JP3088584B2 (ja) 1993-04-14 1993-04-14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PCT/JP1994/000192 WO1994018399A1 (en) 1993-02-09 1994-02-09 Hydraulic driving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5625B1 true KR0135625B1 (ko) 1998-04-24

Family

ID=263583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3211A KR0135625B1 (ko) 1993-02-09 1994-02-09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KR1019940703211A KR950701032A (ko) 1993-02-09 1994-09-14 건설기계의 유압구동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3211A KR950701032A (ko) 1993-02-09 1994-09-14 건설기계의 유압구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88787A (ko)
EP (1) EP0638690B1 (ko)
KR (2) KR0135625B1 (ko)
DE (1) DE69420491T2 (ko)
WO (1) WO1994018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4812A (en) * 1994-07-13 1998-07-28 O&K Orenstein & Koppel Ag Method of controlling the positioning of an outfit tilting cylinder mounted on the descending lift frame of movable construction machines
JP3091667B2 (ja) * 1995-06-09 2000-09-2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領域制限掘削制御装置
DE29520328U1 (de) * 1995-12-22 1996-02-08 Hydac System Gmbh Steuerungsvorrichtung
KR100231757B1 (ko) * 1996-02-21 1999-11-15 사쿠마 하지메 건설기계의 작업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5722190A (en) * 1996-03-15 1998-03-03 The Gradall Company Priority biased load sense hydraulic system for hydraulic excavators
JPH101978A (ja) * 1996-06-13 1998-01-06 Yutani Heavy Ind Ltd バッテリ駆動の作業機械
DE69731256T2 (de) * 1996-06-19 2006-03-02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Also Known As Kobe Steel Ltd. Batteriebetriebene Baumaschine
JP3339821B2 (ja) * 1998-06-29 2002-10-28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業機械のロック方法およびそのロック装置
US6106082A (en) * 1998-12-21 2000-08-22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Track tension system
US6202014B1 (en) * 1999-04-23 2001-03-13 Clark Equipment Company Features of main control computer for a power machine
US6357231B1 (en) 2000-05-09 2002-03-19 Clark Equipment Company Hydraulic pump circuit for mini excavators
US6568898B2 (en) * 2000-05-26 2003-05-27 Komatsu Limited Hydraulic shovel with hoisting hook
CN1330898C (zh) * 2001-01-19 2007-08-08 日立建机株式会社 液压马达的故障检测装置
JP3859982B2 (ja) * 2001-04-27 2006-12-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の電力制御装置
JP2004011168A (ja) * 2002-06-04 2004-01-15 Komatsu Ltd 建設機械
JP4082935B2 (ja) * 2002-06-05 2008-04-3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ハイブリッド式建設機械
WO2007043924A1 (en) * 2005-10-14 2007-04-19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 working machin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working machine
KR101393660B1 (ko) * 2005-10-14 2014-05-1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작업기계
DE102006009063A1 (de) * 2006-02-27 2007-08-30 Liebherr-Werk Nenzing Gmbh, Nenzing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r Regelung eines hydraulischen Antriebssystems
US7857070B2 (en) * 2006-04-18 2010-12-28 Deere & Company Control system using a single proportional valve
US8434562B2 (en) * 2007-12-13 2013-05-07 Komatsu Ltd. Ripper operating device
DE602008004099D1 (de) * 2008-04-29 2011-02-03 Parker Hannifin Ab Anordnung zum Bedienen einer hydraulischen Vorrichtung
JP2013531753A (ja) * 2010-07-06 2013-08-08 ボルボ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イクイップメント アーベー ハイブリッド式掘削機の馬力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DE102012020984A1 (de) * 2012-10-25 2014-04-30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Vorrichtung zur Fahrgeschwindigkeitssteuerung/-regelung eines Arbeitsfahrzeugs und Verfahren hierzu
US9784266B2 (en) * 2012-11-23 2017-10-10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eferential function of construction machine
US10161112B2 (en) * 2015-05-22 2018-12-25 Philip Paull Valve systems and method for enhanced grading control
US11327512B1 (en) * 2020-10-22 2022-05-10 Zoomlion Heavy Industry Na, Inc. Hydraulic lockout lever failure det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6474B1 (en) * 1983-02-12 1986-12-10 Kabushiki Kaisha Hikoma Seisakusho Earth-working machine
FR2570372B1 (fr) * 1984-09-20 1986-11-28 Rhone Poulenc Sante Tetrachloro-1,7,11,15 tetramethyl-3,7,11,15 hexadecene-2, sa preparation et son emploi
JPS61112069U (ko) * 1984-12-25 1986-07-15
US4744285A (en) * 1987-03-10 1988-05-17 Applied Power Inc. Alternating valve
JP2503227B2 (ja) * 1987-04-06 1996-06-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油圧供給装置
US4809586A (en) * 1987-09-11 1989-03-07 Deere & Company Hydraulic system for a work vehicle
JPS6475604A (en) * 1987-09-16 1989-03-22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molding aluminum alloy powder
JPH0175604U (ko) * 1987-11-09 1989-05-23
JPH0313364A (ja) * 1989-06-12 1991-01-22 Brother Ind Ltd 印字装置
JPH0745655Y2 (ja) * 1989-06-27 1995-10-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式掘削機のロック装置
JPH0430038A (ja) * 1990-05-25 1992-02-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アクチュエータ駆動回路
GB2250108B (en) * 1990-10-31 1995-02-08 Samsung Heavy Ind Control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ctuators of an excavator
US5195864A (en) * 1991-08-28 1993-03-23 Case Corporation Hydraulic system for a wheel loader
WO1993013271A1 (en) * 1991-12-24 1993-07-0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Hydraulic driv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s
US5425431A (en) * 1994-02-18 1995-06-20 Clark Equipment Company Interlock control system for power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1032A (ko) 1995-02-20
US5488787A (en) 1996-02-06
EP0638690A4 (en) 1997-03-05
EP0638690A1 (en) 1995-02-15
DE69420491T2 (de) 1999-12-23
DE69420491D1 (de) 1999-10-14
EP0638690B1 (en) 1999-09-08
WO1994018399A1 (en) 199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625B1 (ko)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US7513109B2 (en) Hydraulic controller for working machine
EP1790859B1 (en) Hydraulic controller for working machine
KR101155718B1 (ko)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
JPH08144318A (ja) 建設機械の作業機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297596B2 (ja) 建設機械の油圧システム
KR20120003388A (ko) 더블 아암형 작업 기계
KR102097836B1 (ko) 선회식 건설 기계
WO2021039285A1 (ja) 建設機械の油圧システム
CN114207292B (zh) 建筑机械的油压系统
US4694647A (en) Hydraulic circuit system for use in hydraulically operated vehicles
JPH0719207A (ja) 油圧機械の駆動制御装置
US6598394B2 (en) Control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0964113B1 (ko) 굴삭기의 선회제어장치
JP2709012B2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KR102543030B1 (ko) 작업 기계
JP2004116727A (ja) 油圧機械の駆動制御装置及び切換弁装置
KR940000245B1 (ko) 중장비 작업장치의 파우어업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54118B1 (ko) 선회제어장치
WO2023188593A1 (ja) 建設機械
JPH06213205A (ja) 油圧機械の油圧駆動装置
EP3821136B1 (en) Hydraulic machine comprising a hydraulic circuit
KR940008819B1 (ko) 유압모터구동회로장치
JP3088584B2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KR100674249B1 (ko) 작업차량의 유압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