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249B1 - 작업차량의 유압회로 - Google Patents

작업차량의 유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249B1
KR100674249B1 KR1020057011949A KR20057011949A KR100674249B1 KR 100674249 B1 KR100674249 B1 KR 100674249B1 KR 1020057011949 A KR1020057011949 A KR 1020057011949A KR 20057011949 A KR20057011949 A KR 20057011949A KR 100674249 B1 KR100674249 B1 KR 100674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valve
command
work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8329A (ko
Inventor
히데토시 사타케
히로시 츠쿠이
가즈히로 이치무라
히로시 오노우에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11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249B1/ko
Publication of KR20050088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체(1)와, 주행체(1)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회체(2)와, 선회체(2)에 설치되는 유압원(21, 28)과, 주행체(1)에 설치되고, 유압원(28)으로부터의 압유에 의하여 구동하는 적어도 복수의 작업용 유압실린더(11)와, 유압원(28)으로부터 작업용 유압실린더(11)에의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22)와, 제어밸브(22)의 구동을 지령하는 조작수단(26)과, 복수의 작업용 유압실린더(11)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고, 각 작업용 유압실린더(11)로부터의 압유의 유출을 허용 및 저지하는 체크밸브부착의 밸브장치(12a, 12b)와, 각 작업용 유압실린더(11)에 대하여 각각 신축허용지령 또는 신축금지지령을 출력하는 지령수단(41, 42)과, 지령수단(41)으로부터 신축허용지령이 출력된다.

Description

작업차량의 유압회로{HYDRAULIC CIRCUIT OF WORKING TRUCK}
본 발명은 휠식 유압셔블 등의 선회 가능한 작업차량의 주행체에 설치되는 아우트리거 실린더나 블레이드 실린더 등을 구동하는 작업차량의 유압회로에 관한 것이다.
아우트리거 실린더를 구동하는 유압회로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63-4772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유압회로에서는 차량의 전후 좌우에 설치된 아우트리거 실린더의 보텀실 또는 로드실을 유압 파일럿식 변환밸브를 거쳐 각각 연통된다. 그리고 이 변환밸브의 변환에 따라 임의의 유압 실린더에의 압유의 흐름을 허용함과 동시에 다른 유압 실린더에의 압유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에 의하여 전후 좌우의 아우트리거의 독립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공보에 기재된 회로에서는 변환밸브에 의하여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유압 실린더에 고압유가 작용하면 변환밸브로부터 오일이 누출되어 차체의 잭업상태를 유지할 수 없을 염려가 있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누 출이 없는 변환밸브를 사용하면 고비용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구성에 의하여 유압 실린더의 신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작업용 유압 실린더의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량의 유압회로는, 주행체와, 주행체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회체와, 선회체에 설치되는 유압원과, 주행체에 설치되고, 유압원으로부터의 압유에 의해 구동하는 적어도 복수의 작업용 유압 실린더와, 유압원으로부터 작업용 유압 실린더에의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와, 제어밸브의 구동을 지령하는 조작수단과, 복수의 작업용 유압 실린더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고, 각 작업용 유압 실린더로부터의 압유의 유출을 허용 및 저지하는 체크밸브부착 밸브장치와, 각 작업용 유압 실린더에 대하여 각각 신축허용지령 또는 신축금지지령을 출력하는 지령수단과, 지령수단으로부터 신축허용지령이 출력되면 체크밸브로서의 기능을 무효화하여 작업용 유압 실린더로부터의 압유의 유출을 허용하고, 신축금지지령이 출력되면 체크밸브에 의하여 작업용 유압 실린더로부터의 압유의 유출을 저지하도록 밸브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하여 유압 실린더로부터의 압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어, 저렴한 구성에 의하여 유압 실린더의 신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쌍의 관로를 거쳐 주행체와 선회체의 사이를 오일이 흐르고, 주행체측에서 관로를 분기시켜 각 작업용 유압 실린더에 접속하도록 유압회로를 형성하여도 좋다.
밸브장치는 유압 파일럿식의 오퍼레이트 체크밸브로 하면 된다. 이 경우, 선회체로부터의 파일럿압을 단일의 파일럿 관로를 거쳐 주행체로 유도하고, 주행체측에서 관로를 분기시켜 각 밸브장치에 접속하도록 파일럿 유압회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장치를 체크밸브부착 전자변환밸브로 할 수도 있다.
지령수단으로부터 신축허용지령이 출력되고, 또한 검출수단에 의하여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면 작업용 유압 실린더로부터의 압유의 유출을 허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휠식 유압셔블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회로도,
도 4는 도 3의 전자변환밸브를 제어하는 릴레이 회로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전자변환밸브의 제어지령을 출력하는 조작부재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회로도,
도 7은 도 6의 전자변환밸브를 제어하는 릴레이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제 1 실시형태 -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압회로를 휠식 유압셔블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휠식 유압셔블은, 주행체(1)와, 주행체(1)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선회체(2)를 가진다. 선회체(2)에는 운전실(3)과 부움 (4a), 암(4b), 버킷(4c)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용 프론트 어태치먼트(4)가 설치되어 있다. 부움(4a)은 부움 실린더(4d)의 구동에 의하여 기복하고, 암(4b)은 암 실린더(4e)의 구동에 의하여 기복하며, 버킷(4c)은 버킷 실린더(4f)의 구동에 의하여 크라우드 또는 덤프한다. 주행체(1)에는 유압구동에 의한 주행 모터(5)가 설치되고, 주행 모터(5)의 회전은 프로펠러축, 차축을 거쳐 차륜(6)(타이어)에 전달된다.
주행체(1)의 전후 좌우의 타이어(6)의 근방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아우트리거(10)가 설치되어 있다. 아우트리거(10)에는 아우트리거 실린더(11)가 장착되고, 이 실린더(11)의 신축에 의하여 아우트리거(10)는 회동축(10a)을 지지점으로 회동한다. 실린더(11)의 신장에 의하여 아우트리거(10)는 접지하여 차량을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리고(잭업), 실린더(11)의 점점 줄어듦(縮退)에 의하여 아우트리거(10)는 주행체(1)에 집어 넣어지고, 차량을 지면으로 강하하다(잭다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회로도이고, 주로 아우트리거 실린더(11)의 구동회로를 나타낸다. 또한 차량의 왼쪽 앞부분, 오른쪽 앞부분, 왼쪽 뒷부분, 오른쪽 뒷부분의 아우트리거 실린더(11)를 각각 11FL, 11FR, 11RL, 11RR로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선회체(2)에 설치된 유압펌프(21)로부터의 압유는 방향제어밸브(22), 관로(23 또는 24)를 거쳐 센터죠인트(25)를 통과하여 주행체(1)로 유도되고, 주행체(1)로부터의 리턴 오일은 관로(24 또는 23)를 거쳐 센터죠인트(25)를 통과하여 탱크로 유도된다.
방향제어밸브(22)는 조작레버(26)의 조작에 의하여 변환된다. 즉 조작레버 (26)를 조작하면 그 조작량에 따라 감압밸브(27)가 구동되고, 유압원(28)으로부터의 파일럿압이 파일럿 관로(29 또는 30)를 거쳐 방향제어밸브(22)의 파일럿 포트에 작용하여 방향제어밸브(22)가 변환된다. 파일럿 관로(29, 30) 사이에는 셔틀밸브(31)가 설치되고, 선회체(2)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셔틀밸브(31), 파일럿 관로(32)를 거쳐 센터죠인트(25)를 통과하여 주행체(1)로 유도된다.
각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 11RL, 11RR)의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의 입구에는 각각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가 설치되어 있다. 각 보텀실(11a)은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를 거쳐 서로 연통됨과 동시에, 관로(23)에 접속되어 있다. 각 로드실(11b)은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b)를 거쳐 서로 연통됨과 동시에, 관로(24)에 접속되어 있다.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는 외부로부터의 파일럿압에 의하여 동작한다.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의 파일럿 포트는,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 11RL, 11RR)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한 전자변환밸브(34∼37)를 거쳐 파일럿 관로(32)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변환밸브(34∼37)의 솔레노이드(34a∼37a)에는 예를 들면 슬립링을 거쳐 선회체(2)측으로부터 전기신호가 출력되어, 솔레노이드(34a∼37a)가 여자 또는 소자된다.
솔레노이드(34a∼37a)가 여자되면 전자변환밸브(34∼37)는 위치 a로 변환되고,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에 파일럿 관로(32)로부터의 파일럿압이 작용한다. 이에 의하여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의 체크밸브로서의 기능은 무효화되어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는 단순한 개방밸브로서 기능하고, 보텀실 (11a) 및 로드실(11b)로부터의 압유의 유출이 허용된다.
솔레노이드(34a∼37a)가 소자되면 전자변환밸브(34∼37)는 위치 b로 변환되어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에 대한 파일럿압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의하여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는 체크밸브로서 기능하여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로부터의 압유의 유출이 금지된다. 이 경우,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는 변환밸브와 같이 밸브 본체 내를 스풀이 이동한다는 구조가 아니라, 역류시에 생기는 압력에 의하여 포핏밸브를 본체 시트면에 가압되는 것이기 때문에, 누출은 거의 문제가 되지 않고, 저렴하다.
도 4는 솔레노이드(34a∼37a)의 통전을 제어하는 릴레이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릴레이 회로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이얼식의 전후변환 스위치(41) 및 좌우 변환 스위치(42)의 조작에 따라 변환된다. 이들 스위치(41, 42)는 운전실(3)에 설치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변환 스위치(41)는 오프, F, A, R 중 어느하나로 조작되고, 전후의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 및 11RL, 11RR)의 조작을 선택한다. 즉 앞쪽의 실린더(11FL, 11FR)를 구동할 때는 F, 뒤쪽의 실린더(11RL, 11RR)를 구동할 때는 R, 전후 양쪽의 실린더(11FL, 11FR, 11RL, 11RR)를 구동할 때는 A, 실린더(11FL, 11FR, 11RL, 11RR)를 구동하지 않을 때는 오프로 각각 스위치(41)를 조작한다.
좌우 변환 스위치(42)는 L, A, R 중 어느 하나로 조작되고, 좌우의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RL 및 11FR, 11RR)의 조작을 선택한다. 즉 왼쪽의 실린더 (11FL, 11RL)를 구동할 때는 L, 오른쪽의 실린더(11FR, 11RR)를 구동할 때는 R, 좌우 양쪽의 실린더(11FL, 11FR, 11RL, 11RR)를 구동할 때는 A로 각각 스위치(42)를 조작한다.
이상의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각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 11RL, 11RR)에 대하여 각각 신축허용지령 또는 신축금지지령을 출력한다.
여기서, 도 4의 릴레이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전후 변환스위치(41)를 오프위치로 조작하면 릴레이(43, 44)의 코일은 모두 통전되지 않고, 릴레이(43, 44)는 각각 접점 a측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하여 솔레노이드(34a∼37a)는 모두 소자된다. 전후 변환 스위치(41)를 F 위치로 조작하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41)의 단자(1과 2)가 연통하여 릴레이(43)의 코일이 통전되어 릴레이(43)가 접점 b측으로 변환된다. 전후 변환 스위치(41)를 R 위치로 조작하면, 스위치 단자(4와 5)가 연통하여 릴레이(44)의 코일이 통전되어 릴레이(44)가 접점 b측으로 변환된다. 전후 변환 스위치(41)를 A 위치로 조작하면 스위치단자(1, 3, 4)가 연통하여 릴레이(43, 44)의 코일이 통전되어 릴레이(43, 44)가 각각 접점 b측으로 변환된다.
릴레이(43)가 접점 b측으로 변환된 상태에서 좌우 변환 스위치(42)를 L 위치로 조작하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42)의 단자(1과 2)가 연통하여 릴레이(45)의 코일이 통전되어 릴레이(45)가 접점 b측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하여 솔레노이드(34a)가 여자된다. 좌우 변환 스위치(42)를 R 위치로 조작하면 스위치단자(4와 5)가 연통하여 릴레이(46)의 코일이 통전되어 릴레이(46)가 접점 b측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하여 솔레노이드(35a)가 여자된다. 좌우 변환 스위치(42)를 A 위치로 조작하면 스위치단자(1, 3, 4)가 연통하여 릴레이(45, 46)의 코일이 통전되어 릴레이(45, 46)가 각각 접점 b측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하여 솔레노이드(34a, 35a)가 각각 여자된다.
한편, 릴레이(44)가 접점 b측으로 변환된 상태에서 좌우 변환 스위치(42)를 L 위치로 조작하면 스위치 단자(1와 2)가 연통하여 릴레이(47)의 코일이 통전되어 릴레이(47)가 접점 b측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하여 솔레노이드(36a)가 여자된다. 좌우 변환 스위치(42)를 R 위치로 조작하면 스위치 단자(4와 5)가 연통하여 릴레이(48)의 코일이 통전되어 릴레이(48)가 접점 b측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하여 솔레노이드(37a)가 여자된다. 좌우 변환 스위치(42)를 A 위치로 조작하면 스위치 단자(1, 3, 4)가 연통하여 릴레이(47, 48)의 코일이 통전되어 릴레이(47, 48)가 각각 접점 b측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하여 솔레노이드(36a, 37a)가 각각 여자된다.
다음에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회로의 특징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차체의 잭업 및 잭다운(이하, 잭업/다운)을 행하지 않을 때는 전후 변환 스위치(41)를 OFF위치로 조작한다. 이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모든 아우트리거 실린더(11)의 신축금지지령이 출력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4a∼37a)는 모두 소자되고, 전자변환밸브(34∼37)는 각각 위치 b로 변환된다. 이에 의하여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와 파일럿 관로(32)와의 연통이 차단되고,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에 파일럿압이 공급되지 않아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는 체크밸브로서 기능한다. 이 상태에서는 방향 변환밸브(22)의 변환에 의하여 유압 펌프(21)로부터 아우트리거 실린더(11)로 압유가 유도되어도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로부터 압유를 유출할 수 없기 때문에 실린더(11)는 신축되지 않아 차체의 잭업/다운이 금지된다.
예를 들면 차체 앞쪽 좌우를 잭업/다운할 때는, 전후 변환 스위치(41)를 F 위치로 조작함과 동시에 좌우 변환 스위치(42)를 A 위치로 조작한다. 이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의 신축허용지령, 아우트리거 실린더(11RL, 11RR)의 신축금지지령이 각각 출력되고, 솔레노이드(34a, 35a)가 여자되어 전자변환밸브(34, 35)는 위치 a로 변환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26)를 중립위치로부터 조작하면 유압원(28)으로부터의 파일럿압은 관로(32)를 거쳐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의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에 각각 작용하고,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는 개방밸브로서 기능한다. 또 유압원(28)으로부터의 파일럿압은 방향 변환밸브(22)에 작용하여 방향 변환밸브(22)가 위치 a 또는 b로 변환된다. 이에 의하여 유압펌프(21)로부터의 압유가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의 보텀실(11a) 또는 로드실(11b)로 유도되고, 로드실(11b) 또는 보텀실(11a)로부터 압유가 배출된다. 그 결과, 앞쪽의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를 동시 조작할 수 있어, 차체 앞쪽이 잭업/다운한다.
차체 앞쪽의 좌우 한쪽(예를 들면 왼쪽)만 잭업/다운할 때는, 전후 변환 스위치(41)를 F 위치로 조작함과 동시에 좌우 변환 스위치(42)를 L 위치로 조작한다. 이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의 신축허용지령, 아우트리거 실린더(11FR, 11RL, 11RR)의 신축금지지령이 각각 출력되고, 솔레노이드(34a)가 여자 되어 전자변환밸브(34)만 위치 a로 변환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26)를 중립위치로부터 조작하면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의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에 파일럿압이 작용하여 유압펌프(21)로부터의 압유에 의하여 앞쪽의 실린더(11FL)를 독립 조작할 수 있다.
차체 뒤쪽 좌우를 잭업/다운할 때는, 전후 변환 스위치(41)를 R 위치로 조작함과 동시에 좌우 변환 스위치(42)를 A 위치로 조작한다. 이에 의하여 솔레노이드(36a, 37a)가 여자되고, 전자변환밸브(36, 37)가 위치 a로 변환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26)를 중립위치로부터 조작하면 아우트리거 실린더(11RL, 11RR)의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에 각각 파일럿압이 작용하여 뒤쪽의 아우트리거 실린더(11RL, 11RR)를 동시 조작할 수 있어 차체 뒤쪽이 잭업/다운된다.
차체 뒤쪽의 좌우 한쪽(예를 들면 왼쪽)만 잭업/다운할 때는, 전후 변환 스위치(41)를 R 위치로 조작함과 동시에 좌우 변환 스위치(42)를 L 위치로 조작한다. 이에 의하여 솔레노이드(36a)가 여자되고, 전자변환밸브(36)만 위치 a로 변환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26)를 중립위치로부터 조작하면, 아우트리거 실린더(11RL)의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에 파일럿압이 작용하고, 유압펌프(21)로부터의 압유에 의하여 뒤쪽의 실린더(11RL)를 독립 조작할 수 있다.
차체 전후 왼쪽 또는 오른쪽을 잭업/다운할 때는, 전후 변환 스위치(41)를 A 위치로 조작함과 동시에 좌우 변환 스위치(42)를 L 또는 R 위치로 조작한다. 이에 의하여 솔레노이드(34a, 36a 또는 35a, 37a)가 여자되고, 전자변환밸브(34, 36 또는 35, 37)가 위치 a로 변환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26)를 중립위치로부터 조작하면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RL 또는 11FR, 11RR)의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에 파일럿압이 작용하여 차체의 왼쪽 또는 오른쪽을 잭업/다운할 수 있다.
차체 전체를 잭업/다운할 때는, 전후 변환 스위치(41)를 A 위치로 조작함과 동시에 좌우 전환 스위치(42)를 A 위치로 조작한다. 이에 의하여 솔레노이드(34a∼37a)가 모두 여자되고, 전자변환밸브(34∼37)는 각각 위치 a로 변환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26)를 조작하면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 11RL, 11RR)의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에 각각 파일럿압이 작용하여 차체 전체를 잭업/다운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1) 각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 11RL, 11RR)의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의 입구에 각각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를 설치하고, 스위치조작에 따라전자변환밸브(34∼37)를 변환하여 각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에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도록 하였다. 이에 의하여 각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 11RL, 11RR)를 독립으로 조작할 수 있고, 차체를 임의로 잭업/다운할 수 있다. 또 저렴한 구성에 의하여 아우트리거 실린더(11)로부터의 압유의 누출을 저지할 수 있어, 소정의 잭업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2) 유압펌프(21)로부터의 압유를 1쌍의 관로(23, 24)를 거쳐 주행체(1)로 유도하고, 관로(23, 24)를 주행체(1)측에서 분기시켜 각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 11RL, 11RR)에 각각 접속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하여 센터 조인트(25)를 통 과하는 고압용 배관의 갯수를 저감할 수 있어, 센터 조인트(25)를 소형화할 수 있다.
(3) 단일의 조작레버(26)와 방향 변환밸브(22)에 의하여 각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 11RL, 11RR)에의 압유의 흐름을 각각 제어할 수 있고,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4) 유압원(28)으로부터의 파일럿압을 단일의 파일럿 관로(32)를 거쳐 주행체(1)로 유도하고, 관로(32)를 주행체(1)측에서 분기시켜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에 각각 접속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하여 센터 조인트(25)를 통과하는 파일럿 배관의 갯수를 저감할 수 있어 센터 조인트(25)를 소형화할 수 있다.
(5) 조작레버(26)의 조작에 의하여 방향 변환밸브(22)와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에 파일럿압을 공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레버(26)의 조작에 연동하여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가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스위치조작에 의한 전자 변환밸브(34∼37)의 변환 직후에 아우트리거 실린더(11)가 원하지 않게 움직이는 일이 없어, 아우트리거(10)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 제 2 실시형태 -
도 6,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아우트리거 실린더(11)의 오일실(11a, 11b)의 입구에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를 설치하고, 선회체(2)로부터의 파일럿압에 의하여 체크밸브로서의 기능을 무효화하도록 하였으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선회체(2)로부터의 전기신호에 의하여 체크밸브로서의 기능을 무효화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회로도로서, 주로 아우트리거 실린더(11)의 구동회로를 나타낸다. 또한 도 3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상위점을 주로 설명한다.
각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 11RL, 11RR)의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의 입구에는 오퍼레이트 체크밸브(12a, 12b) 대신에 전자 변환밸브(61∼6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형태와 같이 파일럿 관로가 센터 조인트(25)를 통과하지 않아, 센터 조인트(25)를 통과하는 관로의 갯수는 제 1 실시형태보다도 적다. 셔틀밸브(31)에는 압력 스위치(65)가 접속되어 있다. 압력 스위치(65)는 조작레버(26)의 조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파일럿압에 의하여 온되어 조작레버(26)의 조작을 검출한다.
전자 변환밸브(61∼64)는 각각 체크밸브(60a, 60b)를 내장한다. 도 6에 있어서 전자 변환밸브(61∼64)의 솔레노이드(61a∼64a)가 여자되면 전자 변환밸브(61∼64)는 위치 a로 변환된다. 이때, 전자 변환밸브는 단순한 개방밸브로서 기능하여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로부터의 압유의 유출이 가능하게 된다. 솔레노이드(61a∼64a)가 소자되면 전자 변환밸브(61∼64)는 위치 b로 변환된다. 이에 의하여 보텀실(11a) 및 로드실(11b)로부터의 압유의 유출이 체크밸브(60a, 60b)에 의하여 저지된다.
도 7은 솔레노이드(61a∼64a)의 통전을 제어하는 릴레이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상위점을 주로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압력 스위치(65)가 온되면 릴레이(66)의 코일 이 통전되어 릴레이(66)는 접점 b측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하여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위치(41, 42)의 조작에 따라 릴레이(43∼48)가 변환되고, 솔레노이드(61a∼64a)가 여자 또는 소자된다.
제 2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조작레버(26)가 중립위치에 있으면 압력 스위치(65)는 오프되어 릴레이(66)는 접점 a측으로 변환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위치(41, 42)의 위치에 관계없이 솔레노이드(61a∼64a)는 항상 소자된다. 이에 의하여 전자 변환밸브(61∼64)는 모두 위치 b로 변환되고, 아우트리거 실린더(11)는 신축되지 않아 차체의 잭업/다운이 금지된다.
조작레버(26)를 중립위치로부터 조작하면 압력 스위치(65)가 온되어 릴레이(66)는 접점 b측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하여 스위치(41, 42)의 조작에 따라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61a∼64a)가 여자되고, 전자 변환밸브(61∼64)가 위치 a로 변환된다. 그 결과, 조작레버(26)의 조작에 따라 아우트리거 실린더(11)가 신축되어 차체를 잭업/다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 11RL, 11RR)의 오일실(11a, 11b)의 입구에 체크밸브(60a, 60b)부착의 전자 변환밸브(61∼64)를 설치하여, 스위치조작에 따라 전자 변환밸브(61∼64)를 변환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하여 각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 11RL, 11RR)의 구동을 각각 단독으로 허용 또는 금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렴한 구성에 의하여 실린더(11)로부터의 압유의 누출을 저지할 수 있다. 센터 조인트(25)에 파일럿 관로를 통과시킬 필요가 없어, 센터 조인트(25)를 한층 소형화할 수 있다. 조작레버(26)의 조작을 압력 스위치(65)로 검출하여, 압력 스위치(65)가 온이고, 또한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아우트리거 실린더(11)의 구동이 선택되었을 때, 솔레노이드(61a∼64a)를 여자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레버(26)의 비조작시에 아우트리거 실린더(11)가 원하지 않게 움직이는 일이 없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레버(26)의 조작시에 발생하는 파일럿압을 셔틀밸브(31)를 거쳐 파일럿 관로(32)로 유도하도록 하였으나,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압력센서(65)로 조작레버(26)의 조작을 검출하여 압력 스위치(26)의 온시에 파일럿 관로(65)로 파일럿압을 유도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레버(26)의 조작에 연동하여 체크밸브로서의 기능을 무효화하도록 하였으나, 반드시 조작레버(26)의 조작으로 시킬 필요는 없고, 스위치(41, 42)의 조작만으로 체크밸브로서의 기능을 무효화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차체의 전후 좌우에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 11RL, 11RR)를 가지는 유압회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차체의 전후 한쪽에(예를 들면 뒤쪽만)만 아우트리거 실린더(11RL, 11RR)를 가지는 유압회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주행체(1)에 설치되는 아우트리거 실린더(11) 이외의 작업용 유압 실린더(예를 들면 블레이드 실린더)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방향 제어밸브(22)의 구동을 조작레버(26) 이외의 조작부재(예를 들면 스위치)에 의하여 지령하여도 좋다. 다이얼식 스위치(41, 42)에 의하여 신축허용지령 및 신축금지지령을 출력하도록 하였으나, 각 아우트리거 실린더(11FL, 11FR, 11RL, 11RR)에 대응한 수의 온/오프 스위치(예를 들면 토글 스위치)를 설치하고, 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신축허용지령 및 신축금지지령을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솔레노이드(34a∼37a, 61a∼64a)의 통전을 릴레이 회로로 제어하도록 하였으나, 조작레버(26) 및 스위치(41, 42)로부터의 신호를 컴퓨터에 도입하여 컴퓨터로 제어하여도 좋다. 즉 제어수단으로서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휠식 유압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휠로우더, 트럭크레인 등의 건설기계, 그 밖의 작업차량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대형 크레인의 잭업용 실린더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회체와,
    상기 선회체에 설치되는 유압원과,
    상기 주행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원으로부터의 압유에 의하여 구동하는 적어도 복수의 작업용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원으로부터 상기 작업용 유압 실린더에의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와,
    상기 제어밸브의 구동을 지령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복수의 작업용 유압 실린더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어, 각 작업용 유압 실린더로부터의 압유의 유출을 허용 및 저지하는 체크밸브부착의 밸브장치와,
    상기 각 작업용 유압 실린더에 대하여 각각 신축허용지령 또는 신축금지지령을 출력하는 지령수단과,
    상기 지령수단으로부터 상기 신축허용지령이 출력되면 체크밸브로서의 기능을 무효화하여 상기 작업용 유압 실린더로부터의 압유의 유출을 허용하고, 상기 신축금지지령이 출력되면 체크밸브에 의하여 상기 작업용 유압 실린더로부터의 압유의 유출을 저지하도록 상기 밸브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작업용 유압 실린더의 구동압의 공급용 및 리턴용의 1쌍의 관로를 거쳐 상기 주행체와 상기 선회체의 사이를 오일이 흐르고, 상기 1쌍의 관로를 상기 주행체측에서 분기시켜 상기 각 작업용 유압 실린더에 접속하도록 유압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유압회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는, 파일럿압에 의하여 제어되는 오퍼레이트 체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유압회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선회체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을 단일의 파일럿 관로를 거쳐 상기 주행체로 유도하고, 상기 파일럿 관로를 상기 주행체측에서 분기시켜 상기 각 밸브장치에 접속하도록 파일럿 유압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유압회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체크밸브부착의 변환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유압회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령수단으로부터 상기 신축허용지령이 출력되고, 또한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작업용 유압 실린더로부터의 압유의 유출을 허용하고, 다른 조건에서는 상기 작업용 유압 실린더로부터의 압유의 유출을 금지하도록 상기 밸브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유압회로.
KR1020057011949A 2005-06-24 2002-12-27 작업차량의 유압회로 KR100674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1949A KR100674249B1 (ko) 2005-06-24 2002-12-27 작업차량의 유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1949A KR100674249B1 (ko) 2005-06-24 2002-12-27 작업차량의 유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329A KR20050088329A (ko) 2005-09-05
KR100674249B1 true KR100674249B1 (ko) 2007-01-25

Family

ID=3727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949A KR100674249B1 (ko) 2005-06-24 2002-12-27 작업차량의 유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2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329A (ko) 2005-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9900B2 (ja) 作業用油圧シリンダの駆動装置
US11306746B2 (en) Hydraulic system for working machine
JP4159551B2 (ja) 作業車両の油圧回路
JPH08144318A (ja) 建設機械の作業機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064455A (ja) 作業機械の油圧制御装置
KR102028416B1 (ko) 건설 기계의 유압 구동 장치
EP1726723B1 (en) Working machine
KR100671750B1 (ko) 유압회로
JP6964052B2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KR100674249B1 (ko) 작업차량의 유압회로
US6520593B2 (en) Hydraulic positioning system
JPH06280287A (ja) ホイール式建設車両の走行振動抑制装置
CN110226010B (zh) 用于建筑机械的液压控制系统
JP3833911B2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KR100668013B1 (ko) 작업용 유압 실린더의 구동 장치
US20210123206A1 (en) Hydraulic system for working machine
JP6891104B2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JP7001554B2 (ja) クレーン機能付き油圧ショベル
CN113557339B (zh) 用于土方机器的电液装置
EP3821136B1 (en) Hydraulic machine comprising a hydraulic circuit
JP7290619B2 (ja) 作業用車両
JP3707935B2 (ja) 油圧ショベルのブームシリンダ用油圧回路
JP3023449B2 (ja) 作業機の操作速度切換装置
JPS58193906A (ja) 作業機械の油圧回路
JPH07127608A (ja) 液圧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