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461B1 -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 - Google Patents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461B1
KR0135461B1 KR1019940038792A KR19940038792A KR0135461B1 KR 0135461 B1 KR0135461 B1 KR 0135461B1 KR 1019940038792 A KR1019940038792 A KR 1019940038792A KR 19940038792 A KR19940038792 A KR 19940038792A KR 0135461 B1 KR0135461 B1 KR 0135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ircuit
inverting terminal
amplify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252A (ko
Inventor
유동철
Original Assignee
서두칠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두칠,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두칠
Priority to KR1019940038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461B1/ko
Publication of KR960027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컨대 실리콘 압력센서등과 같이 출력 임피던스가 높은 회로 또는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미세한 신호를 소정레벨의 작정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된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에 관한 것으로, 그 내부에 반전단자를 통한 궤환저항을 구비함과 더불어 비반전단자가 장치의 두 입력단자 가운데 그 일측에 접속된 제1연산증폭수단과; 입력전원을 소정 비율로 분압하여 상기 제1연산증폭수단의 비단전단자로 인가함으로써 이 제1연산증폭수단의 이득 특성을 보정하는 이득 특성 보정수단; 및 상기 제1연산증폭수단의 출력전위를 반전단자로, 상기 입력단자의 나머지 일측 단자로 인가되는 전위를 비반전단자로 각각 입력받아 이 두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연산증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회로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브리지 타입 실리콘 압력센서A1 : 제 1 증폭기
A2 : 제 2 증폭기1 : 저항 분압 회로
R1 - R7 : 저항C : 캐패시터
본 발명은 증폭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컨대 실리콘 압력센서등과 같이 출력 임피던스가 높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미세한 신호를 소정레벨의 적정 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된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에 관한 것이다.
출력 임피던스(output impedence)가 높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서는 임피던스 매칭을 감안하여 입력 임피던스가 충분히 큰 증폭회로를 사용하여야 한다.
예컨대 브리지 타입 실리콘 압력센서의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대하여 그 내부에 브리지 회로를 형성하고 있는 저항의 저항성분이 변화됨으로써 가해진 압력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한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저항의 저항값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이 압력센서 자체의 출력 임피던스 역시 상당히 높게 마련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증폭회로를 이용하여 증폭을 하게 되면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 사용자가 원하는 증폭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출력 임피던스가 높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미세한 신호를 적정 레벨의 소정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된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는, 입력전원을 소정 비율로 분압하여 출력하는 전압 분압회로, 상기 전압 분압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반전 단자로 인가받고, 압력 센서의 출력을 비반전 단자로 입력받는 제 1 증폭기, 상기 제 1 증폭기의 출력전위를 반전단자로, 상기 압력 센서의 출력을 비반전 단자로 각각 입력받아 이 두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2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실리콘 압력센서 등과 같이 출력 임피던스가 높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미세한 신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 레벨의 소정 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중폭회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구성도로, 도면에서 참조부호 P 는 외부로부터 작용되는 물리적인 압력을 소정 전기적 신호롤 변환하여 출력하는 브리지 타입 실리콘 압력센서이고, A1 과 A2 는 이 압력센서(P)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각각 자체의 비반전 단자(+)로 입력받아 이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 1, 제 2 증폭기이다.
참조번호 1은 이 증폭기(A1,A2)의 반전 단자(-)로 인가되는 전압을 소정 레벨로 분압하는 저항 분압회로로서, 이 저항 분압회로(1)는 저항 R3과 함께 상기 제1 증폭기(A1)의 이득특성(gain)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회로이다.
또한, 참조부호 R5와 R6 및 R6 과 R7은 각각 제 1, 제 2 증폭기(A1,A2)의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저항이고, C는 상기 제 2 증폭기(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내에 포함되어 있는 고주파 성분을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고주파 캐패시터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브리지 타입 실리콘 압력센서(P)의 출력단자(a, b)로부터 외부압력에 상응하는 미세한 전압신호가 출력되게 되면, 이 신호는 각각 제 1, 제 2 증폭기(A1,A2)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게 된다.
한편 제 1 증폭기(A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항 분압회로(1)에 의해 분압된 입력전원을 그 비반전 단자(-)로 입력받게 되는 바, 이때, 이 제 1 증폭기(A1)의 출력전압 Vc는가 된다.
또한, 상기 제 2 증폭기(A2)의 그 반전단자(-)에는 상기 제 1 증폭기(A1)의 출력신호(Vc)가, 비반전단자(+)로는 상기 실리콘 압력센서(P)의 출력전위(Vb)를 각각 입력받게 되는 바, 따라서 이 제 2 증폭기(A2)의 출력전압(Vout)은
가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R6 과 R7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실리콘 압력센서(P)로부터 출력되는 미세 전압신호에 대하여 적정한 이득 특성을 갖는 증폭회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증폭회로는 그 입력 임피던스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내부의 저항값을 적절히 조정하게 되면 상기 실리콘 압력센서(P)의 높은 출력 임피던스에 대하여 큰 어려움없이 임피던스 매칭을 이룰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 임피던스가 높은 회로 또는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미세한 신호에 대하여 이를 소정레벨의 적정한 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된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입력전원을 소정 비율로 분압하여 출력하는 전압 분압회로(1), 상기 전압 분압회로(1)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반전 단자(-)로 인가받고, 압력센서(P)의 출력을 비반전 단자(+)로 입력받는 제 1 증폭기(A1),
    상기 제 1 증폭기(A1)의 출력전위를 반전단자(-)로, 상기 압력 센서(P)의 출력을 비반전 단자(+)로 각각 입력받아 이 두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2 증폭기(A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
KR1019940038792A 1994-12-29 1994-12-29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 KR0135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792A KR0135461B1 (ko) 1994-12-29 1994-12-29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792A KR0135461B1 (ko) 1994-12-29 1994-12-29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252A KR960027252A (ko) 1996-07-22
KR0135461B1 true KR0135461B1 (ko) 1998-05-15

Family

ID=1940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792A KR0135461B1 (ko) 1994-12-29 1994-12-29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4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252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5587A1 (en) Fixed and adjustable bandwidth translinear input amplifier
KR0135461B1 (ko)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
JPH04148388A (ja) 時定数可変形の微分器
JP3179838B2 (ja) ノイズ検出回路
JP2993532B2 (ja) ホイートストンブリッジ型ロードセルの励振回路
US5621350A (en) Circuit for amplifying a weak dircet voltage signal
KR880004159Y1 (ko) 브리지 앰프를 사용한 두신호 증폭회로
JPS5942899B2 (ja) 制御信号発生回路
JPS6340904Y2 (ko)
JPS58213568A (ja) ビデオ・クランプ補正回路
JP3164192B2 (ja) 方形波−電圧変換回路
JPH0614499Y2 (ja) 電子ボリユ−ムバツフア回路
JP2644774B2 (ja) 増幅回路
JPS6114173Y2 (ko)
JPH08250943A (ja) 平衡増幅回路
JPH0567930A (ja) 電圧増幅回路
JPS5926673Y2 (ja) ノイズ除去回路
KR940005774Y1 (ko) 차동출력 증폭기
JPH04172804A (ja) 増幅装置
JPH0495406A (ja) 差仂増巾回路
JPS5922409A (ja) 増幅器
JPH04116421U (ja) 平衡直流増幅器
JPH033407B2 (ko)
JPH04330816A (ja) 振幅制限回路
JPH03241904A (ja) 定電流出力ア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