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4159Y1 - 브리지 앰프를 사용한 두신호 증폭회로 - Google Patents

브리지 앰프를 사용한 두신호 증폭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159Y1
KR880004159Y1 KR2019860000399U KR860000399U KR880004159Y1 KR 880004159 Y1 KR880004159 Y1 KR 880004159Y1 KR 2019860000399 U KR2019860000399 U KR 2019860000399U KR 860000399 U KR860000399 U KR 860000399U KR 880004159 Y1 KR880004159 Y1 KR 880004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r
operational amplifier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0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2772U (ko
Inventor
오영출
Original Assignee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0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4159Y1/ko
Publication of KR8700127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27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1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03F3/183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0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H03F3/3001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with field-effect transistors
    • H03F3/3061Bridge type, i.e. two complementary controlled SEPP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2Noise reduction and elimination in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리지 앰프를 사용한 두신호 증폭회로
제1도는 종래의 브리지앰프의 두신호 증폭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리지 앰프의 두신호 증폭회로.
본 고안은 제1신호와 제2신호를 다같이 증폭할수 있는 회로에 관한것으로, 특히 연산증폭기를 사용한 브리지앰프를 구성하여 제1신호와 제2신호를 다같이 증폭하는 회로에 관한것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전화기에서는 하나의 앰프를 구성하여 제1신호, 예를 들어 음성신호를 증폭하였고, 제2신호, 예를 들어 링신호를 증폭하려면 또다른 증폭기가 필요하였으며 제1신호(이하 음성신호라 함)와 제2신호(이하 링신호라함)를 각각의 증폭회로를 사용하여 음성신호와 링신호를 적절한 신호의 출력으로서 얻기위해서는 다소높은 전원전압의 인가가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개개의 증폭회로를 사용하여 적절한 음성신호와 링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전원회로의 단일화가 곤란하였다.
또한 낮은 단일전원전압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원회로는 간단하였으나 음성신호와 링신호를 적절한 신호로써 출력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또한편 상기와같이 개개의 증폭기를 사용하지않고 낮은 전압에서도 음성신호와 링신호를 2배 증폭하는 신호로써 출력하기위한 증폭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음성신호(VS)가 입력시 제어신호(CO1)을 입력하여 상기 음성신호(VS)을 출력할수 있는 트라이스래이트스위치(TS1)과 링신호(RS)가 입력시 제어신호(CO2)을 입력하여 상기 링신호(RS)을 출력하는 트라이스래이트스위치(TR2)로 구성된 믹서회로(1)와, 상기 믹서회로(1)로부터 출력하는 음성신호(VS) 또는 링신호(RS)을 가변할수 있는 가변저항(VS1)과, 상기 가변저항(VR1)을 통하여 입력하는 음성신호(VS)또는 링신호(RS)을 비반전단자로 입력하여 대략 전원전압 VCC의인 전압점에서 상기 음성신호(VS)또는 링신호(RS)을 비반전출력하는 제1연산증폭기(U1)와, 상기신호를 반전단자로 입력하여 대략 전원전압 VCC의인 전압점에서 상기 입력신호를 반전출력하는 제2연산 증폭기(U2)와, 상기 제1연산증폭기(U1) 및 제2연산증폭기(U2)의 전원전압을 안정하게하기 위한 캐패시터(C1)와, 상기 연산증폭기(U1)(U2)의 출력신호에 고주파신호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때에는 상기 고주파신호 성분을 바이패스시키기9 위한 캐패시터(C2)와 저항(R1)와, 상기 캐패시터(C2)와 저항(R1)에 의해서 고주파신호성분이 제거된 음성신호(VS) 또는 링신호(RS)를 가청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스피커(SP)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회로에 있어서는 가변저항(VR10)으로부터 입력하는 음성신호(VS) 또는 링신호(RS)을 제1연산증폭기(U1) 및 제2연산증폭기(U2)을 통해 입력하는 신호를 2배 증폭하여 출력할수 있었으나, 상기 제1연상증폭기(U1) 및 제2연산증폭기(U2)의 신호입력단이 하나임으로 음성신호(VS) 링신호(RS)을 제어출력하는 믹서회로(1)가 필요하였다.
한편 믹서회로(1)는 음성신호(VS)가 입력시에는 제어신호(CO1)을 입력하여 상기 음성신호(VS)를 출력하는 트라이스래이트스위치(TR1)과 링신호(RS)가 입력시에는 제어신호(CO2)가 입력하여 상기 링신호(RS)을 출력하는 트라이스래이트스위치(TR2)로 구성된 믹서회로(1)를 통하여 제1연상증폭기(U1) 및 제2연산증폭기(U2)의 입력단으로 입력하기 때문에 상기 믹서회로(1)는 필수 불가결하였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믹서회로를 사용하지않고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함께 증폭하는 브리지형 증폭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별도의 높은 전원전압을 사용하지 않고 제1신호와 제2신호를 2배 증폭할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리지앰프의 두신호 증폭회로도로써 도면중 R10-R14는 저항, C10-C14는 캐패시터, OP1및 OP2는 연산증폭기, VR10은 가변저항, SP는 스피커이다. 지금 상기와 같은 회로에 단자(1)로 제2신호 예를 들어 링신호(RS)가 입력하면 상기 링신호(RS)를 조절할수 있는 가변저항(VR10)을 통하여 제1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와 제2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단자에 각각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의 출력은 상기링신호(RS)를 전원전압 VCC의 대략인 동작 바이어스 직류전압점에서 반전하여 증폭출력하며, 제2연산증폭기(OP2)의 출력은 상기링신호(RS)를 전원전압 VCC의 대략인 동작 바이어스 직류전압점에서 비반전하여 증폭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 및 제2연산증폭기(OP2)에서 출력한 신호는 스피커(SP)에 의해서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후 상기 스피커(SP)을 통해 2배중폭된 링신호가 가청하게 된다.
이때 제1연산증폭기(OP1)의 패패시터(C11)와 저항(R12)와, 제2연산증폭기(OP2)의 캐패시터(C12)와 저항(R13)는 상기 연산증폭기(OP1)(OP2)의 증폭출력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이득 조정용소자들이며 링신호(RS) 입력자인(3)과 음성신호(VS) 입력라인(4)에 병렬로 접속된 캐패시터(C10)은 제2신호 예를 들어 링신호(RS)또는 제1신호 예를 들어 음성신호(VS)에 포함되어 입력되는 잡음을 제거하기위한 바이패스용 패캐시더로서 상기 제1신호와 제2신호은 블로킹한다.
또 한편으로 입력단자(2)로부터 제1신호 예를 들어 음성신호(VS)가 입력하면 잡음 바이패스용 캐패시터(C10)에 의해 잡음이 바이패스된후 제1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와 제2연산증폭기(OP2)의 반전단자에 각각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의 출력은 비반전단자로 입력한 신호를 비반전 증폭출력하며, 제2연산증폭기(OP2)의 출력은 반전단자로 입력한 상기신호를 반전증폭기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제1연산증폭기(OP1) 및 제2연산증폭기(OP2)에서 출력한 신호는 스피커(SP)와 병렬로 접속된 캐패시터(C14)와 저항(R14)에 의해서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후, 상기 음성신호(VS)을 2배 증폭한 신호로서 스피커(SP)을 통해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연산증폭기를 사용하여 브리지방식으로 단일 전원전압(VCC)에서 2배 증폭을 할수 있어 전원전압 단일화와 함께 높은 증폭을 기할수 있으며 동시에 종래와 같이 믹서회로나 믹서회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필요 없으므로 2신호를 모두 증폭하여야하는 시스템에서 회로의 단순화와 함께 사용부품의 수를 줄임으로서 공수의 절감과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할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1)

  1. 고주파 바이패스용의 직렬접속한 캐패시터(C14)와 저항(R14)과 스피커(SP)를 병렬접속하여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증폭하여 가청하는 증폭회로에 있어서,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각각 비반전단자 및 반전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제1호는 비반전 증폭하며 상기 제2신호는 반전증폭을 하는 제1연산증폭기(OP1)와,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동시에 입력하여 상기 제1신호는 반전증폭을하며 상기 제2신호는 비반전증폭을 하는 제2연산증폭기(OP2)와 제1신호 입력라인(3)과 제2신호 입력라인(4)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제1신호와 제2신호에 포함되어 입력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 제거용 캐패시터(C10)를 구비하여 상기 제1신호와 제2신호를 함께 2배증폭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앰프를 사용한 두신호증폭회로.
KR2019860000399U 1986-01-17 1986-01-17 브리지 앰프를 사용한 두신호 증폭회로 KR880004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399U KR880004159Y1 (ko) 1986-01-17 1986-01-17 브리지 앰프를 사용한 두신호 증폭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399U KR880004159Y1 (ko) 1986-01-17 1986-01-17 브리지 앰프를 사용한 두신호 증폭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772U KR870012772U (ko) 1987-08-05
KR880004159Y1 true KR880004159Y1 (ko) 1988-11-18

Family

ID=1924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0399U KR880004159Y1 (ko) 1986-01-17 1986-01-17 브리지 앰프를 사용한 두신호 증폭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41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772U (ko) 1987-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6000A (en) Transformerless current balanced amplifier
JP2003110375A (ja) 自走式pwm増幅器
EP0320471B1 (en) Common mode sensing and control in balanced amplifier chains
KR970013821A (ko) 고이득 증폭 회로(high-gain amplifier circuit)
MY109336A (en) Using d-c feedback with on-chip filtering to balance i-f drive to second detector in monolithic ic
JPS63136807A (ja) 増幅回路
KR880004159Y1 (ko) 브리지 앰프를 사용한 두신호 증폭회로
US3619797A (en) Operational amplifier
US5166983A (en) Mute circuit for audio amplifiers
US4015214A (en) Push-pull amplifier
JPH0527282B2 (ko)
JP2507029B2 (ja) 増幅器
KR0135461B1 (ko)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증폭회로
KR0140414B1 (ko) 전화기 핸드셋의 송화접속회로
US5030198A (en) Adaptive transmission line stage in an analog electronic cochlea
JPH0440886B2 (ko)
EP0473165A1 (en) Push-pull power amplifying circuit
KR940000264B1 (ko) 이득 조정회로
SU625301A1 (ru) Каскодный усилитель
KR0149602B1 (ko) 광 대역폭을 갖는 감쇄기 회로
KR970008898A (ko) 부하에 무관한 기준전압 발생기
JPH0453065Y2 (ko)
SU1223336A1 (ru) Усилитель мощности
JPH0219648B2 (ko)
SU1259472A1 (ru) Операционный усил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