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623B1 - 올레핀/co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올레핀/co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623B1
KR0134623B1 KR1019880010903A KR880010903A KR0134623B1 KR 0134623 B1 KR0134623 B1 KR 0134623B1 KR 1019880010903 A KR1019880010903 A KR 1019880010903A KR 880010903 A KR880010903 A KR 880010903A KR 0134623 B1 KR0134623 B1 KR 0134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palladium
amount
carbon monoxide
catalys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815A (ko
Inventor
마리누스 고이쯔 마아르텐
게라르두스 로젠브란트 게리트
아서 솔터 제임즈
Original Assignee
오노 알버어스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 샤피 비이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노 알버어스,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 샤피 비이부이 filed Critical 오노 알버어스
Publication of KR890003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2/00 - C08G65/00
    • C08G67/02Copolymers of carbon monoxide and aliphatic unsaturated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th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올레핀/CO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일산화탄소와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 제조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간단히 A로써 언급)과 일산화탄소의 고분자량 선형 공중합체를, 공중합체의 거의 또는 전부가 불용성인 희석제 내 팔라듐-함유 촉매 조성물의 용액을 단량체와 접촉시켜 제조할 수 있는데, 이때, 단량체 단위는 교호적으로 발생하여, 알반식-(CO)-A'- 를 갖는 단위로 구성된다(여기서 A'은 단량체 A로 부터 유래된 단위를 나타낸다). 공중합화 동안에, 공중합체를 희석제 내 현탁액의 형태로 얻는다. 원칙적으로 공중합체의 제조는 배치형(batchwise) 또는 연속형의 두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공중합체의 배치형 제조는, 바람직한 온도 및 압력에서, 희석제와 단량체를 함유하는 반응기 내로 촉매를 도입시키므로써 수행할 수 있다. 중합화가 진행될 때, 압력은 떨어지고, 희석제 내 중합체의 농도는 증가하며 현탁액의 점도는 올라간다. 중합화는 공정을 계속하여, 현탁액의 점도가 열 제거와 관련된 어려움을 발생시킬 높은 값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원칙적으로, 배치형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유일한 파라미터는 온도이다.
연속형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서는, 희석제, 단량체 및 촉매를 단량체 및 특정 부피의 희석제를 함유하는 반응기에 첨가하고, 공중합체 현탁액을 이로부터 연속적으로 회수한다. 연속형 공중합체 제조 동안에, 반응기 내 온도, 압력 및 액체 부피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현탁액 내 공중합체 농도가 바람직한 값으로 증가되는 시동 기간 후에, 일정한 공중합체 함량을 갖는 반응기로부터 현탁액을 회수하고, 일정한 벌크 밀도(bulk density)를 갖는 반응기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상태(정상 상태)에 이른다.
산업적 규모로 공중합체를 제조할 경우, 하기 이유 때문에 배치형 생성보다 연속형 정상 상태 방법이 바람직하다. 첫째, 연속형 방법은, 반응기를 채우고 비우기 위하여 생산을 중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높은 공중합체 생산을 제공한다. 배치형 생성과는 대조적으로, 연속적 공정은 모든 반응 피라미터들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연속적 방법이 조절하기도 더 쉽고, 자동 모니터를 위해서도 보다 적합하다. 게다가, 연속형 방법은 배치형 생성으로 부터 얻어지는 것 보다 더 일정한 질을 갖고 성질 상적은 변화를 나타내는 공중합체를 생성한다.
본 공중합체의 성질 중 하나는 이들의 벌크 밀도이다. 이것은 제조 및 공중합체의 정제, 보관, 수송 및 가공 처리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담한다. 공중합체의 제조와 관련해서, kg중합체/kg현탁액으로 표현되는 최대 허용 가능 현탁액 농도는 g/ml로 표현되는 벌크 밀도의 약 100배인 것으로 대략 설명될 수 있다. 이것은 벌크 밀도 0.1g/ml를 갖는 공중합체가 제조될 때, 최대 현탁액 농도는 약 10%일 것이고, 벌크 밀도 0.5g/ml를 갖는 공중합체를 제조할 때 최대 현탁액의 농도는 약 50%일 것을 뜻한다. 이것은 벌크 밀도가 5배 증가하면, 동일한 반응기 부피 내에서 제조되는 공중합체 양의 약 5배만큼 제조할 수 있음을 뜻한다. 여과, 세척 및 건조와 같은 공중합체의 정제화에 관해서는 첨가될 액체의 양이 공중합체의 벌크 밀도에 의해서 대량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벌크 밀도 0.1g/ml를 갖는 공중합체는 그램(g)당 5g의 희석제 또는 세정액과 결합해야 하는 반면, 벌크 밀도 0.5g/ml를 갖는 공중합체에 해당하는 양은 단지 0.25g임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공중합체 거의 또는 전부가 불용성인 액체 희석제의 존재하에, 정상 상태에서, 팔라듐-함유 촉매 조성물과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접촉시키므로써,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혼합물을 공중합화하는 공중합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데, 시간당 형성된 공중합체의 양 및 반응기 내 공중합체 양의 비는 언제나 0.2보다 작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생성물로서, 0.3g/ml보다 큰 벌크 밀도를 갖는 본 선형 교호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시간당 형성된 공중합체의 양 및 반응기 내 공중합체의 양의 비는 0.2이하로 유지된다. 이 비가 작을수록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벌크 밀도는 높아진다. 바람직하게, 방법은 0.15이하 및 특히 0.1이하의 비로 수행된다. 이 비는 시간당 형성된 공중합체의 양을 감소시키고/거나 반응기 내 공중합체의 양을 증가시키므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시간당 형성되는 공중합체의 양은 예를 들어, 촉매를 적게 사용하고/거나 온도를 저하시키고/거나 압력을 저하시키므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반응기 내 공중합체의 양은 반응기 내 공중합체의 체류 시간을 연장하므로써 증가시킬 수 있다. 반응기 내 공중합체의 최소 체류 시간이 여기에서 논의된 관련된 비를 위해 각각 5, 7.5 및 10시간으로 정하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팔라듐-함유 촉매 조성물이 사용된다. 본 목적을 위해 매우 적합한 것은 하기 a)-c)를 기초로 하는 촉매 조성물이다 :
a) 팔라듐 화합물.
b) pKa가 6미만인 산의 음이온, 및
c) 일반식 R1R2M1-R-M2M3M4를 갖는 화합물(여기서 M1및 M2는 비소 , 안티몬, 인 및 질소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같거나 다른 원소이고, R1-R4는 극성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같거나 다른 탄화수소를 나타내고, R은 브리지 내에 적어도 두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의 브리징기를 나타낸다).
촉매 조성물에서 성분 a)로서 사용되는 팔라듐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산의 팔라듐 염이고, 특히 팔라듐 아세테이트이다. 성분 b)로서 바람직하게는, pKa가 4미만(18℃ 수성 용액에서 측정)인 산의 음이온이, 특히 2이하의 pKa를 갖는 산의 음이온이 사용된다. 특히 파라-톨루엔 설폰산과 같은 설폰산 음이온 또는 트리플루로로아세트산과 같은 카르복실산 음이온이 바람직하다. 촉매 조성물에서, 성분 b)는 가트 팔라듐 당 바람직하게는 0.5-200의 양으로, 특히 1.0-100당량으로 존재한다. 성분 b)는 산의 형태 및/또는 임의 형태로 존재하는 촉매 조성물 내에 통합될 수 있다. 가능한 염은 전이 비 귀금속 및 특히 구리염이다. 원한다면, 성분 a) 및 b)는 단일 화합물내에서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는 염화 팔라듐과 실버 파라-토실레이트, 또는 팔라듐 아세테이트와 파라-톨루엔 설폰산의 아트릴로니트릴 내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복합체 Pd(CH3CN)2(O3S-C6H4-CH3)2이다.
성분 c)로서 사용된 화합물에서, M1및 M2는 바람직하게 같거나 각각 다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M1및 M2모두 인을 나타내는 성분 c)이다. 촉매 조성물에서 성분 c)는 몰 팔라듐 당 바람직하게 0.1-2의 양, 특히 0.75-1.5몰로 존재한다. 성분 c)로서 사용되는 화합물 내 존재하는 기 R1-R4는 바람직하게는 극성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기 및 특히 극성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기이다. 바람직하게 R1-R4기의 적어도 하나는 극성 치환체를 적어도 하나 함유한다. 극성치환체의 몇몇 예로는 디메틸아미노기와 같은 디알킬아미노기, 및 메톡시 및 3차 부톡시기와 같은 알콕시가 있다. 바람직한 것은 알콕시기이고, 특히 극성 치환체로서 메톡시기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R1-R4가 서로 같은 성분c)이다. R1-R4기의 하나 이상이, 하나 이상의 극성 치환체를 함유하는 아릴기인 경우, 극성 치환체중 적어도 하나가 아릴기에 연결된 인 원자에 대해 오르쏘 위치에 바람직하게 위치할 것이다. 이러한 극성 치환 아릴기의 예로 2-메톡시페닐기 및 2, 4-디메톡시페닐기가 있다. 바람직한 것은 R1-R4가 2-메톡시페닐기인 성분 c)이다.
일반식 R1R2M1-R-M2R3R4를 갖는 성분으로서 촉매 조성물로 사용되는 화합물에서, R은 브리지 내에 적어도 두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2가의 브리징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브리지 내에 3개 원자를 함유하는 기 R의 적어도 2개는 탄소원자이다. 적당한 기 R의 예는 -CH2-CH2-CH2- 기, CH2-(CH3)2-CH2- 기, -CH2-Si(CH3)2-CH2- 기, 및 -CH2-C(R5)(R6)-CH2- 기인데, 이 때 R5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6는 디페닐포스피노메틸기를 나타낸다.
본 촉매 조성물의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 1, 4-퀴논을 성분 d)로서 통합시킨다. 임의의 알킬-치환 1,4-벤조퀴논 이외에, 임의의 알킬-치환, 1,4-나프토퀴논과 같은 다른 1,4-퀴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활성 촉진제로서 1,4-벤조퀴논 및 1,4-나프토퀴논을 사용하는 것이다. 사용된 1,4-퀴논의 양은 팔라듐 당 바람직하게 10-100몰 및 특히, 25-250몰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화는 중합체의 거의 또는 전부가 불용성인 희석제에서 수행된다. 희석제로서, 단일 희석제 또는 화합물 희석제가 사용될 수 있다. 단일 희석제의 예로서 메탄올 및 에탄올과 같은 저급 지방족 알콜이 있다. 화합물 희석제의 예로서 아세톤 또는 메틸에틸 케톤을 갖는 메탄올의 혼합물과 같은 저급 지방족 케톤 및 저급 지방족 알콜의 혼합물이 있다. 본 중합화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저급 지방족 알콜 및 특히 메탄올이 희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합화의 희석제로 사용되는 액체와 동일한 액체가 팔라듐 함유 촉매 조성물용 용매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와 공중합 할 수 있는 적당한 올레핀형 불포화 유기 화합물은, 탄소 및 수소외에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탄소 및 수소 단독으로 구성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탄화수소와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 제조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적당한 탄화수소 단량체의 예로는 프로필렌, 부텐-1, 헥센-1 및 옥텐-1과 같은 에틸렌, 및 다른 알파 올레핀, 또한, p-메틸 스티렌 및 p-에틸스티렌과 같은스티렌 및 알킬-치환 스티렌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에틸렌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 및 또다른 올레핀형 불포화 탄화수소, 특히 프로펜과 일산화탄소의 삼원 공중합체의 제조에 적용하기에 매우 바람직하다.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된 촉매 조성물의 양은 넓은 범위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중합화될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의 몰 당 사용된 촉매의 양은 바람직하게 가트 팔라듐 당 10-7-10-3 및 특히 10-6-10-4을 포함한다.
공중합체 제조는 20-200℃의 온도 및 1-200바아의 압력에서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공중합화 될 혼합물 내 일산화탄소에 대한 올레핀형 불포화 유기 화합물의 몰비는 바람직하게 10:1∼1:5 및 5:1∼1:2 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일산화탄소/에틸렌 공중합체를 하기와 같이 제조한다. 메탄올, 일산화탄소, 에틸렌 및 에탄올 내 촉매 용액의 성분을 150ℓ (리터) 반응기에 첨가한다. 반응기로의 전체 가스 공급 속도(일산화탄소+에틸렌)는 700Nl/hour 이다. 촉매 용액은 하기 조성을 갖는다: 1ℓ 메탄올에 함유된 0.075몰 팔라듐 아세트이트(0.8mg 팔라듐/ml에 해당), 0.15몰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및 0.0091 몰 1,3-비스(디페닐 포스피노)프로판.
반응기 내 압력은 45바아이다. 반응기로부터 과량의 공급 가스를 제거하여 이 압력을 유지한다. 온도는 45℃이다. 반응기 내 메탄올의 양은 70kg 이다. 이 양을 반응기로 부터 과량 현탁액을 제거하며 일정하게 유지한다. 시동 기간 후에 촉매 농도는 3.7mg 팔라듐/l 메탄올인 반응 조건에 도달한다. 공중합체 농도는 105g/kg 메탄올이다. 공중합체의 벌크 밀도는 0.54g/ml 이다. 공중합체 농도 및 촉매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3kg 메탄올 및 14ml 촉매 용액(11.2mg 팔라듐에 해당)을 시간당 반응기에 첨가해야 한다. 반응기로 부터 회수된 현탁액의 중합체 함량 및 이에 존재하는 중합체의 벌크 밀도 모두가 일정한데, 이것은 정상 상태에 도달했음을 나타낸다.
시간당 형성된 공중합체의 양은 315g이고, 반응 속도는 1200g 중합체/g 팔라듐/hour 이다.
실시예 2
일산하탄소/에틸렌/프로펜 삼원 공중합체를 실시예 1의 공중합체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나, 하기의 차이점이 있다 :
a) 반응기에 프로펜을 부가적으로 첨가한다.
b) 전체 가스(일산화탄소+에틸렌) 공급 속도는 295Nl/hour 이다.
c) 촉매 농도는 4.8mg 팔라듐/l 메탄올이다.
d) 중합체 농도는 106g 중합체/kg 메탄올이다.
e) 중합체의 벌크 밀도는 0.53g/ml 이다. 그리고,
f) 중합체 농도 및 촉매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1.5kg 메탄올, 9ml 촉매 용액(7.2mg 팔라듐에 해당), 및 196g 프로펜을 시간당 반응기에 첨가해야 한다.
시간당 형성된 공중합체의 양은 159g 이고, 반응 속도는 320g 중합체/g 팔라듐/hour 이다.
실시예 3
일산화탄소/에틸렌 공중합체를 실시예 1의 공중합체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나, 하기 차이점이 있다 :
a) 전체 가스(일산화탄소+에틸렌) 공급 속도는 2000Nl/hour,
b) 온도는 65℃,
c) 촉매 농도는 20mg 팔라디움/l 메탄올,
d) 중합체 농도는 85g 중합체/kg 메탄올,
e) 중합체의 벌크 밀도는 0.18g/ml 이고,
f) 중합체 농도 및 촉매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18kg 메탄올 및 450ml촉매 용액(360mg 팔라듐에 상당)을 시간당 반응기에 첨가해야 한다.
시간당 형성된 공중합체의 양은 1540g 이고, 반응 속도는 1100g 중합체/g 팔라듐/hour 이다.
실시예 4
일산화탄소/에틸렌/프로펜 공중합체를 실시예 1의 공중합체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나, 하기 차이점이 있다.
a) 프로펜을 반응기에 부가적으로 첨가한다.
b) 전체 가스(일산화탄소+에틸렌) 공급 속도는 610Nl/hour 이다.
c) 촉매 용액은 하기 조성을 갖는다 : 0.0045몰 팔라듐 아세테이트(0.48mg 팔라듐/ml에 해당), 0.09몰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및 0.0054몰 1,3-비스 디(2-메톡시 페닐)포스피노 프로판을 함유하는 250mg 톨루엔 및 750mg 메탄올 혼합물,
d) 온도는 77℃,
e) 촉매 농도는 2.8mg 팔라듐/kg 메탄올,
f) 중합체 농도는 280g/kg,
g) 중합체 벌크 밀도는 0.55g/ml 이고,
h) 중합체 농도 및 촉매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2.1kg 메탄올, 0.28kg 프로판, 및 12ml 촉매 용액(11.2mg 팔라듐에 해당)을 시간당 반응기에 첨가해야 한다.
시간당 형성된 삼원 공중합체의 양은 588g 이고, 반응 속도는 3000g 중합체/g 팔라듐/hour 이다.
실시예 5
일산화탄소/에틸렌/프로펜 공중합체를 실시예 1의 공중합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나, 하기 차이점이 있다.
a) 프로펜을 반응기에 부가적으로 첨가,
b) 전체 가스(일산화탄소+에틸렌) 공급 속도는 2000Nl/hour,
c) 촉매 용액은 실시예 4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조성물을 갖고,
d) 온도는 85℃,
e) 촉매 농도는 2.5mg 팔라듐/kg 메탄올,
f) 중합체 농도는 85g/kg 메탄올,
g) 중합체의 벌크 밀도는 0.16g/mg 이고,
h) 공중합체 농도 및 촉매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17kg 메탄올, 2.27kg 프로펜 및 177ml 촉매 용액(85mg 팔라듐에 해당)을 시간당 반응기에 첨가해야 한다.
시간당 형성된 공중합체의 양은 1680g 이고, 반응 속도는 4800g 중합체/g 팔라듐/hour 이다.
실시예 1-5중, 실시예 1, 2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다. 실시예 1은 벌크 밀도 0.54g/ml를 갖는 일산화탄소/에틸렌 공중합체 제조에 관한 것인데, 시간당 형성되는 공중합체의 양 및 반응기 내 중합체 양의 비가 0.04인 연속적 방법으로 수행된다. 실시예 2 및 4는 벌크 밀도 0.53 및 0.55g/ml를 갖는 일산화탄소/에틸렌/프로펜 삼원 공중합체의 제조에 관한 것인데, 제조는 상기 비가 각각 0.02 및 0.03인 연속적 방법으로 수행된다. 실시예 3 및 5는 본 발명 영역의 밖에 있다. 이들은 비교를 목적으로 특허 출원에 포함된다. 이들 실시예는 벌크 밀도 0.18g/ml를 일산화탄소/에틸렌 공중합체 제조 및 벌크 밀도 0.16g/ml를 갖는 일산화탄소/에틸렌/프로펜 삼원 공중합체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이들 제조가 연속 수단으로 수행될 것이지만, 상기 비는 0.26 및 0.28 이다.
13C NMR 분석에 의하여, 실시예 1 및 3에 따라 제조된 일산화탄소/에틸렌 공중합체는 선형 교호 구조, 및 따라서 일반식 -(CO)-C2H4- 를 갖는 단위로 구성되는 것이 확증되었다. 또한 13C NMR 분석에 의하여, 실시예 2, 4 및 5에 따라 제조된 일산화탄소/에틸렌/프로펜 삼원 공중합체는 선형 구조를 갖고, 삼원 공중합체 내에서 불규칙적 유형으로 발생한 단위인 일반식 -(CO)-C3H6- 를 갖는 단위 및 일반식 -(CO)-C2H4- 를 갖는 단위로 구성되는 것이 확증되었다.

Claims (10)

  1. 공중합체의 거의 또는 전부가 불용성인 액체 희석제의 존재하에,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 탄소의 혼합물을, 정상 상태에서 팔라듐 함유 촉매 조성물 용액과 연속적으로 접촉시키므로써 공중합화 하는 것으로서, 시간당 형성되는 공중합체의 양 및 반응기 내 공중합체 양의 비가 언제나 0.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 0.1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 0.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촉매 조성 물이 하기 a)-c)를 기초로 하여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a) 팔라듐 화합물, b) pKa가 6 미만인 산의 음이온 및 c) 일반식 R1R2M1-R-M2R3R4를 갖는 화합물(이때 M1및 M2는 비소, 안티몬, 인 및 질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같거나 다른 원소이며, R1-R4는 극성기에 의하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같거나 다른 탄화수소이고, R은 브리지 내에 탄소 원자를 2개 이상 함유하는 2가의 브리징기를 나타낸다.).
  5. 제4항에 있어서, 성분 c)가 팔라듐 화합물 1몰당 0.75-1.5몰의 양으로 존재하는 촉매 조성물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성분 c)내에 존재하는 R1-R4기 중 하나 이상이, 하나 이상의 알콕시기와 같은 극성 치환체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페닐기인 촉매 조성물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성분 c)내에 존재하는 R1-R4기가 2-메톡시 페닐기들인 촉매 조성물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레핀 불포화 화합물로서 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프로펜의 혼합물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하기 a)-c)를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 A와 일산화탄소의 신규 공중합체 : a) 선형 구조를 갖고, b) 일반식 -(CO)-A'-를 갖는 단위로 구성되며(이때 A'는 적용된 단량체 A로부터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나타낸다.), c) 0.3g/ml 이상의 벌크 밀도(bulk density)를 갖는다.
  10. 제9항에 있어서, 벌크 밀도가 0.5g/ml 이상인 신규 공중합체.
KR1019880010903A 1987-08-28 1988-08-26 올레핀/co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0134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702031 1987-08-28
NL8702031 1987-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815A KR890003815A (ko) 1989-04-18
KR0134623B1 true KR0134623B1 (ko) 1998-04-20

Family

ID=1985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903A KR0134623B1 (ko) 1987-08-28 1988-08-26 올레핀/co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914183A (ko)
EP (1) EP0305011B1 (ko)
JP (1) JP2625517B2 (ko)
KR (1) KR0134623B1 (ko)
CN (1) CN1019305B (ko)
AT (1) ATE132516T1 (ko)
AU (1) AU612173B2 (ko)
BR (1) BR8804293A (ko)
CA (1) CA1315460C (ko)
DE (1) DE3854852T2 (ko)
DK (1) DK475888A (ko)
ES (1) ES2081803T3 (ko)
GR (1) GR3019510T3 (ko)
NO (1) NO171793C (ko)
ZA (1) ZA8863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7385A (en) * 1987-12-04 1991-12-31 Shell Oil Company Melt processed polyketone-based barrier polymer materials
CA1338576C (en) * 1988-02-10 1996-09-03 Maarten Marinus Geuze Polyketone polymer preparation
US4965341A (en) * 1988-06-08 1990-10-23 Shell Oil Company Polymerization of co/olefin with catalyst comprising sulfur bidentate ligand
US5001221A (en) * 1988-09-19 1991-03-19 Shell Oil Company Polymerization of carbon monoxide/olefin with catalyst/diluent recycle
US5010171A (en) * 1988-09-22 1991-04-23 Shell Oil Company Carbon monoxide/olefin polymerization with catalyst comprising p. bidentate ligand having non-hydrocarbyl substituent
CN1025039C (zh) * 1989-04-19 1994-06-15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制备一氧化碳与烯烃的共聚物的方法
US5021547A (en) * 1989-08-07 1991-06-04 Shell Oil Company Continuous polymerization of Co/olefin in plurality of reactors in series
US5115094A (en) * 1990-01-30 1992-05-19 Shell Oil Company Polymerization of co/olefin with molar ratio of non hydrohalogenic acid to palladium compound
US5122591A (en) * 1990-03-22 1992-06-16 Shell Oil Company Polymerization of co/olefin with increased catalyst composition concentration during polymerization start up
NL9000812A (nl) * 1990-04-06 1991-11-01 Shell Int Research Bereiding van polymeren.
US5516739A (en) * 1990-04-20 1996-05-14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Late transition metal catalysts for the co- and terpolymerization of olefin and alkyne monomers with carbon monoxide
US5162493A (en) * 1990-06-22 1992-11-10 Shell Oil Company Polymerization of co/olefin/functionally substituted olefin with tetra alkyl diphosphine
US5227464A (en) * 1991-03-21 1993-07-13 Shell Oil Company Gas phase polymerization of co/olefin with particular catalyst support
US5247064A (en) * 1991-08-06 1993-09-21 Shell Oil Company Polymerization of co/olefin with p bidentate ligand
US5567801A (en) * 1992-06-15 1996-10-22 Akzo Nobel Nv Gas phase process for forming polyketones
EP0605062B1 (en) * 1992-12-31 1999-07-14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Preparation of co-polymers of carbon monoxide and ethylenically unsaturated compounds
US5352766A (en) * 1992-12-31 1994-10-04 Shell Oil Company Preparation of copolymers
ZA953387B (en) * 1994-04-29 1995-11-29 Shell Int Research Catalyst system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polymers of carbon monoxide and olefinically unsaturated compounds
US5561216A (en) * 1994-07-01 1996-10-01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Late transition metal catalysts for the CO- and terpolymerization of olefin and alkyne monomers with carbon monoxide
GB9712086D0 (en) * 1997-06-10 1997-08-13 Bp Chem Int Ltd Process for preparing polyketones
DE19829519A1 (de) 1998-07-02 2000-01-05 Basf Ag Wasserlösliche Übergangsmetallkomplexe
US6852662B2 (en) 1998-07-02 2005-02-08 Basf Aktiengesellschaft Catalyst systems based on transition metal complexes for carbon monoxide copolymerization in an aqueous medium
DE19933383A1 (de) 1999-07-21 2001-01-2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lefin/Kohlenmonoxid-Copolymeren
DE10125138A1 (de) 2001-05-22 2002-12-0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opolymerisaten aus Kohlenmonoxid und einer olefinisch ungesättigten Verbindung in wässrigem Medium
WO2008032679A1 (en) 2006-09-11 2008-03-20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olymeric electrolyte,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electrochemical element
JP2008214628A (ja) * 2007-02-28 2008-09-18 Rohm & Haas Co 多孔性線状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5286A (en) * 1949-06-08 1950-01-24 Du Pont Interpolymers of carbon monox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GB1081304A (en) * 1965-03-23 1967-08-31 Ici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hemical compounds
US3694412A (en) * 1971-03-04 1972-09-26 Shell Oil Co Process for preparing interpolymers of carbon monoxide in the presence of aryl phosphine-palladium halide complex
ATE49010T1 (de) * 1983-04-06 1990-01-15 Shell Int Researc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ketonen.
NL8403035A (nl) * 1984-10-05 1986-05-01 Shell Int Research Werkwijze ter bereiding van polyketonen.
IN167917B (ko) * 1985-11-14 1991-01-05 Shell Int Research
CA1271291A (en) * 1985-11-26 1990-07-03 Johannes Adrianus Maria Van Broekhoven Removal of catalyst remnants from ethene/co copolymers
IE60363B1 (en) * 1986-05-27 1994-07-13 Shell Int Researc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s
IN171627B (ko) * 1986-08-26 1992-11-28 Shell Int Research
US4831114A (en) * 1986-10-01 1989-05-16 Shell Oil Company Polymerization of carbon monoxide and olefin with acid catalyst
NL8701799A (nl) * 1987-07-30 1989-02-16 Shell Int Research Bereiding van polyme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12173B2 (en) 1991-07-04
AU2116588A (en) 1989-03-02
DE3854852T2 (de) 1996-07-04
ES2081803T3 (es) 1996-03-16
NO171793B (no) 1993-01-25
US4914183A (en) 1990-04-03
NO883823L (no) 1989-03-01
EP0305011A3 (en) 1989-05-10
DK475888D0 (da) 1988-08-25
CN1031542A (zh) 1989-03-08
DK475888A (da) 1989-03-01
NO171793C (no) 1993-05-05
EP0305011A2 (en) 1989-03-01
GR3019510T3 (en) 1996-07-31
EP0305011B1 (en) 1996-01-03
CN1019305B (zh) 1992-12-02
ZA886361B (en) 1989-04-26
JP2625517B2 (ja) 1997-07-02
CA1315460C (en) 1993-03-30
KR890003815A (ko) 1989-04-18
DE3854852D1 (de) 1996-02-15
NO883823D0 (no) 1988-08-26
JPH0192222A (ja) 1989-04-11
BR8804293A (pt) 1989-03-21
ATE132516T1 (de) 199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623B1 (ko) 올레핀/co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4868282A (en) Polyketone preparation from regulated quotient mixture of olefins
KR960009687B1 (ko) 신규 촉매 조성물
US4880902A (en) Copolymerization of carbon monoxide and olefin with diphosphine having heterocyclic substituents as catalyst
KR970004932B1 (ko) 신규한 촉매 조성물, 그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중합체
US4940776A (en) Catalytic polymerization of carbon monoxide/olefin in the presence of insoluble particulate solid matter
JPH0822913B2 (ja) 触媒組成物
JPS62232434A (ja) 重合体の製造方法
KR0138270B1 (ko) 폴리케톤 중합체 제조방법
KR100204812B1 (ko) 폴리케톤 중합체의 제조방법
JP2877467B2 (ja) ポリマーの製造方法
KR0160116B1 (ko) 중합체 제조 방법
EP0560463B1 (en) Novel olefin/CO copolymers
US4914184A (en) Polymerization of co/olefin with halo monocarboxylic acid and non hydrogen halide acid
KR0178527B1 (ko) 폴리케톤 중합체의 제조
US5001221A (en) Polymerization of carbon monoxide/olefin with catalyst/diluent recycle
JPH04272925A (ja) ポリマーの製造方法
US5116797A (en) Polymerization process
US5434117A (en) Catalyst system and copolymerization process
US4933311A (en) Polymerization process
JPH01275632A (ja) 一酸化炭素とエテンとのポリマー
JPH06322105A (ja) 一酸化炭素とエチレン不飽和化合物との共重合体の製法
WO2000009584A1 (en) Catalys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polymers of carbon monoxide and an olefinically unsaturated compound
WO2000009583A1 (en) Catalys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polymers of carbon monoxide and an olefinically unsaturated compound
JPH09241376A (ja) 一酸化炭素の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