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647B1 - 기록재 지지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재 지지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647B1
KR0133647B1 KR1019930020082A KR930020082A KR0133647B1 KR 0133647 B1 KR0133647 B1 KR 0133647B1 KR 1019930020082 A KR1019930020082 A KR 1019930020082A KR 930020082 A KR930020082 A KR 930020082A KR 0133647 B1 KR0133647 B1 KR 0133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aterial
image
speed
image form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623A (ko
Inventor
도시아끼 미야시로
하루오 후지이
모또이 가또
다쯔야 고바야시
데쯔야 고바야시
아끼라 이또
나오끼 에노모또
아끼히꼬 우찌야마
요시로 사이또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40007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 G03G15/16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the field being produced by laying down an electrostatic charge behind the base or the recording member, e.g. by a corona device
    • G03G15/165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transporting the second base in the transfer area, e.g. guides
    • G03G15/1655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transporting the second base in the transfer area, e.g. guides comprising a rotatable holding member to which the second base is attached or attracted, e.g. screen transfer holding dr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5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characterised by the technical problem
    • G03G2215/0154Vibrations and positional disturbances when one member abuts or contacts another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9Structural features of the multi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 G03G2215/0193Structural features of the multi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transfer member separable from record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9Structural features of the multi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 G03G2215/0196Recording medium carrying member with speed swit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45Variable fixing 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Gradation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보유 부재와 기록 재료를 지지하는 기록 재료지지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기록 재료지지 부재 사이에 서로에 대해 접근 또는 분리되게 상대 이동을 가하는 이동 장치와, 이동 장치가 화상 형성 가능한 상대 위치를 확립하기 위해 접근 상대 이동을 가할 때 화상 보유 부재와 기록 재료지지 부재 사이에 접촉하지 않고 대면 되게 하는 회피부를 구비하며,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 위치에서 기록 재료지지 부재 상에 지지된 기록 재료에 전사된다.

Description

기록재 지지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식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전사 드럼 및 감광 드럼의 확대 개략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전사 드럼의 복귀 시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조건을 도시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 가능한 상이한 구조를 취하는 전사 드럼의 주요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전사 드럼을 제1도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할 때 전사 드럼의 복귀시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조건을 도시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무광지 시트상에 연속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작동과 유광지시트상에 연속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작동을 비교하여 도시한 타이밍 선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식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유광지 시트상에 연속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작동과 통상의 기록 시트 상에 연속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작동을 비교하여 도시한 타이밍 선도.
제9도는 제7도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전사 드럼의 복귀시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조건을 도시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유광지 시트상에 연속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작동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타이밍 선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식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유광지 시트상에의 화상 형성 연속 작동을 도시한 타이밍 선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식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유광지 시트상에의 연속화상 형성 작동을 도시한 타이밍 선도.
제14도는 감광 드럼과 전사 드럼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는 스페이싱 기구의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로서 사용 가능한 전자 사진식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16A도 및 제16B도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 가능한 전사 드럼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adh : 기록재 파지 위치 Psep : 기록재 분리 위치
Ptr : 화상 전사 위치 1 : 전사 드럼
3 : 감광 드럼 4 : 현상 장치
11 : 정착 장치 또는 정착 수단 14 : 기록재
18 : 전사 드럼 분리 수단 21 : 회피부
본 발명은 전자 사진식 또는 정전 기록식 복사기 또는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색 화상(full-color image) 또는 다색 화상(multi-color image)을 제공하도록 상이한 색들을 갖는 가시 화상(토너 화상)이 동일 기록재 상에 연속적으로 중첩되게 전사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적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상이한 컬러 현상제(토너)를 넣어 두는 복수개의 현상장치를 구비하며, 대전, 노출, 현상 및 전사 단계들이 복수개의 기록 사이클을 통해서 전색 또는 다색 화상을 형성하도록 전자 사진식 공정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 사진식 컬러 화상 형성 장치들 중에서, 다색 화상이 복수개의 기록 사이클을 통해 형성되는 전사 드럼을 갖는 컬러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담지 부재(image bearing member)로서 작용하는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코너 화상은 기록재지지 부재로서 작용하는 전사 드럼 상에 지지된 기록재 상으로 전사된다.
기록재 상에 전색 화상을 형성할 때, 복수개의 토너 화상이 한가지씩의 색상으로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되고 이 토너 화상이 전사 드럼 상에 지지된 기록재 상에 하나씩 중첩식으로 전사된다. 전사 작동 후에 기록재는 전사 드럼으로부터 분리되어 정착 장치로 이송되는데, 여기에서 기록재 상의 중첩된 토너 화상들이 용해되고 그 색상이 혼합되어 기록재 상에 정착된 전색 화상을 제공한다.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기록재로는 무광 절단지 등과 같은 무광지(plain paper)가 대개 사용된다. 그러나, OHT(투영 용지) 또는 유광지 시트(non-plain-paper sheet)(비표준 시트)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유광지 시트를 상술한 형태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장치에 사용되면, 현상제가 색상을 내기 위해 용해되는데 이에 의해서 기록재의 열용량이 화상 정착 후에 화질에 현저하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무광지 및 유광지는 현저하게 다른 열용량을 갖는다. OHT 시트의 사용 가능한 투명도를 얻기 위해서, 필요한 열용량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종이에서 필요한 열용량의 수배에 달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기록재가 유광지 시트이면 상술한 형태의 컬 러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센서 등과 같은 기록재 식별 수단을 시트공급 카세트와 전사 드럼 사이의 기록재 공급 경로에 마련하여 기록재의 재질을 미리 감지할수 있게 해준다. 이때, 정착 장치에 기록재를 공급하는 기록재 공급 수단의 공급 속도 및 정착 장치의 정착 속도(정착롤러의 회전 속도 등)는 가변되게 하여 정착 주기가 유광지 시트 상에 화상을 정착하는데 필요한 열용량을 제공하기 위해 증가하도록 한다.
그러나, 화상의 뭉개짐(rubbing)을 유발할 수도 있는 루프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전사 드럼과 정착 장치사이에서 전사 드럼으로부터 분리된 기록재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전사 드럼으로부터 기록재를 분리시키기 위한 기록재 분리 위치(기록재 분리기)와 기록재가 정착 장치에 도입되는 정착 장치 입구 사이의 거리(L)는 상기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 가능한 최대 유광지 시트의 길이(LO)보다 더 길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더 큰 기록재 이송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전체 장치가 더 커지게 한다. 이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록재 이송부의 길이가 상술한 요구 길이에 비해 더 짧고 정착 장치의 온도가 유광지 시트에 대해서 적절한 수준으로 항상 제어되게 하는 방법과, 정착 온도가 유광지 시트의 통과시에만 증가되게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장착 장치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되며, 이로써 정착 롤러를 구성하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료가 파손되어 정착 장치의 수명을 현저하게 단축시킨다. 이것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화상 형성 주기, 즉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처리 속도(감광 드럼의 외주 속도)를 유광지 시트에 적절하게 정착시킬 수 있는 속도로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사용하면 감광드럼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기록 타이밍 또는 신호를 처리 속도에 따라 변화시켜야 하므로 장치가 복잡해지고 비싸지게 된다. 이것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토너 화상이 전사 위치에서 감광 드럼으로부터 전사 드럼 상에 지지된 기록재 상에 전사된 후에, 토너 화상을 갖는 기록재가 화상 전사 작동 없이 전사 위치를 재차 통과한다. 이 경우에, 기록재로부터 감광 드럼 상으로의 토너 화상의 오프셋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광 드럼 및 전사 드럼은 감광 드럼과 기록재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서로 이격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재 및 화상 담지 부재는 작은 간극(대략 100미크론) 또는 적절한 닙(nip) 압력을 갖고 배열되며, 따라서 기록재지지 부재가 정상 화상 형성 상태를 복구하도록 화상 담지 부재로 복귀하면 이들 부재가 접촉하여 서로 충돌되며, 이는 기록재지지 부재와 화상 담지 부재 사이에 강한 뭉개짐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일어나면, 상기 부재들의 표면이 서로 손상된다.
특히, 기록재지지 부재가 중실 드럼(solid drum)의 형태이면 이 부재가 수백 미크론 내지 수 mm의 간섭 깊이로 화상 담지 부재에 접촉되며, 따라서 기록재지지 부재와 화상 담지 부재가 절결 드럼(cut-away drum) 형태인 기록재지지 부재에서보다 서로 더욱 강하게 누르게 된다. 따라서, 기록재지지 부재 또는 화상 담지 부재가 절결 드럼의 경우에서보다 더 빨리 파손된다. 여기에서, 중실 드럼은 기록재를 지지하는 전체 영역이 전기 전도성 층 및 유전체 층으로 구성된 적층식 구조로 이루어진 드럼을 의미한다. 절결 드럼은 일부분이 절결된 실린더를 구성하도록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한쌍의 대향 링을 포함하며, 절결부는 유전 시트로 피복된다.
기록재지지 부재 및 화상 담지 부재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파손된다. 기록재지지 부재가 정상 화상형성 위치, 즉 가시 화상의 전사가 수행되는 위치로 복귀할 때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 속도(Vp)와 기록재지지 부재의 회전 속도(Vtr)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 속도차(δV)를 제거하도록 마찰력 또는 다른 불필요한 힘이 기록재지지 부재 및/ 또는 화상 담지 부재에 작용된다.
기록재가 정상 위치로 복귀할 때 기록재가 화상 담지 부재에 접촉되기 때문에 화상 담지 부재의 회전이 상기 복귀에 따른 충격에 의해 약간 진동한다. 이러한 진동은 화상 담지 부재에 형성된 잠상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형성된 화상을 교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기록재 지지 부재와 화상 담지 부재가 접촉할 때 충격이 방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담지 부재 및/또는 기록재 지지 부재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화상형성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재 지지 부재와 화상 담지 부재가 서로 접촉할 때 마찰이 일어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재 지지 부재와 화상 담지 부재가 서로 접촉하게 될 때 화상 담지 부재상의 잠상 형성의 교란을 방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재의 재질에 관계없이 적절한 화상 정착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재 분리 위치와 화상 정착 위치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어 그 크기가 감소된 화상 형성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과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첨부 도면은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화상 형성 장치로서 컬러 전자 사진식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제15도에서 화상 담지 부재로서 작용하는 감광 드럼(3)은 정상 상태에서 도면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광 드럼(3)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접촉형 대전기(대전 롤러)와, 황색 토너(Y)와 자홍색 토너(M)와 청색 토너(C)와 흑색 토너(BK)를 각기 담아두는 복수개의 현상 장치(4Y,4M,4C,4BK)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4)와, 현상된 가시 화상을 받아들이도록 기록재(시트)를 지지하는 기록재 지지 부재로서 작용하는 전사 드럼(1)과, 감광 드럼(3)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너(8)가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잇다. 감광 드럼(3)과 접촉형 대전기(7)와 현상 장치(4)와 클리너(8)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설치 가능한 프로세스 유니트 카트리지에 포함되기도 한다.
이 실시예에서 레이저 등과 같은 광원을 갖는 노출 장치(5)에 의해 방사된 광 신호(6)는 화상 형성 렌즈 및 반사 거울을 통해 회전 가능 거울에 의하여 감광 드럼(3)을 래스터(raster) 주사하며, 이로써 감광 드럼(3) 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광 신호(6)는 대전기(7)와 현상 장치(4Y) 사이의 노출 위치상에 입사된다.
현상 장치(4)에서 현상제, 즉 토너는 선택된 현상 장치(4Y,4M,4C 또는 4BK)에 의해서 광 신호(6)에 의해 감광 드럼(3)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으로 전달되며, 이로써 정전 잠상이 선택된 색상을 갖는 가시(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가시 화상은 화상 전사 위치9화상 전사 스테이션, Ptr)에서 전사 드럼상에 지지된 기록재(14)상에 전사된다.
전사드럼(1)은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며, 공간을 갖지 않거나(접촉 상태) 작은 공간(100미크론의 간극)을 갖는 감광 드럼(3)의 표면에 대향하게 위치한다. 제16A도에 도시된 것처럼 전사드럼(1)은 부분 절결된 중공 원통형 부재의 형태인 기부 드럼 부재(la)와, 이 드럼의 절결부를 원통형으로 덮는 가요성 시트(1b)를 포함한다. 가요성 시트(1b)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플루오리네이티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FEP)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등으로 제조된다.
전사 드럼(1)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공급 카세트(20)로부터 공급된 기록재(14)를 가요성 시트(1b) 상에 정전기적으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 롤러(2)와, 견인 롤러(2)에 대면하는 가요성 시트(1b)를 대전시키는 견인대전기(16)와, 감광 드럼(3)으로부터 가시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대전기(17)와, 가요성 시트(1b) 상에 정전기적으로 견인된 기록재(14)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대전기(9)와, 기록재(14)를 분리시키는 것을 도와주고 이렇게 분리된 기록재(14)를 기록재를 정착 장치(11)에 공급하는 기록재 지지 수단(15)으로 안내하는 분리 클로(claw, 10)와, 기록재 분리위치 이후에 가요성 시트(1b)의 표면으로부터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전사 드럼 클리너(12)와, 초기화하도록 가요성 시트(1b)로부터 전하를 제거하는 한쌍의 대향된 방전기(13)가 회전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방법에 대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우선, 감광 드럼(3)이 대전 롤러(7)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제1색상의 정전 잠상이 노출 장치(5)로부터의 제1색상용 화상 신호에 따라 변조된 광 신호(6)에 의해 감광 드럼(3) 상에 형성된다. 제1색상의 정전 잠상은 예를 들어 황색(Y) 현상제가 들어있는 현상 장치(4Y)에 의해 현상되어 가시화 된다. 상기 작동과 병행해서, 공급된 기록재(14)가 전사 드럼(1) 쪽으로 또는 이로부터 멀리 이동 가능한 견인 롤로(2)에 의해 견인 롤로(2)와 전사 드럼(1) 사이에 물리는 동시에, 견인 대전기(16)에 의해 전하가 전사 드럼의 표면을 구성하는 가요성 시트(1b)에 인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사 드럼의 표면상에 기록재(14)를 정전기식으로 견인하는 기록재 파지 공정이 수행된다. 제15도의 도면 부호(K)는 기록재의 선단부가 지지되는 전사 드럼(1) 상의 일 지점을 나타낸다.
기록재(14)를 지지하는 기록재지지 수단(전사 드럼, 1)에 대해서는, 그리퍼 등과 같은 JT에 의해 기록재의 선단부를 기계적으로 파지하는 기계식 파지 수단을 정전기 견인 수단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급된 기록재(14)의 선단부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그리퍼에 의해 파지되며 기록재(14)는 전사드럼(1)의 회전에 의해 전사 드럼(1)의 표면 주위에 감긴다. 이때에, 기록재(14)가 견인 롤러(2)와 전사 드럼 표면을 구성하는 가요성 시트(1b) 사이에 끼워진다. 이와 동시에, 기록재(14)는 견인 대전기(16)에 의해 가요성 시트(1b)의 후방측에 인가된 전하에 의해 마련된 정전기 견인력에 의해서 전사 드럼의 표면 상에 보유된다.
전사 드럼(1) 상에 지지된 기록재(14)는 전사 드럼(1)의 회전에 의해 감광 드럼(3)에 대면한 화상 전사(Ptr)로 이송된다. 그리고 나서, 감광 드럼(3) 상에 형성된 황색 가시 화상이 전사 대전기(17)의 작동에 의해 기록재(14) 상에 전사된다. 그 뒤에, 감광 드럼(3)의 표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가 클리너에 의해 제거된다. 그 다음에, 감광 드럼(3)이 대전기(7)에 의해 재차 균일하게 대전되고, 노출 장치(5)로부터의 제2색상의 화상 신호에 따라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3) 상에 형성된다. 제2색상의 정전 잠상은 제2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예를 들어, 자홍색(M) 현상제가 들어 있는 현상 장치(4M)에 의해 가시 자홍색 화상을 현상된다. 제2가시 화상은 전사 대전기(17)에 의해 전사 드럼상에 여전히 지지되어 있는 기록재(14) 상에 재차 전사된다. 그 결과, 제2가시 자홍색 화상은 이미 전사된 제1황색 가시 화상 위에 중첩된다.
상술한 대전, 화상 노출, 현상 및 전사 공정이 제3색상(청색, C)과 제4색상9흑색, BK)에 대해서도 반복된다. 따라서, 4개의 색상 가시 화상은 전사 드럼(1) 상에 지지된 기록재(14) 상에 전사되어 중첩되고, 전사 드럼(1)의 내측 및 외측 표면에 대면하여 배열된 분리 대전기(9)는 전사 드럼의 가요성 시트(1b)와 전사 드럼(1) 상에 지지된 기록재(14) 사이의 정전기 견인력을 제거하도록 작동된다. 기록재의 선단부가 그리퍼에 의해 파지되는 경우에는 그리퍼가 해제된다. 동시에, 분리 클로(separation claw, 10)는 전사 드럼(1)으로부터 기록재(14)를 분리시켜 기록재가 기록재지지 수단915)에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작동된다. 기록재지지 수단(15)은 기록재(14)를 정착 장치(11)에 공급하며, 여기에서 중첩된 가시 화상들이 정착 장치의 열에 의해 기록재 상에 여우 화상으로 정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요구되는 전색 인쇄물이 제공된다. 기록재가 분리된 후에, 전사 드럼91)은 토너가 전사 드럼 클리너(12)에 의해 가요성 시트(1b)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는 클리닝 작동 상태하에 있게 되며, 이어서 시트 배출기(13)는 다음번 전사 공정을 준비하기 위해 가요성시트(1b)를 전기적으로 또는 초기화시키도록 작동된다.
상기의 설명은 기록재 지지 부재가 대표적인 기록재 지지 부재로서 절결 드럼(1a)을 사용하는 전사 드럼(1)의 형태인 경우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전사 드럼(1)에 적절한 편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제16도에 도시된 것처럼 절결부가 없는 드럼9중실 드럼)(1c)과, 이 드럼(1c)을 덮는 발포 우레탄 재료 또는 발포 실리콘 고무재료 등과 같은 것으로 된 탄성 재료(1d)와, 탄성 재료(1d)의 표면을 덮는 가요성 시트(1b)를 포함하는 전사 드럼(1)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사 드럼을 사용하면 절결 드럼(1a)의 경우와 유사하게 중첩 전사를 얻을 수 있다.
중실 드럼(1c)은 절결 드럼(1a)에 비해 내부 구조가 간단하고 따라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가요성 시트(1b)가 내측에 지지되므로 절결 드럼(1a)에서의 문제점인 가요성 시트(1b)의 변형 또는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중실 전사 드럼을 사용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최근에 알려진 것이다. 중실 전사 드럼을 사용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화상 형성 공정은 절결 전사 드럼을 사용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와 유사하다.
제1도를 참조하여 중실 전사 드럼을 사용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공정에 대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제15도에서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부분, 부재 및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트 공급 카세트(20)로부터 중실 드럼 형태의 전사 드럼(1)에 공급된 기록재(14)는 전사 드럼(1) 쪽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멀리 이동 가능한 견인 롤러(2)에 의해 전사 드럼(1)과 견인 롤러(2) 사이에 물린다. 그리퍼와 같은 기계식 기록재 파지 수단이 사용되면 기록재의 선단부가 예를 들어 그리퍼와 같은 것에 의해 파지된다. 이와 동시에, 견인 전압 및 전사 편의 전압이 중실 드럼(1c) 및 견인 롤러(2)에 인가되며, 기록재(14)는 전사 드럼에 의해 유도된 전하에 의해 전사 드럼(1) 상에 정전기적으로 지지된다.
중실 드럼 형태의 전사 드럼(1) 상에 지지된 기록재(14)는 이 전사 드럼(1)의 회전에 의해 감광 드럼(3)에 대면한 화상 전사 위치(Ptr)로 공급된다. 그 다음에, 감광 드럼(3) 상에 형성된 황색 가시 화상(제1색상)이 전사 대전기(17)에 의해 기록재 상으로 전사된다. 제2색상(자홍색) 가시 화상이 전사될 때, 상술한 전사편의 전압이 기록재(14) 상의 제1색상 화상 전사에 의해 하강된 전위를 보상하도록 변화된다. 이러한 전사 전압 보정은 제3 및 제4가시 화상(청색 및 흑색) 전사 작동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수행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3) 상에 형성된 4개의 가시 화상은 전사 드럼(10) 상에 지지된 기록재(14) 상에 연속적으로 전사되어 중첩된다.
전사 공정이 완료된 후에 기록재(14)가 분리 대전기(9)에 의해 전기적으로 방전되어 전사 드럼(1)에 대한 정전기력이 제거된다. 기록재의 선단부를 파지하는 데에 그리퍼가 사용된 경우에는 이 그리퍼가 해제된다. 기록재(14)는 분리 롤로(10)에 의해 전사 드럼(1)으로부터 분리되며, 기록재(14)를 정착 장치(11)에 공급하는 기록재지지 수단(150으로 공급된다. 중첩된 가시 화상들은 정착 장치(11)에 의해 기록재(14) 상에 영구 화상으로 정착된다. 이러한 요구되는 전색 인쇄물이 제공된다. 기록재가 분리된 후에 전사 드럼(1)이 세정되는데, 즉 가요성 시트(1b)의 표면상에 퇴적된 토너가 전사 드럼 클리너(12)의 작동에 의해 제거되고, 이어서 시트 방전 대전기(13)의 작동에 의해 전기적으로 방전되며, 따라서 전기적으로 초기화되어 다음번 화상 전사 공정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 설명은 중실 드럼형인 전사 드럼(1)을 사용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화상 전사 공정에 대한 것이다. 현상 공정은 절결형 전사 드럼을 사용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현상 공정과 동일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OHT 수지 시트와 같은 유광지 시트로 된 기록재를 사용할 때, 정착 장치에 의한 기록재 공급 속도는 무과지 시트가 사용될 때의 공급 속도(제3속도)보다 낮은 공급 속도(제4속도)로 절환된다.
게다가, 전사 드럼(1)의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도시되지 않은) 회전 제어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유광지시트가 사용될 때, 유광지 시트는 최종의 가시화상의 화상 전사 작동후에 전사 드럼으로부터 즉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정착 장치로의 유광지 시트 공급 속도가 저하됨과 동시에 전사 드럼의 회전 속도는 전사 드럼 상에 지지되는 유광지 시트와 함께 감소된다. 상기 방법으로 인해, 분리 위치(Psep)와 정착 위치 사이에서 기록재 공급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장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이 사용될 때, 전사 드럼(1)은 감광 드럼(3)에 대하여 좁은 간극(약 100미크론) 또는 적당한 닙(nip) 압력을 가지고 배치되며, 따라서 유광지 시트상에 중첩된 가시 화상은 전사 드럼의 감속 공정 동안 감광 드럼(3)에 접촉되기 쉽다. 따라서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 드럼 내에 전사 드럼 분리 수단(18)이 마련되어 있어, 유광지 시트를 지지하는 전사 드럼(1)과 감광 드럼(3)이 최종 화상 작동 이후의 전사 드럼 감속 공정 동안에만 분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전사 드럼 분리 수단(18)은 전사 드럼(1)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사 드럼 지지축(18a)이 전사 드럼 지지축(18a)을 지지하는 축 안내부(18c)를 따라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전사 드럼(1)과 감광 드럼(3)이 회전중에 서로를 향하여 그리고 서로서로부터 멀리 이동된다면 다른 주지의 분리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와 대조되는, 제14도에 도시된 전사 드럼 분리 수단(18)을 사용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재 분리 위치(Psep)로부터 정착 장치의 진입 위치까지의 거리(L)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와 사용 가능한 최대 길이를 갖는 유광지 시트의 길이(L0)보다 더 짧다.
본 실시예에서, 전사 드럼(1)에는 감광 드럼(3)의 화상 형성 구역과 접촉하지 않는 감광 드럼 회피부(escape)(21)가 마련된다. 유광지 시트를 분리하도록 전사 드럼 분리 수단(18)(제4도)에 의해 분리된 전사 드럼(1)이 화상 형성을 위한 정상 위치로 복귀할 때, 감광 드럼 회피부(21)는 감광 드럼(3)과 대면하여서 접촉시의 충격으로 인한 전사 드럼(1) 및/또는 감광 드럼(3)의 악화를 방지한다.
제2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전사 드럼(1)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 드럼(1)에는 기록재를 지지하지 않는 위치에서 전사 드럼 표면 상에 리세스의 형태로 있는 감광 드럼 회피부(21)가 마련되어 있다. 전사 드럼(1)의 길이 방향의 대향 단부들에게 전사 드럼(1)과 감광 드럼(3) 사이의 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링형 거리 제한 부재(22)가 마련되어 있다. 거리 제한 부재(22)의 외주 표면은 감광 드럼 회피부(21) 이외의 부분에서 기록재(14)를 지지하기 위하여 전사 드럼 표면을 구성하는 가요성 시트(1b)의 외주 표면과 높이가 대체로 같다.
제6도는 통상의 기록재를 위한 순차적인 화상 형성 작동의 타이밍 선도이다. 제6도에서, 전사 드럼(1)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파선은 기록재의 선단부가 있게 되는 전사 드럼 상의 지점(K)이 견인 롤러(2)와 대면하는 시점을 나타낸다.
제6도를 참조하여 유광지 시트를 위한 화상 형성의 순차적인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시트 공급 카세트(20)로부터 공급되는 기록재(14)는 전사 드럼(1)으로의 공급 경로에서 광학적 또는 기계적으로 기록재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인 센서(S)에 의해 감지되며, 식별은 기록재(14)가 유광지 기록재인지 아닌지로서 이루어진다. 식별 결과가 기록재(14)가 무광지 시트라면 무광지를 위한 화상 형성 작동이 수행된다. 그러나 식별 결과가 기록재(14)가 유광지 시트임을 나타내면 후술하는 화상 형성 공정이 수행된다.
기록 시트는 센서(S)에 의해 감지된 후에 전사 드럼에 공급되어 전사 드럼(1) 상에서 지지된다. 전사 드럼의 제1회전 동안 제1색상의 가시 화상이 전사된다. 후속적으로 제2회전 및 제3회전 동안 다른 색상의 가시 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중첩된다. 이후에, 최종 색상의 가시화상이 제4회전 동안 전사된다. 그러나, 4개의 색상 가시 화상모두가 유광지 시트에 전사될지라도 무광지의 경우와는 달리 유광지는 전사 드럼(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4개의 가시 화상 모두가 유광지 시트 상에 전사되는 시점(T1)에서, 시트를 지지하는 전사 드럼(1)은 유광지 시트 상의 가시 화상이 감광 드럼(3)에 의해 교란되지 않는 먼 곳으로 전사 드럼 분리 수단(18)(제4도)의 구동에 의하여 감광 드럼(3)으로부터 분리된다. 후속적으로, 시점(T1)으로부터 시점(T2)까지의 주기 동안, 분리된 전사 드럼(1)의 회전 속도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 제어 수단에 의해 정상 화상 형성 속도(V1)(제1속도)로부터 화상들이 유광지 시트상에 적절히 정착되는 유광지 정착 속도(V2)(제4속도)와 대체로 동일한 속도(제2속도)로 감속된다. 감속 공정의 완료후에 시점(T3)으로부터, 유광지 시트는 기록재 분리 위치(Psep)로부터 분리되고, 이후에 정착 장치(11)에 직접 공급된다.
시트의 후단부가 기록재 분리 위치(Psep)에서 분리되는 시점(T4)과 시점(T5) 사이의 주기 동안, 전사 드럼(1)의 속도는 제2속도로부터 전사 드럼 복귀 속도(V3)(제5속도)로 회전 제어 수단에 의해 증가된다. 복귀속도(V3)로부터 회전하고 있는 전사 드럼은 시점(T5)에서 전사 드럼 분리 수단(18)에 의해 정상 전사 드럼 위치[즉, 감광 드럼(3)으로부터 가시 화상을 적절히 전사하기 위한 위치]로 복귀된다.
전사 드럼 복귀 공정에서, 감광 드럼(3) 및 전사 드럼(1)은 시점(T5)에서 화상 전사 위치(Ptr)에서 서로 접촉하며, 이때 감광 드럼(3)에 대면한 전사 드럼의 부분은 전술한 감광 드럼 회피부(21)이다.
따라서, 전사 드럼(1)의 대향 단부들에 있는 거리 제한 부재(22)만이 시점(T5)에서 감광 드럼(3)과 접촉된다. 게다가, 거리 제한 부재(22)는 감광 드럼(3)의 화상 형성 구역이 아닌 구역과 접촉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전사 드럼의 복귀시의 충격은 감광 드럼(3)의 화상 형성 구역에 가해지지 않고, 따라서 전술된 것처럼 감광 드럼(3)은 악화되지 않는다. 전사 드럼(1)의 기록재 지지 표면은 시점(T5)에서 감광 드럼(3)과 접촉되지 않으므로, 전사 드럼 표면의 악화도 방지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상기 방법이 사용될 때, 전사 드럼(1)의 복귀를 위하여 필요한 시간 주기는 유광지 시트의 후단부가 지지되는 전사 드럼(1) 상의 지점(P)으로부터 회피부(21)로의 전사 드럼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전사 드럼의 표면을 따라 측정된 거리(L4)와, 화상 전사 위치(Ptr)로부터 기록재 분리 위치(Psep)로의 전사 드럼의 회전 방향으로 전사 드럼의 표면을 따라 측정된 거리(L1)이
을 만족한다면, 최소화된다.
이러한 것이 충족된다면, 전사 드럼(1)의 회피부(21)는 시트의 분리가 기록재 분리 위치(Psep)에서 완료될 때 전사 드럼의 회전 방향으로 화상 전사 위치(Ptr)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사 드럼 복귀 공정은 즉시 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전사 드럼 복귀 공정 동안 전사 드럼(1)의 회피부(21)를 화상 전사 위치(Ptr)와 재정렬하기 위한 전사 드럼(1)의 공회전의 필요성을 없애준다. 따라서, 전사 드럼 복귀 공정을 위해 필요한 시간 주기가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거리 제한 부재(22)가 전사 드럼(1)의 길이 방향의 각 단부에 마련된다. 예컨대, 감광 드럼(3)이 전사 드럼(1)에 의해 직접 구동될 때, 거리는 전사 드럼(1)과 감광 드럼(3)의 구동 기어들의 결합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서, 전사 드럼(1)을 위한 거리 제한 부재(22)는 일 측면에서만 마련된다.
거리 제한 부재(22)는 전사 드럼(1)과 감광 드럼(3) 사이의 간섭 깊이와 접촉압이 제어된다면, 상기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지의 다양한 수단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기록재를 지지하기 위한 기록재 지지 수단은 정전기적 견인 수단의 형태이다. 이러한 것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재의 선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그리퍼(gripper, 23)와 같은 기계적 수단일 수 있다. 그리퍼(23)가 기록재 파지 수단을 위해 사용될 때, 그리퍼(23)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회피부(21)와 같은 전사 드럼(1) 표면의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감광 드럼(3)과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그리퍼(23)와 같은 기계적 파지 수단이 기록재 파지 수단으로서 사용될 때, 기계적 파지 수단[본 실시예에서의 그리퍼(23)]을 갖는 부분이 회피부(21)로서 사용된다면 감광 드럼 회피부(21)가 전사 드럼(1) 상에 항상 형성 될 필요는 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퍼와 같은 기계적 파지 수단이 기록재파지 수단으로서 사용될 때, 전사 드럼(1) 상에 보유된 유광지 시트의 최대 길이를 갖는 길이(L0)와 기록재 분리 위치(Psep)로부터 화상 전사 위치(Ptr)로의 전사 드럼의 회전 방향으로 전사 표면을 따라 측정된 거리(L2)가 적어도
의 관계식을 만족한다면, 전사 드럼(1)을 복귀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최소화된다.
이러한 것이 충족된다면, 전사 드럼(1) 상의 그리퍼(23)의 위치는 기록재 분리 위치(Psep)에서 유광지 시트의 분리가 완료될 때 전사 드럼의 회전 방향으로 화상 전사 위치(Ptr)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사 드럼 복귀 공정은 시트 분리후에 즉시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전사 드럼(1) 상의 그리퍼(23)의 위치를 화상 전사 위치(Ptr)과 재정렬시키기 위하여 전사 드럼(1) 복귀 공정 동안에 전사 드럼(1)을 공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사 드럼 복귀를 위해 필요한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중실형 전사 드럼이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실시예에서 동일한 유리한 효과들을 갖는 절결형 전사 드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7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7도는 기록재지지 수단 상의 그리퍼와 같은 기계적 기록재 파지 수단을 갖는 전자 사진식 컬러 화상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는 기계적 기록재 파지 수단을 제외하고는 제1도의 것과 동일하며, 따라서 부재들, 부품들 및 요소 등에 제1도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들 부재들, 부품들 및 요소 등의 상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대전, 노출, 현상 및 전사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른 색상을 갖는 다수의 가시 화상(토너 화상)이 각각 다른 색상의 현상제(토너)를 포함하는 다수의 현상 장치(4Y,4M,4C,4BK)에 의해 감광 드럼(3)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가시 화상은 전사 드럼 상에서 지지된 동일한 기록재에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중첩되며, 전색 화상 또는 다색 화상이 다수의 기록 사이클을 통해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컬러 화상 형성 공정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시트 공급 카세트(20)로부터 공급되는 기록재(14)는 전사 드럼(1)으로의 공급 경로에서 광학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기록재의 재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인 센서(S)에 의해 감지되며, 식별은 기록재(14)가 유광지 기록재인지 아닌지로서 이루어진다. 식별 결과가 기록재(14)가 무광지 시트라면 무광지를 위한 화상형성 작동이 수행된다. 그러나, 식별 결과가 기록재(14)가 유광지 시트임을 나타내면, 후술하는 화상 형성공정이 수행된다.
기록 시트는 센서(S)에 의해 감지된 후에 전사 드럼(1)으로 공급되고 그리퍼와 같은 기계적 파지 수단에 의해 시트의 선단부에서 파지되어 전사 드럼(1) 상에서 지지된다. 전사 드럼의 제1회전 동안, 제1색상의 가시 화상이 전사된다. 후속적으로, 제2회전 및 제3회전 동안, 다른 색상의 가시 화상들이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중첩된다. 이후에, 최종 색상의 가시 화상이 제4회전 동안에 전사된다. 그러나, 무광지의 경우와는 달리 4개 색상의 가시 화상 모두가 유광지 시트상으로 전사될 지라도, 유광지 시트는 전사 드럼(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4개의 가시 화상 모두가 유광지 시트 상으로 전사되는 시점에서, 시트를 지지하는 전사 드럼(1)은 유광지 상의 가시 화상이 감광 드럼(3)에 의해 교란되지 않는 먼 곳으로 전사 드럼 분리 수단(18)(제14도)의 구동에 의해 감광 드럼(3)으로부터 분리된다. 후속적으로, 분리된 전사 드럼(1)의 회전 속도는 정상 화상 형성 속도(V1)로부터 화상들이 유광지 시트 상에 적절히 정착되는 유광지 시트 정착 속도는 (V2)(제4속도)와 대체로 동일한 속도(제2속도)로 (도시되지 않은) 회전 제어 수단에 의해 감속된다. 감속 공정 완료 후에, 유광지 시트는 기록재 분리 위치(Psep)로부터 분리되며, 이후에 정착 장치(11)로 직접 공급된다.
시트의 후단부가 기록재 분리 위치(Psep) 및 시점(T5)에서 분리된 후에, 전사 드럼(1)의 속도는 제2속도로부터 전사 드럼 복귀 속도(V3)로 회전 제어 수단에 의해 증가된다. 이때에 감광 드럼(3)의 회전 속도는 전사 드럼 회전 속도인 전사 드럼 복귀 속도(V3)가 되도록 조정된다.
전사 드럼 복귀 속도(V3)로 회전하고 있는 전사 드럼은 전사 드럼 분리 수단(18)에 의해 정상 전사 드럼 위치[즉, 감광 드럼(3)으로부터 가시 화상을 적절히 전사하기 위한 위치]로 복귀된다.
본 경우에서, 전사 드럼(1) 및 감광 드럼(3)의 회전 속도인 전사 드럼 복귀 속도(V3)는 제어가 가장 용이한 V3=0일 수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작동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때, 다음의 화상 형성 공정시 회전 속도를 화상 형성 속도(V1)로 다시 증가시킬 것이 필요하며, 따라서 전사 드럼 복귀 속도(V3)가 화상 형성 속도(V1)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감광 드럼(3)은 복귀로부터 다음의 화상 형성까지 화상 형성 속도(V1)로 계속 회전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을 제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속도차(δV)는 전사 드럼의 회전 속도와 감광 드럼(3)의 회전 속도 사이에서 제거되며, 따라서 전사 드럼(1)과 감광 드럼(3)간의 접촉시 외주 속도차(δV)는 대체로 0이 된다. 따라서, 전사 드럼(1)과 감광 드럼(3)간의 접촉시의 충격은 감소될 수 있다. 감광 드럼(3)과 전사 드럼(1)의 서로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로부터 발생하는 접촉시의 충격에 위한 감광 드럼(3)과 전사 드럼(1)의 악화는 방지될 수 있다.
감광 드럼(3), 전사 드럼(1) 및 정착 장치(11)용 회전 제어 수단에 대해서는, 회전 속도 변경 수단으로 주지된 클러치 등에 의해 절환이 가능한 구동 기어를 사용하는 기계적 감속부와 같은 고지의 방법이 있으며, 또는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변경된다. 이러한 것들 중에서, 펄스 모터가 구동 모터로서 사용되고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변경되는 방법은 가장 간단하고 최소의 비용이 소요되므로 바람직하다.
회전 제어 수단에 더하여, 전사 드럼 및 감광 드럼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될 수 있고, 전사 드럼의 복귀시에 속도차가 제거될 때까지 회전 제어를 실행하도록 순차적인 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전사 드럼(1)과 감광 드럼의 외주 속도는 동기 된다. 이러한 것은 또한 접촉시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제8도의 타이밍 선도를 참조하여 전사 드럼의 분리, 복귀 및 감속의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사 드럼의 분리는 최종의 가시 화상이 전사 위치(Ptr)에서 유광지 시트의 후단부상으로 전사되는 것이 종료되는 시점(T1)과, 시트의 선단부가 화상 전사 위치로 오는 시점(T2) 사이의 임의의 시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사 드럼(1)의 분리뿐만 아니라 전사 드럼의 회전 제어도 시점(T1-T2)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회전 제어 동안 드럼의 추가 회전을 제거하고, 따라서 화상 형성 속도는 더 증가하게 된다.
전사 드럼의 복귀는 전사 드럼(1)의 회전 속도가 변경된 이후의 임의의 시간에, 그리고 유광지 시트의 후단부가 분리 위치(Psep)에서 분리되는 시점(T3)과 기록재 선단부를 파지하는 부분(그리퍼(23)등과 같은 기계적 기록재 파지 수단의 부분]이 기록재지지 위치[기록재 파지 위치](Padh)에서 다음의 기록재를 파지하는 시점(T4) 사이의 주기 내의 임의의 시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9도를 참조하면,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전사 드럼의 공회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 만족되어야 하며, 이때 L3은 분리 클로(claw) 등을 갖는 기록재 분리 위치(Psep)와 js사 드럼 상에 기록재를 파지하기 위한 기록재 파지 위치(Padh) 사이에서 전사 드럼의 회전 방향으로 드럼(1)의 외주 표면을 따라 측정된 거리이며, d1은 전사 드럼의 표면이 복귀 및 회전 제어 동안 이동하는 전사 드럼의 외주상의 거리[전사 드럼(1) 상에서 기록재의 선단부를 파지하는 부분이 전사 드럼의 복귀 및 회전 제어 동안에 이동하는 거리]이고, L0는 사용 가능한 최장 유광지 시트의 길이이다.
이상에서는 중실형(하드 셸) 전사 드럼에 대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절결형 전사 드럼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밴드가 전사 드럼(1)과 접촉될 위치에서 감광 드럼(3) 상에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복귀 접촉시의 마찰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감광 드럼(3)과 전사 드럼(1) 상의 하중은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전사 드럼의 분리로 인한 감광 드럼(3)과 전사 드럼(1)의 악화는 감소될 수 있다.
현상제 밴드의 형성은 현상제 밴드가 감광 드럼과 클리너(8)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때 사용되는 주지의 방법을 통해 성취될 수 있다. 현상제 밴드가 형성되어 있을 때, 전사 드럼(1)의 복귀시에 전사 드럼상에 퇴적된 현상제는 화상 전사 위치(Ptr)의 하류측에 배치된 전사 드럼 클리너(12)에 의해 제거된다. 본 경우에서, 상기 관계식(3)이 충족된다.
제11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여가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는 제1도의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며, 따라서 부재들, 부품들 및 요소 등에 제1도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들 부재들, 부품들 및 요소 등의 상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대전, 노출, 현상 및 전사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른 색상을 갖는 다수의 가시 화상(토너 화상)이 각각 다른 색상의 현상제(토너)를 포함하는 다수의 현상 장치(4Y,4M,4C,4BK)에 의해 감광 드럼(3)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가시 화상은 전사 드럼 상에서 지지된 기록재에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중첩되며, 전색 화상 또는 다색 화상이 다수의 기록 사이클을 통해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컬러 화상 형성 공정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시트 공급 카세트(20)로부터 공급되는 기록재(14)는 전사 드럼(1)으로의 공급 경로에서 광학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기록재의 재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인 센서(S)에 의해 감지되며, 식별은 기록재(14)가 유광지 기록재인지 아닌지로서 이루어진다. 식별 결과가 기록재(14)가 무광지 시트라면 무광지를 위한 화상 형성 작동이 수행된다. 그러나, 식별 결과가 기록재(14)가 유광지 시트임을 나타내면, 후술하는 화상 형성 공정이 수행된다.
기록재 시트는 센서(S)에 의해 감지된 후에 전사 드럼(1)으로 공급되고 기록재 파지 수단에 의해 전사드럼(10 상에서 지지된다. 전사 드럼의 제1회전 동안, 제1색상의 가시 화상이 전사된다. 후속적으로, 제2회전 및 제3회전 동안, 다른 색상의 가시 화상들이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중첩된다. 이후에, 최종 색상의 화상이 제4회전 동안에 전사된다. 그러나, 무광지의 경우와는 달리 컬러 가시 화상 모두가 유광지 시트상으로 전사될 지라도, 유광지 시트는 전사 드럼(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4개의 가시 화상 모두가 유광지 시트 상으로 전사되는 시점(T1)에서, 시트를 지지하는 전사 드럼(1)은 유광지 상의 가시 화상이 감광 드럼(3)에 의해 교란되지 않는 먼 곳으로 전사 드럼 분리 수단(18)(제14도)의 구동에 의해 감광 드럼(3)으로부터 분리된다. 후속적으로, 분리된 전사 드럼(1)의 회전 속도는 시점(T1)으로부터 시점(T2)까지의 주기 동안에 정상 화상 형성 속도(V1)로부터 화상들이 유광지 시트 상에 적절히 정착되는 유광지 시트 정착 속도(V2)(제4속도)와 대체로 동일한 속도(제2속도)로 (도시되지 않은) 회전 제어 수단에 의해 감속된다. 감속 공정 완료 후에 시점(T3)로부터, 유광지 시트는 기록재 분리 위치(Psep)로부터 분리되며, 이후에 정착 장치(11)로 직접 공급된다.
시트의 후단부가 기록재 분리 위치(Psep)에서 분리되는 시점(T4)와 시점(T5) 사이의 주기 동안에, 전사 드럼(1)의 속도는 제2속도로부터 전사 드럼 복귀 속도(V3)로 회전 제어 수단에 의해 증가된다. 전사 드럼 복귀 속도(V3)로 회전하고 있는 전사 드럼은 전사 드럼 분리 수단(18)에 의해 시점(T5)에서 정상 전사 드럼 위치[즉, 감광 드럼(3)으로부터 가시 화상을 적절히 전사하기 위한 위치]로 복귀된다.
전사 드럼 복귀 공정에서, 감광 드럼(3)과 전사 드럼(1)은 화상 전사 위치(Ptr) 및 시점(T5)에서 접촉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의 화상을 위한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3) 상에서 형성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다음 화상의 정전 잠상의 형성은 전사 드럼(1)의 정상 화상 형성 속도(V1)로의 복귀 이후의 시점(T7)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시점(T5)에서 전사 드럼(1)과 감광 드럼(3) 사이의 접촉으로 충격에 의해 감광 드럼(3)의 회전에 있어 작은 진동이 발생할지라도, 잠상 형성이 감광 드럼(3) 상에서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의 잠상 형성은 교란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후회전수(post-rotation)는 화상이 유광지 시트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때 하나씩 증가한다. 부가적인 후회전 중, 다음 화상이 잠상이 형성되고, 그러므로 감광 드럼(3)의 회전이 분리된 전사 드럼(1)의 복귀시의 충격에 의해 진동될지라도 잠상은 형성되지 않으며, 그러므로 잠상의 형성은 충격에 의해 방해되지 않고, 따라서 형성된 화상은 심하게 교란 받지 않는다.
제1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2도에 도시된 전사 드럼[전사 드럼에는 시점(T5)에서 감광 드럼(3)과 접촉 가능한 전사 드럼(1)의 부분에 리세스 형태의 감광 드럼 회피부(21)가 제공된다]이 사용되면, 충격 자체는 전사 드럼의 복귀시 감소될 수 있고, 그러므로 충격에 의한 전사 드럼과 감광 드럼의 악화는 방지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사 드럼(1)의 복귀시 전사 드럼(1)과 감광 드럼(3)의 회전 속도를 시점(T5)에서 서로 동일하게 하여 드럼 사이의 속도 차이를 대체로 0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전사 드럼(1)과 감광 드럼(3)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은 감소될 수 있고, 그러므로 접촉시의 충격으로 인한 감광 드럼(3)과 전사 드럼(1)의 악화는 방지될 수 있다.
전사 드럼(1) 또는 감광 드럼(3)에서 전사 드럼(1)과 감광 드럼(3)의 축들 사이의 거리를 제한하는 거리 제한 부재가 제공되면(제1실시예에서, 이는 전사 드럼(1)의 대향 길이 방향 단부들에서의 링(22)들의 형태이다), 전사 드럼의 기록재지지 표면과 감광 드럼 표면의 화상 형상 구역은 시점[T5(감광 드럼(1)의 복귀)]에서 전사 드럼(1)과 감광 드럼(3)의 사이의 접촉시 드럼 중 하나의 거리 제한 부재 때문에 직접 접촉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감광 드럼(3)의 화상 형성 구역은 전사 드럼의 복귀시 충격을 받지 않고, 따라서 감광 드럼(3)과 전사 드럼(1)의 악화는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제1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가 설명된다. 본 실시예는 또한 제1도에 도시된 전자 사진식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도 사용된다. 대체적인 배열은 제1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고, 그러므로 제1도와 동일한 참조 부호가 상응하는 기능을 갖는 부재, 부품, 요소 등에 부여되고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에 사용 가능한 최대 유광지 시트 길이와, 전사 드럼(1)의 외주 표면상의 소정의 지점이 전사 드럼의 복귀 주기[시점(T4)로부터 시점(T5)까지]에 이동하는 거리(δL)와, 전사 드럼(1)으로부터 기록재를 분리하는 기록재 분리 위치(Psep)로부터 전사 드럼이 감광 드럼(3)에 대면하는 화상 전사 위치(Ptr)까지 전사 드럼의 외주 표면을 따라 측정된 거리(L11)와, 감광 드럼(3) 상의 잠상 형성 위치[Pch(잠상 형성 스테이션)]로부터 화상 전사 위치(Ptr)까지 감광 드럼의 외주 표면을 따라 측정된 거리(L12) 사이에 이하의 관계가 만족된다.
상기 식(4)가 만족되는 조건하의 유광지 시트의 순차적 화상 형성이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잠상 형성 시점(T7)은 저나 드럼이 복귀하는 시점(T5)보다 늦다. 상기 부등식(4)가 만족되면, (기록재가 파지된 후에) 잠상은 어느 경우이든 전사 드럼(1)이 분리 위치로부터 원 위치로 복귀된 후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정전 잠상은 항상 전사 드럼(1)이 정상 화상 형성 스테이션으로 복귀된 후에 형성된다(즉, 가시 화상이 감광 드럼(3)으로부터 적절히 전사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상이 유광지 시트에 연속으로 형성될 때 다음의 정전 잠상은 항상 전사 드럼(1)이 화상 형성을 위해 정상 전사 드럼 위치로 복귀한 후 형성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정전 잠상 형성의 교란은 일어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후회전의 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그러므로 유광지 시트상에의 연속 화상 형성에 필요한 인쇄 시간은 제3실시예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L13은 전사 드럼(1)에 의해 기록재를 파지하는 기록재 파지 위치(Padh)로부터 전사 드럼(1)이 감광 드럼(3)에 대향되는 화상 전사 위치(Ptr)까지 전사 드럼의 외주 표면을 따라 측정된 거리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전자 사진식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의 전자 사진식 프린터 또는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또는 기록재를 정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파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비전자 식의 다양한 구조의 프린터 또는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전사 드럼을 포함하는 다양한 부품, 부재 또는 요소의 구조, 형태, 재료, 화상 형성의 순차적 작동 등은 필요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최종 화상의 전시후 전사 드럼의 회전 속도 감속과, 분리와, 복귀를 포함하는 순차적 작동이 유광지 시트에 수행되었다. 그러나, 상기 순차적 작동은 기록재가 무광지일지라도 전사 작동 중 정착 속도가 전사 드럼 외주 속도와 다르다면(특히 전사 작업 중의 전사 드럼 외주 속도가 정착 속도보다 빠를 때) 양호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전술한 구조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하지 않으며, 본 출원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의 범주 내의 수정 또는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41)

  1.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담지 부재와, 기록재를 지지하는 기록재 지지 부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 사이의 접근 및 분리 상대 이동을 가하는 이동 수단과, 화상 형성을 할 수 있는 상대 위치를 확립하도록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 및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를 서로를 향해 상대 이동을 가할 때, 상기 화상 담지 부재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가 접촉 없이 대게 하는 회피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화상은 전사 위치에서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 상에 지지된 기록재로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부가 리세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부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부가 기록재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상기 기록재지지 부재의 일부분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화상 전사 작동 후에 분리 상대 이동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재를 공급하면서 기록재 상의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도 포함하며,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기록재 공급 속도는 제1속도와 상기 제1속도보다 느린 제2속도 사이에서 절환 가능하고, 상기 정착 수단의 기록재 공급 속도는 제3속도와 상기 제3속도보다 늦고 상기 제2속도와 대체로 동일한 제4속도 사이에서 절환 가능하며, 상기 이동 수단은 적어도 기록재가 전사 작동 후에 전사 위치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기록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를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정착 속도는 기록재가 무광지일 때 제3속도로 선택되고, 상기 제4속도는 기록재가 비표준 시트일 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비표준 시트가 투여 수지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L4는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측정하여 비표준 시트의 후단부가 지지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회피부의 위치까지의 거리이고, L1은 상기방향으로 측정하여 전사 위치로부터 기록재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까지의 거리라 할 때, L1LA가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L0는 상기 장치에 사용 가능한 비표준 시트의 최대 길이이고, L2는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측정하여 기록재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로부터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라 할 때, L2L0가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이 접근 상대 이동을 가할 때, 상기 기록재지지 부재의 외주 속도는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외주 속도와 대체로 동일한 제5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이 접근 상대 이동을 가하고, 상기 기록재지지 부재의 외주 속도는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외주 속도와 대체로 동일한 제5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L3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측정하여 기록재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로부터 기록재의 선단부가 지지되는 위치까지의 거리이고, L0는 상기 방향으로 측정하여 상기 장치에 사용 가능한 비표준 시트의 최대 길이이고, d1은 상기 기록재가 상기 제2속도로부터 상기 제5속도로 변화되는 동안의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외주 방향 이동 거리라 할 때, L3≥d1+L0의 관계가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제1화상 전사 작동 및 제2화상 전사 작동은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제1화상 전사 작동 후 제2화상 전사 작동 전에 분리 상대 이동을 인가하고, 잠상은 상기 이동 수단이 화상형성 위치를 확립한 후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제1화상 전사 작동 및 제2화상 전사 작동은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제1화상 전사 작동 후 제2화상 전사 작동 전에 분리 상대 이동을 인가하고, 잠상은 상기 이동 수단이 화상 형성 위치를 확립한 후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L0는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측정하여 상기 장치에 사용 가능한 비표준 시트의 최대 길이이고, δL은 상기 이동 수단이 화상 형성 위치를 확립하기 위해 상대 이동을 가하는 동안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외주가 이동하는 걸이고, L11은 기록재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로부터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이고, L12는 상기 방향으로 측정하여 잠상 형성 위치로부터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라 할 때, L11-(L0+δL)=L12의 관계가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거리 L13은 상기 방향으로 측정하여 기록재의 선단부가 지지되는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상의 위치로부터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라 할 때, L11-(L0+δL)=L13의 관계가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이한 색상들을 갖는 화상들이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 상에 지지된 기록재에 중첩적으로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재 상에 전색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담지 부재와, 기록재를 지지하기 위한 기록재 지지 부재와, 기록재를 공급하는 동안에 기록재 상의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상기 화상 담지 부재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 사이의 접근 및 분리 상대 이동을 가하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화상은 화상 전사 위치에서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 상에 지지된 기록재로 전사되며,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 기록재 공급 속도는 제1속도와 상기 제1속도보다 느린 제2속도 사이에서 절환 가능하고, 상기 정착 수단의 기록재 공급 속도는 제3속도와 상기 제3속도보다 늦고 상기 제2속도와 대체로 동일한 제4속도 사이에서 절환 가능하며, 상기 이동 수단은 적어도 기록재가 전사 작동 후에 전사 위치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기록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를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이동 수단이 접근 상대 이동을 가할 때,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가 접촉하기 직전에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외주 속도들은 대체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정착 속도는 기록재가 무광지일 때는 제3속도가 되도록 선택되고, 기록재가 비표준 시트일 때는 상기 제4속도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비표준 시트가 투명 수지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L0는 상기 장치에 사용 가능한 비표준 시트의 최대 길이이고, L2는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측정하여, 기록재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로부터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라 할 때, L2L0의 관계가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이 접근 상대 이동을 가할 때,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외주 속도는 상기 화상 담지 부재의 외주 속도와 대체로 동일한 제5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L3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측정하여 기록재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로부터 기록재의 선단부가 지지되는 위치까지의 거리이고, L0는 상기 방향으로 측정하여 상기 장치에 사용 가능한 비표준 시트의 최대 길이이고, d1은 상기 기록재가 상기 제2속도로부터 상기 제5속도로 변화되는 동안의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외주 방향 이동 거리라 할 때, L3≥d1+L0의 관계가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제1화상 전사 작동 및 제2화상 전사 작동은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제1화상 전사 작동 후 제2화상 전사 작동 전에 분리 상대 이동을 인가하고, 잠상은 상기 이동 수단이 화상 영성 위치를 확립한 후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L0는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측정하여 상기 장치에 사용 가능한 비표준 시트의 최대 길이이고, δL은 상기 이동 수단이 화상 형성 위치를 확립하기 위해 상대 이동을 가하는 동안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외주가 이동하는 거리이고, L11은 기록재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로부터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이고, L12는 상기 방향으로 측정하여 잠상 형성 위치로부터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라 할 때, L11-(L0+δL)L12의 관계가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거리 L13은 상기 방향으로 측정하여 기록재의 선단부가 지지되는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상의 위치로부터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라 할 때, L11-(L0+δL)=L13의 관계가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20항에 있어서, 상이한 색상들을 갖는 화상들이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 상에 지지된 기록재에 중첩적으로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재 상에 전색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1. 제20항에 있어서, 잠상은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되고 현상제로 현상되며, 상기 이동 수단이 접근 상대 이동을 가할 때 상기 화상 담비 부재의 일부는 전사 위치에서 미리 현상제가 상부에 퇴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2.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잠상이 형성되는 화상 담지 부재와, 기록재를 지지하는 기록재 지지 부재와, 상기 화상 담비 부재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 사이의 접근 및 분리 상대 이동을 가하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 담비 부재 상에 형성된 화상은 전사 위치에서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 상에 지지된 기록재로 전사되고, 제1화상 전사 작동과 제2화상 전사 작동이 연속 수행될 때 상기 이동 수단은 제1화상 전사 작동 후 제2화상 전사 작동전에 분리 상대 이동을 가하며, 잠상은 상기 이동 수단이 화상 형성 위치를 확립한 후 상기 화상 담지 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제1화상 전사 작동과 제2화상 전사 작동은 다른 기록재에 대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재를 공급하면서 기록재 상의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도 포함하며,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기록재 공급 속도는 제1속도와 상기 제1속도보다 느린 제2속도 사이에서 절환 가능하고, 상기 정착 수단의 기록재 공급 속도는 제3속도와 상기 제3속도보다 늦고 상기 제2속도와 대체로 동일한 제4속도 사이에서 절환 가능하며, 상기 이동 수단은 적어도 기록재가 전사 작동 후에 전사 위치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기록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기록재지지 부재를 상기 화상 담비 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정착 속도는 기록재가 무광지일 때 제3속도로 선택되고, 기록재가 비표준 시트일때는 상기 제4속도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비표준 시트는 투명 수지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L0는 상기 장치에 사용 가능한 비표준 시트의 최대 길이이고, L2는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측정하여 기록재가 상기 기록재지지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로부터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라 그리하여 때, L2L0가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8. 제35항에 있어서, L0는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측정하여 상기 장치에 사용 가능한 비표준 시트의 최대 길이이고, δL은 상기 이동 수단이 화상 형성 위치를 확립하기 위해 상대 이동을 가하는 동안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의 외주가 이동하는 거리이고, L11은 기록재가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로부터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이고, L12는 상기 방향으로 측정하여 잠상 형성 위치로부터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라 할 때, L11,-(L0+δL)L12가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거리 L13은 상기 방향으로 측정하여 기록재의 선단부가 지지되는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상의 위치로부터 전사 위치까지의 거리라 할 때, L11-(L0+δL)=L13이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0. 제32항에 있어서, 상이한 색상들을 갖는 화상들이 상기 기록재 지지 부재 상에 지지된 기록재에 중첩적으로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재 상에 전색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9930020082A 1992-09-29 1993-09-28 기록재 지지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KR0133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83815 1992-09-29
JP28381592A JP3226629B2 (ja) 1992-09-29 1992-09-29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623A KR940007623A (ko) 1994-04-27
KR0133647B1 true KR0133647B1 (ko) 1998-04-22

Family

ID=1767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082A KR0133647B1 (ko) 1992-09-29 1993-09-28 기록재 지지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23829A (ko)
EP (1) EP0590584B1 (ko)
JP (1) JP3226629B2 (ko)
KR (1) KR0133647B1 (ko)
DE (1) DE6932246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15468T2 (de) * 1993-10-14 1999-06-02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JP3251425B2 (ja) * 1994-04-28 2002-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5633702A (en) * 1995-02-10 1997-05-27 Canon Kabushiki Kaisha Transfer material carrying member and image-forming apparatus comprising such transfer material carrying member
US5765094A (en) * 1995-10-20 1998-06-09 Fuji Xerox Co., Ltd. Apparatus for holding recording sheets on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DE69629272T2 (de) * 1995-12-21 2004-04-22 Canon K.K. Bildtragendes Band und dieses verwendendes Bilderzeugungsgerät
JP4181653B2 (ja) * 1997-02-28 2008-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0333397A (ja) 1997-04-04 1998-12-18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890141B2 (ja) * 1998-04-28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71445B2 (ja) * 1998-06-05 2009-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0010416A (ja) * 1998-06-19 2000-01-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250259B2 (ja) * 1998-06-19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027011B2 (ja) 1999-04-28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952540B2 (en) 2001-08-10 2005-10-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202761A (ja) * 2001-11-01 2003-07-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に着脱可能な中間転写ユニット
US6836641B2 (en) * 2002-02-18 2004-12-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20040206771A1 (en) * 2003-04-18 2004-10-21 Eric Junkel Water toy with two port elastic fluid bladder
US7729649B2 (en) * 2006-03-20 2010-06-01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wear on a print cartridge
JP5043805B2 (ja) * 2007-11-19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04977B2 (ja) * 2011-03-09 2015-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3029769A (ja) 2011-07-29 2013-02-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3341A (en) * 1974-10-29 1976-06-15 Xerox Corporation Color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achine
US4072412A (en) * 1974-12-28 1978-02-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transfer device
US4872037A (en) * 1986-02-13 1989-10-0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therefor
JPS6323174A (ja) * 1986-07-16 1988-01-30 Canon Inc 多色画像形成装置
US4873541A (en) * 1987-05-28 1989-10-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H01248171A (ja) * 1988-03-30 1989-10-0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099286A (en) * 1988-04-25 1992-03-24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d method using an intermediate toner image retaining member
DE69008772T2 (de) * 1989-05-31 1994-09-08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US5214480A (en) * 1990-01-19 1993-05-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ransfer sheet bearing means
WO1991014209A1 (en) * 1990-03-05 1991-09-19 Eastman Kodak Company Multicolor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5040026A (en) * 1990-03-05 1991-08-13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color toner images in registration
US5043761A (en) * 1990-03-09 1991-08-27 Eastman Kodak Company Multi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ransfer roller for registering single color images
JP2891796B2 (ja) * 1990-04-17 1999-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材を搬送するための搬送装置、および、その搬送装置を備える記録装置
JPH041670A (ja) * 1990-04-18 1992-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5249023A (en) * 1991-02-08 1993-09-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lectrostatic attraction member
JPH05100515A (ja) * 1991-10-09 1993-04-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90584A3 (en) 1995-09-20
KR940007623A (ko) 1994-04-27
EP0590584A2 (en) 1994-04-06
EP0590584B1 (en) 1998-12-09
US5523829A (en) 1996-06-04
DE69322466T2 (de) 1999-06-02
JP3226629B2 (ja) 2001-11-05
JPH06110345A (ja) 1994-04-22
DE69322466D1 (de) 199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647B1 (ko) 기록재 지지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US5365324A (en) Multi-image forming apparatus
US645313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2144123B1 (en)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Transfer Unit
JP4850335B2 (ja) 画像形成装置
JP4047018B2 (ja)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73231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ovable belt and means to position recording sheets thereon
JP4181769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295961A (ja) 多色画像形成装置
US5652650A (en) Color image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developing devices having a particular sequence of operation
JPH111843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330393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88795A (ja) 画像形成装置
JPH0635262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47274A (ja)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72142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82015A (ja) 画像形成装置
JPH07311526A (ja) 電子写真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3136831B2 (ja) 多重転写装置
JP2673720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133438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561363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転写装置
JP2005070496A (ja) 画像形成装置
JPH03186535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63526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