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635B1 - 프린터 장치의 셔틀기구 - Google Patents

프린터 장치의 셔틀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635B1
KR0133635B1 KR1019940011801A KR19940011801A KR0133635B1 KR 0133635 B1 KR0133635 B1 KR 0133635B1 KR 1019940011801 A KR1019940011801 A KR 1019940011801A KR 19940011801 A KR19940011801 A KR 19940011801A KR 0133635 B1 KR0133635 B1 KR 0133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
unit
balance
shuttle unit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151A (ko
Inventor
아쓰히사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세끼사와 다까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끼사와 다까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세끼사와 다까시
Publication of KR950008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41J25/006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for oscillating, e.g. page-width print heads provided with counter-balancing means or 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Landscapes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 Impact Printers (AREA)

Abstract

밸런스셔틀유니트가 인자셔틀유니트에 있어서의 인자헤드의 반대측, 예를 들면 하측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인자셔틀유니트와 밸런스셔틀유니트와의 중심위치를 근접시킨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 또는 양 셔틀유니트에 있어서의 자석, 요크, 가이드 부재등의 구성부품을 공통화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프린터 장치의 셔틀기구
제1도는 도트라인(dotline) 프린터장치의 외관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셔틀기구의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셔틀기구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
본 발명은, 인자(印字)를 행하기 위하여 인자헤드가 왕복운동하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도트라인(dot line) 프린터장치의 외관개략도이고, 도면부호7은 종이를 전송하는 유니트, 8은 인자 헤드를 재치(載置)한 인자셔틀유니트를 내장하는 인자기구부, 9는 잉크리본을 갖춘 리본유니트이다. 종이전송 유니트 8로 프린터 내부에 반송된 용지 4에 대하여, 인자헤드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리본유니트9의 잉크리본을 타격하여 인자한다. 그리하여 1행의 인자동작이 완료한 시점에서, 그 왕복운동 방향과 수직의 방향으로 용지4를 반송하여, 연속인자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라인프린터장치에 있어서는, 인자헤드를 재치한 인자 셔틀유니트를 고속으로 왕복운동시키므로, 그에 의하여 장치 전체가 진동하지 않는 구조로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이 진동을 해소하기 위한 갖가지의 구조가 종래부터 제안되어져 있다.
특개소 61-169257호 공보에 의하면, 인자헤드를 재치한 인자셔틀유니트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선형모터를, 인자 셔틀유니트의 하측에 고정된 자기코일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가동형의 자기회로부로 부터 구성한 라인 프린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선형모터의 자기회로부를 인자 셔틀유니트와 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자기회로부를 인자 셔틀유니트의 밸런서(balencer)로서 움직여서, 상기 진동을 해소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인자셔틀유니트와 자기회로부와의 역위상의 왕복운동을 장기간에 걸쳐 지속하기 위하여, 양자를 와이어로 접속시켜두지 않으면 아니되고 또 그 왕복운동의 제어도 용이하지는 아니하다.
한편, 인자셔틀유니트와 거의 같은 중량으로 제작한 밸런스 셔틀유니트를 인자셔틀 유니트의 왕복운동으로 운동하여 그와 평행으로 또한 역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라인프린터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장치에 있어서는, 인자셔틀유니트의 왕복운동에 수반하여 기본프레임 등에 생기는 반력(反力)을 상쇄하여 진동의 발생을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구성에 있어서는, 인자셔틀유니트와 밸런스 셔틀유니트가 역방향에 평행으로 이동하면, 양자의 이동시의 우력(偶力)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발생한다. 이에 의하여 장치전체에 회전진동이 발생하여, 인자용지의 흔들림으로 인자품질이 나쁠 수가 있다.
이와같은 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개평 6-040108호에 이의 개량예가 제안되어져 있다. 제2도는 이 개량예에 있어서의 셔틀기구의 사시도, 제3도는 그의 측면단면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화살표부호는 중력방향을 나타낸다.
셔틀기구의 중앙부근에 배치된 셔틀축2에서는, 인자헤드11를 탑재한 인자셔틀프레임12가 접동자재로 감합(嵌合)하고 있다. 인자셔틀프레임12는, 기본프레임6상을 주행가능한 롤러13과 셔틀축2에 의하여 지지되어져 있다. 인자셔틀프레임12의 부착된 철판으로서되는 코일기본판14의 하면에는 복수의 코일16이 연이어 놓여져 있다.
인자셔틀유니트10은, 인자셔틀프레임12와, 이에 부착되어진 인자헤드11과 코일 기본판14와, 코일 16등이 일체로 되어 구성되어 있고, 셔틀축2에 따라 이동가능하다.
인자셔틀유니트10에 배열된 코일16에 대항하여, 기본프레임6에 고정된 철판으로 되는 요크(yoke)18상에, 코일 16와의 사이에 근소한 극간을 뚫어서 복수의 영구자석 15가 늘어 놓여져 있다. 이들의 영구자석15와 코일 16에 의하여, 인자셔틀유니트10 구동용의 선형모터가 구성되어져 있다. 이 선형모터에는, 영구자석15에 의한 자계중에 있는 코일 16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프레밍(framing)의 좌수의 법측에 의한 추력(推力)이 코일16에 발생하고, 이 코일16을 부착되어져 있는 인자셔틀유니트10이 셔틀축2에 따라 이동한다. 그리하여, 코일16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인자셔틀유니트10을 고속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셔틀축2과 평행으로 배치된 셔틀축3에는, 인자셔틀프레임12와 동일한 밸런스 셔틀프레임22가 접동자재케 감합되어져 있다. 밸런스셔틀프레임22는 기본프레임 6상을 주행 가능한 롤러 23과 셔틀축 3에 의하여 지지되어져 있다. 밸런스셔틀프레임22에는 추21이 탑재되고, 밸런스셔틀프레임22의 하부에 부착된 코일기본판24의 하면에는 코일 16과 동일한 복수의 코일 26이 연이어 놓여져 있다. 밸런스 셔틀유니트22에는 기본프레임6의 측방의 양측에 돌출하는 1쌍의 아암 29가 연결되어 있다. 그 아암 29의 선단은 인자셔틀유니트 10의 설치위치를 넘어서 반대측에 달하여 그 선단에 밸런스추 30이 부착되어져 있다. 밸런스추 30에는 기본 프레임 6위를 주행가능한 롤러 31이 부착되어져 있다. 밸런스셔틀유니트 20은 밸런스셔틀프레임 22와 이에 부착된 추 21과 코일 기본판 24와 코일 26과 아암 29와 그 선단에 부착된 밸런스추 30등이 일체로 되어 구성되어 있고, 셔틀축 3에 따라 이동가능하다.
밸런스셔틀유니트 20에 배열된 코일 26에 대향하여 요크 18과 동일한 요크 28위에 코일 26과의 사이에 근소한 극간을 뚫어서 영구자석 15와 동일한 복수의 영구자석 25가 연이어 놓여져 있다. 이들의 영구자석 25와 코일 26에 의하여 밸런스셔틀유니트 20 구동용의 선형모터가 구성되어져 있다. 이 밸런스 셔틀유니트 20 구동용의 선형모터는 인자셔틀유니트 10 구동용의 선형모터와 마찬가지로, 코일 26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밸런스셔틀유니트 20을 셔틀축 3에 따라 고속으로 왕복운동 시킬 수 있다.
밸런스셔틀유니트 20의 총 중량은 인자셔틀유니트 10의 총중량과 거의 같다. 또, 밸런스셔틀유니트 20이 셔틀축 3에 따라 이동할때의 밸런스셔틀유니트 20전체의 중심의 주행선이 인자셔틀유니트 10이 셔틀축 2에 따라 이동할때의 10 전체의 중심의 주행선과 거의 같은 위치가 되도록 밸런스셔틀유니트 20의 중량배분이 되어 있다. 또한, 제3의 도면부호 5는 용지 4를 셔틀기구(인자기구부)내에 송급하기 위한 가이드롤러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셔틀기구에 있어서, 인자셔틀유니트 10이 셔틀축 2에 따라 왕복운동하면 인자셔틀유니트 10과 거의 같은 중량의 밸런스셔틀유니트 20이 셔틀축 3에 따라 인자셔틀유니트 10과 역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연동하여 왕복운동한다. 따라서, 인자셔틀유니트 10의 왕복운동에 대하여 기본프레임 6에 생기는 반력은 밸런스셔틀유니트 20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쇄된다. 또, 이때 밸런스셔틀유니트 20의 중심이 인자셔틀유니트 10의 중심의 주행선상과 같은 선상을 움직이므로 양자의 왕복운동에 의한 회전모멘트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과, 장치 전체의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는 밸런스셔틀프레임 22에 가해서 아암 29와 밸런스추 30도 인자셔틀유니트 10과 연동하여 왕복운동을 행하므로 이들을 위하여 큰 실장범위가 필요하다. 따라서, 요구되는 장치의 소형화를 저해함과 동시에, 장치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 제2도, 제3도에 도시된 셔틀기구는 인자셔틀유니트 10과 밸런스셔틀유니트 20의 왕복운동에 수반한 우력에 의한 생기는 회전모멘트의 억제를 밸런스추 30을 설치하여 양 셔틀유니트 10,20의 중심의 주행선을 거의 동일하게 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따라서, 이 밸런스추 30과 이를 부착하는 아암 29에 대하는 밸런스셔틀유니트 20의 실장을 정도좋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 밸런스추 30은 인자셔틀유니트 10과 밸런스유니트 20과의 이간거리가 길수록 무거운 중량의 것이 필요하게 되고, 실장설계 보다 큰 제약을 받는다. 만약, 인자셔틀유니트 10과 밸런스셔틀유니트 20이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양 셔틀유니트 10,20의 중심위치가 거의 같은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회전모멘트는 발생하지 않고, 밸런스추 30을 설치하지 않아도 추 21만에 의한 밸런스셔틀유니트 20 본래의 밸런스 동작이 실현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실장상의 문제는 생기지 아니한다.
이로써, 양 셔틀유니트 10,20의 중심위치를 출래될 수 있는한 근접시키기 위한 실장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상술한 셔틀기구와 같이 밸런스셔틀유니트 20을 용지 주행역을 끼워 인자셔틀유니트 10과 반대측에 실장하는 방법으로 양 셔틀유니트 10,20간의 거리의 단축에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용지주행경로의 스페이스, 플라텐 롤(flaten roll) 등의 인자에 관계하는 기구 부품의 설치공간을 양 셔틀유니트 10,20 사이에 설치하지 않으면 아니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셔틀유니트 10,20의 중심위치를 될 수 있는 한 근접시키는 실장방법은 타당한 실장방법이라고 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된 것이고,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장치 전체의 진동을 억제됨은 물론이고, 더구나 셔틀기구의 소형화와 조작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는 밸런스셔틀유니트가 인자셔틀유니트에 있어서의 인자헤드의 반대측, 예를들면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인자셔틀유니트와 밸런스셔틀유니트와의 중심위치가 가까워지므로 우력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고, 종래예와 같은 밸런스추를 설치함이 없이 장치전체의 진동이 억제된다. 또, 이와같은 실장형태를 채용함으로써 양 셔틀유니트에 있어서의 자석등의 구성부품의 공통화의 가능성도 생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저감화와 셔틀기구의 소형화가 도모되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는 상기 인자셔틀유니트와 상기 밸런스셔틀유니트가 선대칭의 관계에 위치 결정되어 있고, 예를들면 선형모터의 원리를 이용한 왕복운동기구의 자석을 겸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따로 갖추고 있던 부품을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셔틀기구의 조작성, 조립성의 향상화가 도모되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는 상기 인자셔틀유니트와 상기 밸런스셔틀유니트를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겸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는 따로이 부착되어 있는 부품을 한번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케 되고, 구조적으로도 대폭으로 간소화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큰 추력을 얻을 수 있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는, 상기 인자셔틀유니트와/또는 상기 밸런스셔틀유니트가, 코일과 자석과의 복수조의 조합을 가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프린터장치의 안쪽, 방향을 확대함이 없이, 추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그 이상의 목적 및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나타난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이고, 제4도에 있어서, 제2도, 제3도와 동일번호를 명기한 부분은 동일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제4도에 있어서, 화살표부호는 중력방향을 나타낸다.
도면부호2는 인자되기 위하여 용지4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셔틀축이다. 셔틀축2에는 인자헤드11을 탑재한 인자셔틀프레임12가 접동자재케 감합되고, 인자셔틀12는 기본프레임6위를 주행가능한 롤러13과 셔틀축2로 지지되어 있다. 인자셔틀프레임12위 하부에 부착된 철판으로서 되는 코일 기본판14의 하면에는 복수의 코일16이 연이어 놓여져 있다. 인자셔틀유니트10은, 인자셔틀프레임12와, 이에 부착된 인자헤드11과 코일 기본판14와, 코일16등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셔틀축2에 따라 이동가능하다. 코일16에 대향하여, 기본프레임6에 고정된 철판으로서 되는 요크 18위에, 코일16과의 사이에 근소한 극간을 뚫어서 복수의 영구자석15가 연이어 놓여져 있다. 이들의 영구자석15와 코일16에 의하여, 인자셔틀유니트10 구동용의 선형모터가 구성되어 있다.
인자셔틀유니트10의 하측에는, 요크18의 하면을 대칭축으로서, 거의 선대칭의 위치에 이하에 기술하는 구성의 밸런스 셔틀유니트20이 설치되어 있다. 셔틀축2와 평행으로 배치된 셔틀축3에는 밸런스셔틀프레임22이 접동자재케 감합하고 있고, 밸런스셔틀프레임22는 기본프레임6상을 주행가능한 롤러23과 셔틀축3으로 지지되어 있다. 밸런스셔틀프레임22하면에는 추21이 부착되어, 밸런스셔틀프레임22의 상부에 부착된 철판으로서 되는 코일 기본판 24의 상면에는 복수의 코일26이 연이어 놓여져 있다. 밸런스셔틀유니트20은 밸런스셔틀프레임22과, 이에 부착된 추 21과 코일 기본판24와, 코일26등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셔틀축3에 따라 이동가능하다. 코일26에 대하여, 기본프레임6에 고정된 철판으로서 되는 요크28의 하면에, 코일26과의 사이에 근소한 극간을 뚫어서 복수의 영구자석 25이 연이어 놓여져 있다. 이들의 영구자석25과 코일26에 의하여, 밸런스셔틀유니트20 구동용의 선형모터가 구성되어 있다.
인자셔틀유니트10측의 요크18의 하면과 밸런스셔틀유니트20의 요크28의 상면과는 당접하고 있고, 그 당접면을 경계로 하여 양셔틀유니트 10,20이 설치되어 있다. 또, 밸런스셔틀유니트20의 총중량은 인자셔틀유니트10의 총중량과 거의 같다. 또한, 제4도의 도면부호 5는 용지4를 셔틀기구(인자기구부)내에 송급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셔틀기구에 있어서, 코일16, 코일26에 전류를 흘리면, 인자셔틀유니트10이 셔틀축2에 따라 왕복운동함과 동시에, 인자셔틀유니트10과 거의 같은 중량의 밸런스셔틀유니트20이 셔틀축3에 따라 인자셔틀유니트10과 역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연동하여 왕복운동한다. 따라서, 인자셔틀유니트10의 왕복운동에 대하여 기본프레임6에 생기는 반력은 밸런스셔틀유니트20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쇄된다. 또, 이때 양셔틀유니트10,20의 중심위치가 거의 같으므로, 양자의 왕복운동에 의한 회전모멘트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과, 장치전체의 진동이 억제된다. 또, 상기와 같은 실장형태로 함으로써, 셔틀구의 각 부품의 실장영역이 비교적 좁은 일정한 영역내에 한하므로, 셔틀기구를 콘팩트에 실장하는 것이 가능케되고, 장치의 보수성, 조립성도 향상되어, 셔틀기구전체의 유니트화도 가능케 된다.
실시예 2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이고, 제5도에 있어서, 제4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는, 상술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인자셔틀유니트10측의 요크18과 밸런스셔틀유니트20측의 요크28과를 공통화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기본프레임6에 고정된 1개의 요크38을, 영구자석 15,25의 공통 요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셔틀기구전체의 유니트와,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저감화와, 셔틀기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3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이고, 제6도에 있어서, 제4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은 상술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인자셔틀유니트10측의 영구자석15와 밸런스셔틀유니트20측의 영구자석25을 공통화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요크38을 제거하고, 기본프레임6에 고정된 1셋트의 영구자석35를 양 선형모터 기구공토의 영구자석으로서 설치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셔틀기구전체의 유니트화와,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의 한층더한 저감화와, 셔틀기구의 더욱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4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의 사시도이고, 제7도에 있어서, 제4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4는, 상술의 실시예 1,2 또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인자 셔틀유니트10과 밸런스셔틀유니트20의 셔틀축을 공통화한 구성예이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밸런스셔틀유니트20의 밸런스셔틀유니트22에 아암52를 설치하여, 그 아암 52를 인자셔틀유니트10의 셔틀축2에 감합시켜져 있다. 이에 의하면, 밸런스셔틀유니트20의 왕복운동의 가이드로 되어 있던 셔틀축3을 삭제하고, 그 기능을 셔틀축2에 가지게 하고 있다. 더욱이, 아암 52를 설치하지 않고, 밸런스셔틀프레임22자체의 형태를 아암상으로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셔틀기구전체의 유니트화와,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의 저감화와, 셔틀기구의 작품성, 조리성의 향상화와, 셔틀기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5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이고, 제8도에 있어서, 제4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셔틀기구에 있어서의 추력의 증강방법으로서는, 통상, 선형모터기구에 있어서의 영구자석, 코일의 단면적을 크게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용지의 폭방향(프린터의 폭방향)에의 확대는, 인자헤드의 왕복 이동량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인자셔틀유니트10의 영구자석45와 코일46과의 용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프린터의 안쪽 방향)으로 확대하여져 있다. 그리하여 제4도에 도시된 요크18,28로 바꾸어서 이들을 안쪽 방향으로 확대한 요크 181,281을 설치되어 있다. 밸런스 셔틀유니트20도 안쪽 방향으로 확대한 영구자석65와 코일66을 갖춘다. 그러나 이 경우는 셔틀기구가 실장상의 문제만이 아니고, 프린터의 안쪽방향의 확대에 수반한 조작성의 저하라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 6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한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이고, 제9도에 있어서, 제4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는, 인자셔틀유니트10의 코일을 복수개(도면에 도시된 예로는 56a, 56b의 2개)로 분할하고, 이웃하는 코일의 사이에 영구자석(도면에 도시된 예에는 55의 1개)을 끼워넣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밸런스셔틀유니트20측에 있어서도, 전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코일을 복수개(도면에 도시된 예에는 76a, 76b의 2개)로 분할하고, 이웃하는 코일의 사이에 영구자석(도면에 도시된 도에는 75의 1개)를 끼워넣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하여 인자셔틀유니트10과 밸런스셔틀유니트20와의 사이에는 제4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요크182,282를 갖춘다. 이와같은 구성함으로써, 소형은 셔틀기구에서 큰 추력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7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이고, 제10도에 있어서, 제9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로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구성의 인자셔틀유니트10와 밸런스셔틀유니트20와의 사이에, 제5도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의 기본프레임6에 고정된 1개의 요크381개를, 공통요크로서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6의 추력증대의 효과와 실시예 2의 부품수 삭감과 소형화의 효과를 얻게 된다.
실시예 8
제11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의한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의 측면단면도이고, 제11도에 있어서, 제9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의 인자셔틀유니트10과 밸런스 셔틀유니트20과의 사이에, 제6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기본프레임6에 고정된 영구자석351을, 공통의 영구자석으로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로는 실시예 6의 추력증대의 효과와 실시예 3의 부품수 삭감과 소형화의 효과를 얻게 된다.
더욱이, 상술과 같은 복수조의 코일과 영구자석과를 갖춘 구성은 인자셔틀유니트10 또는 밸런스셔틀유니트20의 어느것에 적용하더라도 좋다. 또 코일과 영구자석과의 실장방향은 도표와 같은 수평상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코일과 영구자석과를 수직방향으로 실장하도록 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는 인자셔틀기구와 밸런스셔틀유니트를 분리 구성한 프린터의 셔틀기구에 있어서, 인자셔틀유니트의 하측에 밸런스셔틀유니트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인자헤드의 왕복운동에 수반한 장치전체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또 종래예와 같은 밸런스추를 설치하지 않아도 회전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실장범위를 좁게할 수 있어 구조의 소형화, 비용의 저감화가 실현가능케 되고, 더욱이 장치의 조작성, 신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필수 특징의 정신에서 벗어남이 없이 몇가지 형태로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발명의 범위가 발명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므로, 청구범위의 경계와 한계내에 있는 모든 변경 또는 이러한 경계와 한계의 동등물은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될 수가 있다.

Claims (8)

  1. 인자헤드가 그 일측에 부착되는 인자셔틀유니트, 인자되는 종이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부재, 상기 인자셔틀유니트를 그 가이드부재에 따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왕복운동기구, 상기 인자셔틀유니트의 밸런서인 밸런스 셔틀유니트, 인자되는 종이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다른 가이드 부재, 및 그 밸런스셔틀유니트를 상기 인자셔틀유니트와 항시 역방향으로 다른 가이드 부재에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 운동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밸런스셔틀유니트가, 상기 인자셔틀유니트의 타측에 배치되는 프린터 장치의 셔틀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셔틀유니트가 상기 인자셔틀유니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프린터 장치의 셔틀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셔틀유니트의 구성부품과 상기 밸런스셔틀유니트의 구성부품과는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 결정되는 프린터 장치의 셔틀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셔틀유니트와 상기 밸런스셔틀유니트를 각각에 왕복운동시키는 각 왕복운동기구가, 자석과 코일을 사용한 선형모터의 원리를 이용하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셔틀유니트와 상기 밸런스셔틀유니트를 각각에 왕복운동시키는 각 왕복운동기구가, 자석을 겸용하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셔틀유니트와 상기 밸런스셔틀유니트가 그에 따라 왕복운동시켜지는 가이드부재를 겸용하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셔틀유니트와 상기 밸런스셔틀유니트가 그에 따라 왕복운동시켜지는 가이드부재를 겸용하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셔틀유니트와 상기 밸런스셔틀유니트가 그에 따라 왕복운동시켜지는 가이드부재를 겸용하는 프린터장치의 셔틀기구.
KR1019940011801A 1993-09-20 1994-05-28 프린터 장치의 셔틀기구 KR0133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33823A JP2691506B2 (ja) 1993-09-20 1993-09-20 プリンタ装置のシャトル機構
JP93-233823 1993-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151A KR950008151A (ko) 1995-04-17
KR0133635B1 true KR0133635B1 (ko) 1998-04-23

Family

ID=1696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801A KR0133635B1 (ko) 1993-09-20 1994-05-28 프린터 장치의 셔틀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60723A (ko)
JP (1) JP2691506B2 (ko)
KR (1) KR0133635B1 (ko)
DE (1) DE441845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4185A1 (de) * 1996-04-12 1997-10-16 Laser Sorter Gmbh Vorrichtung zur Markierung von schnell bewegten bahnförmigen Materiali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9289A (en) * 1979-11-20 1982-11-16 Printronix, Inc. Counterbalanced bidirectional shuttle drive having linear motor
JPS57169367A (en) * 1981-04-13 1982-10-19 Hitachi Koki Co Ltd Dot printer
JPH0641211B2 (ja) * 1985-01-22 1994-06-01 富士通株式会社 シヤトル型ラインプリンタ装置
JPH0339276A (ja) * 1989-07-07 1991-02-20 Nec Corp シリアルプリンタのキャリア横送機構
JPH03256772A (ja) * 1990-03-06 1991-11-15 Minoru Tanabe シリアルプリンターの制震構造
JPH0494664U (ko) * 1991-01-08 1992-08-17
US5338121A (en) * 1992-07-24 1994-08-16 Fujitsu Limited Shuttle apparatus for printer
JPH0640108A (ja) * 1992-07-24 1994-02-15 Fujitsu Ltd プリンタのシャト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60723A (en) 1996-10-01
JPH0781169A (ja) 1995-03-28
JP2691506B2 (ja) 1997-12-17
DE4418451A1 (de) 1995-03-23
DE4418451C2 (de) 1997-04-30
KR950008151A (ko) 199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357B1 (ko) 무빙 마그넷형 리니어 슬라이더
US4359289A (en) Counterbalanced bidirectional shuttle drive having linear motor
CA1256520A (en) Data converter pickup carriage assembly
US5338121A (en) Shuttle apparatus for printer
EP0357251A2 (en) High speed shuttle printer
CA1139152A (en) Counterbalanced bidirectional shuttle drive
EP1674281B1 (en) Printer with reciprocating carriage and two-stage frame structure
KR0133635B1 (ko) 프린터 장치의 셔틀기구
US4599007A (en) Reciprocating drive mechanism
JP2005245066A (ja) ムービングマグネット形リニアモータ
US5544964A (en) Dot line printer having a balance shuttle
JPH0261909B2 (ko)
JPH04232758A (ja) ドットマトリクスプリンタヘッド
JP3473793B2 (ja)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のシャトル機構
JPH07107728A (ja) リニア直流モータ及びxyテーブル装置
US4675764A (en) Drive mechanism for a magnetic head carriage assembly
JPS6294349A (ja) 印刷機構
JPS61169257A (ja) シヤトル型ラインプリンタ装置
JPH03112355A (ja) キャリッジ駆動装置
JPS585077A (ja) キヤリツジ走査機構
JP3763332B2 (ja) ハンマ機構部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印字装置
JPH0640108A (ja) プリンタのシャトル装置
JPS62179952A (ja) ラインプリンタ用シヤトル装置
JPS5980145A (ja) 往復直進装置
JPH08290592A (ja) ドット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