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403B1 -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403B1
KR0132403B1 KR1019930016486A KR930016486A KR0132403B1 KR 0132403 B1 KR0132403 B1 KR 0132403B1 KR 1019930016486 A KR1019930016486 A KR 1019930016486A KR 930016486 A KR930016486 A KR 930016486A KR 0132403 B1 KR0132403 B1 KR 0132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isplay
storage means
mon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457A (ko
Inventor
겐지 지다
히로유끼 요시노
쥰 오오시마
요시유끼 무라다
미마사히도 아리이즈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이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424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81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61248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820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이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94000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장치는 눈, 눈썹, 코, 두발, 얼굴의 윤곽 등 얼굴부위의 화상데이터를 ROM(33)에 다수 기억시켜 주고, 사용자가 키 입력부(32)의 키 조작에 의해 임의의 화상데이터를 ROM(33)에서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합성하여 몽타주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작성된 몽타주 데이터는 표시부(24)에 표시시킴과 동시에 RAM(36)에 순차 기억시킬 수 있고, 그 기억된 몽타주 데이터를 타인이 볼수 없는 기밀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기밀데이터로 설정된 몽타주 데이터는 표시부(24)에는 기밀상태에서 표시되고, 패스워드기억부(39)에 미리 기억된 패스워드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에만 기밀의 표시상태에서 몽타주의 표시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표시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장치는 내장한 전자수첩의 외관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 2 도는 상기 전자수첩의 전자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 3 도는 상기 제 2 도의 기본 부위패턴 ROM에 있어서 기본 부위패턴이 데이터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4 도는 상기 기본 부위패턴 ROM에 있어서 다른 기본 부위패턴의 데이터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5 도는 상기 기본부위패턴 ROM에 있어서 또 다른 기본 부위패턴의 데이터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6 도는 상기 제 2 도의 몽타주 RAM에 등록된 각 기본 부위패턴번호의 데이터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7 도는 상기 제 2 도의 실루엣 RAM에 있어서 실루엣 패턴의 데이터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8 도는 상기 제 2 도의 개인 데이터 RAM에 있어서 개인정보의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9 도는 상기 몽타주 작성과 실루엣표시의 처리를 도시하는 로챠트.
제 10 도는 상기 정면의 몽타주 작성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11 도는 측면의 몽타주 작성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12 도는 몽타주 작성처리에 따르는 화상 데이터의 합성표시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13 도는 작성한 몽타주를 실루엣 표시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14A 도 내지 제 14D 도는 몽타주 및 그 실루엣의 표시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15 도는 상기 전자수첩의 개인 데이터의 입력등록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16 도는 상기 전자수첩의 개인 데이터의 검색 및 표시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17A 도 내지 제17B도는 상기 전자수첩의 개인 데이터의 검색 및 표시처리에 따르는 개인정보의 표시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8도는 상기 전자수첩의 실루엣 게임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19A도 내지 제19C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키입력과 표시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부위패턴 ROM의 데이터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21A도 내지 제21D도는 제20도에 도시한 ROM을 이용하여 몽타주를 표시시킨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 표시부32 : 키 입력부
33 : ROM36 : RAM
39 : 패스워드 기억부
본 발명은 메모리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를 광학적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눈, 코, 입, 두발형, 얼굴의 윤곽등, 얼굴 각 부분의 화상데이터를 조합시켜서 특정인의 몽타주를 작성하고, 작성한 화상데이터를 메모리에 기억시켜둠과 동시에 임의로 판독하여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몽타주 작성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장치는 예를들면 가끔 만나는 사람의 얼굴을 생각해 내거나 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만 단지 작성한 몽타주를 기억 표시시킬 뿐이므로 타인에게 알리고 싶지 않은 몽타주를 작성한 경우에도 그 비밀성을 유지할 수 없었다. 또, 자신, 가족, 친구 등의 몽타주를 작성하는 것을 즐겁다고 하는 유희성이 있지만 어느 정도 닮은 몽타주를 작성할 수 있는가라는 정도의 유희성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희성이 높은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데이터 기억수단과, 이 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를 적어도 화상데이터의 일부를 마스크하여 표시하는 제 1 표시수단과, 미리 정해진 키입력이 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이 이루어졌을 때에 상기 마스크를 제외하고 상기 화상데이터를 표시하는 제 2 표시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했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를 탑재한 전자기기, 예를들면 전자수첩의 외관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수첩이란 개인별 혹은 회사별 등과 같은 각 항목마다에 그 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각각 메모리에 기억시킬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 기억시킨 데이터를 항목마다에 선택적으로 표시시킬 수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기기를 말한다.
전자수첩 본체(11)는 좌우로 여는 수첩식의 틀체를 갖고 있고, 좌조작면(12a)에는 전원의 ON, OFF를 실시하는 「ON」키(13a), 「OFF」키(13b) 외에 몽타주 작성모드를 설정할 때에 조작되는 「몽타주작성」키(14), 상기 몽타주 작성모드에 있어서 얼굴의 측면의 몽타주를 작성할 때에 조작되는 「측면」키(15), 얼굴의 정면 몽타주 작성시에 미리 기억된 기본 몽타주를 선택하기 위한 기본 몽타주 선택키 「△,▽」(16a, 16b), 정면 혹은 측면의 몽타주 작성시에 변경대상이 되는 부위, 즉 눈, 코, 입, 얼굴의 윤곽등의 부위를 지정하기 위한 부위지정키(17a,17b), 상기 변경대상으로서 지정된 변경부위의 부위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패턴선택기(18a, 18b), 후술하는 실루엣 작성모드를 설정할 때에 조작되는「실루엣 작성」키(19), 개인데이터 등의 데이터 입력모드를 정할 때에 조작되는「데이터 입력」키(20), 상기 데이터 입력모드에 있어서 개인데이터에 관한 몽타주를 사용자 이외에 기밀설정할 때에 조작되는「기밀」키(20a), 상기 작성모드 및 데이터 입력모드의 각각에 있어서, 작성 혹은 입력된 몽타주 데이터, 개인데이터 등을 보존 등록할 때에 조작되는「등록」키(21), 데이터 검색모드를 설정할 때에 조작되는「검색」키(22), 실루엣 게임 모드를 설정할 때에 조작되는「실루엣 게임」키(23)가 설치된다.
또, 상기 전자수첩본체(11)의 좌조작면(12a)에는 액정 도트 매트릭스 표시부(24)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전자수첩본체(11)의 우조작면(12b)에는 수치입력을 실시할 때에 조작되는 텐 수치키(25), 연잔자키(26), 그리고 각종 데이터입력용 알파벳키「A~Z」(27)가 설치된다.
제 2 도는 상기 전자수첩의 전자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CPU(중앙처리장치)(31)는 입력부(32), 즉 상기 전자수첩본체(11)의 좌우조작면(12a,12b)에 설치된 각종 키에서 공급되는 키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회로 각부의 동작제어를 실시하는 것으로, CPU(31)에는 상기 입력부(32) 외에 기본 부위패턴 ROM(리드·온·메모리)(33), 몽타주 RAM(랜덤·억세스·메모리)(34), 실루엣 RAM(35), 개인데이터 RAM(36), 합성 RAM(37), 난수발생회로(38), 패스워드 기억부(39) 및 표시구동회로(40)를 통하여 상기 액정도트 매트릭스 표시부(24)가 접속된다.
제 3 도는 상기 기본부위패턴 ROM(33)에 있어서 정면 몽타주용 기본부위패턴의 호상데이터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정면 몽타주용 기본부위패턴으로서는 전면 몽타주를 구성하는 각부가 인간, 동물, 우주인 등의 생명체의 얼굴윤곽, 두발형, 눈, 코, 입, 목과 어깨의 부위로 분류되고, 각 부위마다에 각각 다른 20종류이 부위패턴의 화상데이터가 모두 비트 맵 데이터(bit map data)로서 소정의기억위치(No.1~No.20)에 번호가 붙어져 기억된다.
제 4 도는 상기 기본부위패턴 ROM(33)에 있어서 측면용 기본부위패턴의 화상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측면 몽타주용 기본부위패턴으로서는 측면 몽타주를 구성하는 각부가 윤곽, 두발형, 눈, 목과 어깨의 부위로 분류되고, 각 부위마다에 다종류의 측면 부위패턴의 화상데이터가 모두 비트 맵 데이터로서 소정의 기억위치(No.1a, No.1b, …)에 번호 붙여져 기억되는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정면부위패턴에 있어서, 윤곽, 두발형, 눈, 목과 어깨의 각각이 부위패턴에 대응하여 예상되는 윤곽, 두발형, 눈, 목과 어깨 각각의 측면부위패턴이 다종류 예를 들면, 부위패턴의 윤곽의 「No.1」에 대응하는 측면패턴으로서「No.1a, No.1b, …」가 미리 준비된다.
제 5 도는 상기 기본부위패턴 ROM(33)에 있어서 전신 몽타주용 부위패턴의 화상데이터의 격압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전신 몽타주용의 기본부위패턴으로서는 전신몽타주를 구성하는 각부가 얼굴, 몽통부, 양손, 양발의 부위로 분류되고, 각 부위마다에 다조유의 부위패턴의 화상데이터가 모드 비트 맵 데이터로서 소정의 기억위치(No.1, No.2, …)에 번호가 붙여져서 기억된다.
이 경우, 도시하지는 않지만 상기 전신 몽타주용의 기본부위패턴에 대해서도 측면용 기본부위패턴이 구비된다.
즉, 상기 기본부위패턴 ROM(33)에 있어서, 정면몽타주용 기본부위패턴 No.1~No.20의 각각에 있어서, 그 각 부위(윤곽, 두발형, 눈, 코, 입, 목과 어깨)의 패턴을 조합시키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20 종류의 기본정면 몽타주가 얻어지게 된다.
또, 상기 정면몽타주를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윤곽, 두발형, 눈, 목과 어깨)에 대응하여 측면몽타주용 기본부위패턴을 선택적으로 조합시키는 것으로 해당 정면몽타주에 대응한 측면몽타주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기본부위패턴 ROM(33)에 있어서 전신몽타주용 기본부위패턴 No.1, No.1, …의 각각에 있어서, 그 각 부위(얼굴, 몸통체, 양손, 양발)의 패턴을 조합시키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다종류의 기본 전신몽타주가 얻어지게 된다.
제 6 도는 상기 몽타주 RAM(34)에 등록된 정면 및 그 측면 몽타주를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번호의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몽타주 RAM(34)의 정면몽타주를 구성하는 각 부위(윤곽, 두발형, 코, 눈, 입, 목과 어깨) 각각의 패턴번호가 기억된다.
즉, 예를들면 상기 정면몽타주 데이터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정면 몽타주는 윤곽패턴이 기본부위패턴 ROM(33)에 있어서 정면 몽타주용의「No.1」, 두발형 패턴이 ROM(33)에 있어서 정면용의 「No.2」, 코패턴이 이 ROM(33)이 있어서 정면용「No.2」, 눈패턴이 이 ROM(33)에 있어서 정면용「No.1」, 입패턴이 이 ROM(33)에 있어서, 정면용의「No.1」, 목과 어깨패턴이 이 ROM(33)에 있어서 정면용의「No.1」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게 된다.
또, 상기 몽타주 RAM(34)의 측면몽타주 데이터로서는 정면몽타주에 대응하는 측면몽타주의 작성시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측면몽타주를 구성하는 각 부위(윤곽, 두발형, 눈, 목과 어깨) 각각의 패턴번호가 기억된다.
즉, 예를 들면 상기 측면몽타주 데이터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측면몽타주는 윤곽패턴이 기본부위패턴 ROM(33)에 있어서 측면몽타주용의「No.1a」, 두발형패턴이 이 ROM(33)에 있어서 측면용의「No.1b」, 눈패턴이 이 ROM(33)에 있어서 측면용의「No.1a」, 목과 어깨패턴이 이 ROM(33)에 있어서 측면용의「No.1a」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게 된다.
제 7 도는 실루엣 RAM(35)에 있어서 실루엣 패턴의 화상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실루엣 RAM(35)에서는 상기 정면몽타주 혹은 측면몽타주에 따라 그 몽타주를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중 윤곽패턴, 두발형패턴, 목과 어깨패턴이 주어지면, 그 각각의 패턴이 마스트처리되어 실루엣 패턴으로서 변환기억된다. 즉, 이 실루엣패턴은 각 패턴의 내부의 도트를 모두 점등하므로서 실루엣 화상데이터를 얻고 있는 것이다.
제 8 도는 상기 개인데이터 RAM(36)에 있어서 개인정보의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개인데이터 RAM(36)에는 성명, 주소, 전화번호 등으로 구성되는 개인의 특징 데이터가 인물의 몽타주 데이터와 함께, 예를들면 50인분 기억되는 것으로, 이 경우, 몽타주 데이터는 제 8 도에서는 몽타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상기 기본부위패턴 ROM(33)에 기억된 각 부위패턴을 도시하는 번호 데이터로 기억되고, 이 몽타주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 실루엣 표시의 유무 1 0을 설정하는 실루엣 플래그(F)가 부가된다.
즉, 상기 개인데이터 RAM(36)에 있어서 개인 정보 각각의 몽타주 데이터는 그 개인의 몽타주를 구성하는 각 부위마다 부위패턴번호와 실루엣 플래그(F)로 구성되어 있다.
합성 RAM(37)은 합성된 몽타주의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즉, 상기 몽타주 RAM(34)이나 개인데이터 RAM(36)에 격납된 몽타주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부위마다의 패턴번호에 의해 상기 기본부위패턴 ROM(33)에서 패턴번호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판독된 각 부위패턴이 화상데이터가 합성되어 합성 RAM(37)에 기억된다. 또, 합성 RAM(37)에는 상기 실루엣 RAM(35)에 기억된 각 실루엣 패턴의 합성된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으로 이 합성 RAM(37)에 있어서, 각 부위패턴의 합성에 의해 얻어진 몽타주 혹은 각 실루엣 패턴의 합성에 의해 얻어진 몽타주의 실루엣은 상기 표시 구동회로(40)를 통하여 액정 도트 매트릭스 표시부(24)에 표시된다.
난수발생회로(38)는 상기 개인 데이터 RAM(36)에 있어서, 개인정보의 등록번호(1~50)를 무작위로 발생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실루엣 게임 모드의 설정시에 있어서, 이 난수발생회로(38)에 의해 발생된 난수치에 따라 상기 개인 데이터 RAM(36)에 기억된 개인 몽타주 데이터가 판독된다.
상기 패스워드기억부(39)에는 사용자 고유이 패스워드가 사용자에 의해 세트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개인데이터의 검색모드에 있어서, 그 검색에 관한 몽타주가 실루엣 표시되었을 때에 그 사용자 패스워드에 대하여 키입력 데이터가 일치한 경우에는 상기 실루엣표시는 해제되고 그 검색에 관한 개인데이터 및 그 몽타주가 표시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전자수첩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9 도는 상기 전자수첩에 있어서 몽타주 작성 및 실루엣표시의 기본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이다.
즉, 스텝 T1의 몽타주작성 등록처리에 있어서 원하는 몽타주를 작성한 후에 스텝 T2의 실루엣 변환표시처리에 있어서, 상기 작성된 몽타주를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을 실루엣 패턴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것이 실시된다.
제10도는 상기 스텝 T1의 작성 등록처리의 플로챠트를 도시하고 정면몽타주작성의 플로챠트이다.
또, 제11도는 스텝 T1의 몽타주작성 등록처리의 측면몽타주작성의 플로챠트이다.
제10도에 있어서, 제 1 도의「몽타주작성」키(14)를 조작하면 CPU(31)가 몽타주작성모드에 설정된다(스텝 S1).
여기에서 우선, 기본부위패턴 ROM(33)의 정면용 부위패턴(제 3 도 참조)에 대하여 제 1의 기본정면몽타주를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No.1」이 지지설정됨과 동시에 패턴변경의 대상부위로서 제1부위(이 경우, 윤곽)가 설정된다(스텝 S2).
그러면, 상기 제 1의 기본정면 몽타주로서 설정된 상기 기본부위패턴 ROM(33)의 정면 부위패턴(제 3)에 있어서, 각 부위패턴「No.1」의 화상데이터가 판독되고 RAM(37)에 전송되어 합성되고, 표시부(24)에 제 1 기본정면몽타주로서 표시된다(스텝 S3, S4).
제12도는 상기 스텝 S3의 처리를 도시하고, 기본부위패턴 ROM(33)에 대해 몽타주를 작성할 각 부위의 패턴번호가 지정되면 그 패턴번호에 대응한 화상데이터가 기본부위패턴 ROM(33)에서 판독되어 합성 RAM(37)에 전송된다(제12도의 스텝 A1~A5).
이 경우, 합성 RAM(31)에서 제 1의 기본정면 몽타주를 구성하는 정면용 각 부위패턴이 합성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우선 각 정면 부위패턴 모두「No.1」의 부위패턴으로 구성된 제 1 기본정면 몽타주가 표시부(24)에 표시된다(제12도의 스텝 A6).
다음에 제10도의 스텝 S5에 있어서, 입력부(35)에서 기본몽타주 선택키(16a)가 조작되면 기본부위패턴 ROM(33)의 정면용(제 3 도 참조)에 대한 기본정면 몽타주를 지시하는 각 부위패턴번호가 각각「No.1」에서 「No.2」로 변경된다(스텝 S5, S6).
이 경우, 상기 기본정면몽타주로서 지정된 각 부위의 부위패턴을 도시하는 번호「No.2」에 따라 기본 부위패턴 ROM(33)의 정면용(제 3 도 참조)에 기억된 각 부위패턴(이 경우, 모드「No.2」)의 판독 및 합성 RAM(37)에 대한 패턴전송 합성처리가 실행되고, 이 몽타주의 경우, 윤곽패턴에서 목과 어깨 패턴까지 모두「No.2」에 상당하는 부위패턴으로 구성된 제 2의 기본정면 몽타주가 표시부(24)에 표시된다(스텝 S3, S4).
즉, 입력부(32)에 있어서, 기본몽타주 선택키「▽,△」(16a,16b)를 조작하면 상기 스텝 S3~S6의 처리가 반복되고, 기본부위패턴 ROM(33)에 미리「No.1」~「No.20」으로서 기억된 20 종류의 기본정면 몽타주가 순차변경합성되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면몽타주에 가까운 기본정면 몽타주를 미리 선택하여 표시부(24)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입력부(32)에 있어서, 부위지정키(17a,17b)를 조작하면, 패턴변경의 대상부위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으로 예를들면 상기 스텝 S3~S6의 처리에 의해 표시부(24)에 미리 원하는 정면 몽타주에 가까운 몽타주로서 선택표시된 기본정면 몽타주중, 어느 특정의 부위(예를들면 윤곽)를 다른 부위(예를 들면 두발형)로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부위지정키(17a,17b)를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변경대상부위를 변경시킨다(스텝 S7, S8).
그리고, 그후, 패턴선택키(18a,18b)를 조작하면 상기 변경대상부위로서 지시되어 있는 부위중의 기본부위패턴 ROM(33)내의 대응하는 정면용 부위의 부위패턴이 변경선택되고, 이 변경선택된 부위패턴이 이 기본부위패턴 ROM(33)의 정면용(제 3 도 참조)에서 판독되어 합성 RAM(37)에 전송되고, 표시부(24)에 교체표시된다(스텝 S9, S10→S3, S4).
이에 의해 사용자는 표시부(24)에 미리 선택표시시킨 기본저면 몽타주중, 원하는 정면 몽타주의 부위와 다른 부위부분에 대해서만 임의로 다른 부위패턴을 선택하여 변경표시시킨다.
여기에서 다시 다른 부위부분에 대하여 부위패턴변경을 실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부위지정키「↑,↓」(17a,17b)를 조작하여 변경대상부위를 변경시킨 후, 상기 패턴선택키(18a, 18b)를 조작하여 기본부위패턴 ROM(33)에 대한 정면용 임의의 부위영역의 부위패턴번호를 변경시키는 것으로 합성표시된 기본 몽타주의 모든 부위와 임의의 부위패턴으로 선택적으로 변경되고, 원하는 정면몽타주가 작성된다(스텝 S7~S10→S3,S4).
그리고, 정면몽타주를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으로서 예를들면 윤곽패턴「No.1」, 두발형패턴「No.2」, 눈패턴「No.2」, 코패턴「No.1」, 입패턴「No.1」, 목과 어깨패턴「No.1」이 선택합성되고, 제14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정면몽타주가 얻어진 경우에는 입력부(32)의 「등록」키(21)를 조작하는 것으로 정면몽타주의 합성처리가 완료되고, 합성 RAM(37)으로 합성유지되어 있는 정면몽타주에 대응하는 각 부위패턴번호가 정면몽타주데이터로서 RAM(34)(제 6 도 참조)내에 보존등록되게 된다(스텝 S4→S11, S12).
한편, 상기 정면몽타주에 대응하는 측면몽타주를 작성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텝 S13에서「측면」키(15)를 조작하여 측면몽타주의 작성모드를 설정한다. 다음의 스텝 S14에서는 상기 스텝 S3~S12에 있어서 정면몽타주의 선택등록처리에 의해 상기 몽타주 RAM(34)(제 6 도 참조)에 대하여 이미 작성등록된 정면몽타주를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번호에 대응하여 기본부위패턴 ROM(33)에 있어서 측면용(제 4 도 참조)의 기본부위패턴이 설정된다(스텝 S13,S14).
그러면 상기 스텝 S14에 있어서 정면몽타주에 대응하는 기본측면몽타주로서 설정된 상기 기본부위패턴 ROM(33)의 측면용 부위패턴(제 4 도 참조)에 있어서 각 부위패턴「No,…a」이 판독되고 합성 RAM(37)에 전송되어 합성되고, 표시부(24)에 기본측면몽타주로서 표시되는「스텝 S15, S16(제12도의 스텝 A1~A6)」.
그리고, 상기 정면몽타주의 작성시와 마찬가지로 부위지정키(17a, 17b)에 의한 변경대상부위의 지정조작 및 패턴선택키(18a,18b)에 의한 부위패턴의 선택조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원하는 측면몽타주에 대응하는 각 부위패턴이 기본부위패턴 ROM(33)의 측면용(제 4 도 참조)에서 판독되어 합성 RAM(37)에 전송되어 표시부(24)에 표시된다(스텝 S17~S20→S15,S16).
그리고, 상기 정면몽타주의 작성시와 마찬가지로 부위지정키(17a,17b)에 의한 변경대상부위의 지정조작 및 패턴선택키(18a,18b)에 의한 부위패턴의 선택조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원하는 측면몽타주에 대응하는 각 부위패턴이 기본부위패턴 ROM(33)의 측면용(제 4 도 참조)에서 판독되어 합성 RAM(37)에 전송되어 표시부(24)에 표시된다(스텝 S17~S20→S15,S16).
이렇게 하여 측면몽타주를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으로서 예를들면 윤곽패턴「No1a」, 두별형 패턴「No.2b」,눈패턴「No.2a」, 목과 어깨패턴「No.1a」가 선택합성되고, 제14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측면몽타주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입력부(32)의 「등록」키(21)를 조작하는 것으로, 측면몽타주의 합성처리가 완료되고, 합성 RAM(37)으로 합성유지되어 있는 측면몽타주에 대응하는 각 부위패턴번호가 측면몽타주데이터로서 몽타주 RAM(34)(제 6 도 참조)내에 보존등록되게 된다(스텝 S16→S21,S22).
제13도는 실루엣 변환표시처리의 상세한 플로챠트이다. 예를들면 상기 스텝 S1~S12(제10도 참조)에 있어서, 정면몽타주 작성처리에 의해 작성된 정면몽타주에 대응하는 실루엣을 작성하고 싶은 경우에는 입력부(32)에 있어서「실루엣작성」키(19)를 조작하면 CPU(31)가 실루엣 작성모드로 설정된다(스텝 B1).
그러면, 몽타주 RAM(34)(제 6 도 참조)에 이미 등록되어있는 정면몽타주데이터의 윤곽패턴번호에 대응하는 윤곽부위패턴「No.1」이 기본부위패턴 ROM(33)에서 판독되고, 실루엣 RAM(35)(제 7 도 참조)내에서 정면윤곽영역(70a)에 격납된다(스텝 B2,B3).
여기에서 상기 실루엣 RAM(35)의 정면윤곽영역(70a)에 격납된 정면몽타주의 윤곽패턴은 CPU(31)에 판독되고, 이 윤곽내 데이터의 0→1 반전처리에 의해 실루엣 패턴으로 변환되고, 다시 실루엣 RAM(35)(제 7 도 참조)내에서 실루엣작성된 정면윤곽영역(70b)에 격납된다(스텝 B4).
계속해서 상기 몽타주 RAM(34)(34)(제 6 도 참조)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정면몽타주데이터의 목과 어깨패턴번호에 대응하는 목과 어깨 부위패턴「No.1」이 기본부위패턴 ROM(33)에서 판독되고, 실루엣 RAM(35)(제 7 도 참조)내에서 정면 목과 어깨영역(72a)에 격납된다(스텝 B5,B6).
여기에서 상기 실루엣 RAM(35)의 정면 목과 어깨영역(72a)에 격납된 정면몽타주의 목과 어깨패턴은 CPU(31)에 판독되고, 이 목과 어깨내 데이터의 0→1 반전처리에 의해 실루엣 패턴으로 변환되고, 다시 실루엣 RAM(35)(제 7 도 참조)내에서 실루엣작성된 정면 목과 어깨(72b)에 격납된다(스텝 B7).
또, 상기 몽타주 RAM(34)(제 6 도 참조)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정면몽타주데이터의 두발형 패턴번호에 대응하는 두발형 부위패턴「No.2」이 기본부위패턴 ROM(33)에서 판독되고, 실루엣 RAM(35)(제 7 도 참조)내에서 정면두발형영역(71a)에 격납됨과 동시에 이 두발형 부위패턴은 그대로 실루엣 작성된 정면두발형영역(71a)에도 격납된다(스텝 B8, B9).
그러면 상기 실루엣 RAM(35)에 있어서 실루엣작성된 각 부위영역(70b,71b,72b)에 격납된 각각의 실루엣패턴이 CPU(31)에 판독됨과 동시에 합성 RAM(37)에 전송되어 합성되고, 예를들면 제14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정면몽타주의 작성모드에 있어서 얻어진 정면몽타주에 대응하는 실루엣으로서 표시된다(스텝 B10, B11).
이 경우, 상기 스텝 B1~B11의 처리를 거쳐서 작성표시된 실루엣패턴은 상기 실루엣 RAM(35)내의 각 실루엣작성된 정면부위영역(70b,71b,72b)에 그대로 보존등록된다(스텝 B12).
한편, 상기 스텝 S13~S22(제11도 참조)에 있어서 측면몽타주 작성처리에 의해 작성된 측면몽타주에 대응하는 실루엣을 작성하고 싶은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실루엣 변환표시처리(제13도 참조)를 실시하는 것으로, 순차 각 측면부위영역(70c,71c,72c)에 격납되어있는 측면몽타주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부위마다의 실루엣패턴데이터가 변환적성되고, 예를들면 제14D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됨과 동시에 상기 실루엣 RAM(35)(제 7 도 참조)내의 각 실루엣 작성된 측면부위영역(70d, 71d, 72d)에 보존등록된다.
제15도는 상기 전자수첩의 특징 데이터 등의 데이터입력등록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이다.
즉, 개인데이터 RAM(36)(제 8 도 참조)에 대하여 개인데이터 및 몽타주데이터를 등록하는 데에 입력부(32)에 있어서「데이터입력」키(20)을 조작하면 CPU(31)는 데이터입력모드로 설정된다.
여기에서 각종 문자입력키(25,26,27)를 조작하여 성명, 주소, 전화번호, 생년월일등의 개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순차, 그 입력된 각 개인데이터는 개인데이터 RAM(36)(제 8 도 참조)내의 개인데이터영역(80)에 대하여 격납기억된다(스텝 C1, C2).
그리고, 상기 개인데이터 RAM(36)내의 개인데이터영역(80)에 기억시킨 개인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면몽타주를 상기 몽타주작성등록처리(제10도~제12도)를 거쳐서 작성하고, 몽타주 RAM(34)에 대하여 미리 등록시킨다(스텝 C3,C4).
여기에서 상기 몽타주작성처리에 의해 작성된 개인몽타주를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에 대하여 기밀로 하고 싶은 경우에, 「실루엣」키(20a)를 조작하면 그 몽타주 데이터의 격납영역(81)에 대응하여 설치된 기밀플래그영역(82)에 기밀플래그(F) 1이 세트된다(스텝 C5,C6).
이렇게하여 각종 개인데이터 및 그 몽타주데이터를 작성함과 동시에 이 몽타주데이터에 대한 기밀플래그(F)의 유무를 설정한 후에 「등록」키(21)를 조작하면 상기 개인데이터를 기억시킨 개인데이터 RAM(36)내이 개인데이터영역(80)에 대응하는 몽타주영역(81)에 대하여 상기 스텝 C3,C4에 있어서 정면몽타주의 작성처리에 의해 미리 작성된 몽타주 데이터가 상기 몽타주 RAM(34)에서 판독되어 전송되어 보존등록된다(스텝 C7,C8).
이에 의해 개인데이터 RAM(36)에는 원하는 개인데이터 및 그 몽타주데이터로 구성되는 개인정보가 등록되게 된다.
제16도는 상기와 같이하여 등록된 개인데이터의 검색표시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이다.
제17도는 상기 개인데이터검색표시처리에 따르는 개인정보의 표시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개인정보를 검색하는데에「검색」키(22)를 조작하면 CPU(31)는 데이터 검색모드로 설정되고, 그후, 알파벳키「A~Z」이나 상기 텐키 등의 조작으로 인물의「성명」을 입력하면 그「성명」에 대응하는 개인데이터 RAM(36)(제 8 도 참조)내의 개인정보가 판독된다(스텝 D1,D2).
여기에서 예를들면 상기 개인데이터 RAM(36)내의 개인데이터영역(80)에 있어서 등록번호「1」에 대응하는 개인정보가 판독되었을 때에 그 몽타주데이터에 부가된 기밀플래그(F)에 1이 세트되어 있는 것이 CPU(31)로 판단되면 그 몽타주데이터는 상기 실루엣 변환표시처리(제13도 참조)를 거쳐서 실루엣 데이터로 변환되고, 예를들면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색에 관한 개인몽타주는 실루엣으로서 표시부(24)에 표시된다(스텝 D3~D5).
즉, 미리 기밀플래그(F)를 설정하여 등록된 개인정보가 검색되면 그 개인정보에 관한 몽타주는 우선, 실루엣상태에서 표시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몽타주의 실루엣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텐키(25)를 조작하여 패스워드를 입력했을 때에 이 입력된 패스워드가 상기 패스워드기억부(39)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고유의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것이 CPU(31)에 의해 판단되면 현재 표시 실루엣은 그 각 부위(윤곽, 두발형, 목과 어깨)마다의 실루엣 패턴에 대응하는 실루엣 RAM(35)(제 7 도 참조)에 격납되어 있는 기본부위패턴으로 재변환되고, 제17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루엣상태가 해제된다(스텝 D6~D8).
그리고, 상기 실루엣 해제된 개인몽타주와 함께 상기 스텝 D2에 있어서 미리 판독된 개인데이터의「성명」「주소」「전화번호」등의 내용이 표시부(24)에 표시되게 된다(스텝 D9).
한편, 상기 스텝 D2에 있어서 검색대상이 되는 개인정보가 판독되었을 때에 예를들면 등록번호「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몽타주데이터에 대하여 기밀플래그(F)가 플래그영역(82)에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판독된 개인정보와 함께 몽타주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부위패턴이 기본부위패턴 ROM(33)에서 판독되어 합성 RAM(37)로 합성되고, 제17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24)에 동시 표시된다(스텝 D3→D10).
따라서, 사용자 이외에 알리고 싶지 않은 개인정보 및 몽타주는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한 경우에만 명확히 표시되게 된다.
제18도는 상기 전자수첩의 실루엣 게임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이다.
즉, 개인 ROM(36)에 미리 등록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실루엣 게임을 실시할 때에「실루엣 게임」키(23)를 조작하면 CPU(31)는 실루엣 게임 모드로 설정된다(스텝 E1).
그러면 난수발생회로(38)에 의해 개인데이터(36)(제 8 도 참조)에 있어서 개인정보등록번호(1~50)에 대응하는 난수치가 발생되는 것으로, 이 난수발생회로(38)에 의해 발생된 난수치에 따른 개인정보등록번호에 관한 개인정보와 함께 등록된 몽타주데이터가 CPU(31)에 판독된다(스텝 E2,E3).
여기에서 CPU(31)는 판독된 몽타주데이터에 기밀플래그(F) 1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몽타주데이터는 기밀로 해야하는 것으로서 표시부(24)에 표시되지 않고, 다시 난수발생회로(38)에 의해 다른 난수치가 발생되고 기타의 난수치에 대응한 개인정보등록번호에 관한 몽타주데이터가 판독된다(스텝 E4→E5→E2,E3).
그리고 상기 스텝 E3에 있어서 CPU(31)에 판독된 몽타주데이터에 기밀플래그(F)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후술하는 실루엣표시가 한번 실시한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판독된 몽타주데이터에 대하여 기밀플래그(F) 1이 세트되고, 상기 실루엣 변환표시처리(제13도 참조)를 거쳐서 상기 실루엣 RAM(35)(제 7 도 참조)에 대하여 상기 판독 몽타주의 실루엣 패턴이 변환기억된다(스텝 E4→E6,E7).
그러면, 상기 실루엣 RAM(35)에 얻어진 각 부위마다의 실루엣 패턴은 합성 RAM(37)으로 합성되어 표시 실루엣에 표시된다(스텝 E8).
여기에서 상기 표시부(24)에 표시된 실루엣에 의거하여 예상되는 개인데이터(예를들면, 성명)을 키입력했을 때, 그 키 입력데이터(성명)가 상기 스텝 E6에 있어서 개인데이터(36)에서 판독된 현재 표시 실루엣의 몽타주데이터에 대응하는 개인데이터(성명)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현재 표시 실루엣은 그 각 부위마다의 실루엣 패턴에 대응하여 실루엣 RAM(35)(제 7 도 참조)에 격납되어 있는 기본부위패턴으로 재변환되고 실루엣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그 실루엣해제된 개인몽타주와 함께「정해」메시지가 표시되게 된다(스텝 E9,E10→E11).
그러면 다시 난수발생회로(38)에 의해 다른 난수치가 발생되고, 그 난수치에 대응한 다른 개인정보로서 등록된 몽타주데이터가 판독된다(스텝 E11→E2,E3).
한편, 상기 스텝 E9에 있어서 현재 표시 실루엣에 의거하여 예상되는 개인데이터(예를들면 성명)를 키입력했을 때에 그 키입력데이터(성명)가 현재 표시 실루엣의 몽타주데이터에 대응하는 개인데이터(성명)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현재 표시 실루엣은 그 각 부위마다의 실루엣 패턴에 대응하는 실루엣 RAM(35)(제 7 도 참조)에 격납되어 있는 기본부위패턴으로 재변환되고 실루엣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그 실루엣 해제된 개인몽타주와 함께「게임종료」의 메시지가 표시되게 된다(스텝 E9,E10→E12,E13).
그 후, 상기 스텝 E2~E13의 반복에 의해 개인데이터 RAM(36)에 있어서 모든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몽타주의 실루엣 해당게임이 실시되고, 상기 스텝 E5에 있어서「YES」, 즉 모든 개인정보(1~50)에 대응하는 몽타주데이터에 기밀플래그(F) 1이 세트되어 쌓고 판단되면 표시부(24)에 대하여「게임모두종료」메시지가 표시되게 된다(스텝 E5→E14).
따라서, 상기 구성의 전자수첩에 의하면 기본부위패턴 ROM(33)에 예를들면 얼굴의 각 부위(부위 : 윤곽, 두발형, 눈, 코, 입, 목과 어깨)마다에 복수종류 기억되는 부위패턴의 조합합성에 의해 구성되는 몽타주의 실루엣표시를 실시할 때에 이 몽타주의 외형을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윤곽, 두발형, 목과 어깨)을, 각각의 그 패턴내 데이터의 0→1 반전처리에 의해 실루엣패턴으로 변환되어 실루엣 RAM(35)에 격납함과 동시에 그 각 부위마다의 실루엣 패턴을 합성 RAM(37)으로 조합합성하여 표시부(24)에 실루엣 표시시키므로 상기 몽타주의 기본구성부위를 기억하는 기본부위패턴 ROM(33) 이외에 별도 실루엣 기억용 ROM을 구비할 필요는 없고, 쉽게 몽타주데이터에 일치하는 실루엣 표시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위패턴 데이터 내부의 도트표시체를 모두 표시시키므로서 실루엣표시로 했지만 부위패턴 데이터의 일부만을 마스트표시시킨 몽타주를 표시시켜도 좋다. 제19A도 내지 제19C도는 이 몽타주의 일부만을 마스트한 실루엣표시를 실시시키는 예이며, 제19A도는 검색키(22)의 조작으로 스즈끼 이찌로 씨의 주소, 전화번호를 표시함과 동시에 스즈끼 이찌로 씨의 몽타주를 눈 부분만 마스크하여 표시시킨 것이다. 그리고, 기밀 키(20a)를 조작하면 제19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에「패스워드는?」이라고 표시되므로 패스워드 예를들면, 수치(3,1,4,1)를 입력하고, 이미 기억하고 있는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제19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눈부분의 마스크가 제거된 몽타주가 표시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19A도 내지 제1C도에서는 눈 부분의 마스크표시로 했지만 다른 부위에 대해서도 마스크표시를 실시할 수 있다.
제20도는 부위패턴 ROM(3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얼굴의 윤곽, 두발형, 눈, 코, 입 등의 부위패턴에 대하여 각각 마스캐패턴의 화상데이터가 기억된 기억영역(33A,33B,33C,33D,33E)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억영역(33A,33B,33C,33D,33E)에 기억된 마스크 패턴의 화상데이터를 표시부(24)에 표시시키고, 도시하지 않는 선택키로 임의의 마스크 패턴을 선택시킨다. 기밀 몽타주를 표시할 때, 및 기밀게임시에는 선택된 마스크 패턴에 의해 마스크된 몽타주표시가 실시된다. 예를들면 눈의 마스크 패턴이 선택된 경우에는 실루엣게임시에는 제21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눈에 마스크가 된 몽타주가 표시되고, 예를들면 제21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시라도리 레이꼬」라고 이름을 입력하여 부정해(不正解)였을 때에는 제21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정해인 것이 표시되고,「아이다 다깨시」라고 이름을 입력하여 정하였을 때에는 제21D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크가 없는 몽타주가 표시되는 것이다. 또, 마스크패턴의 선택은 하나의 부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눈」과「두발형」처럼 복수선택하고, 하나의 몽타주에 대하여 복수의 마스크표시를 실시시켜도 되는 것이다.

Claims (18)

  1.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수단과; 화상을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과; 상기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을 그대로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인가, 또는 적어도 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마스크하여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인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데이터를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을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표시시키기 위해 키입력되는 제 1의 키입력수단과; 상기 제 1의 키입력수단에 의한 키입력이 이루어졌을 때에 상기 식별데이터가 설정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상기 식별데이터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을 적어도 일부를 마스크하여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표시시키고, 한편 상기 식별데이터가 설정되어 있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을 그대로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과, 상기 표시제어수단에 의해서 상기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중 적어도 일부가 마스크되어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표시되어 있을 때에 미리 정해진 키입력을 실행하는 제 2의 키입력수단과; 상기 제 2의 키입력수단의 키입력에 의해서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상기 마스크되어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상기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 그대로의 화상으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억수단은, 각각 다른 다수의 화상이 기억된 제 1의 화상기억수단과; 상기 제 1의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된 다수의 화상중에서 임의의 화상을 선택하는 화상선택수단과; 상기 화상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화상을 기억하는 제 2의 화상선택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화상기억수단은 ROM으로 이루어지고, 제 2의 화상기억수단은 RAM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억수단은, 신체를 구성하는 각 부위마다 각각 다른 다수의 화상을 기억한 제 1의 화상기억수단과; 상기 제 1의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된 다수의 화상중에서 각 부위마다 임의의 화상을 선택하는 화상선택수단과; 상기 화상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화상을 합성하여 기억하는 제 2의 화상기억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를 구성하는 각 부위는 적어도 얼굴의 윤곽, 눈, 코, 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화상의 마스크표시는 실루엣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키입력수단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특정 데이터와 같은 특징을 입력하는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마스크하는 데이터를 복수의 다른 마스크데이터 중에서 선택하는 마스크데이터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은 적어도 얼굴의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수단에 의한 마스크는 적어도 눈을 마스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0. 신체를 구성하는 각 부위마다 각각 다른 다수의 화상을 기억한 제 1의 화상기억수단과; 상기 제 1의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된 다수의 화상중에서 각 부위마다 임의의 화상을 선택하는 화상선택수단과; 상기 화상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화상을 지정하는 지정데이터를 각 부위마다 기억하는 제 2의 화상기억수단과; 상기 제 2의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부위마다의 지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의 화상기억수단으로부터 각 부위마다 선택된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하는 화상합성수단과; 상기 화상합성수단에 의해서 합성된 화상을 그대로 표시하는지 적어도 화상의 일부를 마스크하여 표시하는지의 식별데이터를 기억하는 식별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합성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키입력되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한 키입력이 이루어졌을 때에 상기 식별데이터 기억수단에 식별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가 아닌가에 따라서 상기 합성된 화상을 그대로 및 마스크한 것의 어느쪽인가로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에 합성된 화상이 마스크하여 표시되어 있을 때에 미리 정해진 키입력에 의해서 상기 합성된 화상 그대로의 표시로 전환하는 표시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화상기억수단은 ROM으로 이루어지며, 제 2의 화상기억수단은 RAM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를 구성하는 각 부위는 적어도 얼굴의 윤곽, 눈, 코, 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의한 상기 합성된 화상의 마스크표시는 실루엣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전환수단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기억수단과;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가 입력된 것을 검출하는 입력데이터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표시수단에 의한 마스크하는 마스크데이터를 복수의 다른 마스크데이터 중에서 선택하는 마스크데이터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합성수단에 의해서 합성된 화상은 적어도 얼굴의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에 의한 마스크는 적어도 눈을 마스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7. 복수의 이름데이터를 기억하는 이름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이름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각 이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얼굴화상을 각각 기억하는 얼굴화상 기억수단과; 상기 얼굴화상 기억수단에 기억된 얼굴화상을 그대로 표시시키는가 아닌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데이터를 기억하는 식별데이터기억수단과; 상기 이름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이름데이터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이름데이터, 상기 이름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얼굴화상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얼굴화상 및 상기 얼굴화상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이름데이터를 표시하는 한편, 상기 판독된 식별데이터가 얼굴화상을 그대로 표시시키는 데이터였을 때에는 상기 판독된 얼굴화상을 그대로 표시시키고, 한편 상기 판독된 식별데이터가 얼굴화상을 그대로 표시시키는 데이터가 아니었을 때에는 상기 판독된 얼굴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마스크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또한 키입력조작을 받는 키입력수단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키입력 수단의 미리 정해진 키조작에 의해서 판독된 이름데이터와 마스크되어 있지 않은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9930016486A 1992-08-24 1993-08-24 화상표시장치 KR0132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424292A JP3298168B2 (ja) 1992-08-24 1992-08-24 モンタージュ作成装置
JP92-224242 1992-08-24
JP92-361248 1992-12-28
JP36124892A JP3298200B2 (ja) 1992-12-28 1992-12-28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457A KR940004457A (ko) 1994-03-15
KR0132403B1 true KR0132403B1 (ko) 1998-04-24

Family

ID=2652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486A KR0132403B1 (ko) 1992-08-24 1993-08-24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584758B1 (ko)
KR (1) KR0132403B1 (ko)
CN (1) CN1095135C (ko)
DE (1) DE69328653T2 (ko)
HK (1) HK1013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0308A (en) * 1993-07-14 1996-12-03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battle game playing apparatus with facial montage generation
KR100517249B1 (ko) * 1997-08-21 200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모핑을이용한몽타주제작방법
CN101635017B (zh) * 2008-07-23 2012-04-25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防止显示画面数据遭截取的电子装置及方法
US20130088562A1 (en) * 2011-10-07 2013-04-11 Hanwha Solution & Consulting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silhouette function on video screen for video call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55225T2 (de) * 1987-01-16 1996-09-05 Sharp Kk Datenbanksystem für Bildkomposition
US5057019A (en) * 1988-12-23 1991-10-15 Sirchie Finger Print Laboratories Computerized facial identif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28653D1 (de) 2000-06-21
KR940004457A (ko) 1994-03-15
CN1083607A (zh) 1994-03-09
DE69328653T2 (de) 2000-08-31
HK1013455A1 (en) 1999-08-27
EP0584758B1 (en) 2000-05-17
CN1095135C (zh) 2002-11-27
EP0584758A2 (en) 1994-03-02
EP0584758A3 (en) 1994-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2133B1 (ko) 전자식 몽타주 작성장치
KR0142164B1 (ko) 화상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US5612716A (en) Image display device
KR19980701736A (ko) 비밀데이터 기억장치 및 판독방법과, 제어프로그램 기억매체
US5787419A (en) Face image searching apparatus for searching for and displaying a face image
KR0132403B1 (ko) 화상표시장치
KR910005188A (ko) 영상발생방법 및 장치
JP3298200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3298168B2 (ja) モンタージュ作成装置
JP3413859B2 (ja) 生命体表示装置および生命体表示制御方法
JP3500709B2 (ja) 物体画像比較装置
JPH05334411A (ja) モンタージュ作成装置
JP3027835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H06198078A (ja) 表示装置
JP3261778B2 (ja) モンタージュ作成出力装置
JPH07152818A (ja) 評価データ表示装置
JPH0780153A (ja) 物体比較装置
JPH07325950A (ja) くじ引き装置
JP3261773B2 (ja) 似顔絵作成装置、似顔絵占い装置、似顔絵作成方法および似顔絵占い方法
JPH06187412A (ja) モンタージュ作成装置
JPH0668223A (ja) モンタージュ作成装置
JP3480449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H06325191A (ja) バーコード印刷装置
KR20010104171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드레싱 방법
JPH01266248A (ja) 編物・洋裁製図パターンによる修正寸法割出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