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199B1 - 전해콘덴서용 리드선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전해콘덴서용 리드선조립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199B1
KR0131199B1 KR1019900010492A KR900010492A KR0131199B1 KR 0131199 B1 KR0131199 B1 KR 0131199B1 KR 1019900010492 A KR1019900010492 A KR 1019900010492A KR 900010492 A KR900010492 A KR 900010492A KR 0131199 B1 KR0131199 B1 KR 0131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lead
electrode foil
divid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575A (ko
Inventor
겐지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사토 도시아키
닛뽄케미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도시아키, 닛뽄케미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도시아키
Publication of KR92000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4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전해콘덴서용 리드선조립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 1도는 전해컨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의 평면도.
제 2도는 알루미늄선재공급장치의 측면도.
제 3도(a)는 알루미늄선재공급기구의 부분 측면도.
제 3도(b)는 B리드의 부분사시도.
제 4도는 리드 선재 공급장치의 측면도.
제 5도는 제 1위치에 있어서의 제 1분할 이송수단의 그립부와 리드선 커터와의 관계도
제 6도는 리드선 굴곡고정장치의 평면도.
제 7도는 리드선 굴곡고정장치의 부분확대도.
제 8도는 리드선 송급기구의 사시도.
제 9도는 리드선 송급기구의 측면도.
제 10도는 리드선 송급기구의 정면도.
제 11도는 제 1턴테이블의 평면도.
제 12도는 제 1턴테이블에 사용되는 그립장치의 부분단면도.
제 13도는 융접장치의 평면도.
제 14도는 용접장치의 측면도.
제 15도는 제 13도의 A-A선 알부단면도.
제 16도는 리드선재와 알루미늄선재를 접합시킬 경우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17도는 탭(tab)밀어올림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 17도(a)는 탭밀어올림장치의 단면도.
제 17도(b)는 탭밀어올림장치의 평면도.
제 18도는 전극박(Foil)공급장치의 설명도.
제 19도(a)는 전극박에 전해 컨덴서용 리드선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19도(b)는 전극박에 부착된 전해컨덴성용 리드선을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20도(a)는 전극박 안내부의 평면도.
제 20도(b)는 전극박 안내부의 측면도.
제 21도(a)는 천공부의 전체평면도.
제 21도(b)는 천공부의 전체측면도.
제 22도(a)는 천공침과 전해 컨덴서용 리드선 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 22도(b)는 천공대와 제 3턴테이블의 그립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22도(c)는 천공대의 다이스부를 나타내는 확대부.
제 23도는 제 22도(c)의 B-B단면도.
제 24도는 리벳장치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12, 14, 16 : 턴테이블
12a, 14a : 그립장치13 : 제 1위치
8 : 리드선재공급장치20 : 리드선커터(Cutter)
21 : 제 2위치22 : 제 3위치
23 : 제 4위치24 : 제 5위치
25a : 제 1커터25b : 제 2커터
25 :제 6위치26 : 알루미늄선재공급장치
28 : 제 7위치30 : 제 8위치
32 : 용접장치34 : B리드
36 : B리드릴(Reel)46 : B리드 누름장치
48 : 리드선재공급장치50 : 이동대
52 : B리드 가이드56 : 클릭(Click) 부재
60 : 리드선재62 : 저장장치
68 : 리드선얽힘검출기74 : 굴곡고정장치
76, 90 : 송금기구78 : 로드
80 : 압축코일스피링84 : 수평암(arm)
85 : 누름암92 : 슬라이드 베이스
96 : 리드선 누름부 98 : 레버
102 : 받침대103 : 가압부
108 : 원판캠(Cam)110 : 블록
112 : 아래 클릭116 : 위 클릭
120 : L자형 레버124 : 제 1그립암
126 : 제 2그립암128 : 상부암
130 : 그립부132 : 하부암
133 : 축134 : 그립부
136 : 상부암142 : 하부암
144 : 그립부146 : 용접레버
148 : 자석홀더(Holder)150 : 연결판
152, 154 : 개폐핀156 : 로드(Rod)
158 : 제 3커터160 : 그립장치
161 : 전해콘덴서용 리드선161a : 버르(Burr)
162 : 탭밀어올림장치164 : 누름암
166 : 받침부168 : 누름클릭
176 : 전극박187 : 안내부
188 : 천공부190 : 리벳부
200 : 고무롤러 202 : 감아내는 릴
206 : 커넥터208 : 전극박(箔)가이드
210 : 베이스212 : 전극박 누름판
218 : 천공대218a : 천공대하형
224 : 가이드 암224c, 224d : 그립클릭
228 : 암230 : 홀더
232 : 천공침234 : 다이스
236 : 상형(上刑)238 : 하형(下型)
본 발명은, 전해콘덴서용 리드선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한쪽이 봉상棒狀)이고 다른쪽이 편평상(偏平狀)으로 형성된 알루미늄선재의 봉상 끝쪽에 동피복의 연철의 리드선재를 용접함과 동시에 띠상(帶狀)의 전극박(電極箔)에 상기 알루미늄선재의 편평한쪽을 리벳접합방식으로 접속시키는 장치로 이루어지는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는, 알루미늄 선재의 봉상 끝쪽에 금속의 리드선재를 용접하는 공정과 띠상의 전극박에 상기 알루미늄선재의 편평한쪽을 리벳접합하여 접속하는 공정과는 따로따로 시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상기 공정 중에서 알루미늄선재의 봉상부를 편평한 부분으로 만드는 프레스 공정까지 포함되며, 또 상기 공정은 각각 직진 이송으로 시행하든가, 그 일부의 공정을 턴테이블을 사용해서 시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3-258012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는, 용접공정과 전극박에 알루미늄선재의 편평한 쪽을 리벳접합하여 접속시키는 공정을 별개로 하고 있었으므로, 공정수가 많아지고 전체공정을 완료하기까지의 사이클타임의 길어지는 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드선재 공급장치로부터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리드선재와, 알루미늄 선재공급장치로부터 간헐적으로 공급되고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알루미늄 선재를 인접하는 제 1분할 이송수단 및 제 2분할 이송수단으로 각각을 그립하여 대향하는 위치로 분할 이송시켜서 용접하고, 용접수단에 의해 접합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을 제 2분할 이송수단으로 그립하여 이것을 분할이송되는 상기 제 2분할 이송수단의 분할 이송장치와 대향한 위치로 분할이송하여 이 리드선을 제 3분할 이송수단으로 교대로 그립하여 간헐적으로 송급되는 띠상의 전극박위에 분할 이송하여 리드선의 편평한 부분을 리벳접합으로 상기 전극박에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속하고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는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쪽이 봉상하고, 다른쪽이 편평상으로 형성된 알루미늄 선재의 봉상의 끝쪽에 금속 리드선재를 용접하는 동시에, 용접된 상기 알루미늄선재의 편평한쪽을 띠상의 전극박에 리벳접합으로 접합하도록 구성된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송급되는 리드선재를 절단하여 이의 일부를 그립하고 소정위치로 이송시키는 제 1분할이송수단과, 간헐적으로 송급된 리드선재를 절단하여 이의 일부를 그립하여 상기 제 1분할 이송수단의 이송시키는 위치와 대향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제 2분할이송수단과, 상기 제 1 제 2분할 이송수단 사이에 설치된 용접수단과, 이 용접수단에 의해 접합되는 전해컨덴서용 리드선이 이송되는 상기 제 2분할 이송수단의 이송위치와 대향되는 위치로 이송하여 상기 리드선을 교대해서 그립하여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띠상의 전극박 위에 이송하는 제 3분할 이송수단과, 상기 전극박 위에 이송된 편평부를 리벳접합으로 전극박에 고정시키는 리벳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각 분할 이송수단은, 각각이 동기(同期)회동가능하게 직렬로 인접 배치되고, 각각에 설치된 적어도 한 개의 그립부를 하나의 구동원(驅動原)으로서 소정위치로 이송시키는 턴테이블로 구성하면 매우 좋다.
또, 상기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는, 상기 리드선재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리드선재 공급장치와, 소정간격으로 편형부분을 형성한 알루미늄선재를 간헐적으로 송급하는 알루미늄선재공급장치와, 띠상의 전극박을 간헐적으로 송급하는 전극박공급장치와, 상기 리드선 공급장치로 송급되는 리드선재를 그립하는 제 1위치에서 이것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다음 제 2위치로 회동이송시키는 제 1턴테이블과, 상기 알루미늄선재공급장치로 송급된 알루미늄선재를 그립하는 제 3위치에서 이것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다음 제 1턴테이블의 제 2위치와 대향하는 제 4위치 및 상기 제 5위치에 각각 회동 이송하는 제 2턴테이블과, 상기 제 2위치 및 제 4위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알루미늄 선재와 리드선재를 용접하는 용접장치와, 이 용접장치로 용접한 다음 상기 제 2턴테이블의 이송동작으로 제 5위치로 이송된 상기 전해컨덴서용 리드선에 대향하는 제 6위치로 이송하고, 또 이 전해컨덴서용리드선을 제 7 및 제 8위치로 각각 이송하는 제 3턴테이블과, 이 제 3턴테이블의 제 7위치에 설치된 탭 밀어올림장치와, 상기 제 8위치에 전극박 공급장치로 송급된 전극박에 상기 리드선의 편평부를 공급하는 리벳장치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용접수단은, 알루미늄선재를 그립하는 마이너스전극에 제 1그립부와, 상기 알루미늄선재와 동일측심상에 리드선재를 대향시켜 그립하는 플러스전극의 제 2그립부와, 상기 제 1그립부에 대해 제 2그립부를 축선방향으로 앞뒤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으로 구성하면 매우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에 의하면, 리드선재공급장치에서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소정길이로 절단된 리드선재와, 알루미늄선재 공급장치에서 간헐적으로 공급되고 소정길이로 절단된 알루미늄선재를 인접하는 제 1분할이송수단 및 제 2분할 이송수단으로 각각을 그립하여 서로 대향하는 위치로 이송하여 용접하고, 용접수단에 의해 접합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을 제 2분할 이송수단으로 그립해서 이것이 이송되는 상기 제 2분할 이송수단의 이송위치와 대향위치로 이송시켜 이 리드선을 제 3분할 이송수단으로 교대해서 그립하여 간헐적으로 송급되는 띠상의 전극박 위에 이송시켜 리드선의 편평부를 리벳접합하여 상기 전극박에 접합시키는 공정으로 구성함으로써, 신속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고, 전체 조립공정의 사이클 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관한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의 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0은 베이스를 나타내며, 이 베이스(10)위에는 이송수단으로서의 3개의 턴테이블(12), (14), (16)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3개의 턴테이블(12), (14), (16)은 각각에 구비된 제 1, 제 2, 제 3의 분할 이송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이들을 기구적으로 동기하여 연동회동시키고, 1사이클에서 각각 인접하는 턴테이블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1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턴테이블(12)는, 후술하는 리드선재 공급장치(18)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송급되는 리드선의 선단을 제 1턴테이블(12)에 구비된 그립장치(12a)로 그립하고, 동시에 이것을 리드선 커터(20)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제 1턴테이블(12)의 초기위치로서의 제 1위치(13)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2위치(21)에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위치결정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 2턴테이블(14), 그립장치(14a)를 구비하고, 이 그립장치(14a)에 의해 후술하는 알루미늄선재공급장치(26)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송급되는 알루미늄선재의 편평하게 되어 있지 않은 봉상의 끝부분을 그립하고, 이 위치를 제 2턴테이블의 초기위치로 하는 제 3위치(22)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 4, 제 5위치(23), (24)에서 순차적으로 이송하여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 2턴테이블(14)의 제 3위치(22)에 배설된 알루미늄선재 공급장치(26)는, 제 2도(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간격마다에 편평부분을 연속적으로 프레스성형한 알루미늄선재를 제 2턴테이블(14)의 그립장치(14a)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소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2턴테이블(14)의 그립장치(14a)에 의해 그립한 알루미늄선재는, 편평부분과 봉상부분을 각각 끝부분에 형성되게 봉상부분에 편평부분이 약간 남아 있도록 제 1커터(25a)로 절단한 다음, 다시 제 2턴테이블(14)를 회동하여 이를 이송하고 봉상부분을 절단해서 적정한 길이로 성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적정하게 절단성형된 알루미늄선재와, 제 2턴테이블(14)에 의해 제 4위치(23)로 이송되어 위치결정되고, 제 1턴테이블(12)의 그립장치(12a)에 그립되어서 제 2위치(21)로 이송되어 위치결정된 리드선(18)과 동일한 축선상에서 대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대향된 각 선재(18),(26)는 각각 후술하는 용접장치(32)에 의해 교대로 그립되어 용접접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일체화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은 용접장치(32)로부터 인도되어 그 끝부분을 제 2턴테이블(14)의 그립부(14a)로 그립하고, 이것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5위치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이송되어 오는 제 3턴테이블(16)의 그립장치(160)의 중심과 정확히 대응하게 된다.
즉, 이 제 3턴테이블(16)은 초기위치로서의 제 7위치(28)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제 8 및 제 6위치(30), (25)로 순차적으로 이송하고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6위치로 이송된 제 3턴테이블(16)의 그립장치(160)는 제 2턴테이블(14)의 제 5위치(24)로 이송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의 봉상부분을 그립하고, 이 리드선을 제 3턴테이블(16)로 옮긴다. 이 리드선을 그립한 제 3턴테이블(16)의 그립장치(16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이 제 6위치(25)로부터 초기위치로서 제 7위치(28)로 이송되어 위치결정되고 위치에 배설되어 있는 탭밀어올림장치(제 17도 참조)에 의해 탭의 편평부를 약간 밀어올린 다음, 다시회동하여 제 8위치(30)으로 이송되어 위치결정된다.
이 경우, 3개의 턴테이블(12), (14), (16)의 이송수단은 각각 기구적으로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구동원으로 각 테이블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송급자에 의해 각각 송급되어 오는 각 소재(리드선재 및 알루미늄선재)는 제 1턴테이블(12)이 제 2턴테이블(14)의 각 초기위치(13), (22)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가공된 상태로 공급되고, 그 다음에 서로 용접접합되어 일체화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이 제 3턴테이블(16)로 옮겨지며, 제 8위치(30)로 이송되어서 각 턴테이블에 의한 공정은 종료한다.
다음에는, 제 2턴테이블12)에 리드선재를 공급하는 리드선재 공급장치(18)에 대해 설명한다.
즉, 제 2, 제 3도에 있어서, 편평부를 소정간격마다에 형성한 리드선재(이하 B리드(34)라 함)를 감아서 수납하는 B리드릴(36)이 설치대(38)에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B리드릴(36)에서 풀려나온 B리드(34)는, 이것에 장력을 주는 탭롤러(40a), (40b)를 통과한 다음 이 B리드(34)를 상부로부터 눌러서 안전주행시키는 누름부재(42)를 통과하고, 또 사행(蛇行)을 방지하는 B리드 가이드(44)를 통과시킨다. 그리하여, 이 B리드 가이드(44)를 통과한 B리드(34)는 구동기구(도시생략)에 의해 주어지는 B리드 누름장치(46)의 상하동작으로 봉상쪽과 편평쪽의 상부가 각각 동시에 눌려지고, 이 B리드 누름장치(46)의 전방에는 B리드(34)를 소정간격마다에 간헐적으로 송급하는 리드선재 공급기구(48)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리드선재 공급기구(48)는, 제 3도(a), (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B리드(34)의 길이방향으로 구동기구(도시생략)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이동대(50)과, 이 이동대(50) 위에 고정되고 B리드를 안내하는 B리드 가이드(52)와, 이 B리드 가이드(52)의 측면에 세워서 설치된 지주(54)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클릭(Click)부재(56)와, 이 클릭부재(56)를 이 첨단이 상기 B리드(34)의 봉상쪽의 턱진 부분의 바로 앞을 가압 작동시키는 토션코일 스프링(58)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제 1턴테이블(14)에 리드선재(60)를 공급하는 리드선재 공급장치(18)에 대해 설명한다.
즉, 제 4도에 있어서, 리드선재(60)는 이것을 감아 수납하는 저장장치(62)가 설치대(64)위에 모터(6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저장장치(62)로부터 송출된 리드선재(60)(이하 리드선이라 함)는 스탠드(64a)에 설치되어 있는 리드선얽힘검출기(68)을 지난 다음 가이드롤러(70), 둥근구멍 가이드(72)를 통과하여 적정한 상태로 안내된다.
또, 상기 둥근구멍 가이드(72)을 통과한 리드선(60)은 주행방향에 대해 갈짓자로 대향 배열된 복수의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굴곡 교정장치(74)를 통과하고 직선상태로 된다. 이 굴곡 교정장치(74)의 앞쪽에는 이 굴곡 교정장치(74)를 통과한 리드선재(60)를 간헐적으로 송급하는 리드선재 송급기구(76)에 설치되어 있다.
또,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굴곡 교정장치(74)는, 제 6도, 제 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선 주행방향으로 이 리드선(60)을 사이에 끼우고 양쪽에 복수개의 베어링을 서로 갈짓자가 되도록 대향시켜 직렬로 배열시킨 베이스 플레이트(78a)가 수정 및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제 6도 참조).
또, 제 7도의 부분확대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인 베이스 플레이트(78a)위에는 복수개의 베어링을 직렬로 하여 측으로 지지한 조정판(82a)이 리드선(60)에 대해 진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굴곡교정장치(74)의 리드선 주행방향의 앞쪽에는 리드선 누름장치(75)가 수평으로 배설되고, 이 리드선 누름장치(75)는 그 전후단에 뚫어서 설치된 리드선(60)을 통과시키는 리드선 통과구멍(84a), (84b)와, 이 리드선 통과구멍(84a), (84a)사이에 형성된 가압면(8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앞쪽에는 제 8도~제 10도에 표시하는, 리드선재 송급기구(76)가 설치되어 있고, 이 리드선재 송급기구(76)은 구동기구(도시생략)에 의해, 예를 들면 편심캠 등으로 승강이동하는 로드(78)와, 이 로드(78)의 선단에 있는 압축코일 스프링(80)을 통하여 끼워진 누름부재(82)로 구성되고, 이 누름부재(82)는 수평으로 놓여 있는 암(84)와, 이 수평암(84)의 한쪽 끝에 이 수평암과 동일 수평면 내에서 직교하는 누름암(85)와, 이들의 암의 상기 로드(78)을 중심으로 하는 수평방향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수평암(84)의 타단에 설치된 가이드 키(88)과, 이 가이드 키(88)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89)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평암(84)의 앞쪽하부에는 송급기구(90)가 설치되어 있어, 이 송급기구(90)는 리드선(60)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베이스(91)위에 설치된 슬라이드 베이스(92)와, 이 슬라이드 베이스(92)위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한쪽 끝에 롤러(94)를 축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다른쪽 끝에 리드선 누름부(96)를 갖는 역 L자형을 형성한 레버(98)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레버(98)은 토션 코일스프링(100)을 통하여 상기 누름부(96)을 받침대(102)에 대해 누르고, 이 누름부(96)와 받침대(102) 사이에 리드선을 끼우도록 작동하고 있다.
상기 누름암(85)의 다른 쪽 끝에는 하단에 가입부(103)를 구비한 누름대(104)가 수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누름대(104)는 코일 스프링(106)에 의해 상시 아래쪽으로 작동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드선재 송급기구(76)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제 8도~제 10도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82)가 후퇴위치에 있을 경우, 리드선(60)은 레버(98)의 누름부(96)와 받침대(102)와의 사이에 가압되어 끼워져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92)를 소정량 전진시키면 리드선(60)은 슬라이드 베이스(92)와 함께 전진하고, 이 전진동작이 완료된 누름암(85)를 하강시킨다. 다음에, 이 누름암(85)은 이 하강동작으로 레버(98)의 롤러(94)에 맞닿서 이 레버(98)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리드선(60)에 대한 누름작용이 해제된다. 또, 동시에 누름암(85)의 하강동작으로 리드선(60)은 상기 누름대(104)의 가압부(103)에 의해 스프링(106)을 통하여 가압되어 끼워진다.
다음에는,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92)를 소정의 후퇴위치까지 후퇴시키면, 레버(98)는 이 레버(98)의 롤러(94)가 누름암(85)의 하면에 형성된 테이퍼면에 따라 전동하면서 가압되고, 누름부(96)을 서서히 개방시킨다. 따라서, 이 동작을 반복시키므로써 리드선(60)은 소정간격마다 송급할 수 있다.
다음에는 각 턴테이블에 사용되는 그립부로서의 척(chuck)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의 턴테이블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제 3턴테이블로 이루어진 인접한 3개의 턴테이블로 구성되고, 이들의 턴테이블 및 이에 사용되는 척은 거의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척에 대해 그 구조를 설명하고 다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 11, 제 12도에 있어서, 제 11도는 제 1턴테이블(12)의 평면도를 표시하고, 제 12도는 제 1턴테이블(12)의 측면도를 표시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 1턴테이블(12)는 구동기구(도시생략)에 의해 회동되어 분할이송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이 턴테이블(12)위에 설치된 그립장치(12a)는 송급되어온 리드선(60)의 선단을 그립하는 제 1위치(13)에서 90°반시계방향으로 테이블(12)이 회전됨으로써 제 2위치(21)로 회동하고 분할이송된다.
이 그립장치(12a)는 턴테이블(12)위에 고정된 블록(110)과, 이 블록(110)의 앞면에 부착된 아래클릭(112)와, 블록(110)의 일부에 핀(114)을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된 선단에 위클릭(116)을 고정하고 후단에 캠플로워(118)를 축으로 지지하고 있는 L자형 레버(120)와, 이 L자형 레버(120)의 선단의 위클릭(116)을 아래클릭(112)으로 가압작동하는 압축코일 스프링(122)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제 1턴테이블(12)의 중심부에는 원판캡(108)이 제 1턴테이블의 회동과는 분리되어 베이스(10)에 고정설치되고, 이 원판캠(108)의 외주에는 상기 L자형레버(120)의 룰러(118)와 맞닿서 L자형레버(120)을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112)의 탄성력과 대향하여 개폐하는 요철곡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턴테이블(12)의 회동에 따라 그 각도위치에 의해 그립장치(12a)를 소정의 분할이송위치에서 개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위치(13)에서의 리드선커터(20)로 절단된 리드선(60)의 일부는 제 1턴테이블(12)의 제 2위치(21)로 분할이송되고 위치결정된다.
또, 같은 식으로 제 3위치(22)의 제 1커터(25a)로 편평부의 일부분을 남기고 절단된 B리드의 일부는 다음의 공정에서, 또 봉상부분이 제 2커터(25b)로 절단된다.
이와 같이, 제 1, 제 2의 커터로 소정길이를 절단된 B리드(34)의 선단의 봉상쪽은 제 4위치(23)로 분할이송되고, 상기 제 1턴테이블(12)의 그립장치(12a)에 의해 그립된 리드선과 동일축 위에 대향하여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는, 제 1 및 제 2턴테이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B리드(34) 및 리드선(60)을 용접 접속시키는 용접장치에 대해 제 13도~제 16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즉, 제 13도는 용접장치의 평면도를 표시하고,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124는 B리드를 그립하는 제 1그립부로성의 그립암을 표시하고, 이 그립암(124)를 마이너스 전극으로 하고, 또 이 B리드 그립암(124)에 평행으로 인접해서 상기 B리드의 축선과 동일 축선위에 대향하도록 리드선을 그립하는 제 2그립부로서의 리드선 그립암(126)이 배치되고 이 리드선 그립암(126)을 플러스전극으로 하는 한쌍의 암으로 용접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리드선그립암(126)은 제 1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축의 하부암(132)와 이 하부암(132)의 중간에 축(133)을 통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상부암(128)로 구성되고, 이들의 암을 도전성이 양호한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부암(128)선단의 그립부(130)에는 리드선(60)을 적절한 위치로 결정하는 V형 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후단에는 압축코일스프링(131)이 설치되고, 이 코일스프링(131)에 의해 상부암(128)선단의 그립부(130)를 하부암(132)선단의 그립부(134)에 대하여 가압하여 작동하고 있다.
한편, B리드(34)를 그립하는 B리드 그립암(124)는 제 1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축의 하부암(142)과 이 하부암(142)은 중간측에 축(145)을 통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상부암(13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부암(136)선단의 그립부(138)에는 B리드(34)의 봉상부분을 위치결정하는 V형 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후단에는 하부암(142)과의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140)이 끼워져 있고, 이 코일스프링(140)에 의해 상부암(136)선단의 그립부(138)가 하부암(142)선단의 그립부(144)에 대하여 가압하여 작동하고 있다.
그리고, 제 13도에 표시하는 리드선 그립암(126)의 중간부에는 L자형의 용접레버(146)의 한쪽 끝이 접속되고, 이 용접레버(146)를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동시킴으로써 플러스쪽의 B리드 그립암(126)의 그립부에 의해 그립되어 있는 플러스 쪽의 리드선(60)을 마이너스쪽의 B리드(34)의 봉상끝 부분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킬 수 있다.
또, 제 1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선 그립부(126)을 대향 접근시킴으로써, 각각 그립된 각 리드선 사이에는 용접캡(gap) G(예로서 0.1㎜)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스쪽의 리드선 그립암(126)을 통전하는 동시에, 자석 홀더(148)내의 자석(도시생략)을 여자시켜 지금까지 접근해 있던 리드선 그립암(126)을 상기 B리드 그립암(124)에 대해 약간 탄성변형시켜서 이간시키면서 아크릴 발생시킨다. 계속해서, 아크발생 중에는 자석의 여자를 끌음으로써 리드선 그립암(126)의 단성력으로 재차 리드선(60)의 선단을 응용상태에 B리드(34)의 봉상끝 부분에 밀어넣서 용접공정을 완료시킨다.
또, 제 13~제 1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한쌍의 암(124), (126)의 개폐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그립암(124)의 후방에는 3각형의 연결판(1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판(150)에는 한쌍의 개폐핀(152), (154)가 고정되고, 이 연결판(150)은 구동기구(도시생략)에 의해 로드(156)를 통하여 승강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로드(156)의 작용에 의해 연결판(150)의 하강작용을 하게 되면 한쌍의 개폐핀(152), (154)의 B리드 그립암(124) 및 리드선 그립암(126)의 각 상부암(128), (138)의 후방끝부분 상면에 맞닿아 압축코일스프링(131), (140)에 대향하여 각각의 그립부가 동시에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 제 1 및 제 2턴테이블의 각 그립장치(12a), (14a)로 각각 그립된 리드선(60) 및 B리드(34)는 각 턴테이블(12), (14)의 상호회전작용에 의해 회동하고 분할이송되어 각각 동일선 위에 대향하게 된다.
서로 대향한 각 리드선(60), (34)는 상기 용접장치의 각 암(124), (126)의 개방된 그립부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술한 연결판(150)의 상승동작에 의해 각 상부암(128), (136)의 후방끝부분은 코일스프링(131), (140)의 작동력에 의해 상승하고, B리드선 및 리드선은 상기 제 1 및 제 2턴테이블의 각 그립장치(12a), (14a)에 의해서 교대로 그립된다.
그 다음에, 상술한 용접공정이 완료하면, 재차 일체화 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의 한쪽은 제 2턴테이블(14)의 그립장치(14a)에 의해 그립된다.
이대로 제 2턴테이블(14)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5위치로 분할이송하여 위치결정하고, 동시에 분할이송되는 제 3턴테이블의 그립장치(160)에서 교대로 그립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6위치에서 그립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161)의 편평부는 그 선단을 제 3커터(158)로 절단한 다음, 제 7위치(28)로 분할이송하여 위치결정된다. 이 제 7위치(28)에서 B리드의 편평부분인 캡은 탭 밀어올림장치(162)에 의해 약간 위로 밀어올려져서 경사성형된다.
즉, 제 17도(a), (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 탭 밀어롤림장치(162)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164는 누름암을 표시하고, 이 누름암(164)는 축(165)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고, 이 누름암(164)의 선단에는 가압부로 되는 저부가 약간 경사진 누름클릭(168)으로 고정된다. 이 누름클릭(168)의 가압부에 대향하는 하부에는 상면은 상기 경사부와 동일경사의 받침부(166)로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누름암(164)는 인장코일스프링(170)에 의해 베이스(10)측과의 사이에 걸려서 설치되어 작동되고 있다.
또, 이 누름압(164)와 받침부(166)은 한 쌍의 브래킷(174a), (174b)에 지지되고 있다. 상기 누름암(164)는 구동기구(도시생략)에 의해 요동하고, 제 3턴테이블의 회동동작으로 제 7위치로 회동되어 분할이송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161)의 편평부를 개방하고 있는 받침부(166)와 누름암(164)이 누름클릭(168)과의 사이에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누름암(164)에 인장코일스프링(170)에 의해 가압작동함으로써 상기 편평부는 상기 경사부에 따라 밀어올려지고 경사성형된다.
이 상태에서 제 3턴테이블(16)위의 그립장치(160)로 그립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161)의 편평부는, 이 제 3턴테이블 근처에 설치된 전극박 공급장치에 의해 간헐적으로 송출되는 띠상의 전극박(176)위에 이와 간섭하지 않고 회동하여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는, 제 18도, 제 19도에 따라 전극박을 간헐적으로 송급하는 전극박 공급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 18도는 전극박 공급장치의 설명도이고, 이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178a, 178b는 전극박(176)을 감아둔 릴(Reel)을 표시하고, 이들 한 쌍의 릴(178a), (178b)은 한쪽의 릴의 전극박이 다 떨어진 경우 다른 쪽 릴의 전극박으로 즉시 도면중의 접속위치 X에서 접속할 수 있고 연속적인 전극박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 접속위치 X를 통과한 띠상의 전극박(176)은 가이드롤러(180), 핀치롤러(182), 고무롤러(184), 덴서롤러(186)을 지나서 후술하는 안내부(187)을 통과하고 천공부(188)에 이른다. 이 천공부(188)에 있어서 전극박(176)위에 제 3턴테이블(16)의 회동으로 분할이송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161)의 편평부를 천공침(232)에 의해 전극박(176)과 함께 뚫어서 천공시킨다. 이 천공작업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면서 소정의 간격으로 전극박(176)위에 전해컨덴서용 리드선(161)의 편평부가 접합된다(제 19도(a) 참조).
다음에는, 천공부(188)의 천공작업으로 전극박(176)의 이면에 발생한 버르(Burr)는 다음의 리벳부(190)에서 리벳되고, 전극박(176)과 전해컨덴서용 리드선(161)의 편평부는 서로 밀착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해컨덴서용 리드선(161)의 편평부를 소정의 간격으로 접속한 전극박(176)은 고무롤러와 핀치롤러 사이를 통과한 다음, 이에 고정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161)의 리드선 끝부분은 리드선 절단부 Y에서 소정의 길이 L(10㎜)씩 절단된다(제 19도(b) 참조).
또, 리드선 절단부 Y를 통과한 전극박(176)은 구동롤러로서의 고무롤러(200)에 의해 이 롤러(200)과 핀치롤러(198)사이에 끼여져서 송출된다. 이와 같이 전체공정이 종료된 전극박(176)은 댄서롤러(196)을 지나 감아내는 릴(202)에 의해 감겨진다.
이때, 상술한 안내부(187)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제 20도 (a), (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축(204)에 커넥터(206)을 통하여 지지된 단면이 L자형의 전극박 가이드(208)위에 베이스(210)가 놓여지고, 이 베이스(210)에는 띠상의 전극박 누름판(212)이 그 일단을 볼트에 의해 지지된 슬리브(213)에 고정하고, 또 토션코일스프링(214)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210)위를 주행하는 전극박(176)의 윗면을 가압하도록 작동하고 있다.
또, 상술한 천공부(288)는 일본국 특개소 62-149113호 공보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천공부(188)은 제 21도~제 2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에 의해 가이드 키(216)을 통하여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천공대(218)와, 이 천공대(218)위에 고정되고 선단부에 형성된 후술하는 천공침(232)을 끼워서 통할 수 있도록 된 다이스부(234)를 형성한 천공대 하형(218a)와, 상기 천공대(218)위에 볼트(220)(제 21도(b) 참조)에 의해 고정된 슬리브(222)를 통하여 한 쌍의 L자형 암을 개폐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한 탭폭(輻)가이드 암(224)로 구성된다.
또,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암(224)은, 한쌍의 L자형암을 축으로 지지한 경우 외측으로 각각 돌출하는 걸어멈춤부(224a), (224b)와, 제 8위치로 분할 이송된 제 3턴테이블(16)의 그립장치(160)에서 그립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161)의 편평부의 폭방향을 구속하도록 상기 한쌍의 L자형 걸어멈춤부의 다른쪽의 그립클릭(224c), (224d)를 개방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압축 코일스프링(2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으로 세워진 스탠드(226)의 상부에서 옆으로 내어붙인 암(228)의 선단에 설치되고, 한 쌍의 천공침(232)을 수직으로 유치한 홀더(230)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2도(a), (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해컨덴서용 리드선(161)의 편평부를 전극박(176)과 함께 천공침(232)에 의해 천공할 때, 이 천공침(232)를 통과시키는 다이스부(234)가 천공대(218)에 상기 천공침(232)과 동일축선상에 뚫려서 설치되어 있다.
이 다이스부는, 선단(232a)이 4각추로 형성된 천공침(232)을 뚫음으로써, 전극박(176)을 끼운 뚫린 구멍의 뒷면의 4방에 형성되는 버르(이하 버르(161a)라 함)를 리세스 구멍(234b)와 중앙에 형성되는 천공구멍(234a)으로 되는 현상의 관통구멍으로 형성된다.(제 22도(c), 23도 참조).
다음에는, 상기 버르(161a)를 리벳가공하는 리벳부(190)는, 제 24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사형(236)과, 이 상형(236)에 대해 일체화된 리드선 편평부와 전극박을 사이에 끼고 베이스(10)하부에 설치된 토글(Toggle)기구(도시생략)에 의해 상하운동하는 하형(238)으로 버르(161a)를 프레스에 의해 압축하여 밀착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전해컨덴서용 리드선은 리드선재와 알루미늄선재의 접합 및 이들 일체화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을 전극박에 교정하는 접합공정을 3개의 직렬로 인접하여 배치된 턴테이블과 공지의 분할이송기구로 분할이송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들을 기구적으로 동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최단공정으로 조립작업을 할 수 있게 되고, 턴테이블 위에 설치된 그립부는 한 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 설치하면 작업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해컨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에 의하면, 리드선 공급장치로부터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리드선재와 알루미늄선재 공급장치로부터 간헐적으로 공급되고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알루미늄선재를 인접하는 제 1분할 이송수단과 제 2분할 이송수단으로 각각을 그립하여 대향하는 위치로 분할이송하여 용접하고, 용접수단에 의해 접합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을 제 2분할 이송수단으로 그립하여 이것이 분할이송되는 상기 제 2분할 이송수단의 분할 이송위치와 대향된 위치로 분할이송하여, 이 리드선을 제 3분할 이송수단으로 교대로 그립하여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띠상의 전극박위로 분할이송하여 리드선의 편평부를 리벳접합방식으로 상기 전극박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3개의 직렬로 인접해 배치된 턴테이블에 대해, 각각의 공급장치를 병렬로 배치함으로써 바닥면적을 삭감시킬 수 있고, 각 턴테이블 사이의 분할이송 및 언동을 기구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알맞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설계변경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4)

  1. 한쪽이 봉상하고 다른쪽이 편평상으로 형성된 알루미늄선재의 봉상끝쪽에 금속 의 리드선재를 용접하는 동시에, 용접된 상기 알루미늄선재의 편평한쪽을 띠상의 전극박에 리벳접합방식으로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송급되는 리드선재를 절단하여 그 일부를 그립하고 소정위치로 분할이송되는 제 1분할이송수단과, 간헐적으로 송급되는 리드선재를 절단해서 그 일부를 그립하고 상기 제 1분할이송수단의 분할이송위치와 대향된 위치로 분할이송하는 제 2분할이송수단과, 상기 제 1, 제 2분할이송수단의 사이에 설치된 용접수단과, 이 용접수단에 의해 접합된 전해컨덴서용 리드선이 분할이송되는 상기 제 2분할이송수단의 분할 이송위치와 대향된 위치로 분할이송해서 상기 리드선을 교대해서 그립하고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띠상의 전극박 위로 분할이송하는 제 3분할이송수단과, 상기 전극박 위로 분할이송된 편평부를 리벳접속방식으로 전극박에 고정시키는 리벳접합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컨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이송수단은, 각각이 동기회동이 가능하게 직렬로 인접배치되고, 각각에 설치된 적어도 한 개의 그립부를 하나의 구동원으로 소정위치에 분할이송시키는 턴테이블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전해컨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컨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는, 상기 리드선재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리드선재 공급장치와, 소정간격으로 편평부분을 형성한 알루미늄선재를 간헐적으로 송급하는 알루미늄선재 공급장치와, 띠상의 전극박을 간헐적으로 송급하는 전극박 공급장치와, 상기 리드선 공급장치에 의해 송급되는 리드선재를 그립하는 제 1위치에서 이것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다음 제 2위치로 회동시켜 분할이송하는 제 1턴테이블과, 상기 알루미늄선재 공급장치로 송급된 알루미늄선재를 그립하는 제 3위치에서 이것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다음 제 1턴테이블의 제 2위치와 대향하는 제 4위치 및 상기 제 5위치로 각각을 회동 분할이송하는 제 2턴테이블과, 상기 제 2위치 및 제 4위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알루미늄선재와 리드선재를 용접하는 용접장치와, 이 용접장치에서 용접한 다음 상기 제 2턴테이블의 분할 이송동작으로 제 5위치로 분할이송된 상기 전해 컨덴서용 리드선에 대향하는 제 6위치로 분할이송시키고, 또 이 전해컨덴서용 리드선을 제 7 및 제 8위치로 각각 분할이송하는 제 3턴테이블과, 이 제 3턴테이블의 제 7위치에서 설치된 탭 밀어올림장치와, 상기 제 8위치로 전극박 공급장치에 의해 송급되는 전극박에 상기 리드선의 편평부를 고정시키는 리벳접합장치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전해컨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수단은, 알루미늄선재를 그립하는 마이너스전극의 제 1그립부와, 상기 알루미늄선재와 동일 축심상에 리드선재를 대향시켜 그립하는 플러스전극의 제 2그립부와, 상기 제 1그립부에 대해 제 2그립부를 축선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전해컨덴서용 리드선 조립장치.
KR1019900010492A 1990-06-08 1990-07-11 전해콘덴서용 리드선조립장치 KR0131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48711 1990-06-08
JP2148711A JP2875351B2 (ja) 1990-06-08 1990-06-08 電解コンデンサ用リード線の組立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575A KR920001575A (ko) 1992-01-30
KR0131199B1 true KR0131199B1 (ko) 1998-04-24

Family

ID=1545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492A KR0131199B1 (ko) 1990-06-08 1990-07-11 전해콘덴서용 리드선조립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75351B2 (ko)
KR (1) KR01311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20B1 (ko) * 2002-05-06 2004-11-05 주식회사 우진 산소 측정용 프로브의 용강극으로 사용되는 몰리브덴단자와 구리 와이어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장치
KR100980346B1 (ko) * 2008-07-11 2010-09-06 성호전자(주) 콘덴서 조립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502A (ko) * 2002-03-12 2003-09-19 이계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도전판의 활성탄 자동 제거장치
KR100676975B1 (ko) * 2004-11-22 2007-01-31 대우전자부품(주) 전해콘덴서의 리벳팅 및 공명 장치
JP5899877B2 (ja) * 2011-06-17 2016-04-06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470764B (zh) * 2017-08-02 2023-02-28 珠海市赛科自动化有限公司 一种二极管自动焊引线机
CN109500611A (zh) * 2019-01-15 2019-03-22 张玉仙 一种圆形电容生产机
CN109500612A (zh) * 2019-01-15 2019-03-22 张玉仙 胶质线裁切剥皮组件和胶质线点焊装置和圆形电容生产设备
CN114101542B (zh) * 2021-11-12 2024-02-27 昆山派胜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线材装配装置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20B1 (ko) * 2002-05-06 2004-11-05 주식회사 우진 산소 측정용 프로브의 용강극으로 사용되는 몰리브덴단자와 구리 와이어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장치
KR100980346B1 (ko) * 2008-07-11 2010-09-06 성호전자(주) 콘덴서 조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44206A (ja) 1992-02-14
KR920001575A (ko) 1992-01-30
JP2875351B2 (ja) 1999-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199B1 (ko) 전해콘덴서용 리드선조립장치
US4363167A (en) Method of terminating leading ends of a plurality of wires
DE290726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otor- und statorblechpaketen fuer elektrische maschinen
JP2014225591A (ja) スプライシング装置
JP3723476B2 (ja) パッケージ封止におけるリッドの位置決め治具
KR100535216B1 (ko) 전동기 전기자용 절연시트 급지장치
JP2558157B2 (ja) 非円形断面を有する箱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4971205B2 (ja) ピン打ち方法、ピン打ち装置、及びコイル製造装置
CN210575634U (zh) 一种两端接触式银触点压铆机构
CN209698367U (zh) 一种大盘卡簧焊接冲凹一体机
JP2689001B2 (ja) 線材製造装置およびピン打ち装置
JP2731023B2 (ja) リード端子の製造装置
JP2895054B1 (ja) ピン打ち機
JPH08230073A (ja) 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0128800B1 (ko)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리일압력 스프링의 제조방법
JP3059805B2 (ja) 多数の端子コネクタ用ピンをもつリード部の溶接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99723B1 (ko) 전지 극판의 터미널 절연을 위한 절연테이프 접합장치
CN216802417U (zh) 一种吻合器缝合针自动装配装置
US39369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ilter electrodes
JPH10296381A (ja) リベット締め装置、およびリベット締め装置用のマガジン式ワッシャ供給装置
CN113333650A (zh) 钩钉自动生产设备及其加工方法
JP3039869B2 (ja) 共振線の成形・組み付け方法および装置
JPH01148466A (ja) タブ端子の溶接装置
JP2807991B2 (ja) 板材の接合装置
KR100187547B1 (ko) 커팅 금형물에 적용되는 블레이드의 가공 및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