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089Y1 -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 - Google Patents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089Y1
KR0131089Y1 KR2019950021005U KR19950021005U KR0131089Y1 KR 0131089 Y1 KR0131089 Y1 KR 0131089Y1 KR 2019950021005 U KR2019950021005 U KR 2019950021005U KR 19950021005 U KR19950021005 U KR 19950021005U KR 0131089 Y1 KR0131089 Y1 KR 0131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circuit
transistor
power supply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1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434U (ko
Inventor
윤안성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21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089Y1/ko
Publication of KR970011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4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0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case of switching on or off of a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Abstract

이 고안은 전원의 온·오프시 발생되는 팝노이즈(POP NOISE)를 제거 한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 고안은 사운드신호 입력단(L, R)이 캐패시터(C3, C4)를 통해 증폭기(AMP)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AMP)의 출력단이 캐패시터(C1, C2)를 통해 각각 좌, 우스피커(LP, RP)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AMP)에는 일정전압(Vcc)이 캐패시터(C5)를 통해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통상의 사운드회로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신호 입력단(L, R)에 전원 인가시에는 사운드신호 입력을 일정시간 차단하고, 전원 차단시에는 상기 사운드신호 입력을 차단하는 노이즈제거부(10)를 연결하여 된 것이다.
따라서, 이 고안은 PC 또는 그 이외의 사운드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시 발생되는 팝노이즈를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서 사용자의 불만을 완전히 해소할 뿐 아니라 제품의 신뢰도를 가일층 향상시킨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운드 노이즈(SOUND NOISE) 제거회로
제1도는 종래의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의 일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이즈제거부 AMP : 증폭기
Q1∼Q3 : 트랜지스터 C1∼C7 : 캐패시터
LP, SP : 스피커 R1∼R3 : 저항
D1 : 다이오드
본 고안은 사운드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의 온·오프시 발생되는 팝노이즈(POP NOISE)를 제거한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컴퓨터, 특히 개인용컴퓨터(이하 PC라 함)는 다양한 멀티미디어(multi media)로서의 환경을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운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여러 유형의 제품이 선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전용스피커를 PC의 내부에 장착한 PC내장형, 전용스피커를 모니터의 스탠드에 장착한 모니터 스탠드 장착형 또는 스피커를 모니터자체에 내장한 모니터 내장형등이 있으며, 이는 종래의 컴퓨터가 외부 스피커를 사용함에 있었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멀티 미디어로서의 컴퓨터 위상을 가일층 향상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운드 증폭기를 내장하고 있는 종래의 제품에서는 전원 스위치를 온·오프할 때 사운드 증폭기내의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가 스피커를 통해 팝노이즈(POP NOISE)를 발생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 거슬리는 소리가 들리게 된다.
이를 첨부된 도면 제1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도는 종래의 사운드회로 및 노이즈 제거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사운드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좌,우측신호(L, R)는 증폭기(AMP)를 통해 증폭되고, 이 증폭된 신호는 결합 캐패시터(C1)(C2)를 통해 좌, 우스피커(LP, RP)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정상적인 사운드출력이 진행중일때 세트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경우, 즉 증폭기(AMP)로 공급되는 전원(Vcc)이 스위치(SW)의 동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경우에는 캐패시터(C1, C2)에 충전된 전류가 순간적으로 스피커(LP, RP)에 유기되면서 퍽하는 소리의 팝노이즈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팝노이즈는 상기 사운드입력신호(L, R)의 볼륨(volume)제어에 따라 소리의 세기가 더 커짐으로서 사용자의 귀에 거슬리는 잡음으로 되어 왔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사운드신호 입력단에 트랜지스터(Q1, Q2) 및 뮤트용 스윙치(MSW)를 연결 구성하여, 상기 뮤트용 스위치(MSW)를 온하여 트랜지스터(Q1, Q2)를 턴온시킴으로서 입력신호를 뮤트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이러한 회로 역시 증폭기(AMP)에 인가되는 전원(Vcc)의 온,오프와 동일한 팝노이즈가 발생되어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사운드회로의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사운드입력단의 신호를 뮤트 시킴으로서 팝노이즈를 완벽하게 제거하도록 한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운드신호 입력단이 캐패시터를 통해 증폭기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이 캐패시터를 통해 각각 좌,우 스피커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에는 일정전압이 캐패시터를 통해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통상의 사운드회로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신호 입력단에 전원 인가시에는 사운드신호 입력을 일정시간 차단하고, 전원 차단시에는 상기 사운드신호 입력을 차단하는 노이즈제거부를 연결하여 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참조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의 일실시예로서, 사운드 신호 입력단(L, R)이 캐패시터(C3, C4)를 통해 증폭기(AMP)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AMP)의 출력단이 캐패시터(C1, C2)를 통해 각각의 좌, 우스피커(LP, RP)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AMP)에는 일정전압(Vcc)이 캐패시터(C5)를 통해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통상의 사운드회로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사운드신호 입력단(L, R)에 노이즈제거부(10)를 연결하여 된 것이다.
상기 노이즈제거부(10)는 전원(Vcc) 오프시 공급되는 5V의 스탠바이(stand-by)전압이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Q30)의 에미터단에 연결되고, 일정전압(Vcc)이 캐패시터(C7)를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됨과 아울러 다이오드(D1)를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단이 병렬연결된 캐패시터(C6) 및 저항(R2)과 연결되고, 또 저항(R1)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1, Q2)의 컬렉터단이 상기 증폭기(AMP)의 입력단(L, R)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패시터(C1∼C4)는 사운드신호 입,출력 결합용이고, 트랜지스터(Q1, Q2)는 뮤트용 스위칭소자이고, 트랜지스터(Q3)는 뮤트구동소자이고, 저항(R1, R2)는 트랜지스터(Q1, Q2)의 전압 분배용이고, 캐패시터(C7)는 오프시 지연용이고, 다이오드(D1)는 트랜지스터(Q3) 보호 및 스피드업용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동작을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정상적인 전원(Vcc)이 공급되어 좌,우측 사운드신호(L, R)가 캐패시터(C3, C4)를 통해 증폭기(AMP)로 입력되어 상기 증폭기(AMP)가 정상동작되고, 상기 증폭기(AMP)를 통해 출력된 사운드신호가 캐패시터(C1, C2)를 거쳐 좌,우측 스피커(LS, RS)로 출력되는 통상의 동작에 있어서, 먼저 전원(Vcc) 오프(OF)시에는 스탠바이의 5V 전압이 저항(R3)를 통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단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공급되던 전원(Vcc)이 차단되어 캐패시터(C7)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트랜지스터(3)의 베이스로 순간 방전함으로서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어 상기 스탠바이 전압(5V)은 트랜지스터(Q3)을 통하고 캐패시터(C6)를 통해 저항(R1)과 저항(R2)에 분압되어 트랜지스터(Q1, Q2)를 턴온 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Q1, Q2)의 턴온으로 증폭기(AMP)의 입력단에 인가 되던 사운드신호(L, R)가 차단되어 사운드음이 소거된다. 결국 팝노이즈는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은 증폭기(AMP)의 공급전원(Vcc)이 캐패시터(C7)를 충전시킴에 따라 증폭기(AMP)의 오프시 전원(Vcc)이 떨어지게되어 상기 캐패시터(C7)에 충전된 전하가 다이오드(D1)를 통해 순간적인 방전하게 된다.
이때 오프타임(OFF TIME) 및 온타임(ON TIME)에 따른 설정은 캐패시터(C7)와 트랜지스터(Q3)의 온·오프시간에 맞추어 일정 시정수를 설정함으로서 이상적으로 팝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Vcc)이 온되는 경우, 순간적인 전원(Vcc) 인가에 따라 사운드회로의 증폭기(AMP)가 동작되었을때, 캐패시터(C6)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에 일정 시간동안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 Q2)가 턴온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순간적인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PC 또는 그 이외의 사운드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시 발생되는 팝노이즈를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서 사용자의 불만을 완전히 해소할 뿐아니라 제품의 신뢰도를 가일층 향상시킨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그 구성요지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함을 당업자는 유의해야 한다.

Claims (4)

  1. 사운드신호 입력단(L, R)이 캐패시터(C3, C4)를 통해 증폭기(AMP)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AMP)의 출력단이 캐패시터(C1, C2)를 통해 각각 좌, 우스피커(LP, RP)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AMP)에는 일정전압(Vcc)이 캐패시터(C5)를 통해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통상의 사운드회로에 있어서, 전원(Vcc) 오프시 스탠바이(stand-by)전압을 이미터단에 제공받는 트랜지스터(Q3)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연결되어 일정전압(Vcc)을 제공받는 제1충방전수단(C7)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과 에미터단에 공통접속된 다이오드(D1)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단에 병렬연결된 제2충방전 수단(C3, C4)과, 상기 제2충방전 수단(C3, C4)과 상기 증폭기(AMP)의 입력단에 공통접속된 트랜지스터들(Q1, Q2)로 이루어진 노이즈제거부(10)가 부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
  2. 사운드회로의 전원공급 스위칭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에 있어서; 사운드 회로에 제공되는 전원이 차단될 때 스탠바이 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3)와, 방전동작을 통해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Q3)의 스위칭 동작에 필한 동작전원을 제공하는 캐패시터(C7)와,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Q3)의 출력 전압에 따라 동작되어 사운드부에 충전된 전하를 그라운드로 방전하는 다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Q1, Q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Q3)는 에미터단에 스탠바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상기 캐패시터(C7)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
KR2019950021005U 1995-08-16 1995-08-16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 KR0131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005U KR0131089Y1 (ko) 1995-08-16 1995-08-16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005U KR0131089Y1 (ko) 1995-08-16 1995-08-16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434U KR970011434U (ko) 1997-03-29
KR0131089Y1 true KR0131089Y1 (ko) 1999-03-20

Family

ID=1942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1005U KR0131089Y1 (ko) 1995-08-16 1995-08-16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0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203B1 (ko) * 2003-12-26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이즈 제거기능을 갖는 사운드 회로
KR101288939B1 (ko) * 2006-08-24 2013-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전화기의 잡음 제거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434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3927A (en) Integrated audio amplifier with combined regulation of the "mute" and "standby" functions and the switching transients
US7259619B2 (en) Amplifier circuit with reduced power-on transients and method thereof
EP0785501B1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audio noise when power is cycled to a computer
US6316993B1 (en) Analog circuitry for start-up glitch suppression
US6040740A (en) Audio transient suppression device
JPH06261386A (ja) ミューティング制御回路
KR0131089Y1 (ko)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
JPH08213849A (ja) 音声ミュート回路
US7113031B2 (en) Audio amplifier circuit with suppression of unwanted noise when powered on from standby
JPH0221686B2 (ko)
JPS6145622Y2 (ko)
KR920006206Y1 (ko) 오디오 뮤팅회로
KR200146060Y1 (ko) 팝노이즈 제거회로
KR20020069463A (ko) 오디오 기기의 팝 노이즈 제거 회로
JPH11163648A (ja) 音声ミュート回路
KR820001568Y1 (ko) 뮤팅 회로
JPS643363B2 (ko)
KR200193387Y1 (ko) 오디오장치의뮤트회로
JP3172458B2 (ja) 無線機
JP2001358542A (ja) 位相切替回路
JP2003179441A (ja) 音声出力回路
JPH0722898Y2 (ja) ポップ音防止回路
KR890006639Y1 (ko) 음향기기의 뮤팅 회로
KR940003349B1 (ko) 과도상태시 팦콘노이즈가 없는 증폭기
JPS6085608A (ja) 増幅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