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060Y1 - 팝노이즈 제거회로 - Google Patents

팝노이즈 제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060Y1
KR200146060Y1 KR2019950031743U KR19950031743U KR200146060Y1 KR 200146060 Y1 KR200146060 Y1 KR 200146060Y1 KR 2019950031743 U KR2019950031743 U KR 2019950031743U KR 19950031743 U KR19950031743 U KR 19950031743U KR 200146060 Y1 KR200146060 Y1 KR 200146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voltage
transistor
turned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1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012U (ko
Inventor
이흥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31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060Y1/ko
Publication of KR970020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0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0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case of switching on or off of a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Abstract

개시된 고안은 전원 온(ON)/오프(OFF)시에 발생하는 팝노이즈를 제거하여 양호한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수 있는 팝노이즈 제거회로레 관한 것이다. 개시된 고안은 입력 오디오신호를 일정크기로 중폭하여 출력하는 출력앰프와, 일정크기로 중폭된 오디오신호를 뮤트하기 위한 뮤트부와, 전원 온(ON)/오프(OFF)시 출력앰프와 뮤트부 사이에 일정전압이 걸리도록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부와, 출력앰프, 기준전압발생부, 및 뮤트부에 팝노이즈 제거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개시된 고안은 전원 온/오프시에 발생하는 팝 노이즈를 제거하여 양호한 오디오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팝노이즈 제거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노이즈 제거회로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서 기준전압발생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제3도는 제2도에서 제2버퍼 및 제3버퍼를 나타내는 상세도.
제4도는 제1도에서 팝노이즈제어신호생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출력앰프 12 : 뮤트뷰
13 : 기준전압발생부 14 :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
본 고안은 오디오신호처리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온(ON)·오프(OFF)에 따른 팝노이즈(Pop Noise) 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VTR 또는 오디오기기 등에서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출력앰프를 통해 바로 스피커로 출력한다. 그러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경우 팝노이즈가 생겨 귀에 거슬리는 소리가 들리게 된다. 즉, 전원 온시에 출력앰프의 출력이 그라운드전압에서 순간적으로 일정 직류(DC) 전압으로 상승하게 되고, 전원 오프시에 출력앰프의 출력이 일정 직류전압에서 순간적으로 그라운드전압으로 떨어지게 됨에 따라 빡하는 폭음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귀를 거슬리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 온·오프시 출력앰프의 출력을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하여 팝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팝노이즈 제거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팝노이즈 제거회로는 오디오신호를 제어하는 출력앰프와 뮤트부를 구비한 오디오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 전원은 온·오프에 따라 출력앰프와 뮤트부 사이에 걸리는 전위가 급격히 상승 내지 하강하지 않고 일정전압으로 유지되도록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부, 및 전원 온·오프에 따라 발생하는 팝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전원 온·오프시에 상기 출력앰프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뮤트부가 뮤트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준전압발생부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팝노이즈 제거회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출력앰프(11)와 미도시된 스피커 사이에 위치하며,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팝노이즈 제거를 위해 필요한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와,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부터 인가되는 뮤트제어신호에 따라 출력앰프(11)에서 줄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뮤트(Mute)시키기 위한 뮤트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뮤트부(12)는 뮤트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와, 콘덴서(C1) 및 저항(R1,RL)으로 이루어진다.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와 뮤트부(12) 사이에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 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전압(Vref)을 출력앰프(11)의 출력전위로 인가하는 기준전압발생부(13)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팝노이즈 제거회로에 대한 동작을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미도시된 오디오신호처리부에서 신호처리된 오디오신호(Audio)는 출력앰프(11)로 입력되어 일정크기로 증폭된 후 출력된다. 일정크기로 증폭된 오디오신호는 사용자가 청취가능하도록 미도시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출력앰프(1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기 전에 뮤트부(12)를 거치게 된다. 뮤트부(12)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부터 인가되는 뮤트제어신호(CON_MUTE)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온·오프되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뮤트시킨다. 뮤트부(12)는 트랜지스터(Q1)가 오프(OFF)인 경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키지 않고 출력한다. 반면에, 트랜지스터(Q1)가 온(ON)인 경우에는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크기를 소정비로 감소시켜 뮤트한다. 여기서 감소되는 크기비는이 된다. 이때, 저항 Ron은 저항 RL과 트랜지스터(Q1)에 의해 얻어지는 합성저항으로, 저항 R1에 비해서 아주 작다.
한편,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발생하는 팝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는 전원 온 또는 오프시 출력앰프(11)를 오프(OFF)시키고, 기준전압발생부(13)를 구동시킨다. 출력앰프(11)는 팝노이즈신호발생부(14)에 의해 오프(OFF)되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Audio)에 대한 크기증폭 및 출력을 하지 않는다. 기준전압발생부(13)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에 의해 구동되어 구동전압 Vcc를 1/2로 분압한 기준전압을 오프(OFF)된 출력앰프(11)의 출력측으로 인가한다. 기준전압발생부(13)에 대해서는 제2도에 도시하였다.
제2도는 제1도에서 기준전압발생부(13)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전압발생부(13)는 구동전압 Vcc를 순차적으로 분압하는 저항(R2~R5)과, 저항(R3)과 저항(R4) 사이에 연결되어 1/2Vcc의 분압전압을 완충시켜 출력하는 제1버퍼(21)를 구비하고 있다. 제1버퍼(21)에는 저항(R2)과 저항(R3) 사이에 연결되어 3/4Vcc의 분압전압을 구동전압으로 공급받으며,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제1버퍼(21)를 통해 출력되는 1/2Vcc의 분압전압을 완충시키는 제2버퍼(22)가 연결된다. 제1버퍼(21)에는 또한, 구동전압 Vcc에 따라 구동되며,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제1버퍼(21)를 통해 출력되는 1/2Vcc의 분압전압을 완충시키는 제3버퍼(23)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준전압발생부(13)는 구동전압 Vcc을 분배저항(R2)에 따라 3/4Vcc로 분배하고, 저항(R2)과 콘덴서(C2)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 일정시간 후에 분배된 3/4Vcc 전압이 C점에 걸리게 된다. 그런 다음, 3/4Vcc 전압은 분배저항(R3)에 의해 1/2Vcc로 분배되어 D점에 걸리게 된다. 제1버퍼(21)는 D점에 걸리는 1/2Vcc 전압을 완충시켜 출력한다. 제1버퍼(21)에서 출력되는 1/2Vcc 전압은 제2버퍼(22)와 제3버퍼(23)로 각각 입력된다. 제2버퍼(22)는 C점에 걸리는 3/4Vcc 전압에 의해 구동되며,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부터 인가되는 제1제어신호(CON_OFF)가 하이(High)레벨인 경우 온(ON)상태가 되어 입력되는 1/2Vcc 전압을 기준전압(Vref)으로 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제1제어신호(CON_OFF)는 전원 오프시에 하이(High)레벨이 되며, 1/2Vcc의 기준전압(Vref)은 출력앰프(11)의 출력에 걸리게 된다. 그래서, 전원 오프시에 출력앰프(11)의 출력전압이 일정직류전압에서 그라운드로 급작히 떨어지지 않고 1/2Vcc의 기준전압(Vref)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제3버퍼(23)는 Vcc 전압에 의해 구동되며,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부터 인가되는 제2제어신호(CON_ON)에 따라 온·오프된다. 제3버퍼(23)는 제2제어신호(CON_ON)가 하이(High)레벨인 경우 온(ON)상태가 되어 입력되는 1/2Vcc 전압을 기준전압(Vref)으로 하여 출력한다. 여기서도 제2제어신호(CON_ON)는 전원 온시에 하이(High)레벨이 되며, 1/2Vcc의 기준전압(Vref)은 출력앰프(11)의 출력에 걸리게 된다. 즉,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는 전원 온시에 로우(Low)레벨의 제1제어신호(CON_OFF)와 하이(High)레벨의 제2제어신호(CON_ON)를 발생하여 제2버퍼(22)는 오프(OFF)시키고 제3버퍼(23)는 온(ON)시킨다. 반대로,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는 전원 오프시에 하이(High)레벨의 제1제어신호(CON_OFF)와 로우(Low)레벨의 제2제어신호(CON_ON)를 발생하여 제2버퍼(22)는 온(ON)시키고 제3버퍼(24)는 오프(OFF)시킨다. 제2버퍼(22)와 제3버퍼(23)에 대해서는 제3도에 도시하였다.
제3(a)도는 제2도에서 제2버퍼(22)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제3(b)도는 제2도에서 제3버퍼(23)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버퍼(22) 및 제3버퍼(23)는 동일하게 구성되며, 제2버퍼(22)는 3/4Vcc 전압을 구동전압으로 인가받는 대신에 제3버퍼(23)는 Vcc 전압을 구동전압으로 인가받는다. 제2버퍼(22)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부터 제1제어신호(CON_OFF)를 제4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로 인가받는다. 제4트랜지스터(Q4)는 베이스에 인가되는 제1제어신호(CON_OFF)가 하이(High)레벨이면 턴온되고, 로우(Low)레벨이면 턴오프된다. 제4트랜지스터(Q4)가 온상태에서 제2버퍼(22)는 대칭성 즉, 전류미러에 의해 제5트랜지스터(Q5)와 제6트래지스터(Q6)에 흐르는 전류가 같게 된다. 그래서,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1/2Vcc 전압이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측에 걸리게 되고, 이 1/2Vcc 전압은 기준전압(Vref)으로 출력앰프(11)와 뮤트부(12) 사이에 걸리게 된다. 반면에, 제4트랜지스터(Q4)가 오프상태에서 제2버퍼(22)는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1/2Vcc 전압을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측으로 전달하지 못한다.
한편, 제3버퍼(23)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부터 제2제어신호(CON_ON)를 제9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로 인가받는다. 제9트랜지스터(Q9)는 베이스에 인가되는 제2제어신호(CON_ON)가 하이(High)레벨이면 턴온되고, 로우(Low)레벨이면 턴오프된다. 제9트랜지스터(Q9)가 온상태에서 제3버퍼(23)는 전류미러 때문에 제10트랜지스터(Q10)와 제11트랜지스터(Q11)에 흐르는 전류가 같게 된다. 그래서, 제7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1/2Vcc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제8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측에 걸리게 되고, 이 1/2Vcc 전압은 기준전압(Vref)으로 출력앰프(11)와 뮤트부(12) 사이에 걸리게 된다. 반면에, 제9트랜지스터(Q9)가 오프상태에서 제3버퍼(23)는 제7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1/2Vcc 전압을 제8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측으로 전달하지 못한다.
위와 같은 제2버퍼(22) 및 제3버퍼(23)에 전원 온(ON) 및 오프(OFF)시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에 대해서는 제4도를 통해 설명한다.
제4도는 제1도에서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는 전원을 온시키는 순간 A점에 걸리는 전압이 B점에 걸리는 전압보다 크게 된다(AB). 즉, A점에 걸리는 전압은이고, B점에 걸리는 전압은 저항(R10)과 콘덴서(C3)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동안 구동전원 Vcc가 콘덴서(C3)에 충전되어 그라운드(GND)가 된다. 이때, 제12트랜지스터(Q12)는 베이스에 걸리는 A점 전압에 의해 온(ON)되고, 반면에 제13트랜지스터(Q13)는 베이스에 걸리는 B점 전압에 의해 오프(OFF)되어 제15트랜지스터(Q15) 내지 제18트랜지스터(Q18)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18트랜지스터(Q18)의 콜렉터에 연결된 제22트랜지스터(Q22)의 베이스를 통해 하이(High)레벨의 제2제어신호(CON_ON)가 출력된다. 또한, 제17트랜지스터(Q17)의 콜렉터에 연결된 제24트랜지스터(Q24)의 베이스를 통해 출력앰프(11)를 오프(OFF)시키기 위한 하이(High)레벨의 제3제어신호(CON_AMP)가 출력된다. 제16트랜지스터(Q16)의 콜렉터를 통해서는 뮤트를 위한 뮤트제어신호(CON_MUTE)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전원이 온(ON)되는 경우에 출력앰프(11)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부터 하이(High)레벨의 베3제어신호(CON_AMP)를 인가받아 오프(OFF)상태가 된다. 그리고, 기준전압발생부(13)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부터 하이(High)레벨의 제2신호(CON_ON)를 인가받아 제3버퍼(23)를 인에이블상태로 만들고, 제3버퍼(23)를 통해 1/2Vcc의 기준전압(Vref)을 출력앰프(11)와 뮤트부(12) 사이의 전압으로 인가한다. 그래서, 전원 온(ON)시 출력앰프(11)와 뮤트부(12) 사이의 전압이 그라운드에서 순간적으로 일정 직류(DC)전압으로 상승하지 않고 일정한 1/2Vcc 전압이 된다. 또한, 뮤트부(12)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부터 뮤트제어신호(CON_MUTE)를 인가받아 제1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고, 그에 따라 스피커(미도시됨)로 송출되는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킨다. 따라서, 전원 온시에 발생하는 팝노이즈성분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전원이 온(ON)된 후 저항(R10)과 콘덴서(C3)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만큼의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콘덴서(C3)에서 충전을 하게 되어 B점에 걸리는 전압이 서서히 증가하게 된다. 그래서, A점에 걸리는 전압보다 B점에 걸리는 전압이 커지게 되면(AB), 제12트랜지스터(Q12)는 베이스에 걸리는 A점 전압에 의해 오프(OFF)되고, 반면에 제13트랜지스터(Q13)는 베이스에 걸리는 B점 전압에 의해 온(ON)되어 제15트랜지스터(Q15) 내지 제18트랜지스터(Q18)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8트랜지스터(Q18)의 콜렉터에 연결된 제22트랜지스터(Q22)의 베이스를 통해 로우(Low)레벨의 제2제어신호(CON_ON)가 출력된다. 또한, 제17트랜지스터(Q17)의 콜렉터에 연결된 제24트랜지스터(Q24)의 베이스를 통해 출력앰프(11)로 로우(Low)레벨의 제3제어신호(CON_AMP)가 출력된다. 제16트랜지스터(Q16)의 콜렉터를 통해서는 뮤트부(12)측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 온됨에 따라 발생되는 팝노이즈가 제거된 양호한 오디오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청취가능하게 된다.
제4도에서,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는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순간 A점에 걸리는 전압이 그라운드(GND)가 되고, B점에 걸리는 전압이 콘덴서(C3)의 충전전압에 의해 A점 전압보다 크게 된다(AB). 이에 따라 B점 전압을 에미터를 통해 구동전압으로 공급받는 제19트랜지스터(Q19) 내지 제21트랜지스터(Q21)는 온(ON)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21트랜지스터(Q21)의 콜렉터에 연결된 제23트랜지스터(Q23)의 베이스를 통해 하이(High)레벨의 제1제어신호(CON_OFF)가 출력된다. 또한, 제20트랜지스터(Q20)의 콜렉터에 연결된 제24트랜지스터(Q24)의 베이스를 통해 출력앰프(11)를 오프(OFF)시키기 위한 하이(High)레벨의 제3제어신호(CON_AMP)출력된다. 제19트랜지스터(Q19)의 콜렉터를 통해서는 뮤트를 위한 뮤트제어신호(CON_MUTE)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전원이 오프(OFF)되는 경우에 출력앰프(11)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부터 하이(High)레벨의 제3제어신호(CON_AMP)를 인가받아 오프(OFF)상태가 된다. 그리고, 기준전압발생부(13)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부터 하이(High)레벨의 제1제어신호(CON_OFF)를 인가받아 제2버퍼(22)를 인에이블상태로 만들고, 제2버퍼(22)를 통해 1/2Vcc의 기준전압(Vref)을 출력앰프(11)와 뮤트부(12)사이의 전압으로 인가한다. 그래서, 전원 오프(OFF)시 출력앰프(11)와 뮤트부(12) 사이의 전압이 일정 직류(DC)전압에서 그라운드로 떨어지지 않고 일정한 1/2Vcc 전압이 된다. 또한, 뮤트부(12)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14)로부터 뮤트제어신호(CON_MUTE)를 인가받아 제1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고, 그에 따라 스피커(미도시됨)로 송출되는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킨다. 따라서, 전원 오프시에 발생하는 팝노이즈성분을 제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팝노이즈 제거회로에 관한 것으로 전원 온(ON)/오프(OFF)시에 출력앰프와 뮤트부 사이에 걸리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팝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수 있으며, 오디오신호처리 활용에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오디오신호를 제어하는 출력앰프와 뮤트부를 구비한 오디오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 전원 온·오프에 따라 출력앰프와 뮤트부 사이에 걸리는 전위가 급격히 상승 내지 하강하지 않고 일정전압으로 유지되도록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부; 및 전원 온·오프에 따라 발생하는 팝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전원 온·오프시에 상기 출력앰프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뮤트부가 뮤트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준전압발생부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팝노이즈 제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발생부는 구동전압을 1/2로 분압하여 기준전압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노이즈 제거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발생부는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분압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저항들; 상기 구동전압의 1/2 분압전압을 완충시켜 출력하는 제1버퍼; 상기 구동전압의 3/4 분압전압을 구동전압으로 인가받고, 상기 제1버퍼에서 출력된 1/2 분압전압을 상기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제어신호에 따라 완충시켜 출력하는 제2버퍼; 및 상기 제1버퍼에서 출력된 1/2 분압전압을 상기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제어신호에 따라 완충시켜 출력하는 제3버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노이즈 제거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발생부에서 상기 제2버퍼는 상기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로부터 제1레벨의 제1제어신호가 인가될 때 입력되는1/2 분압전압을 기준전압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3버퍼는 상기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로부터 제1레벨의 제2제어신호가 인가될 때 입력되는 1/2 분압전압을 기준전압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노이즈 제거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는 전원 온시 일정시간동안 상기 기준전압발생부의 제2버퍼로 제2레벨의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3버퍼로 제1레벨의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전원 오프시 일정시간동안 상기 제2버퍼로 제1레벨의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3버퍼로 제2레벨의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노이즈 제거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팝노이즈제어신호발생부는 전원 온 및 오프시 상대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 구동전압과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트랜지스터가 턴온될 때 턴온되는 제3트랜지스터; 상기 제3트랜지스터가 턴온될 때 턴온되어 제1레벨의 제2제어신호와, 출력앰프제어신호, 및 뮤트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4 내지 제6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가 턴온될 때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걸리는 전압을 구동전압으로 인가받아 턴온되어 제1레벨의 제1제어신호와, 출력앰프제어신호, 및 뮤트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7 내지 제9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전원 온시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압이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전압보다 저항과 콘덴서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의한 시간동안 크게 되어 상기 제1트랜지스터는 턴온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는 턴오프되며, 전원 오프시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압은 그라운드되어 턴오프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전압은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턴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노이즈 제거회로.
KR2019950031743U 1995-10-31 1995-10-31 팝노이즈 제거회로 KR200146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743U KR200146060Y1 (ko) 1995-10-31 1995-10-31 팝노이즈 제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743U KR200146060Y1 (ko) 1995-10-31 1995-10-31 팝노이즈 제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012U KR970020012U (ko) 1997-05-26
KR200146060Y1 true KR200146060Y1 (ko) 1999-06-15

Family

ID=1942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1743U KR200146060Y1 (ko) 1995-10-31 1995-10-31 팝노이즈 제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0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203B1 (ko) * 2003-12-26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이즈 제거기능을 갖는 사운드 회로
KR100770747B1 (ko) * 2006-08-23 2007-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앰프 및 음성 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012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8793B2 (en) Apparatus and muting circuit
US7974419B2 (en) Pop sound prevention module and speaker apparatus thereof
KR970013821A (ko) 고이득 증폭 회로(high-gain amplifier circuit)
JPH06261386A (ja) ミューティング制御回路
US7940940B2 (en) Mu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2000106511A (ja) パワーアンプic
KR200146060Y1 (ko) 팝노이즈 제거회로
US20090284314A1 (en) Audio amplifier
WO1998045938A1 (en) Audio transient suppression device
US20090274319A1 (en) Audio amplifier
TW201340590A (zh) 音訊放大裝置
US20040239418A1 (en) Mute circuit and BTL audio amplifier apparatus
JP2868980B2 (ja) Cdロムシステムのディジタルノイズ除去回路
KR20090034718A (ko) 음성출력장치 및 음성출력 방법
JP5081376B2 (ja) 増幅回路
US20070093222A1 (en) Audio muting circuit and audio muting method
US20080144857A1 (en) Audio signal output circuit capable of decreasing pop noise
JP3038426B2 (ja) 非反転増幅回路
US20120019290A1 (en) Input circuit
GB2334841A (en) Class A audio amplifier with current sink controlled by feedback in dependence on speaker current
US20090284313A1 (en) Audio amplifier
KR920022883A (ko) 복수의 시상수 신호 제어 장치
EP0328180A1 (en) Amplifier arrangement with output-swing limitation
JPH0738342A (ja) プリアンプ
KR0131089Y1 (ko)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