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568Y1 - 뮤팅 회로 - Google Patents

뮤팅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568Y1
KR820001568Y1 KR2019810002310U KR810002310U KR820001568Y1 KR 820001568 Y1 KR820001568 Y1 KR 820001568Y1 KR 2019810002310 U KR2019810002310 U KR 2019810002310U KR 810002310 U KR810002310 U KR 810002310U KR 820001568 Y1 KR820001568 Y1 KR 820001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ting
switching
output
tim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2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10002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5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5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04B1/1615Switching on; Switching off, e.g. remot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뮤팅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 설명도.
본 고안은 음향기기, 통신기기나 콤퓨터 등에서 전원 스위치의 절환(ON,OFF)시 뿐만 아니라, 기능 전환 스위치의 절환(ON,OFF)시에 발생되는 잡음 펄스를 뮤트(mute)시키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임의의 시간 동안 출력을 뮤트시킬 수 있도록 된 뮤팅(muting)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원 스위치 절환(ON,OFF)시에 발생되는 잡음펄스를 뮤팅(muting)시킬 뿐, 기능 전환시나 임의의 시간동안 출력을 뮤트 시킬 수는 없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음향기기, 통신기기, 콤퓨터 등의 증폭부의 출력단에 각각 뮤팅 트랜지스터를 연결하여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면 출력이 뮤트되도록 하고 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의 접속점과 전원부 사이에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두 회로와 이에 각각 다이오드, 저항,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시킨 두 회로를 다시 병렬로 접속시키므로서 기능전환시의 펄스를 뮤트시키도록 하고 뮤팅스위치를 연결시키어 임의의 시간동안 출력이 뮤트되도록 하며 전원부와 접지 사이에 콘덴서를 연결하고 트랜지스터, 제너 다이오드, 저항, 콘덴서로 된 회로에 저항을 병렬로 연결시키므로서 전원스위치 온, 오프 시의 펄스를 뮤트시키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부(가)의 출력단자(A)에 임의의 기능을 가지는 회로(CC1)와 저항(R1), 다이오드(D1), 콘덴서(C1)를 병렬로 접속시키어 되는 기능전환부(나) 회로 및 또 다른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회로(CC2)와 저항(R2), 다이오드(D2), 콘덴서(C2)를 병렬로 접속시키어 되는 기능전환부(다)회로를 다시 병렬로 접속시키고, 그 타단(B)을 다이오드(D3,D4) 및 저항(R4,R7)을 통하여 뮤팅트랜지스터(Tr2,Tr3)의 베이스에 접속시키어 기능 전환시 발생되는 펄스를 뮤트 되도록 하고 (A)점과 접지 사이에 콘덴서(C4)를 연결하며, (A)점에 저항(R6), 콘덴서(C3), 제너다이오드(D6), 트랜지스터(Tr1)로 구성된 회로와 저항(R5)을 병렬로 접속시키어 그 타단(D)을 다이오드(D5)에 접속하여 되는 뮤팅 제어단(라)을 다이오드(D3,D4)를 통하여 뮤팅트랜지스터(Tr2,Tr3)에 연결 시키므로서 전원부(가)의 전원스위치(SW-4) 절환(ON,OFF)시의 잡음 펄스를 뮤트되도록 하고, 상기 (A)점과 다이오드(D3)와 다이오드(D4)의 접속점(C) 사이에 뮤팅 스위치(SW-3), 저항(R3)을 직렬로 접속하여 다이오드(D4)를 통하여 트랜지스터(Tr2,Tr3)에 연결시키어 사용자가 임의의 시간동안 출력을 뮤트시킬 수 있도록 하며, 임의의 기능을 가진 회로(CC1)(CC2)의 단자(G)(H)에 연결되어 그들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Amp1, Amp2)의 출력단(E,F)에 뮤팅 트랜지스터(Tr2,Tr3)를 연결시키어 구성된다.
여기서 임의의 기능을 가진 회로(CC1)(CC2)는 1개의 시스템 내에 구성되어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회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1개의 음향기기 내에 라디오 기능을 가진 회로와 테이프 레코더 기능을 가진 회로가 있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원스위치를 온(ON)하면 잡음펄스가 발생되고, 이 잡음펄스는 두 회로(CC1)또는 (CC2)중 선택된 어느 한 회로를 통하여 증폭기(Amp1, Amp2)의 입력단자(G,H)에 전달되고 이로 인하여 증폭기(Amp1, Amp2)의 출력에는 제2도의 (0-t1)시간에서와 같은 펄스 출력이 발생된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이 펄스 신호가 뮤팅 제어단(라)에 전달되어서 저항(R6) 및 콘덴서(C3)를 통하여 콘덴서(C3)를 충전시키고 또한 저항(R5)을 통하여 다이오드(D5,D3,D4)를 거쳐서 뮤팅 트랜지스터(Tr2,Tr3)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따라서 뮤팅 트랜지스터(Tr2,Tr3)가 도통되어 잡음 펄스에 의하여 발생된 증폭기(Amp1)( Amp2)의 출력단자(E)(F)의 잡음 신호를 뮤팅 시키게 되므로서 전원 스위치(SW-4) 온시에 발생된 잡음이 뮤트되는 것이다.
그러다가 뮤팅 제어단(라)의 콘덴서(C2)가 충전되어 충전전위가 제너 다이오드(D6)의 정격 전압이상이 되면(제2도의 t1순간), 콘덴서(C3)의 전압은 제너 다이오드(D6)를 통하여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트랜지스터(Tr1)가 도통 되므로 접속점(D)의 전위는 접지 상태가 되므로 저항(R5)을 통하여 뮤팅 트랜지스터(Tr2,Tr3)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증폭기(Amp1,Amp2)의 출력신호는 뮤팅되지 않고 정상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제2도의 t1-t2)
이 경우에 있어서 스위치(SW-4)를 온(ON)하여 발생된 펄스 신호가 안정된 전압으로 될때까지의 시간(제2도의 0-t1)에 콘덴서(C3)의 시정수에 따라 콘덴서(C3)의 충전 전위가 제너 다이오드(D6)의 정격 전압이상이 될때까지의 시간을 일치시키면 전원스위치(SW-4)를 온할때 증폭기 (Amp1)( Amp2)의 출력에 잡음펄스가 발생되는 시간 동안은 뮤팅 트랜지스터(Tr2)(Tr3)에 의하여 잡음 펄스가 뮤팅되고 그 시간이 지난 후 잡음펄스가 안정된면(제2도의 t1-t2) 뮤팅 트랜지스터(Tr2,Tr3)가 오프되어 증폭기(Amp1,Amp2)는 정상적으로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전원스위치(SW-4)를 오프 하는 경우를 보면, 이 경우에도 역시 잡음 펄스가 발생되어 증폭기(Amp1)(Amp2)의 입력단자(G)(H)에 전달되며, 증폭기(Amp1)( Amp2)의 출력단(E)(F)에는 제2도의 (t6)이후와 같이 펄스 신호가 발생되지만, 이와 동시에 전원 스위치(SW-4)의 오프로 인하여 콘덴서(C3)가 방전되므로서 그 충전 전압도 제너 다이오드(D6)의 정격 전압 이하로 감소하여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되고 따라서 저항(R5)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다이오드(D5,D3,D4)를 거쳐서 뮤팅 트랜지스터(Tr2)(Tr3)에 공급되므로 뮤팅 트랜지스터(Tr2,Tr3)가 도통되어 증폭기(Amp1,Amp2)의 출력단자(E,F)의 신호를 뮤트시킨다.
다음에 전원 스위치(SW-4)를 온하여 임의의 기능을 가진 회로 (CC1)(CC2) 중에 어느 하나의 회로가 동작하다가 연동 스위치(SW-1,SW-2)를 절환하여 다른 기능을 가진 회로가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CC1은 라디오 기능을 가진 회로이고, CC2는 녹음기 기능을 가진 회로라고 하고 먼저 라디오 회로(CC1)가 동작되는 중이라고 가정하면,
셋째, 이 경우 스위치(SW-1,SW-2)는 도면에 표시된 위치로 절환되어 있는 상태이며 사용자가 라디오를 청취하다가 녹음기를 듣기 위하여 기능 전환 스위치(SW-1,SW-2)를 접점(1)으로부터 접점(2)으로 절환하면(제2도의 t2시간), 이때 스위치(SW-1,SW-2)의 절환으로 인하여 잡음펄스가 발생되어 증폭기(Amp1)(Amp2)의 입력단자(G)(H)에 전달되어 출력단자(E)(F)에는 잡음신호가 출력되지만(제2도의 t2-t3) 이와 동시에 스위치(SW-1,SW-2) 절환전에 콘덴서(C1)에 충전되었던 전압이 스위치(SW-1,SW-2) 절환후 저항(R1)을 통하여 다이오드(D3,D4)를 거쳐서 뮤팅 트랜지스터(Tr2)(Tr3)가 도통되어 단자(E)(F)에 발생된 잡음신호를 뮤팅 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위치(SW-1,SW-2)를 접점(2)측으로 절환시에 발상된 잡음 신호가 발생되었다가 안정된 전압으로 될때까지(제2도 t2-t3)의 시간에 콘덴서(C1)의 방전 시간을 일치시키면, 기능 전환시 잡음 신호는 뮤팅되고 그 이후의 기능에 따른 정상신호는 뮤트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출력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다시 라디오를 청취하기 위하여 가능 전환 스위치(SW-1)(SW-2)를 접점(1)측으로 절환시키면 이 경우에도 역시 접음펄스가 발생 되지만 스위치(SW-1,SW-2)를 절환시키기전까지 콘덴서(C2)에 충전되었던 전하가 방전되면서 뮤팅 트랜지스터(Tr2)(Tr3)를 도통시키므로 기능 전환스위치의 절환으로 인한 잡음 신호가 뮤팅되는 것이다.
이때에도 스위치(SW-1,SW-2)의 절환에 따른 잡음 펄스가 발생되었다가 안정된 전압으로 될때까지의 시간에 콘덴서(C2)의 방전 시간을 일치시키면 스위치 절환 후 발생된 잡음 신호만 뮤트되고 이후 임의의 기능을 가진 회로(CC1)에 의한 신호는 정상출력되는 것이다.
(상기예에서는 라디오 신호가 정상 출력된다).
넷째, 정상 동작중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시간 동안 출력을 뮤트시키고자 할 때에는 뮤팅 스위치(SW-3)를 온(ON)시키므로서 저항(R3) 다이오드(D4)를 통하여 트랜지스터(TR2,TR3)에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시키므로서 트랜지스터(Tr2,Tr3)가 동작되어 출력을 뮤트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전원 스위치 절환(ON,OFF)시뿐만 아니라 기능 전환시 및 임의의 시간 동안 출력을 뮤트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원부(가)의 출력단자(A)에, 연동 동작되는 스위치(SW-1,SW2)를 갖는 기능 전환부(나,다)와 저항(R5,R6), 콘덴서, 다이오드(D5,D6), 트랜지스터(Tr1)로 구성되는 뮤팅 제어단(라)과, 뮤팅 스위치(SW-3), 저항(R3)을 통하여 다이오드(D3) 및 (D4)를 거쳐서 트랜지스터(Tr2,Tr3)의 베이스를 접속시키므로서 전원 스위치(SW-4) 절환(ON,OFF)시 및 기능 전환시나 임의의 시간 동안 출력이 뮤트 됨을 특징으로 하는 뮤팅 회로.
KR2019810002310U 1981-04-01 1981-04-01 뮤팅 회로 KR820001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2310U KR820001568Y1 (ko) 1981-04-01 1981-04-01 뮤팅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2310U KR820001568Y1 (ko) 1981-04-01 1981-04-01 뮤팅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568Y1 true KR820001568Y1 (ko) 1982-07-26

Family

ID=1922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2310U KR820001568Y1 (ko) 1981-04-01 1981-04-01 뮤팅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5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0820A (en) Muting circuit
US5196733A (en) Crosstalk-resistant multi-input to single output analog switching device
US4398060A (en) Muting circuit for an FM radio receiver
US4390847A (en) Muting device
KR820001568Y1 (ko) 뮤팅 회로
US6211730B1 (en) Pre-amplifier circuit
US5157353A (en) Audio system with transient tracking dual voltage power supply
KR100421077B1 (ko) 오디오신호증폭회로
JPS6339162B2 (ko)
US4417165A (en) Muting circuit
JPH0339929Y2 (ko)
KR890005822Y1 (ko) 음향기기용 스위칭 잡음 제거장치
JPS6010117Y2 (ja) Aft制御回路
KR940002970B1 (ko) 쇼크음 방지회로
JPH0332093Y2 (ko)
JPS6112581Y2 (ko)
EP0025950A1 (en) Amplifier device
KR920003804Y1 (ko) 고출력증폭기의 동시출력회로
JP2790471B2 (ja) ミューティング回路
KR920002124Y1 (ko) 음향기기의 모드 제어회로
KR840001567Y1 (ko) 오디오 뮤팅 회로
KR910006567Y1 (ko) 프리앰프를 이용한 뮤트회로
JPS599446Y2 (ja) ミュ−ティング制御信号発生回路
KR900010748Y1 (ko) 출력뮤트 자동 복귀회로
KR860003674Y1 (ko) 전원 온·오프(on, off)시의 잡음 제거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