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387Y1 - 오디오장치의뮤트회로 - Google Patents

오디오장치의뮤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387Y1
KR200193387Y1 KR2019970030069U KR19970030069U KR200193387Y1 KR 200193387 Y1 KR200193387 Y1 KR 200193387Y1 KR 2019970030069 U KR2019970030069 U KR 2019970030069U KR 19970030069 U KR19970030069 U KR 19970030069U KR 200193387 Y1 KR200193387 Y1 KR 200193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te
circuit
audio
terminal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616U (ko
Inventor
이선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0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387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6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3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 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03F3/183Low 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2Noise reduction and elimination in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오디오장치의 뮤트회로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오디오신호 뮤트 시 발생되는 팝노이즈를 제거한다.
다. 그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뮤트 오프 시에는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출력단으로 출력시키고, 뮤트 온 시에는 오디오신호 및 뮤트 온 제어에 따라 유기되는 팝노이즈를 차단하는 하이패스필터로 작용하는 회로소자들로 뮤트회로를 구성하여 뮤트시 발생되는 팝노이즈를 제거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오디오 뮤트기능

Description

오디오장치의 뮤트회로{MUTE CIRCUIT OF AUDIO APPARATUS}
본 고안은 오디오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출력단 회로의 구비된 뮤트(mute)회로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출력단 회로에 구비된 뮤트회로는 사용자의 뮤트 온(mute on) 제어시 오디어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소리를 뮤트시키는 기능을 한다. 뮤트회로가 포함된 오디오출력단회로 구성의 일예는 도 1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출력단회로는 저항 R1,R2 및 연산증폭기 OP1으로 구성된 버퍼 10과, 저항 R3와 NPN형 트랜지스터 Q1으로 구성된 뮤트회로 20을 포함하고 있다. 버퍼 10의 출력단은 뮤트회로 20의 NPN형 트랜지스터 Q1의 컬렉터단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 Q1의 이미터단은 접지되어 있고 베이스단에는 뮤트신호 MUTE가 인가된다. 버퍼 10의 출력단과 오디오출력단 30 사이에는 저항 R4 및 커패시터 C1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뮤트 오프(mute off) 시 뮤트신호 MUTE는 논리 "로우"상태를 유지하므로 뮤트회로 20의 트랜지스터 Q1은 비도통된다. 그러므로 오디오신호 SIG는 버퍼 10에서 버퍼링된 후 저항 R4를 거친 후 커패시터 C1에서 DC성분이 제거된 후 오디오출력단 30으로 인가된다. 한편 뮤트 온(mute on) 시 뮤트신호 MUTE는 논리 "하이"상태로 천이하므로 뮤트회로 20의 트랜지스터 Q1은 도통된다. 그에 따라 버퍼 10에서 버퍼링된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 Q1을 통해 접지로 방전된다. 도 2는 도 1의 회로 구성에 따른 뮤트(mute) 오프 및 온 시 버퍼 10의 출력단 노드(node) 15에서의 출력 Va1의 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서 Va1의 파형을 보면, 뮤트 오프상태에서는 일정한 DC(Direct Current)레벨에 교류신호 성분이 존재하다가 뮤트 온이되면 전압이 바로 접지레벨로 떨어져 버린다.
뮤트 온 시 신호가 일정 DC레벨에서 접지레벨로 떨어짐에 따라 오디오출력단으로 팝노이즈(pop noise)가 유기된다. 팝 노이즈에 인해 뮤트 시 "뚜"하는 소리가 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디오 뮤트시 팝 노이즈가 유기 되지 않도록 하는 뮤트회로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버퍼를 포함하고 있는 오디오 출력단 회로에 있어서, 뮤트 오프제어 시에는 상기 버퍼에서 버퍼링된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출력단으로 출력시키고, 뮤트 온제어시에는 상기 버퍼링된 오디오신호 및 유기된 팝노이즈를 차단하는 하이패스필터로 작용하는 회로소자들로 구성되는 뮤트회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뮤트회로가 포함된 오디오출력단회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회로 구성에 따른 뮤트(mute) 오프 및 온 시 버퍼 10의 출력단 노드(node) 15에서 출력 Va1의 파형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뮤트회로가 포함된 오디오출력단 회로 구성도,
도 4는 뮤트 온(mute on)시 도 3의 등가 회로도,
도 5는 도 3의 회로 구성에 따른 뮤트(mute) 오프 및 온 시 노드 45에서 출력 Va2의 파형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 내지 동일한 참조번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뮤트회로가 포함된 오디오출력단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의 구성에서 버퍼 10의 구성은 도 1의 버퍼 10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렇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뮤트회로 40의 구성 및 연결관계는 도 1의 뮤트회로 20의 구성 및 연결관계와는 다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뮤트회로 40는 저항 R3와 NPN형 트랜지스터 Q1 및 커패시터 C2로 구성되며, 상기 뮤트회로 40의 NPN형 트랜지스터 Q1의 컬렉터단은 버퍼 10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 C1과 오디오출력단 30 사이의 노드 45에 연결되고, 상기 노드 45와 상기 컬렉터 사이에는 커패시터 C2가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회로에서는 뮤팅하는 포인트가 신호성분중 DC성분을 제거한 후로 옮겨져 있다.
도 4는 뮤트 온(mute on)시 도 3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5는 도 3의 회로 구성에 따른 뮤트(mute) 오프 및 온 시 노드 45에서 출력 Va2의 파형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뮤트 오프(mute off) 시 뮤트신호 MUTE는 논리 "로우"상태를 유지하므로 뮤트회로 40의 NPN형 트랜지스터 Q1은 비도통된다. 그러므로 오디오신호 SIG는 버퍼 10에서 버퍼링된 후 저항 R4를 거친 후 커패시터 C1에서 DC성분이 제거된 후 오디오출력단 30으로 인가된다. 뮤트 오프상태에서의 노드 45에서의 출력 Va2를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교류성분(오디오신호)만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뮤트 온(mute on) 시 뮤트신호 MUTE는 논리 "하이"상태로 천이하므로 뮤트회로 40의 트랜지스터 Q1은 도통된다. 그에 따라 버퍼 10에서 버퍼링된 신호는 저항 R4 및 커패시터 C1,C2를 거치고 상기 트랜지스터 Q1을 통해 접지로 방전된다.
뮤트 온(mute on)시 도 4의 등가 회로를 보면, 저항 R4, 커패시터 C1,C2의 회로소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점선블록 50의 회로 구성은 하이패스 필터(high pass filter)의 구성회로가 된다. 이러한 뮤트 온 시 점선블록 50의 회로들이 하이패스 필터를 구성함에 따라 팝노이즈 즉, "뚜"하는 소리는 차단된다. 상기 팝노이즈는 20KHz정도의 저주파대역에 속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회로 구성에 따른 뮤트(mute) 오프 및 온 시 노드 45에서 출력 Va2의 파형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뮤트 오프 시에는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출력단으로 출력시키고, 뮤트 온 시에는 오디오신호 및 뮤트 온 제어에 따라 유기되는 팝노이즈를 차단하는 하이패스필터로 작용하는 회로소자들로 뮤트회로를 구성하여 뮤트시 발생되는 팝노이즈를 제거한다.

Claims (2)

  1. 버퍼를 포함하고 있는 오디오 출력단 회로에 있어서,
    상기 버퍼와 출력단 사이에 위치하며, 저항과 제1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출력단간 라인상의 노드와 접지단 간에 제2 커패시터가 존재하는 회로와,
    상기 제2 커패스터와 상기 접지단 간에 연결되며, 뮤트 온 제어시 도통되어 상기 회로가 하이패스필터가 되게 하여 상기 버퍼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 및 유기된 팝노이즈가 상기 출력단으로 전달되지 않게 하는 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뮤트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베이스단으로 뮤트 온/오프 제어가 인가되고 이미터단이 상기 접지단에 연결되며 컬랙터단이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연결된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뮤트회로.
KR2019970030069U 1997-10-29 1997-10-29 오디오장치의뮤트회로 KR200193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069U KR200193387Y1 (ko) 1997-10-29 1997-10-29 오디오장치의뮤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069U KR200193387Y1 (ko) 1997-10-29 1997-10-29 오디오장치의뮤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616U KR19990016616U (ko) 1999-05-25
KR200193387Y1 true KR200193387Y1 (ko) 2000-09-01

Family

ID=1951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069U KR200193387Y1 (ko) 1997-10-29 1997-10-29 오디오장치의뮤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3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616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258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무팅 회로
KR200193387Y1 (ko) 오디오장치의뮤트회로
JP2000106511A (ja) パワーアンプic
US6535724B1 (en) Receiver portion of a telephone
KR950008135B1 (ko) 신호발생장치
JPH08213849A (ja) 音声ミュート回路
US7734265B2 (en) Audio muting circuit and audio muting method
KR910000687Y1 (ko) 차동증폭기를 사용한 오디오 앰프의 클릭음 제거회로
KR0131089Y1 (ko) 사운드 노이즈 제거회로
KR940000648Y1 (ko) 팝 노이즈 제거회로
KR900004472Y1 (ko) Tv 음성 자동 절환기의 잡음 제거 회로
KR100234948B1 (ko) 디지탈 위성수신기에서의 오디오 뮤트회로
KR930000346Y1 (ko) Tv 스위치 턴 오프시 팝잡음 뮤트회로
JPH0210683Y2 (ko)
KR20020069463A (ko) 오디오 기기의 팝 노이즈 제거 회로
JPS6327479Y2 (ko)
JPS5926673Y2 (ja) ノイズ除去回路
JP3339546B2 (ja) オーディオ信号増幅回路
KR100224178B1 (ko) 차량 오디오의 노이즈 억제 장치
KR900003542Y1 (ko) 재생 휘도 신호의 잡음 제거회로
KR890001540Y1 (ko) 주파수 합성방식 tv의 채널 선국시 뮤팅회로
JP2003179435A (ja) ミュート回路
KR950007273A (ko) 유럽향 스테레오의 광대역 자동이득 제어장치
KR920004062Y1 (ko) 뮤트회로
KR890005392Y1 (ko) 스피커 코일 극성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