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542Y1 - 재생 휘도 신호의 잡음 제거회로 - Google Patents

재생 휘도 신호의 잡음 제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542Y1
KR900003542Y1 KR2019870011906U KR870011906U KR900003542Y1 KR 900003542 Y1 KR900003542 Y1 KR 900003542Y1 KR 2019870011906 U KR2019870011906 U KR 2019870011906U KR 870011906 U KR870011906 U KR 870011906U KR 900003542 Y1 KR900003542 Y1 KR 900003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luminance signal
noise
outpu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1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991U (ko
Inventor
김석중
김학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1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542Y1/ko
Publication of KR890003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9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542Y1/ko

Links

Landscapes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생 휘도 신호의 잡음 제거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증폭부 20 : 지연회로
30 : 차동증폭기 40 : 리미터
50 : 합성부 1 : 입력단자
2, 4 : 저역필터 3 : 릴레이 라인
5 : 출력단자 R1-R13: 저항
C1-C2: 콘덴서 L1, L2: 코일
OP1-OP3: OP앰프 Q1: 트랜지스터
VR1: 가변저항 Vcc : 전원
본 고안은 재생휘도 신호의 잡음 제거 회로에 관한 것이다.
디 엠퍼시스(DE EMPHASIS)된 재생휘도 신호가 그대로 후단에 출력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VTR의 화면에서 희도 신호의 잡음을 감지하기 때문에 디 엠퍼시스된 재생 휘도 신호의 잡음이 제거될 필요성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디 엠퍼시스된 재생휘도 신호가 고역 필터를 통하여 잡음 성분만이 추출되며 추출된 잡음 성분이 리미터와 인버어터를 통하여 잡음 성분의 진폭이 제한되고, 잡음 성분의 위상이 반전된 후 위상이 반전된 재생 휘도 신호의 잡음 신호가 디엠퍼시스된 재생휘도 신호와 합성되므로서 재생휘도 신호의 잡음 성분이 제거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외관상 잡음제거 비율이 높아질뿐 화상의 상승 부분의 잡음은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입력 신호가 좋지 않을 경우에는 화상의 윤곽 부분의 잡음은 제거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증폭기와 1H 지연회로 및 차동증폭기를 사용하여 종래의 제거되지 않았던 재생휘도 신호의 잡음성분까지도 제거함으로서 입력신호가 좋지 않을 경우에 발생되는 화상의 윤곽 부분의 잡음이 제거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증폭기 재생휘도 신호가 1H 만큼 위상이 지연된 신호와 함께 차동 증폭기의 차동 증폭 작용에 의하여 잡음 성분이 추출되며 추출된 잡음 성분이 리미터와 인버어터를 통하여 진폭이 제한되고 위상이 반전된 후 위상이 반전된 재생휘도 신호의 잡음 신호가 증폭된 재생휘도 신호와 합성되어 잡음 성분이 제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입력단자(1)가 콘덴서(C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연결되고 에미터측이 병렬 연결된 저항(R1)(R2)과 콘덴서(C2)로 가변저항(VR2)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이 병렬 연결된 저항(R3)(R4)과 콘덴서(C3)를 통하여 전원(Vcc)측에 연결됨과 동시에 합성부(50)와 OP앰프(OP1)의 비반전입력측(+) 및 저항(R5)에 연결되게 증폭부(10)를 구성한 후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이 저항(R5)과 코일(L1)로 구성된 저역필터(2)를 통하여 딜레이 라인(DELAY LINE)의 단자(a)에 연결되고 단자(b)가 접지된 릴레이 라인(3)의 단자(c)가 저항(R6)과 코일(L2)로 구성되는 저역필터(4)를 통하여 OP앰프(OP2)의 비반전 입력측(+)에 연결되게 지연회로(20)를 구성한다.
그리고 저항(R7)이 연결된 OP앰프(OP1)(OP2)의 반전입력측 (-)이 저항(R8)(R10)을 통하여 OP앰프(OP1)(OP2)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OP앰프(OP1)(OP2)의 출력측이 저항(R9-R11)을 통하여 OP앰프(OP3)의 반전입력측(-)과 비반전입력측(+)에 연결되고 OP앰프(OP3)의 반전입력측(-)이 저항(R13)을 통하여 OP앰프(OP3)의 출력측에 연결되게 차동증폭기(30)를 구성한 OP앰프(OP3)의 출력측이 리미터(40)인버어터(I1)를 통하여 증폭부(10)에 연결된 합성부(50)에 연결되며 합성부(50)가 출력단자(5)에 연결되어 잡음이 제거된 재생휘도 신호를 후단에 공급하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2도(a-e)는 제1도의 각 단자(A-E)의 파형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 엠퍼시스된 작은 재생휘도 신호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킴으로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는 제2도(a)와 같이 잡음이 섞이어 크게 증폭된 재생휘도 신호가 합성부(50)와 OP앰프(OP1)의 비반전 입력측(+) 및 지연회로(20)의 저항(R5)에 입력된다.
이때 가변저항(VR1)은 증폭부(10)의 증폭 정도를 조정하고 콘덴서(C1-C3)는 잡음 제거용이다.
그리고 저항(R5)에 인가된 제2도(a)와 같은 재생휘도 신호를 딜레이 라인(3)을 통하여 위상이 지연되어 OP앰프(OP2)의 비반전입력측(+)에 인가되고 이때 저역필터(2)(4)는 재생휘도 신호의 휘도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OP앰프(OP1)(OP2)의 비반전입력측(+)에 인가된 증폭부(10)와 지연회로(20)의 출력전압(V1)(V2)이 OP앰프(OP1)(OP2)의 증폭 작용에 의하여 증폭됨으로써 OP앰프(OP1)(OP2)의 증폭된 출력 전압이 OP앰프(OP3)의 반전입력측(-)과 비반전입력측(+)에 인가되며 OP앰프(OP3)에 인가된 두 전압이 OP앰프(OP3)의 증폭 작용에 의하여 다시 증폭됨으로써 OP앰프(OP3)의 출력측에는인 출력 전압이 인가되고 이때 R8= R10, R9= R11, R12= R13의 관계가 성립된다.
그러므로 차동증폭기(30)의 출력전압(V0)은 제2도(b)와 같이 증폭된 재생휘도 신호의 잡음 성분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도 (b)와 같은 잡음 성분의 진폭이 리미터(40)를 통하여 진폭이 제한되어 제2도 (c)와 같은 파형을 발생시키고 제2도(c)와 같이 진폭이 제한된 잡음 신호의 위상이 인버어터(I1)를 통하여 반전되어 제2도 (d)와 같은 파형을 발생시킨 후 반전된 잡음 신호가 제2도(a)와 같은 증폭부(10)의 출력 파형과 형성됨으로서 종래에는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았던 재생휘도 신호의 잡음 성분을 제거하여 제2도 (e)와 같은 파형을 출력단자(5)의 후단에 인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증폭부(10)를 통하여 증폭된 재생휘도 신호가 지연회로(20)를 통하여 위상이 지연된 재생휘도 신호와 함께 차동증폭기(30)에 의하여 잡음 성분이 추출되며 추출된 잡음 신호가 리미터(40)와 인버어터(I1)를 통하여 진폭이 제한되고 위상이 반전된 후 반전된 잡음 신호가 증폭부(10)의 출력 파형과 합성됨으로서 종래보다 더 깨끗하게 재생휘도 신호의 잡음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단자(5)의 후단에 인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트랜지스터, 저항, 콘덴서로 구성된 증폭부를 통하여 증폭된 재생휘도 신호가 차동증폭기와 리미터 및 인버어터를 통하여 별도로 추출되어 증폭되고 위상이 반전된 재생휘도 신호의 잡음성분과 합성됨으로서 재생휘도 신호의 잡음 성분을 제거하게 구성한 것으로 재생휘도 신호의 고역 부분의 주파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입력단자(1)가 콘덴서(C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 저항(R1-R4), 가변저항(VR1), 콘덴서(C2)(C3)로 구성된 증폭부(10)에 연결되며 증폭부(10)가 합성부(50)와 OP앰프(OP1-OP3), 저항(R7-R13)으로 구성된 차동증폭부(30)에 연결됨과 동시에 저항(R5)(R6), 코일(L1)(L2)로 구성되는 저역필터(2)(4), 딜레이 라인(3)으로 구성되는 지연회로(20)를 통하여 차동증폭기(30)에 연결된 후 차동증폭기(30)가 리미터(40)와 인버어터(I1)를 통하여 합성부(50)에 연결되며 합성부(50)의 출력이 출력단자(5)의 후단에 인가되게 구성한 재생휘도 신호의 잡음 제거회로.
KR2019870011906U 1987-07-21 1987-07-21 재생 휘도 신호의 잡음 제거회로 KR900003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1906U KR900003542Y1 (ko) 1987-07-21 1987-07-21 재생 휘도 신호의 잡음 제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1906U KR900003542Y1 (ko) 1987-07-21 1987-07-21 재생 휘도 신호의 잡음 제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991U KR890003991U (ko) 1989-04-14
KR900003542Y1 true KR900003542Y1 (ko) 1990-04-28

Family

ID=1926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1906U KR900003542Y1 (ko) 1987-07-21 1987-07-21 재생 휘도 신호의 잡음 제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5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991U (ko) 198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0105A (en) Noise Reducing circuit of a video signal
JPH0794963A (ja) パルス幅変調増幅器
KR900003542Y1 (ko) 재생 휘도 신호의 잡음 제거회로
JPH05344386A (ja) 画像輪郭強調器
KR19980034883A (ko) 재생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상 장치
JP3054579B2 (ja) Vtrのイコライザ回路
KR0113721Y1 (ko) 전하결합소자를 이용한 에코장치
KR930004524Y1 (ko) 콤팩트디스크롬의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
JP2833932B2 (ja) ノンリニアエンファシス回路
JP2872514B2 (ja) ノイズ低減再生増幅器
JP2640552B2 (ja) 音声信号出力装置
EP0296831A1 (en) Voltage controlled comb filter
JP2531789B2 (ja) ホワイト・ダ―ククリップ回路
KR100492984B1 (ko) 영상 신호의 고주파 증강 제어장치
JP2987897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KR950001174Y1 (ko) 화상 신호 찌그러짐 보상회로
KR910010066B1 (ko) 비선형 엠퍼시스회로
KR950005041B1 (ko) 영상신호 파형 정형회로
KR100260135B1 (ko) 텔레비전의 음향 출력회로
JPS6017168B2 (ja) パルス幅変調出力増幅回路
JPS5946046B2 (ja) 記録再生装置
JPH0659010B2 (ja) Fm信号復調器
JPS5896473A (ja) 雑音除去装置
JPH056370B2 (ko)
JPH0117028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