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524Y1 - 콤팩트디스크롬의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 - Google Patents

콤팩트디스크롬의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524Y1
KR930004524Y1 KR2019900020326U KR900020326U KR930004524Y1 KR 930004524 Y1 KR930004524 Y1 KR 930004524Y1 KR 2019900020326 U KR2019900020326 U KR 2019900020326U KR 900020326 U KR900020326 U KR 900020326U KR 930004524 Y1 KR930004524 Y1 KR 930004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signal
output
digital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0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3387U (ko
Inventor
김기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0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524Y1/ko
Publication of KR9200133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33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콤팩트디스크롬의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컴 20 : 디지탈/아나로그 변환부
30 : 데이타 정보 제거부 40 : 음성출력부
본 고안은 콤팩트디스크-롬(CD-ROM)의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타 정보음과 오디오 정보음을 구분하여 오디오음만 출력하고 데이타 정보음을 제거하는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디스크는 데이타정보와 오디오 정보가 같이 기록되도록 제작한다. 그러므로 재생시에는 오디오 정보와 데이타 정보를 구분하여 최종 오디오 출력단으로는 오디오 정보만을 출력하고 데이타 정보를 차단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마이컴에서 오디오 정보와 데이타 정보를 검출하여 데이타 정보가 검출된 경우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는 신호를 차단하여 음성을 뮤트시켰다. 상기 마이컴에서 오디오 정보와 데이타 정보를 검출하는 기술은 1988년 9월 1일 가남사에서 발행한 “도해 콤팩트 디스크”의 240쪽에 블럭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141쪽에서 149쪽까지에 도시된 바와 같이 DSP 내부에서 처리된 Q채널의 콘트롤신호를 받아 CPU에 의해 검출한다. 이와 같이 데이타정보 신호가 검출될 때 스위칭 트랜시스터를 이용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는 신호를 뮤트시킬 경우, 데이타 정보가 완전하게 패스되지 않아 일부 미세한 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되어 잡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콤팩트디스크에서 재생시 데이타 정보와 오디오 정보를 구분하여 데이타 정보 검지될시 스피커로 출력되는 데이타 정보를 제거하는 데이타 정보음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도로서, 시스템을 제어 처리하며, Q채널신호를 받아 오디오정보 또는 데이타정보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0)과, 콤팩트디스크로부터 읽어들인 직렬로 순차 입력되는 채널데이타를 입력하여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 후 레프트 및 라이트 신호로 분리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0)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0)에서 출력된 레프트 및 라이트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마이컴(10)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타 정보 검지신호에 의해 데이타 정보를 제거하는 데이타 정보제거부(30)와, 상기 데이타 정보가 제거된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가청신호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4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중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0)는 콤팩트디스크로부터 읽어들인 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레프트(Left) 및 라이트(Right)신호를 출력하는 디지날/아날로그 변환기(21)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의 출력인 레프트(L) 및 라이트(R)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저역 필터링 출력하는 제1-2로우 패스필터(22-23)와, 상기 제 1-2로우 패스필터(22-23)의 저역 필터링된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증폭출력하는 제1-2증폭기(24-25)로 구성되고, 데이타 정보제거부(30)는 제1증폭기(24)의 출력단이 캐패시터(C1) 및 저항(R1)이 직렬연결되어 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에 접속되고,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과 출력단 사이에 저항(R2)가 접속되며, 전원단(Vcc)에 저항(R8-R9)이 직렬연결되어 연산증폭기(OP1-OP2)의 비반전단(+)에 접속되며, 상기 저항(R8-R9)의 접속노드와 접지 사이에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에미터가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저항(R7)이 연결되어 마이컴(10)에 접속되며, 상기 연산증폭기(OP1-OP2)의 비반전단(+)과 접지 사이에 저항(R10)과 캐패시터(C5)가 병렬접속되고,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에 패캐시터(C3)와 저항(R5)가 직렬접속되며, 제2증폭기(25)의 출력단에 캐패시터(C2) 및 저항(R3)이 직렬 연결되어 연산증폭기(OP2)의 반전단)(-)에 접속되고, 상기 연산증폭기(OP2)의 반전단(-)과 출력단 사이에 저항(R4)가 접속되며 상기 연산증폭기(OP3)의 출력단에 캐패시터(C4) 및 저항(R6)이 직렬접속되고, 상기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단(+)이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에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음성출력부(40)는 상기 저항(R5-R6)이 스피커((S1-S2)의 한입력에 각각 접속되고 다른 입력은 접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중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은 일본국 SONY사의 CX20152, CXD1140, CXA1233인 칩으로 구현가능하며, 상기 마이컴(10)은 일본국 SONY사의 CXP5024인 칩으로 구현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단(P1)를 통해 콤팩트디스크로부터 읽어들인 직렬로 순차 입력되는 채널데이타를 입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 후 레프트 채널 및 라이트 채널신호로 분리 출력한다.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로부터 디지탈 변환된 레프트(Left) 및 라이트(Right)채널 신호를 각각 입력하는 제1-2 로우패스필터(22-23)는 저역주파수를 필터링하여 각각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 1-2 로우패스필터(22-23)의 저역 필터링된 신호를 각각 입력하는 제1-2증폭기(24-25)는 증폭하여 각각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1증폭기(24)로부터 증폭출력된 신호는 캐패시터(C1) 및 저항(R1)을 통해 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으로 인가되고, 상기 제2증폭기(25)의 증폭출력된 신호는 캐패시터(C2) 및 저항(R2)을 통해 연산증폭기(OP2)의 반전단(-)으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연산증폭기(OP1-OP2)의 비반전단(+)에는 바이어스전압이 걸리게 되는데 상기 바이어스전압을 맞추기 위해 전원단에 연결된 전항(R8-R10)의 R8+R9값과 R10값을 동일한 값으로 정해주면, 상기 연산증폭기(OP1-OP2)의 비반전단(+)에는 Vcc/2 전압이 걸리게 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캐패시터(C5)는 리플제거용이다.
이때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의 출력신호가 오디오 정보이면 마이컴(10)은 출력단(OUT)으로 오디오 정보 검지신호인“로우”상태를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10)에서 출력된 로우신호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를 오프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면 전원단의 전원(Vcc)이 저항(R8-R9)를 통해 출력되면 저항(R10)에 의해 분압되어 연산증폭기(OP1-OP2)의 비반전단(+)에는 Vcc/2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으로 입력되는 전압을 Vi1이라 하고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 전압을 V1이라 하면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산증폭기(OP2)의 출력도가 된다.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신호는 캐패시터(C3) 및 저항(R5)를 통해 스피커(S1)에 인가되고, 상기 연산증폭기(OP2)의 출력신호는 캐패시터(C4) 및 저항(R6)을 통해 스피커(S2)에 인가되어 오디오 정보를 가청음으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1)의 출력신호가 데이타 정보이면 마이컴(10)은 출력단(Out)으로 데이타 검지신호인“하이”상태를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10)으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는 저항(R7)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를 온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온된면 저항(e8)을 통한 전압이 그라운드로 패스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위가 OV가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연산증폭기(OP1-OP2)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데이타 정보가 출력되지 않게된다. 이와 같이 CD-롬의 디스크상에 데이타정보와 오디오정보가 같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를 구분하여 데이타 정보음을 제거하게 되면 오디오 정보음만을 청취할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콤팩트디스크는 데이타 정보와 오디오 정보가 같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재생시 데이타정보신호와 오디오 정보신호를 구분하여 데이타정보신호가 검출될 때 스피커로 출력되는 데이타 정보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데이타 정보처리시 잡음을 없앨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콤팩트디스크롬의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에 있어서, 시스템을 제어 처리하며, Q채널신호를 받아 오디오정보 또는 데이타정보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0)과, 콤팩트디스크로부터 읽어들인 직렬로 순차 입력되는 채널데이타를 입력하여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레프트 및 라이트 신호로 분리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0)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0)에서 출력된 레프트 및 라이트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마이컴(10)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타 정보 검지신호에 의해 바이어스 전압을 차단하여 데이타 정보를 제거하는 데이타 정보제거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
KR2019900020326U 1990-12-20 1990-12-20 콤팩트디스크롬의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 KR930004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326U KR930004524Y1 (ko) 1990-12-20 1990-12-20 콤팩트디스크롬의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326U KR930004524Y1 (ko) 1990-12-20 1990-12-20 콤팩트디스크롬의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387U KR920013387U (ko) 1992-07-27
KR930004524Y1 true KR930004524Y1 (ko) 1993-07-21

Family

ID=1930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0326U KR930004524Y1 (ko) 1990-12-20 1990-12-20 콤팩트디스크롬의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5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906A (ko) * 2000-12-26 2002-07-06 이계안 복합 펀치 프레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906A (ko) * 2000-12-26 2002-07-06 이계안 복합 펀치 프레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387U (ko) 199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524Y1 (ko) 콤팩트디스크롬의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
KR100213073B1 (ko) 재생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상 장치
KR910009467B1 (ko) 음성신호제거 반주장치
KR900008896Y1 (ko) 테이프 공란 무신호부 노이즈 제거회로
KR900006362Y1 (ko)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음성 및 영상신호 보정회로
KR900003542Y1 (ko) 재생 휘도 신호의 잡음 제거회로
JPS61173508A (ja) 自動利得制御回路
KR940000663Y1 (ko) 양채널 오디오 신호의 동일 대역 제거회로
KR0139882Y1 (ko) 캠코더의 내부 노이즈 제거회로
JPH0727706Y2 (ja) オーディオ再生回路
KR930002029Y1 (ko) Vdp의 음성노이즈 제거회로
US5870694A (en) Velocity detector and velocity detection method for a sled motor
JP2866274B2 (ja) 加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ゲーム機器並びに音声機器
KR100247177B1 (ko) 음성신호의 출력왜곡을 방지하는 스피커 구동회로
JP2948848B2 (ja) ディザ回路
KR890008428Y1 (ko) 음향 회로의 고역 잡음 성분 제거회로
KR970071719A (ko) 광디스크의 재생 장치
KR910009481Y1 (ko) 자동 음량 조절 회로
KR100260135B1 (ko) 텔레비전의 음향 출력회로
KR900010832Y1 (ko) 마이크잡음 제거회로
KR910003212Y1 (ko) 초저음 제거회로
KR910006350Y1 (ko) 멀티플렉스 필터의 자동 온,오프 회로
KR910002995Y1 (ko) 하이파이 브이씨알의 음성신호 자동 스위칭회로
JP2531789B2 (ja) ホワイト・ダ―ククリップ回路
KR920002928Y1 (ko) 음성 저역 확장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