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663Y1 - 양채널 오디오 신호의 동일 대역 제거회로 - Google Patents

양채널 오디오 신호의 동일 대역 제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663Y1
KR940000663Y1 KR2019910001257U KR910001257U KR940000663Y1 KR 940000663 Y1 KR940000663 Y1 KR 940000663Y1 KR 2019910001257 U KR2019910001257 U KR 2019910001257U KR 910001257 U KR910001257 U KR 910001257U KR 940000663 Y1 KR940000663 Y1 KR 940000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same band
signals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1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062U (ko
Inventor
김동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1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663Y1/ko
Publication of KR9200160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0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6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채널 오디오 신호의 동일 대역 제거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구체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퍼부 20 : 차신호 발생부
30 : 동일 대역검출부 40 : 동일 대역 제거부
50 : 증폭부
본 고안은 음향기기에서 좌, 우 채널의 재생신호중에 포함되어 있는 동일 대역의 신호를 검출해서 제거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방식을 채택하는 음향기기에서는 좌, 우측 체널에서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를 싣게 된다.
이러한 스테레오 음향 제품에서는 일반적으로 좌, 우측 채널에 반주신호 및 사람의 음성신호를 싣게 되는데, 이때 반주 신호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각각 분리하여 좌 ,우 채널에 기록되지만 음성신호(노랠)는 두 채널에 거의 동일 대역으로 기록된다.
따라서 상기 스테레오 음향 시스템에서 재싱시 좌, 우 채널의동일 대역신호를 검출하여 제거하면, 반주신호는 원음으로 재생되지만 음성신호는 크게 감쇄된다.
또한 다른 주파수대를 이루고 있는 좌, 우 채널에 동일 주파수 성분의 잡음이 실려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테레오 음향 기기에서 좌,우 채널에 동시에 실린 동인 음역의 음성신호를 제거하여 반주용 음악으로 재생할 수 있는 양채널 오디오 신호의 동일 대역 제거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테레오 음향기기에서 좌, 우 채널에 동일대역으로 실린 잡음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 구성도로서, 제1채널 및 제2채널 신호를 입력하여 완충하는 버퍼부(10)와, 상기 제1 및 제2채널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두채널의 동일 대역성분을 제거한 차신호 성분의 모노신호를 발생하는 차신호 발생부(20)와, 상기 차신호와 제1 및 제2채널신호를 각각 비교하여 제1 및 제2채널로 각각 동일 대역의 신로를 검출 출력하는 동일대역 검출부(30)와, 상기 제1채널신호와 제1채널의 동일 대역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제2채널신호와 제2채널의 동일 대역신호를 비교하여 원신호의 제1 및 제2채널에 실린 동일대역 신호를 제거한 제1및 제2채널신호를 발생하는 동일 대역 제거부(40)와, 상기 동일 대역 신호를 제거한 제1 및 제2채널 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증폭부(50)로 구성된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구체 회로도로서, 버퍼부(10)는 캐패시터(C1), 저항(R3-R4)및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되어 제1ㅊ널 오디오 신호를 완충하는 제1버퍼(11)와, 캐패시터(C2), 저항(R5-R6) 및 연산증폭기(OP2)로 구성되어 제2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완충하는 제2버퍼(12)와, 저항(R1,R2)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버퍼(11) 및 제2버퍼(12)로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는 바이어스 결정부(13)로 구성된다.
파신호 발생부(20)는 캐패시터(C3,C4), 저항(R6-R10) 및 연산증폭기(OP3)로 구성되며, 상기 제1버퍼(11) 및 제2버퍼(12)의 출력을 비교하여 제1 및 제2채널에 포함된 동일 대역신호를 제거한 두채널의 차신호를 발생한다.
동일 대역 검출부(30)는 저항(R11-R14) 및 연산증폭기(OP4)로 구성되어 상기 제1버퍼(11)의 출력과 상기 차신호 발생부(20)의 출력을 비교하여 제1채널의 동일 대역신호를 검출하는 제1비교기(31)와, 저항(R15-R18) 및 연산증폭기(OP5)로 구성되어 상기 제2버퍼(12)의 출력과 상기 차신호 발생부(20) 출력을 비교하여 제2채널의 동일 대역 신호를 검출하는 제2비교기(32)로 구성된다.
동일 대역 제거부(40)는 저항(R19-R22), 캐패시터(C5) 및 연산증폭기(OP6)로 구성되어 상기 제1버퍼(11)의 출력과 제1비교기(31)의 출력을 비교하여 제1채널의 동일 대역신호를 제거한 제1채널 신호를 발생하는 제3비교기(41)와, 저항(R23-R26), 캐패시터(6) 및 연산증폭기(OP7)로 구성되어 상기 제2버퍼(12)의 출력과 제2비교기(32)의 출력을 비교하여 제2채널의 동일 대역 신호를 제거한 제2채널 신호를 발생하는 제4비교기(42)로 구성된다.
증폭부(50)는 저항(R27, R28), 캐패시터(C7) 및 연산증폭기(OP8)로 구성되어 상기 제3비교기(41)의 출력을 증폭 출력하는 제1증폭기(51)와, 저항(R29, R30), 캐패시터(C8) 및 연산증폭기(OP9) 구성되어 상기 제4비교기(42)의 출력을 증폭 출력하는 제2증폭기(52)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및 제2채널의 오디오 신호는 스테레오 신호로서, 상기 제1 및 제2채널에는 음성신호(노래)성분 및 반주신호 성분이 혼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음성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채널에 거의 동일 대역으로 실려있게 되지만, 반주신호 성분은 각각 다른 대역성분으로 실려있게 되어 스테레오 음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채널에는 상기 음성 신호 및 반주신호 성분이외에도 전원 잡음등과 같은 동일 대역을 갖는 잡은 신호들의 혼합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채널의 오디오 신호가 단자(CH1-CH2)에 각각 분리되어 입력되면, 제1버퍼(11)는 제1단자(CH1)로 인가되는 제1채널 신호를 1 : 1 증폭하여 완충하게 되며, 제2버퍼(12)는 제2단자(CH2)로 인가되는 제2채널 신호는 1 : 증폭하여 완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버퍼(11, 12)의 비반전단자로는 저항(R1-R2)에 의해 분압된 전원이 공급되어 바이어스가 조정된다. 본 고안은 일례로서는 상기 저항(R1, R2)들이 동일한 값을 갖도록하여 (R1=R2), 바이어스 전압은 Vcc/2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완충된 제1 및 제2채널 신호는 각각 파신호 발생부(20)로 인가되는데, 이때 상기 차신호 발생부(20)는 제1 및 제2채널 신호의 차신호 성분을 발생한다. 이때의 출력 신호 상태는 두 채널에서 동일 대역의 신호 성분의 제거된 차신호로서, 상기 제1 및 제2채널의 원 신호에서 서로 다른 대역을 갖춘 차신호 성분만의 모노(mono) 신호가 된다.
상기 차신호 발생부(20)의 출력은 상기 동일 대역 검출부(30)의 제1 및 제2비교기(31, 32)의 반전단자로 각각 인가된다. 상기 제1 및 제2비교기(31,32)는 각각차동증폭기의 형태를 갖고 있는데, 이로 인해 각각은 제1 및 제2채널에서 동일 대역을 갖는 신호들만 검출하여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비교기(31)는 상기 제1버퍼(11)를 출력하는 제1채널의 신호와 상기 차신호 발생부(20)를 출력하는 두 채널의 동일 대역 신호를 비교하여 제1채널의 동일 대역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또한 제2비교기(32)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2채널의 동일 대역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비교기(31, 32)의 출력은 동일 대역 제거부(40)의 제3 빛 제4비교기(41, 42)의 반전단자로 각각 인가된다. 상기 제3 및 제4비교기(41, 42)로 차동증폭기의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이들 각각은 본래의 체널 신호에서 동일 대역 신호를 제거한 다른 대역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제3비교기(41)는 상기 제1버퍼(11)를 출력하는 제1채널의 원신호와 상기 제1비교기(31)를 출력하는 제1채널의 동일 대역신호를 비교함으로서, 본래의 제1채널 신호에서 동일 대역을 제거한 나머지 대역의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4비교기(42)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본래의 제1채널 신호에서 동일 대역의 신호가 제거되고 나머지 대역의 신호만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3 및 제4비교기(41,42)를 출력하는 신호는 두 채널에 동일대역으로 실린 신호가 제거된 나머지 대역의 제1 및 제2채널 신호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및 제2채널신호는 동일 대역을 갖는 음성신호 및 잡음신호가 제거되고 반주신호가 강조된 오디오 신호가 된다.
상기 제3 및 제4비교기(41, 42)의 출력신호는 각각 증폭부(50)의 제1증폭기(51) 및 제2증폭기(52)로 인가되며, 상기 제1 및 제2증폭기(51,52)는 상기 제1 및 제2채널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스테레오 방식을 사용하는 음향 시스템에서 음성신호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주신호 성분을 강조하여 기존의 음악용 기록 매체 재생시 이들을 반주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일 대역으로 혼합된 전원 잡음들의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할 수 있고, 양채널의 신호 동일부분과 다른 부분을 구분할 수 있어 채널간의 주파수 및 음역을 비교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제1채널 및 제2채널로 구분되어 음성 및 반주신호가 스테레오 방식으로 기록된 음악용 매체를 재생하는 음향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채널 및 제2채널의신호를 입력받아 완충증폭 출력하며, 동작전원 전압을 인가받아 소정분압비로 분압하여 각 구성부로 인가하는 버퍼부와, 상기 버퍼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1 및 제2채널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두 채널에 존재하는 동일 대역 성분을 제거한 차신호 성분을 발생하는 차신호 발생부와, 상기 차신호를 공통으로 입력하고 상기 제1 및 제2채널간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두 입력 신호를 각각 비교함으롯 상기 제1 및 제2채널의 동일 대역신호를 검출하는 동일 대역 검출부와, 상기 제1채널 신호와 제1채널의 동일 대역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제2채널신호와 제2채널의 동일 대역신호를 비교함으로서, 제1 및 제2채널에 실린 동일 대역 신호를 제거한 제1 및 제2채널신호를 발생하는 동일 대역 제거부로 구성되며, 동일 대역의 음성신호 및 잡음을 제거하고 반주신호 성분을 강조 출력하도록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채널 오디오 신호의 동일 대역 제거회로.
KR2019910001257U 1991-01-29 1991-01-29 양채널 오디오 신호의 동일 대역 제거회로 KR940000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257U KR940000663Y1 (ko) 1991-01-29 1991-01-29 양채널 오디오 신호의 동일 대역 제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257U KR940000663Y1 (ko) 1991-01-29 1991-01-29 양채널 오디오 신호의 동일 대역 제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062U KR920016062U (ko) 1992-08-17
KR940000663Y1 true KR940000663Y1 (ko) 1994-02-07

Family

ID=1931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1257U KR940000663Y1 (ko) 1991-01-29 1991-01-29 양채널 오디오 신호의 동일 대역 제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6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062U (ko) 199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4204A (en) Equalizing amplifier
KR940000663Y1 (ko) 양채널 오디오 신호의 동일 대역 제거회로
US4232190A (en) Apparatus for combining phonograph signal with auxiliary audio signal
JPS6271396A (ja) 電子音響装置における帰還を抑制する方法並びに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920005458A (ko) 증폭 회로
KR950004725A (ko) 음성합성 겸 대역제한회로 및 저음증강회로
KR910009479Y1 (ko) 스피커의 저역 보상회로
JPS592082B2 (ja) 音声信号のダイナミツクレンジ改善方法
KR910009467B1 (ko) 음성신호제거 반주장치
JPS5837804A (ja) 磁気記録担体にステレオ情報を記録・再生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930004524Y1 (ko) 콤팩트디스크롬의 데이타 정보음 제거회로
KR890008428Y1 (ko) 음향 회로의 고역 잡음 성분 제거회로
US4039964A (en) Audio frequency transistor amplifier
KR970003148Y1 (ko) 슈퍼 스테레오 사운드 재생장치
KR0139882Y1 (ko) 캠코더의 내부 노이즈 제거회로
KR900008896Y1 (ko) 테이프 공란 무신호부 노이즈 제거회로
KR100199983B1 (ko) 음악신호 내의 반주신호 재생방법 및 반주신호재생기
KR960000101Y1 (ko)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동일대역 제거회로
KR900007559Y1 (ko) 홀 (hall) 효과음 발생장치
JPH03222508A (ja) 増幅器回路
KR970017454A (ko) 음성재생장치의 음성신호 검출회로 및 그 방법
KR930020358A (ko) 문자디스플레이 및 스테레오재생 카세트장치
KR100664299B1 (ko) 오디오 앰프
KR930000145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잡음제거회로
JPH1093365A (ja) オーディオ用電力増幅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