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346Y1 - Tv 스위치 턴 오프시 팝잡음 뮤트회로 - Google Patents

Tv 스위치 턴 오프시 팝잡음 뮤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346Y1
KR930000346Y1 KR2019880020213U KR880020213U KR930000346Y1 KR 930000346 Y1 KR930000346 Y1 KR 930000346Y1 KR 2019880020213 U KR2019880020213 U KR 2019880020213U KR 880020213 U KR880020213 U KR 880020213U KR 930000346 Y1 KR930000346 Y1 KR 930000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ice
circuit
transistor
pop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0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346Y1/ko

Links

Landscapes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TV 스위치 턴 오프시 팝잡음 뮤트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A점과 전원(B+)전압에서의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음성 신호 출력 회로부 111 : 마이컴
112 : 음성 중간 주파 집적회로 112a : FM검파기
l12b : 잡음 정류기 113 : 음성증폭기
114 : 스피커 R1, R4 : 저항
120 : 팝잡음 뮤트회로부 C1, C2 : 콘덴서
ZD1 : 제너다이오드 TR1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TV의 음성신호계에 있어서 전원(POWER) 스위치의 턴 오프시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팝(POP)잡음을 제거시키도록 한 TV 스위치 턴 오프시 팝잡음 뮤트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TV의 음성신호계에 있어서 전원스위치를 턴오프시켰을때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팝잡음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었다.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로서 전원스위치를 턴 오프 시켰을때 마이컴(111)의 음량신호출력단에서 출력된 신호는 로우신호가 된다.
그런데 저항(R3)과 콘덴서(C1)에 의한 시정수 때문에 A점에 출력된 신호는 하이신호가 된다.
이때 콘덴서(C3)에 이미 충전된 신호가 방전됨으로써 상기 A점에 출력된 신호를 조절할 수 있으나, A점에 출력된 신호는 콘덴서(C2)에서 방전된 신호에 비해 큰 용량의 신호이기 때문에 그 신호는 FM 검파기(112a)와 FM검파기(112a)에서 발생된 잡음을 뮤트시키는 잡음정류기(l12b)로 구성된 음성 중간 주파 집적회로(112)를 거쳐서 음성증폭기(113)에 의해 증폭되고, 이 증폭된 신호는 "퍽"하는 팝잡음으로 스피커(114)를 통해 출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피커(114)에서 출력된 신호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인바, TV스위치 턴 오프시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팝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 뮤트회로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토록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마이컴(111)의 음량 신호 출력단에 저항(R3)을 거쳐, 한측은 콘덴서(C1)를 연결하여 접지시키고, 타측은 잡음제거수단인 팝잡음 뮤트회로부(120)의 트랜지스터(TR1) 에미터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A점을 거쳐 저항(R4)과 콘덴서(C2)를 병렬연결하여 접지시키고, 또한 A점에 FM검파기(112a)와 FM 검파기(112a)에서 발생된 잡음을 뮤트시키는 잡음 정류기(l12b)로 구성된 음성중간 주파 집적회로(112)의 입력단을 연결시키며, 상기 음성 중간 주파 집적회로(112)의 출력단은 음성신호 증폭기(113)를 거쳐 스퍼커(114)에 연결시킴으로써 음량신호에 따라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한 음성신호 출력 회로부(110)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콜렉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TR1) 베이스의 한측은 저항(R1)을 거쳐 접지시키고, 그의 타측은 제너다이오드(ZD1)와 저항(R2)을 거쳐 전원(B+)에 연결시켜 TV스위치 턴 오프시를 검출하는 턴오프검출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트랜지스터(TR1)로 상기 R3, C1의 적분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팝잡음을 뮤트시키기 위한 팝잡음 뮤트회로부(120)를 구성한다.
이하 이들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3도의 회로도에서 TV 스위치 턴오프시 음성 신호 출력회로부(110)의 마이컴(111) 음량 신호 출력단에서 출력된 신호는 로우신호가 된다.
그런데 저항(R3)과 콘덴서(C1)에 의한 시정수 그, 직분 회로의 시정수때문에 A점에 출력하는 신호는 하이 신호가 된다.
이때 팝잡음 뮤트회로부(120)에서는 전원(B+)전압이 저항(R1), (R2)과 제너다이오드(ZD1)를 거쳐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로우신호로 인가되고, 이 인가된 신호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온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R3)과 콘덴서(C1)에 의한 시정수때문에 나타난 신호는 상기 온된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를 통해 콜렉터로 접지된다.
그리고 상기 온된 트랜지스터(TR1) 에미터의 신호는 로우신호이므로 음성 중간 주파 집적회로(120)와 음성증폭기(113) 및 스피커(114)를 통한 음성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팝잡음이 뮤트된다.
한편 정상동작시 음성 신호 출력회로부(110)의 마이컴(111)음량 신호 출력단에서 출력된 신호는 저항(R3)과 콘덴서(C1)에 의해 적분된 신호가 된다.
이때, 팝잡음 뮤트회로부(120)에서는 전원(B+)전압이 저항(R1), (R2)과 제너다이오드(ZD1)를 거쳐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하이신호로 인가되고, 이 인가된 신호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R3)과 콘덴서(C1)에 의해 적분된 신호는 저항(R4)과 콘덴서(C2)에 의해 교류성분이 제거됨과 동시에 FM 검파기(112a)와 FM 검파기(112b)에서 발생된 잡음을 뮤트시키는 잡음 정류기(112b)로 구성된 음성 중간 주파 집적회로(113)를 거쳐서 음성증폭기(113)에 입력되고 그 입력된 신호는 상기 음성증폭기 (113)에 의해 증폭되어 스피커(114)로 정상 출력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A점과 전원(B+)전압에서의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제2도의 팝잡음 뮤트회로부(120)에서 전원(B+)전압이 8 내지 12V(포화상태)가 되면 저항(R1), (R2)과 제너다이오드(ZD1)를 거쳐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이 인가된 신호는 하이신호가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된다.
따라서 음성신호 출력회로부(110)의 마이컴(111) 음량신호 출력단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제2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스피커(114)를 통하여 음성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전원(B+)전압이 1 내지 8V(음량신호 가변범위)가 되면 상기 트랜지스터(TR1)베이스에 인가되는 신호는 가변적으로 인가되고, 이 인가된 신호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온 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음성 신호 출력회로부(110)의 마이컴(111)음량 신호 출력단에서 출력된 신호는 하이 또는 로우신호가 되어 상기 제2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신호가 스피커(114)를 통하여 가변적으로 출력된다.
또한 전원(+B)전압이 1V이하(시정수 뮤트)가 되면 상기 트랜지스터(TR1) 베이스에 인가되는 신호는 로우 신호가 되어 트랜지스터(TR1)가 온된다.
따라서 상기 음성 신호 출력회로부(110)의 저항(R3)과 콘덴서(C1)에 의한 시정수 때문에 나타난 신호는 상기 온된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를 통하여 콜렉터로 접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2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퍼커(114)를 통한 음성 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TV의 음성신호계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의 턴 오프시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팝잡음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었던 것을 팝잡음 뮤트회로로 뮤트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음량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1)과, 이 마이컴(11)의 출력을 적분하는 적분회로(R3, C1)와, 이 적분회로(R3, C1)의 출력을 FM변조하는 음성중간주파집적회로(112)및, 상기 FM변조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14)로 제공하는 음성증폭기(113)를 구비한 음성출력회로부(110)에 있어서, 상기 적분회로(R3, C1)와 상기 음성중간주파집직회로(112)사이에 접속하되, TV스위치의 턴오프를 검출하여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하는 턴오프검출수단(R1, R2, ZD1)과 이 로우레벨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적분회로(R3, C1)에서 발생된 잡음신호를 접지시키는 트랜지스터(TR1)를 포함하는 잡음제거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스위치 턴오프시 팝잡음 뮤트회로.
KR2019880020213U 1988-12-07 1988-12-07 Tv 스위치 턴 오프시 팝잡음 뮤트회로 KR930000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213U KR930000346Y1 (ko) 1988-12-07 1988-12-07 Tv 스위치 턴 오프시 팝잡음 뮤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213U KR930000346Y1 (ko) 1988-12-07 1988-12-07 Tv 스위치 턴 오프시 팝잡음 뮤트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346Y1 true KR930000346Y1 (ko) 1993-01-25

Family

ID=1928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213U KR930000346Y1 (ko) 1988-12-07 1988-12-07 Tv 스위치 턴 오프시 팝잡음 뮤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3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258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무팅 회로
EP1031815A4 (en) ANGULAR SPEED SENSOR
KR930000346Y1 (ko) Tv 스위치 턴 오프시 팝잡음 뮤트회로
KR840000139A (ko) 텔레비젼 수신기의 자동이득제어 시스템용 잡음 감도 감소회로
KR910006567Y1 (ko) 프리앰프를 이용한 뮤트회로
KR940000648Y1 (ko) 팝 노이즈 제거회로
KR200146060Y1 (ko) 팝노이즈 제거회로
KR890006632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잡음 방지회로
KR860003674Y1 (ko) 전원 온·오프(on, off)시의 잡음 제거회로
KR900002073Y1 (ko) 잡음신호 제거회로
KR200193387Y1 (ko) 오디오장치의뮤트회로
KR970009230A (ko) 티브이(tv) 자동선국장치 및 자동선국방법
JP2508709B2 (ja) オ−デイオコンパンダ−回路
KR850001037Y1 (ko) 음향기기의 전원스위치 온, 오프시의 충격음 제거회로
KR920004062Y1 (ko) 뮤트회로
KR890001540Y1 (ko) 주파수 합성방식 tv의 채널 선국시 뮤팅회로
KR900004472Y1 (ko) Tv 음성 자동 절환기의 잡음 제거 회로
KR860000482Y1 (ko) 음성 험 방지회로
KR910000687Y1 (ko) 차동증폭기를 사용한 오디오 앰프의 클릭음 제거회로
KR940002970B1 (ko) 쇼크음 방지회로
KR840001563Y1 (ko) 일시정지 스위치를 이용한 녹음 뮤팅회로
KR890006639Y1 (ko) 음향기기의 뮤팅 회로
KR880003264Y1 (ko) 급속(Quick)뮤트 회로
KR200175883Y1 (ko)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KR900004793Y1 (ko) 증폭기의 연속과출력방지 및 하울링 방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