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883Y1 -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883Y1
KR200175883Y1 KR2019960041670U KR19960041670U KR200175883Y1 KR 200175883 Y1 KR200175883 Y1 KR 200175883Y1 KR 2019960041670 U KR2019960041670 U KR 2019960041670U KR 19960041670 U KR19960041670 U KR 19960041670U KR 200175883 Y1 KR200175883 Y1 KR 200175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te
power
voice
mut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644U (ko
Inventor
김윤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41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883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6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8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4Muting amplifier when no signal is present or when only weak signals are present, or caused by the presence of noise signals, e.g. squelch systems
    • H03G3/348Muting in response to a mechanical action or to power supply variations, e.g. during tuning; Click removal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case of switching on or off of a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4Muting amplifier when no signal is present or when only weak signals are present, or caused by the presence of noise signals, e.g. squelch systems
    • H03G3/342Muting when some special characteristic of the signal is sensed which distinguishes it from noise, e.g. using spee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음성 출력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경우에 음성 신호를 뮤트시켜 잡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원의 차단을 검출하는 전원 차단 검출 수단이 전원의 공급을 검출할 경우에 스위칭 수단이 뮤트 제어신호를 통과시키게 하고, 스위칭 수단을 통과한 뮤트 제어신호에 따라 뮤트 제어수단이 음성 뮤트부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뮤트 또는 정상 출력하게 하며, 전원 차단 검출 수단이 전원의 차단을 검출할 경우에 스위칭 수단이 뮤트 제어신호를 차단시키게 하고, 뮤트 제어수단이 음성 뮤트부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게 함으로써 전원의 차단시 과도 현상이 빌생하면서 잡음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본 고안은 텔레비전 수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및 오디오 시스템을 비롯한 각종 음성 출력 기기에 있어서, 전원이 차단될 경우에 잡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기기를 동작시켜 소정의 음성 신호를 청취하다가 일시적으로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뮤트시키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전화 통화를 하거나 또는 손님이 방문하여 대화를 할 경우에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뮤트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음성 출력기기는 별도의 뮤트 키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뮤트 키를 누를 경우에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성 출력기기에 사용되는 음성 뮤트 제어 회로의 일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1은 키입력부(2)의 뮤트 키(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누름에 따라 뮤트 제어신호(MUC)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고, 부호 3은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는 음성 뮤트부이며, 부호 4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가 출력하는 뮤트 제어신호(MUC)에 따라 상기 음성 뮤트부(3)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게 하는 뮤트 제어부이다.
상기 뮤트 제어부(4)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가 출력하는 상기 뮤트 제어신호(MUC)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콜렉터는 상기 음성 뮤트부(3)의 뮤트단자(MU)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는 음성 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키입력부의 뮤트 키를 누를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1)는 고전위의 뮤트 제어신호(MUC)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가 출력한 고전위의 뮤트 제어신호(MUC)는 뮤트 제어부(4)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그러면, 트랜지스터(Q1)가 온되고, 음성 뮤트부(3)의 뮤트 단자(MU)가 트랜지스터(Q1)를 통해 접지되므로 음성 뮤트부(3)는 음성 신호를 뮤트시켜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음성 신호가 정상으로 출력되도록 할 경우에 키입력부(2)의 뮤트 키를 다시 누르면, 마이크로 컴퓨터(1)는 뮤트 제어신호(MUC)를 저전위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는 반대로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고, 음성 뮤트부(3)는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지 않고, 정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이 차단되어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 과도 현상이 발생하여 음성 신호의 출력을 뮤트시키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스피커로 잡음이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많은 불쾌감을 주었음은 물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이 차단될 경우에 음성 신호를 뮤트시켜 잡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는 전원의 차단을 검출하는 전원 차단 검출 수단이 전원의 공급을 검출할 경우에 스위칭 수단이 뮤트 제어신호를 통과시키게 하고, 스위칭 수단을 통과한 뮤트 제어신호에 따라 뮤트 제어수단이 음성 뮤트부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뮤트 또는 정상 출력하게 하며,
전원 차단 검출 수단이 전원의 차단을 검출할 경우에 스위칭 수단이 뮤트 제어신호를 차단시키게 하고, 뮤트 제어수단이 음성 뮤트부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음성 뮤트 제어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음성 뮤트 제어 회로도.
도 3a 내지 도 3e는 도2의 각부의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마이크로 컴퓨터
12 : 키입력부
13 : 음성 뮤트부
14 : 전원부
15 : 전원 차단 검출수단
16 : 스위칭부
17 : 뮤트 제어수단
MUS : 뮤트 제어신호
ZD : 정전압 다이오드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음성 뮤트 제어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12)의 뮤트 키를 누름에 따라 뮤트 제어신호(MUC)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1)와, 뮤트 단자(MU)에 인가되는 저전위에 의해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는 음성 뮤트부(13)와,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와, 상기 전원부(14)가 동작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경우에 이를 검출하는 전원 차단 검출수단(15)과, 상기 전원 차단 검출수단(15)이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1)가 출력하는 뮤트 제어신호(MUC)를 차단하는 스위칭 수단(16)과, 상기 스위칭 수단(16)이 뮤트 제어신호(MUC)를 출력하지 않을 경우에 음성 뮤트부(13)가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게 하고 스위칭 수단(16)이 뮤트 제어신호(MUC)를 출력할 경우에 상기 음성 뮤트부(13)가 뮤트 제어신호(MUC)에 따라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게 하는 뮤트 제어수단(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 차단 검출수단(15)은 전원부(14)의 출력단자가 정전압 다이오드(ZD)의 캐소드에 접속되고, 정전압 다이오드(ZD)의 애노드가 저항(R11)을 통해 접지 저항(R12)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원 차단 검출수단(15)의 저항(R11)(R12)의 접속점은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1)의 뮤트 제어신호(MUC)를 출력하는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스위칭 수단(16)이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수단(16)의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에는 전원(B+)이 저항(R13)을 통해 인가되게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이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12)의 에미터는 접지되며, 콜렉터는 상기 뮤트 제어부(13)의 뮤트 단자(MU)에 접속되어 뮤트 제어수단(17)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는 전원(B+)이 인가된 상태에서 전원부(14)가 정상으로 동작 전원을 출력할 경우에 전원 차단 검출수단(15)의 정전압 다이오드(ZD)의 캐소드에는 그의 제너 전압 이상이 인가되어 도통 상태로 된다.
그러면, 전원부(14)의 출력 전원이 정전압 다이오드(ZD)를 통하고, 저항(R11)(R12)에 의해 분할되어 스위칭 수단(16)의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1)가 온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이크로 컴퓨터(11)가 뮤트 제어신호(MUC)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위로 출력하게 되면, 전원(B+)이 뮤트 제어수단(17)의 저항(R13) 및 트랜지스터(Q11)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1)의 출력단자로 흐르게 되고,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위가 인가된다.
그러면, 트랜지스터(Q12)가 오프되고, 음성 뮤트부(13)의 뮤트 단자(MU)의 전위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위로 되므로 음성 뮤트부(13)는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지 않고,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간(t1)에 사용자가 키입력부(12)의 뮤트 키를 눌러 마이크로 컴퓨터(11)가 뮤트 제어신호(MUC)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위로 출력하게 되면,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위가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와는 반대로 트랜지스터(Q12)가 온되고, 음성 뮤트부(13)의 뮤트 단자(MU)가 트랜지스터(Q12)를 통해 등가적으로 접지되므로 뮤트 단자(MU)의 전위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위로 되고, 음성 뮤트부(13)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신호를 뮤트시켜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간(t2)에 사용자가 키입력부(12)의 뮤트 키를 다시 눌러 마이크로 컴퓨터(11)가 뮤트 제어신호(MUC)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위로 출력하게 되면, 트랜지스터(Q12)가 다시 오프되고, 음성 뮤트부(13)의 뮤트 단자(MU)의 전위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고전위로 되어 음성 뮤트부(13)는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지 않고, 정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간(t3)에 외부 전원이 차단되면, 전원부(14)의 출력 전원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서히 낮아지게 된다.
즉, 전원부(14)는 통상적으로 콘덴서를 구비하여 전원을 안정시킨 후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외부 전원이 차단될 경우에 상기 콘덴서에 충전되어 있던 전원이 서서히 방전되어 출력 전원이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간(t4)에 전원부(14)의 출력 전원이 정전압 다이오드(ZD)의 제어 전압 이하로 되면, 상기와는 반대로 정전압 다이오드(ZD)가 차단 상태로 되므로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는 저전위가 인가되어 그가 오프된다.
그러면, 전원(B+)이 저항(R13)을 통해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원(B+)의 레벨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서서히 낮아지게 되나, 외부 전원이 차단된 초기의 일정 시간 동안은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그의 바이어스 전압 이상을 인가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12)가 온된다.
그러면, 음성 뮤트부(13)의 뮤트 단자(MU)가 트랜지스터(Q12)를 통해 접지되므로 뮤트 단자(MU)의 전위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위로 되고, 음성 뮤트부(13)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신호를 뮤트시켜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음성 신호의 뮤트를 제어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뮤트 키의 누름에 따라 직접 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음성 출력기기에 간단히 적용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 음성 뮤트부가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게 함으로써 전원의 차단시 과도 현상이 빌생하면서 잡음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뮤트 단자에 인가되는 저전위에 의해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는 음성 뮤트부와,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가 동작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경우에 이를 검출하는 전원 차단 검출수단과, 상기 전원 차단 검출수단이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을 검출할 경우에 뮤트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이 뮤트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경우에 음성 뮤트부가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게 하고 스위칭 수단이 뮤트 제어신호를 출력할 경우에 상기 음성 뮤트부가 뮤트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게 하는 뮤트 제어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뮤트 제어신호는 뮤트 키를 누름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가 출력 및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 차단 검출수단은, 상기 전원부의 출력 전원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일 경우에 차단상태로 되는 정전압 다이오드와,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를 통과한 전원을 분할하여 검출신호로 출력하는 저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전원 차단 검출수단이 전원의 차단을 검출할 경우에 뮤트 제어신호를 차단하고 전원의 공급을 검출할 경우에 뮤트 제어신호를 통과시키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KR2019960041670U 1996-11-23 1996-11-23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KR200175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670U KR200175883Y1 (ko) 1996-11-23 1996-11-23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670U KR200175883Y1 (ko) 1996-11-23 1996-11-23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644U KR19980028644U (ko) 1998-08-05
KR200175883Y1 true KR200175883Y1 (ko) 2000-04-15

Family

ID=1947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670U KR200175883Y1 (ko) 1996-11-23 1996-11-23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8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644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705916A (ko) 오디오 신호 재생 장치(Audio signal reproduction apparatus)
US5488258A (en) Circuit for muting noises in a power amplifier
US6573786B2 (en) 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an audio amplifier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uch electronic devices
KR200175883Y1 (ko)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US4427949A (en) Signal intercepting circuit
US5526434A (en) Audio signal output device
KR100265318B1 (ko) 신호레벨 제어장치
JPS6339162B2 (ko)
KR950012037B1 (ko) 자동뮤팅회로
KR100234948B1 (ko) 디지탈 위성수신기에서의 오디오 뮤트회로
KR820001568Y1 (ko) 뮤팅 회로
KR19990047527A (ko) 브이시알 시스템의 팝노이즈 저감회로
KR19980027223U (ko)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
KR19980034812U (ko) 헤드폰 사용시 우퍼스피커 차단회로
KR900008895Y1 (ko) 팝(pop)노이즈 발생방지회로
KR200158593Y1 (ko) 모니터의 내장형 마이크 신호 출력회로
KR910004407Y1 (ko) 음성 다중 모우드 제어회로
KR930000346Y1 (ko) Tv 스위치 턴 오프시 팝잡음 뮤트회로
KR920004062Y1 (ko) 뮤트회로
KR920006750Y1 (ko) 입력선택회로
KR200212467Y1 (ko) 외부기기의 오디오신호 과입력 방지장치_
KR890005822Y1 (ko) 음향기기용 스위칭 잡음 제거장치
JPS62294309A (ja) 音量制御装置
KR19980022744U (ko) 모니터의 오디오 뮤트회로
KR950026230A (ko) 텔레비젼용 스피커를 이용한 사운드 출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