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744U - 모니터의 오디오 뮤트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오디오 뮤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744U
KR19980022744U KR2019960036107U KR19960036107U KR19980022744U KR 19980022744 U KR19980022744 U KR 19980022744U KR 2019960036107 U KR2019960036107 U KR 2019960036107U KR 19960036107 U KR19960036107 U KR 19960036107U KR 19980022744 U KR19980022744 U KR 199800227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mute
control signal
circu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6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정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36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744U/ko
Publication of KR199800227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744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4Muting amplifier when no signal is present or when only weak signals are present, or caused by the presence of noise signals, e.g. squelch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디오 전원이 저전압시 오디오 출력을 뮤트시켜 잡음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디오 뮤트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회로는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오디오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주전원 공급기(110)와; 상기 주전원 공급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되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볼륨조절신호에 따라 증폭하거나 뮤트제어신호에 따라 출력을 차단하는 오디오 전치증폭기(130); 상기 주전원 공급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오디오 전치 증폭기의 출력을 고정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하는 오디오 출력 증폭기(120); 상기 주전원 공급기로부터 오디오회로에 제공되는 전압을 모니터하여 오디오전압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뮤트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저전압 검출수단(200); 및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상기 볼륨조절신호 및 뮤트제어신호를 상기 오디오 전치증폭기로 출력하여 오디오회로의 볼륨과 뮤트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140)으로 구성되어 오디오 전원이 불안정할 경우 오디오 전치 증폭기가 오디오 출력을 뮤트시키므로써 스피커를 통해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한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오디오 뮤트회로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용 모니터의 오디오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전원이 저전압시 오디오 출력을 뮤트시켜 잡음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디오 뮤트회로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분야의 급속한 신장으로 종래의 가전기술과 컴퓨터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개인용 컴퓨터도 각종 영화와 음악 등을 시청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컴퓨터로 발전되고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란 문자, 음성, 음악, 영상 등의 다양한 정보형태가 통합되어 생성.전달.처리되도록 하는 시스템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컴퓨터에서는 영상처리기능뿐만아니라 고품질의 오디오기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대부분의 멀티미디어 컴퓨터에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한 사운드카드를 제공하거나 모니터에 오디오용 전용칩을 구비하여 고품질의 오디오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디오회로가 구비된 모니터에서는 전용칩을 위한 오디오 전원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오디오 전용칩은 단일칩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있으나 오디오 전치증폭기(audio pre-amplifier)와 오디오 출력증폭기(audio power amplifier)로 구분된 것도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에 있어서 오디오 전치 증폭기와 오디오 출력 증폭기로 구분된 종래의 오디오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오디오전원을 제공하는 주전원공급기(110)와, 볼륨 및 뮤트제어기능을 갖는 마이콤(140), 마이콤의 볼륨 및 뮤트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전치증폭기(130), 오디오 전치증폭기의 출력을 고정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하는 오디오 출력증폭기(12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 전치 증폭기(130)는 주전원 공급기(110)로부터 인가되는 V2 전압에 의해 작동되어 R 채널 오디오 입력단자(132a) 및 L 채널 오디오 입력단자(132b)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R 채널 오디오신호 및 L 채널 오디오 신호를 마이콤의 볼륨조절신호에 따라 증폭하고, 마이콤으로부터 뮤트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출력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잡음이 스피커(122a,122b)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억제한다.
오디오 출력 증폭기(120)는 주전원 공급기(110)로부터 인가되는 V1 전압에 의해 작동되어 오디오 전치 증폭기(130)가 출력하는 R 채널 오디오신호와 L 채널 오디오신호를 고정 증폭하여 R 채널 스피커(122a)와 L 채널 스피커(122b)를 구동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오디오 회로에서는 오디오 전원이 불안정할 경우에 스피커를 통해 잡음 소리가 들려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오디오회로로 입력되는 전압이 저전압이면 오디오 신호를 뮤트시켜 잡음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멀티미디어용 모니터의 오디오 뮤트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회로는,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오디오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주전원 공급기와; 상기 주전원 공급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되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볼륨조절신호에 따라 증폭하거나 뮤트제어신호에 따라 출력을 차단하는 오디오 전치증폭기; 상기 주전원 공급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오디오 전치 증폭기의 출력을 고정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하는 오디오 출력증폭기; 상기 주전원 공급기로부터 오디오회로에 제공되는 전압을 모니터하여 오디오 전압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뮤트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저전압 검출부; 및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상기 볼륨조절신호 및 뮤트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모니터에 있어서 종래의 오디오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타이밍도,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저전압 검출부의 일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주전원 공급기120: 오디오 출력증폭기
130: 오디오 전치증폭기140: 마이콤
122a,122b: 스피커132a,132b: 오디오 입력단자
200: 저전압검출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타이밍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저전압 검출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 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원 공급기(110)와, 오디오 출력 증폭기(120), 오디오 전치 증폭기(130), 마이콤(140), 저전압 검출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전압 검출부(200)는 V2 전압이 뮤트제어신호보다 클 경우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Q1)와, V2전압을 분할하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인가하기 위한 분할저항(R1,R2), V2전압과 콜랙터 사이에 연결되는 콜랙터 저항(R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저전압 검출부(200)는 V2전압이 V3전압보다 훨씬 클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Q1)와, V2전압을 분할하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바이어싱하기 위한 분할저항(R1,R2), V3전압과 콜랙터 사이에 연결되는 콜랙터 저항(R3)으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저전압 검출기(200)는 오디오 전치 증폭기로 입력되는 오디오 전원이 소정의 기준전압 이하로 내려가면 뮤트제어신호를 오디오 전치 증폭기의 뮤트(mute)단자로 출력하여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키므로써 저전압에 의해 잡음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오디오 전치 증폭기(130)로 입력되는 전압이 V2이고, 저전압 검출기가 뮤트제어신호를 출력할지를 결정하는 기준전압을 V2전압의 95%인 '0.95V2'라고 하자.
그러면,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경우나 혹은 다른 이유로 오디오 전압이 변동될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원 공급기가 출력하는 오디오 전압이 V2 전압의 95% 이하이면 뮤트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오디오 전치증폭기의 뮤트기능을 온시키고, 오디오 전압이 V2전압의 95% 이상이 되면 뮤트기능을 오프하여 오디오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횡축은 시간축이고 종축은 오디오 전치 증폭기에 인가되는 V2전압의 크기를 나타낸다. 전원이 온되고 나서 V2전압의 크기가 정상전압 크기의 95%에 이를 때까지 뮤트기능이 온되어 있다가 그 이상이 되면 뮤트기능이 오프되어 있다. 전원을 오프할 경우 전압이 0.95% 이하로 떨어지면 다시 뮤트기능이 온되어 잡음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주전원 공급기(110)는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로 변환한 후 PWM제어에 의해 스위칭 소자가 스위칭하여 2차측 권선에 다수의 전압을 유도하여 오디오회로 및 모니터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전압을 제공한다. 이러한 주전원 공급기(110)의 동작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주전원 공급기(110)는 오디오 출력증폭기에 요구되는 V1전압과 오디오 전치증폭기에서 요구되는 V2 전압 및 저전압검출부에서 요구되는 V3전압을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 증폭기(120)는 주전원 공급기로부터 입력되는 전압(V1)에 의해 작동되어 오디오 전치 증폭기(130)가 출력하는 오디오신호를 고출력으로 고정 증폭하여 R채널 및 L채널 스피커(122a, 122b)를 구동시킨다.
오디오 전치 증폭기(130)는 R채널 및 L채널 오디오 입력단자(132a,132b)를 통해 입력되는 R채널 오디오 신호와 L 채널 오디오신호를 증폭한다. 이때 뮤트(MUTE)단자를 통해 뮤트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디오 전치증폭기의 출력을 차단하여 스피커를 통해 잡음이 들리지 않도록 하고, 볼륨조절단자(VOL)를 통해 볼륨조절신호가 입력되면 이 신호에 따라 증폭도를 조절하여 출력되는 음의 크기를 조절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전치 증폭기(130)가 뮤트제어단자와 볼륨조절단자를 각각 가지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단자수를 줄이기 위하여 하나의 단자로 뮤트 및 볼륨조절기능을 처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볼륨조절전압과 뮤트제어전압을 구분하기 위하여 볼륨조절전압이 소정 전압(예컨대, 0.4V) 이하가 되면 뮤트제어신호로 간주하여 출력을 뮤트시킨다.
마이콤(140)은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고, 사용자에 의해 오디오 볼륨 및 뮤트 관련 키가 조작되면 해당 볼륨조절신호 및 뮤트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저전압 검출부(200)는 도 4 혹은 도 5와 같이 하나의 트랜지스터(Q1)를 이용하여 구현되는데, V2 전압이 정상일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1)가 온되고 V2전압이 95% 이하로 낮아질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도록 바이어스 저항(R1,R2)이 설정되어 있다. 이때 바이어스 저항(R1,R2)값을 적절히 선택하면 V2전압이 원하는 만큼 낮아졌을 때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전치 증폭기(130)에서 사용되는 V2전압을 모니터하도록 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오디오 출력 증폭기(120)에서 사용되는 V1전압을 모니터하여 V1전압이 저전압일 경우에 뮤트기능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V2 전압이 정상이면, 트랜지스터(Q1)가 온되어 저전압 검출부(200)는 '로우'를 출력하고 있다. 만일, V2전압이 95% 이하로 낮아질 경우에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고, 이에 따라 뮤트제어신호는 '하이'로 활성화된다. 따라서 오디오 전치 증폭기(130)는 출력을 뮤트시켜 저전압시에 잡음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정상시 V2전압이 12V라면 0.95V2의 크기는 11.4V이다.
저전압 검출부(200)의 뮤트제어신호과 마이콤(140)이 출력하는 뮤트제어신호는 오아게이트(210)에서 논리합 연산되므로 저전압 검출부(200)의 출력이나 마이콤(140)의 출력중 어느 하나라도 '하이'를 출력하면 뮤트제어신호가 활성화되어 오디오 전치 증폭기(130)가 뮤트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저전압 검출부(200)의 출력을 바로 오디오 전치 증폭기 측으로 출력하지 않고, 마이콤(140)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마이콤(140)은 저전압 검출부로부터 뮤트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자신의 뮤트제어신호를 활성화시켜 오디오 전치 증폭기(130)로 출력한다. 이때 저전압 검출부(200)로부터 오디오 전치 증폭기(130)로의 출력이 필요없으므로 오아게이트(210)가 필요없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저전압시 뮤트회로는 오디오 전원전압이 낮아지면 저전압 검출부에서 이를 검지하여 뮤트제어신호를 오디오 전치 증폭기로 출력하고, 이에 따라 오디오 전치 증폭기가 오디오 출력을 뮤트시키므로써 저전압시 스피커를 통해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오디오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주전원 공급기(110)와;
    상기 주전원 공급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되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볼륨조절신호에 따라 증폭하거나 뮤트제어신호에 따라 출력을 차단하는 오디오 전치증폭기(130);
    상기 주전원 공급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오디오 전치 증폭기의 출력을 고정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하는 오디오 출력 증폭기(120);
    상기 주전원 공급기로부터 오디오회로에 제공되는 전압을 모니터하여 오디오전압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뮤트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저전압 검출수단(200); 및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상기 볼륨조절신호 및 뮤트제어신호를 상기 오디오 전치증폭기로 출력하여 오디오회로의 볼륨과 뮤트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140)으로 구성되는 모니터의 오디오 뮤트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뮤트회로는 상기 저전압 검출부의 뮤트제어신호와 마이콤의 뮤트제어신호를 논리합하기 위한 오아게이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오디오 뮤트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저전압 검출수단으로부터 뮤트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자신의 뮤트제어신호를 활성화시켜 오디오 전치 증폭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오디오 뮤트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검출수단(200)이 베이스단에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R1,R2)에 의해 검출 저전압의 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Q1)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오디오 뮤트회로.
KR2019960036107U 1996-10-29 1996-10-29 모니터의 오디오 뮤트회로 KR199800227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107U KR19980022744U (ko) 1996-10-29 1996-10-29 모니터의 오디오 뮤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107U KR19980022744U (ko) 1996-10-29 1996-10-29 모니터의 오디오 뮤트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744U true KR19980022744U (ko) 1998-07-25

Family

ID=5398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6107U KR19980022744U (ko) 1996-10-29 1996-10-29 모니터의 오디오 뮤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74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048B1 (ko) 텔레비젼 시스템
US5255094A (en) Muting circuit for eliminating transient signals generated due to power supply turn-on and turn-off
US7092533B1 (en) BTL amplifier apparatus
US68858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ound function of a computer system
EP1047187B1 (en) Pre-amplifier circuit
KR19980022744U (ko) 모니터의 오디오 뮤트회로
KR19980022760U (ko) 모니터에 있어서 오디오 뮤트회로
JPH05283958A (ja) 音量制御システム
KR940003350B1 (ko) 볼륨 자동 제어장치
KR960008365Y1 (ko) 헤드폰 삽입시 중저음 뮤트회로
KR20000043635A (ko) 브이 씨 알의 오디오 증폭이득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0175883Y1 (ko)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KR950010581A (ko) 텔레비젼의 스피커를 이용한 외부 오디오 장치의 음성 출력회로
KR200212467Y1 (ko) 외부기기의 오디오신호 과입력 방지장치_
KR0171835B1 (ko) 영상출력장치에 대한 절전장치 및 방법
KR930011600B1 (ko) 영상기기에서 무신호 입력시 전원 오프방법
KR0127525B1 (ko) 카오디오의 빨리감기(ff)/빨리 되감기(rew)시 음단절 현상 방지 회로
KR930007194Y1 (ko) 스테레오 방송방식에 따른 자동 수신 절환 회로
KR100202028B1 (ko) 브이씨알의 경보음 발생장치
KR19990047527A (ko) 브이시알 시스템의 팝노이즈 저감회로
KR0133433Y1 (ko) 영상재생장치의 뮤트상태 제어회로
KR960012928B1 (ko) 스테레오/모노 강제 전환회로
GB2307606A (en) Muting in a microprocessor-controlled audio apparatus
KR910000554Y1 (ko) 클릭음 방지회로
KR970032003A (ko) 텔레비전 수상기에서의 볼륨 레벨 자동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