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223U -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223U
KR19980027223U KR2019960040146U KR19960040146U KR19980027223U KR 19980027223 U KR19980027223 U KR 19980027223U KR 2019960040146 U KR2019960040146 U KR 2019960040146U KR 19960040146 U KR19960040146 U KR 19960040146U KR 19980027223 U KR19980027223 U KR 199800272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ute
mute control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범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40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7223U/ko
Publication of KR199800272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223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4Muting amplifier when no signal is present or when only weak signals are present, or caused by the presence of noise signals, e.g. squelch systems
    • H03G3/348Muting in response to a mechanical action or to power supply variations, e.g. during tuning; Click removal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7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of digital or coded signals

Landscapes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음성 출력 기기에서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뮤트시키고 뮤트를 해제할 경우에 팝 잡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음성 신호의 뮤트를 제어하는 음성 프로세서에 뮤트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뮤트 제어신호가 발생될 경우에 뮤트 제어수단이 음성 프로세서의 뮤트 단자의 전위를 천천히 감소시키고, 뮤트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음성 프로세서의 뮤트 단자의 전위를 천천히 증가되게 함으로써 음성 신호를 뮤트할 경우에 음성 신호의 레벨이 천천히 감소되고, 뮤트를 해제할 경우에 음성 신호의 레벨이 천천히 증가되어 팝 잡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
본 고안은 텔레비전 수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및 오디오 시스템을 비롯한 각종 음성 출력 기기에 있어서,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뮤트(mute)시키고 뮤트를 해제할 경우에 팝(pop) 잡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기기를 동작시켜 소정의 음성 신호를 청취하다가 일시적으로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뮤트시키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전화 통화를 하거나 또는 손님이 방문하여 대화를 할 경우에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뮤트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음성 출력기기는 별도의 뮤트 키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무트 키를 누를 경우에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성 출력기기에 사용되는 음성 뮤트 제어 회로의 일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1은 음성 신호(AS)를 초단 증폭하는 초단 증폭기이고, 부호 2는 상기 초단 증폭기(1)에서 초단 증폭된 음성 신호의 레벨을 음량 조절신호(VOL)에 따라 조절하고 뮤트 단자(MU)의 전위에 따라 뮤트시키면서 출력하는 음성 프로세서이다.
부호 3은 상기 음성 프로세서(2)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를 메인 증폭하여 스피커(4)로 출력하는 메인 증폭기이다.
부호 5는 키입력부(6)의 신호에 따라 음량 조절신호(VOL)를 출력하여 상기 음성 프로세서(2)가 출력하는 음성 신호의 레벨을 조절함과 아울러 뮤트 제어신호(MUC)를 출력하여 상기 음성 프로세서(2)가 음성 신호를 뮤트시키게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5)가 출력하는 뮤트 제어신호(MUC)는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상기 음성 프로세서(2)의 뮤트 단자(MU)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AS)가 초단 증폭기(1)에서 도 2a와 같이 증폭된다.
초단 증폭기(1)에서 증폭된 음성 신호는 음성 프로세서(2)에서 마이크로 컴퓨터(5)가 출력하는 음량 조절신호(VOL)에 따라 음량이 조절되고, 메인 증폭기(3)에서 증폭된 후 스피커(4)로 출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6)를 조작하여 음량을 조절하면, 마이크로 컴퓨터(5)는 키입력부(6)의 키신호에 따라 음량 조절신호(VOL)를 출력하여 음성 프로세서(2)가 출력하는 음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시간(t1)에 키입력부(6)의 뮤트 키를 누르면, 마이크로 컴퓨터(5)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위의 뮤트 제어신호(MUC)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출력한 고전위의 뮤트 제어신호(MUC)는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가 온되고, 상기 뮤트단자(MU)의 전위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위로 된다.
그러면, 음성 프로세서(2)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간(t2)에 사용자가 키입력부(6)의 뮤트 키를 눌러 뮤트를 해제하면, 마이크로 컴퓨터(5)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뮤트 제어신호(MUC)를 다시 저전위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는 반대로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고, 음성 프로세서(2)의 뮤트 단자(MU)의 전위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위로 된다.
그러므로 음성 프로세서(2)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신호를 정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가 뮤트 키를 누름에 따라 순간적으로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뮤트시키고, 뮤트를 해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성 신호가 순간적으로 차단 및 출력됨에 따라 팝 잡음이 발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많은 불쾌감을 주었음은 물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성 신호를 뮤트 및 뮤트 해제를 할 경우에 팝 잡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는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뮤트 제어신호가 출력될 경우에 음성 프로세서의 뮤트 단자의 전위를 천천히 감소시키고, 뮤트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음성 프로세서의 뮤트 단자의 전위를 천천히 증가되게 하는 뮤트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의하면, 음성 신호를 뮤트시킬 경우에 음성 신호의 레벨이 천천히 감소되고, 뮤트를 해제할 경우에 음성 신호의 레벨이 천천히 증가되어 팝 잡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의 일예를 보인 회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각부의 동작 파형도.
도 3은 본 고안의 뮤트 제어회로의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각부의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초단 증폭기
12 : 음성 프로세서
13 : 메인 증폭기
14 : 스피커
15 : 마이크로 컴퓨터
16 : 키입력부
17 : 뮤트 제어수단
AS : 음성 신호
이하, 첨부된 도3 및 도 4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뮤트 제어회로의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신호(AS)를 초단 증폭하는 초단 증폭기(11)와, 상기 초단 증폭기(11)에서 초단 증폭된 음성 신호의 레벨을 음량 조절신호(VOL)에 따라 조절하고 뮤트 단자(MU)의 전위에 따라 뮤트시키면서 출력하는 음성 프로세서(12)와, 상기 음성 프로세서(12)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를 메인 증폭하여 스피커(14)로 출력하는 메인 증폭기(13)와, 키입력부(16)의 신호에 따라 음량 조절신호(VOL)를 출력하여 상기 음성 프로세서(12)가 출력하는 음성 신호의 레벨을 조절함과 아울러 뮤트 제어신호(MUC)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5)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5)가 출력하는 뮤트 제어신호(MUC)에 따라 상기 음성 프로세서(12)의 뮤트 단자(MU)의 전위를 천천히 감소시키고 천천히 증가시키는 뮤트 제어수단(17)으로 구성된다.
상기 뮤트 제어수단(17)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5)가 출력하는 뮤트 제어신호(MUC)가 저항(R11)을 통해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는 접지되며,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는 저항(R12)을 통한 후, 접지 콘덴서(C11) 및 상기 음성 프로세서(12)의 뮤트 단자(MU)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는 음성 신호(AS)가 초단 증폭기(11)에서 도 4a와 같이 증폭된다.
초단 증폭기(11)에서 증폭된 음성 신호는 음성 프로세서(12)를 통하고, 메인 증폭기(13)에서 증폭된 후 스피커(14)로 출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6)를 조작하여 음량을 조절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5)는 키입력부(16)의 키신호에 따라 음량 조절신호(VOL)를 출력하여 음성 프로세서(12)가 출력하는 음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시간(t11)에 키입력부(16)의 뮤트 키를 누르면, 마이크로 컴퓨터(15)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위의 뮤트 제어신호(MUC)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출력한 고전위의 뮤트 제어신호(MUC)는 뮤트 제어수단(17)의 저항(R11)을 통해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1)가 온된다.
그러면, 콘덴서(C11)에 충전되어 있던 고전위가 저항(R12) 및 트랜지스터(Q11)를 통해 천천히 방전되고, 상기 음성 프로세서(12)의 뮤트단자(MU)의 전위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천히 감소하게 된다.
그러면, 음성 프로세서(12)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신호의 레벨을 천천히 감소시켜 뮤트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간(t12)에 사용자가 키입력부(16)의 뮤트 키를 눌러 뮤트를 해제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5)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뮤트 제어신호(MUC)를 다시 저전위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는 반대로 트랜지스터(Q11)가 오프되고, 콘덴서(C11)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전위가 천천히 증가되면서 음성 프로세서(12)의 뮤트 단자(MU)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음성 프로세서(12)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신호의 레벨을 천천히 증가시켜 뮤트를 해제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음량을 조절하고, 음성 신호의 뮤트를 제어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가변 저항을 이용하여 음량을 조절하며, 뮤트 키의 누름에 따라 직접 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음성 출력기기에 간단히 적용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음성 신호를 뮤트시킬 경우에 음성 신호의 레벨을 천천히 감소시키고, 뮤트를 해제할 경우에 음성 신호의 레벨을 천천히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음성 신호의 뮤트 및 뮤트 해제를 할 경우에 팝 잠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Claims (3)

  1. 초단 증폭기에서 증폭된 음성 신호를 뮤트 제어신호에 따라 뮤트시키는 음성 프로세서와, 상기 음성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메인 증폭기와, 상기 뮤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 프로세서가 음성 신호의 레벨을 천천히 증가시키고 천천히 감소시키게 하는 뮤트 제어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뮤트 제어신호는 뮤트키의 누름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가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뮤트 제어수단은, 충전 전위로 상기 음성 프로세서가 출력하는 음성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의 방전 시정수를 설정하는 저항과, 상기 뮤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콘덴서의 충전 전원이 상기 저항을 통해 방전되고 방전을 차단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
KR2019960040146U 1996-11-14 1996-11-14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 KR199800272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146U KR19980027223U (ko) 1996-11-14 1996-11-14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146U KR19980027223U (ko) 1996-11-14 1996-11-14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223U true KR19980027223U (ko) 1998-08-05

Family

ID=5398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146U KR19980027223U (ko) 1996-11-14 1996-11-14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722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481B1 (ko) * 2002-11-09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의 음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502843B1 (ko) * 2003-05-16 2005-07-21 네오피델리티 주식회사 싱글 엔드 디지털앰프에서의 팝노이즈 제거방법 및 그시스템
KR100810853B1 (ko) * 2006-08-25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출력장치에서 팝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481B1 (ko) * 2002-11-09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의 음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502843B1 (ko) * 2003-05-16 2005-07-21 네오피델리티 주식회사 싱글 엔드 디지털앰프에서의 팝노이즈 제거방법 및 그시스템
KR100810853B1 (ko) * 2006-08-25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출력장치에서 팝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2079A (ko)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이용한 음성 크기 조절회로
US4288753A (en) Muting circuit with operational amplifier
US5404115A (en) Variable gain amplifier
KR19980027223U (ko)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 뮤트 제어회로
EP1881602B1 (en) Method and circuit for audio output muting
KR100265318B1 (ko) 신호레벨 제어장치
KR0162581B1 (ko) 음향출력자동 제어장치
JP2841385B2 (ja) 受話回路
JPH04137896A (ja) 機器の音声出力回路
KR970004684B1 (ko) 브이 씨 알의 하이-파이 노이즈 제거 장치
KR970068733A (ko) 다 기능을 구비한 보청기
KR20010011126A (ko) 음성 출력기기의 음성출력 제어장치
JP3138124B2 (ja) 増幅器
KR950012037B1 (ko) 자동뮤팅회로
JPH0645856A (ja) パワーアンプ電源供給装置
GB2307606A (en) Muting in a microprocessor-controlled audio apparatus
KR200175883Y1 (ko) 전원 차단시 음성 뮤트 제어회로
KR910001939Y1 (ko) 파우어 온/오프시 음성출력단 팝노이즈 제거회로
KR20000002403A (ko) 파워 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오디오신호의뮤트 제어장치
JP2579907Y2 (ja) ワイヤレスシステムのノイズ防止装置
EP0616313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 sound based on D/A converted analog signal
JPS5895411A (ja) 小型音響機器
JPS61157034A (ja) Fmラジオ受信機用ミユ−テイング回路
KR970024524A (ko) 카오디오의 전자볼륨 미세조정장치
JPH02134029A (ja) 音量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