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884B1 -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84B1
KR0130884B1 KR1019930004294A KR930004294A KR0130884B1 KR 0130884 B1 KR0130884 B1 KR 0130884B1 KR 1019930004294 A KR1019930004294 A KR 1019930004294A KR 930004294 A KR930004294 A KR 930004294A KR 0130884 B1 KR0130884 B1 KR 0130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impedance
connection
termina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191A (ko
Inventor
황낙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04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884B1/ko
Publication of KR94002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16Measuring impedance of element or network through which a current is passing from another source, e.g. cable, power l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12Input or output aspects
    • G01R31/31715Testing of input or output circuits; test of circuitry between the I/C pins and the functional core, e.g. testing of input or output driver, receiver, buff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와 외부기기와의 오접속 시 오디오신호 출력단자와 비디오신호 출력단자를 자동으로 절환하는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에 신호전송라인의 접속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접속검출수단과, 신호 출력단자와 라인 접속 시에 출력단자의 임피던스를 검출하기 위한 임피던스 검출수단과, 오디오출력과 비디오출력을 입력하여 제1선택 시에는 제1출력단자에 오디오출력을 접속하고, 제2출력단자에 비디오신호를 접속하여 제2선택 시에는 제1출력단자에 비디오출력을 접속하고, 제2출력단자에 오디오신호를 접속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접속검출수단의 접속검출 시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을 인에이블시키고 인에이블된 임피던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출력단의 임피던스에 따라 상기 선택수단을 스위칭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오디오와 비디오신호 출력단자를 기기의 입출력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절환 가능하게 하고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위검출을 위해 형성되는 폐회로를 보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오단자접속 자동절환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각종 영상처리장치의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 입출력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기기와의 오접속 시 오디오신호 출력단자와 비디오신호 출력단자를 자동으로 절환하는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상처리장치는 오디오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단자들과 영상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단자들을 구비하여 외부영상 치 음향기기들과의 접속 시, 이에 대응하는 단자들을 상기 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전송 매체로 접속해야 한다. 이때, 신호전송라인은 라인의 양 종부에 단자들을 전송라인과 접속하기 위한 연결 짹을 구비한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종래의 방법에 의한 영상처리장치의 외부기기와의 접속방식은 영상처리장치의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와 외부기기의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를 정확히 구분하여 접속해야 하는 관계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기기 간의 접속 입출력단자의 각각 다른 임피던스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오접속 시 오디오신호 출력단자와 비디오신호 출력단자를 자동으로 절환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기기 간의 접속 입출력단자의 오접속 시 각각 다른 임피던스를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오디오신호 출력단자와 비디오신호 출력단자를 자동으로 절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는 영상처리장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출력단자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에 신호전송라인의 접속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접속검출수단과, 신호 출력단자와 라인 접속 시에 출력단자의 임피던스를 검출하기 위한 임피던스 검출수단과, 오디오출력과 비디오출력을 입력하여 제1선택 시에는 제1출력단자에 비디오출력을 접속하고, 제2출력단자에 오디오신호를 접속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접속검출수단의 접속검출 시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을 인에이블시키고 인에이블된 임피던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출력단의 임피던스에 따라 상기 선택수단을 스위칭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단자접속 자동절환방법은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에 신호전송라인의 접속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접속검출수단과, 신호 출력단자와 라인 접속 시에 출력단자의 임피던스를 검출하기 위한 임피던스 검출수단과, 오디오출력과 비디오출력을 입력하여 제1선택 시에는 제1출력단자에 오디오출력을 접속하고, 제2출력단자에 비디오신호를 접속하여 제2선택 시에는 제1출력단자에 비디오출력을 접속하고, 제2출력단자에 오디오신호를 접속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접속검출수단의 접속검출 시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을 인에이블시키고 인에이블된 임피던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출력단의 임피던스에 따라 상기 선택수단을 스위칭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단자 자동절환장치의 오단자접속 자동절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단자와 전송라인의 접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접속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접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접속으로 판단될 때,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임피던스 검출수단 구동단계와,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의 구동에 따라 검출된 출력단자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스위치 절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절환 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절환여부 판단단계에서 정상접속으로 판단되면 오디오신호 출력단자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를 서로 절환하기 위한 단자절환단계와, 상기 절환여부 판단단계에서 오접속으로 판단되면 과정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오디오 기기의 국제 규격 임피던스가 입력단이 47KΩ 이상, 출력단이 4.7KΩ 이하로 규정되고, 비디오 기기의 그리고 제 규격 임피던스가 입력단과 출력단 공히 75Ω으로 규정되어 있는 관계로, 전 기기들의 입출력단의 임피던스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점을 착안하여 고안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는 비디오신호 출력단자(11) 및 오디오신호 출력단자(12)와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11,12)에 신호전송라인의 접속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접속검출수단(13)과, 신호 출력단자와 라인 접속 시에 출력단자의 임피던스를 검출하기 위한 임피던스 검출수단(14)과, 오디오출력과 비디오출력을 입력하여 제1선택 시에는 제1출력단자에 오디오출력을 접속하고, 제2출력단자에 비디오신호를 접속하여 제2선택 시에는 제1출력단자에 비디오출력을 접속하고, 제2출력단자에 오디오신호를 접속하는 선택수단(15)과, 상기 접속검출수단(13)의 접속검출 시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144)을 인에이블시키고 인에이블된 임피던스 검출수단(14)에 의해 검출된 출력단의 임피던스에 따라 상기 선택수단(15)을 스위칭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1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비디오의 출력 임피던스를 Z1이라 하고, 오디오의 출력 임피던스를 Z2라 하고, 접속되는 기기의 비디오 입력 임피던스를 Z3라 하고, 오디오 입력 임피던스를 Z4라 한다.
상기 접속검출수단(13)은 두 입력이 상기 비디오신호 출력단자(11)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11)와 각각 접속되고 출력이 상기 제어수단(16)과 접속된 AND게이트수단(13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14)은 인에이블되어 상기 제어수단(16)의 제어에 따라 소정 기간동안 소정 주파수의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발진수단(141)과, 상기 제어수단(16)이 임피던스 접속에 따른 단자의 절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검출단자(D)와 상기 발진수단(141)의 사이에 접속되는 풀업 임피던스수단(141)과 상기 전위검출단자(D)와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수단(16)의 인에이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칭수단(14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선택수단(15)은 비디오 및 오디오의 출력을 두 입력으로 하고 상기 제어수단(16)의 제어에 따라 두 출력 오단자를 절환하기 위한 스위칭IC 및 릴레이 수단으로 구성 가능하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위검출을 위해 형성되는 폐회로를 보인 도면으로, 풀업 임피던스수단(141)이 병렬 연결되는 오디오의 출력 임피던스(Z2)와 접속되는 기기의 오디오 입력 임피던스(Z4)와 직렬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단자 자동절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접속검출수단(13)을 구성하는 AND게이트수단(131)은 상기 비디오신호 출력단자(11)와 비디오신호출력단자(11)에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신호전송라인이 접속되면 하이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출력된 신호를 상기 제어수단(16)이 외부기기와의 접속으로 검출하여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14)의 발진수단(141)과 스위칭수단(142)을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발진수단(141)은 인에이블되어 약 1KHZ의 주파수를 갖는 사인파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는 오디오의 국제 규격에 따른 임피던스가 상기 1KHZ를 기준으로 결정된 관계로 이를 사용한 것이다.
한편, 상기 스위칭수단(14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업 임피던스수단(141) 오디오의 출력 임피던스(Z2)와 오디오의 출력단자와 접속되는 외부기기의 한 단자의 임피던스(Z4)로 이루어지는 폐회로가 형성된다. 이때, 마이컴(16)은 폐회로 상의 전위검출단자(D)에 형성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출력단자 절환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풀업 임피던스수단(141)의 값은 Z2와 Z4가 병렬임으로 아래 식,
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폐회로가 형성되면 상기 제어수단(16)은 전위검출단자(D)의 전압을 측정하여 측정된 전압이 (Vcc/2±△V(여기서, △V는 사인파의 변화분)으로 나타나면 정상적인 상태로 접속된 것으로 검출하여 상기 발진수단(141)과 스위칭수단(142)의 구동을 중단한다. 이때, 전송라인의 접속이 오디오와 비디오단자가 반대로 연결되었을 때에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기기의 비디오 입력 임피던스(Z3)가 접속되고, 이는 75Ω의 값이므로 상기 전위검출단자(D)의 전압은 Vcc/2±△V보다 훨씬 작게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수단(16)은 이를 검출하여 상기 선택수단(15)을 제어하여 오단자를 절환하게 되는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오단자접속 자동절환방법의 순서도이다.
상기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단자접속 자동절환방법은 신호 출력단자와 전송라인의 접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접속여부 판단단계(31)와, 상기 접속여부 판단단계(31)에서 접속으로 판단될 때,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14)을 구동하기 위한 임피던스 검출수단 구동단계(32)와,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14)의 구동에 따라 검출된 출력단자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스위치 절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절환여부 판단단계(33)와, 있다가 기 절환여부 판단단계(33)에서 오접속으로 판단되면 오디오신호 출력단자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를 서로 절환하기 위한 단자절환단계(34)와, 상기 절환여부 판단단계(33)에서 정상접속으로 판단되면 과정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단계(3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환여부 판단단계(33)는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의 구동에 따라 형성되는 폐회로의 전위검출단자(D)의 전방을 검출하기 위한 전위검출단계(331)와 상기 검출된 전위가 (Vcc/2)±△V 이하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전위판단단계(332)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단자 자동절환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접속여부 판단단계(31)에서는 상기 마이컴(16)이 영상처리장치의 오디오와 비디오신호 출력단자와 전송라인의 접속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 접속으로 판단될 때,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 구동단계(32)에서 제어수단(16)은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14)의 발진수단(141)과 스위칭수단(142)을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치 절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절환여부 판단단계(33)의 전위검출단계(331)에서 제어수단(16)은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14)의 구동에 따라 형성되는 폐회로 상의 전위검출단자(D)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전위판단단계(332)에서 상기 검출된 전위가 (Vcc/2)±△V인지 (Vcc/2)±△V 이하인지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 전위판단단계(332)에서 검출된 전위가 (Vcc/2)±△V로 판단되면 상기 단자절환단계(34)에서 마이컴(16)은 상기 종료단계(35)에 종료를 행하고, 검출된 전위가 (Vcc/2)±△V 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수단(16)은 상기 선택수단(15)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오디오신호 출력단자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를 서로 절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자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은 영상출력장치의 오디오신호 출력단자와 비디오신호 출력단자를 기기의 입출력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절환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기기를 보호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영상처리장치의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에 신호전송라인의 접속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접속검출수단과; 신호 출력단자와 라인 접속 시에 출력단자의 임피던스를 검출하기 위한 임피던스 검출수단과; 오디오출력과 비디오출력을 입력하여 제1선택 시에는 제1출력단자에 오디오출력을 접속하고, 제2출력단자에 비디오신호를 접속하여 제2선택 시에는 제1출력단자에 비디오출력을 접속하고, 제2출력단자에 오디오신호를 접속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접촉검출수단의 접속검출 시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을 인에이블시키고 인에이블된 임피던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출력단의 임피던스에 따라 상기 선택수단을 스위칭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검출수단을 두 입력이 상기 비디오신호 출력단자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와 각각 접속되고 출력이 상기 마이컴과 접속된 AND게이트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단자 접속 자동절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을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소정 기간동안 소정주기의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발진수단과; 전위검출단자와 상기 발진수의 사이에 접속되는 풀업 임피던스수단과; 상기 전위검출단자와 상기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인에이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 임피던스수단의 임피던스 값은 아래 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
    (여기서, Z2는 오디오신호 출력 임피던스이고 Z4는 외부 접속 기기의 오디오신호 입력 임피던스)
  5.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에 신호전송라인의 접속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접속검출수단과, 신호출력단자와 라인 접속 시에 출력단자의 임피던스를 검출하기 위한 임피던스 검출수단과, 오디오출력과 비디오출력을 입력하여 제1선택 시에는 제1출력단자에 오디오출력을 속하고, 제2출력단자에 비디오신호를 접속하여 제2선택 시에는 제1출력단자에 비디오출력을 접속하고, 제2출력단자에 오디오신호를 접속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접속검출수단의 접속검출 시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을 인에이블시키고 인에이블된 임피던스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출력단의 임피던스에 따라 상기 선택수단을 스위칭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단자 자동절환장치의 오단자접속 자동절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단자와 전송라인의 접속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접속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접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접속으로 판단될 때,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임피던스 검출수단 구동단계와;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의 구동에 따라 검출된 출력단자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스위치 절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절환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절환여부 판단단계에서 오접속으로 판단되면 오디오신호 출력단자 및 비디오신호 출력단자를 서로 절환하기 위한 단자절환단계와; 상기 절환여부 판단단계에서 정상접속으로 판단되면 과정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단자접속 자동절환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임피던스 검출수단의 구동에 따라 형성되는 폐회로의 전위검출단자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위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된 전위가 (Vcc/2)±△V(여기서, △V는 사인파의 변화분)인지 (Vcc/2)±△V 이하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전위판단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단자접속 자동절환방법.
KR1019930004294A 1993-03-19 1993-03-19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KR0130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4294A KR0130884B1 (ko) 1993-03-19 1993-03-19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4294A KR0130884B1 (ko) 1993-03-19 1993-03-19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191A KR940023191A (ko) 1994-10-22
KR0130884B1 true KR0130884B1 (ko) 1998-04-22

Family

ID=1935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294A KR0130884B1 (ko) 1993-03-19 1993-03-19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600A (ko) * 1997-09-10 1999-04-26 이데이 노부유끼 음성신호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600A (ko) * 1997-09-10 1999-04-26 이데이 노부유끼 음성신호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191A (ko) 199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37427A (ja) スイッチ状態検出装置
KR0130884B1 (ko) 오단자접속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EP0902298A3 (en) Testing method and testing apparatus of electronic circuit
JP4950452B2 (ja) 検出センサ
US6363137B1 (e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JP2000252800A (ja) 差動信号用比較器および差動信号比較方法
JPH11274856A (ja) 水晶発振器の発振停止検出回路
JP3471914B2 (ja) 光ケーブル給電システムの系切替装置
JP2000066990A (ja) 接続認識イベント回路
JP2502012B2 (ja) スイッチ状態検出装置
KR100508590B1 (ko) 통신시스템의 메인보드와 노드간 링크의 이상유무검출장치 및그 방법
JP2546005B2 (ja) A/d変換装置
JP2001285028A (ja) 同期終端回路
JPS62180277A (ja) 音響・映像システム
JP2835907B2 (ja) シーケンサネットワークの通信異常解析装置
KR970048569A (ko) 집적회로 핀의 단락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175344B2 (ja) 故障検出回路
KR012575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970001284Y1 (ko) 수평동기신호 펄스폭 제어장치
KR950023194A (ko) 전전자 교환기 선로시험모듈 범용시험장치 및 그 방법
KR100186636B1 (ko) 반도체 본딩용 와이어 공급 제어 장치
KR0174937B1 (ko) 디지탈 브이. 씨.알용 카세트 테이프의 메모리 내장여부 판별장치
JPS6058518B2 (ja) 監視制御伝送システムの自動断線検知方式
JPS62299138A (ja) デ−タインタフエ−ス装置の電気的接続条件選択方式
JPH04346454A (ja) ボンド点極性設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